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986B1 -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986B1
KR102184986B1 KR1020190022843A KR20190022843A KR102184986B1 KR 102184986 B1 KR102184986 B1 KR 102184986B1 KR 1020190022843 A KR1020190022843 A KR 1020190022843A KR 20190022843 A KR20190022843 A KR 20190022843A KR 102184986 B1 KR102184986 B1 KR 102184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rea
electronic map
target
displayed
se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1076A (ko
Inventor
시앙 리
신 왕
Original Assignee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41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그 중, 상기 방법은, 전자 지도의 제1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영역내에 제1 대상이 표시되어 있음-,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 영역을 조정하여, 제1 이미지 영역과 동일한 부분을 가지는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제2 이미지 영역에 근거하여 관련된 제2 대상을 검색하고, 제1 대상과 제2 대상의 동일한 부분을 선별해내며, 선별하여 보류한 목표 대상을 획득하는 단계,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여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목표 대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동작이 간단하고, 디스플레이 대상의 안정성을 구현하고, 관련 기술 중 이미지 영역이 조정된 후, 이미지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대상에 돌연 변화가 발생하여 사용자 시각이 불안정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대상이 점점 많아져 사용자의 시각적 혼잡을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Electronic Map}
본 발명은 전자 지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의 발전 및 전지구 위치 파악 시스템 GPS의 적용에 따라, 전자 지도는 갈수록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사람들은 전자 지도를 통하여 위치 추적, 네비게이션 및 주변 관심 장소 위치 검색 등 기능을 구현하여 사람들의 생활에 편리를 제공한다.
관련 기술에서, 전자 지도의 이미지 영역에 변화가 발생하면, 전자 지도에서 검색된 디스플레이 정보도 상응하게 변화된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한 가지 방식은 새로운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기존 정보를 교체하는 것으로서, 이런 방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정보 돌변의 시각적 불안정감이 생기게 한다. 다른 한 가지 방식은 새로운 정보와 기존 정보가 모두 전자 지도 위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것으로서, 이런 방식은 이미지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가 갈수록 많아지게 하여 정보가 혼잡해지는 문제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정 정도로 관련 기술의 기술적 과제 중 하나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이미지 영역이 제2 이미지 영역으로 조정된 후, 제2 이미지 영역과 관련된 제2 대상을 검색하여 획득하고, 제2 대상과 제1 대상의 동일 부분을 선별하여 목표 대상을 획득하여,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방법은 동작이 간단하여 조정된 후 이미지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대상에 돌연 변화가 발생하여 시각적 불안정성을 초래하는 일이 없고, 조정된 후의 이미지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대상이 점점 많아져 시각적 혼잡을 초래하는 일이 없으며, 디스플레이 대상의 안정성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컴퓨터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측면 실시예는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전자 지도의 제1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영역내에 제1 대상이 표시되어 있음-,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영역을 조정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영역과 동일한 부분을 가지는 상기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 영역에 근거하여 관련된 제2 대상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1 대상과 상기 제2 대상의 동일한 부분을 선별해내며, 선별하여 보류한 목표 대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상기 목표 대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측면 실시예는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제1 대상이 표시되어 있는 전자 지도의 제1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영역을 조정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영역과 동일한 부분을 가지는 상기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획득하는 조정 모듈,
상기 제2 이미지 영역에 근거하여 관련된 제2 대상을 검색하는 검색 모듈,
상기 제1 대상과 상기 제2 대상의 동일한 부분을 선별하여 보류한 목표 대상을 획득하는 선별 모듈, 및
상기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상기 목표 대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측면 실시예는 컴퓨터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기기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며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램이 실행될 경우 제1 측면에 따른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4 측면 실시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에 따른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5 측면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중의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제1 측면에 따른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은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대상이 표시되어 있는 전자 지도의 제1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 영역을 조정하여, 제1 이미지 영역과 동일한 부분을 가지는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획득하고, 제2 이미지 영역에 근거하여 관련된 제2 대상을 검색하고, 제1 대상과 제2 대상의 동일한 부분을 선별해내며, 선별하여 보류한 목표 대상을 획득하고,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여,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목표 대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은 동작이 간단하고, 조정 후 이미지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대상에 돌연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하여 시각적 안정성이 좋으며, 또한 조정 후의 이미지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대상이 점점 많아져 시각적 혼잡을 초래하는 일이 없으며 디스플레이 대상의 안정성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또는 추가적인 측면과 장점은 아래 도면을 결합하여 수행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명료해지고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의 표시된 이미지 영역의 개략도 중의 하나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의 표시된 이미지 영역의 개략도 중의 다른 하나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구현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컴퓨터 기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 나타냈으며,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는 시종 일관하게 동일 또는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진 소자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 제1 대상이 표시되어 있는 전자 지도의 제1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한다.
