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965B1 -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965B1
KR102181965B1 KR1020200091700A KR20200091700A KR102181965B1 KR 102181965 B1 KR102181965 B1 KR 102181965B1 KR 1020200091700 A KR1020200091700 A KR 1020200091700A KR 20200091700 A KR20200091700 A KR 20200091700A KR 102181965 B1 KR102181965 B1 KR 102181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sidewall
box
folded
packag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호성
박지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워크패키지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워크패키지하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워크패키지하우스
Priority to KR1020200091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9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separating interconnect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5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means of a tongue integral with one of th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7Individual packages joined together, e.g. by means of integral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2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provided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박스가 절취선에 의해 연결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포장재의 제작을 방지하고, 원가 절감 및 생산성이 향상되며, 분리 보관이 용이한 종이 포장재를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DETACHABLE PAPER PACKAGING}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박스가 절취선에 의해 연결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포장재의 제작을 방지하고, 원가 절감 및 생산성이 향상되며, 분리 보관이 용이한 종이 포장재를 제작할 수 있다.
최근에는 환경 문제로 인해, 물품 판매를 위한 포장재의 재질에 대한 규제가 다수 생겨나고 있다. 종래의 플라스틱, 비닐에서 벗어나, 친환경적인 소재를 중심으로 포장재가 제작되고 있다.
특히, 종이 포장재는 플라스틱, 비닐과는 달리 자연 분해가 가능하므로, 이러한 환경 이슈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다만, 소위 '묶음 판매' 방식에 있어서, 각 제품을 포장하기 위해 종이 포장재가 다수 제작되어야 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복수 개의 종이 포장재를 '묶음 판매' 방식으로 판매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결합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새로운 종이 포장재가 제작되거나, 플라스틱, 비닐, 끈 등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로 인해, 각 포장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불필요한 포장재가 제작되어야 하므로 자원 낭비 등의 환경 문제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제조 업체 입장에서도 원가가 상승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묶음 판매'를 위해 작업자 혹은 기계가 각 포장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므로 작업 시간이 다수 수요되어 생산성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매자 입장에서는 복수 개의 제품 중 어느 하나의 제품의 포장재만 뜯어서 사용하더라도, 나머지 사용하지 않은 제품들과 함께 보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불필요한 포장재의 제작을 방지하고, 원가 절감 및 생산성이 향상되며, 구매자 입장에서 분리 보관이 용이한 종이 포장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20-0431740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박스가 절취선에 의해 연결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포장재의 제작을 방지하고, 원가 절감 및 생산성이 향상되며, 분리 보관이 용이한 종이 포장재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는 접힘 시 박스 형태의 제1 박스가 형성되는 제1 포장유닛; 및 접힘 시 박스 형태의 제2 박스가 형성되는 제2 포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포장유닛 및 상기 제2 포장유닛은 절취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 분리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의 상기 제1 포장유닛은, 제1-1 측벽부 내지 제1-4 측벽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연결되어 접힘 시 상기 제1 박스의 측벽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의 상기 제2 포장유닛은, 제2-1 측벽부 내지 제2-4 측벽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연결되어 접힘 시 상기 제2 박스의 측벽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의 상기 제1-1 측벽부 및 상기 제2-1 측벽부는 맞닿아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1 측벽부 및 상기 제2-1 측벽부의 접점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상기 절취선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의 상기 절취선은, 제1 절취선 및 제2 절취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절취선 및 상기 제2 절취선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한 포장재의 제작을 방지하고, 원가 절감 및 생산성이 향상되며, 분리 보관이 용이한 종이 포장재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의 전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의 절취선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의 조립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포장재의 조립이 완성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포장재의 제1 박스 및 제2 박스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종이 포장재의 조립이 완성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종이 포장재의 조립이 완성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이고, '폭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이다. '수직 방향'이라 함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이 이루는 면과 수직되는 방향이다. 이하에서는 지정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는 제1 포장유닛(100), 제2 포장유닛(200) 및 절취선(300)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의 전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의 절취선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의 조립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의 제1 포장유닛(100)은 제1-1 측벽부(110), 제1-2 측벽부(120), 제1-3 측벽부(130), 제1-4 측벽부(140)를 포함한다.
