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347B1 -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튜브관 연결체와 그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튜브관 연결체와 그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347B1
KR100250347B1 KR1019940700632A KR19940700632A KR100250347B1 KR 100250347 B1 KR100250347 B1 KR 100250347B1 KR 1019940700632 A KR1019940700632 A KR 1019940700632A KR 19940700632 A KR19940700632 A KR 19940700632A KR 100250347 B1 KR100250347 B1 KR 100250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nnector member
tension ring
expanded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702257A (ko
Inventor
임그람 프리트릭
Original Assignee
프리드릭 임그람
비르스보 로울프로득크찌온 운트 페르트리브스-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20710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5034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드릭 임그람, 비르스보 로울프로득크찌온 운트 페르트리브스-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리드릭 임그람
Publication of KR940702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702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6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e.g. shrinking of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7/00Shaping of tube ends, e.g. flanging, belling or closing; Apparatus therefor, e.g. collapsible mandrels
    • B29C57/02Belling or enlarging, e.g. combined with forming a groove
    • B29C57/04Belling or enlarging, e.g. combined with forming a groove using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Tongue and groove joints; Tenon and mortise joints; Stepped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only two joint-segments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22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only two joint-segments in the joint cross-section comprising at least a lapped joint-seg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Tongue and groove joints; Tenon and mortise joints; Stepped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only two joint-segments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226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only two joint-segments in the joint cross-section comprising at least one bevelled joint-seg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1Joining tubular articles for forming coaxial connections, i.e. the tubular articles to be joined forming a zero angle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9Joining tubular articles involving the use of a socket
    • B29C66/52297Joining tubular articles involving the use of a socket said socket comprising slip-off preven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 F16L47/2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using shrink-down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7/00Shaping of tube ends, e.g. flanging, belling or closing; Apparatus therefor, e.g. collapsible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6Single bevelled joi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bevelled in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7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3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iented or heat-shrinkable
    • B29C66/73715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iented or heat-shrinkable heat-shrink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 튜브의 튜브 단부를 팽창시키고 또한 생산된 튜브 배선 접촉물 위와 더불어, 접속 부재 위에도 튜브 단부를 놓는 방법을 구성하는 튜브 배선 접속물을 생산하는 방법과 관계가 있다.
접속 부재(1)의 외부 지름 보다 내부 지름이 더 작은 튜브(3)의 단부(4)가 역으로 상기 접속 부재(1)의 외부 지름보다 더 큰 내부 지름 속으로 팽창하는 심봉(mandrel)의 도움으로 외부 온도에서 팽창되며, 그리고 상기 팽창 심봉을 제거한 후에, 상기 튜브(3)와 접속 부재(1)의 팽창된 단부(4)가 서로 맞물리며, 반면 상기 접속 부재(1)는 역으로 팽창된 튜브 단부(4)의 자력-재변환에 기인하여 상기 튜브 단부(4)로 단단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polyolefin)으로 만들어진 튜브(3)의 튜브 단부(4)가 팽창되고 접속 부재(1) 위로 놓여지는, 튜브 배선 접속물(tube conduit connection)과 이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튜브관 연결체와 그 연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부재와 튜브 단부(端部)로 이루어진 튜브관 연결체의 단면도.
제2도는 텐션 링(tension ring)을 포함하는 제1도에서 도시된 튜브관 연결체의 단면도.
