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861B1 -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861B1
KR102184861B1 KR1020190031103A KR20190031103A KR102184861B1 KR 102184861 B1 KR102184861 B1 KR 102184861B1 KR 1020190031103 A KR1020190031103 A KR 1020190031103A KR 20190031103 A KR20190031103 A KR 20190031103A KR 102184861 B1 KR102184861 B1 KR 102184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er
song
half cycle
slav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448A (ko
Inventor
윤재환
Original Assignee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1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86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5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being stored on a host computer and transmitted to a reproducing terminal by means of a network, e.g. public telephone li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44Tun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10H7/00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using a common processing for different operations or calculations, and a set of microinstructions (programme) to control the sequence thereof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05Musical accompaniment, i.e. complete instrumental rhythm synthesis added to a performed melody, e.g. as output by drum machines

Abstract

실시예는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은 반주기에 의해 연주가 될 시, P2P의 다수의 반주기 간 무선연결망으로부터 다수의 반주기를 마스터와 슬레이브에 의해 연결해서 1대의 마스터 반주기로 다수의 슬레이브 반주기를 동기화해서 동일 시점에 연주한다.
그리고, 다수의 연주자들이 이렇게 P2P의 다수의 반주기 간 무선연결망에 의해 다수의 반주기가 동기화될 시, 마스터 반주기의 합주명령에 따른 각 슬레이브 반주기의 동기화 동작포맷으로부터 동일한 악보를 보면서 연주하도록 한다.
그래서, 연주동작이 수행될 시 각 반주기로부터 그룹연주를 슬레이브 반주기에 대한 마스터 반주기의 AP 할당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환경과 통신 프로토콜 그룹 생성에 따른 디바이스 간 동조화로 구동해서 그룹연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반주기에 의해 연주가 될 시, 여러 개의 반주기에서 연주를 하나의 마스터 반주기에 의한 다른 슬레이브 반주기의 동기화에 따라 수행해서 앙상블의 합주 연주를 한다.

Description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Method for operating karaoke device for playing of concert employing many karaoke devic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노래방 등에서 사용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노래 반주기에 의해 반주가 될 시, 노래방 및 공연장 등에서 합주를 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노래 반주기는 다수의 가요에 대하여 각 가요별로 식별코드가 부여되고 각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반주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가요반주기는 사용자가 특정 식별코드를 선택함에 따라 대응하는 가요 반주를 영상 정보와 함께 출력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노래 반주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노래 반주기에 의해 반주가 될 시, 예를 들어, 여러 사람이 같은 하나의 방 안에서 하나의 반주기를 통해 연주를 해서 노래의 분위기와 흥을 제공한다.
그런데, 이러한 노래 반주기는 최근에 노래 반주의 기술 향상과 사용자의 엔터테인먼트 기능 등을 많이 제공하는 경향에 따라 반주기 자체에서 합주를 사용자의 노래 및 연주 분위기 또는 흥에 맞추어 제공하는 경우 등이 발생해서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경의 선행기술은 최근 무렵까지 아래의 특허문헌 등을 통해 기술을 소개하는 정도이어서 대체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는 않은 편이다.
(특허문헌 1) KR100717324 Y
그리고, 이에 더하여 그 특허문헌 1의 기술은 노래방기기가 반주가 될 시, 핸드폰노래방에서 노래와 반주음을 합성해서 무선으로 서비스함으로써 여러 사람이 멀리서 타인의 노래를 듣는 정도이다.
개시된 내용은, 반주기에 의해 연주가 될 시, 여러 개의 반주기에서 연주를 동기화해서 합주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은,
반주기에 의해 연주가 될 시, P2P의 다수의 반주기 간 무선연결망으로부터 다수의 반주기를 마스터와 슬레이브에 의해 연결해서 1대의 마스터 반주기로 다수의 슬레이브 반주기를 동기화해서 동일 시점에 연주한다.
그리고, 다수의 연주자들이 이렇게 P2P의 다수의 반주기 간 무선연결망에 의해 다수의 반주기가 동기화될 시, 마스터 반주기의 합주명령에 따른 각 슬레이브 반주기의 동기화 동작포맷으로부터 동일한 악보를 보면서 연주하도록 한다.
그래서, 연주동작이 수행될 시 각 반주기로부터 그룹연주를 슬레이브 반주기에 대한 마스터 반주기의 AP 할당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환경과 통신 프로토콜 그룹 생성에 따른 디바이스 간 동조화로 구동해서 그룹연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반주기에 의해 연주가 될 시, 여러 개의 반주기에서 연주를 하나의 마스터 반주기에 의한 다른 슬레이브 반주기의 동기화에 따라 수행해서 앙상블의 합주 연주를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적용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의 절차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 내지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1대의 마스터 반주기(101)와 다수의 슬레이브 반주기(110-1, 110-2, ... , 110-5, ...)를 포함한다. 그래서,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그 1대의 마스터 반주기(101) 조작으로 다수의 슬레이브 반주기(110-1, 110-2, ... , 110-5, ...)를 동기화해서 동일 시점에 연주시작 할 수 있도록 해서 연주를 실행한다.