제1-1 측벽부(110) 내지 제1-4 측벽부(140)는 순차적으로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연장 형성되어 연결된다. 또한, 접점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접힘선이 형성된다. 도 1을 기준으로 절취선(300)을 중심으로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1 측벽부(110) 내지 제1-4 측벽부(140)는 일 예로 평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1 측벽부(110) 내지 제1-4 측벽부(140)는 접힘 시 중공부가 형성된 박스(box) 형태가 형성된다.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제1 포장유닛(100)의 제1-1 측벽부(110) 내지 제1-4 측벽부(140)가 접힘 시 형성된 박스를 제1 박스라 지칭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인접하는 측벽부 간 90도 각도로 접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1 측벽부(110)는 도 1을 기준으로 상부에 제1-1 측벽부 상부커버(111), 하부에 제1-1 측벽부 하부커버(112)가 형성된다.
또한, 제1-2 측벽부(120)는 도 1을 기준으로 상부에 제1-2 측벽부 상부커버(121), 하부에 제1-2 측벽부 하부커버(122)가 형성된다.
또한, 제1-3 측벽부(130)는 도 1을 기준으로 상부에 제1-3 측벽부 상부커버(131), 하부에 제1-3 측벽부 하부커버(132)가 형성된다.
또한, 제1-4 측벽부(140)는 도 1을 기준으로 상부에 제1-4 측벽부 상부커버(141), 하부에 제1-4 측벽부 하부커버(142)가 형성된다.
제1-1 측벽부 상부커버(111), 제1-1 측벽부 하부커버(112), 제1-2 측벽부 상부커버(121), 제1-2 측벽부 하부커버(122), 제1-3 측벽부 상부커버(131), 제1-3 측벽부 하부커버(132), 제1-4 측벽부 상부커버(141), 제1-4 측벽부 하부커버(142)는 어느 하나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상자 형태의 포장재에 사용되는 '날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평면이 사각형 형태일 수 있으며, 결합의 용이성을 위해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round) 지거나, 컷팅될 수 있다.
이때, 제1-3 측벽부 상부커버(131)의 상부에는 제1 상부 삽입부(1311)가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 시 제1-3 측벽부 상부커버(131)와 수직을 이루도록 접혀, 제1-1 측벽부(110)의 내측면과 맞닿게 된다. 이로 인해, 제1-3 측벽부 상부커버(131)가 접힘 시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각 측벽부의 상부커버는 접힘 시 제1 박스의 상면을 형성하며, 하부커버는 접힘 시 제1 박스의 하면을 형성하게 된다.
제1 홈부(150)는 제1-3 측벽부(130)와 제1-4 측벽부(140)와 경계선에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위 경계선에서 제1-4 측벽부(140)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 지점에 형성된다. 제1 홈부(150)의 형상은 어느 하나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으나, 후술할 고정부(250)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1 홈부(150)의 효과는 후술에서 상세히 하도록 한다.
제1 측부 삽입부(160)는 제1-4 측벽부(140)에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접힘 시 제1-4 측벽부(140)와 수직되도록 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1 측벽부(110)의 내측면과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측부 삽입부(160)는 제1 상부 삽입부(1311)와 마찬가지로, 접힘 시 측벽 간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제1 측부 삽입부(160)에는 접착재가 결합되어 제1-1 측벽부(110)와 맞닿아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접힘 시, 분리되지 않고 측벽의 모양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의 제2 포장유닛(200)은 제2-1 측벽부(210), 제2-2 측벽부(220), 제2-3 측벽부(330), 제2-4 측벽부(240)를 포함한다.
제2-1 측벽부(210) 내지 제2-4 측벽부(240)는 순차적으로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연장 형성되어 연결된다. 또한, 접점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접힘선이 형성된다. 도 1을 기준으로 절취선(300)을 중심으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1 측벽부(210) 내지 제2-4 측벽부(240)는 일 예로 평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1 측벽부(210) 내지 제2-4 측벽부(240)는 접힘 시 중공부가 형성된 박스(box) 형태가 형성된다.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제2 포장유닛(200)의 제2-1 측벽부(210) 내지 제2-4 측벽부(240)가 접힘 시 형성된 박스를 제2 박스라 지칭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인접하는 측벽부 간 90도 각도로 접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1 측벽부(210)는 도 1을 기준으로 상부에 제2-1 측벽부 상부커버(211), 하부에 제2-1 측벽부 하부커버(212)가 형성된다.
