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517B1 -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월경전 증후군 완화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월경전 증후군 완화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517B1
KR102185517B1 KR1020190037069A KR20190037069A KR102185517B1 KR 102185517 B1 KR102185517 B1 KR 102185517B1 KR 1020190037069 A KR1020190037069 A KR 1020190037069A KR 20190037069 A KR20190037069 A KR 20190037069A KR 102185517 B1 KR102185517 B1 KR 102185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sesame
sesame oil
syndrome
improving
premenstrual syndr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780A (ko
Inventor
박충무
윤현서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7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517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월경전 증후군 완화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은 흑임자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하여 건조된 흑임자를 열처리 하는 열처리 단계; 상기 열처리된 흑임자를 압착하여 흑임자 오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월경전 증후군 완화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LACK TEA OIL AND A COMPOSITION FOR ALLEVIATING MENSTRUAL SYNDROME OR IMPROVING MENOPAUSAL SYNDROM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월경전 증후군 완화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월경전 증후군을 완화시키고, 갱년기 특히 여성 갱년기 증후군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월경전 증후군 완화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학과 문명의 발달로 점차 인간의 평균 수명이 연장되어 노년층 인구의 증가와 함께 중년이후의 삶이 길어지고 있고 실질적으로 현대 여성의 삶 중에서 1/3을 폐경전후로 오는 갱년기로 보내게 되므로 이 시기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갱년기는 난소기능의 전반적이고 점진적인 감소가 일어나 생리적 기능 및 성기능이 감소 내지 소실되는 과도기를 말하며, 갱년기의 한 과정으로 난소기능이 정지된 후에 일어나는 생리의 영구적인 정지인 폐경(menopause)이 오게 된다. 폐경이 오게 되면 에스트로겐 생성의 감소, 난포자극호르몬(folliclular stimulating hormone, FSH) 및 황체호르몬(luteininzing hormone, LH)의 상승 등 호르몬의 변화에 따른 여러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호르몬 변화에 따른 질환을 갱년기 질환(climacteric disorder), 폐경기 질환(postmenopausal syndrome) 또는 폐경기 증후군이라고도 불리며, 40대 내지 50대 여성에서 주로 나타난다. 즉, 갱년기 질환은 난소의 노화로 인한 에스트로겐(여성호르몬)의 분비 감소에 기인하며 폐경을 전후로 약 2년 내지 10년에 걸쳐 나타난다.
갱년기는 내분비 증후군의 일종으로 분리되며 난소기능의 전반적이고 점진적인 감소가 일어나 생리적 기능 및 성기능이 감소 내지 소실되는 과도기를 말하며, 갱년기질환의 경우 주로 다섯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i) 혈관성 변화에 의한 증상, ii) 근골격계 변화에 의한 증상, iii) 비뇨생식기 변화에 의한 증상, iv) 뇌신경계 변화에 의한 증상 및 v) 일반적 변화에 의한 증상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혈관성 변화에 의한 증상은 주로 안면홍조, 빈맥, 발한 또는 두통 등이 있으며, 상기 근골격계 변화에 의한 증상은 근육통, 관절통 또는 요통 등이 있고, 상기 비뇨생식기 변화에 의한 증상은 빈뇨 또는 요실금 등이 있으며, 상기 뇌신경계 변화에 의한 증상은 기억력 감퇴, 우울증, 집중력 감퇴 및 현기증 등이 있으며, 상기 일반적 변화에 의한 증상은 시력감퇴 또는 는 피부 및 모발의 변화 등이 있다
즉, 여성의 갱년기란 내분비 증후군의 일종으로 난소 기능의 전반적이고 점진적인 노화로 인한 여성호르몬, 즉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해 생리적 기능 및 성기능이 감소 내지 소실되는 과도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갱년기의 증상으로는 안면홍조, 빈맥, 발한 또는 두통과 같은 혈관성 변화에 의한 증상과 근육통, 관절통 및 요통과 같은 근골격계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다. 또한, 빈뇨 또는 요실금과 같은 비뇨생식기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고, 기억력 감퇴, 우울증, 집중력 감퇴 및 현기증과 같은 뇌신경계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으며, 이 외에도 시력감퇴 및 피부와 모발이 변화되는 증상들이 발생되며, 호르몬 변화로 인한 골다공증이나 심혈관계 질환 등 여성의 건강에 치명적인 질환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중년 여성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및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갱년기 증후군을 개선할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었으며, 이러한 갱년기 증후군의 개선을 위해 호르몬 대체요법 및 비스테로이드계 제제 등의 약물들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약물의 경우 대부분이 두통 및 체중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에스트로겐 대체요법의 경우에도 인위적으로 체내에 호르몬을 투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거부반응과 함께 자궁출혈, 뇌졸중, 심장발작, 유방암 및 자궁암 등의 발생위험이 증가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 때문에 식품이나 첨가물의 형태로 섭취하는 자연적인 방법으로 에스트로겐 요법을 대체하고자 하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갱년기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갱년기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여성 호르몬 변화에 의한 갱년기 증후군 외에도 이러한 호르몬 변화는 월경전 증후군을 증가시키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월경전 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인 생리통은 여성에게서 월경기간 혹은 전후에 나타나는 하복부 통증 또는 요통을 말한다. 이와 함께 복부 팽만, 설사, 변비 등이 부수적으로 나타난다. 생리통은 가임 여성의 약 50%에서 나타나는 아주 흔한 부인과 질환이다.
