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862A -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862A
KR20140111862A KR1020130026311A KR20130026311A KR20140111862A KR 20140111862 A KR20140111862 A KR 20140111862A KR 1020130026311 A KR1020130026311 A KR 1020130026311A KR 20130026311 A KR20130026311 A KR 20130026311A KR 20140111862 A KR20140111862 A KR 20140111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block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nip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애경
Original Assignee
박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애경 filed Critical 박애경
Priority to KR1020130026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1862A/ko
Publication of KR20140111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16L19/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with a rigid pressure ring between the screwed member and the exterior of the flared pipe 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02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by means of internal or external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는, 공기 조화기에 설치되는 배관의 연결 구조로서,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제1배관; 상기 제1배관의 일단부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링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배관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 연결 블록; 상기 연결 블록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배관의 외주면에 끼워진 제1패킹 부재; 상기 제1배관과 동축 상에 배치된 제2배관; 상기 제2배관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구비된 니플 부재; 상기 니플 부재의 선단부와 상기 제1배관이 마주하는 부위에 배치된 제2패킹 부재; 및 상기 제2패킹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니플 부재와 상기 연결 블록을 결합하도록 상기 연결 블록을 수용하여 상기 니플 부재에 나사 결합된 너트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연결 블록과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배관의 선단부를 소성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블록이 상기 제1배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Pipe connection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로서, 실내기 유닛과 실외기 유닛 간의 냉매가 흐르는 통로를 제공하는 배관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을 포함한 공기 조화 시스템은 실내기 유닛과 실외기 유닛을 포함한다. 실내기 유닛과 실외기 유닛 사이에는 배관이 설치되어 냉매가 실외기 유닛과 실내기 유닛 간에 순환된다. 상기 배관은 동합금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최근 동(구리)의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배관의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새로운 배관 구조가 제시되었으며 그 일 예가 공개실용신안 제2009-0005185에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공개실용신안에서는 배관의 대부분을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하고 그 배관의 단부는 동합금으로 제조하여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배관과 동합금으로 이루어진 배관을 전기저항 용접인 공정접합 방식으로 결합하였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이종 금속을 결합하는 경우 각 금속 간의 활성 전위 차이에 의해 한쪽 금속으로부터 다른 쪽 금속으로 전자가 이동하면서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이 발생한다. 갈바닉 부식은 특히 접합부위가 수분에 노출될 경우에 급속하게 진행된다. 갈바닉 부식은 일반적으로 "전이 부식"이라고 불린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접합부위를 합성수지 필름으로 피복 하여야 한다. 그러나 접합부위를 합성수지 필름으로 피복 하는 경우 제조 원가가 상승하고 피복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므로 배관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복된 합성수지 필름과 배관 사이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으며 피복이 예기치 않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에 전이 부식이 급속하게 진행됨으로써 배관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동합금으로 된 배관과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배관을 공정접합함으로써 발생하는 전이 부식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동합금으로 된 배관과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배관을 용접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도 1에는 동합금으로 이루어진 배관과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배관을 연결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동합금으로 제조된 배관(1)의 일단부에는 플레어 니플(2, flare nipple)이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한다. 그리고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배관(3)의 일단부는 플레어부(4)가 형성한다. 상기 플레어부(4)가 상기 플레어 니플(2)에 접촉된 상태에서 플레어 너트(5)가 상기 플레어부(4)를 상기 플레어 니플(2)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플레어 너트(5)는 상기 플레어 니플(2)에 나사결합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는 또 다른 문제점을 유발한다. 즉,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합금은 동합금에 비하여 강도가 낮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배관은 플레어부를 정밀하게 가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배관은 플레어 너트(5)에 의해 상기 플레어 니플(2)에 고정된 상기 플레어부(4) 주변이 예기치 않은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 시스템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기 플레어부(4) 주위가 변형되면서 배관 내부를 흐르는 냉매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알루미늄 배관을 제조하는 소재로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그 경우에는 원하는 형태로 배관의 형태를 구부리기 어려운 문제점과 크랙(crack), 꺽임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플레어부의 변형이 용이하므로 배관의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는, 공기 조화기에 설치되는 배관의 연결 구조로서,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제1배관;
