KR102186855B1 -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855B1
KR102186855B1 KR1020190107189A KR20190107189A KR102186855B1 KR 102186855 B1 KR102186855 B1 KR 102186855B1 KR 1020190107189 A KR1020190107189 A KR 1020190107189A KR 20190107189 A KR20190107189 A KR 20190107189A KR 102186855 B1 KR102186855 B1 KR 102186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vehicle
stabilizer bar
clutch engagement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중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7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855B1/ko
Priority to DE102020114090.8A priority patent/DE102020114090A1/de
Priority to CN202010518856.3A priority patent/CN112440644B/zh
Priority to US16/898,349 priority patent/US1168522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mainly during a motion involving steering operation, e.g. cornering,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1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mainly during straight-lin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to an external condition, e.g. rough road surface, side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60G17/018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involving parameter estimation, e.g. observer, Kalman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60G21/0556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including a releasabl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5Stabiliser bar and/or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62Adjustable continuously, e.g. during dr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10Acceleration; Deceleration
    • B60G2400/104Acceleration; Deceleration lateral or transversal with regard to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60G2400/204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30Propulsion unit conditions
    • B60G2400/31Clutch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40Steering conditions
    • B60G2400/41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40Steering conditions
    • B60G2400/44Steerin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80Exterior conditions
    • B60G2400/82Ground surface
    • B60G2400/821Uneven, rough road sensing affecting vehicle bod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02Retarders, delaying means, dead zones, threshold values, cut-off frequency, timer interru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24Steering, corn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조향각속도를 검출하는 조향각속도 검출부; 상기 차량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 검출부; 상기 차량의 조향각속도와 조향각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선회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선회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의 상기 클러치를 구동하여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되, 차량의 순간 선회속도에 대응하여 클러치 결합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클러치 결합 시간에 대응하여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BILIZER BAR}
본 발명은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면 상태에 따라 클러치 결합이 필요한 경우 및 선회 정도에 따라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 결합시간을 결정하고, 이 결합시간에 대응하여 클러치의 결합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선회 시 발생하는 롤(roll) 현상은 차량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심할 경우 차량의 전복까지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차량의 롤 현상 방지를 위해 스태빌라이저 바(Stabilizer Bar)를 이용하여 차량 좌/우의 차고 차이 발생 시 차체에 강성을 인가하는 방법으로 롤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의 좌/우 차고 차이는 선회 시 뿐만 아니라 불규칙한 노면의 입력에 의해서도 발생 가능하며, 이 경우 서스펜션 전체의 강성이 증가하여 승차감의 저해 요소로 작용한다.
한편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는 기존의 스태빌라이저 바의 중간에 클러치를 적용하고 주행 상황에 따라 클러치를 결합하거나 해제하여 차량의 롤 강성을 가변하는 시스템이다. 예컨대 차량의 선회 시에는 클러치를 결합하여 큰 롤 강성을 갖게 하여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오프로드 주행 시에는 클러치를 해제하여 좌우 롤 강성을 낮춰 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를 보인 예시도로서, 종래의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는 클러치에 상이한 치형을 적용하여 특정 각도에서만 결합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도 1과 같은 종래의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는 차량이 선회 중에는 클러치의 결합 및 해제가 불가하며, 양단의 스태빌라이저 바가 일정한 정차 상태에서만 동작이 가능하였다. 이는 주행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스태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변경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주행 상황에 따라 승차감 및 조종 안정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노면 상태에 따라 클러치 결합이 필요한 경우 및 선회 정도에 따라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 결합시간을 결정하고, 이 결합시간에 대응하여 클러치의 결합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는, 주행중인 차량의 조향각속도를 검출하는 조향각속도 검출부; 상기 차량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 검출부; 상기 차량의 조향각속도와 조향각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선회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선회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의 상기 클러치를 구동하여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되, 차량의 순간 선회속도에 대응하여 클러치 결합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클러치 결합 시간에 대응하여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적용한 클러치는, 볼 형태의 클러치 결합부재, 및 차량 선회 중 상기 클러치 결합부재가 이동하며 클러치의 결합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그루브 형태의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상대적으로 완선회 할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결정하여 클러치를 상대적으로 천천히 결합 시키고, 차량이 상대적으로 급선회 할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 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결정하여 클러치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속에 따라 선회 판단을 위한 조향각이 다르게 설정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선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노면을 판단하여 평평한 도로이거나 오프로드인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을 해제하되, 차량이 직진으로 주행하더라도 차량의 좌우측이 번갈아가며 파도와 같이 규칙적으로 울렁거리는 역위상 웨이브로드(wave road)인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직진으로 주행하더라도 기 설정된 차속을 넘어서면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횡가속도 정보의 자기상관값(Autocorrelation)을 산출하고, 상기 자기상관값을 산출한 결과 값(p)이 지정된 임계값(Throad) 이상이면, 상기 차량이 역위상 웨이브로드(wave road)를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상관값을 산출한 결과 값(p)이 지정된 임계값(Throad) 이상이 아니면, 상기 노면은 평평한 노면이거나 오프로드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여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순간 