그 중, 전자 지도의 이미지 영역은 현재 전자 지도가 표시한 축척 및 컴퓨터 기기의 스크린 크기에 따라 결정되고, 서로 다른 이미지 영역은 전자 지도의 서로 다른 영역 범위를 디스플레이 하는 데 사용된다. 각 이미지 영역 내에서 검색어에 따라서 당해 이미지 영역에 디스플레이한 전자 지도 영역 범위 내에서 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검색하여 획득한 대상을 당해 이미지 영역과 관련된 대상으로 하여, 전자 지도의 대응되는 위치에 표기할 수 있다. 검색어가 장소이름일 경우, 검색어에 대응한 지리적 위치를 중심으로 대응하는 경위도 범위의 영역을 이미지 영역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영역은 검색어 'AA'에 의해 검색하여 획득한 것으로서, 동경 xx도-동경 yy도와 북위 cc도-북위 kk도 사이의 영역에 대응된다. 전자 지도 위에 서로 다른 이미지 영역을 표시할 수 있으며, 구분하기 편리하게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지도의 서로 다른 영역 범위를 나타낸 이미지 영역을 각각 제1 이미지 영역, 제2 이미지 영역, 제3 이미지 영역 등으로 표기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전자 지도의 이미지 영역은 관련 대상이 대응되어 있으며, 구분 및 이해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제1 이미지 영역 관련 대상을 제1 대상으로 부르고, 제2 이미지 영역 관련 대상을 제2 대상으로 부르며,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유추하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하는 바로는, 제1 대상은 검색어에 의해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획득한 검색어와 매칭되는 지도 요소이다. 예를 들어, 제1 대상은 주변 레스토랑, 쇼핑몰, 영화관 등과 같은 관심 장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지도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컴퓨터 기기에 설치한다. 컴퓨터 기기가 전자 지도의 어플리케이션을 부팅하여 컴퓨터 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전자 지도의 제1 이미지 영역이 표시한다. 가능한 구현 형태로서, 제1 이미지 영역은 현재 사용자 위치에 따라, 컴퓨터 기기에 설치된 전지구 위치 파악 시스템 GPS를 통하여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거나, 또는 컴퓨터 기기에 연결된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당해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제1 이미지 영역을 결정하여, 관련된 제1 대상을 제1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102: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 영역을 조정하여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획득한다.
그 중, 제2 이미지 영역은 제1 이미지 영역과 동일한 부분을 가진다. 그 중 동일한 부분은 제1 이미지 영역과 제2 이미지 영역이 지리적 위치에서 중첩되는 부분이 있음을 말한다. 따라서 제1 이미지 영역에서 검색하여 획득한 제1 대상과 제2 이미지 영역에서 검색하여 획득한 제2 대상 사이에 동일한 부분이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 영역을 조정한다.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형태로서, 사용자 동작은 표시된 제1 이미지 영역의 기초 상에서 사용자가 스크린 수동 슬라이딩을 통하여 전자 지도에 대해 이동 또는 확대/축소를 수행한다. 이동 거리 또는 확대/축소 비례에 따라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결정한다.
단계 103: 제2 이미지 영역에 근거하여 관련된 제2 대상을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제2 이미지 영역에 대응하는 지리적 범위에 근거하여, 당해 범위 내에서 검색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검색을 수행하여 관련된 제2 대상을 획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이미지 영역에서 수동으로 검색어를 입력하여 검색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제2 영역에 대해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어와 제1 이미지 영역의 검색어는 동일하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형태로서, 당해 검색어는 사용자가 제1 이미지 영역에서 표시할 때 수동으로 입력한 것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가능한 구현 형태로서, 사용자가 제1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때, 음성 수집 모듈을 통하여 음성을 입력하고, 음성 수집 모듈은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획득한다.