상기 제1배관의 일단부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배관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링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배관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 연결 블록;
상기 연결 블록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배관의 외주면에 끼워진 제1패킹 부재;
상기 제1배관과 동축 상에 배치된 제2배관;
상기 제2배관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구비된 니플 부재;
상기 니플 부재의 선단부와 상기 제1배관이 마주하는 부위에 배치된 제2패킹 부재; 및
상기 제2패킹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니플 부재와 상기 연결 블록을 결합하도록 상기 연결 블록을 수용하여 상기 니플 부재에 나사 결합된 너트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연결 블록과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배관의 선단부를 소성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블록이 상기 제1배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연결 블록의 외주면과 상기 제1배관의 일단부 외주면을 덮도록 결합된 후 가열 수축되어 상기 제1배관에 고정된 합성 수지제의 수축 튜브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블록의 외주면에는 절연성 도료에 의해 도장 되며,
상기 연결 블록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너트 부재가 조립된 영역을 초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배관의 일단부 외주면을 덮도록 결합된 후 가열 수축되어 상기 제1배관에 고정된 합성 수지제의 수축 튜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블록은 플레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니플 부재는 상기 플레어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제1배관 보다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는 강도가 높은 연결 블록을 제1배관의 일단부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연결 블록이 배관 연결 부위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동합금보다 가격이 저렴한 알루미늄 합금을 용이하게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는 연결 블록과 제1배관을 결합하는 공정에서 용접 방식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조립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관 장치의 주요 구성 요소가 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배관과 연결 블록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관 장치의 주요 구성 요소가 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배관과 연결 블록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10,12)는 제1배관(20)과, 연결 블록(30)과, 제2배관(40)과, 니플 부재(50)와, 너트 부재(60)와, 제1패킹 부재(70)와, 제2패킹 부재(80)와, 수축 튜브(9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배관(20)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다. 상기 제1배관(20)은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연결 블록(30)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요소다. 상기 연결 블록(30)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다. 상기 연결 블록(30)은 상기 제1배관(20)과 동일한 계열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배관(20) 보다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블록(30)은 예컨대 듀랄루민(Duralumin)과 같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블록(30)은 알루미늄 이외의 소재도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결 블록(30)의 소재로서 탄소강,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 소재가 채용될 수 있으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소재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블록(30)은 링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연결 블록(30)은 상기 제1배관(20)의 일단부 외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연결 블록(3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조립공(34)에 상기 제1배관(20)의 외주면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연결 블록(30)의 선단부 외측으로 상기 제1배관(20)의 일단부가 일정량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배관(20)의 일단부 중 상기 연결 블록(30)의 선단부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는 소성 변형부(25)를 구성한다. 상기 소성 변형부(25)는 후술하는 너트 부재(60)와 니플 부재(50)가 나사 결합 될 때 소성 변형되어 상기 연결 블록(30)이 상기 제1배관(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성 변형부(2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블록(30)에 플레어부(32)가 형성된 경우에 그 플레어부(3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블록(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어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어부(32)는 후술하는 니플 부재(50)에 대응하는 형상이 구비된 경우에 형성될 필요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플레어부(32)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연결 블록(30)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동합금으로 이루어진 배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배관을 사용하는 경우에 그 알루미늄 합금의 낮은 강도를 보완하여 주기 위해 채용된 구조물이다. 