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898B1 - 수동 결속 공구 - Google Patents

수동 결속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898B1
KR102184898B1 KR1020187032936A KR20187032936A KR102184898B1 KR 102184898 B1 KR102184898 B1 KR 102184898B1 KR 1020187032936 A KR1020187032936 A KR 1020187032936A KR 20187032936 A KR20187032936 A KR 20187032936A KR 102184898 B1 KR102184898 B1 KR 102184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band
tightening
binding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415A (ko
Inventor
도루 기타고
Original Assignee
헤라만타이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라만타이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헤라만타이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8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65B13/027Hand-held tools for applying straps having preformed connecting means, e.g. cable 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applying separate securing members, e.g. deformable clips
    • B65B13/345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2Means for controlling tension of bi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결속 밴드의 적절한 체결을 실행할 수 있는 수동 결속 공구를 제공한다. 수동 결속 공구는, 핸들부(22)와 대향하도록 공구 본체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마련된 제1 조작구(30)와, 결속 밴드의 밴드부의 긴 쪽 방향 타 단부측을 상기 제1 조작구의 변위 조작에 따라 헤드부에 대하여 잡아당길 수 있는 조임 기구(40)와, 상기 조임 기구에 의하여 잡아당겨진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 타 단부측을, 이것이 상기 헤드부측으로 복귀 이동하지 않도록 보유 지지할 수 있는 보유 지지 기구(70)와,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마련된 제2 조작구(80·30)와,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 타 단부측을 상기 제2 조작구의 변위 조작에 따라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 일 단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 기구(90)와,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마련된 제3 조작구(80·30)와,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 타 단부측을 상기 제3 조작구의 변위 조작에 따라 절단할 수 있는 절단 기구(10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수동 결속 공구
본 발명은 수동 결속 공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금속제의 결속 밴드에 대하여 사용되는 수동 결속 공구(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수동 결속 공구는, 핸들 및 레버와, 결속 밴드의 헤드부를 통과 후의 밴드부를 상기 헤드부에 대하여 잡아당기는 조임 기구와, 상기 밴드부의 선단부측을 기단부에, 상기 헤드부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고정 기구와, 상기 밴드부를 상기 헤드부 근방에서 절단하는 절단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동 결속 공구는, 상기 조임 기구에 의한 조임력의 최댓값을 임의로 설정 가능한 조임력 조절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동 결속 공구는, 상기 레버가 회동 조작된 때, 상기 조임 기구에 의한 조임력이 최댓값(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는 상기 조임 기구를 동작시키고, 조임력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조임 기구 대신 상기 고정 기구 및 상기 절단 기구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수동 결속 공구에 의하면, 상기 압출 기구 및 상기 절단 기구의 동작 시기가, 상기 레버의 회동 조작의 계속에 의하여 상기 조임 기구에 의한 조임력이, 상기 조임력 조절 기구에 의하여 설정된 최댓값에 도달한 때로 한정되어 있었다. 즉, 상기 조임 기구에 의한 조임력이 최댓값에 도달하기 전 또는 후의 원하는 시기에 상기 압출 기구 및 상기 절단 기구를 임의로 동작시키지 못하였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결속 밴드가, 상기 피결속 대상을 이루는 선형 부재의 다발이 풀어질만큼 헐겁게 체결되어 있을 때, 또는 상기 결속 밴드가 상기 피결속 대상에 손상을 입힐만큼 빡빡하게 체결되어 있을 때라도, 상기 조임 기구에 의한 조임력이 최댓값에 도달하면 상기 압출 기구 및 상기 절단 기구를 동작시켜 버려, 상기 결속 밴드의 적절한 체결을 하지 못할 우려가 있었다.
국제 공개 제2014/024295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결속 밴드의 적절한 체결을 실행할 수 있는 수동 결속 공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수동 결속 공구는,
띠형의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 일 단부에 마련된 헤드부를 구비하는 금속제의 결속 밴드에 의하여 피결속 대상을 결속하기 위하여, 상기 결속 밴드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는 수동 결속 공구이며,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돌출 설치된 핸들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속 설치되고 또한 상기 결속 밴드의 헤드부를 세트 가능하게 형성된 세트부를 갖는 공구 본체와,
상기 핸들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마련된 제1 조작구와,
상기 세트부에 세트 완료된 상기 헤드부를 통과 후의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 타 단부측을, 상기 제1 조작구의 변위 조작에 따라, 상기 헤드부에 대하여 떨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 조임 기구와,
상기 조임 기구에 의하여 잡아당겨진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 타 단부측을, 이것이 상기 헤드부측으로 복귀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공구 본체에 보유 지지할 수 있는 보유 지지 기구와,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마련된 제2 조작구와,
상기 세트부에 세트 완료된 상기 헤드부를 통과 중인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 타 단부측을, 상기 제2 조작구의 변위 조작에 따라,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 일 단부에 상기 헤드부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 기구와,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마련된 제3 조작구와,
상기 세트부에 세트 완료된 상기 헤드부를 통과 후의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 타 단부측을, 상기 제3 조작구의 변위 조작에 따라,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으로 분리하고자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절단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공구 본체는 피스톨 형상을 갖고,
상기 세트부는, 상기 공구 본체에 있어서 총구 부분에 상당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세트부는, 당해 세트부에 세트된 상기 헤드부를 통과 후의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 타 단부측이 상기 하우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핸들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구 본체에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세트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2 조작구와 상기 제3 조작구는 동일한 조작구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2 조작구와 상기 제3 조작구는 각각,
상기 제1 조작구와,
상기 제1 조작구의 변위에 따라 동작하는 기구를 상기 조임 기구와 상기 고정 기구 및 상기 절단 기구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전환 조작구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전환 조작구는, 상기 핸들부 및 상기 제1 조작구의 각각과 함께 파지될 수 있도록,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하여 상기 제1 조작구와 일체적으로 변위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1 조작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상기 제1 조작구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조작구의 변위 중에 상기 전환 조작구에 의한 전환을 불능으로 하는 기구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결속 밴드의 적절한 체결을 실행할 수 있는 수동 결속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수동 결속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동 결속 공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3a는 도 1의 수동 결속 공구에 대하여 사용되는 결속 밴드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이 결속 밴드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4a는 도 3의 결속 밴드의 기단부측의 종단면도이고, 도 4b는 이 기단부측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수동 결속 공구의 개략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수동 결속 공구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수동 결속 공구의 선단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수동 결속 공구에 있어서의 조임 기구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조임 기구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조임 기구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수동 결속 공구에 있어서의 고정 기구 및 절단 기구가 각각 제1 상태에 있는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고정 기구 및 절단 기구가 각각 제2 상태에 있는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고정 기구 및 절단 기구가 각각 제3 상태에 있는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7a는 도 1의 수동 결속 공구에 있어서의 세트부가 하우징부로부터 떼어내진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17b는 이 세트부와는 다른 세트부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의 수동 결속 공구에 있어서의 조임력 조절 기구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조임력 조절 기구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의 수동 결속 공구에 있어서의 해제 기구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해제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해제 기구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의 측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수동 결속 공구(1)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X 방향을 상기 수동 결속 공구(1)의 전 방향으로 하고, 화살표 Y 방향을 상기 수동 결속 공구(1)의 상 방향으로 하고, 화살표 Z 방향을 상기 수동 결속 공구(1)의 좌 방향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동 결속 공구(1)는, 금속제의 결속 밴드(2)에 의하여 피결속 대상(예를 들어 배선 또는 배관 등의 선형 부재(4)의 다발)(3)을 결속하기 위하여, 상기 결속 밴드(2)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속 밴드(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형의 밴드부(10)와, 상기 밴드부(10)의 긴 쪽 방향 일 단부(기단부)(12)에 마련된 헤드부(11)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동 결속 공구(1)는, 상기 피결속 대상(3)에 권회되고 또한 상기 헤드부(11)를 통과 후의 상기 밴드부(10)의 긴 쪽 방향 타 단부(선단부)(13)측을, 상기 결속 밴드(2)가 당해 피결속 대상(3)을 체결하도록 상기 헤드부(11)에 대하여 잡아당기고, 상기 밴드부(10)의 조임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선단부(13)측을 상기 기단부(12)에, 상기 헤드부(11)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속 밴드(2)의 밴드부(10)는 스테인리스 강판 등의 금속제 부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며, 소정의 대역 폭을 갖는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밴드부(10)의 기단부(12)는 관통 구멍(1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는, 끝이 가는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헤드부(11)는 스테인리스 강판 등의 금속제 부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며, 상기 밴드부(10)에 외측에서 끼움 가능한 C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11)는, 상기 밴드부(10)를 통과시킬 수 있는 통과 구멍(15)과, 상기 관통 구멍(14)과 각각 동축적으로 위치하는 제1 개구부(16) 및 제2 개구부(17)를 구비하며, 돌기부(18·19)에 의하여 상기 밴드부(10)의 기단부(12)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동 결속 공구(1)는 공구 본체(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구 본체(20)는, 하우징부(21)와, 상기 하우징부(21)로부터 돌출 설치된 핸들부(22)와, 상기 하우징부(21)에 연속 설치되고 또한 상기 결속 밴드(2)의 헤드부(11)를 세트 가능하게 형성된 세트부(23)를 갖고 있다.