단계 104: 제1 대상과 제2 대상의 동일 부분을 선별해내며, 선별하여 보류한 목표 대상을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제1 대상과 제2 대상 중 동일한 부분을 선별 대상 데이터로 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형태로서, 제1 대상은 제1 이미지 영역 내에서 상세 모드 또는 축약 모드로 표시된다. 만약 선별 대상 데이터를 제1 이미지 영역에서 상세 모드로 표시하게 되면, 선별 대상 데이터를 보류하여 목표 대상으로 하고, 만약 선별 대상 데이터를 제 1이미지 영역에서 축약 모드로 표시하게 되면, 선별 대상 데이터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선별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형태로서, 가중치는 검색어와의 매칭 정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매칭 정도가 높을수록 가중치도 높으며 선별하여 남겨지는 목표 대상을 획득하게 된다. 제1 이미지 영역을 조정할 때, 만약 조정 범위가 크게 되면 제2 이미지 영역과 제1 영역 중의 동일한 부분이 적어진다. 제1 이미지 영역과 제2 이미지 영역 중의 동일한 부분을 선별하여 목표 대상을 획득하여, 제1 이미지 영역 중 가중치가 비교적 높은 부분의 제1 대상을 보류할 수 있어, 제2 이미지 영역에 표시된 목표 대상으로 하여금 제2 데이터에 완전히 커버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제1 대상과 제2 대상이 동시에 표시됨에 따른 데이터 혼잡도 피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시각적 안정감을 향상시킨다.
단계 105: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여,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목표 대상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만약 목표 대상이 제1 이미지 영역 내에서 상세 모드로 표시되면,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계속 상세 모드로 표시한다.
나아가, 만약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표시된 적어도 2개의 목표 대상의 표시 범위에 중첩이 존재하면, 적어도 2개의 목표 대상의 가중치에 따라 적어도 2개의 목표 대상 중의 하나를 상세 모드로 표시됨을 결정하고, 적어도 2개의 목표 대상 중의 나머지 대상을 축약 모드로 표시됨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은, 제1 대상이 표시되어 있는 전자 지도의 제1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 영역을 조정하며, 제1 이미지 영역과 동일한 부분을 가지는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획득하고, 제2 이미지 영역에 근거하여 관련된 제2 대상을 검색하고, 제1 대상과 제2 대상의 동일한 부분을 선별해내며, 선별하여 보류한 목표 대상을 획득하고,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여,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목표 대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방법은 동작이 간단하여 조정 후 이미지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대상에 돌연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하여 시각적 안정성이 좋으며, 조정 후의 이미지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대상이 점점 많아져 시각적 혼잡을 초래하는 일이 없으며, 디스플레이 대상의 안정성을 구현한다.
위 실시예에서는, 제1 대상과 제2 대상의 동일 부분을 선별하여 목표 대상을 획득하고, 제2 이미지 영역에서 목표 대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안정성을 구현하는 것을 분석한다. 그러나 실제 적용 시, 이미지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목표 대상의 개수는 일반적으로 문턱값 상한을 설정하므로, 선별하여 획득한 목표 대상의 개수는 문턱값보다 작을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참고 정보가 적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추가적으로 제1 대상과 제2 대상 중의 대이터을 선별할 필요가 있으며, 이 선별 과정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하나의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하나의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1: 전자 지도의 제1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지도의 표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의 표시된 이미지 영역의 개략도 중의 하나이다. 도 3a는 핫 스팟에 대해 검색을 수행하여 획득한 전자 지도의 제1 이미지 영역을 나타낸다. 제1 이미지 영역에 표시된 대상은 제1 대상으로서, 예를 들어, 이미지 중 '닛폰부도칸(
Figure 112019020379106-pat00001
)', '고쿄(
Figure 112019020379106-pat00002
)', '히비야 공원(
Figure 112019020379106-pat00003
)', '타케바시(
Figure 112019020379106-pat00004
)', '오테마치(
Figure 112019020379106-pat00005
)' 등이다. 제1 이미지 영역에서 표시한 제1 대상은 비교적 많다. 하나의 구현 가능한 구현 형태로서, 가중치에 따라 제1 대상에 대해 서로 다른 표시 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가중치는 검색어와의 매칭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가중치가 비교적 높은 제1 대상은 제1 이미지 영역 내에서 상세 모드로 표시될 수 있고, 가중치가 비교적 낮은 제1 대상은 축약 모드로 표시될 수 있다. 그 중, 상세 모드로는 예를 들어 도면 중의 '고쿄', '히비야 공원' 등이 이용한 물방울 형태이고, 축약 모드는 예를 들어 도면 중의 '타케바시', '오테마치'를 흐리게 표현한 형태이다.
단계 202: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 영역을 조정하여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획득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형태로서, 사용자에 의한 전자 지도에 디스플레이된 제1 이미지 영역을 이동시키는 동작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 영역을 이동시켜 조정하여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획득한다. 제2 이미지 영역에 대응하는 지리적 범위와 제1 이미지 영역에 대응하는 지리적 범위는 서로 다르지만, 제2 이미지 영역과 제1 이미지 영역은 동일한 부분을 가진다.