생리통의 원인에 관하여는 여러 이론들이 있는데 그 중 가장 유력한 이론은 생리 중 떨어져 나오는 자궁내막세포에서 통증유발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이라는 물질이 분비되는데, 이 물질이 생리통의 발생 기전에서 제일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 생각되고 있다. 이 물질은 자궁 수축을 유발하여 떨어져 나온 자궁내막조직을 자궁 밖으로 배출하도록 하는데, 이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조직에 산소가 부족하게 되어 쥐어짜는 양상의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증상의 경감을 위해서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등을 사용하여 통증을 완화하는 방법이 있는데, 아세트아미노펜의 경우, 권장량 이상 복용시 간 또는 신장 손상의 부작용을 일으키며, 다른 약물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새로운 안전한 천연요법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 다른 방법은 황체형성 단계에서 프로게스테론을 투여하거나 멜라토닌 세로토닌과 같은 호르몬요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직접투여하는 그 안전성을 확신할 수 없고 단가도 높아 상시 사용할 수 없다.
한편 여성의 생리현상에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아로마 제품은 피부에 직접도포할때 안전성과 원하는 만큼의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구성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에 적절한 함유량은 안전성, 효과 그리고 오랫동안 향을 발산할 수 있는 지속성을 가져야 한다.
대한민국 특허 KR 10-2007-0050614 A에서 개시된 사자발쑥정유를 이용한 발명에서는 사자발쑥정유자체의 취가 있어 오히려 다른 성분이 이를 마스킹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KR 10-2007-0050614 A KR 10-2017-0041078 A
본 발명의 목적은 여성 갱년기 증후군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지는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월경전 증후군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흑임자 오일에 대한 제조공정을 개선하여 향미와 식감을 높여 우수한 기호성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여성의 월경전 증후군을 완화하고, 갱년기 여성의 갱년기 증후군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는 월경전 증후군 완화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월경전 증후군 완화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월경전 증후군 완화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은 흑임자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하여 건조된 흑임자를 열처리 하는 열처리 단계; 상기 열처리된 흑임자를 압착하여 흑임자 오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은 상기 추출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흑임자 오일을 여과하여 정제하는 여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은 상기 여과단계 이전에 상기 추출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흑임자 오일에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첨가하는 정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은 상기 건조단계 이전에, 흑임자를 염화칼슘, 탄산칼슘, 염화나트륨, 자일나아제, 소르비톨, 만니톨, 칼락토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처리 조성물과 혼합하여 방치하는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은 상기 전처리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흑임자 오일은 상기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월경전 증후군 완화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경전 증후군 완화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은 흑임자(黑荏子)를 건조하는 건조단계(S1); 상기 건조단계를 통하여 건조된 흑임자를 열처리 하는 열처리 단계(S2); 상기 열처리된 흑임자를 압착하여 흑임자 오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흑임자(黑荏子)는 참깨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의 씨앗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갱년기란, 고전적으로 여성의 폐경기를 일컫는 용어로, 노화로 인해 성선(난소)의 기능이 저하된 것을 말하며, 좁은 의미로는 여성 갱년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여성 갱년기 증후군이란 내분비 증후군의 일종으로 난소 기능의 전반적이고 점진적인 감소가 일어나 생리적 기능 및 성기능이 감소 내지 소실되는 과도기를 말하며, 갱년기의 한 과정으로 난소 기능의 정지 후에 일어나는 생리의 영구적인 정지인 폐경이 오게 된다. 폐경기에는 에스트로겐 생성의 감소, 난포자극호르 및 황체화호르몬의 상승 등 호르몬의 변화에 따라 급만성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즉, 초기증상으로 열성홍조, 야간 발한 등의 혈관 운동성 증상과 불안감, 집중력 감퇴, 우울증 등의 심리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폐경 수년 내에 나타나는 비뇨생식계 및 표피증상이, 폐경 수년 후에는 골다공증, 심장혈관 및 뇌혈관 등의 질환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월경전 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PMS)은 월경통(Dysmenorrhea)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임기 여성에서 발생하는 신체적, 정신적 증상 및 통증을 의미한다.