이때, 그 연주 실행은 그룹생성될 시 다수의 상이한 반주기별로 미리 설정된 디바이스 ID로부터 P2P의 다수의 반주기 간 무선연결망을 그룹생성된 반주기의 마스터설정과 주변 디바이스 ID검색에 따른 슬레이브의 연결등록으로 구축해서 된다.
상기 마스터 반주기(101)는 이러한 연결망이 구축된 후, 선곡/시작/정지 기능에 슬레이브 반주기들이 동기화해서 동일한 시점에 동작을 해서 다수의 연주자들이 각 반주기로 동일한 악보화면을 보면서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단 이러한 경우, 그 마스터 반주기(101)는 템포조절 지원은 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음량조절은 지원이 되도록 설정한다. 이를 위해 마스터 반주기(101)는 P2P의 다수의 반주기 간 무선연결망이 구축될 시 그룹에서 연주동작을 미리 설정된 마스터 반주기의 합주명령에 따른 각 슬레이브 반주기의 동기화 동작포맷으로 해서 각 반주기로 동일한 악보를 보면서 연주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마스터 반주기(101)는 이러한 동일한 악보화면을 보면서 연주를 하도록 한 후, 실제 연주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라 그룹연주 기능 구동 솔루션을 구비한다. 이러한 그룹연주 기능 구동 솔루션은 마스터 반주기가 AP 역할을 함으로써 슬레이 반주기와의 네트워크 통신환경을 구성해서 그룹연주 기능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망을 구축 활용한다. 그리고, 또한 그 그룹연주 기능 구동 솔루션은 예를 들어, TCP IP 그룹의 통신 그룹 형성으로 디바이스 간 동조화 실행을 한다. 이러한 경우 총 그룹핑 가능 대수는 예를 들어, 6대로 설정한다. 그래서, 이에 따라 마스터 반주기와 슬레이브 반주기는 연주가 될 시, 동일한 악보화면을 보면서 연주를 하도록 된 후 실제 연주가 될 시의 그룹연주 기능 구동 솔루션으로부터 그룹연주를 실행해서 합주 연주를 한다. 이를 위해, 각 반주기는 연주동작이 수행될 시 각 반주기로부터 그룹연주 기능을 슬레이브 반주기에 대한 마스터 반주기의 AP 할당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환경과 통신 프로토콜 그룹 생성에 따른 디바이스 간 동조화에 의해 구동해서 그룹연주한다.
상기 슬레이브 반주기(110-1, 110-2, ... , 110-5, ...)는 연주가 될 시, 전술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2대 이상의 반주기간 네트워크 연결 신호 규약에 따라 하나의 마스터 반주기에서의 제어를 받아 앙상블의 합주 연주를 하는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적용된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의 절차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의 절차는 먼저 1대의 마스터 반주기 조작으로 다수의 슬레이브 반주기를 동기화해서 동일 시점에 연주시작 할 수 있도록 해서 연주를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그 기능은 그룹생성될 시 다수의 상이한 반주기별로 미리 설정된 디바이스 ID로부터 P2P의 다수의 반주기 간 무선연결망을 그룹생성된 반주기의 마스터설정과 주변 디바이스 ID검색에 따른 슬레이브의 연결등록으로 구축해서 된다.
이러한 연주실행의 기능은 아래와 같이 보다 상세하게 이루어진다.
먼저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그룹연주가 선택될 시, 미리 설정된 그룹연주모드 UI로부터 그룹생성을 다수의 상이한 반주기별로 대응되는 디바이스 ID와 그룹생성된 반주기의 마스터설정에 의해 수행해서 연주그룹을 생성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그룹생성이 될 시, 마스터 반주기로부터 주변 슬레이브 IP를 주변 디바이스 ID검색에 따라 검색하고 요청해서 P2P의 다수의 반주기 간 무선연결망을 구축 개시한다.
다음, 이러한 주변 슬레이브 IP의 검색 및 요청이 될 시, 슬레이브 반주기로부터 마스터 ID를 선택해서 P2P의 다수의 반주기 간 무선연결망을 구축하여 다수의 반주기를 네트워크 연결한다.