단계 203: 제2 이미지 영역에 근거하여 관련된 제2 대상을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제2 이미지 영역에 대응하는 지리적 범위에 따라, 당해 지리적 범위 내의 대응하는 핫 정보를 검색하여,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이미지 영역 관련 제2 대상을 검색하여 획득한다.
단계 204: 제1 대상과 제2 대상의 동일 부분을 선별해내며, 선별하여 보류한 목표 대상을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제1 이미지 영역과 제2 이미지 영역은 지리적 범위에서 동일한 부분을 가지므로, 제1 이미지 영역 관련 제1 대상과 제2 이미지 영역 관련 제2 대상도 동일한 부분을 가지며, 동일한 부분을 선별 대상 대상으로 하여 목표 대상 선별을 수행한다. 만약 선별 대상 데이터가 제1 이미지 영역에서 상세 모드로 표시되면, 선별 대상 데이터를 보류하여 목표 대상으로 하고, 만약 선별 대상 데이터가 제1 이미지 영역에서 축약 모드로 표시되면, 선별 대상 데이터의 가중치에 따라 선별을 수행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형태로서, 가중치는 검색어와의 매칭 정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매칭 정도가 높을수록 가중치도 높으며 가중치가 높은 것이 선별되고 보류하여 목표 대상으로 된다.
단계 205: 목표 대상의 개수가 문턱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며, 목표 대상 개수가 문턱값 이상일 경우 단계 208을 수행하고, 만약 목표 대상 개수가 문턱값보다 작으면 단계 206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2 이미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 목표 대상은 문턱값을 설정하여, 선별 획득한 목표 개수가 문턱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며, 만약 목표 대상 개수가 문턱값 이상일 경우 직접 단계 208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206을 수행한다.
단계 206: 제1 대상과 제2 대상의 동일 부분을 선별할 때 제외된 대상을 제2 대상 중 제1 대상과 서로 다른 부분과 병합한다.
구체적으로, 선별 획득한 목표 대상의 개수가 문턱값보다 적으면 계속하여 목표 대상을 선별할 필요가 있다. 제1 대상과 제2 대상의 동일 부분을 선별할 때 제외된 대상, 다시 말하면 단계 204에서 설명한 제1 이미지 영역에서 축약 모드로 표시한 선별 대상 대상과, 제2 대상 중 제1 대상과 서로 다른 부분을 병합하고, 병합하여 획득한 대상을 선별 대상 대상으로 한다.
단계 207: 병합하여 획득한 대상으로부터 목표 대상의 개수가 문턱값에 도달할 때까지 목표 대상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획득한 대상을 검색어와의 매칭 정도에 따라 정렬하여 병합하여 획득한 대상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획득한다. 병합하여 획득한 대상에 대응하는 가중치에 따라 가중치가 상대적으로 큰 대상을 선택하여 목표 대상으로 하되, 목표 대상의 개수가 문턱값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한다. 이로써 제2 이미지 영역에 표시되는 목표 대상의 개수를 증가시켜 사용자에게 더 많은 참고 정보를 제공한다.
단계 208: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여,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목표 대상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의 표시된 이미지 영역의 개략도 중의 다른 하나이다. 도 3b는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나타내고,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목표 대상을 표시한다.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에 표시한 '고쿄', '국회의사당(
Figure 112019020379106-pat00006
), '히비야 공원', 'NTV 오오토케(
Figure 112019020379106-pat00007
)', '토라야마(
Figure 112019020379106-pat00008
)', '하쿠샤쿠(
Figure 112019020379106-pat00009
)' 등은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표시한 목표 대상이며, 이미지 영역에서 조정이 발생한 후 이미지 영역에 표시된 대상의 전체 수량이 변하지 않은 상황에서 표시 대상의 안정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은 전자 지도의 제1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 영역을 조정한 후 제1 이미지 영역과 동일한 부분을 가지는 제2 이미지 영역을 획득하고, 자동 검색하여 제2 이미지 영역에 관한 제2 대상을 획득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수동 동작이 필요치 않고 동작이 더 간단하고 편리하다. 또한, 제1 대상과 제2 대상의 동일한 부분을 선별하여 가중치가 상대적으로 높은 대상을 보류하여 목표 대상을 획득한다. 목표 대상과 제2 이미지 영역에 표시할 대상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목표 대상의 개수가 문턱값보다 작을 경우, 제1 대상과 제2 대상의 동일한 부분을 선별할 때 제외된 대상을 제2 대상 중 제1 대상과 서로 다른 부분과 병합하고, 병합하여 획득한 데이터에 대해 재선별을 수행하되, 선별하여 획득한 목표 대상이 문턱값을 만족시킬 때까지 수행한다. 이로써, 표시 대상의 전체 개수가 변하지 않게 유지하는 상황에서 가중치가 높은 대상이 남겨질 수 있도록 하여, 표시 대상의 안정성을 구현한다.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41), 조정 모듈(42), 검색 모듈(43), 선별 모듈(44)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45)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41)은, 제1 대상이 표시되어 있는 전자 지도의 제1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
조정 모듈(42)은,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 영역을 조정하여, 제1 이미지 영역과 동일한 부분을 가지는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검색 모듈(43)은, 제2 이미지 영역에 근거하여 관련된 제2 대상을 검색하기 위한 것이다.
