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396A -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396A
KR20070105396A KR1020060037421A KR20060037421A KR20070105396A KR 20070105396 A KR20070105396 A KR 20070105396A KR 1020060037421 A KR1020060037421 A KR 1020060037421A KR 20060037421 A KR20060037421 A KR 20060037421A KR 20070105396 A KR20070105396 A KR 20070105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fall
tension measuring
wireless
tension
monit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광희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허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허광희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37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5396A/ko
Publication of KR20070105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5/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 G01K5/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liquid
    • G01K5/04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미 설치되었거나 설치할 낙석방지망의 와이어상에 전기적 혹은 기계적 장력 측정을 위한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각 센서를 통해 와이어에 작용하는 장력의 변화량을 취득하고, 이를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의 시스템 제어 모듈에서 비교 분석하여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방지망 상태를 판단한 뒤 그 결과를 무선 모뎀 모듈을 통해 중앙 서버까지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관리자가 중앙 서버에 연결된 컴퓨터를 통하여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방지망 상태를 원격으로 알 수 있게 하는 낙석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간단히 컴퓨터에서 낙석방지망의 안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안전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인력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면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위험에 더욱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유선 감시 시스템에 비하여 장거리의 케이블 및 부속장비가 불필요하므로 시스템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유지 관리 측면에서 용이한 장점이 있게 된다.
암반 사면, 낙석방지망, 와이어, 장력측정용 센서, 낙석 감시 시스템, 무선

Description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Morning system for falling rocks using wireless tension measur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낙석 감시 시스템에서 장력측정용 센서의 설치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낙석 감시 시스템에서 장력측정용 센서를 포함한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낙석 감시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모듈이 낙석 발생 여부와 낙석방지망 상태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낙석 감시 시스템에서 경고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암반 사면 10 : 낙석방지망
11 : 와이어 12 : 락 볼트
100 :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 101 : 장력측정용 센서
102 : 장치 본체 110 : 신호 전처리 모듈
120 : 시스템 제어 모듈 130 : 무선 모뎀 모듈
200 : 모니터링 시스템 210 : 무선 모뎀 모듈
220 : 중앙 서버 230 : 클라이언트 컴퓨터
300 : 경고장치
본 발명은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낙석방지망의 와이어 장력을 계측하고 계측되는 신호를 분석한 뒤 그 결과를 전송하기 위하여 스마트 무선 센서 장치(무선 계측 장치) 기술을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산악지역이 많이 형성되어 고개 또는 산등성과 같은 지면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로를 시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도로를 시공하다 보면 절개사면이 많이 형성된다.
이러한 절개사면은 인공적으로 형성된 것이어서 그 표면이 불안정하고, 이로 인해 홍수 등에 의해 쉽게 붕괴되거나 암벽의 일부가 떨어져 나와 도로 위로 떨어지는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암벽이 붕괴되어 낙석이 발생하게 되면 낙석들이 도로의 주행 중인 차량이나 인근의 건물을 향해 떨어지므로 엄청난 물적 피해는 물론 인명 피해가 발생 한다.
따라서, 암반이나 험한 지형에 도로를 건설하는 경우 도로의 측면에 형성된 암반 사면에는 통상적으로 낙석 등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낙석방지망이나 낙석방지책 등과 같은 낙석방지시설물이 설치된다.
이 중에서 암반구간에 낙석방지시설물로 쉽게 설치하여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암반 사면에 그물 형태로 낙석방지망을 설치하는 것으로, 암반 사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낙석이 낙석방지망에 걸려 도로쪽으로 떨어지지 않고 도로 측부로 떨어지게 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낙석방지망은 합성수지나 와이어 등을 그물 모양으로 제조하여 사면에 덮어씌우고 그 외측에 와이어를 종, 횡 방향으로 교차시켜 설치함으로써, 소규모의 낙석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낙석방지망은 도로변의 암반 사면에 설치되어서 낙석이나 유실된 토사 등이 도로 측에 유입되어 발생하는 각종 차량 및 인명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안전시설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낙석방지시설을 설치하여 운용함에 있어서, 인명사고 등과 같은 낙석에 의한 중대한 위험사고를 철저히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시설물의 관리가 중요하다.
