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604B1 - Flying motion simulator - Google Patents

Flying motion simu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604B1
KR102183604B1 KR1020190006067A KR20190006067A KR102183604B1 KR 102183604 B1 KR102183604 B1 KR 102183604B1 KR 1020190006067 A KR1020190006067 A KR 1020190006067A KR 20190006067 A KR20190006067 A KR 20190006067A KR 102183604 B1 KR102183604 B1 KR 102183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unit
occupant
side frames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0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89411A (en
Inventor
박성민
Original Assignee
디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6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604B1/en
Priority to PCT/KR2020/000357 priority patent/WO2020149570A1/en
Publication of KR20200089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4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6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행모션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와; 하단부에 위치된 힌지부를 통해 베이스 상에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각 상단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피칭 유닛; 피칭 유닛의 회전을 조절하는 구동 유닛; 및 피칭 유닛에 결합되고 비행모션을 체험하는 탑승자를 지지보유하는 탑승자 지지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모션 시뮬레이터는 탑승자에게 다양한 비행모션을 제공하여 항공 레포츠를 안전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ight motion simulator, and the base; A pair of side frames rotatably coupl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base through a hinge portion positioned at the lower end; A pitching unit rotatably disposed between upper ends of a pair of side frames; A drive unit that adjusts the rotation of the pitching unit; And an occupant support unit coupled to the pitching unit and supporting and holding an occupant experiencing flight motion. The flight motion si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provides various flight motions to the occupants so that they can safely experience aviation sports.

Description

비행 모션 시뮬레이터 {Flying motion simulator}Flying motion simulator

본 발명은 비행모션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별하기로 탑승자에게 실제와 같은 모의 비행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비행모션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ight motion simulator, and in particular, to a flight motion simulator capable of providing a simulated flight experience to the occupant.

고공비행은 일반적으로 윙슈트 플라잉, 행글라이딩, 또는 스카이 다이빙 등을 통해서만 체험할 수 있다. 고공에서의 비행 체험은 항공기나 헬기에 탑승하고서 고도의 상공에서 낙하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High altitude flight is generally only experienced through wingsuit flying, hang gliding, or skydiving. The experience of flying at high altitude is inevitable with the hassle of having to drop from the high altitude after boarding an aircraft or helicopter.

이러한 항공 레포츠는 최근 VR(Virtual Reality) 기술의 발전을 통해 VR 헤드셋을 착용하고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시뮬레이션 보드 장치에 탑승하여 지상에서 가상으로도 체험할 수 있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VR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ese aviation sports can also be experienced virtually on the ground by wearing a VR headset and boarding the simulation board devic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의 가상현실 체험용 시뮬레이션 보드 장치는 VR 프로그램에 따라 회전하거나 전방위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데, 보드 플레이트(110) 상에 업드려 누워서 체험하게 되어 있다(도 6 참조).The simulation board device for virtual reality experience of Patent Document 1 is designed to rotate or adjust the inclination in all directions according to the VR program, and it is to be experienced while lying up on the board plate 110 (see FIG. 6).

특허문헌 1의 가상현실 체험용 시뮬레이션 보드 장치는 탑승자가 VR 헤드셋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스로 보드 플레이트(110)상에 업드려 눕는 자세까지 완료해야 하고 VR 헤드셋의 착용후는 자세의 변동폭이 떨어져서 긴장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ion board device of Patent Document 1, the occupant must complete a lying position on the board plate 110 without wearing the VR headset, and after wearing the VR headset, the variation of the posture decreases, resulting in a sense of tension. There is a problem of falling.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9430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94308

본 발명은 탑승자에게 초기 추락하는 과정 등에서 느낄 수 있는 자세에 따른 긴장감을 충분히 부여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 간결성을 가진 비행 모션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ight motion simulator having structural conciseness while being able to provide a sufficient sense of tension according to a posture that can be felt during an initial fall process to an occupa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행모션 시뮬레이터는, 베이스와; 하단부에 위치된 힌지부를 통해 베이스 상에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각 상단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피칭 유닛; 피칭 유닛의 회전을 조절하는 구동 유닛; 및 피칭 유닛에 결합되고 비행모션을 체험하는 탑승자를 지지보유하는 탑승자 지지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light motion simul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A pair of side frames rotatably coupl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base through a hinge portion positioned at the lower end; A pitching unit rotatably disposed between upper ends of a pair of side frames; A drive unit that adjusts the rotation of the pitching unit; And an occupant support unit coupled to the pitching unit and supporting and holding an occupant experiencing flight mo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전방측에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과;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한쌍의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한쌍의 각도제한 바아; 사이드 프레임에 인접한 가이드 레일의 근접 단부에 위치된 제1 센서; 및 가이드 레일에서 제1 센서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된 제2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includes a pair of guide rail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pair of side frames; A pair of angle limiting bars interposed between a pair of side frames and a pair of guide rails; A first sensor located at a proximal end of the guide rail adjacent to the side frame; And a second senso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nso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guide rail.

베이스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하는 패스너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The base may further comprise fasteners that limit the rotation of the pair of side frames.

