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510B1 - 연속식 취반기 - Google Patents

연속식 취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510B1
KR102183510B1 KR1020200109772A KR20200109772A KR102183510B1 KR 102183510 B1 KR102183510 B1 KR 102183510B1 KR 1020200109772 A KR1020200109772 A KR 1020200109772A KR 20200109772 A KR20200109772 A KR 20200109772A KR 102183510 B1 KR102183510 B1 KR 102183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space
moving plate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창섭
Original Assignee
진일자동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일자동화(주) filed Critical 진일자동화(주)
Priority to KR1020200109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2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continuously or stepwise, through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길이 방향의 스팀챔버(100) 내에서 취반할 내용물의 취반조건에 따라 내용물을 자동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구조를 가지면서 스팀의 공급량의 조절 및 스팀의 배기량의 조절에 의해 스팀챔버(100)의 내부온도를 조절하여 취반이 용이하면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연속식 취반기(10)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가로길이를 가지며, 전측에 취반용기(20)를 유입하는 투입구(101)와 후측에 취반이 완료된 밥이 배출되는 배출구(102)가 형성되며, 상측의 상부하우징(110a)과 하측의 하부하우징(110b)으로 밀폐되면서 내부에 스팀공간(103)을 형성하며, 상부하우징(110a)은 양측 단부에 수직형의 지지부(111)와 상기 지지부(111) 상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호 대칭형태이면서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부(112)와 상기 경사부(112)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부(113)로 구성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상부하우징(110a)과 하부하우징(110b)은 서로 대칭형태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스팀챔버(100);와, 상기 스팀챔버(100)의 내부에 순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스팀챔버(100)의 전측 및 후측으로 더 연장되도록 노출되며, 상부에 취반용기(20)를 안착하여 반복 순환 이동하는 통기 및 통수성의 컨베이어(200);와, 상기 컨베이어(200)와 하부하우징(110b)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이동된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분사부(300); 및, 상기 하부하우징(110b)의 전측 및 후측이 각각 상부하우징(110a)의 가로길이에 비해 더 연장되며, 상기 하부하우징(110b)의 전측 및 후측 상부에 각각 상부하우징(110a)의 높이와 외형에 대응되면서 상부에 내부와 연통된 댐퍼부(410)가 마련된 댐퍼하우징(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식 취반기{CONTINUOUS RICE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연속식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길이 방향의 스팀챔버 내에서 취반할 내용물의 취반조건에 따라 내용물을 자동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구조를 가지면서 스팀의 공급량의 조절 및 스팀의 배기량의 조절에 의해 스팀챔버의 내부온도를 조절하여 취반이 용이하면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연속식 취반기에 관한 것이다.
시대적 흐름에 의해 사회생활의 고속화에 따라 음식 문화에도 상당한 변화가 이루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전통적인 식품인 밥 등의 경우에도 개별로 포장되어 즉석에서 조리되는 즉석밥 등이 개발되어 광범위하게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즉석밥은 조리된 상태로 출시되는 바, 제조 과정에서 위생상의 문제가 없어야 하며 식감 또한 일정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 욕구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제조된 즉석밥이 요구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당뇨 환자를 위한 저혈당 밥, 곤드레 나물이 첨가된 나물밥, 콩밥과 다양한 형태의 죽 등 기존의 제조되어지고 있는 용기형태의 일반적인 제품이외 보다 다양한 형태의 즉석밥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즉석밥을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취반기는 가마 방식의 대형 밥솥을 갖는 취반기 본체 또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규격화된 용기를 수용한 취반 파레트를 수용한 취반 챔버와, 취반기 본체 또는 취반 파레트를 수용한 취반 챔버에 제공되는 열원인 버너 또는 스팀과, 취반기 본체 또는 취반 챔버에서 이루어지는 취반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취반기 본체 도는 취반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덕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즉석밥 제조 과정에서 재료의 투입, 가열, 급수 등의 과정에서 각종 이물질이 혼입될 수 있으며, 아울러 각종 조리 과정을 거치는 도중 식감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취반기는 밥이 지어지는 취반 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량 또는 연속적인 밥을 반복적으로 그리고 신속하게 지어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또한 매번 취반시 마다 밥이 눌러 붙거나 균질한 수분율을 유지하지 못하는 등 취반 품질의 편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9210호(발명의 명칭 : 연속식 취반 장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2111호(발명의 명칭 : 즉석밥 제조 장치 및 즉석밥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팀챔버 내에서 컨베이어를 통한 취반용기가 자동 이송되는 구조와 함께 스팀챔버의 스팀공간 내의 배기량의 조절 및 공급되는 스팀 공급량을 조절을 통해 스팀챔버 내의 온도를 제어하여 취반기의 스팀챔버를 구성함으로써, 스팀챔버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취사시간의 단축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연속식 취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소정의 가로길이를 가지며, 전측에 취반용기를 유입하는 투입구와 후측에 취반이 완료된 밥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측의 상부하우징과 하측의 하부하우징으로 밀폐되면서 내부에 스팀공간을 형성한 스팀챔버와,
상기 스팀챔버의 내부에 순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스팀챔버의 전측 및 후측으로 더 연장되도록 노출되며, 상부에 취반용기를 안착하여 반복 순환 이동하는 통기 및 통수성의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와 하부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이동된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분사부를 포함하는 연속식 취반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스팀챔버의 상부하우징은 양측 단부에 수직형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호 대칭형태이면서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부로 구성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은 서로 대칭형태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연속식 취반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상부하우징의 양측 지지부 하부에 각각 위치하여 상호 대칭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 하단 일부를 수용하면서 응축수를 포집하도록 지지부의 하단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하부는 밀폐 및 상부는 개방되면서 양측 수직판형의 벽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의 가로길이 중앙을 기준으로 내측의 제1공간과 외측의 제2공간으로 구분하며, 상기 제1공간은 외측에 지지부 하단이 위치하면서 내측에 형성된 빈 공간의 여유공간이 스팀공간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2공간은 상부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가지는 포집가이드가 포함되되,