또한, 제2-2 측벽부(220)는 도 1을 기준으로 상부에 제2-2 측벽부 상부커버(221), 하부에 제2-2 측벽부 하부커버(222)가 형성된다.
또한, 제2-3 측벽부(230)는 도 1을 기준으로 상부에 제2-3 측벽부 상부커버(231), 하부에 제2-3 측벽부 하부커버(232)가 형성된다.
또한, 제2-4 측벽부(240)는 도 1을 기준으로 상부에 제2-4 측벽부 상부커버(241), 하부에 제2-4 측벽부 하부커버(242)가 형성된다.
제2-1 측벽부 상부커버(211), 제2-1 측벽부 하부커버(212), 제2-2 측벽부 상부커버(221), 제2-2 측벽부 하부커버(222), 제2-3 측벽부 상부커버(231), 제2-3 측벽부 하부커버(232), 제2-4 측벽부 상부커버(241), 제2-4 측벽부 하부커버(242)는 어느 하나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상자 형태의 포장재에 사용되는 '날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평면이 사각형 형태일 수 있으며, 결합의 용이성을 위해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round) 지거나, 컷팅될 수 있다.
이때, 제2-3 측벽부 상부커버(231)의 상부에는 제2 상부 삽입부(2311)가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 시 제2-3 측벽부 상부커버(231)와 수직을 이루도록 접혀, 제2-1 측벽부(210)의 내측면과 맞닿게 된다. 이로 인해, 제2-3 측벽부 상부커버(231)가 접힘 시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각 측벽부의 상부커버는 접힘 시 제2 박스의 상면을 형성하며, 하부커버는 접힘 시 제2 박스의 하면을 형성하게 된다.
고정부(250)는 제2-3 측벽부(230)와 제2-4 측벽부(240)와 경계선에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위 경계선에서 제2-4 측벽부(240)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 지점에 형성된다. 고정부(250)의 형상은 어느 하나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으나, 전술한 제1 홈부(150)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부(250)는 접힘 시 돌출되고, 접히지 않는 경우에는 측벽부들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고정부 수용홈(2401)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 수용홈(2401)은 제2-3 측벽부(230)와 제2-4 측벽부(240)와 경계선에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250)가 수용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 전 고정부(250)만이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손상이 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접힘 시에만 고정부(250)가 돌출되도록 하여 포장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홈부(150)와 고정부(250)의 결합 효과는 후술에서 상세히 하도록 한다.
제2 측부 삽입부(260)는 제2-4 측벽부(240)에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접힘 시 제2-4 측벽부(240)와 수직되도록 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1 측벽부(210)의 내측면과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측부 삽입부(260)는 제2 상부 삽입부(2311)와 마찬가지로, 접힘 시 측벽 간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제2 측부 삽입부(260)에는 접착재가 결합되어 제2-1 측벽부(210)와 맞닿아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접힘 시, 분리되지 않고 측벽의 모양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포장유닛(100)과 제2 포장유닛(200)은 연결되어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1 측벽부(110)와 제2-1 측벽부(210)는 연결되어 있으며, 맞닿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포장유닛(100)과 제2 포장유닛(200)은 절취선(300)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 분리 가능한 형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1 측벽부(110)와 제2-1 측벽부(210)는 절취선(30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절취선(300)은 사전적 의미로 자르기 용이한 선으로, 포장 업계에서 다수 사용되고 있다. 미세한 간격으로 펀칭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매자가 절취선(300)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제1 포장유닛(100)과 제2 포장유닛(200)이 분리될 수 있다.