상기 하우징부(21) 및 상기 핸들부(22)는, 서로 착탈 가능한 좌측부(25) 및 우측부(26)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부(21)는 중공 형상을 가지며, 전단부(선단부)측이 전후 중도부에 비하여 가늘어지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핸들부(22)는 상기 하우징부(21)의 전후 중도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핸들부(22)에는 그립(24)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공구 본체(20)는 피스톨 형상을 가지며, 상기 세트부(23)는 상기 공구 본체(20)에 있어서 총구 부분에 상당하는 영역(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세트부(23)는,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이 상기 헤드부(11)(상기 통과 구멍(15))를 통과하고 또한 여기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상기 헤드부(11)를 세트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세트부(23)는, 도 7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1)를 전방으로부터 끼워맞출 수 있는 끼워맞춤부(27)와, 상기 끼워맞춤부(27)에 끼워맞춰진 상기 헤드부(11)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후방으로 안내할 수 있는 안내부(28)를 갖고 있다. 상기 안내부(28)는,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폭 W1을 갖는 전방 통과로(29)를 포함하며, 상기 끼워맞춤부(27)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동 결속 공구(1)는 제1 조작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조작구는, 상기 공구 본체(20)의 핸들부(22)와 대향하도록 상기 공구 본체(20)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구는, 인위적으로 변위 조작(회동 조작) 가능한 트리거(30)이며, 제1 조작부(31)와, 상기 제1 조작부(31)로부터 연장 돌출하는 좌우의 연장 돌출부(32)를 갖고 있다.
상기 트리거(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조작부(31)는, 상기 하우징부(21)의 하방에 또한 상기 핸들부(22)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조작부(31)에는 그립(3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연장 돌출부(32)는 대략 상기 하우징부(2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연장 돌출부(32)는, 각각의 상단부에서 상기 하우징부(21)에 보유 지지된 부싱(3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리거(30)는, 상기 제1 조작부(31)가 상기 핸들부(22)로부터 소정량 떨어진 비조작 위치(도 5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또는 상기 제1 조작부(31)가 상기 비조작 위치보다도 상기 핸들부(22)에 근접한 조작 위치(도 5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30)는, 비조작 시에는 킥 스프링(36)의 힘에 의하여 상기 비조작 위치에 유지된다.
한편, 상기 트리거(30)는, 상기 킥 스프링(36)의 힘에 대항하여 조작된 때는 상기 조작 위치를 취하도록 상기 부싱(35)을 지지점으로 하여 도 5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은 상기 트리거(30)의 조작이 종료된 경우, 상기 트리거(30)는 상기 비조작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킥 스프링(36)의 힘에 의하여 도 5 중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도 8,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동 결속 공구(1)는 조임 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임 기구(40)는, 상기 세트부(23)에 세트 완료된 상기 헤드부(11)를 통과 후의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상기 트리거(30)의 변위 조작에 따라, 상기 헤드부(11)에 대하여 떨어지는 방향(후방)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임 기구(40)는, 대략 상기 공구 본체(20)의 하우징부(21) 내에 마련되며, 상기 트리거(30)와 상기 하우징부(21)의 선단부 사이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조임 기구(40)는 조임 레버(41)와 트리거 링크(42)와 링크 바(43), 후방 척 바(44)와 전방 척 바(45)와 척(46)을 갖고 있다.
상기 조임 레버(41)는, 좌우의 판부(51)와, 상기 좌우의 판부(51)을 연결하는 연결부(52)를 갖고 있다. 상기 조임 레버(41)는, 상기 좌우의 판부(51)의 전후 중도부가 상기 트리거(30)의 좌우의 연장 돌출부(32)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연결부(52)가 상기 좌우의 연장 돌출부(32)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판부(51)는 각각의 상단부에서 상기 부싱(3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판부(51)의 하부에는 각각 긴 구멍(53)이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 존재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긴 구멍(53)에는, 제1 핀(54)이 당해 긴 구멍(53)의 긴 쪽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관통되어 있다. 상기 제1 핀(54)은, 후술하는 텐션 슬라이드(121)의 하단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조임 기구(40)에 의한 조임 중에는 상기 긴 구멍(53)의 상부 내에 유지된다(도 18 참조).