제3도는 두 개의 튜브 단부(端部)로 이루어진 튜브관 연결체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부재 2 : 두꺼운 부분
3 : 튜브 4 : 튜브 단부(端部)
5 : 텐션 링(tension ring)
10 : 첫 번째 튜브 11 : 첫 번째 튜브 단부(端部)
12 : 두 번째 튜브 13 : 두 번째 튜브 단부(端部)
본 발명은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 튜브의 단부(端部)와 표면 구조물을 갖는 커넥터 부재를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 튜브의 단부가 커넥터 부재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고, 튜브 단부가 상온(environmental temperature)에서 팽창 심봉(expanding mandrel)에 의해 커넥터 부재의 외경보다 큰 내경이 되도록 팽창되어 지며, 팽창 심봉(expanding mandrel)의 제거 후, 아직 팽창된 상태의 튜브의 단부가 커넥터 부재와 서로 끼워지고, 팽창된 튜브 단부의 원상태로의 수축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지고 커넥터 부재의 외경 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튜브의 단부(端部)와 표면 구조물을 갖는 커넥터 부재로 구성되는 튜브관 연결체에 관한 것으로, 튜브의 단부가 상온(environmental temperature)에서 팽창 심봉(expanding mandrel)에 의해 팽창되어 지고, 원상태로의 수축에 의해 커넥터 부재에 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 첫 번째 튜브의 단부와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지고 첫 번째 튜브 단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두 번째 튜브의 단부로 구성되는 튜브관 연결체에 관한 것으로, 두 번째 튜브 단부는 상온(environmental temperature)에서 팽창되어지고, 원상태로의 수축에 의해 첫 번째 튜브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이다.
독일 특허 출원 P 38 17 442.1 과 같은 이러한 형태의 공지된 방법에서는 튜브연결이 예를 들면, 두 튜브의 커넥터 부재를 연결하는 수축 슬리이브(shrink-on sleeve)에 의해 수행된다. 수축 슬리이브(shrink-on sleeve)는 예를 들어,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과 같은 열-탄성적(thermo-elastic) 물질로 만들어진다.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이 결정 융점(crystallite melting point) 이상으로 가열된 후, 가열상태에서 변형되어지고 팽창되면서 커넥터 부재의 외면으로 밀어 끼워짐으로써 수축 슬리이브가 커넥터 부재에 연결된다.
같은 방식으로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된 튜브의 단부도 T-형 커넥터와 같은 커넥터 부재의 외면으로 밀어 끼워져 연결된다.
EP-A-0 102919 의 튜브관을 연결하는 방법을 보면, 가교(架橋:cross-linked) 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 첫 번째 튜브 단부가 저온 상태 또는 가열된 상태(될 수 있으면 결정융점(crystallite melting point) 이상으로 가열된 후)에서 팽창되어지고, 그 후 팽창되어서 냉각된 첫 번째 튜브의 단부에 두 번째 튜브 단부가 끼워진다. 그런 다음 팽창된 첫 번째 튜브 단부가 결정융점(crystallite melting point) 이상으로 가열되어지고, 첫 번째 튜브 단부가 상기 가열에 의해 수축하여 두 번째 튜브와 결합되는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간행물에 나와 있는,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 튜브관의 연결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한 연결체는, 그러한 폴리올레핀이 결정융점(crystallite melting point) 이상으로 가열될 때 뿐 아니라 저온이나 부분적인 결정 조건(crystalline condition; 즉, 결정 융점(crystallite melting point) 이상으로 가열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변형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초하며, 또한 냉각에 의해서, 변형된 상태로 유지된 이러한 변형된 폴리올레핀은 결정융점(crystallite melting point) 이상의 온도로의 가열에 의해 열-탄성적 상태(thermo-elastic condition)로 되어,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성향을 갖는데, 이로 인해 수축하여 결합하는 연결이 이루어진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결정 융점(crystallite melting point)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예를 들면,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에틸렌의 경우는 135℃ 이상), 이러한 공지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결정융점(crystallite melting point)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고 그 온도에서 팽창되어지는 튜브 단부는 커넥터 부재와 신속히 (즉, 과도한 냉각과 열-탄성적 복원(thermo-elastic reconversion) 전에) 연결되어야 한다. 결정융점(crystallite melting point) 이하의 온도로 냉각되면, 결정융점(crystallite melting point) 이상의 온도로 재가열하여야 한다.