월경전 증후군은 월경 주기 중, 월경 1주일 정도 전인 황체기 후반기에 체내 프로게스테론의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체내 엔도르핀 농도가 감소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월경전 증후군의 통증 강도 및 지속시간은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나지만, 가임기 여성의 10 내지 15%가 일상생활을 하기 힘들 정도의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월경통이 심한 경우, 심한 복통과 함께 오심, 구토, 설사, 두통, 어지러움 등과 함께, 통증에 의한 스트레스 및 우울증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직장 및 학교 생활 등의 사회활동에 장애를 줄 수 있어 이를 예방, 완화 및 치료하는 것은 여성의 정상적인 활동 및 생활을 위하여 아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월경통은 가임 여성에게 흔히 나타나는 부인과적 증상으로 골반 내 특별한 징후 없이 월경 시 주기적인 통증을 보이는 1차성 월경통과 골반 내 병리적 변화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2차성 월경통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그리고 월경전 증후군 또는 월경통은 가임기의 여성에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특별한 증상이 없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1차성 월경통과 골반 내의 병리적 변화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2차성 월경통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S1)는 흑임자를 건조하여 수분함량을 일정 범위 이하가 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건조단계(S1) 적외선 건조 방식으로 건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외선 건조 방식이란 적외선을 조사하여 대상물(피건조물)의 흡수열에 의해 건조시키는 방식을 말한다. 일반적인 열풍건조 등에 의하는 경우 수분의 증발과 함께 흑임자에 포함된 월경전 증후군 개선 및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다량으로 손실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 적외선 건조에 의하는 경우 흑임자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의 제거 용이하기 때문에 흑임자에 포함된 월경전 증후군 개선 및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건조과정을 진행하고, 상기 유효성분이 흑임자 오일에 잔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적외선 건조방식에 의하는 경우 월경전 증후군 개선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 효과를 내는 유효성분이 다량으로 포함된 흑임자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단계(S2)는 상기 건조단계(S1) 후 흑임자에 열처리를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건조단계에서 높은 온도 및 시간으로 열처리를 한번에 진행하기 되면 흑임자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파괴가 일어나게 된다. 특히 월경전 증후군 개선 및 갱년기 증후군에 대하여 개선효과를 가지는 성분이 상당부분 파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흑임자 제조방법은 건조단계(S1) 거친 흑임자를 다시 열처리 단계(S2)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오일을 추출하기 전에 흑임자에 포함된 수분 함량을 일정한 범위로 낮추면서도 흑임자에 포함된 월경전 증후군 개선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손실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흑임자 오일의 월경전 증후군 완화 및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개선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처리 단계(S2)는 적외선 건조 방식으로 열처리가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외선 건조방식에 의하는 경우 월경전 증후군 완화 및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시킴으로서 상기 흑임자 오일의 월경전 증후군 개선 및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 및 열처리 단계의 온도 및 시간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선택하여 결정하는 범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처리 단계의 처리온도는 상기 건조단계 보다 높은 온도로 처리되는 것이고, 상기 열처리 단계의 열처리 시간은 상기 건조단계의 건조 시간 보다 짧은 시간으로 열처리 되는 것일 수 있다.