선별 모듈(44)은, 제1 대상과 제2 대상의 동일한 부분을 선별하며, 선별하여 보류한 목표 대상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듈(45)은,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여,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목표 대상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나의 가능한 구현 형태로서, 상기 장치는, 만약 목표 대상의 개수가 문턱값보다 작으면 제1 대상과 제2 대상의 동일한 부분을 선별할 때 제외된 대상을 제2 대상 중 제1 대상과 서로 다른 부분과 병합하는 병합 모듈, 및 병합하여 획득한 대상으로부터 목표 대상의 개수가 문턱값에 도달할 때까지 목표 대상을 선택하는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형태로서, 선택 모듈은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획득한 대상에 대응하는 가중치에 따라 목표 대상을 선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형태로서, 제1 대상은 제1 이미지 영역 내에서 상세 모드 또는 축약 모드로 표시된다. 상술한 선별 모듈(44)은 구체적으로,
제1 대상과 제2 대상 중 동일한 부분을 선별 대상 데이터로 하고,
만약 선별 대상 데이터가 제1 이미지 영역에서 상세 모드로 표시되면, 선별 대상 데이터를 보류하여 목표 대상으로 하고,
만약 선별 대상 데이터가 제1 이미지 영역에서 축약 모드로 표시되면, 선별 대상 데이터의 가중치에 따라 선별하며, 선별하여 보류한 목표 대상을 획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형태로서, 상술한 제2 디스플레이 모듈(45)은 구체적으로, 목표 대상이 제1 이미지 영역 내에서 상세 모드로 표시되면,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계속 상세 모드로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형태로서, 상술한 제1 대상과 제2 대상은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하여 획득한 것이고, 가중치는 검색어와의 매칭 정도를 가리키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형태로서, 상술한 제2 디스플레이 모듈(45)은 구체적으로, 만약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적어도 2개의 목표 대상의 표시 범위에 중첩이 존재하면, 적어도 2개의 목표 대상의 가중치에 따라, 적어도 2개의 목표 대상 중의 하나를 상세 모드로 표시됨을 결정하고, 적어도 2개의 목표 대상 중의 나머지 대상을 축약 모드로 표시됨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 대한 해석 설명은 상기 실시예의 장치에도 적용되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상술한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모듈에 대한 구분은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듈로 구분하여 상술한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 기능을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대상이 표시되어 있는 전자 지도의 제1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 영역을 조정하여, 제1 이미지 영역과 동일한 부분을 가지는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획득하고, 제2 이미지 영역에 근거하여 관련된 제2 대상을 검색하고, 제1 대상과 제2 대상의 동일한 부분을 선별해내며, 선별하여 보류한 목표 대상을 획득하고,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여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목표 대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은 동작이 간단하고, 조정 후 이미지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대상에 돌연 변화가 발생하여 시각적 불안정성이 초래하는 일이 없고, 조정 후의 이미지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대상이 점점 많아져 시각적 혼잡을 초래하는 일이 없으며, 디스플레이 대상의 안정성을 구현한다.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기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기기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며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램이 실행될 경우,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한다.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저장 매체 중의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한다.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중의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구현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컴퓨터 기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컴퓨터 기기(12)는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능 및 사용 범위에 어떠한 한정도 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기기(12)는 범용 컴퓨터 기기의 형태로 표현된다. 컴퓨터 기기(12)의 구성 요소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유닛(16), 시스템 메모리(28), 서로 다른 시스템 구성 요소(시스템 메모리(28) 및 프로세서 유닛(16)을 포함)를 연결하는 버스(18)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18)는 몇 가지 종류의 버스 구조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나타내며,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 주변 버스, 가속 그래픽 포트, 프로세서 또는 여러 가지 버스 구조 중의 임의의 버스 구조를 사용하는 로컬 버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조는 공업 표준 구조(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이하 ISA라고 칭함) 버스, 마이크로 채널 구조(Micro Channel Architecture, 이하 MAC라고 칭함) 버스, 확장형 ISA 버스, 비디오전자표준협회(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이하 VESA라고 칭함) 로컬 버스 및 주변 구성 요소 상호 접속(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on, 이하 PCI라고 칭함) 버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기기(12)는 전형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매체는 컴퓨터 기기(12)에 의해 액세스되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으며,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이동 가능 및 이동 불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메모리(28)는 휘발성 메모리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 판독가능 매체,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이하 RAM라고 칭함, 30) 및/또는 고속 캐시 메모리(32)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기기(12)는 그밖의 다른 이동 가능/이동 불가능한 휘발성/비휘발성 컴퓨터 시스템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수 있다. 