상기 연결 블록(30)은 후술하는 제2배관(40)과 상기 제1배관(20)을 효과적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구조물이며 배관 장치의 조립성과 내구성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블록(30)은 상기 제1배관(20)의 일단부가 후술하는 니플 부재(50)에 밀착되는 부위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1배관(20)의 단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연결 블록(30)은 상기 제1배관(20)의 일단부가 니플 부재(50)를 매개로 제2배관(40)과 결합된 상태에서 진동에도 결합된 부위의 밀봉 상태를 잘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 블록(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외주면에 절연성 도료를 도장하여 형성된 도장층(9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장층(95)은 상기 연결 블록(30)과 후술하는 너트 부재(60)의 소재가 서로 달라 전기 전도성의 차이로 인한 전해 부식이 발생하는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도장층(95)는 상기 연결 블록(30)을 상기 제1배관(20)에 결합한 후에 형성하거나, 상기 연결 블록(30)을 상기 제1배관(20)에 결합하기 전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배관(40)은 상기 제1배관(20)과 동축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배관(40)은 일반적으로 동합금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배관(40)은 상기 제1배관(20)과 같은 재질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배관(4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스테인리스 강관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 니플 부재(50)는 상기 제2배관(4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니플 부재(50)는 외주면에 수나사부(52)가 구비된다. 상기 니플 부재(50)는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형태의 니플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니플 부재(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블록(30)에 형성된 플레어부(32)에 대응하는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너트 부재(60)는 상기 니플 부재(50)와 상기 연결 블록(30)을 결합하는 부재이다. 상기 너트 부재(60)는 상기 연결 블록(30)을 수용하여 상기 니플 부재(50)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너트 부재(60)는 내주면에 암나사부(6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암나사부(62)에 인접하여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는 수용부(64)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64)는 상기 연결 블록(30)을 수용하는 부위다. 상기 너트 부재(60)의 외주면은 육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너트 부재(60)와 상기 니플 부재(50)가 상호 나사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배관(20)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상기 소성 변형부(25)는 상기 연결 블록(30)의 내주면 쪽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소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연결 블록(30)이 상기 제1배관(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패킹 부재(70)는 상기 연결 블록(30)의 후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패킹 부재(70)는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패킹 부재(70)는 링(ring) 형태의 부재이다. 상기 제1패킹 부재(70)는 상기 제1배관(20)의 외주면에 끼워진다. 상기 제1패킹 부재(70)는 상기 연결 블록(30)의 후단부와 상기 너트 부재(60)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패킹 부재(70)는 전기적으로 부도체이며, 상기 연결 블록(30)의 후단부와 상기 너트 부재(60)가 직접 접촉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전해부식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제1패킹 부재(70)은 상기 너트 부재(60)가 상기 니플 부재(50)와 나사 결합 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 블록(30)과의 마찰을 억제하는 베어링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패킹 부재(70)의 소재는 예컨대 불소 수지의 한 종류인 테플론(Teflon)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제2패킹 부재(80)는 상기 니플 부재(50)의 선단부와 상기 제1배관(20)이 마주하는 부위에 배치된다. 상기 제2패킹 부재(80)의 형상은 상기 제1패킹 부재(70)와 대동소이하다. 상기 제2패킹 부재(80)는 금속 소재로 제조된 상기 제1배관(20)과 상기 니플 부재(50)가 마주하는 부위에서 밀봉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패킹 부재(80)는 알루미늄 소재인 상기 제1배관(20)이 동 합금 소재인 상기 니플 부재(50)와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절연 작용을 하는 부재이다. 상기 제2패킹 부재(8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한 종류인 테플론(Teflon)과 같은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축 튜브(90)는 상기 제1배관(20)의 선단부 외주면 일부에 결합 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수축 튜브(90)는 파이프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수축 튜브(90)는 합성 수지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축 튜브(90)는 가열될 때 부피가 수축하는 성질이 있다. 상기 수축 튜브(90)는 상기 제1배관(20)에 조립되기 전에는 상기 제1배관(2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제1배관(20)에 조립된 후 가열에 의해 수축됨으로써 상기 제1배관(20)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수축 튜브(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블록(30)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너트 부재(60)가 조립된 영역을 초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배관(20)의 일단부 외주면을 덮도록 결합된 후 가열 수축되어 상기 제1배관(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축 튜브(9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연결 블록(30)의 외주면에 절연성 도료가 도장된 도장층(9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축 튜브(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블록(30)의 외주면과 상기 제1배관(20)의 일단부 외주면을 덮도록 결합된 후 가열 수축되어 상기 제1배관(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축 튜브(9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블록(30)의 외주면 까지 덮도록 배치된 경우에는, 상기 연결 블록(30)의 외주면에 도장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10, 12)를 조립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2 또는 도 5에는 조립된 상태의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10, 12)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10)는 상기 연결 블록(30)에 도장층(95)이 형성된 구조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12)는 상기 연결 블록(30)에 도장층이 형성되지 않은 구조이다.
