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798B1 - 이형질 이음관 - Google Patents

이형질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798B1
KR102184798B1 KR1020200084358A KR20200084358A KR102184798B1 KR 102184798 B1 KR102184798 B1 KR 102184798B1 KR 1020200084358 A KR1020200084358 A KR 1020200084358A KR 20200084358 A KR20200084358 A KR 20200084358A KR 102184798 B1 KR102184798 B1 KR 102184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circumferential surface
tube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규명
서현석
Original Assignee
(주) 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폴리텍 filed Critical (주) 폴리텍
Priority to KR1020200084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 F16L47/2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for joints between metal and plastic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이형질 이음관은 일단이 금속 재질의 배관과 연결되는 튜브형상의 제1 연결부와 제1 연결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며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제1 이음관과 일단이 연장부의 내주에 삽입되는 튜브 형상의 결합부와 결합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결합부보다 확장된 내경을 가지며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수지 재질로 마련되는 제2 이음관과 결합부의 내주에 삽입되고 결합부를 둘레방향으로 지지하여, 결합부를 연장부의 내측에 밀착시키는 금속 재질의 확장튜브 및 제2 연결부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통해 가열되어 제2 연결부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수지 재질 배관의 외주면을 제2 연결부의 내주면에 융착시키는 열선을 포함한다.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이형질 이음관은 일단이 금속 재질의 배관과 연결되는 튜브형상의 제1 연결부와 제1 연결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며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제1 이음관과 일단이 연장부의 내주에 삽입되는 튜브 형상의 결합부와 결합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결합부보다 확장된 내경을 가지며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수지 재질로 마련되는 제2 이음관과 결합부의 내주에 삽입되고 결합부를 둘레방향으로 지지하여, 결합부를 연장부의 내측에 밀착시키는 금속 재질의 확장튜브 및 제2 연결부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통해 가열되어 제2 연결부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수지 재질 배관의 외주면을 제2 연결부의 내주면에 융착시키는 열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형질 이음관{TRANSITION FITTINGS}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재질의 배관을 상호 연결시키는 이형질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배관은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종류 및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마련된다.
이러한 배관을 또 다른 배관과 연결할 때, 동일한 재질의 배관 연결은 서로 성질이 동일하기 때문에 각 성질에 적합한 연결 방식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서로 다른 재질, 다시 말해, 이형질의 배관 연결은 다소 어려운 편이다.
특히, 성형이 쉽고 무게가 가벼우며, 충격에 강하고,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재질의 파이프는 공사 현장 등의 열악한 환경에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기존에 매설된 금속 배관에 연결해야 되는 경우엔 상술한 어려움이 수반된다.
도 5는 종래의 도 5는 종래의 이형질 파이프를 잇는 이음 시공의 예를 대략적으로 도식화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폴리에틸렌 파이프(P)와 금속 파이프(P)를 연결시키는 방법은, 우선, 금속 파이프(M)에 한 쪽 단이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진 관 형상의 어댑터(A)를 연결하고, 연결시키고자하는 폴리에틸렌 파이프(P)의 단부와 어댑터(A)의 폴리에틸렌 재질 방향이 마주하도록 전자소켓(S)의 양측에 삽입한 뒤, 전자소켓에 전기를 공급하여 열에 의해 융착시키는 방법(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폴리에틸렌의 성질을 잘 이해하는 연결방식이긴 하나, 전자소켓(S) 내부에 폴리에틸렌 관이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융착시킬 경우, 상호 마주한 폴리에틸렌 파이프(P)와 어댑터(A)의 폴리에틸렌 관이 서로를 지탱해주지 못하고 전자소켓(S)의 가열범위 중앙에 용융물이 과다하게 발생되기 때문에, 폴리에틸렌 파이프(P)와 어댑터(A)의 폴리에틸렌 관의 각 단부의 형태가 무너지면서 파이프(P)의 내측 방향으로 용융비드가 형성되어진다. 