선회속도나 차량의 조향각속도에 대응하여 클러치 결합 시간이 미리 설정된 룩업 테이블을 바탕으로 클러치 결합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선회에 따라 결정된 클러치 결합 시간에 대응하여 클러치의 목표위치를 결정하되, 상기 클러치의 목표위치는 클러치 결합을 위한 클러치 결합부재의 목표위치로서, 액추에이터를 통해 상기 클러치 결합부재의 위치를 상기 결정된 목표위치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천천히 이동시키거나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방법은, 조향각속도 검출부를 통해 주행중인 차량의 조향각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조향각 검출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조향각속도와 조향각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선회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선회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의 상기 클러치를 구동하여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되, 차량의 순간 선회속도에 대응하여 클러치 결합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클러치 결합 시간에 대응하여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적용한 클러치는, 볼 형태의 클러치 결합부재, 및 차량 선회 중 상기 클러치 결합부재가 이동하며 클러치의 결합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그루브 형태의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결합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상대적으로 완선회 할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결정하여 클러치를 상대적으로 천천히 결합 시키고, 차량이 상대적으로 급선회 할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 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결정하여 클러치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속 검출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속에 따라 선회 판단을 위한 조향각이 다르게 설정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차량의 선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결합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노면을 판단하여 평평한 도로이거나 오프로드인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을 해제하되, 차량이 직진으로 주행하더라도 차량의 좌우측이 번갈아가며 파도와 같이 규칙적으로 울렁거리는 역위상 웨이브로드(wave road)인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결합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직진으로 주행하더라도 기 설정된 차속을 넘어서면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결합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횡가속도 정보의 자기상관값(Autocorrelation)을 산출하고, 상기 자기상관값을 산출한 결과 값(p)이 지정된 임계값(Throad) 이상이면, 상기 차량이 역위상 웨이브로드(wave road)를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결합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상관값을 산출한 결과 값(p)이 지정된 임계값(Throad) 이상이 아니면, 상기 노면은 평평한 노면이거나 오프로드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여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결합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순간 선회속도나 차량의 조향각속도에 대응하여 클러치 결합 시간이 미리 설정된 룩업 테이블을 바탕으로 클러치 결합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결합 시간이 결정된 이후,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선회에 따라 결정된 클러치 결합 시간에 대응하여 클러치의 목표위치를 결정하되, 상기 클러치의 목표위치는 클러치 결합을 위한 클러치 결합부재의 목표위치로서, 액추에이터를 통해 상기 클러치 결합부재의 위치를 상기 결정된 목표위치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천천히 이동시키거나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노면 상태에 따라 클러치 결합이 필요한 경우 및 선회 정도에 따라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 결합시간을 결정하고, 이 결합시간에 대응하여 클러치의 결합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클러치 적용 스태빌라이저 바의 개략적인 형상과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클러치 적용 스태빌라이저 바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볼과 그루브 형상의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과 그루브 형상의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과 그루브 형상의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노면 상태를 판단하여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를 결합하거나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
도 6은 상기 도 4에 있어서, 순간 선회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클러치 결합 시간에 대응하여 클러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클러치에 볼부재(또는 볼)가 케이지에 의해 제1안내홈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부재가 제2홈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부재가 제2홈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부재가 제2홈부에 위치하며 각도차가 발생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부재가 제1홈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부재가 제1홈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부재가 제1홈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홈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홈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홈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부재가 제2홈부에서 제1홈부로 이동되며 원점을 찾아 맞물리는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부재가 제2홈부에서 제1홈부로 이동되며 원점을 찾아 맞물리는 동작을 도시한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부재가 제2홈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볼과 그루브 형상의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를 제안하였으며, 본 실시예에 관련된 상기 볼과 그루브 형상의 클러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 내지 도 19에 기재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클러치는 앞서 설명한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바에 적용된 클러치와 달리 선회 중 볼(즉, 클러치 결합부재)이 그루브 면을 따라 이동하며 클러치의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클러치 형상에 따라 클러치 결합 시 볼과 그루브 간의 충격은 발생할 수밖에 없고 이는 충격 소음 및 차량의 진동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볼과 그루브 형상의 클러치(즉, 볼 형태의 클러치 결합부재, 및 차량 선회 중 상기 클러치 결합부재가 이동하며 클러치의 결합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그루브 형태의 면을 포함하는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 결합 시 충격 소음과 진동을 줄이기 위한 제어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과 그루브 형상의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는, 조향각속도 검출부(110), 차속 검출부(120), 조향각 검출부(130), 제어부(140), 및 클러치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각속도 검출부(110)는 주행중인 차량의 조향각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40)에 출력한다.
상기 차속 검출부(120)는 주행중인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40)에 출력한다.
상기 조향각 검출부(130)는 주행중인 차량의 조향각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40)에 출력한다.
상기 조향각속도, 차속, 및 조향각은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각기 검출할 수 있으며,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미도시)와 통신하여 전달받을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차량의 조향각속도와 조향각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선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조향각속도와 조향각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값(Threshold) 이상인 경우에 차량의 선회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조향각속도 정보는 하나의 상수 임계값을 사용하지만, 상기 조향각 정보는 차속 정보에 따라 선회 판단에 필요한 조향각이 달라진다. 예컨대 차량이 저속 주행할 경우에는 조향각을 크게 조정하여 선회하고 차량이 고속 주행할 경우에는 조향각을 작게 조정하여 선회한다.