독일 특허 출원 3 608 843 에서는 가교(cross-linked)된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지고 저온 상태에서 팽창되어진 튜브 단부의 복원(reconversion)이 상온(environmental temperature)에서도 진행된다는 것이 나와 있다. 클램핑 연결을 만드는 클램핑 방법 및 클램핑 커넥터(clamping connecter)도 여기에 기초한다. 그러므로 팽창 전에, 팽창된 튜브 단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푸싱 슬리이브(pushing sleeve)가 튜브의 단부에 제공된다. 팽창 후, 튜브 단부는 클램핑 커넥터(clamping connecter)의 커넥터 부재와 서로 끼워지는데, 상기 커넥터 부재에는 환상(環狀)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푸싱 슬리이브(pushing sleeve)가, 팽창되어 결합된 튜브단부의 외면으로 밀어지고, 원래 형태로 복원하는 튜브 단부가 클램핑 커넥터(clamping connecter)의 커넥터 부재에 있는 환상(環狀)의 홈으로 밀려진다. 튜브 단부의 원래 형태로의 복원은 계속 진전되고, 클램핑 커넥터(clamping connecter)의 커넥터 부재에 튜브의 단부를 견고히 클램핑하는 것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처음에 언급한 형태의, 주위 조건(environmental condition) 하에서 별도의 가열 없이 견고하고, 밀봉시키는 튜브관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튜브 단부에, 상온(environmental temperature)에서 팽창되어질 수 있고 또한 원래 형태로 복원 가능한(self-reconvertible) 재질의 텐션 링(tension ring)이 구비되는 것에 의해 달성되는데, 튜브 단부는 상온에서 텐션 링(tension ring)과 함께 팽창되어지고, 상온에서 원래 형태로의 복원성(self-reconversion)에 의해 수축되어, 견고하게 커넥터 부재에 밀봉 결합된다.
튜브 단부와 커넥터 부재를 연결하는 튜브관 연결체에 대해 보면, 이 목적은 튜브 단부에, 상온(environmental temperature)에서 팽창되어질 수 있고 또한 원래의 형태로 복원가능한(self-reconvertible) 재질의 텐션 링(tension ring)이 구비되는 것에 의해 달성되는데, 가교(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 튜브 단부는 텐션 링(tension ring)과 함께 팽창되어지고, 상온(environmental temperature)에서 원래 형태로의 복원성(self-reconversion)에 의해 수축되어, 견고하게 커넥터 부재에 밀봉 결합된다.
두 튜브의 단부로 구성되는 튜브관 연결체에 대해 보면, 이 목적은 두 번째 튜브의 단부에, 상온(environmental temperature)에서 팽창되어질 수 있고 또한 원래의 형태로 복원가능한(self-reconvertible) 재질의 텐션 링(tension ring)이 구비되는 것에 의해 달성되는데, 두 번째 튜브의 단부는 텐션 링(tension ring)과 함께 팽창되어지고, 상온에서 원래 형태로의 복원성(self-reconversion)에 의해 수축되어, 견고하게 첫 번째 튜브의 단부에 밀봉 결합된다.
본 발명은 열-탄성적(thermo-elastic) 폴리올레핀, 특히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이 저온, 그리고 부분적인 결정 조건(partially crystalline condition; 즉, 결정 융점(crystallite melting point) 이상으로 가열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충분한 팽창, 수축 변형성을 갖는다는 놀라운 인식에 기초한다.
이것은 폴리올레핀이 기계적인 외력에 의해서도 변형되고 성형되며 변형된 상태에서는 다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성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충분한 큰 힘을 가하면, 예를 들어 튜브를 팽창시키는 종래의 팽창 심봉(expanding mandrel)에 의해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 튜브 단부를 팽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온(environmental temperature)에서, 원래의 상태로의 복원(self-reconversion) 즉, 원래의 튜브 크기로의 수축은 상대적으로 늦은 속도로 진행되어 팽창 심봉(expanding mandrel)이 팽창된 튜브에서 제거된 후 아직 팽창된 상태로 있는 튜브 단부는 각각 원하는 커넥터 부재의 외면으로 끼워질 수 있다. 반면에 원상태로의 복원(수축) 시간은 과도한 대기시간을 야기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빠르다.
