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565Y1 -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 - Google Patents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565Y1
KR200230565Y1 KR2020010004355U KR20010004355U KR200230565Y1 KR 200230565 Y1 KR200230565 Y1 KR 200230565Y1 KR 2020010004355 U KR2020010004355 U KR 2020010004355U KR 20010004355 U KR20010004355 U KR 20010004355U KR 200230565 Y1 KR200230565 Y1 KR 2002305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ckaging box
cover
coupling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크라운제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크라운제과 filed Critical 주식회사크라운제과
Priority to KR2020010004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5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5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565Y1/ko

Links

Landscapes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을 포장 유통시키는 용도로 이용하는 포장 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그 내부에 다수의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포장 상자에 있어서, 바닥면인 저면(11)을 중심으로 그 상부가 개봉되고, 전면(12)의 높이가 후면(18)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좌우측면(14, 16)의 상단부는 상기 전면(12)과 후면(16)의 높이에 맞게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좌우면(14, 16)의 내측면에 그 외측면이 접촉되는 좌우측면(22, 23)과, 상기 좌우측면(22, 23)의 상단에 상기 본체(10)의 저면(11)에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상면(21)으로 이루어지는 커버(20)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20)가 본체(10)에 조립된 포장 상자(40)의 전면 상단에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Packing Box for Carrying and Displaying}
본 고안은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을 포장 유통시키는 용도로 이용하는 포장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의 유통 용도로 사용하는 포장 박스에는 일정 크기를 갖게 포장된 다수의 과자가 그 내부에 적층되어 있다.
이 포장 박스는 그 내부에 수용된 상품이 유통 중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큰 단위 포장으로 유통을 편리하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설명과 같은 기능을 하기 위해서 가벼우면서 대체적으로 견고한 구조를 갖는 종이재의 골판지를 이용하여 상자를 제작하고 있다.
도 5에 기존의 전형적인 포장 상자를 나타내었는데, 종래의 상자(5)는 상하면에 개봉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하부면을 밀폐한 후에 그 내부에 상품을 적재하고, 그 상부면을 밀폐 처리하여 유통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면의 밀폐는 테이프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자의 개봉은 테이프를 떼어 내고 상부면을 펼치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자를 이용하여 상품을 유통할 때에 소규모의 판매점들에서는 포장 상자에서 상품을 꺼내지 않고, 그 일부를 절개한 채 상품 진열대에 진열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품의 진열 상태에 따라서 판매량이 변화하기 때문에 포장 박스를 일부 절개하여 진열하는 기존의 진열 방식은 상품의 판매량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포장 상자는 다수의 상자를 적층할 때에 상하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키지 않고 높이 적층하면 쓰러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품을 적재하여 유통과 진열을 간편하게 해 주는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의 외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
도 4는 종래의 일반 상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본체 11 : 저면
12 : 전면 14 : 좌면
16 : 우면 18 : 후면
20 : 커버 21 : 상면
22 : 좌지지면 23 : 우지지면
30 : 인출구 40 : 포장 상자
A : 외향 절곡선 B : 내향 절곡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내부에 다수의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포장 상자에 있어서, 바닥면인 저면을 중심으로 그 상부가 개봉되고, 전면의 높이가 후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좌우측면의 상단부는 상기 전면과 후면의 높이에 맞게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 좌우면의 내측면에 그 외측면이 접촉되는 좌우측면과, 상기 좌우측면의 상단에 상기 본체의 저면에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상면으로 이루어지는 커버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가 본체에 조립된 포장 상자의 전면 상단에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상면 양측단에 한 쌍의 적층결합편이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저면 양측단에 상기 적층 결합편이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좌우결합구가 형성되어, 그 상하에 적층되는 다른 본체의 저면 및 다른 커버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적층이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 상면의 전후 길이는 상기 본체 저면의 전후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전면의 개방 면적을 늘림으로써 물건의 인출을 편리하게 해 준다.