상기 연결부(52)는 상기 좌우의 판부(51) 사이에 연장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임 레버(41)의 전단부(상기 좌우의 판부(51)의 각각의 전단부 및/또는 상기 연결부(52))에는, 오목부(55)가 대략 전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55)는 전환 핀(85)과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환 핀(85)은, 상기 트리거(3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오목부(55)와 걸림 탈피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 레버(41)는, 상기 트리거(30)가 상기 비조작 위치에 있을 때는 킥 스프링(56)의 힘에 의하여 도 5에 도시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조임 레버(41)는, 상기 트리거(30)가 상기 비조작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 위치로 이행할 때는, 상기 전환 핀(85)을 통해 상기 킥 스프링(56)의 힘에 대항하는 힘을 받아 상기 부싱(35)을 지지점으로 하여 도 5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트리거 링크(42)는, 좌우의 판부(57)와, 상기 좌우의 판부(57)를 연결하는 연결부(58)를 갖고 있다. 상기 트리거 링크(42)는, 상기 좌우의 판부(57)의 전방부 및 상기 연결부(58)가 각각 상기 조임 레버(41)의 좌우의 판부(51)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판부(57)는 각각의 상단부에서 상기 부싱(3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판부(57)의 하부에는 각각, 오목부(59)가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59)에는, 상기 조임 레버(41)에 있어서의 상기 긴 구멍(53)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제1 핀(54)이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리거 링크(42)는, 상기 핀(54)과의 걸림 결합에 의하여 상기 조임 레버(41)와 일체적으로 상기 부싱(35)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링크 바(43)는 긴 형상을 가지며, 상기 트리거 링크(42)의 후측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링크 바(43)는, 긴 쪽 방향 일 단부(전방 하단부)에서 상기 트리거 링크(42)의 좌우의 판부(57)의 후 하단부에 제2 핀(61)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 바(43)는, 상기 트리거 링크(42)와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후 상방으로 연장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후방 척 바(44)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긴 쪽 방향 일 단부(후단부)에서 상기 링크 바(43)의 긴 쪽 방향 타 단부(후방 상단부)와 제3 핀(62)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3 핀(62)의 긴 쪽 방향 양단부의 각각에는 통형체(63)가 외측에서 끼워져 있다. 상기 통형체(63)는, 상기 하우징부(21)의 내면측에 마련된 가이드 홈(64)에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전방 척 바(4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긴 쪽 방향 일 단부(후단부)에서 상기 후방 척 바(44)의 긴 쪽 방향 타 단부(전단부)와 제4 핀(65)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방 척 바(45)는, 긴 쪽 방향 타 단부(전단부)가 상기 세트부(23)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 척 바(44)와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척 바(45)는, 상기 후방 척 바(44)와 일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전방 척 바(45)는, 상기 후방 척 바(44)가 상기 가이드 홈(64)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후방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후방 척 바(44)가 상기 가이드 홈(64)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방 척 바(45)는, 가장 전측에 위치할 때, 도 5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전방 척 바(45)의 전단부가 상기 세트부(23)(상기 안내부(28))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상기 전방 척 바(45)는, 가장 후측에 위치할 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전방 척 바(45)의 전단부가 상기 세트부(23)로부터 후방으로 소정량 떨어진 상태로 된다.
상기 척(46)은, 상기 전방 척 바(45)의 전단부에 제5 핀(66)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척(46)은, 상기 전방 통과로(29)를 통과 후의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통과시키기 위한 후방 통과로(67)가 상기 전방 척 바(45)의 전단부 내에 형성되도록, 상기 전방 척 바(45)의 전방 상단부(68)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척(46)은, 상기 후방 통과로(67)에 면하는 클로부를 후방 상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척(46)은, 당해 척(46)의 클로부를 사용하여, 상기 후방 통과로(67)를 통과 중인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의 일부를 상기 전방 척 바(45)의 전방 상단부(68)와 협동하여 집기 위하여, 킥 스프링(69)에 의하여 도 10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척(46)은,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의 일부를 집은 때,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이 상기 후방 통과로(67)를 빠져나가는 방향(전 방향)으로 복귀 이동하는 것은 저지하고, 또한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이 상기 후방 통과로(67)를 상기 빠져나가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후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은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척(46)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척 바(45)의 전단부가 최전 위치, 즉, 상기 세트부(23)의 바로 뒤에 있을 때는, 상기 킥 스프링(69)의 힘에 대항하여 회동하도록 상기 세트부(23)(상기 안내부(28))에 닿아,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이 이동 가능해지도록 상기 후방 통과로(67)를 해방 상태로 한다.
상기 수동 결속 공구(1)는 또한 보유 지지 기구(7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유 지지 기구(70)는, 상기 조임 기구(40)에 의하여 잡아당겨진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이것이 상기 세트부(23)에 세트 완료된 상기 헤드부(11)측(전측)으로 복귀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공구 본체(20)에 보유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 기구(70)는 복귀 방지 척(7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복귀 방지 척(71)은, 상기 세트부(23)의 안내부(28)에 제6 척 핀(72)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귀 방지 척(71)은 상기 척(46)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 통과로(67)와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상기 전방 통과로(29)가 상기 안내부(28) 내에 형성되도록, 상기 안내부(28)의 상단부(73)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복귀 방지 척(71)은, 상기 전방 통과로(29)에 면하는 클로부를 후방 상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복귀 방지 척(71)은, 당해 복귀 방지 척(71)의 클로부를 사용하여, 상기 전방 통과로(29)를 통과 중인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의 일부를 상기 안내부(28)의 상단부(73)와 협동하여 집기 위하여, 킥 스프링(74)에 의하여 도 10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복귀 방지 척(71)은,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의 일부를 집은 때,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이 상기 전방 통과로(29)를 빠져나가는 방향(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저지하고, 또한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이 상기 전방 통과로(29)를 상기 빠져나가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 13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동 결속 공구(1)는 또한 제2 조작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조작구는, 상기 공구 본체(20)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구는, 상기 트리거(30)와, 인위적으로 변위 조작(회동 조작) 가능한 전환 조작구로서의 전환 레버(80)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환 레버(80)는 상기 트리거(30)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전환 레버(80)는, 상기 트리거(30)의 변위에 따라 동작하는 기구를 상기 조임 기구(40)와 후술하는 고정 기구(90)(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 기구(90) 및 절단 기구(100))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환 레버(80)는, 변위 시에 상기 트리거(30)와 일체적으로 변위 가능하고 또한 상기 트리거(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상기 트리거(30)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환 레버(80)는, 제2 조작부(81)와, 상기 제2 조작부(81)로부터 연장 돌출하는 좌우의 연장 돌출부(82)를 갖고 있다. 상기 전환 레버(80)는,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됨과 함께, 상기 트리거(30)의 전측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 조작부(81)는 상기 하우징부(21)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의 연장 돌출부(82)는 상기 하우징부(2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환 레버(80)는, 그 상하 중도부에서 상기 트리거(30)의 상하 중도부에 제7 핀(83)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전환 레버(80)에 있어서는, 상기 좌우의 연장 돌출부(82)의 상단부 사이에, 상기 전환 핀(85)이 상기 전환 레버(80) 및/또는 상기 트리거(30)의 조작에 따라 변위 가능하도록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 레버(80)는, 상기 제2 조작부(81)가 상기 트리거(30)에 대하여 변위되지 않는 제1 전환 조작 위치(도 5 및 도 13 참조)와, 상기 제2 조작부(81)가 상기 트리거(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된 제2 전환 조작 위치(도 14 및 도 15 참조)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환 레버(80)는, 비조작 시에는 킥 스프링(86)의 힘에 의하여 상기 제1 전환 조작 위치에 유지된다.
한편, 상기 전환 레버(80)는, 상기 킥 스프링(86)의 힘에 대항하여 조작된 때는 상기 제2 전환 조작 위치를 취하도록 상기 제7 핀(83)을 지지점으로 하여 도 13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전환 레버(80)의 조작이 종료된 경우, 상기 전환 레버(80)는 상기 제1 전환 조작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킥 스프링(86)의 힘에 의하여 회동된다.
상기 전환 레버(80)는, 상기 제1 전환 조작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트리거(30)와 함께 변위된 때는 상기 전환 핀(85)을 상기 조임 레버(41)의 오목부(55)에 걸림 결합시킨다(도 11 참조). 상기 전환 레버(80)는, 상기 트리거(30)가 상기 비조작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킥 스프링(86)의 힘에 대항하여 조작된 때는 상기 전환 핀(85)을 후술하는 펀치 레버(91)에 걸림 결합시킨다(도 14 참조).
