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920B1 -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920B1
KR102184920B1 KR1020190070539A KR20190070539A KR102184920B1 KR 102184920 B1 KR102184920 B1 KR 102184920B1 KR 1020190070539 A KR1020190070539 A KR 1020190070539A KR 20190070539 A KR20190070539 A KR 20190070539A KR 102184920 B1 KR102184920 B1 KR 102184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fall
load cell
rock
wire
r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석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70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본 발명은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암반사면에서 낙석이 예상되는 암석의 양 측 벽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대; 상기 한 쌍의 고정대에 상호 연결되어 대상 암석의 외측면을 감싸며 지지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대상 암석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관측부로 전송하는 로드셀; 및 대상 암석에서 이격 구비되어 상기 로드셀에서 전송 받은 정보를 토대로 대상 암석에 대한 낙석의 위험도를 분석하며, 분석 정보 및 상기 로드셀의 측정 정보를 중앙관제센터로 전달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 받는 관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암반사면에서 낙석이 예상되는 암석을 대상으로 대상 암석의 하중의 변화를 측정하여 낙석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낙석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며, 낙석이 발생할 경우 낙석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DEVICE FOR MONITORING AND PREVENTION OF FALLING ROCKS USING LOAD CELL}
본 발명은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드셀을 이용하여 암반사면에서 낙석이 예상되는 암석을 대상으로 대상 암석의 하중 변화를 측정, 분석하여 낙석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낙석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며, 낙석이 발생할 경우 낙석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건설로 인한 절개지 또는 비탈면과 같이 암석이 많은 암반사면은 주위 환경의 작은 변화에도 크게 영향을 받아 산사태 또는 낙석이 발생하기 쉬우며, 매년 장마철의 폭우나 해빙기, 또는 지진 등으로 발생되는 산사태 및 낙석으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암반사면에는 낙석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발생이 예상되는 낙석이 주변의 시설물이나 도로 또는 탐방로에 도달하기 전에 정지시켜 탐방객 또는 시설물 등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 장치로는 크게 낙석이 우려되는 암석이나 암반을 사면에 고정하여 보강하는 장치와, 암반사면에서 낙하하게 되는 낙석으로부터 시설물이나 도로 또는 탐방로를 보호하는 장치가 있으며, 낙석의 발생이 예측되는 암반사면 내의 부석이나 전석을 미리 제거하는 방법 또는 사람 및 차량의 통행을 금지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종래에 낙석이 우려되는 암석이나 암반을 사면에 고정하여 보강하는 방법에는 붕괴 방지 빔을 암반사면에 삽입하고 콘크리트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환경과 주위의 갑작스런 큰 충격 등의 상황을 감지하지 못하므로 산사태 및 낙석을 사전에 막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암반사면에 그물 형태의 보호 망을 설치하는 방법은 암반사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낙석이 보호 망에 걸려 시설물이나 도로 또는 탐방로 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낙석 등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으나, 단순히 낙석 등이 보호 망에 걸려 시설물이나 도로 또는 탐방로 측으로 떨어지는 것만을 방지 할 뿐, 암반사면 주위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므로 산사태나 낙석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막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은 감지 와이어가 권취된 릴에서 와이어가 풀림을 감지하여 낙석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토사 붕괴 검지 장치를 제공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은 단일의 지주 내부에 낙석을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 와이어가 다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다수의 릴에 권취되어 있음에 따라 낙석으로 인한 감지 장치의 파손 시, 예를 들면 낙석의 하중에 의해 감지 와이어가 절단되거나 지주가 휘어지는 등 감지 장치가 파손되는 경우 지주 전체를 새로이 교체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토사 붕괴 감지 장치를 이용한 방재 관리 시스템의 경우 토사 붕괴 감지 장치가 와이어의 신장에 따른 감지 신호에 따라 암반사면 전체에 대한 낙석 경보 신호를 방재 관리 시스템에 제공함으로써, 낙석 발생의 초기에 해당 암반사면 중 어느 부분에서 낙석이 발생되었는지를 방재 관리소에서 확인할 수 없으므로 발생될 낙석의 초기 상황에 대하여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없어 낙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JP 특개평11-107223 B2 KR 10-1935546 B1 KR 10-1432999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암반사면에서 낙석이 예상되는 암석을 지지하는 와이어와, 와이어가 암반사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대와, 대상 암석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 및 중앙관제센터와 상호 송수신이 가능한 관측부, 그리고 낙석의 발생 위험이 높은 경우 주변에 경보하는 경보부로 구성됨으로써, 암반사면에서 낙석의 발생 여부를 사전에 파악하여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낙석이 발생하더라도 발생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후속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낙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설치에 따른 비용 및 유지관리에 소비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암반사면에서 낙석이 예상되는 암석의 양 측 벽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대; 상기 한 쌍의 고정대에 상호 연결되어 대상 암석의 외측면을 감싸며 지지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대상 암석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관측부로 전송하는 로드셀; 및 대상 암석에서 이격 구비되어 상기 로드셀에서 전송 받은 정보를 토대로 대상 암석에 대한 낙석의 위험도를 분석하며, 분석 정보 및 상기 로드셀의 측정 정보를 중앙관제센터로 전달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 받는 관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대는 암반사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대상 암석을 지지하는 상기 와이어의 텐션이 용이하게 조절되어 대상 암석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턴버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는 대상 암석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에는 상기 관측부의 분석 정보를 토대로 낙석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 또는 발광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조합하여 주변에 경보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경보부는 상기 관측부와 연계되어 상기 관측부의 분석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 받아 상기 로드셀의 측정 값이 상기 관측부에 기 설정된 낙석 발생 위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즉각 주변에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보부는 상기 관측부의 분석 정보를 전달 받은 상기 중앙관제센터에서 낙석의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주변에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암반사면에서 낙석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낙석이 발생하더라도 후속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낙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설치 및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구성도.