예를 들어, 낙석의 발생 여부는 물론, 시설의 어느 지점에 얼마만큼의 낙석이 발생하여 결려 있는지, 혹은 낙석방지망을 뚫고 도로로 유입되었는지 등의 여부를 수시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낙석위험구간은 보통 산간지방이나 일반적으로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기존의 낙석방지망을 사용함에 있어서, 낙석방지망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 환경이나 낙석에 의해 부서지는 경우, 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비가 없기 때문에 수시로 낙석방지망의 안전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지형 특성상 도로 주변 곳곳에 암반 사면이 많아, 여기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낙석방지망을 일일이 인력을 동원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하기란 쉽지 않으며, 이를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 암반의 탈락이나 붕괴로 낙석이 도로에 떨어지면서 대형사고를 일으키게 되는 요인이 되는 바,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낙석을 감시하기 위한 낙석 감시 시스템으로, 시설물에 센서를 설치하고 이 센서의 신호를 유선으로 전송받아 감시하는 시스템이 개발된 바 있으나, 산간지방이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지역에 낙석 감시 시스템을 유선으로 구성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유선 감시 시스템은 케이블 작업에 의한 초기 설치비용과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됨은 물론 시설물 개조나 변경이 어렵고 시스템을 유지 관리하는데 애로사항이 많은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간단히 컴퓨터로부터 낙석방지망의 안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안전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인력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면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위험에 더욱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유선 감시 시스템과 비교할 때 시스템의 설치 및 구성이 용이하고 초기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유지 관리 측면에서 용이한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암반 사면에 대한 낙석이나 붕괴의 위험을 감시하는 낙석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낙석방지망에서 종, 횡으로 교차된 와이어상의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위치에서의 와이어 장력상태를 감지하여 신호 출력하는 다수의 장력측정용 센서를 포함하면서 상기 각 장력측정용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토대로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방지망 상태를 판단한 후 그 결과를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와; 상기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방지망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가 상기 다수의 장력측정용 센서 및 이 장력측정용 센서들이 유선 연결되는 장치 본체로 구성되되,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장력측정용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전처리 모듈과; 상기 신호 전처리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방지망 상태를 판단한 후 그 결과를 출력하는 시스템 제어 모듈과; 상기 시스템 제어 모듈의 결과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시스템 제어 모듈에 연결되고 모니터링 시스템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 모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로부터 하기 무선 모뎀 모듈을 통해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보호망 상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받아 외부로 제공하는 중앙 서버와; 상기 중앙 서버에 연결되고 상기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와 무선통신을 위한 중앙 서버측 무선 모뎀 모듈과; 관리자가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보호망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 서버에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와 각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각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인터넷망을 통해 중앙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보호망 상태 정보를 제공받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로상에서 위험상태를 경고하기 위하여 위험지역 전, 후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로부터 무선 모뎀 모듈을 통해 경고 신호를 수신받아 실시간으로 위험상태를 알려주는 경고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낙석방지망의 와이어 장력 측정에 의한 낙석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낙석방지망의 와이어 장력을 계측하고 계측되는 신호를 분석한 뒤 그 결과를 전송하기 위하여 스마트 무선 센서 장치(무선 계측 장치) 기술을 이용하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되었거나 설치할 낙석방지망의 와이어상에 전기적 혹은 기계적 장력 측정을 위한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각 센서를 통해 낙석 발생시 와이어에 작용하는 장력을 취득하고, 이를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의 시스템 제어 모듈에서 비교 분석하여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방지망 상태를 판단한 뒤 그 결과를 무선 모뎀 모듈을 통해 중앙 서버까지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중앙 서버에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분석 결과를 원격으로 알 수 있게 하는 낙석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낙석방지망의 효율적인 관리와 인명피해의 최소화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무선 센서 기술을 이용하여 보다 능동적으로 위험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낙석 감시 시스템에서 장력측정용 센서의 설치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낙석 감시 시스템 에서 장력측정용 센서를 포함한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낙석 감지 시스템은 낙석방지망(10)의 와이어(11)상에 설치되어 와이어 장력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이하, '장력측정용 센서'라 함)(101)와, 상기 각 센서(101)의 신호를 처리 및 분석하여 낙석 발생 여부(낙석이 발생하여 와이어에 걸려 있는지의 여부) 및 낙석방지망 상태를 판단한 후 그 결과를 무선 전송하는 장치 본체(102)로 구성되는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100)를 포함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장력측정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부호 1은 암반 사면을, 도면부호 11은 낙석방지망(10)의 와이어를 각각 나타낸다.
암반 사면(1) 위에 설치된 낙석방지망(10)의 와이어(11)는 종, 횡 방향으로 교차시켜 설치되고, 이때 각 와이어(11)가 락 볼트(12)에 의해 암반 사면(1)에 고정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낙석방지망(10)에서 종, 횡 방향으로 교차시켜 설치한 와이어(11)상의 소정 각 위치에 장력측정용 센서(101)가 설치된다.