선택가능하기로, 한쌍의 각도제한 바아의 일단은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 하단측 인접 부위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한쌍의 각도제한 바아의 타단은 힌지결합된 주행 블록을 통해 한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활주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ptionally, one end of the pair of angle limiting bars is rotatably coupled at the adjacent lower side of the pair of side frames, while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angle limiting bars slides along a pair of guide rails through a hinged running block. Can be combined as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사이드 프레임의 상단부는 축공을 갖춘 브라켓을 구비하고, 제2 사이드 프레임의 상단부는 축공을 갖춘 브라켓을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bracket having a shaft hole,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ide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bracket having a shaft 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피칭 유닛은 플레이트와; 제2 벨트풀리를 갖춘 자유단을 제1 사이드 프레임의 축공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길이연장된 제1 수평바아; 자유단을 제2 사이드 프레임의 축공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플레이트의 타측에서 길이연장된 제2 수평바아;를 구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tching unit includes a plate; A first horizontal bar extending in length from one side of the plate so that the free end provided with the second belt pulley is rotatably inserted in the shaft hole of the first side frame; And a second horizontal bar extending in length from the other side of the plate so that the free end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of the second side frame.

선택가능하기로, 플레이트는 전면에 배치된 제2 가이드 레일과, 상단부에 형성된 제1 스토퍼, 및 하단부에 형성된 제2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Optionally, the plate may have a second guide rail disposed on the front side, a first stopper formed on the upper end, and a second stopper formed on the lower en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은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고 힌지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벨트풀리; 및 제1 벨트풀리와 피칭 유닛의 제2 벨트풀리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벨트;를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unit includes a drive motor; A first belt pulle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hinge; And a belt mounted on the first belt pulley and the second belt pulley of the pitching unit to rot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탑승자 지지 유닛은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지지 프레임과; 탑승자의 무게중심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에 배치된 등받이부; 지지 프레임에 탑승자의 허리를 둘러싸는 허리벨트;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발걸이부; 및 지지 프레임의 양측에서 설치된 손잡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ccupant support unit includes: a support frame disposed between a pair of side frames; A backrest portion disposed on the support frame to suppor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ccupant; A waist belt surrounding the waist of the occupant on the support frame; Footrest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frame; And handle portion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선택가능하기로, 탑승자 지지 유닛은 등받이부의 후면에 주행 블록을 구비할 수 있다.Optionally, the occupant support unit may have a running block at the rear of the backrest.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본 발명은 탑승자가 VR 헤드셋의 착용후 발부분을 중심으로 전경되는 과정에서 탑승자로 하여금 긴장감을 느끼게 하면서도 전체적인 구조의 간결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립 자세에서 비행 자세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긴장감을 배가시켜 비행 모션 시뮬레이션의 재미를 배가시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conciseness of the overall structure while making the occupant feel a sense of tension in a process in which the occupant is in the foreground after wearing the VR headse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doubling the fun of flight motion simulation by doubling the tension in the process of switching from the standing position to the flying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탑승자에게 호버링, 하강비행, 상승비행, 360°회전 등의 다양한 비행모션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arious flight motions such as hovering, descending flight, ascending flight, and 360° rotation to the occupant.

덧붙여서, 본 발명은 탑승자의 고정 부위를 최소화시켜 윙슈트, 행글라이더 등의 항공 레포츠와 매우 흡사한 체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터는 탑승자의 발 뒤꿈치 하방에 위치한 힌지부와 탑승자의 탑승자의 허리 부근에 위치한 제1 및 제2 수평바아의 자유단을 통해 2 군데에서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fixed portion of the occupant, so that a haptic effect very similar to that of aviation sports such as wing suits and hang gliders can be expected. To this end, the si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in two places through the hinge portion located under the heel of the occupant and the fre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located near the waist of the occupant.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피칭 유닛을 통해 탑승자의 무게중심에 해당하는 허리 부위에서 회전 운동을 구현하여 다양한 각도로 탑승자를 경사 및/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ine and/or rotate the occupant at various angles by implementing a rotational motion at the wais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ccupant through a pitching unit arranged between a pair of side frames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have.

덧붙여서, 본 발명은 탑승자의 무게중심 부위에 피칭 유닛을 배치하여 적은 구동력으로도 탑승자를 용이하게 VR 프로그램 등에 연동되게 회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the pitching unit 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ccupant, the occupant can be rotated to be linked to a VR program easily with little driving force.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 단순화를 통해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면서 안정한 체험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stable experience while improving structural rigidity through structural simplification as show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행모션 시뮬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으로 절취한 비행모션 시뮬레이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행모션 시뮬레이터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행모션 시뮬레이터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행모션 시뮬레이터의 다양한 비행모션을 개략적으로 도해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용 시뮬레이션 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ight motion simul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flight motion simulator cut along the line AA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front of a flight motion simul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ight motion simul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5A to 5F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various flight motions of a flight motion simul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imulation board device for virtual reality experien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to have the same number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예컨대 가상현실의 인터페이스 환경 하에서 탑승자에게 다양한 비행모션을 통해 윙슈트(wing suit), 행글라이더 등과 같은 항공 레포츠를 체험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플라잉 시뮬레이터(flying simulator)의 일 종류에 해당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비행모션 시뮬레이터는 탑승자에게 호버링(hovering), 하강비행, 상승비행 등의 다양한 비행모션을 제공하여 현실감 있는 비행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kind of flying simulator that provides passengers to experience aviation sports such as a wing suit and a hang glider through various flight motions under, for example, a virtual reality interface environment. That is, the flight motion si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xperience realistic flight by providing various flight motions such as hovering, descending flight, and ascending flight to the occupant.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행모션 시뮬레이터는 베이스(100)와, 베이스(100)에서 소정의 이격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피칭 유닛(300), 피칭 유닛(300)의 회전 작동을 가능하도록 돕는 구동 유닛(400), 및 피칭 유닛(300)에 결합된 탑승자 지지 유닛(500)으로 이루어진다. 1 to 4, a flight motion simul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0 and a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fac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se 100 , A pitching unit 300 that is rotatably disposed between a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a driving unit 400 that helps to rotate the pitching unit 300, and a passenger support coupled to the pitching unit 300 It consists of a unit 500.