즉, 조향각 정보의 경우 차속에 따라 선회 판단을 위한 조향각이 다르므로, 차속에 따른 맵(또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선회 판단을 위한 임계값을 미리 설정한다.
예컨대 저속일수록 선회에 필요한 조향각이 크고 고속일수록 선회에 필요한 조향각이 작으므로, 이러한 특성을 맵(또는 룩업 테이블)에 반영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두 가지의 차량신호(예 : 조향각속도, 조향각)가 모두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을 가지는 경우에 선회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차량이 선회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클러치 구동부(150)를 통해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를 구동한다. 즉, 상기 제어부(140)는 차량이 선회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 결합을 실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노면을 판단하여 평평한 도로이거나 오프로드인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을 해제하고, 차량이 직진으로 주행하더라도 차량의 좌우측이 번갈아가며 파도와 같이 규칙적으로 울렁거리는 웨이브로드(wave road)(예 : 역위상 웨이브로드)를 주행할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며, 또한 차량이 직진 주행 시 기 설정된 차속 이상에서도 클러치 결합을 실시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발명한 볼과 그루브 형상의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를 차량에 적용하여 클러치 결합을 실시할 경우, 클러치 결합 시 볼과 그루브 간의 충격으로 인해 소음과 차량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과 그루브 형상의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 결합 시 차량의 순간 선회속도(즉, 선회로 판단되는 순간의 속도)에 대응하여 클러치 결합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클러치 결합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클러치의 볼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클러치 결합 시 발생하는 충격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킨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40)는 차량이 완선회 할 경우에는 클러치를 천천히 결합(예 : 클러치 결합시간 - 3s)하고, 차량이 급선회 할 경우에는 클러치를 빠르게 결합(예 : 클러치 결합시간 - 1ms)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과 그루브 형상의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지정된 차량신호(예 : 조향각속도, 차속, 조향각)를 모니터링 한다(S101).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차량신호(예 : 조향각속도, 차속, 조향각)에 기초하여 차량의 선회 여부를 판단한다(S102).
예컨대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조향각속도와 조향각이 기 설정된 임계값(Threshold) 이상인 경우에 차량이 선회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다만 상기 조향각에 의한 선회 판단은 차속 정보을 추가로 반영한다. 가령 차량이 저속 주행할 경우에는 조향각을 크게 조정할 경우에 선회인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이 고속 주행할 경우에는 조향각을 작게 조정할 경우에도 선회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차량의 선회 여부를 판단함과 아울러 노면 상태를 추가로 판단한다(S103).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노면 상태를 판단하여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를 결합하거나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로서, 상기 차량이 선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201의 예), 상기 제어부(140)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를 결합한다(S204).
그러나 상기 차량이 선회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201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40)는 차량의 횡가속도 정보의 자기상관값(Autocorrelation)을 산출하고(S202), 상기 자기상관값을 산출한 결과 값(p)이 지정된 임계값(Throad) 이상이면(S203의 예), 상기 제어부(140)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를 결합한다(S204).
여기서 상기 임계값(Throad)은 차량의 좌우측이 번갈아가며 파도와 같이 규칙적으로 울렁거리는 웨이브로드(wave road)(예 : 역위상 웨이브로드)를 판단하기 위하여 설정된 횡가속도 정보의 자기상관값이다.
한편 상기 자기상관값을 산출한 결과 값(p)이 지정된 임계값(Throad) 이상이 아니면(S203의 아니오), 상기 노면은 평평한 노면이거나 오프로드 중 어느 하나이므로 상기 제어부(140)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를 해제한다(S205).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차량이 선회하고 있지 않더라도 노면에 따라 클러치 결합이 필요한 경우(예 : 역위상 웨이브로드를 주행할 경우)에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를 결합하여 불필요한 진동(head toss)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차량이 선회하는 경우 또는 차량이 선회하고 있지 않더라도 노면에 따라 클러치 결합이 필요한 경우(예 : 역위상 웨이브로드를 주행할 경우)에 클러치의 동작(즉, 클러치의 결합)을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이에 따라 클러치의 동작(즉, 클러치의 결합)을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순간 선회정도(즉, 순간 선회속도)(또는 조향각속도)에 따라 클러치 결합 시간을 결정한다(S104).
예컨대 상기 순간 선회정도(즉, 순간 선회속도)가 느릴 경우(즉, 완선회 할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 시간을 길게(예 : 클러치 결합시간 - 3s) 결정하고, 상기 순간 선회정도(즉, 순간 선회속도)가 빠를 경우(즉, 급선회 할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 시간을 짧게(예 : 클러치 결합시간 - 1ms)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클러치 결합 시간이 길게 결정될 경우에는 상기 클러치 결합이 천천히 실시되어야 하므로 상기 클러치 구동부(150)(예 : 액추에이터)는 클러치 결합을 위한 볼의 위치를 천천히 이동시키고, 반대로 상기 클러치 결합 시간이 짧게 결정될 경우에는 상기 클러치 결합이 빠르게 실시되어야 하므로 상기 클러치 구동부(150)(예 : 액추에이터)는 클러치 결합을 위한 볼의 위치를 빠르게 이동시킨다.