이제,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10, 12)를 조립 순서에 따라 서술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배관(20)과 상기 연결 블록(30)을 결합한다. 상기 연결 블록(30)의 조립공(34)을 통해 상기 제1배관(20)을 결합한다. 상기 연결 블록(30)은 상기 제1배관(2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므로 상기 제1배관(20)에 가 조립(pre-assemly)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배관(2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배관(20)의 선단부에 플레어부와 같은 형태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제1배관(20)의 다른 쪽에서 상기 연결 블록(30)을 끼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제1배관(20)의 선단부는 상기 연결 블록(30)과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블록(30)의 길이 방향 상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된 부위가 소성 변형부(2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배관(20)에 상기 제1패킹 부재(70)와 상기 너트 부재(60)를 결합한다. 상기 제1패킹 부재(70)와 상기 너트 부재(60)는 상기 제1배관(20)에 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배관(2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배관(40)의 일단부에 상기 니플 부재(50)를 고정한다. 상기 니플 부재(50)에 상기 제2배관(40)의 일단부를 삽입한 후 용접에 의해 상기 니플 부재(50)와 상기 제2배관(40)을 일체로 결합한다.
이제 상기 제1배관(20)과 상기 제2배관(40)을 연결할 준비가 되었다. 상기 니플 부재(50)의 선단부에 상기 제2패킹 부재(80)을 배치하고 상기 제1배관(20)의 선단부가 상기 니플 부재(50)와 마주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너트 부재(60)의 암나사부(62)와 상기 니플 부재(50)의 수나사부(52)를 나사 결합한다. 상기 너트 부재(60)가 상기 니플 부재(50)에 나사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배관(20)의 선단부는 소성 변형되어 상기 소성 변형부(25)를 구성한다. 상기 소성 변형부(25)는 상기 연결 블록(30)의 내주면 쪽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상기 제1배관(20)과 상기 연결 블록(30)은 일종의 코킹 가공한 것과 유사하게 상호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 블록(30)은 상기 제1배관(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 블록(30)을 상기 제1배관(20)에 고정한 후, 상기 너트 부재(60)와 상기 니플 부재(50)의 나사 결합을 해제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수축 튜브(90)를 상기 제1배관(20)의 일단부에 끼운 후 가열하여 상기 제1배관(20)에 고정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수축 튜브(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블록(30)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너트 부재(60)가 배치된 영역을 초과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축 튜브(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블록(30)의 외주면과 상기 제1배관(20)의 일단부를 덮도록 배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상기 수축 튜브(90)가 배치된 경우에는 상기 연결 블록(30)의 외주면에 절연성 도장층(9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형태로 상기 수축 튜브(90)가 배치된 경우에는 상기 연결 블록(30)의 외주면에 절연성 도장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는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연결용 배관을 모두 알루미늄 합금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동합금과 알루미늄 합금의 공정접합시 발생하는 갈바닉 부식(전이 부식)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연결 부위에서 충분한 내구성이 보장되고, 동합금에 비하여 제조 원가가 50% 이상 낮아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상기 연결 블록이 충분한 강도를 보완하여 줌으로써 작동 중에서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냉매가 누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특히, 연결 블록을 제1배관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용접 공정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조립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0, 12 :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 20 : 제1배관
25 : 소성 변형부 30 : 연결 블록
32 : 플레어부 34 : 조립공
40 : 제2배관 50 : 니플 부재
52 : 수나사부 60 : 너트 부재
62 : 암나사부 64 : 수용부
70 : 제1패킹 부재 80 : 제2패킹 부재
90 : 수축 튜브 95 : 도장층

Claims (4)

  1. 공기 조화기에 설치되는 배관의 연결 구조로서,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제1배관;
    상기 제1배관의 일단부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링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배관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 연결 블록;