상기 포집가이드의 벽면 상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호 대칭형태이면서 수용공간의 위치에 대향하는 외측으로 경사진 안전판이 형성되는 연속식 취반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포집가이드의 제1공간 하부에 가로길이로 배치되어 일측단이 벽면 내면에 연결 그리고 타측단이 바닥면에 연결된 단면이 “ㄱ”형태의 연결바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양측 지지부 중 일측 지지부 하단과 연결바 사이에 잠금 또는 풀림구조를 가진 클램프 그리고 타측 지지부 하단과 연결바 사이에 상부하우징이 일측방향의 회전구조를 가지도록 힌지부가 연결되는 연속식 취반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부하우징의 전측 및 후측이 각각 상부하우징의 가로길이에 비해 더 연장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전측 및 후측 상부에 각각 상부하우징의 높이와 외형에 대응되는 댐퍼하우징을 형성하면서 상부에 댐퍼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된 댐퍼부가 구비되는 연속식 취반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한 컨베이어 하부에 배치되어 컨베이어의 가로폭과 세로폭에 비해 큰 가로폭과 세로폭을 가지며, 하부 일면에 상부에 포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형성된 응축수포집부가 구비되는 연속식 취반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스팀분사부는 스팀챔버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가로길이를 가진 제1공급관과 상기 제1공급관 양측에 각각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연결되어 제1공급관 내부로 연통되면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내부로 관통된 등간격으로 다수 개의 분사공이 형성된 세로길이의 분사관 및 상기 제1공급관 일측면 일측에 연결 및 연통되어 외부로 부터 스팀을 공급하는 제2공급관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는 연속식 취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팀을 이용하여 취반용기의 내용물을 쪄내도록 하는 취반기의 스팀챔버를 통해 자동 이송되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동안 취반용기의 내용물이 신속하고 맛있는 밥을 지어낼뿐만 아니라 자동 이송되는 컨베이어를 통한 연속식 취반용기의 취사를 진행할 수 있는 스팀챔버 구조를 가지어 스팀챔버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취사시간의 단축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팀챔버 내에 배치된 컨베이어의 이송속도를 조절하여 취반시간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취반기의 크기를 최소화하며, 취반기의 취반시간 조절 및 스팀챔버 내의 내부온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시생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취반기에서 정면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취반기에서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취반기에서 상부하우징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취반기에서 포집가이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a)과 힌지부가 연결된 지지부의 하단 구조를 나타낸 도면(b)..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취반기의 작동 개략도이면서 도 1의 B-B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취반기에서 스팀분사부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취반기에서 지지부에 제1이동판, 제1고정판 및 제1이동판승강부재가 설치되어 상부하우징이 스팀공간을 개방했을 때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취반기에서 지지부에 제1이동판, 제1고정판 및 제1이동판승강부재가 설치되어 상부하우징이 스팀공간을 밀폐했을 때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취반기에서 제1이동판승강부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a)과 연장받침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b).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취반기에서 경사부에 제2이동판, 제2고정판 및 연장받침부가 설치되어 상부하우징이 스팀공간을 개방했을 때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취반기에서 경사부에 제2이동판, 제2고정판 및 연장받침부가 설치되어 상부하우징이 스팀공간을 밀폐했을 때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도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소정의 가로길이를 가지며, 전측에 취반용기(20)를 유입하는 투입구(101)와 후측에 취반이 완료된 밥이 배출되는 배출구(102)가 형성되며, 상측의 상부하우징(110a)과 하측의 하부하우징(110b)으로 밀폐되면서 내부에 스팀공간(103)을 형성한 스팀챔버(100)와,
상기 스팀챔버(100)의 내부에 순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스팀챔버(100)의 전측 및 후측으로 더 연장되도록 노출되며, 상부에 취반용기(20)를 안착하여 반복 순환 이동하는 통기 및 통수성의 컨베이어(200)와,
상기 컨베이어(200)와 하부하우징(110b)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이동된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분사부(300)를 포함하는 연속식 취반기(10, 이하, ‘취반기’로 칭함.)를 제공한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팀챔버(100)는 가로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전측단에 투입구(101) 및 후측단에 배출구(102)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101)를 통해 취반할 내용물이 담긴 취반용기(20)를 투입하여 컨베이어(200)를 통해 이송되면서 배출구(102)를 통해 취반 완료된 취반용기(20)가 배출되며, 상기 스팀챔버(100)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 상부하우징(110a)과 하부하우징(110b)으로 상부 및 하부를 커버하면서 내부에 스팀이 집중되도록 스팀공간(103)을 형성하며, 상기 상/하부하우징(110a)(110b)은 상부의 표면과 하부의 표면은 내식성 및 열저항성을 가진 금속재로 형성되면서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 사이에는 보온재가 수용되어 스팀공간의 스팀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팀챔버(100)의 상부하우징(110a)은 양측 단부에 수직형의 지지부(111)와 상기 지지부(111) 상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호 대칭형태이면서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부(112)와 상기 경사부(112)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부(113)로 구성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상부하우징(110a)과 하부하우징(110b)은 서로 대칭형태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취반기(10)를 제공한다.