그래서, 이렇게 마스터 ID가 선택될 시, 마스터 반주기로부터 슬레이브를 등록하고 연결해서 단일 반주기 조작으로 다수의 반주기를 동기화해서 연주시작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일실시예에 따른 절차는 이렇게 연주실행이 된 후, 마스터의 선곡/시작/정지 기능에 슬레이브 반주기들이 동기화해서 동일한 시점에 동작을 해서 다수의 연주자들이 각 반주기로 동일한 악보화면을 보면서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그 연주는 P2P의 다수의 반주기 간 무선연결망이 구축될 시 그룹에서 연주동작을 미리 설정된 마스터 반주기의 합주명령에 따른 각 슬레이브 반주기의 동기화 동작포맷으로 해서 각 반주기로 동일한 악보를 보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주는 보다 상세하게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이러한 주변 슬레이브 IP의 검색 및 요청이 된 후, 마스터 반주기로부터 곡을 상기 마스터 반주기의 합주명령에 따른 각 슬레이브 반주기의 동기화 동작포맷에 따라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선택받아 연주할 곡의 선택동작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곡이 선택될 시, 마스터 반주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앙상블/일반곡 리스트를 상기 포맷에 따라 표출해서 연주할 곡의 유형을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앙상블/일반곡 리스트가 표출될 시, 마스터 반주기로부터 곡을 상기 포맷에 따라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선택받고 예약해서 마스터 반주기에 연주할 곡을 설정한다.
다음, 이렇게 곡이 설정될 시, 마스터 반주기로부터 연주 곡번호를 상기 포맷에 따라 슬레이브 반주기로 전송해서 슬레이브 반주기에 동일 곡을 설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주 곡번호가 전송될 시, 슬레이브 반주기로부터 곡번호를 상기 포맷에 따라 수신하고 선곡해서 슬레이브 반주기에 연주할 곡을 설정한다.
다음, 이러한 곡번호가 수신 및 선곡이 될 시, 마스터 반주기와 슬레이브 반주기로부터 악보를 상기 포맷에 따라 앙상블곡인 경우 선택하고 마스터 반주기에서 준비완료를 일반곡인 경우 선택해서 각 반주기로 동일한 악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렇게 악보가 선택될 시, 마스터 반주기와 슬레이브 반주기로부터 악보를 상기 포맷에 따라 표출해서 각 반주기로 동일한 악보를 보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이렇게 악보가 표출될 시, 마스터 반주기로부터 연주준비를 완료해서 각 반주기로 동일한 악보를 보면서 연주하도록 한다.
그래서, 이렇게 연주준비가 완료될 시, 마스터 반주기로부터 시작을 플레이해서 각 반주기로 동일한 악보를 보면서 연주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를 통해 반주기에 의해 연주가 될 시, 여러 개의 반주기에서 연주를 동기화해서 앙상블의 합주 연주를 하도록 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에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은 먼저 1대의 마스터 반주기 조작으로 다수의 슬레이브 반주기를 동기화해서 동일 시점에 연주시작 할 수 있도록 해서 연주를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그 기능은 그룹생성될 시 다수의 상이한 반주기별로 미리 설정된 디바이스 ID로부터 P2P의 다수의 반주기 간 무선연결망을 그룹생성된 반주기의 마스터설정과 주변 디바이스 ID검색에 따른 슬레이브의 연결등록으로 구축해서 된다(S301).
그리고 나서, 이러한 상태에서 마스터의 선곡/시작/정지 기능에 슬레이브 반주기들이 동기화해서 동일한 시점에 동작을 해서 다수의 연주자들이 각 반주기로 동일한 악보화면을 보면서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연주는 P2P의 다수의 반주기 간 무선연결망이 구축될 시 그룹에서 연주동작을 미리 설정된 마스터 반주기의 합주명령에 따른 각 슬레이브 반주기의 동기화 동작포맷에 의해 수행해서 각 반주기로 동일한 악보를 보면서 된다(S302).
그래서, 이에 따라 일실시에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은 연주가 될 시, 마스터 반주기와 슬레이브 반주기로부터 그룹연주를 구동해서 다수의 반주기에서 합주 연주를 한다.
즉, 그 연주동작이 수행될 시 각 반주기로부터 그룹연주 기능을 슬레이브 반주기에 대한 마스터 반주기의 AP 할당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환경과 통신 프로토콜 그룹 생성에 따른 디바이스 간 동조화에 의해 구동해서 그룹연주를 한다(S303).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반주기에 의해 연주가 될 시, P2P의 다수의 반주기 간 무선연결망으로부터 다수의 반주기를 마스터와 슬레이브 포맷으로 연결해서 1대의 마스터 반주기로 다수의 슬레이브 반주기를 동기화해서 동일 시점에 연주한다.
그리고, 다수의 연주자들이 이렇게 P2P의 다수의 반주기 간 무선연결망에 의해 다수의 반주기가 동기화될 시, 마스터 반주기의 합주명령에 따른 각 슬레이브 반주기의 동기화 동작포맷으로부터 동일한 악보를 보면서 연주하도록 한다.