베이스(100)는 비행모션 시뮬레이터를 구성하는 부재들을 지지보유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베이스(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base 100 provides a space to support and hold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flight motion simulator. As shown, the base 1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rame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베이스(100)는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을 상방으로 배치하는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의 하단부와 베이스(110) 간에 힌지부(H)를 통해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은 베이스(110) 상에서 소정의 각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힌지부(H)는 피봇힌지방식으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하단부와 베이스의 상단부를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의 전방측에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110)과, 베이스(100) 상에서 사이드 프레임(210,22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한쌍의 각도제한 바아(120), 및 가이드 레일(110)에서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센서(S1,S2)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센서(S1)는 사이드 프레임(210)에 인접한 가이드 레일(110)의 근접 단부에 위치되는 한편, 제2 센서(S2)는 가이드 레일(110)에서 제1 센서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은 가이드 레일(110)에 종속된 각도제한 바아에 의해 전방측으로만 회동되는 한편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The base 100 arranges a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facing each other on both sides upward, and each side frame through a hinge portion H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and the base 110 210 and 220 may be rotatably coupl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base 110. For example, the hinge portion H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side frames and the upper end of the base in a pivot hinge method. The base 100 includes a pair of guide rails 110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and a pair of angle limiting bars 120 that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side frames 210 and 220 on the base 100. ), and two sensors (S 1 , S 2 )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uide rail 110. Here, the first sensor (S 1 ) is located at the proximal end of the guide rail 110 adjacent to the side frame 210, while the second sensor (S 2 ) is the first sensor and a predetermined They are placed at intervals. Here, the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are rotated only to the front side by an angle limiting bar subordinate to the guide rail 110 and are coupled to be rotatable only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구체적으로, 각도제한 바아(120)는 사이드 프레임(210)과 베이스(100)의 각 가이드 레일(110) 사이에 개재된다. 예컨대, 각도제한 바아(120)의 일단은 사이드 프레임(2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각도제한 바아(120)의 타단은 힌지결합된 주행 블록(121)을 통해 가이드 레일을 따라 활주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주행 블록(121)은 일측, 다시 말하자면 하측에 가이드 레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레일 홈(미도시)을 형성하는데, 슬라이딩 레일 홈 내부에 가이드 레일(110)을 활주가능하게 삽입하고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ngle limiting bar 120 is interposed between the side frame 210 and each guide rail 110 of the base 100. For example, one end of the angle limiting bar 1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frame 210 while the other end of the angle limiting bar 120 is slidable along the guide rail through the hinged traveling block 121. Is placed. The traveling block 121 forms a sliding rail groove (not sh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10 on one side, that is, on the lower side, and inserts and inserts the guide rail 110 slidably inside the sliding rail groove. It can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does not escape from the state.

본 발명은 예컨대 탑승자의 승하차시 사이드 프레임(210)의 위치고정을 가능하도록 패스너(1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fastener 13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enable the position of the side frame 210 to be fixed when a passenger gets on or off.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행모션 시뮬레이터는 전술되었듯이 베이스 상에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은 비행모션을 체험하는 탑승자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은 이의 상단부에 축공(211a,221a)을 갖춘 브라켓(211,221)를 구비한다. A flight motion simul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upled to a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on a base as described above. A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support the occupants experiencing flight motion to be rotatable at various angles. As shown, each side frame (210, 220) is provided with brackets (211, 221) having shaft holes (211a, 221a) at the upper end thereof.

추가로, 본 발명은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을 베이스(100)의 전방측으로 원활하게 각회전가능하도록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 간의 이격 간격을 베이스 상에서 길이연장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 간의 이격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ide frames may be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guide rails extended on the base so that the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can be rotated smoothly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base 100. I can.

앞서 기술되었듯이, 피칭 유닛(300)은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itching unit 300 is rotatably coupled between a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피칭 유닛(300)은 탑승자 지지 유닛(500)의 결합을 돕는 플레이트(310)와, 이 플레이트(310)의 일측에서 길이연장된 제1 수평바아(320), 및 제1 수평바아(320)와 대응되게 플레이트(310)의 타측에서 길이연장된 제2 수평바아(330)를 구비한다. The pitching unit 300 includes a plate 310 that helps 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couple together, a first horizontal bar 320 extending in length from one side of the plate 310, and a first horizontal bar 320 Correspondingly, a second horizontal bar 330 extending in length from the other side of the plate 310 is provided.

플레이트(310)는 탑승자 지지 유닛(500)을 지지하는 구성부재로, 탑승자 지지 유닛(500)의 등받이부(520)와 대향되는 편평한 전면에 제2 가이드 레일(311)을 배치한다. 제2 가이드 레일(311)은 탑승자 지지 유닛(500)을 피칭 유닛(300)에 결합하는 동시에 피칭 유닛의 플레이트 상에서 활주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플레이트는(310)는, 이의 상단부에서 탑승자 지지 유닛(500)을 향해 제1 스토퍼(312)를 구비하며, 이의 하단부에서 탑승자 지지 유닛(500)을 향해 제2 스토퍼(313)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스토퍼(312,313)를 통해 플레이트(310)에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이격 거리만큼 탑승자 지지 유닛(500)의 이동 변위를 제한할 수 있다. The plate 310 is a constituent member supporting 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and the second guide rail 311 is disposed on a flat front surface opposite to the backrest portion 520 of 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The second guide rail 311 may couple 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to the pitching unit 300 and at the same time ensure the sliding movement on the plate of the pitching unit. Optionally, the plate 310 has a first stopper 312 from its upper end toward 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and a second stopper 313 from its lower end toward 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It is equipped with.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limit the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by a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plate 31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312 and 313.