도3은 실시 예에 따른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의 경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암반사면(G)에서 낙석이 예상되는 대상 암석(R)에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대상 암석(R)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측정하고, 측정된 하중의 변화에 따라 낙석의 발생 위험도를 판단하여 낙석의 발생을 예방하며, 낙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낙석의 발생 규모 및 운동형태 등을 추정하는 것은 곤란한 경우도 많지만, 과거 낙석의 발생기록 및 낙석의 현장 조사 등으로부터 판단하여 낙석의 발생이 예상되는 부분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로 인해 낙석이 예상되는 대상 암석(R)에 선택적으로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를 설치하여 지속적인 관리 및 낙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100), 와이어(200), 로드셀(300) 및 관측부(4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측부(400)에는 경보부(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대(100)는 도로 건설로 인한 절개지 또는 비탈면과 같이 대상 암석(R)이 많은 암반사면(G)에서 낙석이 예상되는 대상 암석(R)의 양 측 벽면에 고정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고정대(100)의 일단에는 상기 한 쌍의 고정대(100)가 상호 연결되도록 와이어(2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200)는 암반사면(G)에서 낙석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예상되는 대상 암석(R)의 양 측 벽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상기 고정대(100)에 연결되어 암반사면(G)에서 돌출된 대상 암석(R)의 외측면을 감싸줌으로써, 대상 암석(R)이 암반사면(G)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암반사면(G)의 붕괴 또는 충격으로 인해 대상 암석(R)이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와이어(200)가 결합되는 상기 고정대(100)는 암반사면(G)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부(110)와 상기 삽입부(11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120)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110)는 암반사면(G)에 그대로 삽입되거나, 암반사면(G)을 먼저 천공한 후 삽입 보강되도록 하여 암반사면(G)에서 상기 고정대(100)가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록 볼트(rock bolt), 록 앵커(rock anchor), 어스 앵커(earth anchor), 소일네일 또는 삽입핀 등 다양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둘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상 암석(R)을 지지하는 상기 와이어(200)가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와이어(200)가 각기 다른 규격을 갖는 대상 암석(R)의 외측면에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대상 암석(R)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고, 상기 와이어(200)의 텐션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턴버클(turnbuckle) 형태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상 암석(R)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잘 견딜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200)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보강할 수 있는 강화 스프링(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강화 스프링은 상기 결합부(120)에 결합되거나, 상기 와이어(200)의 일측에 감기도록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암반사면(G)의 붕괴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떨어지려는 대상 암석(R)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대상 암석(R)에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결합부(120) 또는 상기 와이어(20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낙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암반사면(G)에서 분리된 대상 암석(R)을 제거하거나 수거하고 주변에 경보를 울리는 등의 후속 조치를 취하는 동안 주변 시설물이나 인명에 대한 안전을 보장하여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러한 낙석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이미 발생한 낙석에 대한 후속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상기 로드셀(300)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로드셀(300)은 상기 와이어(200)에 연결되어 대상 암석(R)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관측부(4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200)에 상기 로드셀(300)이 연결되는 것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200)의 일측, 즉, 상기 고정대(100)와 인접한 위치의 상기 와이어(200)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와이어(200)의 양측, 즉, 상기 와이어(200)가 결합되는 한 쌍의 상기 고정대(100)에 각각 인접하여 한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대상 암석(R)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측정함에 있어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암반사면(G)에서 낙석이 예상되는 암석(R)의 양 측 벽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상기 고정대(100)와 상기 고정대(100)에 연결되어 대상 암석(R)이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상기 와이어(200)에는 상기 로드셀(300)이 구비되어, 대상 암석(R)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하중을 정확히 측정하여 측정된 정보를 상기 관측부(4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200)는 대상 암석(R)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복수 개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암반사면(G)의 붕괴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분리되어 떨어지려는 대상 암석(R)에 대한 지지력을 보다 더 강화할 수 있다.