그래서, 이렇게 연주동작이 수행될 시 각 반주기로부터 그룹연주 기능을 슬레이브 반주기에 대한 마스터 반주기의 AP 할당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환경과 통신 프로토콜 그룹 생성에 따른 디바이스 간 동조화에 의해 구동해서 그룹연주를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는 반주기에 의해 연주가 될 시, 여러 개의 반주기에서 연주를 동기화해서 앙상블의 합주 연주를 한다.
도 4 내지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마스터에 의한 그룹연주 모드 화면이다. 그리고, 도 5는 곡 선택 화면이다. 또한 도 6은 슬레이브 모드에서의 그룹연주 화면이고, 도 7은 앙상블곡인 경우 악보선택으로 연주 준비대기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그리고, 또한 도 8은 일반곡인 경우 준비완료 선택으로 연주 준비대기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4 내지 도 8과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은 먼저 순서대로 마스터의 그룹연주 모드와 콘텐츠 사양, 곡 선택, 슬레이브 모드의 그룹연주, 앙상블곡의 연주 준비대기, 일반곡의 연주 준비대기 순서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을 위의 순서대로 설명한다.
먼저 마스터에 의한 그룹연주 모드를 설명한다.
1) 그룹연주 모드 - 도 4 참조
이러한 경우, 그 그룹연주 모드는 다수의 반주기에서 연주가 될 시, 마스터에서 타이틀, 연결정보, 그룹만들기, 연주시작, 곡선택, 악보선택, 준비완료를 설정해서 그룹연주가 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이틀은 다수의 반주기에서 연주가 될 시, 마스터에서 동작모드를 그룹연주로 설정해서 된다.
그리고, 상기 ID는 합주 시 마스터에서 다수의 상이한 디바이스별로 각 디바이스의 식별 ID를 나타내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 그 ID는 최초인증 시 마스터에서 등록된 사용자 계정 ID를 기본 표출해 주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ID는 이렇게 설정이 될 시, 마스터에서 ID 변경 입력을 가능하도록 설정해서 된다.
상기 연결정보는 그룹연주 모드가 설정될 시, 마스터에서 아이콘/ID/제목/가수/악기파트/OK의 그룹핑상태표시를 수행해서 이루어지고, 이러한 경우 마스터 본인 및 연결된 슬레이브의 ID 및 연주할 곡정보 및 파트 정보를 포함한다. 단, 파트정보는 이러한 설정이 될 시 디바이스별로 선택을 해서 되며, 선택된 파트정보를 정보창에 표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마스터는 이러한 설정이 될 시, 본인의 파트만을 선택해서 된다. 부가적으로, 마스터는 이렇게 설정이 될 시 최상단의 위치를 설정이 되도록 해서 이루어지고, 파트정보는 곡 선곡 후 악보선택 시 결정된다.
상기 그룹만들기는 선택 시 이러한 선택 할 디바이스에서 마스터반주기를 설정되도록 이루어지며 앙상블 연주 그룹 또는 그룹 방을 생성한다. 그리고, 그 그룹만들기는 선택 시 마스터에서 주변 디바이스 ID를 시스템적으로 검색하여 슬레이브 반주기에 합주 연결을 요청한다. 부가적으로, 그룹만들기는 슬레이브 입장 시 마스터에서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그룹나가기 버튼을 통해 변환해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연주시작은 선택 시 마스터에서 선곡한 합주곡을 재생 실행해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그 연주시작은 이러한 설정이 될 시, 마스터 반주기만 재생 시작을 가능하도록 하며, 연결된 슬레이브 반주기들과 동기화해서 동일한 시점에 재생을 명령해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연주시작은 이러한 설정이 될 시, 마스터에서 연주 중 일시정지/정지 명령을 또한 동기화해서 동일한 시점에 수행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연주시작은 위의 설정이 될 시 마스터에서 재생바를 동작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또한 연주시작은 위의 설정이 될 시 마스터에서 그룹핑 된 모든 기기들을 악보선택이 완료되어야 된다. 이에 더하여, 연주시작은 위에서의 설정이 될 시 마스터에서 재생바의 재생/일시/정지/정지를 동기화해서 동일한 시점에 수행 명령을 지원한다.