이 장력측정용 센서(101)는 각 위치에서 낙석에 의해 낙석방지망(10)의 와이어(11)가 받게 되는 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센서로서, 와이어(11)의 장력상태를 감지하여 신호 출력하는 통상적인 장력측정용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력측정용 센서(101)의 일 예로서, 변위증폭방식의 장력계가 사용될 수 있는 바, 변위증폭방식의 와이어 장력계는 와이어로부터 감지된 장력상태에 따 라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몸체 내부에 변위증폭기가 구비되고, 그 양쪽에는 각각 변위감지바가 연결되며, 상기 각 변위감지바에는 와이어에 일단이 고정된 감지바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변위증폭방식의 와이어 장력계에서는 상기 감지바가 늘어나는 길이 변화만큼 변위감지바가 좌우로 늘어나게 되고, 이때의 변위량은 변위증폭기에 의해 아날로그 방식으로 증폭되어 케이블을 통해 외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장력측정용 센서(101)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장치 본체(102)로 입력되며, 상기 장치 본체(102)의 하드웨어 구성은 시스템 성능의 업그레이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모듈 간 통신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세 개의 모듈, 즉 신호 전처리 모듈(Signal Pre-processing Module)(110), 시스템 제어 모듈(System Control Module)(120), 무선 모뎀 모듈(Wireless Modem Module)(13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장력측정용 센서(101)와 함께 장치 본체(102)가 하나의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100)를 구성함을 볼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장치 본체(102)가 신호 전처리 모듈(110), 시스템 제어 모듈(120), 무선 모뎀 모듈(130)로 구성됨을 볼 수 있다.
하기 표 1은 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모듈의 사양 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6029053975-PAT00001
우선, 신호 전처리 모듈(110)은 각 장력측정용 센서(101)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압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증폭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하게 되며, 각 장력측정용 센서(101)로부터 신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케이블로 연결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시스템 제어 모듈(120)에 입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신호 전처리 모듈(110)은 입력된 아날로그 전압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신호 증폭기(Signal Amplifier)(111), 신호 증폭기(111)에서 증폭된 신호의 필터링을 위한 필터(Filter)(112), 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컨버터(A/D Converter)(113), 시스템 제어 모듈(120)로부터 입력받은 전압으로부터 정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전압 조절기(Voltage Regulator)(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시스템 제어 모듈(120)은 신호 전처리 모듈(1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서 그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여 낙석 발생 여부와 낙석방지망 상태를 판단한 후 그 결과를 무선 모뎀 모듈(13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장치의 전체적인 운영 및 제어를 담당하게 된다.
상기 시스템 제어 모듈(120)은 시스템 제어와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121)가 내장된 모듈로 구성되며, 플래시 메모리(Flash RAM) 및 데이터 메모리(SRAM)를 내장한 마이크로컨트롤러(121)와, 추가적인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외부 메모리(external memory)(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스템 제어 모듈(120)은 소형 CPU 칩 및 외부 메모리 등 상기의 부품을 장착한 회로보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자가 데이터 획득 및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기능, 임시 데이터 저장 기능, 중앙 서버(220)로부터 무선 모뎀 모듈(130)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시스템 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각 센서(101)에서 계측된 동적 데이터의 수집과 샘플링률, 획득시간, 획득방법을 조절하며, 또한 획득된 동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무선 모뎀 모듈(130)에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마이크로컨트롤러(121)에 내장된 플래시 메모리에 덤프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한 기능을 갖춘 고성능 마이크로컨트롤러(121)로서, Atmel사(미국)의 AVR 마이크로컨트롤러(제품명:Atmega128)이 사용 가능한데, 이 Atmega128은 총 128kbytes의 플래시 메모리와 4000개의 명령어를 제공한다.
또한, 프로그램 실행에서 생성되거나 필요한 데이터는 4kbytes 용량의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ATMEL Inc., "Atmega128 data sheet." ATMEL Inc.].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121)에서 효과적인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현하기에는 자체적으로 제공된 데이터 메모리에 한계가 있으므로 데이터 메모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32kbytes 용량의 외부 메모리(122)가 모듈 내에 장착된다.
상기 시스템 제어 모듈(120)에는 시스템의 제어와 데이터 처리, 모듈 간 데이터의 원활한 송수신을 위하여 하드웨어를 운용할 수 있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가 내장된다.