즉, 제1 포장유닛(100)과 제2 포장유닛(200)은 독립적으로 접힘 가능하여 각각 제1 박스 및 제2 박스를 형성하고 있으며, 제1 박스와 제2 박스는 구매자에 의해 잘리기 전인 절취선(30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절취선(300)이 형성될 공간이 형성되기 위해, 제1 포장유닛(100)과 제2 포장유닛(200)은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1 측벽부 상부커버(111)와 제2-1 측벽부 상부커버(211)가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d)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취선(300)은 제1 절취선(301) 및 제2 절취선(302)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절취선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절취선이 잘리더라도 잘려지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제1-1 측벽부(110)와 제2-1 측벽부(21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포장재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종이 포장재의 접힘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제1-1 측벽부(110)는 그대로 두고, 제1-2 측벽부(120), 제1-3 측벽부(130), 제1-4 측벽부(140)를 각각 경계선을 따라 접는다. 이때, 제1-2 측벽부(120), 제1-3 측벽부(130), 제1-4 측벽부(140)는 인접하는 각각이 수직되도록 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접힘 시 제1-1 측벽부(110)는 제1-3 측벽부(130)와 마주보며, 제1-2 측벽부(120)는 제1-4 측벽부(140)와 마주보게 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도록 한다.
제2-1 측벽부(210)를 기준으로, 제2-2 측벽부(220), 제2-3 측벽부(230), 제2-4 측벽부(240)를 각각 경계선을 따라 접는다. 이때, 제2-2 측벽부(220), 제2-3 측벽부(230), 제2-4 측벽부(240)는 인접하는 각각이 수직되도록 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접힘 시 제2-1 측벽부(210)는 제2-3 측벽부(230)와 마주보며, 제2-2 측벽부(220)는 제2-4 측벽부(240)와 마주보게 된다.
이때, 제2-1 측벽부(210)는 절취선(300)을 기준으로 제1-1 측벽부(110)로부터 접는다. 이는 후술할 고정부(250)의 삽입을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6은 제1 박스 및 제2 박스가 형성된 상태에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제1 박스가 형성될 때, 제1-3 측벽부(130)와 제1-4 측벽부(140)가 접혀 제1 홈부(150)가 노출되고, 제2 박스가 형성될 때, 제2-3 측벽부(230)와 제2-4 측벽부(240)가 접혀 고정부(250)가 고정부 수용홈(2401)으로부터 분리되어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제2-4 측벽부(240)와 제1-4 측벽부(140)가 상호 가까워지도록 하면, 고정부(250)가 제1 홈부(150)를 향하게 되고, 제1 홈부(15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a)와 같이 제1 박스와 제2 박스가 상호 맞닿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종이 포장재가 완성될 때, 제1 박스 및 제2 박스가 고정되어 흔들림이 방지되고, 포장재 전체의 고정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포장재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포장재의 조립이 완성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포장재의 제1 박스 및 제2 박스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구매자는 도 7(b)와 같이 필요에 따라 제1 박스와 제2 박스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포장재 전체를 묶기 위한 포장재의 낭비가 최소화되며, 제조 업체 입장에서도 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매자 입장에서도 제1 박스 또는 제2 박스 내부에 있는 제품만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제1 박스와 제2 박스를 분리하여 아직 뜯지 않은 박스를 별도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종이 포장재의 조립이 완성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종이 포장재의 조립이 완성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포장유닛(100a) 및 제2 포장유닛(200a)이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상이하도록 최초에 제작되어 접힘 시 도 8과 같이 사시도를 기준으로 제1 박스와 제2 박스의 높이(h)가 상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포장유닛(100b) 및 제2 포장유닛(200b)의 폭 방향으로 길이가 상이하도록 최초에 제작되어 접힘 시 도 9와 같이 사시도를 기준으로 제1 박스와 제2 박스의 너비(W)가 상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또 다른 실시 예로 인해, 제1 박스와 제2 박스의 크기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있는 포장할 수 있는 제품군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제1 포장유닛,
110 : 제1-1 측벽부,
120 : 제1-2 측벽부,
130 : 제1-3 측벽부,
140 : 제1-4 측벽부,
150 : 제1 홈부,
160 : 제1 측부 삽입부,
200 : 제2 포장유닛,
210 : 제2-1 측벽부,
220 : 제2-2 측벽부,
230 : 제2-3 측벽부,
240 : 제2-4 측벽부,
2401 : 고정부 수용홈,
250 : 고정부,
260 : 제2 측부 삽입부,
300 : 절취선,
301 : 제1 절취선,
302 : 제2 절취선.