상기 곡선택은 그룹연주 모드가 설정될 시, 마스터에서 미리 등록된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 받은 앙상블곡 보관 리스트를 표출해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곡선택은 이러한 설정이 될 시, 마스터에서 일반곡처럼 예약을 되도록 해서 하고, 예약리스트에서 삭제도 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곡선택은 합주 시 마스터에서 선곡을 마스터 반주기만 하도록 하며, 페어링 완료 시 마스터가 선곡한 곡번호를 슬레이브에 전송하여 해당 곡번호를 표출 및 악보선택을 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곡선택은 이렇게 선택이 될 시, 마스터에서 슬레이브가 선택한 악기파트를 마스터의 연결정보창에 동일하게 표출해서 된다. 이러한 경우, 곡선택은 이러한 선택이 될 시 마스터에서 앙상블곡 리스트를 별도 표출한다. 단, 곡선택은 선곡 시 마스터에서 앙상블곡외 일반 색소폰곡을 선곡도 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곡선택은 일반곡 선택 시, 마스터에서 일반곡을 예약 지원한다.
상기 악보선택은 선택 시 마스터에서 악보파트를 변경 선택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악보선택은 이러한 선택이 될 시, 마스터에서 미리 설정된 악보선택 창을 표출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악보선택은 이러한 선택이 될 시, 마스터에서 곡 예약 이후 버튼을 생성해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준비완료는 일반곡 선곡 시에는 마스터에서 악보선택 대신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준비완료 버튼을 생성 지원하고, 마스터/슬레이브 모두 이러한 준비완료 버튼을 선택해야 곡 재생을 하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준비완료는 이러한 설정이 될 시, 마스터에서 예를 들어, 곡 예약 이후 버튼을 생성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마스터에 의한 그룹연주 모드 동작은 아래와 같이 순서대로 이루어진다.
① 먼저 상기 그룹연주 모드 동작은 그룹연주 모드의 실행이 될 시, 상단 재생툴바의 메뉴에서 그룹연주선택 시 그룹연주모드 창 또는 팝업을 표출해서 한다.
② 다음, 상기 그룹연주 모드 동작은 그룹연주 모드의 실행이 될 시, 곡선택에서 곡을 예약 시 해당 곡 악보를 화면에 미리 표출하여 대기한다.
- 이러한 경우, 이러한 그룹연주 모드 동작은 이렇게 동작될 시, 곡선택 화면에서 앙상블곡과 일반곡 화면을 구분 표출한다.
- 그리고, 이에 더하여 이러한 그룹연주 모드 동작은 이렇게 표출이 될 시, 해당 곡선택 화면을 그룹연주모드에서만 표출해서 하며, 일반 검색화면에서는 앙상블 리스트는 표출이 없다.
③ 그리고 나서, 그룹연주 모드 동작은 앙상블곡 예약 후 마스터/슬레이브 각 반주기별 표출한 악보파트를 선택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일반곡 예약 시에는 악보파트 선택은 지원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대신 이러한 선택이 될 시, 미리 설정된 준비완료 버튼을 눌러야 그룹연주 재생을 가능하도록 한다.
④ 그 다음, 그룹연주 모드 동작은 그룹만들기가 될 시 마스터 반주기에서만 실행을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후에는 미리 설정된 그룹나가기 버튼을 통해 변환해서 된다.
⑤ 그래서, 그룹연주 모드 동작은 이에 따른 그룹생성 명령이 입력될 시 디바이스별로 주변 디바이스 ID를 시스템적으로 검색하여 슬레이브 반주기에 합주 연결을 시스템적으로 요청한다.
⑥ 이러한 경우, 그룹연주 모드 동작은 이렇게 요청이 될 시, 예를 들어 마스터는 그룹연주모드 팝업창을 연결정보 내 최상단에 항시 위치해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⑦ 이에 따라, 그룹연주 모드 동작은 이렇게 연결이 될 시, 마스터는 연결된 슬레이브에 연주시작/일시정지/정지 명령을 동기화해서 동일한 시점에 수행하며, 단 각 슬레이브 반주기들은 악보 이조기능은 개별적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한다.
⑧ 이러한 경우, 그룹연주 모드 동작은 이렇게 연결이 될 시, 합주규정은 각 디바이스별 동일한 앙상블곡 및 일반곡 MR/AR 콘텐츠를 모두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그룹연주 재생 시 AR은 시스템적으로 뮤트하여 MR 모드로 재생한다.
또한, 뮤트 해제 시 AR의 출력을 지원해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마스터 반주기만 명령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연주가 될 시, 마스터에서 그룹연주디바이스 ID를 표출한다. 이러한 경우, 최초인증 시 마스터에서 등록된 사용자계정 ID 기본표출을 해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이러한 디바이스 ID가 표출될 시, 마스터에서 수동변경을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앙상블곡은 이렇게 설정이 될 시, 연결된 그룹 반주기들이 모두 악보선택을 완료해야 연주시작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반면 일반곡은 이렇게 설정이 될 시 연결된 그룹 반주기들이 모두 준비완료를 선택해야 연주시작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그룹연주 시 마스터는 재생/일시정지/정지 명령을 수행하여 슬레이브와 동기화해서 동일한 시점에 동작을 지원한다.