단지 예로서, 메모리 시스템(34)은 이동 불가능한, 비휘발성 자기 매체(도5에 미도시, 통상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라고 칭함)의 판독 기록에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가능한 비휘발성 자기 디스크(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에 대한 판독 기록에 사용되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버 및 이동 가능한 비휘발성 광 디스크(예를 들어 시디롬(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이하 CD-ROM라고 칭함), 디브이디롬Digital Video Disc Read Only Memory, 이하 DVD-ROM라고 칭함)또는 그밖의 다른 광 매체)에 대해 판독 기록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각의 드라이버는 하나 또는 다수의 데이터 매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버스(18)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28)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당해 프로그램 제품은 한 세트(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모듈을 구비하며, 이들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한 세트(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모듈(42)을 가지는 프로그램/실용 도구(40)는, 예를 들어 메모리(28)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42)은 운영 시스템, 하나 또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그밖의 다른 프로그램 모듈 및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예시 중의 각각 또는 어떤 종류의 조합 중에 네트워크 환경의 구현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42)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한 실시예 중의 기능 및/또는 방법을 수행한다.
컴퓨터 기기(12)는 또한 하나 또는 다수의 외부 기기(14, 예를 들어 키보드, 포인팅 디바이스, 디스플레이(24) 등)와 통신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이 컴퓨터 기기(12)와 인터랙티브할 수 있게 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기기와 통신할 수도 있고, 또한/또는 당해 컴퓨터 기기(12)로 하여금 하나 또는 다수의 다른 컴퓨터 기기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기기(예를 들어 네트워크 카드, 모뎀 등)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입출력(I/O)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기기(12)는 또한 네트워크 어댑터(20)를 통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이하 LAN라고 칭함),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이하 WAN라고 칭함) 및/또는 공용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와 통신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어댑터(20)는 버스(18)를 통하여 컴퓨터 기기(12)의 다른 모듈과 통신한다. 반드시 알아야 하는 바로는, 비록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컴퓨터 기기(12)를 결합하여, 마이크로 코드, 디바이스 드라이버, 중복 프로세서 유닛, 외부 디스크 드라이브 어레이, RAID 시스템, 자기 테이프 드라이버 및 데이터 백업 메모리 시스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그밖의 다른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16)은 시스템 메모리(28)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작동시킴으로써 다양한 기능 적용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방법을 구현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고 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 설명은 당해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부하여 설명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 표현은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반드시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성, 재료 또는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호 모순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서로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 및 서로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적인 특징을 결합 및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용어 '제1', '제2'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가리키거나 또는 암시하거나, 나타내는 기술적 특징의 수량을 암묵적으로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로부터, '제1', '제2'로 한정된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당해 특징을 명시 또는 암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다수'의 의미는 별도로 명확하고도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은 한, 적어도 2개로서, 예를 들어 2개, 3개 등이다.
흐름도 또는 여기서 다른 방식으로 설명한 임의의 프로세스 또는 방법의 설명은, 커스텀 논리 기능 또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한 코드의 모듈, 세그먼트 또는 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범위는 다른 구현을 포함하며, 이는 설명 또는 토론한 순서에 따르지 않을 수 있으며, 관련 기능에 따라, 기본적으로 동시적인 방식 또는 상반되는 순서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해야 할 것이다.
