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957B1 - 종양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및 면역 관문 억제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종양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및 면역 관문 억제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957B1
KR102182957B1 KR1020180024230A KR20180024230A KR102182957B1 KR 102182957 B1 KR102182957 B1 KR 102182957B1 KR 1020180024230 A KR1020180024230 A KR 1020180024230A KR 20180024230 A KR20180024230 A KR 20180024230A KR 102182957 B1 KR102182957 B1 KR 102182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antagonist
tumor
rdb
gmcs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557A (ko
Inventor
윤채옥
안효민
Original Assignee
진메디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메디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메디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9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557A/ko
Priority to KR1020200151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7/00Viruses; Bacteriophages; Compositions thereof;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12N15/86Viral v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31/7105Natural ribonucleic acids, i.e. containing only riboses attached to adenine, guanine, cytosine or uracil and having 3'-5' phosphodiester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6Viruses; Subviral particles; Bacteriophages
    • A61K35/761Adeno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193Colony stimulating factors [CS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0Interleukins [IL]
    • A61K38/208IL-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221Relax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2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C07K14/53Colony-stimulating factor [CSF]
    • C07K14/535Granulocyte CSF; Granulocyte-macrophage CS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2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C07K14/54Interleukins [IL]
    • C07K14/5434IL-1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07K14/64Relax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21CD28, CD15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32B7 molecules, e.g. CD80, CD86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1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growth factors; for growth reg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CD28 or CD15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27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B7 molecules, e.g. CD80, CD86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C12N15/1136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against 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cytokines, lymphokines or horm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4Type of nucleic acid interfering N.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20/00Applications; Uses
    • C12N2320/30Special therapeutic applications
    • C12N2320/31Combination therap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20/00Applications; Uses
    • C12N2320/30Special therapeutic applications
    • C12N2320/32Special delivery means, e.g. tissue-specific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10011Adenoviridae
    • C12N2710/10032Use of virus as therapeutic agent, other than vaccine, e.g. as cytolytic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10011Adenoviridae
    • C12N2710/10311Mastadenovirus, e.g. human or simian adenoviruses
    • C12N2710/103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 C12N2710/10343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viral genome or elements thereof as genetic ve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양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및 면역 관문 억제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IL-12 및 shVEGF, 또는 IL-12 및 GM-CSF-Relaxin이 도입된, 본 발명의 재조합 아데노 바이러스는 면역 기능을 향상시켜 우수한 항암 효과를 나타내고, 이러한 항암 효과는 면역 관문 억제제와의 병용을 통해 현저하게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는바, 본 발명은 암 치료 분야의 핵심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종양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및 면역 관문 억제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Anti-tumor composition comprising oncologic adenovirus and immune checkpoint inhibitor}
본 발명은 종양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및 면역 관문 억제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 치료제의 급속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암은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사망률이 높은 질환 중의 하나이다. 기존의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주요 암 치료 방법은 외과적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제 치료 방법으로 또는 이를 병행하는 치료로서 최대한 암세포를 환자에게서 제거해 내는 방법들이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는 비교적 초기 암으로서, 전이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암세포를 완전히 제거했을 때에만 치료효과를 보이며, 빠르게 분열하는 다른 정상적인 세포들도 죽여 여러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면역치료 방법으로, 신체의 종양 특이적 면역 활성을 이용한 암을 치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암은 종양 내 면역억제 환경 (immunosuppression tumor microenvironment)을 유도함으로써, 다양한 숙주 면역반응을 교묘히 회피하고 파괴하여, 결과적으로 종양의 생존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면역 체계가 활성화되었더라도 활성화된 항종양 면역 반응으로부터 도피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는 점에서 면역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양 내 면역 억제환경을 개선하여 암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증진시키고자, IL-12, IL-18, IL-23, IFN-γ(interferon-gamma), GM-CSF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TNF-α(tumor necrosis factor alpha)와 같은 사이토카인 유전자, B7 분자와 같은 동시 자극 유발 인자, 직접적으로 항원제시세포 (antigen presenting cell; APC)의 역할을 하는 수지상 세포 (dendritic cell; DC), 종양 항원으로 활성화시킨 T 세포, 자연살해세포 (natural killer cell; NK) 등을 이용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IL-12는 주로 단핵세포 (monocytes), 대식세포(macrophages), DC 등과 같은 APC로부터 분비되며,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세포독성 T 세포(cytotoxic T lymphocyte; CTL)과 NK 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이들을 활성화시키고 IFN-γ의 분비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에 대한 살상 능력도 증강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나이브 (naive) CD4+ 림프구에 작용하여 Th1 (T helper 1) 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켜 항암 면역 반응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세포 매개 면역 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을 유도하고 증강시킴으로써 항암 면역 반응을 활성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VEGF는 혈관형성 및 혈관신생을 촉진시키는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신호 단백질로서, 골수에서 T 세포 전구체에 영향을 주어 T 세포 및 수지상 세포의 증식 및 성숙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혈관신생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여 암전이라는 부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VEGF는 종양 성장의 촉진 인자일 뿐만 아니라 항암면역에서의 억제인자로도 작용하며, VEGF shRNA에 의한 VEGF 하향조절로 인해 면역반응이 회복되고 항암 효과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GM-CSF는 DC을 자극하여 APC로의 분화를 촉진시켜 CD4+ 및 CD8+ T 세포들의 면역반응을 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또한 1차 단핵세포 (primary monocyte)에서 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class Ⅱ를 구성하는 분자들의 발현 조절에도 관여한다. 더불어, 종양 내에 GM-CSF 발현의 효과로 종양 주변에 많은 APC가 모이도록 유도함으로써, 종양 항원을 효과적으로 프로세싱하여 강한 항암 면역반응이 유도됨을 보고된 바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실에서도 E1B 55kDa 유전자가 소실된 종양 선택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인 YKL-1 (Ad-E1B55)를 이용하여, IL-12의 항종양 효과를 보고한 바 있으며, E1B 유전자의 소실과 E1A의 Rb 결합부위가 변이되어 종양 선택적 살상능이 증진된 RdB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하여, GM-CSF의 항종양 효과 또한 보고한 바 있다. 하지만, 종양 내 면역 억제 환경이 개선될지라도, 종양의 낮은 면역원성으로 인하여 여전히 면역 치료법으로 암을 완전히 치료하기에는 많은 한계점들을 드러내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종양의 면역감시 (immune surveillance)회피를 극복하기 위한 면역 치료요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IL-12 및 sh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targeting short hairpin ribonucleic acid), 또는 IL-12 및 GM-CSF-Relaxin을 동시에 발현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를 제조하여 이들의 우수한 항암 효과를 in vivo 상에서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면역 관문 억제제와의 병용을 통해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항암 효과가 향상됨을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IL-12 및 shVEGF, 또는 IL-12 및 GM-CSF-Relaxin을 동시 발현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의약적 용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면역 관문 억제제와의 병용 제제로서,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의약적 용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L-12 (Interleukin 12)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GM-CSF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및 Relaxin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또는 IL-12 (Interleukin 12)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및 VEGF 발현을 억제하는 sh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로서,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E1 및 E3 영역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이 결실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IL-12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IL-12A(p35) 유전자 서열, IRES 서열 및 IL-12B (p40) 유전자 서열을 포함하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E1 또는 E3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GM-CSF 및 Relaxin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GM-CSF 유전자 서열, IRES 서열, 및 Relaxin 유전자 서열을 포함하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E1 또는 E3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VEGF 발현을 억제하는 sh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VEGF의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E1 또는 E3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PD-1 길항제, PD-L1 길항제, PD-L2 길항제, CD27 길항제, CD28 길항제, CD70 길항제, CD80 길항제, CD86 길항제, CD137 길항제, CD276 길항제, KIRs 길항제, LAG3 길항제, TNFRSF4 길항제, GITR 길항제, GITRL 길항제, 4-1BBL 길항제, CTLA-4 길항제, A2AR 길항제, VTCN1 길항제, BTLA 길항제, IDO 길항제, TIM-3 길항제, VISTA 길항제, 및 KLRA 길항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면역 관문 억제제와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항종양 면역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암은 위암,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유방암, 난소암, 간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췌장암, 방광암, 결장암, 자궁경부암, 골암, 비소세포성 골암, 혈액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 암, 자궁암, 직장암, 항문 부근암, 결장암, 나팔관암, 자궁내막암, 질암, 음문암, 호지킨병 (Hod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신장 또는 수뇨관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암종, 침샘암, 육종암, 가성점액종, 간모세포종, 고환암, 교모세포종, 구순암, 난소생식세포종양, 기저세포암, 다발성골수종, 담낭암, 맥락막흑색종, 바터팽대부암, 복막암, 설암, 소세포암, 소아림프종, 신경모세포종, 십이지장암, 요관암, 성상세포종, 수막종, 신우암, 외음부암, 흉선암, 중추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 CNS) 종양, 1차 중추신경계 림프종, 척수종양, 뇌간 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암은 재발암일 수 있다.
IL-12 및 shVEGF, 또는 IL-12 및 GM-CSF-Relaxin이 도입된, 본 발명의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면역 기능을 향상시켜 우수한 항암 효과를 나타내고, 이러한 항암 효과는 면역 관문 억제제와의 병용을 통해 현저하게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는바, 본 발명은 암 치료 분야의 핵심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IL-12와 VEGF shRNA를 동시 발현하는 종양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특징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RdB/IL12/shVEGF Ad의 유전적 구조를 모식화한 도이다. RdB 는 변이된 E1A (open star-Rb 단백질 결합부위의 돌연변이)를 포함하고 있으며, E1B 19 및 55 kDa (E1B), 및 E3 영역 (E3)가 결실되어 있고; 마우스 IL-12 및 마우스 shVEGF 는 아데노바이러스 지놈의 E1 또는 E3 영역에 각각 삽입되었다.