구체적으로, 제1 수평바아(320)의 고정단은 플레이트(31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일체로 결합되고 제1 수평바아(320)의 자유단은 제1 사이드 프레임(210)의 브라켓(211)의 축공(211a)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삽입고정된다. 제1 수평바아(320)은 자유단에 인접하게 제2 벨트풀리(321)를 구비한다. Specifically, the fixed end of the first horizontal bar 320 is integrally coupled at one edge of the plate 310, and the fre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bar 320 is of the bracket 211 of the first side frame 210. It is inserted and fix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shaft hole 211a. The first horizontal bar 320 includes a second belt pulley 321 adjacent to the free end.

제2 수평바아(330)의 고정단은 플레이트(310)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일체로 결합되고 제2 수평바아(330)의 자유단은 제2 사이드 프레임(220의 브라켓(221)의 축공(221a)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삽입고정된다.The fixed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bar 330 is integrally coupled at the other side edge of the plate 310, and the fre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bar 330 is the shaft hole 221a of the bracket 221 of the second side frame 220 It is inserted and fixed to be rotatable withi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피칭 유닛이 구동 유닛에 종속되어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사이드 프레임(210)의 축공(211a)과 제2 사이드 프레임(220)의 축공(221a)을 동일 축선 상에 배열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hole 211a of the first side frame 210 and the shaft hole of the second side frame 220 so that the pitching unit is subordinate to the drive unit to smoothly rotate between a pair of side frames ( 221a) are arranged on the same axis.

구동 유닛(400)은 베이스(100)에 배치된 구동 모터(410)와, 구동 모터(410)의 구동축에 연결된 제1 벨트풀리(420), 및 제1 벨트풀리(420)와 제2 벨트풀리(321)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벨트(430)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벨트풀리(420)는 제1 사이드 프레임(210)의 하부, 즉 힌지부(H)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면에 제2 벨트풀리(321)는 제1 벨트풀리(420)에서 수직상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제1 사이드 프레임(2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 벨트풀리는 구동 모터의 구동축과 힌지부의 피봇축을 동일 수직면 상에 배치할 수도 있다. The drive unit 400 includes a drive motor 410 disposed on the base 100, a first belt pulley 420 connected to a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410, and a first belt pulley 420 and a second belt pulley. It is equipped with a belt 430 that is mounted on 321 and rotates. As shown, the first belt pulley 42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side frame 210, that is, adjacent to the hinge portion H, while the second belt pulley 321 is a first belt pulley 420 )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first side frame 2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vertically upward. In the first belt pu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the pivot shaft of the hinge portion may be disposed on the same vertical surface.

구동 유닛(400)은 제1 사이드 프레임(210) 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구동 유닛은 제2 사이드 프레임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제1 및 제2 벨트풀리(420,321)는 외주면 둘레에 치상돌기를 구비하고 벨트(430)는 체인으로 구성되어, 제1 사이드 프레임의 양단에 설치된 제1 및 제2 벨트풀리는 체인을 치차 결합하여 구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The driving unit 40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side frame 2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riving unit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econd side frame. Optionally, the first and second belt pulleys 420 and 321 are provided with tooth protrusion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belt 430 is configured as a chain, and the first and second belt pulley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ide frame are chains. It is also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of driving force by gear-coupled.

본 발명에서 구동 유닛(400)의 구동시, 구동 모터(410)의 구동축에 연결된 제1 벨트풀리(4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벨트(430)에 회전력을 인가하고 이에 연동되어 제2 벨트풀리(321)를 강제로 회전시켜 결과적으로 피칭 유닛(330)을 구동 모터의 회전방향에 대응되게 전방을 향해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벨트풀리(42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모터의 회전방향에 종속되어 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e unit 400 is driven, the first belt pulley 420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410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belt 430 and interlocked with the second belt pulley ( By forcibly rotating the 321, as a result, the pitching unit 330 may be rotated toward the front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motor. In contrast, when the first belt pulley 420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it may be rotated rearward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motor.

탑승자 지지 유닛(500)은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일명 '거꾸리'로 알려져 있는 조립체이다. 개략적으로, 탑승자 지지 유닛(500)은 지지 프레임(510)과, 등받이부(520), 허리벨트(530), 발걸이부(540), 및 손잡이부(550)로 구성된다.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is an assemb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 so-called'backward'. Schematically, the passenger support unit 500 is composed of a support frame 510, a backrest portion 520, a waist belt 530, a footrest portion 540, and a handle portion 550.

지지 프레임(510)은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에 배치되되, 등받이부(520), 허리벨트(530), 발걸이부(540), 손잡이부(550)를 설치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510)은 베이스(100)와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으로 한정된 U자형상 부재 내에서 회전가능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frame 510 is disposed on a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and a backrest part 520, a waist belt 530, a footrest part 540, and a handle part 550 may be installed. The support frame 510 may be formed in a size and shape rotatable in a U-shaped member defined by the base 100 and a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등받이부(520)는 지지 프레임(510)에서 탑승자의 무게중심에 해당하는 허리 부위를 지지한다. 선택가능하기로, 등받이부(520)는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 지지 프레임(510)에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등받이부(520)는 일면에 접촉시 편안함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쿠션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The backrest part 520 supports a wais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ccupant in the support frame 510. Optionally, the backrest part 520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frame 510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occupant. The backrest part 520 may additionally include a cushion to increase comfort and stability when in contact with one surface.