상기 수동 결속 공구(1)는 또한 상기 고정 기구(9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 기구(90)는, 상기 세트부(23)에 세트 완료된 상기 헤드부(11)를 통과 중인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의 일부를, 상기 전환 레버(80) 및 상기 트리거(30)의 각각의 변위 조작에 따라, 상기 밴드부(10)의 기단부(12)에 그 선단부(13)측을 상기 헤드부(11)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기구(90)는 대략 상기 공구 본체(20)의 하우징부(21)의 전방부 내에 마련되며, 상기 전환 레버(80) 및 상기 트리거(30)와 상기 세트부(23) 사이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 기구(90)는, 상기 전환 레버(80)의 전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조임 기구(40)와 택일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펀치 레버(91)와 홀더(92)와 펀치(93)를 갖고 있다.
상기 펀치 레버(91)는, 하방으로 볼록해지는 굴곡 형상을 가지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 존재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펀치 레버(91)는 상기 전방 척 바(45)보다도 하방에 배치되며, 전후 중도부에서 제8 핀(94)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21)의 전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8 핀(94)은 상기 펀치 레버(91)의 굴곡 부분보다도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펀치 레버(91)의 후단부(95)는, 상기 전환 레버(80)에 마련된 상기 전환 핀(85)과 하방으로부터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당해 전환 핀(85)의 하방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펀치 레버(91)의 전단부(96)는, 상기 세트부(23)의 끼워맞춤부(27) 내에 배치된 상기 홀더(92)와 걸림 결합하도록 상기 홀더(92)의 삽입 구멍(97)에 삽입되어 있다(도 7 및 도 10 참조).
상기 펀치 레버(91)는, 상기 전환 레버(80)가 상기 제1 전환 조작 위치에 있을 때, 킥 스프링(98)의 힘에 의하여 상기 전환 핀(85)과 걸림 결합하지 않도록 유지된다(도 13 참조). 상기 펀치 레버(91)는, 상기 전환 레버(80)가 상기 제2 전환 조작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전환 핀(85)을 통해 상기 킥 스프링(98)의 힘에 대항하는 힘을 받으면, 상기 전환 핀(85)과 걸림 결합하도록 회동된다(도 14 참조).
상기 전환 핀(85)과의 걸림 결합 후, 상기 펀치 레버(91)는, 상기 전환 레버(80)가 상기 트리거(30)와 함께 조작되면, 상기 제8 핀(94)을 지지점으로 하여 도 13 중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도 15 참조). 또한 상기 펀치 레버(91)는, 상기 전환 레버(80)가 상기 제2 전환 조작 위치로 이행할 때 상기 트리거(30)가 상기 비조작 위치에 없으면, 상기 전환 핀(85)과 걸림 결합 불능으로 된다.
상기 홀더(92)는 상기 끼워맞춤부(27)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홀더(92)는, 당해 홀더(9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기 삽입 구멍(97)을 가지며, 이 삽입 구멍(97)에 삽입된 상기 펀치 레버(91)의 전단부(96)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92)는, 상기 삽입 구멍(97)에의 상기 전단부(96)의 삽입 시에 상기 펀치 레버(91)의 회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펀치(93)는, 상기 홀더(92)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당해 홀더(9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펀치(93)는, 상방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게 형성된 첨단 형상의 돌출 단부를 가지며, 이 돌출 단부로부터 상기 밴드부(10)의 관통 구멍(14)과, 상기 헤드부(11)의 제1 개구부(16) 및 제2 개구부(17)를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펀치(93)는, 상기 세트부(23)에의 상기 헤드부(11)의 세트를 저해하지 않는 비변형 위치(도 13 참조), 또는 상기 세트부(23)에 세트 완료된 상기 헤드부(11) 내에서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의 일부를 볼록부(99)로 소성 변형시키고자 상기 제1 개구부(16), 상기 관통 구멍(14), 상기 제2 개구부(17)를 순서대로 통과하는 변형 위치(도 15 및 도 16 참조)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에 형성된 상기 볼록부(99)는, 상기 밴드부(10)의 긴 쪽 방향(전후 방향)에 대하여, 상기 헤드부(11)의 제2 개구부(17)의 내면과 걸림 결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결속 밴드(2)가 상기 피결속 대상(3)을 적절히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이 그 기단부(12)측에 상기 헤드부(11)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동 결속 공구(1)는 또한 제3 조작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3 조작구는, 상기 공구 본체(20)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3 조작구는 상기 제2 조작구와 동일한 조작구이며, 상기 트리거(30)와 인위적으로 변위(회동) 조작 가능한 전환 레버(8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 조작구가 상기 제3 조작구를 겸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수동 결속 공구(1)는 또한 상기 절단 기구(1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절단 기구(100)는, 상기 세트부(23)에 세트 완료된 상기 헤드부(11)를 통과 후의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상기 트리거(30) 및 상기 전환 레버(80)의 변위 조작에 따라 상기 밴드부(10)의 긴 쪽 방향으로 분리하고자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절단 기구(100)는 상기 펀치 레버(91)와 상기 홀더(92)와 커터 날(10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터 날(101)은, 상기 홀더(92)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당해 홀더(9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커터 날(101)은 상기 펀치(93)의 변위와 동기하여 변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터 날(101)은 상기 펀치(93)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커터 날(101)은, 상기 홀더(92)의 상방에의 변위에 의하여 상기 펀치(93)와 함께 상방으로 변위될 때,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에 대한 상기 펀치(93)의 작용 개시 시기보다도 늦은 시기에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의 절단을 완료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터 날(101)은, 상기 세트부(23)에 세트 완료된 상기 헤드부(11)의 통과 구멍(15)으로부터 상기 전방 통과로(29)를 향하여 후방으로 돌출하는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절단하지 않는 비절단 위치(도 13 참조), 또는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상기 헤드부(11)와 상기 보유 지지 기구(70) 사이에서 절단하는 절단 위치(도 15 참조)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피결속 대상(3)을 결속하기 위하여 상기 결속 밴드(2)에 대하여 상기 수동 결속 공구(1)를 사용하는 결속 작업의 실시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결속 밴드(2)를 상기 수동 결속 공구(1) 및 상기 피결속 대상(3)에 설치하기 위한 전처리 공정을 행한다. 즉, 상기 결속 밴드(2)의 밴드부(10)를 상기 피결속 대상(3)에 권취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 밴드(2)의 헤드부(11)를, 상기 수동 결속 공구(1)에 있어서의 상기 공구 본체(20)의 세트부(23)(상기 끼워맞춤부(27))에 세트한다.
상기 밴드부(10)를 그 선단부(13)측으로부터 상기 헤드부(11)의 통과 구멍(15), 상기 수동 결속 공구(1)에 있어서의 상기 전방 통과로(29), 상기 후방 통과로(67)의 순으로 통과시키고,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상기 보유 지지 기구(70)에 의하여 보유 지지한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결속 밴드(2)에 관한 작업의 재시도가 필요하면, 후술하는 해제 기구(150)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결속 밴드(2)의 임시 체결을 행하기 위하여, 상기 후방 통과로(67)를 통과 후의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인위적인 조작으로 상기 헤드부(11)에 대하여 떨어지는 방향(후방)으로 잡아당긴다. 이때,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의 이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유 지지 기구(70)에 있어서의 상기 복귀 방지 척(71), 및 상기 조임 기구(40)에 있어서의 상기 척(46)에 의하여 저해되지 않는다.
