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253B1 -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253B1
KR101796253B1 KR1020160094047A KR20160094047A KR101796253B1 KR 101796253 B1 KR101796253 B1 KR 101796253B1 KR 1020160094047 A KR1020160094047 A KR 1020160094047A KR 20160094047 A KR20160094047 A KR 20160094047A KR 101796253 B1 KR101796253 B1 KR 101796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drive
drive mode
actuator
mod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민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주) filed Critical 현대위아(주)
Priority to KR1020160094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8Four-wheel dr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50Magnetic or electromagnetic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2Four wheel driv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2륜 구동모드를 선택하거나 4륜 구동모드를 선택하여 구동모드의 전환시 액추에이터의 과다 구동을 제한함으로써 동력전환수단의 끼임 현상 및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액추에이터 작동의 오류를 체크하여 오류를 보정함으로써 액추에이터의 제어 오차가 저감되는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 {SWITCHING SYSTEM FOR FOUR WHEEL DRIVE OF VEHICLE}
본 발명은 2륜 구동에서 4륜 구동으로 전환하거나 4륜 구동에서 2륜 구동으로 전환시 오차를 저감하기 위한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4륜 구동 차량은 전륜 휠 또는 후륜 휠만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2륜구동 차량과 다르게 4개의 휠이 모두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 차량을 말한다. 2륜 구동 차량과 비교하여 볼 때 4개의 휠이 동시에 구동되는 것이므로 추진력이 월등하고, 비포장도로와 같은 험로, 경사가 아주 급한 도로 및 노면이 미끄러운 도로에 대한 주행성능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4륜 구동 차량은 일반 주행시, 즉 주행에 있어서 많은 부하가 걸리지 않는 일반 도로를 주행할 시에는 연비의 악화 및 높은 소음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4륜 구동 차량은 일반 주행시에는 2륜으로 구동되다가 험로, 미끄러운 노면 및 높은 추진력이 필요로 하는 구간에서는 4륜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연비의 향상과 소음 및 진동의 감소를 꾀하고 있다.
최근에는 4륜 구동 차량의 구동력 분배가 전자적으로 이루어지고 단순히 4륜 구동에서 2륜 구동으로의 전환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른 전륜 및 후륜의 구동력 분배 비율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4륜 구동 장치는 엔진 동력을 입력받는 입력축과 입력축의 동력을 전달받아 4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출력축을 선택적으로 연결시켜주는 기어부 및 포크가 구비되며, 2륜 구동 또는 4륜 구동에 따라 포크를 이동시켜주는 캠 및 모터가 구성된다.
즉, 모터 작동시 캠이 이동되고 캠에 연결된 포크 및 슬리브가 이동되어 입력축과 출력축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2륜 구동 또는 4륜 구동으로 전환하기 위해 모터 작동시 모터의 과도한 동작에 의해 포크 및 슬리브가 정해진 위치를 넘어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모터의 과동작이 반복될 경우 구성 부품들이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주행의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5-0014244 A (2015.02.06)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2륜 구동모드를 선택하거나 4륜 구동모드를 선택하여 구동모드의 전환시 모터의 과다 구동을 제한하는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은 동력전환수단을 동작시켜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 중 어느 하나의 구동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 액추에이터에 설치되고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된 시점을 검출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감지수단; 및 차량 주행정보를 입력받아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를 선택하여 해당 구동모드로 전환되도록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고, 감지수단으로부터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된 신호 입력시 기저장된 역구동값으로 액추에이터가 역방향을 향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4륜 구동모드로 선택시 동력전환수단이 4륜 구동모드를 선택하도록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고, 감지수단이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된 것을 검출시 액추에이터가 기저장된 4륜 역구동값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의 4륜 역구동값은 기설정된 듀티값 및 구동시간으로 액추에이터가 2륜 구동모드 방향을 향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는 2륜 구동모드로 선택시 동력전환수단이 2륜 구동모드를 선택하도록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고, 감지수단이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2륜 구동모드로 전환된 것을 검출시 액추에이터가 기저장된 2륜 역구동값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의 2륜 역구동값은 기설정된 듀티값 및 구동시간으로 