즉, 상기 클러치 결합 시간에 대응하여 클러치의 목표위치(즉, 클러치 결합을 위한 볼의 목표위치, 또는 클러치 결합을 위한 볼의 이동속도)도 결정된다.
도 6은 상기 도 4에 있어서, 순간 선회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클러치 결합 시간에 대응하여 클러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순간 선회정도(즉, 순간 선회속도)(또는 조향각속도)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맵(또는 룩업 테이블)을 바탕으로 클러치 결합 시간을 결정한다(S301).
그리고 차량의 선회가 판단됨에 따라 클러치의 동작(즉, 클러치의 결합)이 결정되면(S302의 예),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클러치 결합 시간에 대응하여 제1 클러치 목표위치(즉, 클러치 결합을 위한 볼의 목표위치)(E1)를 결정한다(S303).
만약 차량의 선회가 판단되지 않음에 따라 클러치를 동작시키지 않는 것(즉, 클러치의 해제)으로 결정되면(S3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제2 클러치 목표위치(즉, 클러치 해제를 위한 볼의 목표위치)(E2)를 결정한다(S304).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 구동부(150)(예 : 액추에이터)는 상기와 같이 클러치를 동작시킬 경우에 결정된 클러치 목표위치(E1)에 대응하여 클러치 결합을 위한 볼의 위치를 천천히 이동시키거나 클러치 결합을 위한 볼의 위치를 빠르게 이동시키고, 또는 클러치를 동작시키지 않을 경우의 클러치 목표위치(E2)에 대응하여 클러치의 볼의 위치를 클러치 해제를 위한 볼의 목표위치로 이동시킨다(S305, S105).
상기와 같이 클러치의 결합 시간은 현재의 조향각속도에 대응하여 일정한 범위(예 : 맵에 의해 미리 설정된 클러치 결합 시간) 내에서 결정된다.
가령 완선회의 경우 작은 조향각속도를 가지고, 급선회의 경우 큰 조향각속도를 가지므로 이러한 특성을 맵으로 미리 설정하여 클러치 결합시간을 결정한다.
또한 클러치의 동작 여부가 결정되면 상기 클러치의 볼을 상기 결정된 클러치 결합시간 동안 움직이도록 클러치 결합 위치를 생성한다. 이는 클러치 결합뿐만 아니라, 클러치 해제 시에도 적용하여 보다 많은 상황에서 차량의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노면 상태에 따라 클러치 결합이 필요한 경우 및 선회 정도에 따라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 결합시간을 결정하고, 이 결합시간에 대응하여 클러치의 결합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태빌라이저 바에 적용된 볼과 그루브 형상의 클러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클러치에 볼부재(또는 볼)가 케이지에 의해 제1안내홈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부재가 제2홈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부재가 제2홈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부재가 제2홈부에 위치하며 각도차가 발생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부재가 제1홈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부재가 제1홈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부재가 제1홈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홈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부재가 제2홈부에서 제1홈부로 이동되며 원점을 찾아 맞물리는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부재가 제2홈부에서 제1홈부로 이동되며 원점을 찾아 맞물리는 동작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부재가 제2홈부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용 클러치(1)는, 제1전달바(10)에 고정되며 외측에는 길이방향(D)으로 제1안내홈부(34)가 형성되는 이너레이스(30)와, 제2전달바(20)에 고정되며 이너레이스(3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고 제1안내홈부(34)와 마주하는 위치에 제2안내홈부(46)가 형성되는 하우징부(40)와, 이너레이스(30)와 하우징부(40)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안내홈부(34)와 제2안내홈부(46)에 양측이 삽입되어 걸리는 볼부재(70) 및 하우징부(40)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1안내홈부(34)와 제2안내홈부(46)를 따라 볼부재(70)를 이동시켜 이너레이스(30)와 하우징부(40)의 사이에 동력전달을 제어하는 구동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용 클러치(1)는 동력 전달과 동력 차단에 사용되는 클러치 구조에 대한 발명이며, 볼부재(70)와 제2안내홈부(46)를 이용해 원점을 찾아 맞물리므로 동력 전달이 가능한 구조이다. 볼부재(70)가 제2홈부(48)를 따라 이동된 후 제1안내홈부(34)와 제1홈부(47)의 사이에 끼어서 인게이지(Engage)되는 동작에서, 볼부재(70)의 이동에 필요한 힘만 요구되므로 비교적 적은 힘으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스태빌라이저용 클러치(1)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뿐만 아니라 타 동력 전달장치의 클러치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용 클러치(1)의 일측(도 2기준 좌측)에는 제1전달바(10)가 위치하며 타측(도 2기준 우측)에는 제2전달바(20)가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달바(10)는 제1스태빌라이저바이며, 제2전달바(20)는 제2스태빌라이저바이다.
이너레이스(30)는 제1전달바(10)에 고정되며 외측에는 길이방향(D)으로 제1안내홈부(34)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레이스(30)는 이너몸체(32)와 제1안내홈부(34)를 포함한다. 이너몸체(32)는 제1전달바(10)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이너몸체(32)는 파이프 형상이며, 이너몸체(32)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1안내홈부(34)는 이너몸체(32)의 길이방향(D)을 따라 직선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또한 제1안내홈부(34)는 이너몸체(32)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로 설치된다.