상기 전처리 공정 후, 상기 수동 결속 공구(1)의 조임 기구(40)를 사용하여, 상기 결속 밴드(2)가 상기 피결속 대상(3)에 대하여 원하는 체결 상태로 될 때까지 상기 밴드부(10)를 잡아당기는 조임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공구 본체(20)의 핸들부(22) 및 상기 트리거(30)를 파지하고, 상기 트리거(30)를, 도 9에 도시하는 상기 비조작 위치로부터 도 11에 도시하는 상기 조작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조작한다.
이 조작 시에는, 상기 전환 레버(80)가 상기 제1 전환 조작 위치인 채 상기 트리거(30)와 함께 변위하므로, 상기 전환 핀(85)이 먼저 상기 오목부(55)와 걸림 결합하도록 후방으로 변위하고, 계속해서 상기 오목부(55)와 걸림 결합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더 변위된다. 그 때문에, 상기 조임 레버(41)가 상기 전환 핀(85)에 의하여 눌리고, 상기 부싱(35)을 지지점으로 하여 도 9 중 반시계 방향 회동한다.
상기 조임 레버(41)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긴 구멍(53)에 삽입 관통된 상기 제1 핀(54)이 후방으로 변위된다. 상기 제1 핀(54)이 상기 오목부(59)에 걸림 결합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트리거 링크(42)가 상기 제1 핀(54)에 의하여 눌리고, 상기 부싱(35)을 지지점으로 하여 도 9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때문에, 상기 링크 바(43)가 후방 상단부를 상기 가이드 홈(64)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변위된다.
상기 링크 바(43)의 변위에 의하여 상기 후방 척 바(44)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상기 전방 척 바(45)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척(46)이, 먼저 상기 후방 통과로(67)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집기 위해 상기 세트부(23)로부터 떨어지도록 후방에의 이동을 개시하고, 계속해서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집은 상태에서 후방으로 더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조임 기구(40)가, 상기 결속 밴드(2)의 조임력을 소정량 상승시키도록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상기 헤드부(11)에 대하여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그 후, 상기 트리거(30)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고자 놓아 준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조임 기구(40)는, 상기 트리거(30)의 재조작에 의하여 동작 가능하도록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상기 조임 공정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트리거(30)의 조작을, 상기 결속 밴드(2)의 조임력이 원하는 조임력으로 될 때까지 적어도 1회 행한다. 또한 상기 조임 공정의 종료 시기(상기 결속 밴드(2)의 조임력이 원하는 조임력으로 되었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상기 결속 밴드(2)의 상태를 눈으로 보아 판단해도 되고, 후술하는 조임력 조절 기구(120)를 사용하여 판단해도 된다.
상기 조임 공정의 종료 후, 상기 고정 기구(90)를 사용하여, 상기 밴드부(10)의 기단부(12)에 그 선단부(13)측을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상기 트리거(30)가 상기 비조작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22) 및 상기 전환 레버(80)를 파지하고, 상기 전환 레버(80)를 도 13에 도시하는 상기 제1 전환 조작 위치로부터 도 14에 도시하는 상기 제2 전환 조작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조작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트리거(30)의 변위에 따라 동작하는 기구가 전환되도록, 상기 전환 핀(85)을 상기 펀치 레버(91)의 후단부(95)에 상방으로부터 걸림 결합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전환 레버(80)를 상기 제2 전환 조작 위치로 변위시킨 채로의 상태에서 상기 트리거(30)를 더 파지하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환 레버(80)와 함께 상기 조작 위치로 변위되도록 조작한다.
이 조작 시에는, 상기 펀치 레버(91)가 상기 전환 핀(85)에 의하여 눌리고, 상기 제8 핀(94)을 지지점으로 하여 도 14 중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때문에 상기 홀더(92)가 상방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상기 펀치(93)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트부(23)에 세트 완료된 상기 헤드부(11) 내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의 일부를 상기 볼록부(99)로 변형시키도록 상방으로 변위된다.
또한, 상기 조임 공정(상기 고정 공정)의 종료 후에는, 상기 절단 기구(100)를 사용하여,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의 여분의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절단 공정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 공정에서의 상기 전환 레버(80) 및 상기 트리거(30)의 한 번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절단 공정을 상기 고정 공정과 대략 같은 시기에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환 레버(80) 및 상기 트리거(30)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홀더(92)가 상방으로 변위될 때, 상기 커터 날(101)이, 상기 고정 기구(90)에 의한 고정 개시 후, 상기 복귀 방지 척(71)과, 상기 세트부(23)에 세트된 상기 헤드부(11) 사이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전후로 분단하고자 상방으로 변위를 개시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 기구(90)가,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그 기단부(12)에, 상기 헤드부(11)를 사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절단 기구(100)가,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에 있어서의 상기 여분의 부분을 절단 제거하게 된다. 그 후, 상기 트리거(30) 및 상기 전환 레버(80)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고자 놓아 준다.
그 때문에, 상기 고정 기구(90) 및 상기 절단 기구(100)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고정 공정 및 상기 절단 공정을 종료시킨 후, 상기 헤드부(11)를 상기 세트부(23)로부터 떼어냄과 함께,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에 있어서의 상기 쓸모없는 부분을 상기 보유 지지 기구(70) 등으로부터 떼어낸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수동 결속 공구(1)를 사용한 상기 결속 작업의 실시를 완료시킨다.