도 2는, IL-12와 GM-CSF 및 Relaxin (GMCSF-Relaxin)을 동시 발현하는 종양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특징을 나타낸 것으로서, RdB/IL12/GMCSF-RLX Ad의 유전적 구조를 모식화한 도이다. IL-12 및 GMCSF-Relaxin은 아데노바이러스 지놈의 E1 또는 E3 영역에 각각 삽입되었다. GMCSF와 Relaxin은 IRES (internal ribosome entry site)에 의해 연결된 발현 시스템에 의해서도 발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IRES는 몇 종의 바이러스 및 세포의 RNAs에서 발견되는 조절 서열이다.
도 3은, 흑색종 마우스에서 RdB/IL12/shVEGF Ad의 투여, 및 RdB/IL12/shVEGF Ad와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L1 항체)의 병용에 따른 항암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서, 도 3a는 종양의 부피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고, 도 3b는 흑색종 마우스의 생존율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C57BL/6 마우스의 종양 내에 Ad 5 Х 109 viral particle(VP) (도 3a; 초기 종양부피: 80-100mm3) 아데노바이러스를 1일, 3일 및 5일 째에 투여하였고, 항 PD-L1 항체를 200μg으로 복강 내에 투여하였다. 종양의 부피는 실험 종료시까지 매일 모니터링하여 기록하였다. 붉은색 화살표는 아데노바이러스 주입시기를, 검은색 화살표는 항체 주입시기를 나타낸다.
도 4는, 흑색종 마우스에서 RdB/IL12/GMCSF-RLX Ad의 투여, 및 RdB/IL12/GMCSF-RLX Ad와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L1 항체)의 병용에 따른 항암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서, 도 4a는 종양의 부피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고, 도 4b는 흑색종 마우스의 생존율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흑색종 마우스에서 RdB/IL12/shVEGF Ad의 투여 및 RdB/IL12/shVEGF Ad와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1 항체)의 병용에 따른 항암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용량인 1 Х 109 VP의 RdB/IL12/shVEGF Ad를 투여한 경우, 종양의 부피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흑색종 마우스에서 RdB/IL12/GMCSF-RLX Ad의 투여, 및 RdB/IL12/GMCSF-RLX Ad와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1 항체)의 병용에 따른 항암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용량인 1 Х 109 VP의 RdB/IL12/GMCSF-RLX Ad를 투여한 경우, 종양의 부피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흑색종 마우스에서 HmT-Rd19-K35/IL21 Ad, RdB/GMCSF/shVEGF Ad, 및 YKL-1/GMCSF/B7.1 Ad와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1 항체)의 병용에 따른 항암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흑색종 마우스에서 RdB/IL12/GMCSF-RLX Ad의 투여, 및 RdB/IL12/GMCSF-RLX Ad와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1 항체)의 병용에 따른 항암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서, 도 8a는 종양의 부피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고, 도 8b는 흑색종 마우스의 생존율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흑색종 마우스에서 RdB/IL12/GMCSF-RLX Ad의 투여, 및 RdB/IL12/GMCSF-RLX Ad와 면역 관문 억제제 (항 CTLA-4 항체)의 병용에 따른 항암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서, 도 9a는 종양의 부피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고, 도 9b는 흑색종 마우스의 생존율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은, 흑색종 마우스에서 RdB/IL12/shVEGF의 투여, 및 RdB/IL12/shVEGF Ad와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L1 항체)의 병용에 따른 항암 면역기억 (antitumor immune memory)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서, 도 10a는 RdB/IL12/shVEGF Ad를 투여한 경우, 2차 종양의 부피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고, 도 10b는 RdB/IL12/shVEGF Ad와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1 항체)를 병용한 경우, 2차 종양의 부피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1은, 시리안 햄스터 췌장암 세포주 (Hap-T1)에 RdB/IL12/GMCSF-RLX Ad를 감염시킨 뒤, multiplicityof infection(MOI)에 따른 IL-12 및 GMCSF의 발현 변화를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도 12는, 시리안 햄스터 췌장암 세포주 (Hap-T1)에 RdB/IL12/GMCSF-RLX Ad를 감염시킨 뒤, MOI에 따른 Relaxin의 발현 변화를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도 13은, 시리안 햄스터 종양 동물모델에서 RdB/IL12/GMCSF-RLX Ad와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1 항체)의 병용에 따른 종양의 부피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4는, 시리안 햄스터 종양 동물모델에서 RdB/IL12/GMCSF-RLX Ad와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1 항체)의 병용에 따른 종양 조직의 변화를 면역조직학적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15는, draining lymph node (DLN)에서 RdB/IL12/GMCSF-RLX Ad와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1 항체)의 병용에 따른 interferon (IFN)-γ-발현 CD4+ 또는 CD8+ T 세포의 군집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6은, 종양 조직 내 침윤된 림프구에서 RdB/IL12/GMCSF-RLX Ad와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1 항체)의 병용에 따른 interferon (IFN)-γ-발현 CD4+ 또는 CD8+ T 세포의 군집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7은, RdB/IL12/GMCSF-RLX Ad와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1 항체)의 병용에 따른 종양 조직 내 IFN-γ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8은, 면역 관문 억제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조건 하에서, RdB/IL12/GMCSF-RLX Ad와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1 항체)의 병용에 따른 종양의 부피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9는, 면역 관문 억제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조건 하에서, RdB/IL12/GMCSF-RLX Ad와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1 항체)의 병용에 따른 종양의 부피 변화를 투여후 23일 째에 확인한 결과이다.
도 20은, RdB/IL12/GMCSF-RLX Ad의 투여에 의한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1 항체)의 종양 조직 내 침투 변화를 확인한 것으로서, 종양 조직 내 Alexa 488-αPD-1의 축적을 면역형광 분석을 통하여 정량화한 결과이다.
도 21은, RdB/IL12/GMCSF-RLX Ad의 투여에 의한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1 항체)의 종양 조직 내 침투 변화를 확인한 것으로서, Alexa 488-αPD-1이 CD4+ 또는 CD8+ T 세포의 발현 부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면역 염색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도 22는, RdB/IL12/GMCSF-RLX Ad의 투여에 의한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1 항체)의 침투 변화를 전신을 대상으로 확인한 것으로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면역 Positron Emission Tomography(PET)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23은, RdB/IL12/GMCSF-RLX Ad의 투여에 의한 면역 관문 억제제 (항 PD-1 항체)의 침투 변화를 전신을 대상으로 확인한 것으로서, 종양 조직을 포함하는 다양한 조직 내 64Cu-αPD-1의 분포 또는 흡수를 %ID/g로 평가하여 비교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a) IL-12 (Interleukin 12)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GM-CSF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및 Relaxin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또는 (b) IL-12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및 VEGF 발현을 억제하는 sh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를 제공한다.
암의 면역유전자 치료법은 지난 수십 년 동안 보다 유망한 접근법으로서 발전해왔으나, 종양 또한 면역 감시체계를 피하기 위하여 수많은 다른 전략을 만들어 왔다.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고 항암면역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면역 억제를 회복하고 항암면역을 증가시키기 위한 적절한 치료 어쥬번드 (adjuvant)로서, IL-12 및 혈관내피성장인자 (VEGF) shRNA (short hairpin RNA), 또는 IL-12 및 GM-CSF-Relaxin을 동시 발현하는 종양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RdB/IL12/shVEGF Ad, RdB/IL12/GMCSF-RLX Ad)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IL-12는 T helper 1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고 세포독성 T 림프구 및 자연살상 세포의 세포독성을 활성화시킴으로써 항암면역을 증가시킨다. shVEGF는 T 세포 및 수지상세 포의 증식 및 성숙을 촉진하고, GM-CSF는 DC을 자극하여 APC로의 분화를 촉진시켜 CD4+ 및 CD8+ T 세포들의 면역반응을 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효과들은 IL-12 기능을 더욱 증폭시킬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최초로 종양 내에 IL-2 및 shVEGF, 또는 IL-12 및 GM-CSF-Relaxin을 동시 발현하는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한 면역 유전자 치료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RdB/IL12/shVEGF Ad, RdB/IL12/GMCSF-RLX Ad)를 흑색종 동물모델에 투여한 결과, 종양의 성장 저해율, 완전 관해율, 및 마우스의 생존율이 증가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이 뿐만 아니라, IL-12는 항암 면역 치료를 위한 핵심 사이토카인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특히, 체내 면역이 저하되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항암 면역 치료 요법에서는, 유효한 치료적 효능을 얻기 위하여 IL-12의 반복 투여가 빈번하게 고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상기 IL-12는 임상적으로 전신, 특히, 신장에 대한 사이토카인-연관 독성이 알려져 있어 제한된 용량의 범위 내에서만 암 치료제로 사용하여야 하는 기술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IL-12 유전자와 추가 유전자를 동시 발현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낮은 바이러스 역가로도 높은 종양 살상효과를 유도함으로써, 종래의 항암 면역 치료의 한계로 지적된, IL-12의 고용량 및 반복 투여로 인한 정상 세포에 대한 독성 문제를 해소하였다는 점에서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IL-12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하고, GM-CSF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와 Relaxin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및 VEGF 발현을 억제하는 sh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IL-12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IL-12A (p35) 유전자 서열 및 IL-12B (p40) 유전자 서열을 포함하며, Viral Protein의 효과적인 번역을 위하여, IL-12A (p35) 유전자 서열과 IL-12B (p40) 유전자 서열 사이에 IRES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IL-12A (p35) 유전자 서열은 서열번호 1, 상기 IL-12B (p40) 유전자 서열은 서열번호 2, 상기 IRES 서열은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GM-CSF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및 "Relaxin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각각 GM-CSF 유전자 서열 및 Relaxin 유전자 서열을 포함하며, 이 역시 GM-CSF 유전자 서열과 Relaxin 유전자 서열 사이에 IRES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GM-CSF 유전자 서열은 서열번호 4, 상기 Relaxin 유전자 서열은 서열번호 5, 상기 IRES 서열은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VEGF 발현을 억제하는 sh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헤어핀 구조를 가지며, RNA 방해 또는 유전자 사일런싱을 매개할 수 있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는 VEGF m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포함하는데, 용어 상보적은 100% 상보적인 경우뿐만 아니라, RNA 방해 (interference) 기전을 통해 VEGF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을 정도의 불완전한 상보성도 포괄하는 의미이며, 바람직하게는 90%의 상보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98%의 상보성,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의 상보성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100% 상보성을 표현하는 경우에는 완전 상보적 (completely complementary)"으로 특별하게 기재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shVEGF로도 기재하였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6 또는 서열번호 7로 표시되는 VEGF의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VEGF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유전자 서열들은 실질적인 동일성 (substantial identity) 또는 실질적인 유사성 (substantial similarity)을 나타내는 유전자 서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기의 실질적인 동일성은, 상기한 본 발명의 서열과 임의의 다른 서열을 최대한 대응되도록 얼라인하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라인된 서열을 분석한 경우에, 최소 80%의 상동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의 상동성, 가장 바람직하게는 95%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서열을 의미한다. 상기의 실질적인 유사성은, 하나 이상의 염기의 결손 또는 삽입과 같은 유전자 서열의 변화가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와의 상동성 재조합을 최소화하는 본 발명의 목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화를 총칭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전자 서열은 예시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목적하는 최종 생성물의 활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된다.