Claims (5)

  1. 접힘 시 박스 형태의 제1 박스가 형성되는 제1 포장유닛; 및
    접힘 시 박스 형태의 제2 박스가 형성되는 제2 포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포장유닛 및 상기 제2 포장유닛은 절취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고,
    상기 제1 포장유닛은,
    제1-1 측벽부 내지 제1-4 측벽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연결되어 접힘 시 상기 제1 박스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포장유닛은,
    제2-1 측벽부 내지 제2-4 측벽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연결되어 접힘 시 상기 제2 박스의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1-3 측벽부와 상기 제1-4 측벽부의 경계선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일 지점에 형성되는 제1 홈부;
    상기 제2-3 측벽부와 상기 제2-4 측벽부의 경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 지점에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는 고정부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수용홈은,
    상기 고정부가 수용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포장유닛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3 측벽부와 상기 제1-4 측벽부가 접혀 상기 제1 홈부가 노출되고,
    상기 제2 포장유닛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3 측벽부와 상기 제2-4 측벽부가 접혀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부 수용홈으로부터 분리되어 돌출되고,
    상기 제2-4 측벽부와 상기 제1-4 측벽부가 상호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1 홈부를 향하여 삽입되고,
    상기 제1 포장유닛과 상기 제2 포장유닛의 고정성이 향상되는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측벽부 및 상기 제2-1 측벽부는 맞닿아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1 측벽부 및 상기 제2-1 측벽부의 접점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상기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인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제1 절취선 및 제2 절취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절취선 및 상기 제2 절취선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인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
KR1020200091700A 2020-07-23 2020-07-23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 KR102181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700A KR102181965B1 (ko) 2020-07-23 2020-07-23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700A KR102181965B1 (ko) 2020-07-23 2020-07-23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965B1 true KR102181965B1 (ko) 2020-11-23

Family

ID=7368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700A KR102181965B1 (ko) 2020-07-23 2020-07-23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07985A1 (it) * 2021-03-31 2022-10-01 Grafica Atestina Srl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 assieme contenitore e assieme contenitore ottenuto con tale metod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841Y1 (ko) * 1999-05-08 2001-11-16 김용률 포장용 상자
KR200431740Y1 (ko) 2006-09-01 2006-11-24 성용재 제품보호용 내부포장재를 구비한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841Y1 (ko) * 1999-05-08 2001-11-16 김용률 포장용 상자
KR200431740Y1 (ko) 2006-09-01 2006-11-24 성용재 제품보호용 내부포장재를 구비한 포장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07985A1 (it) * 2021-03-31 2022-10-01 Grafica Atestina Srl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 assieme contenitore e assieme contenitore ottenuto con tale metod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2299A (en) Combined product shipping and display box
US20070051662A1 (en) Packaging for electrical extension cord
KR102059779B1 (ko) 포장상자
KR102181965B1 (ko) 분리 가능한 종이 포장재
JP2006021808A (ja) トレイ形包装用箱
JP7258588B2 (ja) トレーと包装用箱
JP7349775B2 (ja) 箱およびそのブランクシート
JP2000006956A (ja) 包装容器
JP7245114B2 (ja) 商品包装箱
KR100586933B1 (ko) 란 포장용기
KR101476706B1 (ko) 비접착방식의 포장용 상자
JP7319814B2 (ja) 包装用箱
KR200204650Y1 (ko) 포장박스용 완충재
KR200230565Y1 (ko)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
JP7102291B2 (ja) 包装容器
JPH0728091Y2 (ja) 包装用箱体
JP3438782B2 (ja) 梱包箱の構造
KR200295197Y1 (ko) 포장 상자
JP2007039126A (ja) 包装箱および包装体
JP2022088799A (ja) 包装ケース
KR200283395Y1 (ko) 포장용 상자
KR200317350Y1 (ko) 란 포장용기
KR20200002629U (ko) 포장 상자
KR200376367Y1 (ko) 포장박스
TWM602537U (zh) 包裝盒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