별도의 가열 없이 얻어지는 수축되면서 연결하는 이러한 방식은, 견고성이나 누설방지라는 종래의 요구조건을 만족한다.
다른 물질과 비교할 때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은, 커넥터 부재와의 연결 후에도 여전히 팽창 상태로 있는 한, 팽창이 응력 균열(stress crack)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 튜브를 별도의 가열 없이 각각 원하는 커넥터 부재에 연결할 수 있는 특별한 잇점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해, 팽창된 튜브 단부의 원래의 형태로의 복원(self-reconversion) 즉, 수축에 기인하여 특히 견고하고, 밀봉되며, 특히 가스가 새지 않는 연결체가 얻어진다.
그러한 팽창된 튜브 단부는 원상태로 복원(수축)되는 동안 커넥터 부재의 표면의 구조물 형상에 맞춰지면서 수축된다.
원래의 크기로 복원(수축)되는 폴리올레핀에 의해 조여지며 결합될 때,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그러한 표면구조물로는 비드(beads), 플루트(flute), 그루브(groove) 또는 너얼링(knurling)이 고려되어 질 수 있다.
전술한 방법에 있어서 필요하다면, 튜브관 연결을 부가적으로 견고히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목적은 종래의 튜브클램프에 의해 달성된다. 하지만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 튜브 단부에 텐션 링(tension ring)을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텐션 링(tension ring)도 변형가능한 물질인 경우, 상기 텐션 링은 처음부터 튜브의 단부에 부착되어질 수 있다.
또한 튜브관 연결이 된 후, 금속과 같이 변형을 거의 하지 않는 재질의 텐션 링(tension ring)을 튜브연결체의 튜브측 단부 외면으로 유압기구를 이용하여 밀어서 끼울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다른 튜브관 연결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단면도인 제1도에서 일자(一字)형 커넥터, 앵글 커넥터와 같은 두 튜브를 연결하는 커넥터 또는 ‘T’-자 형태의 커넥터와 같은 세 개의 튜브관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부재(1)가 나와 있다.
이 커넥터 부재(1)는 금속, 유리, 세라믹, 플라스틱 또는 사용 목적에 맞게 선택되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커넥터 부재(1)는 각 결합위치에서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표면구조를 갖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표면구조물은 끝단 쪽으로 경사져 있는 두꺼운 부분(2)이다.
이것 대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드(beads)나 플루트(flute), 그루브(groove) 또는 너얼링(knurling) 등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제1도는 폴리올레핀, 특히 중밀도(medium density), 고밀도(high density) 또는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 튜브(3)를 나타낸다.
튜브(3)의 내경은 커넥터 부재(1)의 외경보다 작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은 커넥터 부재(1)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같아서, 커넥터 부재(1)과 튜브(3)를 통과하는 매체로부터 조임부에 형성된 융착 또는 조임부에 의한 흐름의 저항이 방지된다.
튜브 연결을 하기 위하여, 튜브 단부(4)가 종래의 팽창 심봉(expanding mandrel) 같은 것을 사용하여 튜브 단부(4)의 내경이 최소한 커넥터 부재(1)의 두꺼운 부분(2)의 외경과 같을 때까지 상온에서 팽창된다.
두꺼운 부분(2)을 지나게 밀어 끼워진 후, 튜브의 단부(4)는 원래의 크기로 복원(수축)된다.
결과적으로 튜브 단부(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부재(1)의 표면형상을 따라 수축된다.
튜브 단부(4)의 원래 내경이 커넥터 부재(1)의 외경보다 더 작기 때문에, 튜브단부(4)는 커넥터 부재(1)의 끝부분(2)과 견고히 결합한다.
그리하여 튜브단부(4)와 커넥터 부재(1) 사이에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매우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진다.