덧붙여서, 본 발명은 탑승자 지지 유닛(500)을 피칭 유닛(300)의 전면에서 활주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등받이부(520)는 피칭 유닛(300)의 플레이트(310)와 대면하는 후면 상에 주행 블록(521)을 구비하는데, 주행 블록(521)은 제2 가이드 레일(311)을 따라 활주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주행 블록(521)은 일측에 제2 가이드 레일(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레일 홈을 형성하는데, 슬라이딩 레일 홈 내부에 제2 가이드 레일(311)을 활주가능하게 삽입하고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pitching unit 300. To this end, the backrest part 520 includes a traveling block 521 on the rear surface facing the plate 310 of the pitching unit 300, the traveling block 521 sliding along the second guide rail 311 It is movably coupled. The traveling block 521 forms a sliding rail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rail 311 on one side, and inserts the second guide rail 311 slidably into the sliding rail groove and detaches from the inserted state. It can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does not work.

허리벨트(530)는 비행모션 체험시 탑승자 지지 유닛(500) 내에서 탑승자의 자세를 미리 설정된 자세, 예컨대 윙슈트를 착용한 자세, 행글라이더에 탑승한 자세로 고정시켜줄 수 있다. 허리벨트(530)는 탑승자가 물구나무 서기와 같은 자세로 세워져 있을 때에도 허리를 충분히 지지해줄 수 있다. The waist belt 530 may fix the occupant's posture within 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to a pre-set posture, for example, a posture wearing a wing suit, or a posture boarding a hang glider during flight motion experience. The waist belt 530 may sufficiently support the waist even when the occupant is erected in the same posture as the handstand.

발걸이부(540)는 등받이부(520) 아래에 배치되되 지지 프레임(510)의 하부에 설치된다. 발걸이부(540)는 탑승자의 발목을 고정하는 발목고정부와 발목고정부 아래에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지지판 및 두 발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뒤꿈치판을 구비할 수 있다. The footrest part 540 is disposed under the backrest part 520 and is installed under the support frame 510. The footrest part 540 may include an ankle fixing part for fixing the ankle of the occupant, a foot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sole under the ankle fixing part, and a heel plate for limiting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two feet.

손잡이부(550)는 탑승자가 잡을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510)의 양측에 설치된다. 필요에 따라, 손잡이부(550)는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피칭 유닛(300)의 기울기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handle part 55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510 so that the occupant can hold it. If necessary, the handle part 55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inclination of the pitching unit 3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ccupa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행모션 시뮬레이터는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로 하여 다양한 비행모션을 체험할 수 있도록 작동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비행모션 시뮬레이터는 꼭 다음과 같은 단계로만 구동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A flight motion simul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to experience various flight motions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F. Of course, the flight motion sim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necessarily need to be driven only in the following steps.

도 5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행모션 시뮬레이터에 탑승자가 탑승 및/또는 하기(下機)가능한 위치고정한다. 이때,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은 베이스(100)와 직교되게 수직상방으로 입설되어 있고 제1 사이드 프레임(210)은 패스너(130)를 통해 베이스(100) 상에서 위치고정되어, 탑승자가 본 발명의 비행모션 시뮬레이터에 탑승하고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VR 헤드셋(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을 탑승자의 두부에 착용한다. 도 5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탑승자의 자세가 전경되기 전에 VR 헤드셋을 착용한다.As shown in Fig. 5a, the occupant boards and/or the following (下機) possible position is fixed in the flight motion simulato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are vertically vertically install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base 100, and the first side frame 210 is fixed in position on the base 100 through the fastener 130, so that the occupant has the present invention. A VR headset (not shown in the drawing) that provides virtual reality content while boarding the flight motion simulator of is worn on the head of the occupant. As shown in FIG. 5B, a VR headset is worn before the occupant's posture is in the foreground.

도시되었듯이,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이 기립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각도제한 바아(120)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주행 블록(121)은 가이드 레일(110)의 제1 센서(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S1)가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행 블록(121)의 위치를 검출한다. 만약 주행 블록(121)이 제1 센서(S1) 상에 배치되어 있으면, 구동 유닛(400)의 구동을 제한하게 된다.As shown, since the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are in an erect state, the traveling block 121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angle limiting bar 120 is the first sensor S 1 of the guide rail 110 ) Can be placed on. The first sensor S 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driving block 121. If the driving block 121 is disposed on the first sensor S 1 , driving of the driving unit 400 is restricted.

그리고 운영자가 패스너(130)를 해체하면 힌지부(H)를 중심으로 하여 자동 및/또는 반자동으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이 전방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주행 블록(121)은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전방으로 활주하여 제2 센서(S2) 상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5b 참조). 이 과정에서 탑승자는 VR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이며 제1 센서(S1)로부터의 이탈을 감지한 시스템은 VR 헤드셋에 대하여 적절한 입체 영상을 제공한다.And when the operator dismantles the fastener 130, the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are automatically and/or semi-automatically inclined toward the front side with the hinge portion H as the center, so that the driving block 121 follows the guide rail 110. It slides forward and moves onto the second sensor S 2 (see FIG. 5B ). In this process, the occupant is wearing a VR headset, and a system that detects departure from the first sensor S 1 provides an appropriate stereoscopic image for the VR headset.

탑승자는 VR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로 자신의 몸이 전경되는 물리적 변화를 경험하게 되므로 탑승자의 긴장감은 배가될 수 있다.The occupant's tension can be doubled because the occupant experiences a physical change in which his body is in the foreground while wearing the VR headset.