위와 같이 온도 및 시간을 조절하는 경우 2단계의 건조단계 및 열처리에 의하는 과정에서 흑임자의 월경전 증후군 개선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의 유효성분을 높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풍미와 향미를 가지는 흑임자 오일을 제공하여 보다 우수한 기호성을 가진 상품으로 널리 보급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추출단계(S3)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오일 추출방법 또는 기타 착유법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저온방식으로 오일 추출단계를 진행하는 것이 생기통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효과를 가지는 유효성분 수득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월경전 증후군 완화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은 상기 추출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흑임자 오일을 여과하여 정제하는 여과단계(S4)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여과단계(S4)는 흑임자 오일의 오일 추출단계(S4)에서 흑임자 오일과 함께 수득되는 미세한 흑임자 찌꺼기 제거하여 흑임자 오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흑임자 찌꺼기를 제거하여 상기 흑임자 오일의 풍미를 높이고, 찌꺼기에 의한 가공과정에서의 탄화 문제 및 향미와 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여과단계(S4)에서 사용하는 여과방법은 여과포, 필터, 매쉬망 등을 사용하여 여과하는 것일 수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방법, 횟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월경전 증후군 개선 또는 갱년기 증후군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은 상기 여과단계 이전에, 상기 추출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흑임자 오일에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첨가하는 정제단계(S3.5)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정제단계에 의하는 경우 흑임자 오일에 포함된 흑임자 찌꺼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서 흑임자 오일에 포함된 찌꺼기에 의한 탄화를 방지하고, 오일의 산패를 늦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흑임자 오일의 풍미와 향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흑임자 오일은 상기 흑임자의 착유과정에서 흑임자 찌꺼기가 오일 내에 잔류하게 된다. 상기 찌꺼기는 흑임자 오일보다 비중이 낮은 것은 오일 위로 뜨고, 비중이 높은 것은 오일 아래 쪽에 가라앉는다. 또한 오일과 비중이 유사한 것은 오일 중간에 분산되어 분포되게 된다.
상기 흑임자 찌꺼기는 흑임자 오일에 열을 가하는 경우 탄화되기 때문에 흑임자 오일의 풍미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고 흑임자 오일 자체의 산패를 촉진시키며, 흑임자 오일의 풍미와 향미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흑임자 오일에 포함된 찌꺼기가 적을수록 고급 오일로 취급된다. 이에 흑임자 오일에 포함된 흑임자 찌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찌꺼기는 그 비중이 흑임자 오일보다 높은 것, 낮은 것과 비슷한 것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필터 공정 외에 상기 찌꺼기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흑임자 찌꺼기의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필터 공정에 의하는 경우에도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정제단계(S3.5)에서 콜로이달 실리카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 위와 같은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콜로이달 실리카를 상기 흑임자 오일에 혼합하는 경우 상기 흑임자 찌꺼기를 흡착하여 흑임자 오일 바닥으로 가라앉게 된다.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상기 첨가제가 처리된 흑임자 오일의 상등부 액을 채취함으로서 흑임자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콜로이달 실리카는 평균입경이 10 내지 100nm 이고 SiO2 함량이 25 내지 40%인 것이고, 흑임자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00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콜로이달 실리카가 상기 물성 범위에 의하는 경우 흡착효율이 가장 우수할 수 있다. 또한 흑임자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콜로이달 실리카가 0.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흡착에 의한 찌꺼기 제거의 정제효과가 나지 않는 문제가 있고, 0.00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콜로이달 실리카의 양이 상대적으로 증대되어 찌꺼기 제거 층이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흑임자 오일 자체의 품질과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월경전 증후군 완화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 이전에, 흑임자를 염화칼슘, 탄산칼슘, 염화나트륨, 자일나아제, 소르비톨, 만니톨, 칼락토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처리 조성물과 혼합하여 방치하는 전처리 단계(S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처리 단계(S0)에 의하는 경우 건조단계(S1) 및 열처리 단계(S2)에서 월경전 증후군 완화 및 갱년기 증후군을 개선하는 활성을 가진 유효성분이 손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월경전 증후군 완화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물 추출물은 루타바가(Brassica napobrassica) 추출물, 파스닙(Pastinaca sativa) 추출물 및 감나무 잎 추출물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흑임자에 포함된 월경전 증후군 개선 및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개선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높여 흑임자 오일에 포함되게 할 뿐만 아니라 흑임자 오일의 향미와 풍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각 식물의 열수추출물이 동결건조 된 것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전처리용 조성물을 루타바가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루타바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파스닙 추출물 30 내지 60 중량부 및 상기 감나무 잎 추출물 100 내지 