상기 스팀챔버(100)의 상부하우징(110a)과 하부하우징(110b)은 서로 대칭형태로 배치되어 내부에 스팀공간(103)을 형성하며, 이때 상부하우징(110a)의 내측면 형상인 하부형상부는 외측면인 상부형상부의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10a)은 양측의 수직형 지지부(111)와 상기 지지부(111) 각각의 상단에 연결된 경사부(112) 및 상기 경사부(112) 상단을 상호 연결한 수평부(113)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스팀공간(103)에 상부에 형성된 수평부(113)에는 스팀으로 발생된 응축수가 경사부(112)를 통해 지지부(111)로 흘러가는 응축수 이동경로를 가진다.
그리고, 도 2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110a)의 양측 지지부(111) 하부에 각각 위치하여 상호 대칭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111) 하단 일부를 수용하면서 응축수를 포집하도록 지지부(111)의 하단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하부는 밀폐 및 상부는 개방되면서 양측 수직판형의 벽면(510) 내부에 수용공간(520)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520)의 가로길이 중앙을 기준으로 내측의 제1공간(521)과 외측의 제2공간(522)으로 구분하며, 상기 제1공간(521)은 외측에 지지부(111) 하단이 위치하면서 내측에 형성된 빈 공간의 여유공간(521-1)이 스팀공간(103)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2공간(522)은 상부하우징(110a)의 외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가지는 포집가이드(500)가 포함되되,
상기 포집가이드(500)의 벽면(510) 상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호 대칭형태이면서 수용공간(520)의 위치에 대향하는 외측으로 경사진 안전판(530)이 형성되는 취반기(10)를 제공한다.
상기 포집가이드(500)는 스팀공간(103)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하우징(110a)의 하부에 맺힌 응축수가 취반용기(20)에 직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하우징(110a)의 지지부(111)를 수용하여 지지부(111)의 내면으로부터 흘러내려오는 응축수를 포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집가이드(500)는 상부하우징(110a)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면서 상부하우징(110a)의 양측 지지부(111) 하부에 서로 대칭형태로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되면서 하부는 밀폐되어 내부에 수용공간(520) 그리고 양측에 수직형 벽면(510)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5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에 제1공간(521)의 가로방향 그리고 타측의 제2공간(522)의 가로방향으로 구분되며, 이때 앞서 기술된 양측 지지부(111)에 각각 마련된 포집가이드(500)의 제1공간(521)이 사로 이웃하도록 서로 대칭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제1공간(521)은 외측에 지지부(111) 하단이 위치하면서 내측에 형성된 빈 공간의 여유공간(521-1)이 스팀공간(103)으로 위치하며, 즉 제1공간(521)을 내측과 외측으로 구분하여 외측에 지지부(111) 하단이 위치 그리고 내측이 빈 공간인 여유공간(521-1)으로 칭하여 스팀챔버(100)의 스팀공간(103)으로 여유공간(521-1)이 노출되며, 이때 상기 지지부(111)의 내측면을 따라 흘러내려오는 응축수가 여유공간(521-1)으로 포집되게 되며, 상기 제2공간(522)은 상부하우징(110a)의 외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가지어 여유공간(521-1)으로 포집된 응축수가 제2공간(522)으로 흘러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집가이드(500)의 벽면(510) 상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호 대칭형태이면서 수용공간(520)의 위치에 대향하는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안전판(530)이 형성되어 응축수의 포집율을 높이면서 응축수의 흘러넘침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2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포집가이드(500)의 제1공간(521) 하부에 가로길이로 배치되어 일측단이 벽면 내면에 연결 그리고 타측단이 바닥면에 연결된 단면이 “ㄱ”형태의 연결바(54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10a)의 양측 지지부(111) 중 일측 지지부(111) 하단과 연결바(540) 사이에 잠금 또는 풀림구조를 가진 클램프(114) 그리고 타측 지지부(111) 하단과 연결바(540) 사이에 상부하우징(110a)이 일측방향의 회전구조를 가지도록 힌지부(115)가 연결되는 취반기(10)를 제공한다.
상기 포집가이드(500) 제1공간(521)에 연결바(540)를 배치하여 지지부(111) 하단부를 연결바(540) 상부에 면접시키며, 이때 포집가이드(500)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부(111) 하단부를 높게 위치시켜 포집가이드(500)에 수용된 응축수와의 접촉 및 지지부(111)로 흘러내려오는 응축수와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부하우징(110a)의 하중을 지지 및 상부하우징(110a)의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110a)이 힌지부(115)에 의해 개폐될 때 상부하우징(110a)의 양측면에 유압 또는 공압의 실린더축(140)이 연결되어 상부하우징(110a)의 자동 개폐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1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하우징(110b)의 전측 및 후측이 각각 상부하우징(110a)의 가로길이에 비해 더 연장되며, 상기 하부하우징(110b)의 전측 및 후측 상부에 각각 상부하우징(110a)의 높이와 외형에 대응되는 댐퍼하우징(400)을 형성하면서 상부에 댐퍼하우징(400)의 내부와 연통된 댐퍼부(410)가 구비되는 취반기(10)를 제공한다.