    상기 연결 블록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배관의 외주면에 끼워진 제1패킹 부재;
    상기 제1배관과 동축 상에 배치된 제2배관;
    상기 제2배관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구비된 니플 부재;
    상기 니플 부재의 선단부와 상기 제1배관이 마주하는 부위에 배치된 제2패킹 부재; 및
    상기 제2패킹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니플 부재와 상기 연결 블록을 결합하도록 상기 연결 블록을 수용하여 상기 니플 부재에 나사 결합된 너트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연결 블록과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배관의 선단부를 소성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블록이 상기 제1배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의 외주면과 상기 제1배관의 일단부 외주면을 덮도록 결합된 후 가열 수축되어 상기 제1배관에 고정된 합성 수지제의 수축 튜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의 외주면에는 절연성 도료에 의해 도장되며,
    상기 연결 블록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너트 부재가 조립된 영역을 초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배관의 일단부 외주면을 덮도록 결합된 후 가열 수축되어 상기 제1배관에 고정된 합성 수지제의 수축 튜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플레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니플 부재는 상기 플레어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제1배관 보다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
KR1020130026311A 2013-03-12 2013-03-12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 KR20140111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311A KR20140111862A (ko) 2013-03-12 2013-03-12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311A KR20140111862A (ko) 2013-03-12 2013-03-12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862A true KR20140111862A (ko) 2014-09-22

Family

ID=51757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311A KR20140111862A (ko) 2013-03-12 2013-03-12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186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8522A (zh) * 2018-04-23 2019-10-29 吴炯东 冷媒管的连接结构
CN112041605A (zh) * 2018-05-09 2020-12-04 金桓荣 空调室外机用树脂涂层铝管连接件
WO2021103405A1 (zh) * 2019-11-25 2021-06-0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防拆卸管接头、防拆卸管接头组件及空调
KR20220070739A (ko) * 2020-11-23 2022-05-31 강희양 배관연결구조 및 배관연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8522A (zh) * 2018-04-23 2019-10-29 吴炯东 冷媒管的连接结构
CN112041605A (zh) * 2018-05-09 2020-12-04 金桓荣 空调室外机用树脂涂层铝管连接件
CN112041605B (zh) * 2018-05-09 2021-11-12 金桓荣 空调室外机用树脂涂层铝管连接件
WO2021103405A1 (zh) * 2019-11-25 2021-06-0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防拆卸管接头、防拆卸管接头组件及空调
KR20220070739A (ko) * 2020-11-23 2022-05-31 강희양 배관연결구조 및 배관연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532B1 (ko)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
US8308201B2 (en) Crimp fitting for corrugated stainless steel tubing
JP5427954B2 (ja) らせん状自在管連結具
CN101563563A (zh) 用于波纹不锈钢管道的快速驱动接头
KR101397531B1 (ko)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
JP4939826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US20100327579A1 (en) Fluid fitting
JP2014111949A (ja) 冷媒用管継手構造
KR20140111862A (ko) 공기 조화기 설치용 배관 장치
US20100181760A1 (en) Snap-fit fitting for corrugated stainless steel tubing
KR20170124178A (ko) 공기 조화기용 배관장치
JP4751314B2 (ja) パイプと継手の接続構造
JP5269178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KR101155350B1 (ko) 냉매용 이종 파이프 결합을 위한 피팅장치
JP6242680B2 (ja) 管継手
JP2562781B2 (ja) 樹脂チューブの接続構造
JP2932093B2 (ja) 樹脂管と金属管との変換継手
JP6642853B2 (ja) 管接続構造
JP6637533B2 (ja) 継手付き耐圧ホース
RU91130U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фитинга с полипропиленовой трубой и комплект деталей для его сборки
RU2461762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539407B1 (ko) 나선형 주름관 연결구
KR20110137759A (ko) 나선형 주름관 연결구
JP2014109295A (ja) 管継手構造
CN202260303U (zh) 六角软管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