이너레이스(30)는 제2전달바(20)에 연결된 하우징부(40)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볼부재(70)가 맞물림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토크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하우징부(40)는 제2전달바(20)에 고정되며, 이너레이스(3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고, 제1안내홈부(34)와 마주하는 위치에 제2안내홈부(46)가 형성된다. 제2안내홈부(46)는 제1안내홈부(34)와 동일한 직선 형상의 홈을 형성하는 제1홈부(47) 및 제1홈부(47) 보다는 넓은 단면적의 홈을 구비하는 제2홈부(48)를 포함한다. 볼부재(70)가 제2홈부(48)에 있는 상태에서는 하우징부(40)와 이너레이스(30)의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볼부재(70)가 제1홈부(47)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하우징부(40)와 이너레이스(30)의 동기화가 이루어져서 동력 전달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40)는 고정몸체(42)와 연장몸체(44)와 제2안내홈부(46)를 포함한다.
고정몸체(42)는 제2전달바(20)에 고정되며, 연장몸체(44)는 고정몸체(42)에서 연장되어 이너레이스(3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연장몸체(44)의 내측에는 볼부재(70)를 맞물리는 위치 또는 맞물림이 해제되는 위치로 안내하는 제2안내홈부(46)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안내홈부(46)는 제1홈부(47)와 제2홈부(48)를 포함한다.
제1홈부(47)는 제1안내홈부(34)와 마주하는 위치에 직선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이너레이스(30)의 제1안내홈부(34)와 마주하는 하우징부(40)의 내측에 제1홈부(47)가 형성된다. 제1안내홈부(34)와 제1홈부(47)는 하우징부(40)의 길이방향(D)으로 직선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또한 볼부재(70)와 마주하는 제1홈부(47)는 제1안내홈부(34)의 내측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1홈부(47)와 제1안내홈부(34)는 볼부재(70)와 면접촉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볼부재(70)가 제1홈부(47)와 제1안내홈부(34)의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이너레이스(30)와 하우징부(40)에 면접촉, 선접촉 및 점접촉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동력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홈부(48)는 제1홈부(47)에 연결되며 부채꼴 모양으로 홈을 형성하므로, 제2홈부(48)에 위치한 볼부재(70)는 원주방향(C)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볼부재(70)를 이동시키는 케이지(85)에도 안내홀부(87)가 원주방향(C)을 따라 장공의 홀을 형성하므로, 케이지(85)와 하우징부(40)는 제2전달바(20)와 함께 원주방향(C)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2홈부(48)에 볼부재(7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전달바(10)와 제2전달바(20)의 회전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루어져도 볼부재(70)를 매개로 하우징부(40)의 동력이 이너레이스(30)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볼부재(70)가 제1홈부(47)와 제1안내홈부(34)에 걸린 상태에서는 볼부재(70)를 매개로 이너레이스(30)와 하우징부(40)의 동력전달이 이루어진다.
볼부재(70)는 이너레이스(30)와 하우징부(40)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안내홈부(34)와 제2안내홈부(46)에 양측이 삽입되어 걸리는 구슬 형상이다. 볼부재(70)는 구동부(80)의 케이지(85)에 구비된 안내홀부(87)에 삽입되며, 케이지(85)의 길이방향(D) 이동에 의해 볼부재(70)도 이동된다. 볼부재(70)가 제2안내홈부(46)를 따라 이동되므로 이너레이스(30)와 하우징부(40)가 원점에서 맞물리는데 소요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동부(80)는 하우징부(40)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1안내홈부(34)와 제2안내홈부(46)를 따라 볼부재(70)를 이동시켜 이너레이스(30)와 하우징부(40)의 사이에 동력전달을 제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80)는, 모터부재(81)와 볼스크류(83)와 볼너트(84)와 케이지(85)와 가압부재(88)를 포함한다.
모터부재(81)는 전기모터를 사용하며 고정몸체(42)의 내측에 고정된다. 고정몸체(42)는 파이프 형상이며, 고정몸체(42)의 단부에는 제2전달바(2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2전달바(20)와 마주하는 고정몸체(42)의 내측에 모터부재(81)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볼스크류(83)는 모터부재(81)의 출력축(82)에 연결되며, 모터부재(81)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며 볼너트(84)를 직선 이동시킨다.
볼너트(84)는 볼스크류(83)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볼너트(84)는 연장몸체(44)의 내측에 걸려서 회전이 구속되며, 볼스크류(83)에 맞물려서 직선 이동을 한다. 볼너트(84)의 내측에는 볼스크류(83)의 외측에 구비된 기어에 대응하는 기어가 구비된다.
케이지(85)는 볼너트(84)에서 연장되어 연장몸체(44)와 이너레이스(30)의 사이에 위치하며, 볼부재(70)가 삽입되는 안내홀부(87)를 구비한다. 케이지(85)와 볼너트(84)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별도의 부재로 생산된 후 조립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안내홀부(87)는 장공 형상이며, 케이지(85)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된다. 볼너트(84)에서 연장된 케이지(85)는 이너레이스(3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케이지(85)의 외측에는 케이지(85)의 길이방향(D)으로 연장된 가이드돌기(86)가 돌출된다. 가이드돌기(86)는 하우징부(40)에 구비된 가이드홈부(45)에 삽입되어 원주방향(C) 회전은 구속되고 길이방향(D) 직선 이동만 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지(85)의 일측에는 볼부재(70)가 삽입되는 안내홀부(87)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우징부(40)에 홈부가 형성되며, 케이지(85)의 외측에 돌기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인해 케이지(85)의 원주 방향 회전이 구속되나, 하우징부(40)에 돌기가 형성되며 케이지(85)의 외측에 홈부가 형성되어 케이지(85)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성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라 할 것이다.