제2도는 상기 튜브관 연결의 다른 실시예로 구성요소들이 같은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튜브 단부(4)와 커넥터 부재(1)사이를 밀봉시키면서 연결하는데서, 텐션 링(tension ring)(5)이 부가적으로 연결을 견고히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텐션 링(5)은 튜브(3)와 같은 재질로 하는 것이 좋다. 이 실시예에서는 튜브(3)와 텐션 링(5)이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다. 텐션 링(5)의 내경은 튜브(3)의 외경과 꼭 맞게 맞추어지고 튜브관 연결을 하기 전에 튜브 단부(4)쪽으로 밀어 놓여진다.
이 후 팽창단계에서, 팽창된 튜브 단부(4)가 텐션 링(5)과 함께 커넥터 부재(1)의 끝단(2) 외면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튜브 단부(4)와 함께 텐션 링(5)도 일시 동안 팽창되어진다.
그 다음 복원(수축)과정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튜브 단부(4)와 커넥터 부재(1)의 끝부분(2) 사이의 밀봉 연결이 이루어지는데, 텐션 링(5)도 수축하여 텐션 링(5)이 있는 부분에서 끝부분(2)에 대해 튜브 단부(4)를 부가적으로 조이게 된다.
제3도는 두 개의 튜브 단부 사이에 형성된 튜브관 연결을 도시한다.
양 튜브는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튜브가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고 부식성 매체(corrosive media)를 위한 도관(導管)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산업 또는 가정 폐수용 튜브는 부식에 강한 재질을 필요로 하며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 튜브는 여기서 실제적으로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실시예에서 두 튜브는 같은 외경, 내경을 갖는다. 하지만 내경의 차이가 과도한 흐름의 저항이나 융착을 야기하지 않는다면, 의도에 따라 다른 직경을 갖는 튜브 사이에도 이러한 튜브관 연결이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은 중요하지 않다.
첫 번째 튜브(10)의 단부(11)와 두 번째 튜브(12)의 단부(13)가 도시되어 있는데, 두 번째 튜브 단부(13)의 내경이 팽창되었고 이 팽창된 두 번째 튜브 단부(13)가 첫 번째 튜브(10)의 단부(11) 외면으로 밀어 끼워져 있다.
이 팽창은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예와 같이 종래의 팽창 심봉(expanding mandrel)을 사용하여 상온(environmental temperature)에서 수행되고, 상기의 복원(self-reconversion)과정, 즉 수축과정이 시작되므로 팽창된 튜브 단부(13)가 원래의 형태로 수축하려 한다.
두 튜브 단부(11)(13)사이의 넓은 면적의 견고한 결합은 이 경우에 밀봉하는 튜브관 연결을 만드는데, 튜브의 재질이 상기한 폐수에 대한 부식에 강한 것이기 때문에 오랜 시간 후에도 새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에,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텐션 링(tension ring)으로 연결이 부가적으로 보강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에 텐션 링(tension ring)에 의해 작용되는 압축력 하에 첫 번째 튜브 단부(11)의 과도한 변형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한 변형은 관 내부를 통과하는 폐수의 흐름 저항을 일으키거나 연결부분에서 폐수의 융착을 일으킬 수 있다.
연결부분의 부가적인 보강을 위해 텐션 링 대신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 튜브는 이러한 이유 때문에 폐수기술에 사용되어지는데, 왜냐하면 상기의 방법으로 두 유연 튜브 사이에 견고하면서 스스로 밀봉(self-sealing)하는 연결이 쉽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연속공정으로 생산되는 튜브(10)(13)가, 정해진 경로 또는 패턴에 따라 튜브를 배열하기 위해 필요한 앵글 커넥터나 다른 커넥터 없이 연속적인 튜브들로 배열될 수 있다는 잇점도 있다. 그러므로 튜브 사이의 연결은 입구와 출구의 위치에서만 이루어져야 한다.