한편, 본 발명의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로는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oncolytic 아데노바이러스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활성의 E1A 유전자 및 비활성화된 E1B 19 유전자, E1B 55 유전자 또는 E1B 19/E1B 55 유전자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전자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용어 비활성화는 그 유전자의 전사 및/또는 해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그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정상적인 단백질의 기능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비활성화 E1B 19 유전자는 그 유전자에 변이 (치환, 부가, 부분적 결실 또는 전체적 결실)가 발생되어 활성의 E1B 19kDa 단백질을 생성하지 못하는 유전자이다. E1B 19가 결실되는 경우에는 세포 고사능을 증가시킬 수 있고, E1B 55 유전자가 결실된 경우에는 종양세포 특이성을 갖게 한다 (참조: 특허출원 제2002-23760호). 본 명세서에서 바이러스 지놈 서열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용어, 결실은 해당 서열이 완전히 결실된 것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결실된 것도 포함하는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E1A 영역을 포함하고, E1B 영역, 즉 E1B 19 및 55 kDa (E1B)이 결실되어 있으며, E3 영역 (E3)이 결실되어 있다. E1A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복제 가능한 특성을 갖게 된다. 상기 IL-12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결실된 E1B 영역에 삽입되며 상기 GM-CSF 및 Relaxin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또는 VEGF 발현을 억제하는 sh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E3 영역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E1A 부위는 ElA 유전자 서열에 위치한 Rb 결합 부위를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중에서 45번째 Glu 잔기가 Gly으로 치환된 변이 및 121-127번째 아미노산 서열이 전체적으로 Gly으로 치환된 변이를 갖는다.
한편, 상기 아데노바이러스외 다른 바이러스도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바이러스는, 바람직하게 백시니아 바이러스 (Puhlmann M. et al., HumanGene Therapy 10:649-657(1999)), 렌티바이러스 (Wang G. et al., J. Clin. Invest. 104(11):R55-62(1999)) 또는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Chamber R.,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2:1411-1415(199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동물세포,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세포에서 작동 가능한 프로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합한 프로모터는 포유동물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 및 포유동물 세포의 지놈으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를 포함하며, 예컨대, CMV (Cytomegalovirus) 프로모터, U6 프로모터 및 H1 프로모터, MLV (Murine Leukemia Virus) LTR (Long terminal repeat) 프로모터, 아데노바이러스 초기 프로모터, 아데노바이러스 후기 프로모터, 백시니아 바이러스 7.5K 프로모터, SV40 프로모터, HSV의 tk 프로모터, RSV 프로모터, EF1 알파 프로모터, 메탈로티오닌 프로모터, 베타-액틴 프로모터, 인간 IL-2 유전자의 프로모터, 인간 IFN 유전자의 프로모터, 인간 IL-4 유전자의 프로모터, 인간 림포톡신 유전자의 프로모터, 인간 GM-CSF 유전자의 프로모터, inducible 프로모터, 암세포 특이적 프로모터 (예컨대, TERT 프로모터, modified TERT 프로모터, PSA 프로모터, PSMA 프로모터, CEA 프로모터, Survivin프로모터, E2F 프로모터, modified E2F 프로모터, AFP 프로모터, modified AFP 프로모터, E2F-AFP hybrid 프로모터, 및 E2F-TERT hybrid 프로모터) 및 조직 특이적 프로모터 (예컨대, 알부민 프로모터), 인간 포스포글리세레이트 키나아제 (PGK) 프로모터, 마우스 포스포글리세레이트 키나아제 (PGK) 프로모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CMV 프로모터이다. 트랜스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한 발현 컨스트럭트에서 트랜스 유전자의 다운스트림에 폴리아데닐화 서열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네닐화 서열은, 소성장 호르몬 터미네이터 (Gimmi, E. R., et al., NucleicAcids Res. 17:6983-6998(1989)), SV40 유래 폴리 아데닐화 서열 (Schek, N, et al., Mol. Cell Biol. 12:5386-5393(1992)), HIV-1 polyA(Klasens, B. I. F., et al., Nucleic Acids Res. 26:1870-1876(1998)), 纖글로빈 polyA(Gil, A., et al, Cell 49:399-406(1987)), HSV TK polyA (Cole, C. N. and T. P. Stacy, Mol. Cell. Biol. 5:2104-2113(1985)) 또는 폴리오마바이러스 polyA (Batt, D. B and G. G. Carmichael, Mol. Cell. Biol. 15:4783-4790(1995))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에서, IL-12 유전자 서열과 GM-CSF-Relaxin 유전자 서열 또는 shVEGF 유전자 서열은 프로모터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핵산 발현 조절 서열 (예: 프로모터, 시그널 서열, 또는 전사조절인자 결합 위치의 어레이)과 다른 핵산 서열 사이의 기능적인 결합을 의미하며, 이에 의해 상기 조절 서열은 상기 다른 핵산 서열의 전사 및/또는 해독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선택표지로서 항생제 내성 유전자 및 리포터 유전자 (예컨대, GFP(green fluorescence protein), 루시퍼라아제 및 纖글루쿠로니다아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생제 내성 유전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암피실린, 겐타마이신, 카베니실린, 클로람페니콜, 스트렙토마이신, 카나마이신, 게네티신, 네오마이신 및 테트라사이클린에 대한 내성 유전자가 있고, 바람직하게는 네오마이신 내성 유전자이다. 상기의 선택표지는 별도의 프로모터 또는 IRES (internal ribosome entry site), 2A system (F2A system, P2A system, T2A system)에 의해 연결된 발현 시스템에 의해서도 발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는 IRES는 몇 종의 바이러스 및 세포의 RNAs에서 발견되는 조절 서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carrier)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의약적 용도; 및 치료학적 유효량의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암(종양)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암(종양)에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설치류(랫, 생쥐, 기니피그 등), 생쥐 (mouse), 개, 고양이, 말, 소,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대상 질병인 "암 (cancer)"은 세포가 정상적인 성장 한계를 무시하고 분열 및 성장하는 공격적 (aggressive) 특성, 주위 조직에 침투하는 침투적(invasive) 특성 및 체내외 다른 부위로 퍼지는 전이적(metastatic) 특성을 갖는 세포에 의한 질병을 총칭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암은 악성 종양 (malignant tumor)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고체 종양 및 혈액 종양 (blood born tumor)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암은 위암,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유방암, 난소암, 간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췌장암, 방광암, 결장암, 자궁경부암, 골암, 비소세포성 골암, 혈액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 암, 자궁암, 직장암, 항문 부근암, 결장암, 나팔관암, 자궁내막암, 질암, 음문암, 호지킨병 (Hod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신장 또는 수뇨관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암종, 침샘암, 육종암, 가성점액종, 간모세포종, 고환암, 교모세포종, 구순암, 난소생식세포종양, 기저세포암, 다발성골수종, 담낭암, 맥락막흑색종, 바터팽대부암, 복막암, 설암, 소세포암, 소아림프종, 신경모세포종, 십이지장암, 요관암, 성상세포종, 수막종, 신우암, 외음부암, 흉선암, 중추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 CNS) 종양, 1차 중추신경계 림프종, 척수종양, 뇌간 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또한, 재발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면역 관문 억제제 (Immune checkpoint inhibitor)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면역 관문"은 면역세포 표면에서 면역 반응의 자극 또는 억제 신호를 유발하는데 관여하는 단백질을 총칭하며, 암세포는 이러한 면역 관문을 통해 면역반응의 자극 및 이에 따른 암세포의 억제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도록 조작하여 면역체계의 감시망을 회피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면역 관문 단백질은 PD-1 길항제, PD-L1 길항제, PD-L2 길항제, CD27 길항제, CD28 길항제, CD70 길항제, CD80 길항제, CD86 길항제, CD137 길항제, CD276 길항제, KIRs 길항제, LAG3 길항제, TNFRSF4 길항제, GITR 길항제, GITRL 길항제, 4-1BBL 길항제, CTLA-4 길항제, A2AR 길항제, VTCN1 길항제, BTLA 길항제, IDO 길항제, TIM-3 길항제, VISTA 길항제, 및 KLRA 길항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면역 관문 억제제는 이러한 면역 관문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길항제 또는 항체로서, 면역반응을 자극시키는 단백질을 증진시키거나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단백질을 차단하여 면역반응에 의한 항암 효과를 나타낸다. 면역 관문 억제제는 일반적인 세포 독성 항암제보다 구토나 탈모와 같은 부작용이 적고, 치료 효과가 크다는 장점 이외에도 기억능이 우수한 면역반응 체계를 이용하기 때문에 약물 투여를 중단한 후에도 치료효과가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으나,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와의 병용을 통한 항암 효과 증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항암 효과를 시키기 위하여, 면역 관문 억제제와의 병용을 시도하였으며, 면역 관문 억제제와의 병용 제제로서,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의약적 용도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 결정성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로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 (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항종양 면역성 증진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종양 내에 (intratumorally)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험재료 및 실험방법
1. 동물실험
Charles River Laboratories International, Inc. (Wilmington, MA)로부터 6주-8주령의 웅성 C57BL/6 마우스를 구입하여, 무균상태인 라미나 에어 플로우 캐비넷에서 사육하였다. 모든 동물실험은 AAALAC (Association for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of Laboratory Animal Care) 승인 하에 수행되었으며, 한양대학교 동물 관리 및 이용 위원회 (University of Hanyang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의 가이드 라인에 따라 이루어졌다.