가압부재(88)는 하우징부(40)의 내측에 위치하며 이너레이스(30)를 향한 방향으로 볼너트(84)를 탄성 가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88)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며, 가압부재(88)의 일측은 볼너트(84)에 지지되며 가압부재(88)의 타측은 하우징부(40)의 내측에 지지된다. 따라서 볼너트(84)가 이너레이스(30)로 이동되는 동작시 모터부재(81)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으며, 모터부재(81)의 동작 이상시에도 볼너트(84)를 이너레이스(30)를 향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볼부재(70)를 제1홈부(47)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케이지(85)가 모터부재(81)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볼부재(70)가 제1홈부(47)에서 제2홈부(48)로 이동되므로 동력전달이 차단된다. 케이지(85)와 함께 볼너트(84)도 가압부재(88)를 압축하며 모터부재(81)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된 후 별도의 락킹장치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된다. 별도의 락킹장치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모터부재(81)가 계속 동작되며 볼너트(84)를 이동시키는 토크를 발생시켜야 한다.
한편 제2홈부(48,50,60)에 구비된 홈부측면(49,52,62)의 형상에 따라 볼부재(70)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의 크기가 달라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홈부(47)와 제2홈부(48)가 연이어 연결되며, 제2홈부(48)의 홈부측면(49)이 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우, 제2홈부(48)를 이동하는 볼부재(70)는 평균으로 설정된 힘의 공급으로 이동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홈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홈부(50)의 홈부측면(52)이 하우징부(40)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면, 홈부측면(49)이 평면인 경우 대비 초반 볼부재(70)를 이동시키는데 소요되는 힘의 크기가 감소되며 후반에는 볼부재(70)를 이동시키는데 소요되는 힘의 크기가 증가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홈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홈부(60)의 홈부측면(62)이 하우징부(40)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되면, 홈부측면(49)이 직선인 경우 대비 초반 볼부재(70)를 이동시키는데 소요되는 힘의 크기가 증가하며, 후반에는 볼부재(70)를 이동시키는데 소요되는 힘의 크기가 감소된다.
스태빌라이저용 클러치(1)는 볼부재(70)를 이동시켜 맞물리는 인게이지를 구현하거나, 맞물림이 해제되는 디스인게이지를 구현하는 장치로, 볼부재(70)의 동작 특성을 살려서 기기동작 시 마찰 발생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며, 제2홈부(48)의 형상에 따라 볼부재(70)를 이동시키는 힘의 조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용 클러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부재(70)가 제2홈부(48)의 타측 단부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이너레이스(30)와 하우징부(40) 사이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제2홈부(48)가 부채꼴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며, 케이지(85)에도 장공 형상의 안내홀부(87)가 구비되므로 볼부재(70)가 원주방향(C)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만약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레이스(30)가 볼부재(70)를 제2홈부(48)의 외측으로 안내한 경우, 볼부재(70)의 회전을 구속하는 형상이 없으므로 이너레이스(30)는 제1전달바(10)를 기준으로 360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용 클러치(1)는, 제1전달바(10)에 이너레이스(30)가 고정되며 제2전달바(20)는 하우징부(40)에 고정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전달바(10)에 하우징부(40)가 고정되며, 제2전달바(20)는 이너레이스(3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레이스(30)와 하우징부(40)의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모터부재(81)가 동작되어 볼스크류(83)를 회전시킨다. 볼스크류(83)의 회전에 의해 볼너트(84)가 이너레이스(30)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볼너트(84)에 연결된 케이지(85)가 이동되면서 볼부재(70)를 제2홈부(48)에서 제1홈부(47)로 이동시킨다. 제1홈부(47)의 일측 단부로 이동된 볼부재(70)를 매개로 이너레이스(30)와 하우징부(40)의 동력 전달이 이루어진다.