Claims (11)

  1.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 튜브(3)의 단부(4)가 커넥터 부재(1)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고, 튜브단부(4)는 상온(environmental temperature)에서 팽창 심봉(expanding mandrel)에 의해 커넥터 부재(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팽창되며, 팽창 심봉(expanding mandrel)의 제거 후 아직 팽창된 상태의 튜브(3)의 단부(4)와 커넥터 부재(1)가 서로 끼워지고, 이후 팽창된 튜브 단부(4)의 수축으로 인해 결합되는,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 튜브(3)의 단부(4)를 외부표면에 표면 구조물을 갖는 커넥터 부재(1)에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온에서 팽창되어질 수 있으며 또한 원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self-reconvertible) 텐션 링(tension ring)(5)이 튜브 단부(4)에 구비되고, 상온에서 텐션 링(5)과 함께 팽창되어진 튜브 단부(4)가 복원(self-reconversion)에 의해 텐션 링(5)과 함께 상온에서 수축하여 커넥터 부재(1)에 견고하게 밀봉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 부재(1)는 끝부분(2)에 외측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표면구조물을 갖고, 상기 끝부분(2)에 팽창된 튜브 단부(4)가 수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텐션 링(5)은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지고 커넥터 부재(1)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튜브(3)의, 상온(environmental temperature)에서 팽창되어지고 다시 원래 형태로의 수축에 의해 커넥터 부재(1)와 결합하는 단부(4)와 표면 구조물을 갖는 커넥터 부재(1)로 구성되는 튜브관 연결에 있어서, 상온에서 팽창되어질 수 있으며 또한 원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self-reconvertible) 텐션 링(tension ring)(5)이 튜브 단부(4)에 구비되고,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지고 상온에서 텐션 링(5)과 함께 팽창되어진 튜브 단부(4)가 복원(self-reconversion)에 의해 텐션 링(5)과 함께 상온에서 수축하여 커넥터 부재(1)에 견고하게 밀봉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관 연결체.
  5. 제4항에 있어서, 커넥터 부재(1)의 끝부분(2)에 외측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표면구조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관 연결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텐션 링(5)과 튜브(3)는 같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관 연결체.
  7.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지고 첫 번째 튜브 단부(11)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두 번째 튜브(12)의, 상온에서 팽창되어지고 다시 원래 형태로의 수축에 의해 첫 번째 튜브의 단부(11)와 결합하는 단부(13)와 가교(架橋:cross-linked)된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 첫 번째 튜브(10)의 단부(11)로 이루어진 튜브관 연결에 있어서, 상온에서 팽창되어질 수 있으며 또한 원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self-reconvertible) 텐션 링(tension ring)이 두 번째 튜브 단부(13)에 구비되고, 상온에서 텐션 링과 함께 팽창되어진 두 번째 튜브 단부(13)가 복원(self-reconversion)에 의해 텐션 링과 함께 상온에서 수축하여 첫 번째 튜브의 단부(11)에 견고하게 밀봉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관 연결체.
  8. 제7항에 있어서, 텐션 링(tension ring)과 두 번째 튜브(12)는 같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관 연결체.
  9. 제2항에 있어서, 표면 구조물은 외측 원주방향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끝단 쪽으로 경사진 형태이고, 상기 표면구조물이 형성된 커넥터 부재의 끝부분에 팽창된 튜브 단부가 수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표면 구조물은 외측 원주방향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끝단 쪽으로 경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관 연결체.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첫 번째 튜브(10)와 두 번째 튜브(12)가 자유로이 배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관 연결체.