액추에이터가 4륜 구동모드 방향을 향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는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감지수단이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됨을 미감지시 추가구동값으로 액추에이터가 선택된 구동모드 방향을 향해 더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추에이터는 모터가 설치된 케이스; 모터에서 연장되고 모터 작동시 회전되는 스크류로드; 및 스크류로드에 나사 연결되어 스크류로드의 회전시 케이스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이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지수단은 액추에이터의 이동부재에 설치된 마그네틱부; 및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고 이동부재가 이동됨에 따라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시 이동된 마그네틱부를 감지하는 센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에 따르면, 2륜 구동모드를 선택하거나 4륜 구동모드를 선택하여 구동모드의 전환시 액추에이터의 과다 구동을 제한함으로써 동력전환수단의 끼임 현상 및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액추에이터 작동의 오류를 체크하여 오류를 보정함으로써 액추에이터의 제어 오차를 저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내지 6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6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환수단(100)을 동작시켜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 중 어느 하나의 구동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120); 액추에이터(120)에 설치되고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된 시점을 검출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감지수단(200); 및 차량 주행정보를 입력받아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를 선택하여 해당 구동모드로 전환되도록 액추에이터(120)를 제어하고, 감지수단(200)으로부터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된 신호 입력시 기저장된 역구동값으로 액추에이터(120)가 역방향을 향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액추에이터(120)는 모터가 될 수 있다.
일례로,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동력전환수단(100)은 엔진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10)과, 입력축(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출력축(20)이 구비되며, 입력축(10)과 출력축(20)은 기어(30) 연결된다. 여기서, 출력축(20)에는 입력축(10)의 동력을 출력축(20)에 전달되도록 하는 포크(42) 및 슬리브(44)가 구비되며, 액추에이터(120)의 동작에 의해 포크(42)및 슬리브(44)가 이동되어 입력축(10)과 출력축(20) 간의 기어(30)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120)가 미동작시 기어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2륜 구동모드가 수행되고 액추에이터(120)가 동작되어 기어 체결이 이루어지면 입력축(10)의 동력이 출력축(20)으로 전달되어 4륜 구동모드가 수행된다. 이러한 동력전환수단(100)은 이미 다양한 문헌들을 통해 공지된 기술이며, 본 발명의 설명시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동력전환수단(100)을 동작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120)의 제어에 대한 것으로, 액추에이터(120)의 작동량을 조절함으로써 과동작 및 제어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액추에이터(120)에는 감지수단(200)이 설치되어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된 시점을 검출한다. 여기서, 감지수단(200)은 홀 센서, 리니어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구동모드 전환을 위해 액추에이터(120)가 동작됨에 따른 위치 이동을 감지하여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된 시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는 제어기(300)로 송출한다.
한편, 제어기(300)는 주행정보를 입력받아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를 선택하여 액추에이터(120)를 제어하도록 한다. 여기서, 주행정보라 함은 차량의 주행속도가 될 수 있으며, 저속 구간에서는 2륜 구동모드로 전환되도록 하고 고속 구간에서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되도록 하여 차량의 정숙성과 주행 성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4륜 구동 차량에 있어서,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를 결정시 주행속도뿐만 아니라, 차량 선회, 주변 환경에 따라서도 다양하게 제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기(300)는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시 감지수단(200)을 통해 2륜 구동모드 또는 4룬 구동모드로 전환된 시점을 입력받고, 특정 구동모드로 전환시 액추에이터(120)가 역구동값으로 역방향을 향해 동작되도록 제어하도록 한다. 즉, 액추에이터(120)는 특정 구동모드 선택시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동력전환수단(100)을 동작시키는데,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는 신속히 이루어져야 하는바, 액추에이터(120)의 작동시 관성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동력전환수단(100)을 동작시켜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을 완료하더라도, 관성에 의해 동력전환수단(100)이 과동작되어 부품 간의 손상을 초래하는바, 제어기(300)는 특정 구동모드로 전환된 시점에서 액추에이터(120)가 역구동값으로 역방향을 향해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관성에 의한 과도한 동작을 제한한다.