상기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는 센서(101)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설정된 샘플링 시간에 맞추어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122)에 저장시킨 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데이터 전송 및 제어 명령 수신 등 하드웨어 운용을 위한 여러 사항들을 고려하여 개발된다.
다음으로, 상기 무선 모뎀 모듈(130)은 시스템 제어 모듈(120)에 직접 연결되어 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중앙 서버(220)에 무선 송신하고, 또한 상기 중앙 서버(220)에서 출력되는 각종 제어신호를 무선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중앙 서버(220)에 연결된 무선 모뎀 모듈(130)과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이 수행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무선 모뎀 모듈(13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산업용 원격 무선 장치에 적합한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용 무선 모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충분한 통신거리, 통신속도, 신뢰성 있는 통신방법, 전력 소모량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상기 무선 모뎀 모듈(130)은 전력 소모량에 비하여 출력이 높고 통신속도가 빠른 모뎀을 사용하여야 하며, 이러한 무선 모뎀 모듈의 사양을 상기 표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간 모드(Real Time Mode)가 가능한 무선 모뎀 모듈과, 준 실시간 모드(Near Real Time Mode)가 가능한 무선 모뎀 모듈 중에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하기 표 2는 모드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모뎀의 사양 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6029053975-PAT00002
준 실시간 시스템에서는 FSK 변조방식의 반 이중식 모뎀을 사용하여 주파수분할다중접속(FDMA)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모뎀의 요구 전송속도는 최대 4800bps이고, 출력은 10mW로, 최소 송수신 거리는 약 200m 정도가 요구된다.
작동전압은 9V이고, RS-232C 통신포트를 이용하여 시스템 제어 모듈(120)의 UART(123)에 연결된다.
실시간 시스템을 위한 모뎀은 준 실시간 시스템에서 사용한 모뎀과 유사하지만 통신속도의 성능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 모뎀은 최대 56.7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가 있다.
무선 모뎀 모듈의 설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데이터의 전송속도와 통신거리이나, 실제적으로는 성능에 대한 비용의 문제와 데이터의 안정성, 신뢰성 있는 전송방법, 전력 소모량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장력측정용 센서(101)를 통해 낙석 발생시 와이어(11)에 작용하는 장력을 측정하고, 이를 시스템 제어 모듈(120)에서 비교 분석하여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방지망 상태를 판단한 뒤 그 결과를 무선 모뎀 모듈(130)을 통해 중앙 서버(220)까지 무선으로 전송하는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낙석 감지 시스템은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방지망 상태 등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100)가 계측 데이터로부터 분석하여 출력하는 각종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받아 이를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링 시스템(200)을 포함하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리자가 클라이언트 컴퓨터(230)를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중앙 서버(220)에 접속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웹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100)로부터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보호망 상태 등의 각종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받아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하는 중앙 서버(220)와, 상기 중앙 서버(220)와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100) 간의 데이터 무선 전송을 위하여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100)의 무선 모뎀 모듈(130)과 무선통신하는 중앙 서버측 무선 모뎀 모듈(130)과, 인터넷망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 서버(220)가 제공하는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컴퓨터(230)는 관리사무소에 설치되어 각 관리자가 인터넷망을 통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중앙 서버(220)에 접속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관리자는 클라이언트 컴퓨터(230)를 이용하여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관리자는 클라이언트 컴퓨터(230)를 조작하여 원격 무선 장력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중앙 서버(220)를 경유하여 각종 제어신호가 무선 모뎀 모듈(130)을 통해 원격 무선 장력제어장치의 시스템 제어 모듈(120)로 전송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220)는 복수의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100)와 무선통신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이때 각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100)가 복수의 센서(101)를 통해 계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출력하면 중앙 서버(220)는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100)들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하는 바, 관리자는 해당 클라이언트 컴퓨터(230)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100)에 의해 감지된 특정 낙석방지망(10)에 대하여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방지망 상태 등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위의 설명에서,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100)와 중앙 서버(220) 간의 무선통신은 현재까지 알려진 공지의 무선통신기술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인 블루투스 통신 기술이나, 원거리 통신으로 적용 가능한 CDMA 통신(CDMA 모뎀 적용) 기술, 무선 인터넷 통신 기술 등의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클라이언트 컴퓨터(230)가 인터넷망을 통해 중앙 서버(220)에 접속하여 정보를 제공받는 것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의해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중앙 서버(220)와 클라이언트 컴퓨터(230)는 인터넷망뿐만 아니라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연결이 가능한 현재까지 알려진 임의의 통신방법을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의 낙석 감시 시스템에서 시스템 제어 모듈이 신호 전처리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계측신호를 분석하여 낙석 발생 여부와 낙석방지망 상태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낙석 감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100)에서 낙석방지망(10)의 와이어(11)상에 설치된 장력측정용 센서(101)들이 각각 장력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장력측정용 센서(101)가 출력한 아날로그 신호 형태의 계측 데이터는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100)의 신호 전처리 모듈(110)에서 증폭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시스템 제어 모듈(120)에 입력된다.