상기 댐퍼하우징(400)에 구비된 댐퍼부(410)는 스팀챔버(100)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강제 배출되도록 하며, 즉 스팀공간(103) 내의 배기량을 조절하여 스팀챔버(100)의 스팀공간(103) 내의 내부온도를 조절하게 되며, 상기 스팀챔버(100)의 후측에 마련된 댐퍼하우징(400)의 댐퍼부(410)가 배출구조라면 스팀챔버(100)의 전측에 마련된 댐퍼하우징(400)의 댐퍼부(410)는 흡입구조일 수 있으며, 전측 및 후측 모두 배출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하우징(110b)의 하부에 위치한 컨베이어(200) 하부에 배치되어 컨베이어(200)의 가로폭과 세로폭에 비해 큰 가로폭과 세로폭을 가지며, 하부 일면에 상부에 포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601)가 형성된 응축수포집부(600)가 구비되는 취반기(10)를 제공한다.
상기 컨베이어(200)는 세로길이의 평행한 두 회전축(210)을 경유하여 일주하여 컨베이어(200)의 상부는 가로방향의 수평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200)의 하부는 텐션 등을 조절하도록 복수의 회전축(210)을 경유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스팀챔버(100)의 내부에 컨베이어(200)의 상부가 위치하면서 스팀챔버(100) 하부인 외부에 컨베이어(200)의 하부가 위치하여 노출되며, 이때 스팀챔버(100)의 스팀공간(103)에 분사되는 스팀의 응축수가 컨베이어(200)에 부착되어 스팀챔버(100) 하부를 지날 때 컨베이어(200)의 하부에 부착된 응축수의 자중 또는 진동에 의해 응축수가 낙하됨에 따라 낙하되는 응축수를 포집하도록 컨베이어(200)의 하부에 응축수포집부(600)를 설치한다.
상기 컨베이어(200)에 부착된 응축수가 응축수포집부(600)로 낙하 및 수용되어 응축수포집부(600) 하부에 형성된 배출부(601)를 통해 수용된 응축수를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도 1,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팀분사부(300)는 스팀챔버(100)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가로길이를 가진 제1공급관(310)과 상기 제1공급관(310) 양측에 각각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연결되어 제1공급관(310) 내부로 연통되면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내부로 관통된 등간격으로 다수 개의 분사공(331)이 형성된 세로길이의 분사관(330) 및 상기 제1공급관(310) 일측면 일측에 연결 및 연통되어 외부로 부터 스팀을 공급하는 제2공급관(32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는 취반기(10)를 제공한다.
상기 스팀분사부(300)는 취반용기(20)의 내용물을 취반하도록 하는 가열원인 스팀을 분사하는 것으로서 스팀챔버(100) 내의 스팀공간(103)에 마련되며, 외부로부터 스팀을 공급하는 세로길이의 제2공급관(320)에 연결되어 스팀을 이동하는 가로길이의 제1공급관(310)이 배치되며, 상기 제1공급관(310) 양측에 각각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연결되어 제1공급관(310) 내부로 연통되면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내부로 관통된 등간격으로 다수 개의 분사공(331)이 형성된 세로길이의 분사관(330)이 형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공급관(320)을 통해 스팀을 공급시 스팀밸브(미도시)를 통해 스팀의 공급량을 조절하며, 게다가 상술한 댐퍼부(410)를 통해 스팀공간(103) 내의 배기량을 조절하여 스팀공간(103) 내의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10a)의 내측면에 부착된 수증기가 스팀공간(103)으로 낙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가 더 포함된다.
먼저,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110a)과 하부하우징(110b)의 내부에는 열방출을 방지하도록 내장된 보온재(120)가 형성되면서 상기 보온재(120)를 커버하는 금속판재(116)가 상부하우징(110a)과 하부하우징(110b)의 표면을 형성한다.
도 7a, 도 7b,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114)가 위치한 상부하우징(110a)의 지지부(111)의 내측면에 이격 마주하게 배치되면서 관통된 다수 개의 제1유입공(701)이 형성되어 상하이동되는 제1이동판(700a)과,
상기 제1이동판(700a)의 내측면에 면접되면서 제1이동판(700a)의 제1유입공(701)의 위치에 대응된 제2유입공(801)이 형성된 제1고정판(800a)과,
상기 제1고정판(800a)의 하단에 상부 일측면이 고정되면서 상부 타측면은 제1이동판(700a)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이동판(700a) 하부에 위치한 상면이 요부형태로 단차진 단차홈(912)이 형성되면서 중앙에 상하 관통된 제1통구(911)가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서 소정길이로 수직 연장된 이동차단판(913)이 형성된 지지판(910)과 상기 지지판(910)의 제1통구(911)와 지지부(111)의 내측면 하단에 수평 연결된 가이드판(130)의 제2통구(131)를 통하여 상하 이동되도록 소정의 수직길이를 가진 지지봉(920)과 상기 지지판(910)의 제1통구(911)를 통과한 지지봉(920)의 상단에 연결되어 단차홈(912)에 수용되면서 제1이동판(700a) 하단에 고정된 제1결합판(921)과 상기 가이드판(130) 상부의 제2통구(131)에 위치하여 지지봉(920)의 상하이동을 단속하도록 지지봉(920)의 외주면에 고정된 제2결합판(922)과 상기 가이드판(130) 하부의 제2통구(131)로 돌출된 단부에 연결된 누름판(923)과 상기 지지봉(920)의 제2결합판(922)과 지지판(910) 하부 사이에 위치한 지지봉(920)에 삽입된 탄성부(930)로 구성되는 제1이동판승강부재(900)와,
상기 지지부(111)의 상단에 연결된 경사부(112)의 내측면에 이격 마주하게 배치되면서 관통된 다수 개의 제3유입공(702)이 형성되어 경사부(112)의 경사진 사선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이동판(700b)과,