300 중량부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처리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식물 추출물 0.1 내지 5 중량부, 염화칼슘, 탄산칼슘, 염화나트륨, 자일나아제, 소르비톨, 만니톨, 칼락토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0.01 내지 1 중량부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처리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루타바가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루타바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파스닙 추출물 30 내지 60 중량부 및 상기 감나무 잎 추출물 100 내지 300 중량부가 혼합된 상기 식물 추출물 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고, 염화나트륨 및 만니톨의 혼합물을 0.1 내지 0.5 중량부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따른 조성물과 흑임자를 혼합시키고 일정시간 방치시키는 전처리 단계(S0)를 진행한 뒤에 건조단계(S1) 및 열처리 단계(S2)를 진행하는 경우 열처리 과정에서 월경전 증후군 개선 및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의 손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그 활성이 증가되어 흑임자 오일의 월경전 증후군 완화시키고 갱년기 증후군을 개선하는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 단계를 진행하는 경우 흑임자 오일의 풍미와 향미가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흑임자 오일은 상기 월경전 증후군 개선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흑임자 오일은 흑임자에서 추출은 기름을 말하는 것으로 흑임자유로 표현하여도 동일한 의미가 된다. 상기 흑임자 오일은 식품 또는 기타 화장료 등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다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월경전 증후군 개선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흑임자 오일은 상기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월경전 증후군 완화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여성 갱년기 증후군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지는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월경전 증후군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흑임자 오일에 대한 제조공정을 개선하여 향미와 식감을 높여 우수한 기호성으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여성의 월경전 증후군을 완화하고, 갱년기 여성의 갱년기 증후군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는 월경전 증후군 완화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월경전 증후군 완화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월경전 증후군 완화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육상 미로 실험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수중 미로 실험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성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실험 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성 월경전 증후군 완화에 대한 실험 결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표기하는 S0은 전처리 단계, S1은 건조단계, S2는 열처리 단계, S3는 추출단계, S3.5는 정제단계, S4는 여과단계를 의미하는 것이다.
[제조예 1: 흑임자 오일의 제조]
각 공정에 따른 효과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은 단계에 따라 흑임자 오일을 제조하였다.
T1 T2 T3 T4 T5 T6
S0 - - - S0A S0B S0B
S1 S1A S1B S1B S1B S1B S1B
S2 S2A S2B S2B S2B S2B S2B
S3 S3 S3 S3 S3 S3 S3
S3.5 - - S3.5 - - S3.5
S4 S4 S4 S4 S4 S4 S4
- S0A: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나트륨 0.3 중량부 혼합
- S0B: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나트륨 0.3 중량부 및 루타바가 추출물, 파스닙 추출물 및 감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2 중량부로 혼합
- S1A: 열풍건조
- S1B: 적외선 건조
- S2A: 가열판을 통한 열처리
- S2A: 적외선 열처리
- S3: 압착 추출
- S3.5: 콜로이달 실리카를 첨가한 흑임자 찌꺼기를 흡착하는 정제 진행
- S4: 여과포를 이용한 2중 여과
[실험예 1: 외관 평가]
상기 [표 1]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른 흑임자 오일을 동일한 용량과 크기의 공병에 담고 24 시간 지난 뒤 흑임자 오일에 잔류하는 흑임자 찌꺼기의 양과 오일의 색상을 유관으로 평가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나타내도록 하였다. 하기의 지수는 T1을 기준(기준 값: 5)으로 하여 그 숫자가 작을수록 흑임자 오일에 잔류하는 흑임자 찌꺼기가 없다는 것으로 그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또한 오일의 색상 역시 T1을 기준(기준 값: 5)으로 하여 그 지수가 작을수록 유관으로 보이는 투명도가 높은 것이므로 그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T1 T2 T3 T4 T5 T6
찌꺼기 잔류량 5 5 1 5 5 1
투명도 5 5 1 5 5 1
(단위: 지수)
상기의 [표 2]을 참조하면, 정제단계(S3.5)를 진행하는 경우 흑임자 찌꺼기가 상당 부분 제거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정제단계를 진행하는 경우 흑임자 찌꺼기의 함량이 매우 낮은 흑임자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흑임자 오일은 그 향미와 풍미가 높을 뿐만 아니라 산패 정도가 낮도 요리 과정에서 탄화문제가 낮기 때문에 사용범위를 넓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제단계를 진행하는 경우 기호도와 활용성이 더 높은 흑임자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향미 평가]
본 발명의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의 향미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된 T1 내지 T6의 향미를 비교 평가하였다. 10인의 시험자가 향미를 평가하여 T1(지수: 5)과 비교하여 그 기호성 정도를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하기의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향미가 우수한 것이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3]과 같다.