상기 시스템 제어 모듈(120)에서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장력의 변화량을 계산하고, 이 장력의 변화량을 실험을 통해 낙석의 중력과 와이어 장력 간의 상관관계로부터 얻은 기준치(예를 들면, 실험실에서 모형실험을 통하여 떨어진 낙석의 중력에 대한 길이변화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취득한 데이터)와 비교하게 된다.
이때, 시스템 제어 모듈(120)은 변화량의 측정값이 기준치 이하가 되면 사면이 안정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며, 반대로 측정값이 기준치보다 클 경우 낙석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낙석 발생 가능성에 대한 경고를 하게 되며, 이때 낙석 주의 경고를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낙석 주의 경고를 위한 신호는 무선 데이터 모듈을 통해 중앙 서버(220)로 무선 전송되어 입력되며, 이때 관리사무소의 관리자는 인터넷망을 통해 중앙 서버(220)로 접속하여 낙석 주의 경고를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고에 의해 관리자는 기준치보다 큰 장력 변화량을 나타내는 장력측정용 센서가 설치된 위치에서 낙석이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관리자는 낙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낙석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안전조치를 취한다.
만약, 변화량의 측정값이 기준치보다 크고 미리 설정된 허용장력보다 클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 모듈(120)은 낙석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낙석 발생에 대한 경고를 하게 되며, 이때 낙석 발생 경고를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낙석 발생 경고를 위한 신호는 무선 데이터 모듈을 통해 중앙 서버(220)로 무선 전송되어 입력되며, 이때 관리사무소의 관리자는 인터넷망을 통해 중앙 서버(220)로 접속하여 낙석 발생 경고를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관리자는 허용장력보다 큰 장력 변화량을 나타내는 장력측정용 센서(101)가 설치된 위치에서 낙석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보수 보강을 위한 인력 및 장비를 투입하여 낙석에 의한 사고 발생이 없도록 사후 조치를 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낙석 감지 시스템은 현장에서 낙석 경고 주의나 낙석 발생 주의를 통행자나 통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경고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장치(3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100)의 시스템 제어 모듈(120)이 무선 모뎀 모듈(130)을 통해 무선 전송하는 경고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상기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100)의 무선 모뎀 모듈(13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모뎀 모듈(130), 이 무선 모뎀 모듈(130)이 수신한 경고 신호에 의해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20), 그리고 상기 제어부(320)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실시간으로 위험상태를 경고하는 경고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의 낙석 감시 시스템에서 경고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경고수단(330)은 소리로 경고하기 위하여 제어부(320)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경고상태를 알리는 소리를 출력하도록 된 소리출력장치(331)가 될 수 있고, 이와 함께 제어부(320)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경고상태를 문자나 그림 등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경고 표지판(332)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경고 표지판(332) 및 소리출력장치(331) 등을 구비한 경고장치(300)은 도로상에서 위험상태를 미리 경고하기 위하여 위험지역 200m 전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고수단(330)은 측정된 장력의 변화량이 기준치보다 큰 경우 시스템 제어 모듈(120)이 출력하는 신호에 의해 낙석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리는 경고를 하게 되고, 측정된 장력의 변화량이 허용장력보다 큰 경우 시스템 제어 모듈(120)이 출력하는 신호에 의해 낙석이 발생함을 알리는 경고(예, 낙석 붕괴, 통행금지)를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간단히 컴퓨터로부터 낙석방지망의 안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안전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인력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면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위험에 더욱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바, 안전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유선 감시 시스템과 비교할 때 장거리의 케이블 및 부속장비가 불필요하므로 시스템의 설치 및 구성이 용이하고, 초기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으 며, 유지 관리 측면에서도 용이한 장점이 있게 된다.