KR1019940700632A 1991-08-31 1992-08-21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튜브관 연결체와 그 연결방법 KR100250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1114686A EP0530387B2 (de) 1991-08-31 1991-08-31 Rohrleitungsverbind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ohrleitungsverbindungen aus Polyolefin
EP91114686.8 1991-08-31
PCT/EP1992/001923 WO1993005332A1 (de) 1991-08-31 1992-08-21 Rohrleitungsverbind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ohrleitungsverbindungen aus polyolef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702257A KR940702257A (ko) 1994-07-28
KR100250347B1 true KR100250347B1 (ko) 2000-04-01

Family

ID=8207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632A KR100250347B1 (ko) 1991-08-31 1992-08-21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튜브관 연결체와 그 연결방법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EP (1) EP0530387B2 (ko)
JP (1) JP3223977B2 (ko)
KR (1) KR100250347B1 (ko)
AT (1) ATE129795T1 (ko)
AU (1) AU669665B2 (ko)
CA (1) CA2116561A1 (ko)
CZ (1) CZ286291B6 (ko)
DE (1) DE59106833D1 (ko)
DK (1) DK0530387T4 (ko)
ES (1) ES2081406T5 (ko)
FI (1) FI940864A (ko)
GR (2) GR3018275T3 (ko)
HK (1) HK100096A (ko)
HU (1) HU215296B (ko)
IL (1) IL102958A (ko)
NO (1) NO311952B1 (ko)
NZ (1) NZ244134A (ko)
PL (1) PL170053B1 (ko)
PT (1) PT100823B (ko)
SK (1) SK282175B6 (ko)
TR (1) TR27381A (ko)
WO (1) WO1993005332A1 (ko)
ZA (1) ZA9265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8725B (de) * 1992-10-21 1995-01-25 Schnallinger Helfried In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endmuffen an kunststoffrohren
DE4310000C2 (de) * 1993-03-27 2002-03-28 Wirsbo Pex Gmbh Rohrleitungsverbindung, Rohrleitungsverbinder und Verwendung einer Hydraulik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Rohrleitungsverbindungen
DE9417116U1 (de) * 1994-10-25 1995-01-19 Wirsbo Rohrprod Und Vertr Gmbh Mehrfach-Rohrverbindungsteil
FI108574B (fi) * 1995-06-09 2002-02-15 Uponor Suomi Oy Putkien välinen puristusliitos
ATE222172T1 (de) * 1998-06-11 2002-08-15 Sica Spa Werkzeug mit mehreren betriebsstufen zum formen von stabilen muffen an enden vo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rohren
FI20020107A0 (fi) 2002-01-21 2002-01-21 Uponor Innovation Ab Putkiyhde
JP2005180662A (ja) * 2003-12-22 2005-07-07 Honda Motor Co Ltd 樹脂チューブ付クイックコネクタ
EP1741968A1 (en) 2005-07-08 2007-01-10 Uponor Innovation Ab Clamping ring
FI119657B (fi) * 2006-08-25 2009-01-30 Uponor Innovation Ab Menetelmä ja sovitelma putken liittämiseksi liitoskappaleeseen ja putkiliitos
US8431067B2 (en) * 2007-03-06 2013-04-30 Mercury Plastics, Inc. Method for making a reservoir
PL2170583T3 (pl) 2007-07-02 2014-03-31 Uponor Innovation Ab Sposób formowania pierścienia zaciskowego
US8146225B2 (en) 2007-12-14 2012-04-03 Uponor Innovation Ab Method of forming a clamping ring and a clamping ring
EP2481966A1 (en) 2011-02-01 2012-08-01 Uponor Innovation AB Clamping ring
US11543065B2 (en) 2016-09-02 2023-01-03 Zurn Industries, Llc Extruded cold-expansion compression collar
US11541581B2 (en) 2016-09-02 2023-01-03 Zurn Industries, Llc Injection molded cold-expansion compression collar