이러한 용융비드는 융착부위의 직경을 좁게 만들기 때문에 파이프(P, M)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속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유체의 충돌에 의해 압력이 증가하여 융착부위에 균열 및 파손이 발생됨에 따라 기밀성이 상실되어 유체가 누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PE 재질을 포함한 서로 다른 재질의 파이프 연결 시의 유속 장애 발생을 방지하는 이형질 이음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형질 이음관은, 일단이 금속 재질의 배관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제1 이음관; 일단이 상기 연장부의 내주에 삽입되는 튜브 형상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보다 확장된 내경을 가지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수지 재질의 제2 이음관; 상기 결합부의 내주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를 둘레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결합부를 상기 연장부의 내측에 밀착시키는 금속 재질의 확장튜브;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통해 가열되어 상기 제2 연결부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수지 재질 배관의 외주면을 상기 제2 연결부의 내주면에 융착시키는 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연장부의 내주에 삽입되는 영역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과 외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이 연속적으로 이격 형성된 형태의 연결 홈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홈에 상기 확장튜브에 의해 확장된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 일영역이 압입되어 상기 제1 이음관과 제2 이음관이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결 홈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연결 홈과 직교를 이루며 형성된 회전방지 홈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방지 홈에 상기 확장튜브에 의해 확장된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 일영역이 압입되어 상기 제1 이음관과 제2 이음관의 축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형질 이음관은 제1 이음관은 나사산 또는 용접을 통해 금속파이프가 연결되고, 제2 이음관은 내부에 삽입된 단일의 수지파이프와 융착되며, 확장튜브가 결합부의 내주에 밀착된 상태로 연장부 방향으로 가압 삽입되면서 결합부를 확장시키면서 외주면의 일영역을 연장부 내주면에 형성된 연결 홈과 회전방지 홈에 압입시켜 제1 이음관과 제2 이음관을 상호 고정시킬 수 있음에 따라, 폴리에틸렌 파이프와 금속 파이프를 연결 시의 용융비드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형질 이음관은 금속 파이프가 연결되는 영역의 제1 이음관, 제2 이음관과 제1 이음관 결합 상태를 지지하는 확장튜브의 중공, 확장튜브를 지지하며 확장튜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실링부재의 중공이 단일 직경 형태의 유로를 형성함에 따라, 유속 저하가 발생하지 않고 연결부위의 압력 증가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형질 이음관의 종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형질 이음관의 제1 이음관의 종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형질 이음관의 제1 이음관과 제2 이음관의 결합을 단계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도 5는 종래의 도 5는 종래의 이형질 파이프를 잇는 이음 시공의 예를 대략적으로 도식화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형질 이음관에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형질 이음관의 종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형질 이음관(100)는 서로 다른 재질인 수지 파이프(P)와 금속 파이프(M)을 상호 연결시키며, 제1 이음관(110), 제2 이음관(120), 확장튜브(130), 열선(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음관(110)은 일단이 금속 파이프(M)가 연결되는 제1 연결부(112)와 제1 연결부(112)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홈(C1)이 형성된 연장부(114)를 포함하며 황동 재질로 마련된다. 제1 이음관(110)의 제1 연결부(112)는 금속 재질의 배관, 수도부품 등이 결합되는 곳이다. 도 1을 포함한 이하의 도면에서는, 제1 이음관(110)과 금속파이프(M)의 연결(체결)방식이 나사 체결 방식이며, 제1 연결부(112) 또한 외주 일영역에 금속파이프(M)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1 연결부(112)는 나사결합 이외에도 용접, 등, 금속파이프(M)와 체결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114)는 제1 이음관(110)과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제2 이음관(120)이 연결되는 부분이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2 이음관(120)과 결합되는 연장부(114)의 내주 형상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형질 이음관의 제1 이음관의 종 단면도이다.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이음관(110)의 연장부(114)는 내주의 둘레 방향을 따라 띠 형상의 복수의 홈이 이웃하는 형태의 연결 홈(C1)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14) 내주에 형성된 연결 홈(C1)은 제2 이음관(120)을 향하는 방향에는 직각으로 함몰되고 제1 결합부(112)를 향하는 방향으로는 빗변을 가지는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홈(C1)의 구조는 후술될 제2 이음관(120)의 결합부(122)가 연장부(114)의 내주에 삽입될 때,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구조이다. 또한 후술될 확장튜브(130)에 의해 결합부(122)의 외경이 확장되어, 결합부(122)의 외주가 연장부(114)의 연결 홈(C1)에 압입되어 변형을 일으킬 때, 연결 홈(C1)에 걸림으로써 제2 이음관(120)을 길이방향으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연장부(114)의 연결 홈(C1)이 형성된 영역에는 연결 홈(C1)의 형성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회전방지 홈(C2)이 제1 이음관(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단위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회전방지 홈(C2)은 확장튜브(130)에 의해 결합부(122)의 외경이 확장되어, 결합부(122)의 외주면 일영역이 연장부(114)의 연결 홈(C1)에 압입되어 변형을 일으킬 때, 연결 홈(C1)에 압입된 결합부(122)의 외주면 일영역이 추가적으로 가압되어 회전방지 홈(C2)에 압입되게 된다. 만약, 이형질 이음관(100)의 양단에 결합되는 파이프(P, M)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비틀린다 해도 회전방지 홈(C2)에 압입된 결합부(122)의 외주면 일영역에 의해 제1 이음관(110)과 제2 이음관(120)은 회전되지 않고 축이 고정된다.