이로 인해, 특정 구동모드로 전환된 시점에서 동력전환수단(100)의 동작이 멈춤에 따라 부품들이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20)는 모터(124)가 설치된 케이스(122); 모터(124)에서 연장되고 모터(124) 작동시 회전되는 스크류로드(126); 및 스크류로드(126)에 나사 연결되어 스크류로드(126)의 회전시 케이스(122)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이동부재(128)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액추에이터(120)는 모터(124) 구동에 의해 스크류로드(126)의 회전시 이동부재(128)가 스크류로드(126)와 나사 연결됨에 따라 케이스(122)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부재(128)는 동력전환수단(100)의 슬리브(44) 및 포크(42) 측에 연결되어 이동부재(128)가 이동됨에 따라 슬리브(44) 및 포크(42)가 이동됨으로써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액추에이터(120)의 동작됨에 따른 이동부재(128)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여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된 시점을 검출하기 위해 감지수단(200)이 마련된다. 이러한 감지수단(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20)의 이동부재(128)에 설치된 마그네틱부(220); 및 케이스(122)에 고정 설치되고 이동부재(128)가 이동됨에 따라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시 이동된 마그네틱부(220)를 감지하는 센싱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감지수단(200)은 마그네틱부(220)와 마그네틱부(220)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싱부(240)로 구성되며, 마그네틱부(220)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센싱부(240)는 2륜 구동모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1센서(242)와 4륜 구동모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2센서(244)로 분류되고, 제1센서(242) 또는 제2센서(244)로부터 감지 신호 발생시 해당 신호를 제어기(300)에 전달하는 회로기판(24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액추에이터(120)가 작동됨에 따라 이동부재(128)의 이동시 함께 이동되는 마그네틱부(220)의 위치를 센싱부(240)를 통해 검출함으로써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의 전환된 시점을 검출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20)의 이동부재(128)가 이동됨에 따라 마그네틱부(220)가 제2센서(244)로 이동되면, 제2센서(244)는 검출 신호를 즉시 전달하여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됨을 알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20)의 이동부재(128)가 원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마그네틱부(220)가 제1센서(242)로 이동되면, 제1센서(242)는 검출 신호를 전달하여 2륜 구동모드로 전환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20)에 설치된 감지수단(200)을 통해 액추에이터(120)의 동작을 감지하여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파악하고, 검출된 정보에 따라 제어기(300)에 의해 액추에이터(120)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어기(300)는 4륜 구동모드로 선택시 동력전환수단(100)이 4륜 구동모드를 선택하도록 액추에이터(120)를 제어하고, 감지수단(200)이 액추에이터(120)의 동작에 의해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된 것을 검출시 액추에이터(120)가 기저장된 4륜 역구동값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기(300)의 4륜 역구동값은 기설정된 듀티값 및 구동시간으로 액추에이터(120)가 2륜 구동모드 방향을 향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즉, 제어기(300)는 주행정보에 따라 4륜 구동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액추에이터(120)가 작동되도록 하는데, 감지수단(200)을 통해 액추에이터(120)가 동작되어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된 시점이 검출되면 액추에이터(120)가 반대방향인 2륜 구동모드 방향을 향해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액추에이터(120) 작동에 따른 관성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20)는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신속한 전환을 수행해야 함에 따라 빠르게 구동되는데, 2륜 구동모드에서 4륜 구동모드로 전환시 액추에이터(120)의 이동부재(128)가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되는 위치에 도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관성에 의해 과동작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기(300)는 구동모드의 전환시 액추에이터(120)를 제어하되 감지수단(200)으로부터 액추에이터(120)의 동작에 의해 4륜 구동모드로 전환 시점을 입력받는 즉시 액추에이터(120)가 현재 동작방향의 반대방향인 2륜 구동모드 방향을 향해 순간적으로 동작되도록 하여 액추에이터(120)의 관성이 