이상의 점에서, 상기 수동 결속 공구(1)에 의하면, 원하는 조임력을 갖는 상기 결속 밴드(2)에 의하여 상기 피결속 대상(3)을 결속할 수 있다. 이때는, 상기 고정 기구(90)에 의한 상기 밴드부(10)의 고정, 및 상기 절단 기구(100)에 의한 상기 밴드부(10)의 절단을, 상기 조임 기구(40)의 동작 결과와 무관하게 임의의 시기에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결속 밴드(2)에 의한 상기 피결속 대상(3)의 실제 체결 상황이 적절한 상태로 될 때까지 이를 눈으로 보거나 하여 확인하면서 상기 밴드부(10)의 조임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 기구(90)에 의한 상기 밴드부(10)의 고정, 및 상기 절단 기구(100)에 의한 상기 밴드부(10)의 절단을, 상기 밴드부(10)의 조임이 불충분한 상태에서 실행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즉, 상기 밴드부(10)의 고정 및 절단을, 예를 들어 상기 결속 밴드(2)가, 상기 피결속 대상(3)에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을만큼 빡빡하게 체결된 상태, 또는 상기 피결속 대상(3)인 다수의 선형 부재의 다발이 풀어질 우려가 있을만큼 헐겁게 체결된 상태에서 실행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결속 밴드(2)의 적절한 체결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공구 본체(20)가 피스톨 형상을 가지며, 상기 세트부(23)가, 상기 공구 본체(20)의 총구 부분에 상당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세트부(23)가, 상기 공구 본체(20)에 있어서의 비교적 가는 전단부(선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결속 작업 시, 상기 세트부(23)에 세트된 상기 헤드부(11)로부터 상기 밴드부(10)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피결속 대상(3)이, 그 주위에 설치물이 있는 장소 등의, 작업 공간이 비교적 좁은 장소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수동 결속 공구(1)를 사용할 때, 상기 세트부(23)(상기 헤드부(11))를 상기 피결속 대상(3)에 접근시키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기 수동 결속 공구(1) 및 상기 결속 밴드(2)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세트부(23)가, 상기 핸들부(22)의 돌출 방향과 반대측(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부(21)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속 밴드(2)를 상기 수동 결속 공구(1)에 설치한 경우에, 상기 밴드부(10)가 잡아당겨질 때,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이 상기 트리거(30) 등을 파지하는 손에 닿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2 및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구 본체(20)의 세트부(23)가, 상기 하우징부(2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폭 W2를 갖는 전방 통과로(29)를 포함하는 다른 세트부(113)(도 17b 참조)로 상기 세트부(23)를 대신하는 것만으로, 상기 결속 밴드(2)와는 상이한 대역 폭을 갖는 다른 결속 밴드에 대하여 상기 수동 결속 공구(1)의 대부분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다른 결속 밴드를 사용한 결속 작업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세트부(23)와 별도로 준비한 상기 다른 세트부(113)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상기 수동 결속 공구(1)(상기 세트부(23)를 제외함)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수동 결속 공구(1)와는 다른 수동 결속 공구(전부)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며, 상기 수동 결속 공구(1)를, 다양한 결속 밴드에 저비용으로 대응 가능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전환 레버(80)는, 상기 핸들부(22) 및 상기 트리거(30)의 각각과 함께 파지될 수 있도록, 상기 공구 본체(20)에 대하여 상기 트리거(30)와 일체적으로 변위 가능하고 또한 상기 트리거(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상기 트리거(30)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조임 기구(4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상기 핸들부(22) 및 상기 트리거(30)를 조작한 후, 상기 트리거(30)의 변위에 따라 동작하는 기구를 상기 조임 기구(40)로부터 상기 고정 기구(90) 및 상기 절단 기구(100)로 전환하고 동작시킬 때, 상기 트리거(30) 등의 고쳐 쥐기를 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트리거(30) 등을 파지한 채 상기 전환 레버(80)를 더 파지하고, 상기 전환 레버(80)를, 그리고 이에 추가하여 상기 트리거(30)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수동 결속 공구(1)의 조작을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동 결속 공구(1)가, 상기 트리거(30)의 변위 중에 상기 전환 레버(80)에 의한 전환을 불능으로 하는 기구를 갖고 있다. 즉, 상기 트리거(30)가, 상기 조임 기구(40)의 동작을 위하여 상기 비조작 위치로부터 변위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전환 레버(80)가 조작되더라도 상기 전환 핀(85)이 상기 펀치 레버(91)에 걸림 결합 불능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전환 레버(80)를 의도치 않게 변위시킨 경우(예를 들어 상기 조임 공정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30) 및 상기 핸들부(22)를 파지하지 않는 손가락을 상기 전환 레버(80)에 닿게 해 버린 경우)에 상기 밴드부(10)에 관한 고정 및 절단이 실행되도록, 상기 고정 기구(90) 및 상기 절단 기구(100)를 잘못 동작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수동 결속 공구(1)는 상기 조임력 조절 기구(1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임력 조절 기구(120)는, 상기 조임 기구(40)에 의한 상기 결속 밴드(2)의 조임력의 최댓값을 상승 또는 저하시키고자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임 공정의 종료 시기는, 상기 조임력 조절 기구(120)에 의하여 설정된 최댓값(설정값)에 기초하여 판단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 도 6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력 조절 기구(120)는 상기 텐션 슬라이드(121)와 텐션 스루(122)와 텐션 플레이트(123)와 텐션 베이스(124)와 텐션 다이얼(125)과 롤링 캠(126)과 압축 코일 스프링(127)을 갖고 있다. 상기 조임력 조절 기구(120)는 상기 하우징부(21)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텐션 슬라이드(1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상기 트리거 링크(42)에 있어서의 상기 좌우의 판부(5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텐션 슬라이드(121)의 하단부는 상기 조임 레버(41) 및 상기 트리거 링크(42)에 상기 제1 핀(54)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텐션 슬라이드(121)의 상단부는 상기 텐션 스루(122)에 롤러 핀(131)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텐션 스루(122)는 상기 부싱(35)의 후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부(21)에 제9 핀(130)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텐션 스루(122)의 전방부에는, 상기 롤러 핀(131)을 회동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오목부(13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텐션 스루(122)의 후방부에는, 제10 핀(132)을 대략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는 긴 구멍(13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텐션 플레이트(123)는 U자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텐션 플레이트(123)는, 그 폐색부가 상기 텐션 스루(12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텐션 스루(122)를 좌우로부터 사이에 둔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텐션 플레이트(123)는 상기 텐션 스루(122)에 상기 제9 핀(132)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텐션 베이스(124)는 상기 텐션 플레이트(123)의 폐색부의 후방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기 텐션 베이스(124)의 후측에는, 상기 텐션 다이얼(125)이 상기 하우징부(21) 밖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텐션 베이스(124)의 전측에는, 상기 롤링 캠(126)이 상기 하우징부(2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텐션 다이얼(125)은 복수의 회동 상태 중 어느 것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롤링 캠(126)은, 상기 텐션 다이얼(125)의 회동 상태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127)이, 신축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텐션 플레이트(123)와 상기 롤링 캠(126)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조임 기구(40)의 동작 시, 상기 결속 밴드(2)의 조임력이 최댓값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이면, 상기 롤러 핀(131)이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텐션 스루(122)에 의하여 전방측으로 소정의 힘으로 눌리고, 상기 텐션 슬라이드(121)가 이 롤러 핀(131)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조임 레버(41) 및 상기 트리거 링크(42)와 연동하여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 밴드(2)의 조임력이 최댓값에 도달하면, 상기 트리거(30)의 조작 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텐션 슬라이드(121)가 변위되도록 상기 텐션 스루(122)가 회동한다. 이때, 상기 제1 핀(54)이, 상기 트리거 링크(42)의 오목부(59)와의 걸림 결합을 해제하고자 상기 긴 구멍(53)의 하부 내로 이동하면서, 당해 오목부(59)에 연속 설치된 단차부(137)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트리거 링크(42)가 상기 조임 레버(41)에 연동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조임 레버(41)가 회동하더라도 상기 후방 척 바(44) 및 상기 전방 척 바(45)가 왕복 이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트리거(30)를 변위시킬 수는 있기는 하지만, 상기 조임 기구(40)에 의하여 상기 결속 밴드(2)의 조임력이 더 상승하고자 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텐션 다이얼(125)을 좌우 한쪽으로 회동 조작한 경우, 상기 롤링 캠(126)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127)을 압축한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텐션 스루(122)(상기 롤러 핀(131))를 더 강한 힘으로 누르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조임 기구(40)에 의한 상기 결속 밴드(2)의 조임력의 최댓값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상기 텐션 다이얼(125)을 좌우 다른 쪽에 회동 조작한 경우, 상기 롤링 캠(126)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127)을 신장시킨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텐션 스루(122)(상기 롤러 핀(131))를 더 약한 힘으로 누르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조임 기구(40)에 의한 상기 결속 밴드(2)의 조임력의 최댓값을 저하시키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텐션 다이얼(125)에 관한 상기 복수의 회동 상태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조임력 조절 기구(120)의 동작을 무효로 하는 소정의 회동 상태를 포함한다. 전술한 상기 조임력 조절 기구(120)에 관한 설명은, 상기 텐션 다이얼(125)이, 상기 소정의 회동 상태를 제외한 어느 회동 상태로 회동 조작된 경우의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동 결속 공구(1)는 해제 조작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해제 조작구는 상기 공구 본체(20)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해제 조작구는 인위적으로 조작 가능한 해제 핀(140)이다. 상기 해제 핀(14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긴 쪽 방향 일 단부측(좌측 단부측)이 상기 하우징부(21)의 긴 구멍(141)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해제 핀(140)은, 상기 하우징부(21)에 대하여 상기 긴 구멍(14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긴 구멍(141)의 후측에 위치하는 비해제 조작 위치와, 이 비해제 조작 위치보다도 상기 긴 구멍(141)의 전측에 위치하는 해제 조작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해제 핀(140)은, 상기 하우징부(21) 밖으로 노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수동 결속 공구(1)는 상기 해제 기구(1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해제 기구(150)는, 상기 보유 지지 기구(70)에 의한 상기 결속 밴드(2)의 밴드부(10)의 보유 지지를 상기 해제 핀(140)의 변위에 따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해제 기구(150)는 이동체(151)와 압박체(152)와 연결체(153)를 갖고 있다.