상기 제2이동판(700b)의 내측면에 면접되면서 제2이동판(700b)의 제3유입공(702)의 위치에 대응된 제4유입공(802)이 형성된 제2고정판(800b)과,
상기 제1이동판(700a)의 상단이 제1경사면(704)을 형성하며, 상기 제1이동판(700a)의 상단 외측면에 형성된 끼움홈(703)에 연결되도록 일측에 결합편(941)이 형성되면서 제1이동판(700a)의 외측에 타측이 위치하여 타측의 상면이 제1이동판(700a)의 제1경사면(704)에 단차없이 이음연결되면서 제1경사면(704)의 동일한 각도를 가진 제2경사(942)면을 형성한 연장받침부(940)를 구비하되, 상기 연장받침부(940)의 제2경사면(942)에 면접되는 제2이동판(700b)의 단부가 제2경사면(704)에 대응되는 제3경사면(705)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술한 제1이동판(700a), 제1고정판(800a), 제1이동판승강부재(900), 제2이동판(700b), 제2고정판(800b) 및 연장받침부(940)로 구성되는 결합단위가 상기 클램프(114)가 위치한 상부하우징(110a)의 지지부(111)와 상기 지지부(111)의 상단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12)에 설치되지만, 상기 힌지부(115)가 위치한 상부하우징(110a)의 지지부(111)와 상기 지지부(111)의 상단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12)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10a)의 수평부(113)의 내측면에 이격되게 마주하면서 다수 개의 유입공이 형성된 고정판(미도시)이 형성되며, 이때 수평부(113)의 내측면과 고정판의 외측면 사이에 빈 공간의 흐름공간(104)이 형성되어 경사부(112)의 흐름공간(104)과 연계된 형태를 가진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이동판(700a)은 클램프(114)가 위치한 상부하우징(110a)의 지지부(111)의 내측면에 이격 마주하게 배치되면서 관통된 다수 개의 제1유입공(701)이 형성되어 상하이동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111)의 내측면과 제1이동판(700a)의 외측면 사이에 빈 공간의 흐름공간(104)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판(800a)은 제1이동판(700a)의 내측면에 면접되면서 제1이동판(700a)의 제1유입공(701)의 위치에 대응된 제2유입공(801)이 형성되되, 상기 제1이동판승강부재(900)의 작동으로 제1이동판(700a)이 승강시 제1이동판(700a)의 제1유입공(701)과 제1고정판(800a)의 제2유입공(801)이 상호 연통되는 형태를 가지며, 반대로 제1이동판(700a)이 하강시 제1이동판(700a)의 제1유입공(701)과 제1고정판(800a)의 제2유입공(801)이 사선방향으로 위치하여 밀폐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제1이동판(700a)이 수직의 상하이동만을 하도록 지지부(111)의 내측면 금속판재(116)에 고정된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미도시)이 동시에 제1고정판(800a)을 고정하되, 상기 체결수단이 통과하는 제1이동판(700a)의 위치에 상하 수직의 소정길이로 관통된 가이드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이때 지지부(111)에 고정된 체결수단에 의해 제1고정판(800a)이 고정되어 체결수단을 기준으로 가이드공을 따라 제1이동판(700a)이 상하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7a, 7b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이동판승강부재(900)는, 상기 제1고정판(800a)의 하단에 상부 일측면이 고정되면서 상부 타측면은 제1이동판(700a)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이동판(700a) 하부에 위치한 상면이 요부형태로 단차진 단차홈(912)이 형성되면서 중앙에 상하 관통된 제1통구(911)가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서 소정길이로 수직 연장된 이동차단판(913)이 형성된 지지판(910)과 상기 지지판(910)의 제1통구(911)와 지지부(111)의 내측면 하단에 수평 연결된 가이드판(130)의 제2통구(131)를 통하여 상하 이동되도록 소정의 수직길이를 가진 지지봉(920)과 상기 지지판(910)의 제1통구(911)를 통과한 지지봉(920)의 상단에 연결되어 단차홈(912)에 수용되면서 제1이동판(700a) 하단에 고정된 제1결합판(921)과 상기 가이드판(130) 상부의 제2통구(131)에 위치하여 지지봉(920)의 상하이동을 단속하도록 지지봉(920)의 외주면에 고정된 제2결합판(922)과 상기 가이드판(130) 하부의 제2통구(131)로 돌출된 단부에 연결된 누름판(923)과 상기 지지봉(920)의 제2결합판(922)과 지지판(910) 하부 사이에 위치한 지지봉(920)에 삽입된 탄성부(9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동판승강부재(900)는 지지부(111)의 가로길이방향을 따라 제1이동판(700a)과 제1고정판(800a) 하부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910)은 제1고정판(800a)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봉(920)의 상단에 형성된 제1결합판(921)이 제1이동판(800a)의 하단에 연결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910)의 이동차단판(913)은 지지봉(92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봉(920)이 상향 이동시 지지봉(920)의 제2결합판(922)이 이동차단판(913)의 하단에 차단되어 더 이상 지지봉(920)이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판(130)은 지지부(11)의 내측면 하단에 일단이 연결 고정되어 수평 연결된 형태의 수평판재형으로 상기 지지판(910)의 제1통구(91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가이드판(130)에 관통된 제2통구(131)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상부하우징(110a)의 개폐작동으로 다음과 같이 제1이동판승강부재(900)가 작동하게 된다.