제거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기(300)는 액추에이터(120)가 기저장된 4륜 역구동값으로 동작되도록 하는데, 4륜 역구동값은 액추에이터(120)의 모터(124) 사양을 고려하여 실험을 통해 미리 결정된 것으로, 모터(124)에 인가되는 듀티값 및 모터(124)가 작동되는 구동시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300)의 제어에 의해 2륜 구동모드에서 4륜 구동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액추에이터(120) 작동시 발생되는 관성이 제거됨으로써 액추에이터(120)의 이동부재(128)가 4륜 구동모드에 따른 정위치로 위치되어 끼임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제어기(300)는 2륜 구동모드로 선택시 동력전환수단(100)이 2륜 구동모드를 선택하도록 액추에이터(120)를 제어하고, 감지수단(200)이 액추에이터(120)의 동작에 의해 2륜 구동모드로 전환된 것을 검출시 액추에이터(120)가 기저장된 2륜 역구동값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기(300)의 2륜 역구동값은 기설정된 듀티값 및 구동시간으로 액추에이터(120)가 4륜 구동모드 방향을 향해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기(300)는 2륜 구동모드로 전환시 액추에이터(120)를 제어하되 감지수단(200)으로부터 액추에이터(120)의 동작에 의해 2륜 구동모드로 전환 시점을 입력받는 즉시 액추에이터(120)가 현재 동작방향의 반대방향인 4륜 구동모드 방향을 향해 순간적으로 동작되도록 하여 액추에이터(120)의 관성이 제거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기(300)는 액추에이터(120)가 기저장된 2륜 역구동값으로 동작되도록 하는데, 2륜 역구동값은 액추에이터(120)의 모터(124) 사양을 고려하여 실험을 통해 미리 결정된 것으로, 모터(124)에 인가되는 듀티값 및 모터(124)가 작동되는 구동시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300)의 제어에 의해 4륜 구동모드에서 2륜 구동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액추에이터(120) 작동시 발생되는 관성이 제거됨으로써 액추에이터(120)의 이동부재(128)가 2륜 구동모드에 따른 정위치로 위치되어 끼임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제어기(300)는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감지수단(200)이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됨을 미감지시 추가구동값으로 액추에이터(120)가 선택된 구동모드 방향을 향해 더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특정 구동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제어기(300)가 해당 구동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액추에이터(120)를 제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감지수단(200)에서 해당 구동모드로 전환된 것이 감지되지 않았다 함은 구동모드가 올바르게 전환되지 않은 것으로 인지하여 추가구동값으로 액추에이터(120)가 더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2륜 구동모드에서 4륜 구동모드로 전환시 액추에이터(120)의 이동부재(128)가 충분히 이동하지 못하여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되지 못할 경우, 이를 감지수단(200)이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기(300)가 기저장된 추가구동값으로 액추에이터(120)가 더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액추에이터(120)의 이동부재(128)가 4륜 구동모드에 따른 정위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기(300)에 기저장된 추가구동값은 실험을 통해 미리 결정된 액추에이터(120) 모터(124) 작동에 따른 듀티값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에 따르면, 2륜 구동모드를 선택하거나 4륜 구동모드를 선택하여 구동모드의 전환시 액추에이터(120)가 관성에 의해 과다하게 구동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동력전환수단(100)의 끼임 현상 및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액추에이터(120) 작동의 오류를 체크하여 오류를 보정함으로써 액추에이터(120)의 제어 오차를 저감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동력전환수단 120:액추에이터
122:케이스 124:모터
126:스크류로드 128:이동부재
200:감지수단 220:마그네틱부
240:센싱부 300:제어기

Claims (8)

  1. 동력전환수단(100)을 동작시켜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 중 어느 하나의 구동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120);
    액추에이터(120)에 설치되고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된 시점을 검출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감지수단(200); 및