예컨대, 대상 암석(R)의 크기나 형태가 상기 한 쌍의 고정대(100)와 그에 연결된 하나의 상기 와이어(200)로는 충분히 낙석을 방지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와이어(200)를 연결함으로써, 대상 암석(R)이 암반사면(G)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대상 암석(R)이 분리되더라도 대상 암석(R)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여 낙석의 피해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와이어(200)를 복수로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고정대(100)에 복수의 상기 와이어(200)가 결합되어 해먹과 유사한 형태로 대상 암석(R)의 외측면을 감싸며 지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한 쌍의 고정대(100) 및 상기 고정대(100)와 연결되는 하나의 상기 와이어(200)를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대상 암석(R)의 주변에 복수의 모듈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대상 암석(R)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해 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200)에 연결되는 상기 로드셀(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고정대(100)에 인접하여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대(100)에 인접한 일측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와이어(200)의 중앙 부분에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로드셀(300)이 안정적으로 고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대(100)에 인접한 위치의 상기 와이어(200)와 연결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대상 암석(R)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모듈이 설치될 경우, 상기 로드셀(300)은 대상 암석(R)의 하중이 집중되는 위치의 모듈에 하나만 연결되고, 나머지 모듈들은 대상 암석(R)을 지지하는 목적으로만 설치가 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모듈 각각의 상기 와이어(200)에 상기 로드셀(300)이 복수 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대상 암석(R)에서 발생되는 하중이 집중되는 위치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대상 암석(R)에 대한 낙석의 위험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로드셀(300)에서 측정된 정보를 전달받는 상기 관측부(400)는 상기 로드셀(300)의 정보를 토대로 대상 암석(R)에 대한 낙석의 위험도를 분석할 수 있으며, 상기 관측부(400)의 분석 정보 및 상기 로드셀(300)의 측정 정보를 중앙관제센터(600)로 전달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6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관측부(400)는 미리 입력된 암반사면(G)에 대한 지반 정보 및 낙석이 발생할 수 있는 하중의 범위 값을 상기 로드셀(300)에서 전달 받은 대상 암석(R)에서 발생하는 하중 값과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낙석의 발생 위험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측부(400)에서 분석한 정보와 상기 로드셀(300)에서 측정된 정보를 저장해둠과 동시에 상기 중앙관제센터(600)로 전달함으로써, 낙석 위험 지역으로 분류된 현장을 직접 돌아다니며 점검하지 않아도 실시간으로 위험도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로드셀(300), 관측부(400) 및 중앙관제센터(600)의 연계로 인해 대상 암석(R)에 대한 낙석의 발생 위험도에 따른 모니터링을 실시간으로 수행하여 낙석의 발생 여부를 예측할 수 있으며, 위험도의 기준에 따라 대상 암석(R)이 떨어지기 전에 미리 제거하거나, 낙석이 발생하더라도 그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신속한 후속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관측부(400)는 낙석이 발생하며 떨어지는 암석(R)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상 암석(R)에서 이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관측부(400)의 안전을 위한 별도의 안전 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에는 상기 관측부(400)에서 분석한 낙석의 발생 위험도에 따라 대상 암석(R)이 있는 지역의 인근에 있는 사람들이 대피를 할 수 있으며, 주변 시설물에서 충격에 대비할 수 있도록 경보를 하는 경보부(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경보부(500)는 상기 관측부(400)의 분석 정보를 토대로 낙석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 또는 발광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조합하여 주변에서 즉각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를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보부(500)는 상기 관측부(400)의 분석 정보를 전달 받은 상기 중앙관제센터(600)에서 낙석의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중앙관제센터(600)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보를 울리도록 하여 주변에서 낙석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관측부(400)와 연계되도록 하여 상기 관측부(400)의 분석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 받아 상기 로드셀(300)의 측정 값이 상기 관측부(400)에 기 설정된 낙석 발생 위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즉각 경보를 울리도록 하여 주변에서 낙석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언제 어떻게 발생할 지 모를 외부의 충격에 의해 대상 암석(R)이 떨어지려는 전조가 급격히 진행되는 경우, 상기 중앙관제센터(600)의 제어신호를 기다리기 보다 실시간으로 낙석의 위험도를 분석하는 상기 관측부(400)와 바로 연계되도록 하여 주변에 즉각 경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낙석의 발생에 대비하고 피해를 줄이는데 더욱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암반사면(G)에서 낙석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낙석이 발생하더라도 후속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낙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설치 및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고정대 110 : 삽입부