2. 종양 살상 아데노바이러스의 제작
E1 영역에 IL-12, E3 영역에 GM-CSF-Relaxin 또는 shVEGF가 도입된 아데노바이러스(Ad)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IL-12를 발현하는 Ad E1 셔틀벡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pCA14/IL12로부터 마우스 IL-12 유전자를 잘라내고, pXC1RdB E1 셔틀벡터에 서브클로닝하여, pXC1RdB/IL12 E1 셔틀벡터를 제작하였다 또한, shVEGF 발현 E3 셔틀벡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골수-유래 활성 수지상 세포로부터 얻은 전체 RNA를 이용하여, 전장 (full-length) 마우스 shVEGF 상보적 DNA를 RT-PCR로 클로닝하였다. shVEGF 상보적 DNA (53-982 nucleotides of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L15435)는 다음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sense (5'-gatcccggaaggagagcagaagtcccatgttcaagagacatgggacttctgctctcctt tttttttggaaa-3'), antisense (5'-tttccaaaaaaa aaggagagcagaagtcccatgtctcttgaacatgggacttctgctctccttccgggatc-3'). 상기 PCR 생성물을 BamHI/Hind Ⅲ로 자른 후, BamHI/Hind Ⅲ 처리한 pSP72 E3/CMV-polA Ad E3 셔틀 벡터에 클로닝하여, pSP72 E3/shVEGF E3 셔틀 벡터를 제작하였다. 또한 pSP72 E3/CMV-polA Ad E3 셔틀 벡터에 GMCSF-IRES-Relaxin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pSP72 E3/GMCSF-RLX E3 셔틀 벡터를 제작하였다.
상동 재조합을 위하여 상기 pXC1RdB/IL12 E1 셔틀벡터와 pdE1/shVEGF 또는 pdE1/GMCSF-RLX을 대장균 BJ5183에 동시 형질전환시켰으며, 이로써 pRdB/IL12/shVEGF Ad 및 pRdB/IL12/GMCSF-RLX Ad를 제작하였다. 모든 바이러스는 293 세포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아데노바이러스의 정제, 적정 (titration) 및 품질분석은 선행기술에 따라 수행하였다.
3. 동물모델을 이용한 항암 효과의 평가
B16-F10 세포 (5 Х 105)를 6-7주령 웅성 C57BL/6 정상 면역(immune-competent) 마우스의 오른쪽 옆구리 피하에 주입하였다. 종양 부피가 약 100mm3에 도달하면 유사한 종양 크기를 가지는 그룹으로 분류하고, 1일, 3일, 및 5일째, 종양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RdB/IL12/shVEGF Ad; RdB/IL12/GMCSF-RLX Ad)를 5 Х 109 VP 농도로 종양 내 투여하였다. 또한, 면역 관문 억제제와의 병용에 따른 항암효과를 확인하고자, 3일, 6일, 및 9일째, 상기 종양 살상 아데노바이러스가 투여된 마우스에 면역 관문 억제제인 항 PD-L1 항체, 항 PD-1 항체 및 항 CTLA-4 항체를 200μg 농도로 복강 내 투여하였으며, 보다 면역 관문 억제제와의 병용에 의한 상승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5 Х 109 VP를 이용한 이전 실험보다 5배 더 낮은 용량의 종양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1 Х 109 VP)를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실험을 재차 실시하였다. 한편, 본 실험에서 대조군으로는 PBS 처리군 (PBS), 면역 관문 억제제 단독 처리군 (항 PD-L1 항체, 항 PD-1 항체, 항 CTLA-4 항체)을 이용하였다.
이후, 칼리퍼로 종양의 수직 직경을 측정하여 종양의 성장을 매일 모니터링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생존율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항암 효과를 평가하였다. 한편, 종양 부피는 다음의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volume = 0.523L (W)2, L은 길이(length), W는 폭(width)을 나타낸다.
4. 면역기억에 의한 항암 효과 평가
흑색종이 유도된 상기 3의 동물모델 중, 1차 종양을 주입한 후 50일째, 성공적으로 치료된 마우스 (1차 종양을 촉진할 수 없는 시점으로부터 25일째)를 대상으로, 2차 종양을 재주입 (rechallenge)하였다. 이후, 상기와 마찬가지로, 종양의 수직 직경을 측정하여 종양의 성장을 격일로 모니터링하고, 종양의 평균 부피를 산출함으로써, 항종양 면역기억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서 대조군으로는 정상 마우스에 흑색종을 유도한 군 (Normal)을 이용하였다.
5. 통계분석
모든 데이터는 평균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Stat View software (Abacus Concepts, Inc., Berkeley, CA) 및 the Mann-Whitney test (non-parametric rank sum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0.05 이하의 P value 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음을 나타낸다 (*, P<0.05; **, P<0.01).
실험결과
1. 흑색종 마우스에서의 항암 효과 확인
본 발명자들은, 흑색종 마우스 내 주입된 종양의 부피 및 완전 관해 여부와 마우스의 생존율을 비교하여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및/또는 면역 관문 억제제의 항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PBS 또는 항 PD-L1 항체를 처리한 대조군에서는 각각 11일 또는 15일째 종양의 부피가 3000mm3 이상에 이를 정도로 빠르게 증식하여 침습적 종양 성장 (aggressive tumor growth)을 보여주었던 반면, RdB/IL12/shVEGF Ad 또는 RdB/IL12/GMCSF-RLX Ad를 처리한 군의 경우, 22일째, PBS 처리 군과 비교한 결과, 각각 99.3% 또는 99.5%로 종양의 성장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도 3a 및 4a). 또한, 상기 아데노바이러스와 항 PD-L1 항체를 병용한 경우 (RdB/IL12/shVEGF Ad+PD-L1, RdB/IL12/GMCSF-RLX Ad+PD-L1), 상기와 마찬가지로 종양의 부피가 아데노바이러스 또는 항 PD-L1 항체를 단독으로 처리한 군보다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비록 27일째까지 아데노바이러스 단독 처리군 (RdB/IL12/shVEGF Ad, RdB/IL12/GMCSF-RLX Ad)과 비슷한 정도의 항암 효과를 보였으나, 1개월 경과 후부터는, 항 PD-L1 항체를 병용투여한 군에서는 지속적으로 종양성장이 억제되었던 반면, 아데노바이러스 단독 처리한 군은 종양의 성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되어 아데노바이러스와 항체를 병용투여한 군간 종양 부피의 유의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a 및 4a). 또한, 50일째, PBS 또는 항 PD-L1 항체를 처리한 대조군에서는 완전 관해 (complete remission)를 확인할 수 없었던 반면, RdB/IL12/shVEGF Ad 또는 RdB/IL12/GMCSF-RLX Ad 군에서는 각각 66% (4/6), 50% (3/6), 상기 아데노바이러스와 항 PD-L1 항체를 병용한 경우에는 66% (4/6), 100% (6/6)가 완전 관해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RdB/IL12/shVEGF Ad+PD-L1 또는 RdB/IL12/GMCSF-RLX Ad+PD-L1 군의 모든 마우스는 각각 44일 또는 50일까지 모두 생존하였던 반면, 동일한 시점에 RdB/IL12/shVEGF Ad 또는 RdB/IL12/GMCSF-RLX Ad 군은 모두 66% (4/6)의 생존율을 나타냈고, 대조군의 모든 마우스는 종양에 의해 폐사함을 확인하였다 (도 3b 및 도 4b). 이러한 결과들은, 면역 관문 억제제인 항 PD-L1 항체의 단독 처리에 의한 항암 효과는 비교적 미미하였던 반면, RdB/IL12/shVEGF Ad 또는 RdB/IL12/GMCSF-RLX Ad는 우수한 항암 효과를 보이며, 이러한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항암 효과는 상기 항 PD-L1 항체와 병용될 경우 더욱 상승하게 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2. 면역 관문 억제제와의 병용에 의한 항암 효과