    차량 주행정보를 입력받아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를 선택하여 해당 구동모드로 전환되도록 액추에이터(120)를 제어하고, 감지수단(200)으로부터 액추에이터(120) 동작에 의해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됨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으며,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된 신호 입력시 액추에이터(120)가 기저장된 4륜 역구동값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2륜 구동모드로 전환된 신호 입력시 액추에이터(120)가 기저장된 2륜 역구동값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300);를 포함하는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기(300)의 4륜 역구동값은 기설정된 듀티값 및 구동시간으로 액추에이터(120)가 2륜 구동모드 방향을 향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기(300)의 2륜 역구동값은 기설정된 듀티값 및 구동시간으로 액추에이터(120)가 4륜 구동모드 방향을 향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기(300)는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감지수단(200)이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됨을 미감지시 추가구동값으로 액추에이터(120)가 선택된 구동모드 방향을 향해 더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액추에이터(120)는 모터(124)가 설치된 케이스(122);
    모터(124)에서 연장되고 모터(122) 작동시 회전되는 스크류로드(126); 및
    스크류로드(126)에 나사 연결되어 스크류로드(126)의 회전시 케이스(122)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이동부재(1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감지수단(200)은 액추에이터(120)의 이동부재(128)에 설치된 마그네틱부(220); 및
    케이스(122)에 고정 설치되고 이동부재(128)가 이동됨에 따라 2륜 구동모드 또는 4륜 구동모드로 전환시 이동된 마그네틱부(220)를 감지하는 센싱부(2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
KR1020160094047A 2016-07-25 2016-07-25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 KR101796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047A KR101796253B1 (ko) 2016-07-25 2016-07-25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047A KR101796253B1 (ko) 2016-07-25 2016-07-25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253B1 true KR101796253B1 (ko) 2017-11-13

Family

ID=6038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047A KR101796253B1 (ko) 2016-07-25 2016-07-25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2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702B1 (ko) * 2020-02-18 2021-05-14 현대위아(주) 사륜구동 차량용 디스커넥터장치의 제어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6958A (ja) * 2003-03-03 2004-09-24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車両の駆動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6958A (ja) * 2003-03-03 2004-09-24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車両の駆動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702B1 (ko) * 2020-02-18 2021-05-14 현대위아(주) 사륜구동 차량용 디스커넥터장치의 제어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2582B1 (ja) シフトレンジ切り替え装置
KR101730029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CN108331917B (zh) 车辆的换档控制装置
KR102008929B1 (ko) 전동식 변속 레버 시스템의 모터 제어 방법
JP4010408B2 (ja) 産業用車両の走行制御装置
US8862303B2 (en) Industrial vehicle
SE533648C2 (sv) Arbetsfordon
CN107002862B (zh) 包括自动变速器和可手动操纵的换挡元件的车辆
WO2019098313A1 (ja) シフトレンジ切替システム
KR101796253B1 (ko)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
JP2006290241A (ja) 四輪駆動車
US9841100B2 (en) Shift position switching controller
KR100761634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중립상태 감지장치
WO2017145829A1 (ja) 車輌制御システム
JP4785888B2 (ja) 変速機の制御システム
US6544144B2 (en) Motor vehicle having a transmission controlled by an electronic transmission unit
KR20150044135A (ko) 싱크로 타입의 전기식 시프트 트랜스퍼 케이스의 변속충격 방지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1860868B1 (ko) 차량의 파킹 및 디스커넥팅 장치
JP4616698B2 (ja) エンジンカー用送信機
JP4848914B2 (ja) トルク伝達機構の制御装置、制御方法、その制御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220094814A (ko) 차량의 구동 상태 전환 장치
JP6038683B2 (ja) 自動変速機付き車両
KR20180012671A (ko) 스크류 타입 4륜 구동 전력 절환 장치 및 방법
JP2017119443A (ja) 切替制御装置
KR20050101703A (ko) 수동변속차량의 후진 오조작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