Claims (5)

  1. 암반 사면에 대한 낙석이나 붕괴의 위험을 감시하는 낙석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낙석방지망에서 종, 횡으로 교차된 와이어상의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위치에서의 와이어 장력상태를 감지하여 신호 출력하는 다수의 장력측정용 센서를 포함하면서 상기 각 장력측정용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토대로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방지망 상태를 판단한 후 그 결과를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와;
    상기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방지망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링 시스템;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가 상기 다수의 장력측정용 센서 및 이 장력측정용 센서들이 유선 연결되는 장치 본체로 구성되되,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장력측정용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 후 디지털 신호 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전처리 모듈과;
    상기 신호 전처리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방지망 상태를 판단한 후 그 결과를 출력하는 시스템 제어 모듈과;
    상기 시스템 제어 모듈의 결과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시스템 제어 모듈에 연결되고 모니터링 시스템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 모뎀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로부터 하기 무선 모뎀 모듈을 통해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보호망 상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받아 외부로 제공하는 중앙 서버와;
    상기 중앙 서버에 연결되고 상기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와 무선통신을 위한 중앙 서버측 무선 모뎀 모듈과;
    관리자가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보호망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 서버에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와 각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각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인터넷망을 통해 중앙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낙석 발생 여부 및 낙석보호망 상태 정보를 제공받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도로상에서 위험상태를 경고하기 위하여 위험지역 전, 후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로부터 무선 모뎀 모듈을 통해 경고 신호를 수신받아 실시간으로 위험상태를 알려주는 경고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
KR1020060037421A 2006-04-26 2006-04-26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 KR20070105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421A KR20070105396A (ko) 2006-04-26 2006-04-26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421A KR20070105396A (ko) 2006-04-26 2006-04-26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396A true KR20070105396A (ko) 2007-10-31

Family

ID=3881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421A KR20070105396A (ko) 2006-04-26 2006-04-26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53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347B1 (ko) * 2008-09-04 2009-08-11 주식회사 비엔에이 환경 데이터 수집장치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KR101695959B1 (ko) * 2015-07-24 2017-01-1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토석류 피해 저감 구조물의 토석류 감지 및 경보장치
KR20180137889A (ko) 2017-06-20 2018-12-28 주식회사 이에스피 낙석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184920B1 (ko) * 2019-06-14 2020-12-0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347B1 (ko) * 2008-09-04 2009-08-11 주식회사 비엔에이 환경 데이터 수집장치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KR101695959B1 (ko) * 2015-07-24 2017-01-1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토석류 피해 저감 구조물의 토석류 감지 및 경보장치
KR20180137889A (ko) 2017-06-20 2018-12-28 주식회사 이에스피 낙석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184920B1 (ko) * 2019-06-14 2020-12-0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로드셀을 이용한 낙석 모니터링 및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85135B (zh) 一种高速公路机动车颗粒物排放的测定、评估与警示装置及方法
KR102155529B1 (ko) 터널 선행침하 경보장치
US202103022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ydrogeological risk
KR101816566B1 (ko) 차량센서를 활용한 교량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195111A (ja) 斜面崩壊早期警報システム
WO2020116032A1 (ja) 道路監視システム、道路監視装置、道路監視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20070105396A (ko) 원격 무선 장력측정장치를 이용한 낙석 감시 시스템
CN110766947A (zh) 一种超载车辆的管理系统、方法和设备
KR20190080258A (ko) 비탈면의 복합위험 감지시스템
CN105096620B (zh) 一种高速公路机动车气态污染物排放的测定、评估与警示装置及方法
CN11219941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桥梁健康监测系统
KR101353387B1 (ko) 변위센서를 이용한 통신 구조물 안전상태 감시 시스템
CN106352822A (zh) 一种农机具作业耕深实时监测系统
JP2002228497A (ja) 落石防護ネット警報装置
CN206321297U (zh) 一种结合路面特征的道路积水数据采集系统
CN112799123B (zh) 一种软硬围岩过渡段钻爆施工振动探测方法及相关设备
CN211696662U (zh) 一种风振响应监测系统
KR102039000B1 (ko) 사면붕괴 계측용 봉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면붕괴 계측 방법
KR20160114375A (ko) 실시간 낙석 피해 경고/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862820B (zh) 一种周界报警系统
CN206546154U (zh) 一种穿线管位移监测装置
KR102264086B1 (ko) 비탈면 상태 분석 기능을 가지는 비탈면 실시간 무인 감시 서비스 장치
CN206160968U (zh) 一种农机具作业耕深实时监测系统
JP3455430B2 (ja) 自然災害発生検知装置及び自然災害発生検知方法
KR10075547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낙석 신호등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