먼저,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110a)이 스팀공간(103)을 밀폐할 때 여유공간(521-1)에 위치한 연결바(540)의 상부에 지지봉(920)의 누름판(923)이 가압되면서 지지봉(920)이 상향 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지지봉(920)의 상단에 연결된 제1결합판(921)에 고정된 제1이동판(700a)이 상향 이동하면서 제1이동판(700a)의 제1유입공(701)과 제1고정판(800a)의 제2유입공(801)이 상호 연통된 형태를 가지며, 이때 스팀공간(103)에서 형성된 수증기가 제1, 2유입공(701)(801)을 통해 흐름공간(104)을 따라 이동하여 포집가이드(500)로 흘러가게 된다.
반대로,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110a)이 스팀공간(103)을 개방할 때 탄성복원력을 가진 탄성부(930)로 인해 지지봉(920)이 하향 이동하게 되면서 동시에 제1이동판(700a)이 하향 이동하여 제1이동판(700a)의 제1유입공(701)과 제1고정판(800a)의 제2유입공(801)이 각각 밀폐되어 흐름공간(104)에 유입된 수증기가 스팀공간(103)으로 낙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이동판(700b)은 지지부(111)의 상단에 연결된 경사부(112)의 내측면에 이격 마주하게 배치되면서 관통된 다수 개의 제3유입공(702)이 형성되어 경사부(112)의 경사진 사선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경사부(112)의 내측면과 제2이동판(700b)의 외측면 사이에 빈 공간의 흐름공간(104)을 형성하면서 상기 지지부(111)의 내측에 형성된 흐름공간(104)과 연계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판(800b)은 제2이동판(700b)의 내측면에 면접되면서 제2이동판(700b)의 제3유입공(702)의 위치에 대응된 제4유입공(802)이 형성하되, 상기 제1이동판승강부재(900)의 작동으로 제1이동판(700a)이 승강시 제2이동판(700b)의 제3유입공(702)과 제2고정판(800b)의 제4유입공(802)이 상호 연통되는 형태를 가지며, 반대로 제1이동판(700a)이 하강시 제2이동판(700b)의 제3유입공(702)과 제2고정판(800b)의 제4유입공(802)이 사선방향으로 위치하여 밀폐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지지부(111), 제1이동판(700a) 및 제1고정판(800a)이 체결수단(미도시)으로 결합되는 동일한 결합방법으로 경사부(112), 제2이동판(700b) 및 제2고정판(800b)을 체결수단으로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장받침부(940)는, 상술한 제1이동판승강부재(900)의 수(數)에 대응되는 수(數)로 마련되거나 제1이동판(700a)의 가로길이에 대응된 길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받침부(940)는 흐름공간(104)에 위치하며, 상기 제1이동판(700a)의 상단이 제1경사면(704)을 형성하며, 상기 제1이동판(700a)의 상단 외측면에 형성된 끼움홈(703)에 연결되도록 일측에 결합편(941)이 형성되면서 제1이동판(700a)의 외측에 타측이 위치하여 타측의 상면이 제1이동판(700a)의 제1경사면(704)에 단차없이 이음연결되면서 제1경사면(704)의 동일한 각도를 가진 제2경사면(94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장받침부(940)의 제2경사면(942)에 면접되는 제2이동판(700b)의 단부가 제2경사면(942) 및 제1경사면(704)에 대응되는 제3경사면(705)을 형성하게 된다.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이동판(700a)이 하강시, 상기 연장받침부(940)의 제2경사면(942)에 제2이동판(700b) 단부의 제3경사면(705) 하측이 면접되며, 이때 상기 제2이동판(700b)의 제2유입공(702)과 제2고정판(800b)의 제4유입공(802)이 밀폐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이동판(700a)의 제1경사면(704)과 제2고정판(800b) 단부 사이에 이격된 빈 공간이 형성된다.