즉, 제1 이음관(110)의 연장부(114) 내주면에 형성된 연결 홈(C1)과 회전방지 홈(C2)에 의해 제2 이음관(120)이 연장부(114)의 내주에 삽입될 때, 제1 이음관(110)과 제2 이음관(120)은 견고하게 고정될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고정방식은 본 발명의 이형질 이음관(100)에서 금속 파이프(M)가 연결되는 제1 이음관(110)이 금속재질로 마련되고, 수지 파이프(P)가 연결되는 제2 이음관(120)은 가압에 의한 변형이 용이한 수지 재질로 마련되기 때문이다.
제2 이음관(120)은 일단이 연장부(114)의 내주에 삽입되는 튜브 형상의 결합부(122)와 결합부(122)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되 결합부(122)보다 확장된 내경을 가지며 형성되는 제2 연결부(124)를 포함하며 수지 재질로 마련된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 결합부(122)의 외주는 연장부(114) 내주면의 연결 홈(C1)과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확장튜브(130)에 의해 연장부(114)의 내주면 방향으로 가압될 때 결합력과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연결 홈(C1)의 형상보다는 큰 형상의 돌기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결합부(122)는 제2 연결부(114)에 인접한 영역에서 연장부(114)의 내주에 삽입되는 영역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과 외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마련되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제2 연결부(124)는 내주면에 수지 파이프(P)가 삽입되는 곳이며, 제2 연결부(124)가 이루는 내경의 크기는 삽입되는 수지 파이프(P)의 직경과 내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이형질 이음관(100)는 제1 이음관(110)의 내경, 제2 이음관(120)에 삽입되는 수지 파이프(P)의 내경, 그리고 후술될 확장튜브(130)의 내경이 최대한 동일한 직경 형태를 유지하며 연장되도록 하기 위해, 제2 연결부(124)가 이루는 내경 또한 연결될 수지파이프(P)의 두께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는 것이다. 한편, 제2 연결부(124)의 외주면 일영역에는 후술될 열선(140)의 양단이 제2 이음관(120)의 외측으로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선(140)의 양단 측면을 개별적으로 커버하기 위한 튜브형 구조가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확장튜브(130)는 결합부(122)의 내주에 삽입되고 결합부(122)를 둘레방향으로 지지하여, 결합부(122)를 연장부(114)의 내측에 밀착시킨다. 여기서, 확장튜브(130)는 중공을 통과하는 유체에 의한 부식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레스(Stainless) 재질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확장튜브(130)는 결합부(122)의 내주에 밀착된 상태로 별도의 가압 수단에 의해 연장부(114) 방향으로 가압 삽입되면서 결합부(122)의 내경과 외경을 확장시키며, 결합부(122)의 확장된 외주면의 일영역을 연장부(114) 내주면에 형성된 연결 홈(C1)과 회전방지 홈(C2)에 압입시켜 제1 이음관(110)과 제2 이음관(120)을 상호 고정시킨다.