하우징부(40)에 구비된 제1홈부(47)는 직선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므로, 볼부재(70)가 제1홈부(47)와 제1안내홈부(34)에 완전히 맞물린 상태에서는 큰 축력이 필요 없이도 토크 전달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홈부(48)에 있을 때는 원점이 맞지 않는 볼부재(70)가, 케이지(85)의 이동에 의해 제1홈부(47)로 이동되면서 원점이 맞은 상태에서 맞물리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스태빌라이저용 클러치(1)는 기계적인 원점 보상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싱크로나이저 등의 부품이 필요 없으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스태빌라이저용 클러치(1)는 클러치를 이용하여 동력 전달의 연결과 차단 구조를 구현시, 원점을 보상하는 동시에 맞물리는 동작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특히 볼부재(70)를 이용하여 마찰력을 최소화 시키며 맞물리는 동작이 가능하므로 모터부재(81)의 용량이 작아져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스태빌라이저용 클러치(1)는 제1전달바(10)와 제2전달바(20)의 중간에 위치하며, 동력 전달이 불필요할 경우 동력전달을 차단한다. 즉 직진 주행시는 맞물림이 해제되고 차량 선회시에는 맞물리는 동작에 의해 승차감 및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볼부재(70)가 부채꼴 형상의 제2홈부(48)에서 직선 형상의 제1홈부(47)로 이동하면서 원점을 찾아 맞물리는 클러치 동작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차량의 직진 주행시 볼부재(70)가 제2홈부(48)로 이동되어 하우징부(40)와 이너레이스(30) 사이의 동력전달이 차단되며, 차량 선회시에는 볼부재(70)가 제1홈부(47)로 이동되어 하우징부(40)와 이너레이스(30) 사이의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므로 승차감과 선회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10 : 조향각속도 검출부 120 : 차속 검출부
130 : 조향각 검출부 140 : 제어부
150 : 클러치 구동부

Claims (20)

  1. 주행중인 차량의 조향각속도를 검출하는 조향각속도 검출부;
    상기 차량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 검출부; 및
    상기 차량의 조향각속도와 조향각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선회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선회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의 상기 클러치를 구동하여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되, 차량의 순간 선회속도에 대응하여 클러치 결합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클러치 결합 시간에 대응하여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노면을 판단하여 평평한 도로이거나 오프로드인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을 해제하되, 차량이 직진으로 주행하더라도 기 설정된 차속을 넘어서면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적용한 클러치는,
    볼 형태의 클러치 결합부재; 및
    차량 선회 중 상기 클러치 결합부재가 이동하며 클러치의 결합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그루브 형태의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상대적으로 완선회 할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결정하여 클러치를 상대적으로 천천히 결합 시키고,
    차량이 상대적으로 급선회 할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 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결정하여 클러치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속에 따라 선회 판단을 위한 조향각이 다르게 설정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선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노면을 판단하여 평평한 도로이거나 오프로드인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을 해제하되, 차량이 직진으로 주행하더라도 차량의 좌우측이 번갈아가며 파도와 같이 규칙적으로 울렁거리는 역위상 웨이브로드(wave road)인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횡가속도 정보의 자기상관값(Autocorrelation)을 산출하고, 상기 자기상관값을 산출한 결과 값(p)이 지정된 임계값(Throad) 이상이면, 상기 차량이 역위상 웨이브로드(wave road)를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상관값을 산출한 결과 값(p)이 지정된 임계값(Throad) 이상이 아니면, 상기 노면은 평평한 노면이거나 오프로드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여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순간 선회속도나 차량의 조향각속도에 대응하여 클러치 결합 시간이 미리 설정된 룩업 테이블을 바탕으로 클러치 결합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선회에 따라 결정된 클러치 결합 시간에 대응하여 클러치의 목표위치를 결정하되, 상기 클러치의 목표위치는 클러치 결합을 위한 클러치 결합부재의 목표위치로서, 액추에이터를 통해 상기 클러치 결합부재의 위치를 상기 결정된 목표위치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천천히 이동시키거나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11. 조향각속도 검출부를 통해 주행중인 차량의 조향각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조향각 검출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조향각속도와 조향각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선회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선회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클러치를 적용한 스태빌라이저 바의 상기 클러치를 구동하여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되, 차량의 순간 선회속도에 대응하여 클러치 결합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클러치 결합 시간에 대응하여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 결합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노면을 판단하여 평평한 도로이거나 오프로드인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을 해제하되, 차량이 직진으로 주행하더라도 기 설정된 차속을 넘어서면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적용한 클러치는,
    볼 형태의 클러치 결합부재; 및
    차량 선회 중 상기 클러치 결합부재가 이동하며 클러치의 결합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그루브 형태의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결합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상대적으로 완선회 할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결정하여 클러치를 상대적으로 천천히 결합 시키고,
    차량이 상대적으로 급선회 할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 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결정하여 클러치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차속 검출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차속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속에 따라 선회 판단을 위한 조향각이 다르게 설정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차량의 선회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결합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노면을 판단하여 평평한 도로이거나 오프로드인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을 해제하되, 차량이 직진으로 주행하더라도 차량의 좌우측이 번갈아가며 파도와 같이 규칙적으로 울렁거리는 역위상 웨이브로드(wave road)인 경우에는 클러치 결합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방법.
  16. 삭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결합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횡가속도 정보의 자기상관값(Autocorrelation)을 산출하고, 상기 자기상관값을 산출한 결과 값(p)이 지정된 임계값(Throad) 이상이면, 상기 차량이 역위상 웨이브로드(wave road)를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결합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상관값을 산출한 결과 값(p)이 지정된 임계값(Throad) 이상이 아니면, 상기 노면은 평평한 노면이거나 오프로드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여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클러치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결합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순간 선회속도나 차량의 조향각속도에 대응하여 클러치 결합 시간이 미리 설정된 룩업 테이블을 바탕으로 클러치 결합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결합 시간이 결정된 이후,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선회에 따라 결정된 클러치 결합 시간에 대응하여 클러치의 목표위치를 결정하되, 상기 클러치의 목표위치는 클러치 결합을 위한 클러치 결합부재의 목표위치로서, 액추에이터를 통해 상기 클러치 결합부재의 위치를 상기 결정된 목표위치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천천히 이동시키거나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방법.