본 발명자들은 면역 관문 억제제와의 병용에 의한 상승 효과를 보다 상세히 평가하기 위해, 5 Х 109 VP를 이용한 이전 실험보다 5배 더 낮은 용량의 종양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1 Х 109 VP)를 이용하여 재조합 아데노 바이러스 단독 투여와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및 면역 관문 억제제 병용 투여간 항암효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상기 결과에 기초하여, 면역 관문 억제제로서 항 PD-L1 항체, 항 PD-1 항체 또는 항 CTLA-4 항체를 이용한 경우, 이들의 항암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본 실험에서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RdB/IL12/GMCSF-RLX Ad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18일째, PBS 처리 군과 종양의 부피를 비교한 결과, RdB/IL12/shVEGF Ad 군의 종양 성장 억제율은 92.9%였으나, 항 PD-1 항체와의 병용투여에 의해 99.7%로 상승하였으며, RdB/IL12/GMCSF-RLX Ad 군의 종양 성장 억제율 (90.1%) 역시 항 PD-1 항체와의 병용에 의해 98.9%로 크게 상승하였다 (도 5 및 도 6). 또한, RdB/IL12/shVEGF Ad 군에서 17% (1/6)만이 완전 관해되었으나, RdB/IL12/shVEGF Ad+PD-1 군은 83% (5/6)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한편, 다른 형태의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에 대해서도 면역 관문 억제제와의 병용에 의한 상승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HmT-Rd19-K35/IL21 Ad, RdB/GMCSF/shVEGF Ad, 또는 YKL-1/GMCSF/B7.1 Ad 와 항 PD-1 항체를 병용투여한 후, 이들의 항암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부분의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항 PD-1 항체와의 병용을 통해 종양의 부피가 어느 정도 감소된 것은 사실이나, 본 발명의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RdB/IL12/shVEGF Ad, RdB/IL12/GMCSF-RLX Ad)만큼의 현격한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였으며, 특히, YKL-1/GMCSF/B7.1 Ad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항 PD-1 항체 단독 처리 군에 비해서도 효과가 우수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면역 관문 억제제와의 병용에 의한 상승 효과는 모든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고유의 효과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면역 관문 억제제의 종류에 따른 항암 효과를 확인한 결과, PBS, 항 PD-L1 항체, 항 PD-1 항체, 또는 항 CTLA-4 항체를 처리한 대조군 마우스는 각각 11일, 15일, 18일, 또는 11일째 종양의 부피가 3000mm3 이상에 이를 정도로 빠르게 증식하여 침습적 종양 성장을 보였던 반면, RdB/IL12/GMCSF-RLX Ad+항 PD-L1항체, RdB/IL12/GMCSF-RLX Ad+항 PD-1 항체, RdB/IL12/GMCSF-RLX Ad +항 CTLA-4 항체를 처리한 군의 경우, 21일째, PBS 처리 군과 비교한 결과, 각각 99.9%, 99.9%, 또는 99.2%로 종양의 성장이 크게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도 4a, 8a 및 9a). 또한, 50일째, RdB/IL12/GMCSF-RLX Ad 군에서 완전 관해율은 50%(3/6)였던 반면, 항 PD-L1 항체, 항 PD-1 항체 또는 항 CTLA-4 항체를 병용한 경우, 각각 100% (6/6), 83% (5/6), 83% (5/6)로 증가하였다. 아울러, RdB/IL12/GMCSF-RLX Ad+항 PD-L1 항체, RdB/IL12/GMCSF-RLX Ad+항 PD-1 항체, RdB/IL12/GMCSF-RLX Ad +항 CTLA-4 항체를 처리한 마우스는 각각 50일, 50일, 또는 30일째까지 모두 생존하였던 반면, 동일한 시점에 RdB/IL12/GMCSF-RLX Ad 군은 각각 66% (4/6), 66%(4/6), 83%(5/6)의 생존율 나타내었다 (도 4b, 8b 및 9b). 이러한 결과들은, 항 PD-L1 항체 뿐만 아니라, 항 PD-1 항체 또는 항 CTLA-4 항체를 이용한 경우에도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항암 효과가 상승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다만, 항 CTLA-4 항체보다 항 PD-L1 항체 또는 항 PD-1 항체를 병용한 경우, RdB/IL12/GMCSF-RLX Ad의 항암 효과 관련 상승 작용이 보다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3. 재발암에 대한 면역기억 효과 확인
본 발명자들은, 흑색종 마우스 내 주입된 2차 종양의 부피 등을 비교하여, 본 발명의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또는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와 면역 관문 억제제의 병용에 따른 면역기억 효과와 재발암에 대한 항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RdB/IL12/shVEGF Ad 군에서 2차 종양의 성장이 뚜렷하게 저해되었으며 (도 10a), 특히, 면역 관문 억제제인 항 PD-1 항체와의 병용에 의해 2차 종양의 성장은 보다 현저하게 저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0b). 이러한 결과들은, 본 발명의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면역 기억에 의한 항종양 면역반응의 증진 효과를 통하여 종양의 재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전술한 항암 효과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효과는 면역 관문 억제제와의 병용을 통하여 상승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4. RdB /IL12/ GMCSF - RLX Ad의 항암 효과 검증
(1) IL-12, GM- CSF , 및 Relaxin의 발현 양상 확인
IL-12, GM-CSF, 및 Relaxin (RLX) 유전자의 동시 발현에 따른 항암 효과를 재차 검증하고자, 전술한 바와 같이 IL-12 유전자가 아데노바이러스의 E1 영역에, GM-CSF 및 relaxin 유전자가 E3 영역에 삽입된 아데노바이러스인 RdB/IL12/GMCSF-RLX Ad를 제작하였다. 상기 RdB/IL12/GMCSF-RLX Ad는 아데노바이러스의 초기 유전자인 E1B 유전자가 소실되고, E1A 유전자가 변이된 암세포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로서, 제작된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IL-12, GM-CSF, 또는 RLX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리안 햄스터 췌장암 세포주 (Hap-T1)에 0.2, 0.5, 1, 2, 및 5 MOI (multiplicityof infection)의 RdB/IL12/GMCSF-RLX을 감염시키고, 이로부터 48시간 후 이들의 배지를 회수하였다. 이후,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를 통하여 IL-12, 및 GM-CSF의 발현량을 확인하였고,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통하여 Relaxin (RLX)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데노바이러스의 MOI에 의존적으로 IL-12, GM-CSF, 또는 Relaxin의 발현량이 증가하였는바, 상기 유전자들의 동시 발현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2) 시리안 햄스터 종양 동물모델에서 αPD - 1와의 병용투여에 의한 항암 효과의 상승
RdB/IL12/GMCSF-RLX Ad와 αPD-1의 병용에 의한 항암 효과의 상승을 검증하기 위하여, HaP-T1 췌장암 세포주를 피하 주사하여 유도된 시리안 햄스터 종양 동물모델에 7Х107 viral particles (VP)/30㎕의 RdB/IL12/GMCSF-RLX Ad를 종양 내 투여하였고, 이와 함께, 10 mg/kg의 αPD-1을 복강 내 투여한 뒤, 이에 따른 종양의 부피 변화를 관찰하였다. 한편, 비교군으로는 RdB/IL12/GMCSF-RLX Ad 단독 투여군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RdB/IL12/GMCSF-RLX Ad가 단독 투여된 종양 조직에서는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첫번째 바이러스 투여후 30일째, 종양의 부피는 1.982 ± 126 mm3에 이르렀던 반면, RdB/IL12/GMCSF-RLX Ad 및 αPD-1 병용 투여군에서는 첫번째 바이러스 투여 후 30일째까지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여, 종양 성장을 단독 투여군 대비 약 79% 수준으로 억제시켰다 (P <0.001). 또한, RdB/IL12/GMCSF-RLX Ad 및 αPD-1 병용 투여군에서는 종양의 완전 관해율이 약 50% 정도였으나, RdB/IL12/GMCSF-RLX Ad 단독 투여군에서는 완전 관해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미도시). 즉, 이러한 결과들은 RdB/IL12/GMCSF-RLX Ad의 항암 치료 효능이 αPD-1와의 병용에 의해 현저하게 향상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3) 시리안 햄스터 종양 모델에서 αPD - 1와의 병용투여에 의한 종양 조직의 변화
RdB/IL12/GMCSF-RLX Ad와 αPD-1의 병용에 의한 종양 조직 내 변화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7 Х 107 VP의 RdB/IL12/GMCSF-RLX Ad와 10mg/kg의 αPD-1을 전술한 바와 같이 병용 투여한 후, 채취한 종양 조직을 면역조직학적으로 평가하였다. 한편, 비교군으로 αPD-1 또는 RdB/IL12/GMCSF-RLX Ad 단독 투여군, 대조군으로는 PBS 투여군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PBS가 투여된 종양 조직에서는 괴사 부위가 거의 확인되지 않는 반면, RdB/IL12/GMCSF-RLX Ad와 αPD-1이 병용 투여된 종양 조직은 대부분 괴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병용 투여에 의한 효과, 즉, 현저하게 낮은 종양 세포의 증식 (PCNA)과 증가된 세포 고사 (TUNEL)는 αPD-1 또는 RdB/IL12/GMCSF-RLX Ad가 단독 투여된 경우에 비해 매우 현저한 것이었다.