열선(140)은 제2 연결부(124)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통해 가열되어 제2 연결부(124)의 내주에 삽입되는 수지 재질 배관의 외주면을 제2 연결부(124)의 내주면에 융착시킨다. 제2 이음관(120)은 수지 재질, 좀 더 정확하게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재질로 마련되기 때문에 열에 의한 융착이 용이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동일 재질인 폴리에틸렌 파이프(P)의 외주면을 제2 연결부(124)에 삽입한 뒤, 열선에 전기를 공급하여 제2 연결부(124)의 내주면과 폴리에틸렌 파이프(P) 외주면을 융착시켜 폴리에틸렌 파이프(P)를 제2 이음관(120)에 연결시키게 된다.
실링부재(150)는 제2 연결부(124)와 결합부(122)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고, 제2 연결부(124)와 결합부(122) 각각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되, 확장부재(300)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튜브 형상으로 마련된다. 실링부재(150)는 제2 연결부(124)를 통해 삽입된 수지 파이프(P)가 열선(140)에 의해 제2 연결부(124)의 내주면에 융착되면, 수지 파이프(P)의 단부에 지지되어 확장튜브(130)와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실링부재(150)와 확장튜브(130)는 동일한 직경의 내경을 가지고 상호 밀착되어 단일의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도 3,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형질 이음관의 제1 이음관과 제2 이음관의 결합을 단계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도 3을 우선, (a)와 (b)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최초 제2 이음관(120)의 결합부(122)를 제1 이음관(110)의 연장부(114) 내측에 삽입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부(122)의 외경과 내경이 결합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삽입 시의 결합부(122)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후, 도 4의 (c)에서와 같이, 확장튜브(130)를 별도의 가압 수단을 통해 제1 이음관(110)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결합부(122)는 확장튜브(130)에 의해 외경과 내경이 확장되면서, 결합부(122)의 외주면이 연장부(114)의 내측에 밀착된다. 이때, 결합부(122)의 외주면은 확장튜브(130)가 결합부(122)의 내주를 따라 제1 이음관(110)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결합부(122)의 외주면을 연장부(114)의 내주면에 형성된 연결 홈(C1)과 회전방지 홈(C2)에 압입시키게 된다. 또한, 제1 이음관(110)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결합부(122)의 내경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확장튜브(130)가 결합부(122)의 내주면에 긁힘 또는 찍힘의 발생하거나 결합부(122)의 무리한 확장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활 수 있도록, 확장튜브(130)는 가압 이동되는 방향을 향하는 단부의 외측이 테이퍼 지거나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후, (d)에서와 같이, 실링부재(150)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제2 이음관(120)에 수지 파이프(P)가 결합될 때, 확장튜브(130)의 위치가 고정되면서, 제1 이음관의 제1 연결부(112), 확장튜브(130), 실링부재(150)가 밀착되어,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단일의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후, 제2 연결부(124)에 수지 파이프(P)가 삽입 융착되고, 제1 연결부(112)에 금속 파이프(P)가 결합되면, 수지 파이프(P)에서 이형질 이음관(100), 금속 파이프(M)가 단일의 유로를 이루게 된다. 즉, 이형질 이음관(100)으로 연결된 수지 파이프(P)와 금속 파이프(M) 사이에서 흐르는 유체가 이형질 이음관(100)의 내부 구조에서 충돌되지 않고 흐를 수 있게 되어, 유체의 유속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유체 충돌 압력에 의한 변형 및 기밀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이혈질 이음관
110: 제1 이음관
112: 제1 연결부
114: 연장부
120: 제2 이음관
112: 결합부
114: 제2 연결부
130: 확장튜브
140: 열선
150: 실링부재
S: 나사산
P: 수지 파이프, 폴리에틸렌 파이프
M: 금속 파이프
C1: 연결 홈
C2: 회전방지 홈

Claims (5)

  1. 일단이 금속 재질의 배관과 연결되는 튜브 형상의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며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제1 이음관;
    일단이 상기 연장부의 내주에 삽입되는 튜브 형상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결합부보다 확장된 내경을 가지며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수지 재질로 마련되는 제2 이음관;
    상기 결합부의 내주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를 둘레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결합부를 상기 연장부의 내측에 밀착시키는 금속 재질의 확장튜브;
    상기 제2 연결부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통해 가열되어 상기 제2 연결부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수지 재질 배관의 외주면을 상기 제2 연결부의 내주면에 융착시키는 열선; 및
    상기 확장튜브와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튜브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 연결부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제2 연결부의 내주면에 삽입 융착된 상기 수지 재질의 배관의 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확장튜브를 상기 제1 연결부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질 이음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연장부의 내주에 삽입되는 영역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과 외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질 이음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튜브는 상기 결합부의 내주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연장부 방향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부의 내경과 외경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질 이음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이 연속적으로 이격 형성된 형태의 연결 홈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홈에 상기 확장튜브에 의해 확장된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 일영역이 압입되어 상기 제1 이음관과 제2 이음관이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질 이음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결 홈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연결 홈과 직교를 이루며 형성된 회전방지 홈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방지 홈에 상기 확장튜브에 의해 확장된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 일영역이 압입되어 상기 제1 이음관과 제2 이음관의 축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질 이음관.