반대로,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이동판(700a)이 승강시 연장받침부(940)도 승강하면서 제2이동판(700b)을 밀어 올리며, 이때 연장받침부(940)의 제2경사면(942)에 제2이동판(700b) 단부의 제3경사면(705) 상측이 면접 그리고 제1이동판(700a)의 제1경사면(704)에 제2이동판(700b) 단부의 제3경사면(705) 하측이 면접되게 되면서 상기 제2고정판(800b)의 단부 상측이 제1이동판(700a)의 제1경사면(704)에 면접되는 형태를 가지며, 이때 상기 제2이동판(700b)의 제2유입공(702)과 제2고정판(800b)의 제4유입공(802)이 상호 연통된 형태를 가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취반기 10 스팀챔버 100 스팀공간 103
상부하우징 110a 하부하우징 110b 지지부 111
경사부 112 수평부 113 컨베이어 200
스팀분사부 300 제1공급관 310 제2공급관 320
분사관 330 분사공 331 댐퍼하우징 400
댐퍼부 410 포집가이드 500 수용공간 520
제1공간 521 제2공간 522 안전판 530
연결바 540 응축수포집부 600 배출부 601
제1이동판 700a 제2이동판 700b 제1유입공 701
제3유입공 702 끼움홈 703 제1경사면 704
제3경사면 705 제1고정판 800a 제2고정판 800b
제2유입공 801 제4유입공 802 제1이동판승강부재 900
지지판 910 제1통구 911 단차홈 912
이동파단판 913 지지봉 920 제1결합판 921
제2결합판 922 누름판 923 탄성부 930
연장받침부 940 결합편 941 제2경사면 942

Claims (8)

  1. 소정의 가로길이를 가지며, 전측에 취반용기(20)를 유입하는 투입구(101)와 후측에 취반이 완료된 밥이 배출되는 배출구(102)가 형성되며, 상측의 상부하우징(110a)과 하측의 하부하우징(110b)으로 밀폐되면서 내부에 스팀공간(103)을 형성한 스팀챔버(100);와,
    상기 스팀챔버(100)의 내부에 순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스팀챔버(100)의 전측 및 후측으로 더 연장되도록 노출되며, 상부에 취반용기(20)를 안착하여 반복 순환 이동하는 통기 및 통수성의 컨베이어(200);와,
    상기 컨베이어(200)와 하부하우징(110b)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이동된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분사부(300);와,
    상기 하부하우징(110b)의 전측 및 후측이 각각 상부하우징(110a)의 가로길이에 비해 더 연장되며, 상기 하부하우징(110b)의 전측 및 후측 상부에 각각 상부하우징(110a)의 높이와 외형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내부와 연통된 댐퍼부(410)가 구비된 댐퍼하우징(400); 및,
    상기 하부하우징(110b)의 하부에 위치한 컨베이어(200) 하부에 배치되어 컨베이어(200)의 가로폭과 세로폭에 비해 큰 가로폭과 세로폭을 가지며, 하부 일면에 상부에 포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601)가 형성된 응축수포집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취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110a) 및 하부하우징(110b)은 상부의 표면과 하부의 표면은 내식성 및 열저항성을 가진 금속재로 형성되면서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 사이에는 보온재가 충진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스팀챔버(100)의 상부하우징(110a)은 양측 단부에 수직형의 지지부(111)와 상기 지지부(111) 상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호 대칭형태이면서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부(112)와 상기 경사부(112)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부(113)로 구성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상부하우징(110a)과 하부하우징(110b)은 서로 대칭형태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취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110a)의 양측 지지부(111) 하부에 각각 위치하여 상호 대칭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111) 하단 일부를 수용하면서 응축수를 포집하도록 지지부(111)의 하단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하부는 밀폐 및 상부는 개방되면서 양측 수직판형의 벽면(510) 내부에 수용공간(520)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520)의 가로길이 중앙을 기준으로 내측의 제1공간(521)과 외측의 제2공간(522)으로 구분하며, 상기 제1공간(521)은 외측에 지지부(111) 하단이 위치하면서 내측에 형성된 빈 공간의 여유공간(521-1)이 스팀공간(103)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2공간(522)은 상부하우징(110a)의 외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가지는 포집가이드(500)가 포함되되,
    상기 포집가이드(500)의 벽면(510) 상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호 대칭형태이면서 수용공간(520)의 위치에 대향하는 외측으로 경사진 안전판(5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취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가이드(500)의 제1공간(521) 하부에 가로길이로 배치되어 일측단이 벽면 내면에 연결 그리고 타측단이 바닥면에 연결된 단면이 “ㄱ”형태의 연결바(54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10a)의 양측 지지부(111) 중 일측 지지부(111) 하단과 연결바(540) 사이에 잠금 또는 풀림구조를 가진 클램프(114) 그리고 타측 지지부(111) 하단과 연결바(540) 사이에 상부하우징(110a)이 일측방향의 회전구조를 가지도록 힌지부(115)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취반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분사부(300)는 스팀챔버(100)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가로길이를 가진 제1공급관(310)과 상기 제1공급관(310) 양측에 각각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연결되어 제1공급관(310) 내부로 연통되면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내부로 관통된 등간격으로 다수 개의 분사공(331)이 형성된 세로길이의 분사관(330) 및 상기 제1공급관(310) 일측면 일측에 연결 및 연통되어 외부로 부터 스팀을 공급하는 제2공급관(32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취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110a)의 지지부(111)의 내측면에 이격 마주하게 배치되면서 관통된 다수 개의 제1유입공(701)이 형성되어 상하이동되는 제1이동판(700a);과,
    상기 제1이동판(700a)의 내측면에 면접되면서 제1이동판(700a)의 제1유입공(701)의 위치에 대응된 제2유입공(801)이 형성된 제1고정판(800a); 및,
    상기 제1고정판(800a)의 하단에 상부 일측면이 고정되면서 상부 타측면은 제1이동판(700a)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이동판(700a) 하부에 위치한 상면이 요부형태로 단차진 단차홈(912)이 형성되면서 중앙에 상하 관통된 제1통구(911)가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서 소정길이로 수직 연장된 이동차단판(913)이 형성된 지지판(910)과 상기 지지판(910)의 제1통구(911)와 지지부(111)의 내측면 하단에 수평 연결된 가이드판(130)의 제2통구(131)를 통하여 상하 이동되도록 소정의 수직길이를 가진 지지봉(920)과 상기 지지판(910)의 제1통구(911)를 통과한 지지봉(920)의 상단에 연결되어 단차홈(912)에 수용되면서 제1이동판(700a) 하단에 고정된 제1결합판(921)과 상기 가이드판(130) 상부의 제2통구(131)에 위치하여 지지봉(920)의 상하이동을 단속하도록 지지봉(920)의 외주면에 고정된 제2결합판(922)과 상기 가이드판(130) 하부의 제2통구(131)로 돌출된 단부에 연결된 누름판(923)과 상기 지지봉(920)의 제2결합판(922)과 지지판(910) 하부 사이에 위치한 지지봉(920)에 삽입된 탄성부(930)로 구성되는 제1이동판승강부재(900);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취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1)의 상단에 연결된 경사부(112)의 내측면에 이격 마주하게 배치되면서 관통된 다수 개의 제3유입공(702)이 형성되어 경사부(112)의 경사진 사선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이동판(700b);과,
    상기 제2이동판(700b)의 내측면에 면접되면서 제2이동판(700b)의 제3유입공(702)의 위치에 대응된 제4유입공(802)이 형성된 제2고정판(800b); 및,
    상기 제1이동판(700a)의 상단이 제1경사면(704)을 형성하며, 상기 제1이동판(700a)의 상단 외측면에 형성된 끼움홈(703)에 연결되도록 일측에 결합편(941)이 형성되면서 제1이동판(700a)의 외측에 타측이 위치하여 타측의 상면이 제1이동판(700a)의 제1경사면(704)에 단차없이 이음연결되면서 제1경사면(704)의 동일한 각도를 가진 제2경사(942)면을 형성한 연장받침부(940);를 구비하되,
    상기 연장받침부(940)의 제2경사면(942)에 면접되는 제2이동판(700b)의 단부가 제2경사면(704)에 대응되는 제3경사면(705)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취반기.