(4) αPD - 1와의 병용투여에 의한 세포 군집 및 IFN -γ의 종양 조직 내 발현 변화
RdB/IL12/GMCSF-RLX Ad에 의해 αPD-1의 종양 조직 내 침투가 증가함에 따라, 종양 조직 내 T 세포의 침윤 및 활성화가 유도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draining lymph node (DLN)와 종양 조직 내 침윤된 림프구에서 interferon (IFN)-γ-발현 CD4+ 또는 CD8+ T 세포의 군집 변화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RdB/IL12/GMCSF-RLX Ad 또는 αPD-1 단독 투여군, 및 RdB/IL12/GMCSF-RLX Ad와 αPD-1 병용 투여군은, PBS 또는 αPD-1 단독 투여군에 비해 IFN-γ-발현 CD4+ 및 CD8+ T 세포의 군집이 높은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P <0.001 또는 P <0.01). 특히, RdB/IL12/GMCSF-RLX Ad와 αPD-1 병용 투여군은 RdB/IL12/GMCSF-RLX Ad 또는 αPD-1 단독 투여한 군에 비해서도 IFN-γ-발현 CD4+ 및 CD8+ T 세포의 군집이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는바 (P <0.001), 이러한 결과는 RdB/IL12/GMCSF-RLX Ad와 αPD-1의 병용 투여는 interferon(IFN)-γ-발현 CD4+ 및 CD8+ T 세포의 종양 내 침윤 및 활성화를 유도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아데노바이러스가 투여된 종양 조직 내에서의 IFN-γ의 발현량을 평가하고자, 아데노바이러스 등이 투여된 마우스로부터 종양 조직을 적출하여 미세하게 분쇄한 뒤 IFN-γ ELISA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PBS 또는 αPD-1을 종양 내 단독 투여한 경우 IFN-γ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고, RdB/IL12/GMCSF-RLX Ad 단독 투여군에서는 종양 조직 1g당 8.3pg/mg의 IFN-γ만이 검출되었던 반면, RdB/IL12/GMCSF-RLX Ad와 αPD-1 병용 투여군에서는 종양 조직 1g당 18.7pg/mg의 IFN-γ가 검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상기의 병용 투여는 종양 내 IFN-γ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면역 세포의 활성을 증대시키고, 궁극적으로 항암 효과의 상승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5) 면역 관문 억제제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조건 하에서 항암 효과 확인
면역 관문 억제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조건 하에서, RdB/IL12/GMCSF-RLX Ad와 αPD-1의 병용이 유효한 치료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αPD-1으로 전 처리된 종양을 대상으로 병용 투여에 의한 종양의 성장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αPD-1 단독 투여에 의해 종양의 성장이 더 이상 효과적으로 억제되지 않을 때 (첫번째 항체 치료 후 9 일째), RdB/IL12/GMCSF-RLX Ad를 2일 간격으로 총 4회 투여하였다. 한편, 비교군으로 αPD-1 단독 투여군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양의 부피가 915±78mm3일 때 시작된 RdB/IL12/GMCSF-RLX Ad의 투여는, 투여 첫째 날부터 10일 동안 종양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흥미롭게도, αPD-1 단독 투여군은 종양 성장 속도의 급격한 증가를 보여 종양 성장을 억제하지 못하였던 반면, 병용 투여군에서는 상기 기간 동안에도 종양의 성장을 지속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종양의 부피 변화를 비교한 결과 (투여후 23일째),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용 투여군에서의 성장 억제 효과가 가장 현저하였다. 즉, 상기의 병용 투여는 면역 관문 억제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조건 하에서도 유효한 항암 치료 효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의 병용 투여는 면역 관문 억제제 단일 요법에 대해 내성을 가진 환자에게 유익한 치료 요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6) RdB /IL12/ GMCSF - RLX Ad 투여에 의한 αPD -1의 종양 조직 내 침투 변화
종양 조직 내 RLX의 발현은 αPD-1의 종양 내 침투를 촉진시킴으로써, 상승적인 (synergistic) 항암 치료 효능을 나타낼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따라서, RdB/IL12/GMCSF-RLX Ad가 섬유조직형 (desmoplastic) 췌장 종양 조직으로 αPD-1의 종양 내 침투를 증가시키는지 여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RdB/IL12/GMCSF-RLX Ad는 0일 또는 2일째, 종양 조직 내로 직접 투여되었고 αPD-1은 2일째 복강 내 투여되었으며 (c: RdB/IL12/GMCSF-RLX + Alexa 488-anti PD-1), 비교군으로는 Alexa 488-접합된 αPD-1 단독 투여군 (b; Alexa 488-anti PD-1), 대조군으로는 PBS 단독 투여군 (a; PBS)이 이용되었다. 상기와 같이 처리된 종양 조직을 7일째 채취하고, 종양 조직 내 Alexa 488-αPD-1의 축적을 면역형광 분석을 통하여 정량화하였다. 조직 면적 당 Alexa 488-αPD-1의 축적을 정량화한 결과,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PBS 단독 투여군 또는 αPD-1 단독 투여군은 각각 14±2 A.U./㎛2 또는 21±1 A.U./㎛2을 나타내었던 반면, 병용 투여군은 32±6 A.U./㎛2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RdB/IL12/GMCSF-RLX Ad는 종양 조직으로 αPD-1의 침투를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종양 조직 내 αPD-1의 국소화 (localization)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함을 알수 있었다. 또한, 상기 Alexa 488-αPD-1이 CD4+ 또는 CD8+ T 세포의 발현 부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PBS (a: PBS), Alexa 488-접합된 αPD-1 단독 (b: Alexa 488-anti PD-1) 또는 RdB/IL12/GMCSF-RLX Ad 및 Alexa 488-접합된 αPD-1 병용 투여 (c: RdB/IL12/GMCSF-RLX + Alexa 488-anti PD-1)된 각각 종양 조직에 대하여, CD4+ 또는 CD8+에 대한 면역 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용 투여군은 Alexa 488-αPD-1 단독 투여군에 비해 αPD-1과 CD4 또는 CD8의 공동-국소화가 높게 관찰되었다.
전신 (whole body)에 대한 αPD-1의 종양 내 침투를 평가하기 위하여, 1,4,7,10-테트라아자시클로도데칸-1,4,7,10-테트라아세트산을 사용하여 αPD-1와 64Cu를 접합시킨, 64Cu-αPD-1을 전술한 방법으로 RdB/IL12/GMCSF-RLX Ad와 함께 HaP-T1-이식 햄스터에 투여하여 면역 PET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PET 스캔은 64Cu-αPD-1 투여 후 2, 12, 36, 및 60 시간째 수행되었고, 주요 PET 이미지는 해부학적 묘사를 위해 CT와 함께 수행되었다. 비교군으로는 64Cu-αPD-1 단독 투여군이 이용되었다. 그 결과,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SUV로서 산출된 병용 투여군과 단독 투여군의 종양 내 64Cu-αPD-1의 흡수는 다음과 같았다: 2시간째 0.26 ± 0.06 및 0.36 ± 0.05 (P = 0.072); 12시간째 0.90 ± 0.22 및 1.68 ± 0.45 hr (P = 0.018); 36시간째 2.14 ± 0.19 및 2.97 ± 0.67 (P = 0.062); 60시간째 3.37 ± 0.57 및 4.50 ± 1.02 (P = 0.043). 즉, 상기의 모든 시점에서 병용 투여군의 종양 내 64Cu-αPD-1의 흡수가 64Cu-αPD-1 단독 투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또한, 64Cu-αPD-1 투여 후 60시간 째, 종양 조직을 포함하는 다양한 조직 내 64Cu-αPD-1의 분포 또는 흡수를 %ID/g으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독 투여군 및 병용 투여군의 흡수는, 종양 조직에서 각각 1.80±0.13%ID/g, 2.80±0.41%ID/g (P<0.05); 비장에서 각각 1.10 ± 0.11%ID/g, 1.94 ± 0.23%ID/g(P<0.05)을 나타내어, 종양 조직 및 비장 모두에서 64Cu-αPD-1의 흡수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조직 이외에도 T 세포의 농축 부위로 알려져 있는 draining lymph node (DLN) 역시 RdB/IL12/GMCSF-RLX Ad의 감염에 의해 비대해져 있었다 (결과 미도시). 즉, 상기의 실험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RdB/IL12/GMCSF-RLX Ad의 감염은 종양 조직 내 세포외 기질을 재배열 (remodeling) 또는 분해시키고, IL-12 및 GM-CSF에 의한 증진된 면역 반응에 의해 αPD-1의 종양조직 내 흡수를 향상시킴으로써, 병용 투여의 상승 효과가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120> Anti-tumor composition comprising oncolytic adenovirus and immune checkpoint inhibitor <130> P20180145KR_P18U10C0238 <150> KR 10-2017-0026339 <151> 2017-02-28 <160> 9 <170> KoPatentIn 3.0 <210> 1 <211> 648 <212> DNA <213> IL-12A <400> 1 atgtgtcaat cacgctacct cctctttttg gccacccttg ccctcctaaa ccacctcagt 60 ttggccaggg tcattccagt ctctggacct gccaggtgtc ttagccagtc ccgaaacctg 120 ctgaagacca cagatgacat ggtgaagacg gccagagaaa aactgaaaca ttattcctgc 180 actgctgaag acatcgatca tgaagacatc acacgggacc aaaccagcac attgaagacc 240 tgtttaccac tggaactaca caagaacgag agttgcctgg ctactagaga gacttcttcc 300 acaacaagag ggagctgcct gcccccacag aagacgtctt tgatgatgac cctgtgcctt 360 ggtagcatct atgaggactt gaagatgtac cagacagagt tccaggccat caacgcagca 420 cttcagaatc acaaccatca gcagatcatt ctagacaagg gcatgctggt ggccatcgat 480 gagctgatgc agtctctgaa tcataatggc gagactctgc gccagaaacc tcctgtggga 540 gaagcagacc cttacagagt gaaaatgaag ctctgcatcc tgcttcacgc cttcagcacc 600 cgcgtcgtga ccatcaacag ggtgatgggc tatctgagct ccgcctga 648 <210> 2 <211> 1008 <212> DNA <213> IL-12B <400> 2 atgtgtcctc agaagctaac catctcctgg tttgccatcg ttttgctggt gtctccactc 60 atggccatgt gggagctgga gaaagacgtt tatgttgtag aggtggactg gactcccgat 120 gcccctggag aaacagtgaa cctcacctgt gacacgcctg aagaagatga catcacctgg 180 acctcagacc agagacatgg agtcataggc tctggaaaga ccctgaccat cactgtcaaa 240 gagtttctag atgctggcca gtacacctgc cacaaaggag gcgagactct gagccactca 300 catctgctgc tccacaagaa ggaaaatgga atttggtcca ctgaaatttt aaaaaatttc 360 aaaaacaaga ctttcctgaa gtgtgaagca ccaaattact ccggacggtt cacgtgctca 420 tggctggtgc aaagaaacat ggacttgaag ttcaacatca agagcagtag cagttcccct 480 gactctcggg