그리고 제2 센서(S2)에서 주행 블록(121)의 위치를 검출하면, 비행모션 준비 단계에 필요한 구동 유닛(400)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축공(211a, 221a)을 중심으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이 회전하여 탑승자의 상체는 전방측으로 더 경사지게 기울어지고 탑승자의 뒤꿈치가 들려지면서 활강을 위한 준비 자세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데 탑승자의 신체가 업드린 수평자세가 되거나 수평보다 약간 뒤로 기울거나 수평보다 더 앞으로 기울이는 자세까지 될 수 있다(도 5c 참조). And when the second sensor (S 2 ) detects the position of the driving block 121, the driving unit 400 required for the flight motion preparation step is activated. A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rotate around the shaft holes 211a and 221a, so that the upper body of the occupant is inclined more inclined to the front side and the heel of the occupant is lifted to provide a ready posture for the downhill. May become an upright horizontal posture, tilt slightly backward than horizontal, or tilt forward more than horizontal (see Fig. 5c).

VR 헤드셋과 상호 작용하면서 탑승자를 윙슈트나 행글라이더와 같이 공중 부양된 상태로 비행하는 것을 모사하기 위하여 적절한 각도로 변경된다. 본 발명의 시뮬레이터는 구동 유닛(400)의 구동 모터(410)를 일방향으로 구동시켜 피칭 유닛(300)의 제1 및 제2 수평바아(320,330)를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플레이트(310)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의 상단부 위로 회전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하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필요에 따라 탑승자의 전방에서 바람 등에 의한 유체 저항을 제공하는 송풍 설비를 추가할 수 있다.Interacting with the VR headset, it is changed to the appropriate angle to simulate flying the occupant in a levitated state such as a wingsuit or hang glider. The sim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rives the driving motor 410 of the driving unit 400 in one direction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320 and 330 of the pitching unit 300, and accordingly, the plate 310 is a pair of It is rotated over the upper end of the side frames 210 and 220 and can lift the lower body of the occupant as shown. A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ossible to add a blowing facility that provides fluid resistance by wind or the like in front of the occupant as needed.

예를 들어 도 5c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4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되 탑승자의 상체를 하향으로 경사지게 하면 피칭 유닛(300)의 플레이트(310)에서 활주가능하게 결합된 탑승자 지지 유닛(500)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5d 참조). 탑승자 지지 유닛(50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탑승자는 VR헤드셋의 영상과 결합하여 급속히 하강하는 느낌을 받기가 더욱 용이하게 되어 더욱 실감나게 하강비행하는 듯한 체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C, when the driving motor 41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ut the upper body of the occupant is inclined downward, 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slidably coupled to the plate 310 of the pitching unit 300 It can be moved forward (see Fig. 5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forward, the occupant may feel a sense of descent flying more realistically as it is easier to receive the feeling of rapid descent by combining with the image of the VR headset.

탑승자 지지 유닛(500)의 등받이부(520)가 플레이트(310)의 제1 스토퍼(312)에 간섭되어 허용 범위 이상의 이동을 제한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등받이부(520)는 이의 상단부에 댐퍼(미도시)를 구비하여, 하강비행시 등받이부와 제1 스토퍼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The backrest portion 520 of 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may interfere with the first stopper 312 of the plate 310 to limit movement beyond the allowable range,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the occupant. The backrest part 520 is provided with a damper (not shown) at the upper end thereof, so that the impact may be alleviated when the backrest part and the first stopper collide during a descent flight.

한편, 구동 모터(41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탑승자의 상체를 상향 경사지게 할 수도 있다(도 5e 참조). 구동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탑승자의 상체가 들리고 하체가 내려가는 자세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주로 산을 넘거나 위로 올라가는 VR 화면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자세가 된다.Meanwhile, by rotating the driving motor 410 in another direction, the upper body of the occupant may be inclined upward (see FIG. 5E). By rotating the drive motor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passenger's upper body can be lifted and the lower body can be changed to a lower body position, which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VR screen that goes up or crosses a mountain.

그런데, 구동 모터를 타방향으로 위와 같이 회전시키면 피칭 유닛(300)의 플레이트(310)에서 활주가능하게 결합된 탑승자 지지 유닛(500)은 중력에 의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도 5f 참조). 탑승자 지지 유닛(50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탑승자는 중력 영향으로 뒤에서 잡아 당기는 느낌을 통해 더욱 실감나게 상승비행하는 듯한 체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탑승자 지지 유닛(500)의 등받이부(520)가 플레이트(310)의 제2 스토퍼(313)에 간섭되어 허용 범위 이상의 이동을 제한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등받이부(520)는 이의 하단부에 댐퍼(미도시)를 구비하여, 상승비행시 등받이부와 제2 스토퍼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However, when the driving motor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as above, 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slidably coupled to the plate 310 of the pitching unit 300 is slidably moved backward by gravity (see FIG. 5F ).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to the rear, the occupant may feel a sense of ascending flight more realistically through the feeling of pulling from the rear under the influence of gravity. Of course, the backrest portion 520 of 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may interfere with the second stopper 313 of the plate 310 to limit movement beyond the allowable range,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the occupant. The backrest part 520 may be provided with a damper (not shown) at a lower end thereof to mitigate an impact when the backrest part and the second stopper collide during ascending flight.

작동 상태를 도해한 위 도면들에 별도로 도해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비행모션 시뮬레이터는 구동 모터(410)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 회전을 통해 피칭 유닛(300)의 제1 및 제2 수평바아(320,330)를 기준으로 하여 플레이트(310)를 360°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행모션 시뮬레이터는 다양한 각도로 탑승자를 회전시켜 더욱 다채로운 비행모션을 체험할 수 있도록 돕는다.Although not separately illustrated in the above drawings illustrating the operation state, the flight motion sim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320 and 330 of the pitching unit 300 through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410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The plate 310 may be rotated 360° based on. In other words, the flight motion simul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lps to experience more colorful flight motion by rotating the occupant at various angles.