상기 이동체(15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상기 보유 지지 기구(70)(상기 복귀 방지 척(7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체(151)는, 상기 하우징부(21)의 내면측에 마련된 가이드 홈(155)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당해 하우징부(21)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이동체(151)의 후방부에는, 상기 해제 핀(140)의 긴 쪽 방향 타 단부측(우측 단부측)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압박체(152)는 봉상 부재로 이루어지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압박체(152)는, 상기 이동체(151)와 상기 복귀 방지 척(71) 사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박체(152)의 후단부에는 굴곡부(15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압박체(152)는 상기 굴곡부(156)를 통해 상기 이동체(151)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체(153)는 상기 압박체(152)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체(153)는, 상기 복귀 방지 척(71)과 연계하여 동작하도록 당해 복귀 방지 척(71)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결체(153)는, 상기 압박체(152)의 전단부에 대향하는 접촉면을 가지며, 이 접촉면에서 상기 압박체(152)의 전단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해제 기구(150)는, 상기 해제 핀(140)이 상기 비해제 조작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압박체(152)의 전단부가 상기 연결체(153)에 맞닿도록(또는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때는, 상기 해제 기구(150)에 의하여 상기 보유 지지 기구(70)의 작용(상기 복귀 방지 척(71)이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집는 작용)을 저해함없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해제 기구(150)는, 상기 해제 핀(140)이 상기 해제 조작 위치로 변위 조작되면, 상기 복귀 방지 척(71)이 도 20 중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압박체(152)가 상기 연결체(153)를 압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때, 상기 해제 기구(150)는,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이 이동 가능해지도록 상기 전방 통과로(29)를 해방 상태로 변경한다.
이와 같은 상기 해제 핀(140)의 조작이 종료된 경우, 상기 해제 핀(140)은, 상기 비해제 조작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킥 스프링(74)의 힘에 의하여 도 22 중 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해제 핀(140)은, 오조작의 발생을 가능한 한 피하고자 상기 하우징부(21)에 대하여 상기 트리거(30)의 돌출 방향(하방)과는 상이한 방향(좌측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결속 밴드(2)의 헤드부(11)를 상기 공구 본체(20)의 세트부(23)에 세트한 상태에서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상기 보유 지지 기구(70)에 의하여 유지시킨 경우, 상기 해제 기구(150)를 사용하여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상기 보유 지지 기구(70)로부터 해방하고, 상기 공구 본체(20)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수동 결속 공구(1)에의 상기 결속 밴드(2)의 설치 후, 상기 결속 밴드(2)에 의한 체결 위치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 또는 상기 피결속 대상(3)이 불완전한 것인 경우 등에, 상기 결속 밴드(2) 전부를 상기 수동 결속 공구(1)로부터 떼어내거나 상기 밴드부(10)의 선단부(13)측을 상기 헤드부(11)에 대하여 복귀 이동시키거나 하여, 상기 결속 밴드(2)에 관한 작업을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다시 할 수 있다.
1: 수동 결속 공구
2: 결속 밴드
3: 피결속 대상
10: 밴드부
11: 헤드부
20: 공구 본체
21: 하우징부
22: 핸들부
23: 세트부
30: 트리거(제1 조작구·제2 조작구 및 제3 조작구의 일부)
40: 조임 기구
70: 보유 지지 기구
80: 전환 레버(제2 조작구 및 제3 조작구의 전환 조작구)
85: 전환 핀
90: 고정 기구
100: 절단 기구

Claims (8)

  1. 띠형의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 일 단부에 마련된 헤드부를 구비하는 금속제의 결속 밴드에 의하여 피결속 대상을 결속하기 위하여, 상기 결속 밴드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는 수동 결속 공구에 있어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돌출 설치된 핸들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속 설치되고 또한 상기 결속 밴드의 헤드부를 세트 가능하게 형성된 세트부를 갖는 공구 본체와,
    상기 핸들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마련된 제1 조작구와,
    상기 세트부에 세트 완료된 상기 헤드부를 통과 후의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 타 단부측을, 상기 제1 조작구의 변위 조작에 따라, 상기 헤드부에 대하여 떨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 조임 기구와,
    상기 조임 기구에 의하여 잡아당겨진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 타 단부측을, 이것이 상기 헤드부측으로 복귀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공구 본체에 보유 지지할 수 있는 보유 지지 기구와,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마련된 제2 조작구와,
    상기 세트부에 세트 완료된 상기 헤드부를 통과 중인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 타 단부측을, 상기 제2 조작구의 변위 조작에 따라,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 일 단부에, 상기 헤드부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 기구와,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마련된 제3 조작구로서,
    상기 제2 조작구와 상기 제3 조작구는 동일한 조작구이고,
    상기 제2 조작구와 상기 제3 조작구는 각각,
    상기 제1 조작구와,
    상기 제1 조작구의 변위에 따라 동작하는 기구를 상기 조임 기구와 상기 고정 기구 및 절단 기구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전환 조작구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제3 조작구와,
    상기 세트부에 세트 완료된 상기 헤드부를 통과 후의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 타 단부측을, 상기 제3 조작구의 변위 조작에 따라,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으로 분리하기 위해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절단 기구와,
    상기 제1 조작구의 변위 중에 상기 전환 조작구에 의한 전환을 불능으로 하는 불능 기구를 구비하는, 수동 결속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본체는 피스톨 형상을 갖고,
    상기 세트부는, 상기 공구 본체에 있어서 총구 부분에 상당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수동 결속 공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부는, 당해 세트부에 세트된 상기 헤드부를 통과 후의 상기 밴드부의 긴 쪽 방향 타 단부측이 상기 하우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핸들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구 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수동 결속 공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수동 결속 공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조작구는, 상기 핸들부 및 상기 제1 조작구의 각각과 함께 파지될 수 있도록,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하여 상기 제1 조작구와 일체적으로 변위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1 조작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상기 제1 조작구에 설치되어 있는, 수동 결속 공구.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7032936A 2016-04-18 2016-04-18 수동 결속 공구 KR102184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62228 WO2017183073A1 (ja) 2016-04-18 2016-04-18 手動結束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415A KR20190018415A (ko) 2019-02-22