cagtgacatg tggaatggcg tctctgtctg cagagaaggt cacactggac 540 caaagggact atgagaagta ttcagtgtcc tgccaggagg atgtcacctg cccaactgcc 600 gaggagaccc tgcccattga actggcgttg gaagcacggc agcagaataa atatgagaac 660 tacagcacca gcttcttcat cagggacatc atcaaaccag acccgcccaa gaacttgcag 720 atgaagcctt tgaagaactc acaggtggag gtcagctggg agtaccctga ctcctggagc 780 actccccatt cctacttctc cctcaagttc tttgttcgaa tccagcgcaa gaaagaaaag 840 atgaaggaga cagaggaggg gtgtaaccag aaaggtgcgt tcctcgtaga gaagacatct 900 accgaagtcc aatgcaaagg cgggaatgtc tgcgtgcaag ctcaggatcg ctattacaat 960 tcctcatgca gcaagtgggc atgtgttccc tgcagggtcc gatcctag 1008 <210> 3 <211> 597 <212> DNA <213> IRES <400> 3 tagcgatccg cccctctccc tccccccccc ctaacgttac tggccgaagc cgcttggaat 60 aaggccggtg tgcgtttgtc tatatgttat tttccaccat attgccgtct tttggcaatg 120 tgagggcccg gaaacctggc cctgtcttct tgacgagcat tcctaggggt ctttcccctc 180 tcgccaaagg aatgcaaggt ctgttgaatg tcgtgaagga agcagttcct ctggaagctt 240 cttgaagaca aacaacgtct gtagcgaccc tttgcaggca gcggaacccc ccacctggcg 300 acaggtgcct ctgcggccaa aagccacgtg tataagatac acctgcaaag gcggcacaac 360 cccagtgcca cgttgtgagt tggatagttg tggaaagagt caaatggctc tcctcaagcg 420 tattcaacaa ggggctgaag gatgcccaga aggtacccca ttgtatggga tctgatctgg 480 ggcctcggta cacatgcttt acatgtgttt agtcgaggtt aaaaaaacgt ctaggccccc 540 gaaccacggg gacgtggttt tccttttgaa aaacacgatg ataatatggc cacaacc 597 <210> 4 <211> 426 <212> DNA <213> GM-CSF <400> 4 atgtggctgc agaatttact tttcctgggc attgtggtct acagcctctc agcacccacc 60 cgctcaccca tcactgtcac ccggccttgg aagcatgtag aggccatcaa agaagccctg 120 aacctcctgg atgacatgcc tgtcacattg aatgaagagg tagaagtcgt ctctaacgag 180 ttctccttca agaagctaac atgtgtgcag acccgcctga agatattcga gcagggtcta 240 cggggcaatt tcaccaaact caagggcgcc ttgaacatga cagccagcta ctaccagaca 300 tactgccccc caactccgga aacggactgt gaaacacaag ttaccaccta tgcggatttc 360 atagacagcc ttaaaacctt tctgactgat atcccctttg aatgcaaaaa accagtccaa 420 aaatga 426 <210> 5 <211> 558 <212> DNA <213> Relaxin <400> 5 atgcctcgcc tgttcttgtt ccacctgcta gaattctgtt tactactgaa ccaattttcc 60 agagcagtcg cggccaaatg gaaggacgat gttattaaat tatgcggccg cgaattagtt 120 cgcgcgcaga ttgccatttg cggcatgagc acctggagca aaaggtctct gagccaggaa 180 gatgctcctc agacacctag accagtggca gaaattgtac catccttcat caacaaagat 240 acagaaacta taattatcat gttggaattc attgctaatt tgccaccgga gctgaaggca 300 gccctatctg agaggcaacc atcattacca gagctacagc agtatgtacc tgcattaaag 360 gattccaatc ttagctttga agaatttaag aaacttattc gcaataggca aagtgaagcc 420 gcagacagca atccttcaga attaaaatac ttaggcttgg atactcattc tcaaaaaaag 480 agacgaccct acgtggcact gtttgagaaa tgttgcctaa ttggttgtac caaaaggtct 540 cttgctaaat attgctga 558 <210> 6 <211> 441 <212> DNA <213> Murine VEGF mRNA sequence <400> 6 atgaactttc tgctctcttg ggtgcactgg accctggctt tactgctgta cctccaccat 60 gccaagtggt cccaggctgc acccacgaca gaaggagagc agaagtccca tgaagtgatc 120 aagttcatgg atgtctacca gcgaagctac tgccgtccga ttgagaccct ggtggacatc 180 ttccaggagt accccgacga gatagagtac atcttcaagc cgtcctgtgt gccgctgatg 240 cgctgtgcag gctgctgtaa cgatgaagcc ctggagtgcg tgcccacgtc agagagcaac 300 atcaccatgc agatcatgcg gatcaaacct caccaaagcc agcacatagg agagatgagc 360 ttcctacagc acagcagatg tgaatgcaga ccaaagaaag acagaacaaa gccagaaaaa 420 tgtgacaagc caaggcggtg a 441 <210> 7 <211> 576 <212> DNA <213> Homo sapiens VEGF mRNA <400> 7 atgaactttc tgctgtcttg ggtgcattgg agccttgcct tgctgctcta cctccaccat 60 gccaagtggt cccaggctgc acccatggca gaaggagggg ggcagaatca tcacgaagtg 120 gtgaagttca tggatgtcta tcagcgcagc tactgccatc caatcgagac cctggtggac 180 atcttccagg agtaccctga tgagatcgag tacatcttca agccatcctg tgtgcccctg 240 atgcgatgcg ggggctgctg caatgacgag ggcctggagt gtgtgcccac tgaggagtcc 300 aacatcacca tgcagattat gcggatcaaa cctcaccaag gccagcacat aggagagatg 360 agcttcctac agcacaacaa atgtgaatgc agaccaaaga aagatagagc aagacaagaa 420 aatccctgtg ggccttgctc agagcggaga aagcatttgt ttgtacaaga tccgcagacg 480 tgtaaatgtt cctgcaaaaa cacagactcg cgttgcaagg cgaggcagct tgagttaaac 540 gaacgtactt gcagatgtga caagccgagg cggtga 576 <210> 8 <211> 7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hVEGF sense <400> 8 gatcccggaa ggagagcaga agtcccatgt tcaagagaca tgggacttct gctctccttt 60 ttttttggaa a 71 <210> 9 <211> 7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hVEGF anti-sense <400> 9 tttccaaaaa aaaaggagag cagaagtccc atgtctcttg aacatgggac ttctgctctc 60 cttccgggat c 71

Claims (13)

  1. (a) IL-12 (Interleukin 12)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GM-CSF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및 Relaxin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종양살상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및
    (b)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carrier)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면역 관문 억제제와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병용 투여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억제제는 PD-1 (programmed cell death-1) 길항제, PD-L1 (programmed cell death-ligand 1) 길항제, PD-L2 (programmed cell death-ligand 2) 길항제, CD27 (cluster of differentiation 27) 길항제, CD28 (cluster of differentiation 28) 길항제, CD70 (cluster of differentiation 70) 길항제, CD80 (cluster of differentiation 80, also known as B7-1) 길항제, CD86 (cluster of differentiation 86, also known as B7-2) 길항제, CD137 (cluster of differentiation 137) 길항제, CD276 (cluster of differentiation 276) 길항제, KIRs (killer-cell immunoglobulin-like receptors) 길항제, LAG3 (lymphocyte-activation gene 3) 길항제, TNFRSF4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member 4, also known as CD134) 길항제, GITR (glucocorticoid-induced TNFR-related protein) 길항제, GITRL (glucocorticoid-induced TNFR-related protein ligand) 길항제, 4-1BBL (4-1BB ligand) 길항제, CTLA-4 (cytolytic T lymphocyte associated antign-4) 길항제, A2AR (Adenosine A2A receptor) 길항제, VTCN1 (V-set domain-containing T-cell activation inhibitor 1) 길항제, BTLA (B- and T-lymphocyte attenuator) 길항제, IDO (Indoleamine 2,3-dioxygenase) 길항제, TIM-3 (T-cell Immunoglobulin domain and Mucindomain 3) 길항제, VISTA (V-domain Ig suppressorof T cell activation) 길항제, 및 KLRA (killer cell lectin-like receptor subfamilyA) 길항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위암,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유방암, 난소암, 간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췌장암, 방광암, 결장암, 자궁경부암, 골암, 비소세포성 골암, 혈액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 암, 자궁암, 직장암, 항문 부근암, 결장암, 나팔관암, 자궁내막암, 질암, 음문암, 호지킨병 (Hod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신장 또는 수뇨관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암종, 침샘암, 육종암, 가성점액종, 간모세포종, 고환암, 교모세포종, 구순암, 난소생식세포종양, 기저세포암, 다발성골수종, 담낭암, 맥락막흑색종, 바터팽대부암, 복막암, 설암, 소세포암, 소아림프종, 신경모세포종, 십이지장암, 요관암, 성상세포종, 수막종, 신우암, 외음부암, 흉선암, 중추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 CNS) 종양, 1차 중추신경계 림프종, 척수종양, 뇌간 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선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재발암 (Recurrent canc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종양 면역성 (Antitumor immunity)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억제제는 PD-1 (programmed cell death-1) 길항제, PD-L1 (programmed cell death-ligand 1) 길항제 또는 CTLA-4 (cytolytic T lymphocyte associated antign-4) 길항제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는 E1 및 E3 영역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이 결실되어 있고,