KR1020200084358A 2020-07-08 2020-07-08 이형질 이음관 KR102184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358A KR102184798B1 (ko) 2020-07-08 2020-07-08 이형질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358A KR102184798B1 (ko) 2020-07-08 2020-07-08 이형질 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798B1 true KR102184798B1 (ko) 2020-11-30

Family

ID=7364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358A KR102184798B1 (ko) 2020-07-08 2020-07-08 이형질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7011A (zh) * 2021-05-10 2022-11-11 株式会社岛津制作所 生物惰性配管以及液相色谱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587U (ja) * 1993-06-29 1995-01-31 三菱樹脂株式会社 異種管継手
KR20010111847A (ko) * 2000-06-13 2001-12-20 박준 이형질 이음관과 그 이음방법
JP2006138352A (ja) * 2004-11-10 2006-06-01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KR101343522B1 (ko) * 2012-02-06 2013-12-20 주식회사 대연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를 갖는 복합 배관 및 복합 배관의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587U (ja) * 1993-06-29 1995-01-31 三菱樹脂株式会社 異種管継手
KR20010111847A (ko) * 2000-06-13 2001-12-20 박준 이형질 이음관과 그 이음방법
JP2006138352A (ja) * 2004-11-10 2006-06-01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KR101343522B1 (ko) * 2012-02-06 2013-12-20 주식회사 대연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를 갖는 복합 배관 및 복합 배관의 조립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7011A (zh) * 2021-05-10 2022-11-11 株式会社岛津制作所 生物惰性配管以及液相色谱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7954B2 (ja) らせん状自在管連結具
KR102166422B1 (ko) 플랜지용 pfa 아답터
US20210033233A1 (en) Connecting device for piping
WO2014181589A1 (ja) インナーリング
KR102184798B1 (ko) 이형질 이음관
US11525533B2 (en) Pipe device having a bonded joint
KR100250347B1 (ko)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튜브관 연결체와 그 연결방법
WO2020233335A1 (zh) 一种与管子连接的管接头
JP5764469B2 (ja) インナーリング
KR102028180B1 (ko) 파이프 구조체
BR0204472B1 (pt) dispositivo e método para reduzir a transferência de calor em uma operação de soldagem para conectar dois seguimentos de tubulação tendo revestimento de fibra de vidro.
KR101837909B1 (ko) 유체 분배용 관 접속구조 및 접속방법
JP2562781B2 (ja) 樹脂チューブの接続構造
KR20140111862A (ko)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
TW201905373A (zh) 樹脂製管構件、樹脂製管構件之製造方法、樹脂製管接頭及樹脂製配管
KR200389186Y1 (ko) 배관이음구
CN112032445A (zh) 一种可适应地质沉降的柔性管道接口结构
RU2737990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труб из полипропилена
JP2524753Y2 (ja) 高純度流体輸送配管用樹脂製管継手
JP2007100952A (ja) 熱可塑性樹脂製管の接続方法、接続用管セットおよび接続用管
JP2003130278A (ja) 電気融着自在継手
JP5508200B2 (ja) 配管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76739A (ja) 熱可塑性樹脂チューブの接合構造
CN215721589U (zh) 一种全程免维护应用的曲弹矢量管道系统
CN111051758A (zh) 管道的成型管端部段和管螺纹连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