그리고, 선곡 후 슬레이브는 음정/이조/옥타브조정/가사화면 버튼 기능만 독립적으로 수행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음정조절은 연주가 될 시 마스터에서 마스터/슬레이브 개별 수동조작을 지원해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단, 템포조절은 차단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마스터의 악보이동 예를 들어, 재생바이동과 슬레이브의 악보이동 예를 들어, 재생바이동은 동일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연주가 될 시, 마스터에서 마스터의 연주 시작 지점과 슬레이브의 연주 시작 지점은 동일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구간반복 설정을 마스터가 지정하여 재생 시 마스터에서 동기화를 수행해서 동일한 시점에 동작해야 한다.
⑨ 그룹연주 녹음 지원은 연주가 준비완료 된 상태에서 플레이 시작 전 녹음 ON 이후에 플레이를 하면 그룹연주 녹음 지원을 한다.
그리고, 일반 녹음 프로세스와 동일하게 녹음/듣기/편집/저장 지원을 한다.단, 음정템포 조절 후 마스터에서 녹음 지원은 되지 않도록 설정한다.
이렇게 마스터에 의해 그룹연주 모드가 실행된 후 다음, 이러한 그룹연주가 될 시 필요한 콘텐츠 사양을 구비해야 하고 이에 대해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 콘텐츠 사양 - 앙상블곡 해당
이러한 콘텐츠 사양은 그룹연주의 모드가 설정된 후, 마스터에서 곡번호, 반주포맷, 악보포맷, 악보선택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곡번호는 마스터에서 별도로 부여하고, 상기 반주포맷은 마스터에서 AR로 되고, 이러한 AR은 전체악기솔로와 반주를 결합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악보포맷은 소프라노, 알토 1, 알토 2, 테너 1, 테너 2, 바리톤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악보포맷에 의해 상기 악보선택이 모두 실행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악보포맷은 이렇게 설정이 될 시 콘텐츠 제작사양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최대 6개 파트까지 설정한다.
- 마스터 및 슬레이브는 이러한 설정이 될 시 개별적으로 오디오/헤드폰 아웃풋 출력을 지원한다.
- 그리고, 마스터가 선곡한 콘텐츠는 이렇게 설정이 될 시 슬레이브 반주기별로 동일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어야 그룹연주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그룹연주에 필요한 콘텐츠 사양이 구비될 경우 곡 선택의 동작을 수행하고, 이러한 곡 선택의 동작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3) 곡 선택 - 도 5 참조
상기 곡 선택은 그룹연주 모드가 설정된 후, 마스터에서 검색창, 카테고리 선택, 리스트정보, 예약, 리스트이동, 목록닫기로 설정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검색창은 선택 시 마스터에서 일반곡과 앙상블곡을 합해서 통합검색을 지원하고, 예를 들어, 알토/테너/앙상블로 나누어 검색이 되도록 한다.
상기 카테고리 선택은 이러한 곡 선택이 될 시 마스터에서 앙상블/일반곡 리스트 화면을 선택해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앙상블인 경우, 앙상블 연주를 위한 전용곡 리스트를 제공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반면 일반곡인 경우 일반곡 및 앙상블 파트곡 리스트를 제공하도록 설정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리스트정보는 이렇게 설정이 될 시, 마스터에서 파트/제목/가수/연주자/반주종료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예약은 선택 시 마스터에서 선택된 해당곡을 그룹연주곡으로 예약해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마스터는 이렇게 예약이 될 시 해당곡의 곡번호를 슬레이브와 페어링 후 곡번호 정보를 전송해 주며, 슬레이브는 전송 받은 곡번호를 찾아서 예약한다.
또한, 상기 리스트이동은 이렇게 곡 선택이 될 시 마스터에서 상하 플레킹 제스처로 설정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목록닫기는 이러한 곡 선택이 될 시 마스터에서 종료를 나타내도록 설정한다.
- 이러한 경우, 미리 등록된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한 콘텐츠에 한하여 해당 리스트에 보관 및 표출하도록 한다.
- 그리고, 각 콘텐츠는 이렇게 설정이 될 시 곡번호를 가지고 있으나, 리스트 상에서는 표출하지 않도록 하며, 단 해당 곡번호를 가지고 페어링 된 슬레이브 반주기의 곡 보유 여부를 확인 및 재생하도록 한다.
이렇게 곡 선택이 완료된 후 다음으로 슬레이브 모드의 그룹연주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4) 슬레이브 모드의 그룹연주 - 도 6 참조
① 먼저 슬레이브 반주기는 마스터로부터 페어링 연결 요청이 오면, 그룹연주모드 창 표출 시 마스터 ID 및 연주정보가 리스트 상에 표출된다.