T1 T2 T3 T4 T5 T6
향미 5 7.2 7.4 7.5 7.8 7.6
(단위: 지수)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상기 T2 내지 T4와 같이 적외선 건조 및 적외선 열처리에 의하는 경우 흑임자 오일의 향미가 높아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T4 내지 T6와 같이 전처리 단계를 통하여 향미가 소폭 상승한 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적어도 상기 전처리 단계를 통하여 흑임자 오일의 향미가 저하되지 않으며 오히려 소폭으로 상승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흑임자에 대하여 적외선 건조단계 및 적외선 열처리를 진행하는 경우 보다 우수한 향미를 가지는 흑임자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보다 기호성 높은 흑임자 오일을 널리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실험예 3: 인지기능 향상 실험]
1. 일반 육상 미로 실험
일정한 크기로 제작된 미로의 통로를 마우스에게 학습시킨 뒤 해당 마우스에 대하여 4일 동안 식용유(Con)를 복용시킨 뒤 하루 3차례 동일한 미로를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T1 내지 T6를 마찬가지로 실험을 진행하여 미로를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3차례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값을 평균으로 계산하여 비교되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도 5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흑임자 오일에 의하는 경우 기억력 향상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특히 적외선 건조 및 적외선 열처리 단계를 진행한 경우 기억력 개선효과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흑임자의 건조 및 열처리 과정에서 파괴되는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효과의 유효성분에 대한 손실이 방지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T4의 경우 전처리 단계의 진행에 따른 기억력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T5 및 T6의 범위에 의하는 경우 즉, 일정한 범위에 따라 전처리가 진행되는 경우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의 활성이 증진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2. 수중미로 실험
스코폴라민(scopolamine)을 복강 주사하여 기억력과 학습능력을 손상시킨 흰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Con, T1, T2 및 T5에 따른 흑임자 오일에 따른 공간학습 능력을 평가하는 모리스 수중 미로 실험(Morris water maze test)을 진행하였다. 플랫폼(platform)을 찾아가는데 소요되는 시간(escape latency)을 평가하였다. 한편, 비교예로서 스코폴라민을 처리하지 않은 마우스 모델을 함께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도 6]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도 6]을 참조하면, 육상 미로 실험과 유사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T5에 의하는 경우 기억력 및 학습능력 증진효과가 높아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적외선 건조 및 적외선 열풍건조와 함께 전처리 조성물을 처리하는 경우 흑임자에 포함된 인지기능 및 기억력 증진 활성을 더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갱년기 증후군 개선 실험]
여성 갱년기 증후군 증상을 보이는 연령 50대의 여성 5인씩 그룹을 구성하여 각 그룹을 대상으로 위 T1 내지 T6를 1일 2회씩 6주간 복용하도록 하고, 여성 갱년기의 주요 증상인 안면홍조, 피도로, 피부 건조도, 우울함의 항목으로 5점 척도로 평가하여 여성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개선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평가 값은 그 정도를 비교평가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용하기 전의 값이 1이 되도록 각 평가 값을 합산하여 복용전 값으로 나눈 뒤 이를 1 내지 10의 지수로 나타내도록 수치를 평가하였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여성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그 결과를 하기의 [도 7]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도 7을 참조하면, T1 내지 T6에 의하는 경우 전반적인 완화 효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T5 및 T6에 의하는 경우 상당한 개선효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인지능력의 개선과 함께 중년 여성의 여성 갱년기 증후군을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식품 조성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기호성이 높기 때문에 다양한 식품에 첨가하여 사용하거나 기타 여러 제형을 제공하여 지속적인 복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험예 5: 월경전 증후군 완화 효과 실험]
월경통을 겪는 가임기 여성 5인씩 그룹을 구성하여 각 그룹을 대상으로 위 T1 내지 T6를 1일 2회씩 8주간 복용하도록 하고, 복용 전 후의 월경통 증상을 비교하여 평가하는 설문을 받도록 하였다.