또한, 위 실시에에서는 중력에 의해서 탑승자 지지 유닛(500)이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리니어 모터등의 구동력에 의해서 시스템이 구동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is slid by gravity, but the system may be driven by a driving force such as a linear motor.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행모션 시물레이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above, but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flight motion si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ommon knowledge in the relevant field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ould be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by the possessor.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00 ----- 베이스,
210,220 ----- 사이드 프레임,
300 ----- 피칭 유닛,
400 ----- 구동 유닛,
500 ----- 탑승자 지지 유닛,
H ----- 힌지부.
100 ----- bass,
210,220 ----- side frame,
300 ----- pitching unit,
400 ----- drive unit,
500 ----- occupant support unit,
H ----- hinge part.

Claims (10)

삭제delete 베이스(100)와;
하단부에 위치된 힌지부(H)를 통해 상기 베이스(100) 상에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
상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의 각 상단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피칭 유닛(300);
상기 피칭 유닛(300)의 회전을 조절하는 구동 유닛(400); 및
상기 피칭 유닛(300)에 결합되고 모션을 체험하는 탑승자를 지지보유하는 탑승자 지지 유닛(50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의 전방측에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110)과;
상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과 상기 한쌍의 가이드 레일(11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한쌍의 각도제한 바아(120);
상기 사이드 프레임(210)에 인접한 상기 가이드 레일(110)의 근접 단부에 위치된 제1 센서(S1); 및
상기 가이드 레일(110)에서 상기 제1 센서(S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된 제2 센서(S2);를 구비하는, 모션 시뮬레이터.
A base 100;
A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rotatably coupl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base 100 through a hinge portion H located at the lower end;
A pitching unit 300 disposed rotatably between upper ends of the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A driving unit 400 for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pitching unit 300; And
Includes; an occupant support unit 500 coupled to the pitching unit 300 and supporting and holding an occupant experiencing motion,
The base 100,
A pair of guide rails 110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A pair of angle limiting bars 120 interposed between the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and the pair of guide rails 110;
A first sensor (S 1 ) located at a proximal end of the guide rail 110 adjacent to the side frame 210; And
A second sensor (S 2 )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nsor (S 1 ) in the guide rail 1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하는 패스너(130)를 추가로 구비하는, 모션 시뮬레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base 100 further includes a fastener 130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pair of side frames, a motion simulat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각도제한 바아(120)의 일단은 상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쌍의 각도제한 바아(120)의 타단은 힌지결합된 주행 블록(121)을 통해 상기 한쌍의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는, 모션 시뮬레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ne end of the pair of angle limiting bars 1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angle limiting bars 120 is slidably coupled along the pair of guide rails 110 through a hinged driving block 121, a motion simulat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210)의 상단부는 축공(211a)을 갖춘 브라켓(211)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220)의 상단부는 축공(221a)을 갖춘 브라켓(221)을 구비하는, 모션 시뮬레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frame 210 has a bracket 211 having a shaft hole 211a,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ide frame 220 is provided with a bracket 221 with a shaft hole (221a), motion simulator.
베이스(100)와;
하단부에 위치된 힌지부(H)를 통해 상기 베이스(100) 상에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
상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의 각 상단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피칭 유닛(300);
상기 피칭 유닛(300)의 회전을 조절하는 구동 유닛(400); 및
상기 피칭 유닛(300)에 결합되고 모션을 체험하는 탑승자를 지지보유하는 탑승자 지지 유닛(500);를 포함하며,
상기 피칭 유닛(300)은,
플레이트(310)와;
제2 벨트풀리(321)를 갖춘 자유단을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210)의 축공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플레이트(310)의 일측에서 길이연장된 제1 수평바아(320); 및
자유단을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220)의 축공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플레이트(310)의 타측에서 길이연장된 제2 수평바아(330);를 구비하는, 모션 시뮬레이터.
A base 100;
A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rotatably coupl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base 100 through a hinge portion H located at the lower end;
A pitching unit 300 disposed rotatably between upper ends of the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A driving unit 400 for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pitching unit 300; And
Includes; an occupant support unit 500 coupled to the pitching unit 300 and supporting and holding an occupant experiencing motion,
The pitching unit 300,
A plate 310;
A first horizontal bar 320 extending in length from one side of the plate 310 so that the free end provided with the second belt pulley 321 is rotatably inserted in the shaft hole of the first side frame 210; And
A motion simulator comprising: a second horizontal bar (330) extended in length from the other side of the plate (310) so that the free end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of the second side frame (22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10)는 전면에 배치된 제2 가이드 레일(311)과, 상단부에 형성된 제1 스토퍼(312), 및 하단부에 형성된 제2 스토퍼(313)를 구비하는, 모션 시뮬레이터.
The method of claim 6,
The plate 310 includes a second guide rail 311 disposed on a front surface, a first stopper 312 formed at an upper end, and a second stopper 313 formed at a lower end.
베이스(100)와;
하단부에 위치된 힌지부(H)를 통해 상기 베이스(100) 상에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
상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의 각 상단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피칭 유닛(300);
상기 피칭 유닛(300)의 회전을 조절하는 구동 유닛(400); 및
상기 피칭 유닛(300)에 결합되고 모션을 체험하는 탑승자를 지지보유하는 탑승자 지지 유닛(50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유닛(400)은,
구동 모터(410)와;
상기 구동 모터(410)의 구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부(H)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벨트풀리(420); 및
상기 제1 벨트풀리(420)와 상기 피칭 유닛(300)의 제2 벨트풀리(321)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벨트(430);를 구비하는, 모션 시뮬레이터.
A base 100;
A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rotatably coupl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base 100 through a hinge portion H located at the lower end;
A pitching unit 300 disposed rotatably between upper ends of the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A driving unit 400 for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pitching unit 300; And
Includes; an occupant support unit 500 coupled to the pitching unit 300 and supporting and holding an occupant experiencing motion,
The drive unit 400,
A drive motor 410;
A first belt pulley 420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410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hinge portion H; And
The first belt pulley (420) and the second belt pulley (321) of the pitching unit (300) is mounted on the rotating belt (430); having a, motion simulator.
베이스(100)와;
하단부에 위치된 힌지부(H)를 통해 상기 베이스(100) 상에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
상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의 각 상단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피칭 유닛(300);
상기 피칭 유닛(300)의 회전을 조절하는 구동 유닛(400); 및
상기 피칭 유닛(300)에 결합되고 모션을 체험하는 탑승자를 지지보유하는 탑승자 지지 유닛(500);를 포함하며,
상기 탑승자 지지 유닛(500)은,
상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10,220) 사이에 배치된 지지 프레임(510)과;
탑승자의 무게중심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510)에 배치된 등받이부(520);
상기 지지 프레임에 탑승자의 허리를 둘러싸는 허리벨트(530);
상기 지지 프레임(510)의 하부에 설치된 발걸이부(540); 및
상기 지지 프레임(510)의 양측에서 설치된 손잡이부(550);를 구비하는, 모션 시뮬레이터.
A base 100;
A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rotatably coupl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base 100 through a hinge portion H located at the lower end;
A pitching unit 300 disposed rotatably between upper ends of the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A driving unit 400 for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pitching unit 300; And
Includes; an occupant support unit 500 coupled to the pitching unit 300 and supporting and holding an occupant experiencing motion,
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A support frame 510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ide frames 210 and 220;
A backrest part 520 disposed on the support frame 510 to suppor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ccupant;
A waist belt 530 surrounding the waist of the occupant in the support frame;
A footrest 540 installed under the support frame 510; And
A motion simulator having; handles 55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5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지지 유닛(500)은 상기 등받이부(520)의 후면에 주행 블록(521)을 구비하는, 모션 시뮬레이터.
The method of claim 9,
The occupant support unit 500 is provided with a driving block 521 on the rear of the backrest part 520, motion simulator.
KR1020190006067A 2019-01-17 2019-01-17 Flying motion simulator KR1021836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067A KR102183604B1 (en) 2019-01-17 2019-01-17 Flying motion simulator
PCT/KR2020/000357 WO2020149570A1 (en) 2019-01-17 2020-01-09 Flying motion simu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067A KR102183604B1 (en) 2019-01-17 2019-01-17 Flying motion simu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411A KR20200089411A (en) 2020-07-27
KR102183604B1 true KR102183604B1 (en) 2020-11-26