② 그 다음, 마스터 ID 선택 시 슬레이브에서 마스터 반주기와 페어링 연결을 수락하여 합주모드 연결을 실행한다.
③ 그래서, 이렇게 연결이 완료되면, 슬레이브에서 예를 들어, 본인 ID와 연주정보 리스트가 마스터 밑으로 표출되도록 설정된다.
④ 그리고, 그룹나가기는 선택 시 슬레이브에서 마스터와 페어링 연결을 해제하고 그룹연주모드를 종료한다.
이렇게 연결이 해제된 후 그룹연주모드창 재 오픈 시 마스터 ID를 다시 선택하면 페어링을 다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단, 이미 연주가 실행 중일 경우 페어링은 연주 종료 후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연주 중일 때에는 정보창에 연주 중이라 표시하도록 한다.
이렇게 슬레이브 모드의 그룹연주가 되도록 한 후 다음으로 악보선택에 따른 연주 준비대기를 수행한다.
5) 앙상블곡인 경우 악보선택으로 연주 준비대기와 일반곡인 경우 준비완료 선택으로 연주 준비대기 - 도 7과 도 8 참조
① 페어링 완료 시 마스터 ID 밑으로 본인 및 연주정보가 표출되도록 된다.
② 다음, 페어링과 동기화해서 동일한 시점에 마스터로부터 선곡 곡번호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곡번호를 시스템적으로 선곡 등록한다. 단, 곡이 없을 경우 '곡이 없습니다' 텍스트를 연주정보에 표출한다.
③ 그래서, 마스터가 앙상블곡을 선택하면 악보선택 창이 시스템적으로 표출되고 본인의 악보파트를 선택한다.
그리고, 이렇게 악보파트를 선택하면 백그라운드에 해당 곡의 악보를 표출하여 대기한다.
이러한 경우, 파트변경을 원할 땐 악보선택 버튼을 선택하면 악보선택 창이 재 표출된다.
④ 이렇게 악보파트 선택 후 '확인' 버튼 선택 시 합주 준비가 완료되며, 준비완료 상태를 마스터로 전송한다.
⑤ 그리고, 마스터가 일반곡을 선택하면 미리 설정된 준비완료버튼이 생성되어 기기별 악보이조 후 준비완료버튼을 선택한다.
이렇게 선택 후에는 예를 들어, 준비완료버튼은 사라지며, 선곡이 변경될 경우에 다시 표출한다.
그리고, 준비완료 시 합주 준비가 완료되며, 준비완료 상태를 마스터로 전송한다
⑥ 다음, 연주 시작 시 팝업창은 시스템적으로 사라지며, 대기 중 OFF 선택 시에도 창 종료한다.
이렇게 창이 종료되면 예를 들어, 악보 하단 우측으로 그룹연주 아이콘이 생성되며 선택 시 창업창을 재 표출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은 반주기에 의해 연주가 될 시, 사용자 측에서 여러 개의 반주기를 통한 연주를 동기화해서 수행함으로써 앙상블의 합주 연주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마스터 반주기
111-1, 111-2, 111-5 : 슬레이브 반주기

Claims (2)

  1. 그룹생성될 시 다수의 상이한 반주기별로 미리 설정된 디바이스 ID로부터 P2P의 다수의 반주기 간 무선연결망을 그룹생성된 반주기의 마스터설정과 주변 디바이스 ID검색에 따른 슬레이브의 연결등록으로 구축하는 제 1 단계;
    상기 P2P의 다수의 반주기 간 무선연결망이 구축될 시 그룹에서 연주동작을 미리 설정된 마스터 반주기의 합주명령에 따른 각 슬레이브 반주기의 동기화 동작포맷에 의해 수행해서 각 반주기로 동일한 악보를 보면서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연주동작이 수행될 시 각 반주기로부터 그룹연주 기능을 슬레이브 반주기에 대한 마스터 반주기의 AP 할당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환경과 통신 프로토콜 그룹 생성에 따른 디바이스 간 동조화에 의해 구동해서 그룹연주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계는,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그룹연주가 선택될 시, 미리 설정된 그룹연주모드 UI로부터 그룹생성을 다수의 상이한 반주기별로 대응되는 디바이스 ID와 그룹생성된 반주기의 마스터설정에 의해 수행해서 연주그룹을 생성하는 제 1-1 단계;
    상기 그룹생성이 될 시, 마스터 반주기로부터 주변 슬레이브 IP를 주변 디바이스 ID검색에 따라 검색하고 요청해서 P2P의 다수의 반주기 간 무선연결망을 구축 개시하는 제 1-2 단계;
    상기 주변 슬레이브 IP의 검색 및 요청이 될 시, 슬레이브 반주기로부터 마스터 ID를 선택해서 P2P의 다수의 반주기 간 무선연결망을 구축하여 다수의 반주기를 네트워크 연결하는 제 1-3 단계; 및
    상기 마스터 ID가 선택될 시, 마스터 반주기로부터 슬레이브를 등록하고 연결해서 단일 반주기 조작으로 다수의 반주기를 동기화해서 연주시작 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주변 슬레이브 IP의 검색 및 요청이 된 후, 마스터 반주기로부터 곡을 상기 마스터 반주기의 합주명령에 따른 각 슬레이브 반주기의 동기화 동작포맷에 따라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선택받아 연주할 곡의 선택동작이 되는 제 2-1 단계;
    상기 곡이 선택될 시, 마스터 반주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앙상블/일반곡 리스트를 상기 포맷에 따라 표출해서 연주할 곡의 유형을 설정하는 제 2-2 단계;
    상기 앙상블/일반곡 리스트가 표출될 시, 마스터 반주기로부터 곡을 상기 포맷에 따라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선택받고 예약해서 마스터 반주기에 연주할 곡을 설정하는 제 2-3 단계;