120 : 결합부 200 : 와이어
300 : 로드셀 400 : 관측부
500 : 경보부 600 : 중앙관제센터
G : 암반사면 R : 암석

Claims (7)

  1. 암반사면에서 낙석이 예상되는 암석의 양 측 벽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대;
    상기 한 쌍의 고정대에 상호 연결되어 대상 암석의 외측면을 감싸며 지지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대상 암석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관측부로 전송하는 로드셀;
    대상 암석에서 이격 구비되어 상기 로드셀에서 전송 받은 정보를 토대로 대상 암석에 대한 낙석의 위험도를 분석하며, 분석 정보 및 상기 로드셀의 측정 정보를 중앙관제센터로 전달하고, 상기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 받는 관측부; 및
    상기 관측부의 분석 정보를 토대로 낙석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 또는 발광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조합하여 주변에 경보하는 경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는,
    암반사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와이어의 일측에 감기도록 구비되어, 대상 암석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하고 결합부 또는 와이어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강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대상 암석을 지지하는 상기 와이어의 텐션이 용이하게 조절되어 대상 암석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턴버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대상 암석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는,
    상기 관측부와 연계되어 상기 관측부의 분석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 받아 상기 로드셀의 측정 값이 상기 관측부에 기 설정된 낙석 발생 위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즉각 주변에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는,
    상기 관측부의 분석 정보를 전달 받은 상기 중앙관제센터에서 낙석의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주변에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
KR1020190070539A 2019-06-14 2019-06-14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 KR102184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539A KR102184920B1 (ko) 2019-06-14 2019-06-14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539A KR102184920B1 (ko) 2019-06-14 2019-06-14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920B1 true KR102184920B1 (ko) 2020-12-01

Family

ID=73790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539A KR102184920B1 (ko) 2019-06-14 2019-06-14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9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396A (ko) * 2006-04-26 2007-10-3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
JP2012177296A (ja) * 2012-06-05 2012-09-13 Toshio Tanaka ターンバックル及び該ターンバックルを使用したワイヤロープの固定構造
KR101432999B1 (ko) 2014-02-12 2014-08-27 김정구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낙석방지망 및 시공방법
KR101935546B1 (ko) 2018-02-21 2019-01-04 차윤호 암반밀착식 낙석방지망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396A (ko) * 2006-04-26 2007-10-31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
JP2012177296A (ja) * 2012-06-05 2012-09-13 Toshio Tanaka ターンバックル及び該ターンバックルを使用したワイヤロープの固定構造
KR101432999B1 (ko) 2014-02-12 2014-08-27 김정구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낙석방지망 및 시공방법
KR101935546B1 (ko) 2018-02-21 2019-01-04 차윤호 암반밀착식 낙석방지망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9140B2 (en) Security fence module
KR101457649B1 (ko)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CN103985225B (zh) 柔性被动防护网智能监测系统
BR112021001659A2 (pt) dispositivo eletrônico, sistema e método para monitorar fenômenos hidrogeológicos
KR102155529B1 (ko) 터널 선행침하 경보장치
WO2015014264A1 (zh) 铁路防灾立体监测系统、信号处理系统及监测报警系统
WO2020116032A1 (ja) 道路監視システム、道路監視装置、道路監視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9183714B2 (en) Entrance security system
KR20130094717A (ko) 표면-장착식 감시 시스템
CN101916492A (zh) 一种在安防系统中应用的光纤智能传感装置
KR100712475B1 (ko) 절토사면 붕괴감시장치
JP4027107B2 (ja) 土砂異常検出装置、土砂異常検出システム、及び土砂異常検出方法
WO2009014304A1 (en) An external trespass sensing system
KR102184920B1 (ko)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
US5991013A (en) Conveyance warning member with sacrificial fiber
JP4911667B2 (ja) 光ファイバ式洗掘検出装置及びシステム
JP4725950B2 (ja) 地表面変位測定装置
CN201796465U (zh) 地质灾害监测报警器
JP2000030162A (ja) 防御管理システム
CN203260156U (zh) 危险源捕捉系统以及柔性被动防护网智能监测系统
JP2001304822A (ja) 光ファイバセンサおよび監視システム
JPH1011677A (ja) 防災監視システム
JP2001099686A (ja) 光監視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センサ
KR20160114375A (ko) 실시간 낙석 피해 경고/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105396A (ko)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