흐름도에 표시되거나 또는 여기에서 기타 방식으로 설명한 논리 및/또는 단계는, 예를 들어 논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명령의 시퀀스 리스트로 간주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구현되어, 명령 수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예컨대 컴퓨터 기반 시스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그밖의 다른 명령 수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로부터 명령을 취득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가 사용하도록 제공되거나, 또는 이들 명령 수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명령 수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가 사용하도록 프로그램을 포함, 저장, 통신, 전파 또는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명령 수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더 구체적인 예시(비한정성 리스트)는, 하나 또는 다수의 배선을 가지는 전기 연결부(전자 장치), 휴대용 컴퓨터 디스크 박스(자기 장치), 램(RAM), 롬(ROM), 이피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장치 및 씨디롬(CDROM)을 포함한다. 한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심지어 상기 프로그램을 프린트할 수 있는 종이 또는 그밖의 다른 적절한 매체일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종이 또는 그밖의 다른 매체를 통하여 광학 스캐닝하고, 이어서 편집, 해석 또는 필요시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처리함으로써 전자 형태로 상기 프로그램을 획득한 후 이를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각 부분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다수의 단계 또는 방법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적절한 명령 수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 다른 실시 형태와 같이, 본 분야에서 공지된 아래 기술 중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기술은, 데이터 신호에 대해 논리 기능을 구현하는 논리 게이트 회로를 구비하는 이산 논리 회로, 적절한 조합 논리 게이트 회로를 구비하는 전용 집적 회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PGA),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술한 실시예의 방법에 포함된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함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통하여 관련 하드웨어를 명령하여 완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당해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방법 실시예의 단계 중의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모듈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이 물리상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모듈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술한 집적 모듈은 하드웨어의 형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 모듈은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되어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저장 매체는 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일 수 있다. 비록 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술한 실시예에 대해 변화, 수정, 대체 및 변형할수 있다.

Claims (11)

  1.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전자 지도의 제1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영역내에 제1 대상이 표시되어 있음-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영역을 조정하여, 상기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이미지 영역과 상기 제2 이미지 영역은 상기 전자 지도의 서로 다른 영역이면서 동일한 부분을 가짐 - ,
    상기 제2 이미지 영역에 근거하여 관련된 제2 대상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1 대상과 상기 제2 대상의 동일한 부분을 선별하며, 선별해낸 목표 대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상기 목표 대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상과 상기 제2 대상의 동일한 부분을 선별하며, 선별해낸 목표 대상을 획득하는 단계 이후,
    만약 목표 대상의 개수가 문턱값보다 작으면, 제1 대상과 제2 대상의 동일한 부분을 선별할 때 제외된 대상을 제2 대상 중 제1 대상과 서로 다른 부분과 병합하는 단계,
    병합하여 획득한 대상으로부터 상기 목표 대상의 개수가 상기 문턱값에 도달할 때까지 목표 대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병합하여 획득한 대상으로부터 목표 대상을 선택하는 단계는,
    병합하여 획득한 대상에 대응하는 가중치에 따라 상기 목표 대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이 상기 제1 이미지 영역 내에서 상세 모드 또는 축약 모드로 표시되고,
    상기 제1 대상과 제2 대상의 동일한 부분을 선별하며, 선별해낸 목표 대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대상과 상기 제2 대상 중 동일한 부분을 선별 대상 데이터로 하는 단계,
    만약 상기 선별 대상 데이터가 상기 제1 이미지 영역 내에서 상세 모드로 표시되면, 상기 선별 대상 데이터를 보류하여 목표 대상으로 하는 단계,
    만약 상기 선별 대상 데이터가 상기 제1 이미지 영역 내에서 축약 모드로 표시되면, 상기 선별 대상 데이터의 가중치에 따라 선별하며, 선별해낸 상기 목표 대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상기 목표 대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목표 대상이 상기 제1 이미지 영역 내에서 상세 모드로 표시되면, 상기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계속 상세 모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과 상기 제2 대상은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하여 획득한 것이고,
    상기 가중치는 상기 검색어와의 매칭 정도를 가리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상기 목표 대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적어도 2개의 목표 대상의 표시 범위에 중첩이 존재하면, 적어도 2개의 목표 대상의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2개의 목표 대상 중의 하나를 상세 모드로 표시함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목표 대상 중의 나머지 대상을 축약 모드로 표시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
  7.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자 지도의 제1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제1 이미지 영역내에 제1 대상이 표시되어 있음-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영역을 조정하여, 상기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획득하는 조정 모듈 - 상기 제1 이미지 영역과 상기 제2 이미지 영역은 상기 전자 지도의 서로 다른 영역이면서 동일한 부분을 가짐 ,
    상기 제2 이미지 영역에 근거하여 관련된 제2 대상을 검색하는 검색 모듈,
    상기 제1 대상과 상기 제2 대상의 동일한 부분을 선별하며, 선별해낸 목표 대상을 획득하는 선별 모듈,
    상기 전자 지도의 제2 이미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제2 이미지 영역 내에서 상기 목표 대상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
    만약 목표 대상의 개수가 역치 개수보다 작으면 제1 대상과 제2 대상의 동일한 부분을 선별할 때 제외된 대상을 제2 대상 중 제1 대상과 서로 다른 부분과 병합하는 병합 모듈, 및
    병합하여 획득한 대상으로부터 목표 대상의 개수가 역치 개수에 도달할 때까지 목표 대상을 선택하는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장치.