    상기 곡이 설정될 시, 마스터 반주기로부터 연주 곡번호를 상기 포맷에 따라 슬레이브 반주기로 전송해서 슬레이브 반주기에 동일 곡을 설정하는 제 2-4 단계;
    상기 연주 곡번호가 전송될 시, 슬레이브 반주기로부터 곡번호를 상기 포맷에 따라 수신하고 선곡해서 슬레이브 반주기에 연주할 곡을 설정하는 제 2-5 단계;
    상기 곡번호가 수신 및 선곡이 될 시, 마스터 반주기와 슬레이브 반주기로부터 악보를 상기 포맷에 따라 앙상블곡인 경우 선택하고 마스터 반주기에서 준비완료를 일반곡인 경우 선택해서 각 반주기로 동일한 악보를 제공하는 제 2-6 단계;
    상기 악보가 선택될 시, 마스터 반주기와 슬레이브 반주기로부터 악보를 상기 포맷에 따라 표출해서 각 반주기로 동일한 악보를 보도록 하는 제 2-7 단계; 및
    상기 악보가 표출될 시, 마스터 반주기로부터 연주준비를 완료해서 각 반주기로 동일한 악보를 보면서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
  2. 삭제
KR1020190031103A 2019-03-19 2019-03-19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 KR102184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103A KR102184861B1 (ko) 2019-03-19 2019-03-19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103A KR102184861B1 (ko) 2019-03-19 2019-03-19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448A KR20200111448A (ko) 2020-09-29
KR102184861B1 true KR102184861B1 (ko) 2020-12-01

Family

ID=7266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103A KR102184861B1 (ko) 2019-03-19 2019-03-19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8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6967A (ja) * 2001-07-31 2003-02-14 Daiichikosho Co Ltd 遠隔した複数のカラオケ宴会場をテレビ会議システムで結んで宴会の進行を併合するカラオケ装置の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913B1 (ko) * 2012-12-28 2020-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6967A (ja) * 2001-07-31 2003-02-14 Daiichikosho Co Ltd 遠隔した複数のカラオケ宴会場をテレビ会議システムで結んで宴会の進行を併合するカラオケ装置の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448A (ko)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33698A (ja) 音楽支援装置、音楽支援サーバ、音楽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86387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歌詞表示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102184861B1 (ko) 다수의 노래 반주기로 합주 연주하는 노래 반주기의 운용 방법
JP5311071B2 (ja) 楽曲再生装置及び楽曲再生プログラム
JP6096566B2 (ja) ネットワーク合唱における演奏開始同期システム
JP4418396B2 (ja) 電子早見本装置
JP2007199417A (ja)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システム
JP5709782B2 (ja) カラオケ演奏モード設定システム
JP5349171B2 (ja) 演奏条件設定機能付きカラオケシステム
JP2012159575A (ja) 複数歌唱者による歌唱誘導システム
JP6185417B2 (ja) プログラム及びカラオケシステム
JP6076777B2 (ja) ネットワーク合唱における演奏開始同期システム
JP6208439B2 (ja) ネットワーク合唱における演奏キーのマッチングシステム
JP3602059B2 (ja) 旋律検索式カラオケ演奏予約システム、旋律検索サーバー、カラオケ付属コンピュータ
JP4456566B2 (ja) カラオケ装置
JP5429501B2 (ja) カラオケリモコン装置及びカラオケシステム
JP5191336B2 (ja) グループ演奏練習支援機能を備える音響システム
JP6614902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783065B2 (ja) 通信端末装置、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453696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カラオケ通信システム
JP2010128138A (ja) カラオケ歌詞表示配色システム
JP2023095159A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8197501A (ja) 電子楽器及び演奏データ利用プログラム
JP6543155B2 (ja) 操作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679389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