Family

ID=71614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067A KR102183604B1 (en) 2019-01-17 2019-01-17 Flying motion simula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3604B1 (en)
WO (1) WO2020149570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255B1 (en) * 2012-04-12 2012-11-07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Motion simula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991B1 (en) * 2007-06-08 2010-08-30 (주)키네스 Lumbar Azimuthal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device
KR101813526B1 (en) * 2015-10-27 2017-12-29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Motion simulator
KR20170050095A (en) * 2015-10-29 2017-05-11 주식회사 한영엔지니어링 Flying bird virtual reality simulator
KR102059236B1 (en) * 2016-02-23 2019-12-24 주식회사 한영엔지니어링 Virtual real machine for flying bird
KR101948660B1 (en) 2017-02-15 2019-05-10 이순구 Simulation board apparatus for virtual reality experie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255B1 (en) * 2012-04-12 2012-11-07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Motion sim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570A1 (en) 2020-07-23
KR20200089411A (en) 202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15158B1 (en) Seated motion simulation amusement park attraction
CN108325190B (en) Virtual reality simulation system for skiing and surfing
JP4108975B2 (en) Amusement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ES2739187T3 (en) Apparatus for performing movements by displacing the center of gravity and / or actuating muscles of a human body
KR20160113491A (en) Motion platform system
KR101756134B1 (en) Virtual reality simulator
US20180257773A1 (en) System for Tethered Airboarding
KR101628544B1 (en) 3d-paragliding experiencing apparatus
US20180085675A1 (en) Amusement ride for hang gliding simulation
KR101945704B1 (en) Virtual Reality Gliding Motion Simulator using Rolling and Pitching
KR102183604B1 (en) Flying motion simulator
EP1988016A1 (en) Man-powered ornithopter-sailplane
JP3041990U (en) Jump simulator
KR102361036B1 (en) Sporting apparatus having virtual space effect
CN108854056B (en) Body sensing device for simulating steering
KR102077817B1 (en) Simulator for Real Sports Experience
KR101721646B1 (en) Ski jump simulator
CN220834092U (en) Universal game simulator
CN109091877B (en) Seesaw type slide
KR20200096392A (en) Virtual Reality Gliding Motion Simulator using Rolling and Pitching
KR101837547B1 (en) Apparatus for simulating ski and snowboard
CN112618278A (en) Multifunctional walking simulator
KR20230165423A (en) Gravity Simulation Ejection Seat System
CN112619041A (en) Leg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