  8. 컴퓨터 기기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의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기.
  9.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의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0.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중의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의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삭제
KR1020190022843A 2018-06-13 2019-02-27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2184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608566.0A CN110659337B (zh) 2018-06-13 2018-06-13 电子地图显示方法和装置
CN201810608566.0 2018-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076A KR20190141076A (ko) 2019-12-23
KR102184986B1 true KR102184986B1 (ko) 2020-12-01

Family

ID=6675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843A KR102184986B1 (ko) 2018-06-13 2019-02-27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385349A1 (ko)
EP (1) EP3582111A1 (ko)
JP (1) JP6789334B2 (ko)
KR (1) KR102184986B1 (ko)
CN (1) CN1106593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5925B (zh) * 2020-11-13 2022-03-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场景中区域级别的调整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N114911880A (zh) * 2021-01-29 2022-08-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电子地图的交互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026457B (zh) * 2021-03-23 2022-08-12 广联达科技股份有限公司 道路施工的标段确定方法及确定装置
CN113101647B (zh) * 2021-04-14 2023-10-24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3878A (ja) * 2006-05-09 2007-11-22 Denso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718628B1 (ko) 2015-09-30 2017-03-21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지도 화면에서 벗어난 관심 지점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JP2017523503A (ja) * 2014-07-04 2017-08-17 アリバ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リミテッド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領域ベースの検索結果の表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0448A (ja) * 2000-05-22 2001-11-30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7777648B2 (en) * 2005-04-21 2010-08-17 Microsoft Corporation Mode information displayed in a mapping application
CN103377204B (zh) * 2012-04-18 2016-02-2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地图搜索结果的展现方法和装置
CN104424261B (zh) * 2013-08-29 2018-10-0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电子地图的信息展示方法及装置
CN104252529A (zh) * 2014-09-04 2014-12-3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地图标注的加载方法和装置
KR102329545B1 (ko) * 2015-03-13 2021-11-25 팅크웨어(주) Poi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주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0073896B2 (en) * 2015-03-13 2018-09-11 Thinkwar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earby search service using POI clustering scheme
JP2017062389A (ja) * 2015-09-25 2017-03-30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地図画像提供装置、地図画像を提供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3878A (ja) * 2006-05-09 2007-11-22 Denso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7523503A (ja) * 2014-07-04 2017-08-17 アリバ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リミテッド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領域ベースの検索結果の表示
KR101718628B1 (ko) 2015-09-30 2017-03-21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지도 화면에서 벗어난 관심 지점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59337A (zh) 2020-01-07
US20190385349A1 (en) 2019-12-19
EP3582111A1 (en) 2019-12-18
CN110659337B (zh) 2022-09-23
KR20190141076A (ko) 2019-12-23
JP2019215517A (ja) 2019-12-19
JP6789334B2 (ja)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986B1 (ko) 전자 지도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10462359B1 (en) Image composition instruction based on reference image perspective
US10317233B2 (en) Direction list
US11486724B2 (en) Grouping maneuvers for display in a navigation presentation
KR20170046675A (ko) 경로 중단이 감소된 내비게이션 검색 결과의 제공 기법
US20130046738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conflicting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US20120093369A1 (en) Method, termina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ing input image inputted through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same input image
US20120316782A1 (en) Map Magnifier
TW201105935A (en) Location point determination apparatus, map generation system,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a location point
JP2006227767A (ja) 地図処理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地図表示方法
US200900104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icture file
EP2843368A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puter-based navigation
CN107209021B (zh) 用于导航地图的视觉相关性分级的系统和方法
US10094681B2 (en) Controlling a map system to display off-screen points of interest
US201303320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3d map showing area of interest in real time
US9811539B2 (en) Hierarchical spatial clustering of photographs
EP3566024B1 (en) Generating routes from lines based on zoom levels
US20130035851A1 (en) Navigator
KR20090017031A (ko) 목표 위치 검색 방법 및 그 장치
US9261380B2 (en) Intelligent adjustment of map viewports at launch
JP6385442B2 (ja) 地図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地図情報処理方法
WO2022039718A1 (en) Navigation directions preview
JP2014025849A (ja) 重要領域決定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0227340A (ja) 経路案内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24047702A (ja) 地図表示システム、地図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