KR102184898B1 true KR102184898B1 (ko) 2020-12-01

Family

ID=6011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936A KR102184898B1 (ko) 2016-04-18 2016-04-18 수동 결속 공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08123B2 (ko)
EP (1) EP3446986A4 (ko)
JP (1) JP6640995B2 (ko)
KR (1) KR102184898B1 (ko)
CN (1) CN109415129B (ko)
WO (1) WO20171830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46987B1 (en) 2016-04-18 2022-05-18 HellermannTyton Co., Ltd. Manual binding tool
US10934044B2 (en) * 2017-03-31 2021-03-02 The Boeing Company Tools for releasing cable ties
US11008125B2 (en) 2018-05-18 2021-05-18 Panduit Corp. Tool for tensioning metal locking ties
US11511894B2 (en) 2019-09-26 2022-11-29 Hellermanntyton Corporation Cable tie application tool
USD1012641S1 (en) * 2021-10-25 2024-01-30 Aptiv Technologies Limited Tool nosepiece
CN114872952B (zh) * 2022-05-09 2024-02-23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扎带枪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4257A (ja) * 2011-01-06 2012-08-02 Hellermann Tyton Co Ltd 手動型結束工具
WO2014024295A1 (ja) 2012-08-09 2014-02-13 ヘラマンタイトン株式会社 手動結束工具
WO2014024296A1 (ja) * 2012-08-09 2014-02-13 ヘラマンタイトン株式会社 手動結束工具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06729A5 (ko) * 1972-11-16 1974-06-07 Rhone Poulenc Sa
CH629719A5 (en) * 1978-06-05 1982-05-14 Fromm Ag Hand-operated steel-band tie-round appliance
DK162342C (da) * 1985-01-16 1992-03-16 Japan Banok Co Ltd Bindemaskine
JPH024614A (ja) 1988-06-09 1990-01-09 Akira Kaneko 電線類結束用バンド切断器
US4928738A (en) * 1988-07-25 1990-05-29 Idex, Inc. Tool for tightening cable ties
US4947901A (en) * 1989-02-06 1990-08-14 Malco Products, Inc. Strap tensioning and cut off tool
US5193592A (en) 1991-02-22 1993-03-16 Astro Tool Corp. Connector banding tool
US5167265A (en) * 1991-07-05 1992-12-01 Kyoichi Limited Hand-operated binding device
US5205328A (en) * 1992-03-18 1993-04-27 Panduit Corp. Portable cable tie tool
DE59401939D1 (de) 1994-01-24 1997-04-10 Orgapack Ag Spann- und Verschliessvorrichtung zum Umreifen eines Gegenstandes mit einem Kunststoffband
JP3769336B2 (ja) 1996-11-22 2006-04-26 タイトン株式会社 可搬電動式結束バンド引締装置
US6206053B1 (en) * 1999-11-01 2001-03-27 Panduit Corp. Cable tie tensioning and severing tool
NZ519013A (en) * 2001-05-21 2003-05-30 Orgapack Gmbh Manually actuated strapping unit for wrapping a steel strap around a packaged item
US7086426B2 (en) * 2003-07-07 2006-08-08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Ergonomic cable tie installation tool
US7059362B2 (en) * 2003-10-16 2006-06-13 Daniels Manufacturing Corporation Adaptable hand operated safety cable tool
US7089970B2 (en) * 2003-12-02 2006-08-15 Panduit Corp. Ratchet style installation tool
JP4667075B2 (ja) * 2005-03-04 2011-04-06 ヘラマンタイトン株式会社 結束引締め具
US7458398B2 (en) * 2005-10-20 2008-12-02 Panduit Corp. Metal tie tool with rotary gripper and ball setting device
KR100741161B1 (ko) * 2006-05-19 2007-07-20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케이블타이 절단방법 및 상기 절단방법을 수행하는케이블타이 절단기
JP4978088B2 (ja) * 2006-07-24 2012-07-18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におけるワイヤのねじ切れ防止方法
CN201077538Y (zh) * 2007-08-10 2008-06-25 毛汉明 一种扎带枪
US7591451B2 (en) 2007-11-13 2009-09-22 Hellermanntyton Corporation Bundle tie tensioning clutch
JP5297684B2 (ja) 2008-04-25 2013-09-25 ヘラマンタイトン株式会社 手動結束工具
CN102642632B (zh) * 2011-02-18 2015-08-05 海尔曼太通株式会社 手动型打捆工具
US10450096B2 (en) 2011-11-14 2019-10-22 Hellermanntyton Co., Ltd. Manual bundling tool
US9481102B1 (en) * 2013-09-10 2016-11-01 The Boeing Company Spacer for a cable tie tensioning and severing tool
US11034472B2 (en) * 2014-05-08 2021-06-15 Band-It-Idex, Inc. Band tensioning tool and calibration device therefor
EP3446987B1 (en) 2016-04-18 2022-05-18 HellermannTyton Co., Ltd. Manual binding to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4257A (ja) * 2011-01-06 2012-08-02 Hellermann Tyton Co Ltd 手動型結束工具
WO2014024295A1 (ja) 2012-08-09 2014-02-13 ヘラマンタイトン株式会社 手動結束工具
WO2014024296A1 (ja) * 2012-08-09 2014-02-13 ヘラマンタイトン株式会社 手動結束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15129B (zh) 2021-07-30
WO2017183073A1 (ja) 2017-10-26
JPWO2017183073A1 (ja) 2019-02-21
JP6640995B2 (ja) 2020-02-05
EP3446986A4 (en) 2019-12-11
KR20190018415A (ko) 2019-02-22
US11008123B2 (en) 2021-05-18
WO2017183073A8 (ja) 2018-08-23
US20190127095A1 (en) 2019-05-02
CN109415129A (zh) 2019-03-01
EP3446986A1 (en)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898B1 (ko) 수동 결속 공구
KR102185149B1 (ko) 수동 결속 공구
RU242745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стержней
JP6035337B2 (ja) 手動結束工具
JP2017214148A (ja) ケーブルタイ引締めおよび切断ツール
JP5740161B2 (ja) 手動型結束工具
KR20170141615A (ko) 원예용 결속기
KR20170141612A (ko) 원예용 결속기
KR20170141613A (ko) 원예용 결속기
WO2015045040A1 (ja) 結束バンドの固定構造および結束工具
EP2883802A1 (en) Manual bundling tool
US20150239588A1 (en) Manual bundling tool
TW201827302A (zh) 帽蓋及帽蓋單元
NO146018B (no) Verktoey for stramming av sammenbindingsloekker for kabler
JP2006240695A (ja) 結束引締め具
US2795887A (en) Fish hook extractor
JP5297684B2 (ja) 手動結束工具
US11597548B2 (en) Binding machine
JP6773644B2 (ja) バンド切断装置及びナイフ
JP4669718B2 (ja) 結束引締め具
AU2020220164A1 (en) Binding machine
US5983697A (en) Clip pliers
US3965777A (en) Broken needle removal tool for knitting machines
JPH0523843U (ja) 枝切り用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