US11054076B2 (en) 2016-11-04 2021-07-06 Zurn Industries, Llc Reinforcing ring with sleeve
CN107696390B (zh) 2017-11-01 2019-07-12 乐清市东博机电有限公司 一种制造夹紧环的方法及其制造夹紧环的设备、注塑机
FR3114860B1 (fr) * 2020-10-05 2022-08-19 Stelia Aerospace Conduite de fluide pour aéronef comprenant une canalisation thermoplastique et un connecteu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90802B (sv) * 1973-11-27 1977-01-24 Atomenergi Ab Forfarande for sammanfogning av detaljer av fornetade polymerer
EP0102919A3 (de) * 1982-08-30 1985-05-22 HUBER & SUHNER AG KABEL-, KAUTSCHUK-, KUNSTSTOFF-WERKE Verfahren zum Verbinden von Rohren und danach hergestellte Rohrverbindung
FR2555283B1 (fr) * 1983-11-22 1986-08-22 Gresle Paul Systeme de raccordement de tubes
DE3817442C2 (de) * 1988-05-21 1994-02-03 Platzer Schwedenbau Gmbh Schellenlose Rohrleitungsverbi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311952B1 (no) 2002-02-18
FI940864A0 (fi) 1994-02-24
FI940864A (fi) 1994-02-24
TR27381A (tr) 1995-02-01
ATE129795T1 (de) 1995-11-15
SK282175B6 (sk) 2001-11-06
PL170053B1 (pl) 1996-10-31
HK100096A (en) 1996-06-14
GR3032196T3 (en) 2000-04-27
IL102958A0 (en) 1993-01-31
HU9400390D0 (en) 1994-05-30
DE59106833D1 (de) 1995-12-07
ZA926585B (en) 1993-03-12
AU669665B2 (en) 1996-06-20
WO1993005332A1 (de) 1993-03-18
JPH06509994A (ja) 1994-11-10
PT100823B (pt) 2001-05-31
DK0530387T4 (da) 2000-04-17
HUT69886A (en) 1995-09-28
KR940702257A (ko) 1994-07-28
EP0530387B1 (de) 1995-11-02
DK0530387T3 (da) 1996-03-04
ES2081406T5 (es) 2000-01-16
EP0530387B2 (de) 1999-10-06
AU2440192A (en) 1993-04-05
NO940672L (no) 1994-02-25
EP0530387A1 (de) 1993-03-10
NO940672D0 (no) 1994-02-25
CZ32294A3 (en) 1994-05-18
ES2081406T3 (es) 1996-03-01
NZ244134A (en) 1994-07-26
HU215296B (hu) 1998-11-30
CA2116561A1 (en) 1993-03-18
CZ286291B6 (cs) 2000-03-15
IL102958A (en) 1995-07-31
PT100823A (pt) 1994-05-31
SK21594A3 (en) 1994-08-10
GR3018275T3 (en) 1996-02-29
JP3223977B2 (ja) 200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0347B1 (ko)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튜브관 연결체와 그 연결방법
US3975039A (en) Heat-recoverable members
US4103943A (en) Pipe coupling
US5338070A (en) Diameter-reducing member joint device
GB2149468A (en) Heat shrinkable pipe coupling
FI102635B (fi) Menetelmä putkiliitoksen tekemiseksi ja putkiliitos
US5735554A (en) Tube conduit connec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from polyolefins
US46608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 connector to thermoplastic pipe
US5601776A (en) Method and a mould for forming an expansion, such as a socket, in a pipe, and a plastic pipe
SK115895A3 (en) Pipe joint
JP2627485B2 (ja) フレキシブル管継手
JP2002039488A (ja) 管接続構造と管継手
JP2881577B2 (ja) チューブ継手
KR970005209B1 (ko) 관 이음쇠
JP2002340253A (ja) 管の接続構造及び管の接続方法
JP3143834B2 (ja) 配管継手構造
KR200242187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러
JPH05106773A (ja) 分岐パイプ継手
JPH0348394B2 (ko)
JP2837730B2 (ja) 熱可塑性樹脂管の融着方法及びヒータ
KR200286290Y1 (ko) 유체관 밀봉용 열수축시트구조체
JP2620754B2 (ja) 補修管部材の接続構造
JPH05248584A (ja) ライニング管の分岐部シール方法
JPH05263980A (ja) ライニング管の分岐部シール方法
JPH10196858A (ja) 樹脂管と金属管との変換継手のシ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