KR1020190107189A 2019-08-30 2019-08-30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86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189A KR102186855B1 (ko) 2019-08-30 2019-08-30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및 방법
DE102020114090.8A DE102020114090A1 (de) 2019-08-30 2020-05-26 Stabilisatorsteuervorrichtung und -verfahren
CN202010518856.3A CN112440644B (zh) 2019-08-30 2020-06-09 稳定杆控制装置及方法
US16/898,349 US11685222B2 (en) 2019-08-30 2020-06-10 Stabilizer ba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189A KR102186855B1 (ko) 2019-08-30 2019-08-30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855B1 true KR102186855B1 (ko) 2020-12-07

Family

ID=7379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189A KR102186855B1 (ko) 2019-08-30 2019-08-30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85222B2 (ko)
KR (1) KR102186855B1 (ko)
CN (1) CN112440644B (ko)
DE (1) DE1020201140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1429B2 (en) 2017-09-29 2021-04-20 Fox Factory, Inc. Electronically controlled sway bar damping link
US11634003B2 (en) * 2020-12-17 2023-04-25 Fox Factory, Inc. Automated control system for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sway bar link
US11993127B2 (en) * 2022-01-20 2024-05-2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oll stabilizer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9917A (ja) * 1987-05-09 1988-11-17 Toyota Motor Corp スタビライザ制御装置
JP2007091099A (ja) * 2005-09-29 2007-04-12 Hitachi Ltd スタビライザ装置
JP2007168716A (ja) * 2005-12-26 2007-07-05 Toyota Motor Corp 車両のロール制御装置
KR20080015857A (ko) * 2005-06-16 2008-02-20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차량 스태빌라이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8620A (en) * 1985-05-20 1987-03-10 Ford Motor Company Adjustable suspension stabilizer bar
US5790966A (en) * 1996-04-01 1998-08-0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for determining steering position of automotive steering mechanism
US6481732B1 (en) * 2000-05-24 2002-11-19 Meritor Light Vehicle Technology, Llc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decouplable stabilizer bar
US6637757B2 (en) * 2001-03-03 2003-10-28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upling a disconnectable stabilizer bar system
US6530586B2 (en) * 2001-03-13 2003-03-11 Meritor Light Vehicle Systems Llc Suspension torsion bar with variable rate adjustment arms
DE10358762A1 (de) * 2003-12-12 2005-07-14 Zf Friedrichshafen Ag Stabilisator für ein Kraftfahrzeug
JP4506522B2 (ja) * 2005-03-16 2010-07-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JP2007030575A (ja) * 2005-07-25 2007-02-08 Aisin Seiki Co Ltd スタビライザ制御装置
KR101279324B1 (ko) 2006-06-26 2013-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5321603B2 (ja) * 2009-02-16 2013-10-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スタビライザ制御装置
KR20100093641A (ko) * 2009-02-17 2010-08-26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
KR102017465B1 (ko) * 2017-12-19 2019-09-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테빌라이저용 클러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9917A (ja) * 1987-05-09 1988-11-17 Toyota Motor Corp スタビライザ制御装置
KR20080015857A (ko) * 2005-06-16 2008-02-20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차량 스태빌라이저 시스템
JP2007091099A (ja) * 2005-09-29 2007-04-12 Hitachi Ltd スタビライザ装置
JP2007168716A (ja) * 2005-12-26 2007-07-05 Toyota Motor Corp 車両のロール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40644B (zh) 2023-09-12
US11685222B2 (en) 2023-06-27
US20210061052A1 (en) 2021-03-04
DE102020114090A1 (de) 2021-03-04
CN112440644A (zh) 202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855B1 (ko) 스태빌라이저 바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471788B2 (en) Electromagnetic suspension apparatus
KR102017465B1 (ko) 스테빌라이저용 클러치장치
US10843682B2 (en) Vehicle controller
KR101425751B1 (ko) 차량의 주행 제어장치 및 그의 주행제어방법
KR102659235B1 (ko) 전자식 차동제한장치의 제어방법
KR20170099012A (ko) 전동식 조향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00133102A (ko) 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및 시스템
JP2012076513A (ja) スタビライザ装置
US11592100B2 (en) Uniform clamp actuated shift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 system
JP5122994B2 (ja) 油圧式無段変速機の制御方法
CN111746213B (zh) 电动悬架装置
CN112693448B (zh) 一种汽车扭矩转向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1756013B1 (ko) 차량용 스티어링휠의 햅틱기능 제어방법
CN113165691B (zh) 转向控制系统、转向控制装置及转向控制方法
CN114056333A (zh) 一种装载机坡道换向控制方法、控制系统及装载机
JP6973222B2 (ja) 中間シャフト
KR20170115247A (ko)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
US20230091095A1 (en) Vehicle controller and noise reducing method of differential gear
KR101796253B1 (ko)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
KR102145200B1 (ko) 전동식 조향장치
JP5547824B2 (ja) 作業車両
KR0151640B1 (ko) 스티어링 휠의 떨림 저감장치
US20210053609A1 (en) Control methods for 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of cars
JP4007078B2 (ja)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