복용전 값을 5로 하고,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여 월경통이 낮아질 수록 낮은 수치를 기재하도록 하였다. 이를 평균하여 월경전 증후군에 대한 완화 효과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도 8]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도 8]을 참조하면, T1 내지 T6에 의하는 경우 월경통이 감소하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T5 및 T6의 경우에는 소폭으로 보다 우수한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우수한 기호성을 나타내는 식품 조성물로 제공하여 보다 지속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공되어 월경 증후군을 완화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흑임자를 전처리 조성물과 혼합하여 방치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전처리된 흑임자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하여 건조된 흑임자를 열처리 하는 열처리 단계;
    상기 열처리된 흑임자를 압착하여 흑임자 오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 조성물은 염화칼슘, 탄산칼슘, 염화나트륨, 자일나아제, 소르비톨, 만니톨, 칼락토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전처리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식물 추출물은 루타바가(Brassica napobrassica) 추출물, 파스닙(Pastinaca sativa) 추출물 및 감나무 잎 추출물인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흑임자 오일을 여과하여 정제하는 여과단계를 더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단계 이전에
    상기 추출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흑임자 오일에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첨가하는 정제단계를 더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인
    흑임자 오일.
  7.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완화용 식품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월경전 증후군 및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임자 오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90037069A 2019-03-29 2019-03-29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월경전 증후군 완화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KR102185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069A KR102185517B1 (ko) 2019-03-29 2019-03-29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월경전 증후군 완화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069A KR102185517B1 (ko) 2019-03-29 2019-03-29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월경전 증후군 완화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780A KR20200114780A (ko) 2020-10-07
KR102185517B1 true KR102185517B1 (ko) 2020-12-02

Family

ID=72883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069A KR102185517B1 (ko) 2019-03-29 2019-03-29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월경전 증후군 완화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5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857B1 (ko) * 2021-03-09 2021-07-05 최순희 죽염 들기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4640A (zh) * 2016-07-29 2016-12-21 安徽华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黑芝麻女性保健粉末油
CN106266756A (zh) * 2015-06-05 2017-01-04 唐家林 一种缓解更年期综合症的中药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68B1 (ko) 2005-11-11 2007-11-28 주식회사 파인엠 사자발쑥 정유를 함유하는 여성용 아로마 오일 조성물
RU2010126167A (ru) * 2007-11-27 2012-01-10 Грейс Гмбх Унд Ко.Кг (De) Очистка жир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таких как масла
KR101744128B1 (ko) * 2015-08-13 2017-06-08 주식회사 쿠엔즈버킷 식물성 식용유 제조 방법
KR20170041078A (ko) 2015-10-06 2017-04-14 한국식품연구원 천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여성의 통증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6756A (zh) * 2015-06-05 2017-01-04 唐家林 一种缓解更年期综合症的中药组合物
CN106234640A (zh) * 2016-07-29 2016-12-21 安徽华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黑芝麻女性保健粉末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857B1 (ko) * 2021-03-09 2021-07-05 최순희 죽염 들기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780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540B1 (ko) 천연재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21153B1 (ko) 체중감량용 한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한약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266700A (zh) 一种沙棘组方袋泡型茶剂调配及制作方法
EP2262517A1 (en) Method of medicinal tobacco oil production
CN104667329A (zh) 一种藏香及其制备方法
JP2014522832A (ja) 発毛促進剤及び製造方法
KR102185517B1 (ko)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월경전 증후군 완화 또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CN105876011A (zh) 一种疏肝养生减肥混合茶及其制备方法
CN109364184A (zh) 一种改善睡眠的保健型记忆枕
KR20160013227A (ko) 녹용차 제조방법
CN104491499A (zh) 一种具有祛疤痕、痘印功效的美肤散及其制备方法
CN109331094A (zh) 一种适合孕妇用的祛斑组合物及其应用
CN105343865A (zh) 一种治疗神经性呕吐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102206166B1 (ko) 흑임자 전처리용 조성물로 전처리된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CN101219176A (zh) 外用睡眠液
DE112011104442T5 (de) Verfahren zur Zubereitung eines Nahrungsergänzungsmittels mit Schweinezehen oder Schweinekopf und Zanthoxylum piperitum sowie Zusammensetzung daraus
KR20180014983A (ko) 진생 베리를 이용한 경옥고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경옥고
CN105396095A (zh) 一种用于洗浴的中草药组合物
CN106074732A (zh) 一种治疗牛皮癣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101293732B1 (ko) 숙면을 돕는 술 제조 방법
CN105342923A (zh) 一种预防嘴唇干裂的唇膏及其制备方法
CN104435368A (zh) 一种防辐射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689283A (zh) 一种治疗脾虚湿蕴型黄褐斑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102183855B1 (ko) 흑임자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지기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KR102373353B1 (ko) 자운고 입욕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자운고 입욕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