    상기 E1 영역에 IL-12A (p35) 유전자 서열, IRES 서열 및 IL-12B (p40) 유전자 서열을 포함하는 IL-12를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E3 영역에 GM-CSF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IRES 서열 및 Relaxin을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삽입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024230A 2017-02-28 2018-02-28 종양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및 면역 관문 억제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2182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351A KR102352632B1 (ko) 2017-02-28 2020-11-12 종양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및 면역 관문 억제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26339 2017-02-28
KR1020170026339 2017-02-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351A Division KR102352632B1 (ko) 2017-02-28 2020-11-12 종양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및 면역 관문 억제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557A KR20180099557A (ko) 2018-09-05
KR102182957B1 true KR102182957B1 (ko) 2020-11-27

Family

ID=633710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230A KR102182957B1 (ko) 2017-02-28 2018-02-28 종양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및 면역 관문 억제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20200151351A KR102352632B1 (ko) 2017-02-28 2020-11-12 종양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및 면역 관문 억제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351A KR102352632B1 (ko) 2017-02-28 2020-11-12 종양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및 면역 관문 억제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364272B2 (ko)
EP (1) EP3591041A4 (ko)
JP (3) JP6874147B2 (ko)
KR (2) KR102182957B1 (ko)
CN (1) CN110573612A (ko)
AU (2) AU2018228308B2 (ko)
CA (1) CA3054664A1 (ko)
RU (1) RU2740713C1 (ko)
WO (1) WO2018159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280B1 (ko) 2018-05-31 2021-11-29 주식회사 센트릭스바이오 CD300c의 발현 억제제 또는 활성 억제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231188A1 (ko) 2018-05-31 2019-12-05 주식회사 센트릭스바이오 Cd300c의 발현 억제제 또는 활성 억제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1743923A (zh) * 2019-03-27 2020-10-09 北京康万达医药科技有限公司 包含分离的重组溶瘤腺病毒和免疫细胞的治疗剂及其应用
EP4023232A4 (en) * 2019-08-26 2022-11-30 Bionoxx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CANCER WITH ANTI-CANCER VIRUS, IMMUNE CHECKPOINT INHIBITOR AND HYDROXYUREA AS ACTIVE INGREDIENTS
KR102464507B1 (ko) 2019-11-18 2022-11-09 주식회사 센트릭스바이오 항-CD300c 단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3503567A (ja) 2019-11-18 2023-01-31 セントリックスバイオ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抗-cd300c単クローン抗体を含むがん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WO2021132936A1 (ko) * 2019-12-27 2021-07-01 인터올리고 주식회사 암 치료용 면역 항암 조성물
CN113832114A (zh) * 2020-06-23 2021-12-24 南京大学 一种新型溶瘤腺病毒EM/VSV-G Ad5-P及其在制备抗肿瘤药物中的应用
WO2022007804A1 (zh) * 2020-07-07 2022-01-13 深圳市菲鹏生物治疗股份有限公司 T淋巴细胞及其应用
WO2022139440A1 (ko) * 2020-12-22 2022-06-30 바이로큐어 주식회사 신규한 재조합 믹소마바이러스 및 이의 용도
CA3218832A1 (en) 2021-05-13 2022-11-17 CentricsBio, Inc. Combined therapy using anti-cd300c antibody
CN114350709A (zh) * 2021-09-18 2022-04-15 梁亚龙 一种经修饰的溶瘤性腺病毒载体
KR20230091594A (ko) 2021-12-16 2023-06-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항pd-l1 펩티드를 발현하는 살모넬라 변이주 및 이의 외막 소포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23194656A1 (en) * 2022-04-08 2023-10-12 Tilt Biotherapeutics Oy Monoclonal pd-l1 antibodies
CN115089701A (zh) * 2022-05-09 2022-09-23 吉林大学 含有水凝胶式缓释载体的靶向肿瘤疫苗试剂盒
CN116510022B (zh) * 2022-11-23 2023-12-05 武汉滨会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抗肿瘤的组合物、重组质粒组合物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760A (ko) 2001-12-15 2002-03-29 심재석 가상 CD ROM 드라이브 및 가상 Disk 드라이브를 이용한소프트웨어 설치, 실행 및 사용권 라이센스 관리 프로그램제작 방법
EP1729817B1 (en) * 2004-03-30 2014-03-05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ene delivery system containing relaxin gen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ing relaxin
KR101629071B1 (ko) 2008-10-08 2016-06-09 인트렉손 코포레이션 다수의 면역조절자를 발현하는 조작된 세포 및 그 용도
CN107058231A (zh) * 2010-02-11 2017-08-18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 携带融合蛋白基因的重组腺病毒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253276B1 (ko) * 2010-07-27 2013-04-10 윤채옥 복합 유전자 치료용 항종양 조성물
CN104220098B (zh) 2012-02-14 2018-04-10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用于心血管疾病和其它病况的旁分泌基因的全身性递送和受调节的表达
EP2879498A4 (en) * 2012-07-30 2016-03-30 Alex Wah Hin Yeung BY TREATMENT OF AT LEAST TWO OR ALL THREE OF THE FOLLOWING COMPONENTS SUCH AS TUMOR CELLS, AN ONCOLYTIC VIRUS VECTOR WITH TRANSGENIC EXPRESSION OF GM-CSF AND AN IMMUNE TEST MODULE DEVELOPED TUMOR SPECIFIC LIVING AND IN VIVO CANCER VACCINE SYSTEM
EP3068425B1 (en) * 2013-11-11 2021-01-27 Armo Biosciences, Inc. Methods of using interleukin-10 for treating diseases and disorders
MA39818A (fr) * 2014-03-30 2017-02-08 Benevir Biopharm Inc Virus oncolytiques « armés » comprenant un inhibiteur de tap exogène et leurs utilisations thérapeutiques
EP3169341B1 (en) * 2014-07-16 2019-06-05 Transgene SA Oncolytic virus for expression of immune checkpoint modulators
AU2017375958A1 (en) 2016-12-12 2019-07-04 Multivir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viral gene therapy and an immune checkpoint inhibitor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ancer and infectious diseas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64 (2012) 720-7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73612A (zh) 2019-12-13
WO2018159991A1 (ko) 2018-09-07
AU2022202457A1 (en) 2022-05-05
JP6874147B2 (ja) 2021-05-19
US20220347242A1 (en) 2022-11-03
EP3591041A4 (en) 2021-01-06
US11364272B2 (en) 2022-06-21
AU2018228308B2 (en) 2022-01-27
JP2020508676A (ja) 2020-03-26
JP2021112199A (ja) 2021-08-05
JP2023086736A (ja) 2023-06-22
CA3054664A1 (en) 2018-09-07
US20190388488A1 (en) 2019-12-26
JP7313394B2 (ja) 2023-07-24
KR102352632B1 (ko) 2022-01-20
AU2018228308A1 (en) 2019-09-19
RU2740713C1 (ru) 2021-01-20
EP3591041A1 (en) 2020-01-08
KR20180099557A (ko) 2018-09-05
KR20200133193A (ko)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957B1 (ko) 종양 특이적 살상 아데노바이러스 및 면역 관문 억제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2164876B1 (ko) IL­12 및 shVEGF 동시발현 아데노바이러스를 포함하는 항종양 면역성 증진 조성물
RU2742726C2 (ru) Противорак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рекомбинантный аденовирус, экспрессирующий разрушающий фактор для внеклеточного матрикса
JPH11500736A (ja) 遺伝子治療ベクターを投与するための方法及び組成物
EP2139913A2 (en) Inducing immune-mediated tumor cell death
US20210324014A1 (en) A new oncolytic virus platform to treat cancers with myxoma virus
EP1067194A1 (en) Vectors containing a gene coding for CD40 and/or CD40L under the control of a cytokine-inducible promoter which is a human acute phase amyloid A gene promoter.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and uses thereof
RU2777523C2 (ru) Противорак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опухолеспецифический онколитический аденовирус и ингибитор контрольной точки иммунного ответа
CN114657150A (zh) 用于改善免疫疗法的重组溶瘤腺病毒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