KR1020200109772A 2020-08-30 2020-08-30 연속식 취반기 KR102183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772A KR102183510B1 (ko) 2020-08-30 2020-08-30 연속식 취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772A KR102183510B1 (ko) 2020-08-30 2020-08-30 연속식 취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510B1 true KR102183510B1 (ko) 2020-11-26

Family

ID=7367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772A KR102183510B1 (ko) 2020-08-30 2020-08-30 연속식 취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099B1 (ko) * 2021-06-25 2022-10-14 강신탁 김 연속 구이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7625A (ja) * 1997-07-11 1999-02-12 Oorand:Kk 連続搬送式食品処理装置
KR101462111B1 (ko) 2013-12-31 2014-11-17 주식회사 한국바이오플랜트 즉석밥 제조 장치 및 즉석밥 제조 방법
KR101815702B1 (ko) * 2016-12-23 2018-01-05 주식회사 참코청하 컨베이어식 과열증기 조리장치
KR101986697B1 (ko) * 2019-01-14 2019-06-10 (주)티에스케이 즉석죽, 이유식 및 즉석밥 겸용 제조장치
JP2019180829A (ja) * 2018-04-10 2019-10-24 エースシステム株式会社 炊飯方法、炊飯システム、および、該炊飯方法または炊飯システムにより炊飯された米飯
KR102069210B1 (ko) 2018-07-24 2020-01-22 주식회사 싱크로티이씨 연속식 취반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7625A (ja) * 1997-07-11 1999-02-12 Oorand:Kk 連続搬送式食品処理装置
KR101462111B1 (ko) 2013-12-31 2014-11-17 주식회사 한국바이오플랜트 즉석밥 제조 장치 및 즉석밥 제조 방법
KR101815702B1 (ko) * 2016-12-23 2018-01-05 주식회사 참코청하 컨베이어식 과열증기 조리장치
JP2019180829A (ja) * 2018-04-10 2019-10-24 エースシステム株式会社 炊飯方法、炊飯システム、および、該炊飯方法または炊飯システムにより炊飯された米飯
KR102069210B1 (ko) 2018-07-24 2020-01-22 주식회사 싱크로티이씨 연속식 취반 장치
KR101986697B1 (ko) * 2019-01-14 2019-06-10 (주)티에스케이 즉석죽, 이유식 및 즉석밥 겸용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099B1 (ko) * 2021-06-25 2022-10-14 강신탁 김 연속 구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510B1 (ko) 연속식 취반기
EP1148764B1 (en) Drainage hole structure in an oven of forced convection type
JPH0440007B2 (ko)
CN106108623B (zh) 可提升蒸饭品质的全自动蒸饭机
CN206324480U (zh) 具有可单独升降式盖体的多口烹饪餐台
JPH08501243A (ja) 蒸気室付き高性能調理オーブン
CN111482616B (zh) 一种水雾化制粉设备
JPH078256B2 (ja) 食品調理機
KR20190037811A (ko) 라면자판기의 압력용기 밀폐장치
CN212390437U (zh) 一种配气式集成灶
CN109463994A (zh) 一种蒸烤组合机
CN110074659A (zh) 一种并联式蒸箱
KR20060117571A (ko) 물통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증기조리장치
CN1181918A (zh) 咖啡机保温装置
CN215650669U (zh) 一种食品加工蒸烤箱
CN211242804U (zh) 蒸箱及蒸笼机
CN210169731U (zh) 一种使用安全性好的蒸汽加热烹饪器具
KR100303709B1 (ko) 다단식 스팀 식품기.
CN108937627A (zh) 一种带快速出蒸汽的煎烤锅
CN210204426U (zh) 一种双格蒸柜
CN103829786A (zh) 煮食高压锅防喷溅及油水收集装置
CN216984848U (zh) 一种用于清洗机的呼吸器及清洗机
CN211624854U (zh) 一种汽化器蒸汽管
CN219206520U (zh) 一种蒸烤烹饪装置及集成灶
CN220551967U (zh) 一种用于集成灶的排气组件及集成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