상기 본체는 사각형의 구조를 갖고, 그 4변의 각 중앙 부분에 결합을 위한 결합구가 형성되는 저면과; 상기 저면의 전단에 연장 형성되어 직각으로 내향 절곡되는 제 1전면과; 상기 제 1전면에 같은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180도 내향 절곡되는 제 2전면과; 상기 제 2전면의 중앙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저면의 전단에 형성된 결합구에 삽입 결합되는 전결합편과; 상기 전면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저면의 후단에 연장 형성되어 직각으로 내향 절곡되는 제 1후면과; 상기 제 2후면에 같은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180도 내향 절곡되는 제 2후면과; 상기 제 2후면의 중앙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저면의 후단에 형성된 결합구에 삽입 결합되는 후결합편과; 그 후단은 상기 후면의 높이와 같고, 그 전단은 상기 전면의 높이와 같도록 상기 저면의 좌우에 연장 형성되는 좌우면과; 상기 좌우면의 전후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직각으로 내향 절곡되어 상기 제 1 및 제 2전면사이와 상기 제 1 및 제 2후면사이에 각각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좌우결합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의 내부 좌우 길이와 같은 좌우 길이와, 상기 본체 좌우면의 상단 길이와 같은 전후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상면과; 상기 상면의 좌우 양단에 연장 형성되면서, 각 일단의 전후 길이는 상기 저면의 내부 전후 길이와 같게 형성되어 외향 절곡되는 좌우지지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상품을 적재하여 유통시키다가, 상자에 포장된 상태로 진열대에 전시하여도, 그 전면의 일부가 개봉되어 있으므로 간편하게 상품을 인출할 수 있으며, 다수의 상자를 상하 적층하여도 적층결합편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의 외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4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와 커버(20)가 서로 조립되어 기본적으로 육면체 구조를 갖는 상자로 형성되며, 그 전면의 상단에 그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는 용도 등으로 이용되는 인출구(30)가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 포장 상자(40)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기 위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면이 없는 구조의 육면체 상자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조립되어 상부면을 형성하기 위한 커버(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바닥면인 저면(11)을 중심으로 그 전단에는 전면(12)이 형성되며, 그 후단에는 상기 전면(12)에 비하여 높이가 높은 후면(18)이 형성된다.
그리고, 저면(11)의 좌우 양단에는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전후면(12, 18)의 양측단을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좌우면(14, 16)이 형성된다.
상기 저면(11)의 양단 중앙에는 적층 결합을 위한 좌적층결합구(11a)와 우적층결합구(1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본체(10)에 조립되어 본체(10)에 생략되어 있는 상부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상기 후면(18)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갖고, 그 하단부는 상기 저면(11)의 전후 길이와 같으며, 그 상단부는 상기 저면(11)의 전후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좌우지지면(22, 23)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지지면(22, 23)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상면(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지지면(22, 23)은 그 외측면이 상기 본체(10)의 좌우면(14, 16)의 내측면에 접촉되며, 그 하단이 저면(11)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면(21)은 그 전후 길이가 상기 좌우 지지면(22, 23)의 상단 길이와 같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체(10)와 커버(20)를 서로 조립하면, 도 1과 같은 포장 상자(40) 구조로 형성되어, 그 전면의 상단에 인출구(30)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20)의 상면(21) 양측단 중앙에는 다수의 상자를 적층할 때에 다른 상자와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향 돌출 형성되는 좌우적층결합편(21a, 2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본체(10)의 저면(11) 양측단 중앙에는 상기 좌우적층결합편(21a, 21b)이 삽입 고정되는 좌우적층결합구(11a, 11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는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도 2와 같은 형태로 본체(10)와 커버(20)를 제조한 후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종이재의 골판지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종이 골판지를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3에 예시한 전개도의 형상대로 절곡선과 가장 자리 절단 가공이 필요하다.
상기 본체(10)의 저면(11)은 사각형의 구조를 가지며, 그 4변 중 좌우변에는 내향 절곡선(B)으로 구분되어 좌우면(14, 16)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좌우면(14, 16)은 상기 설명과 같이 전단의 폭이 후단의 폭보다 짧게 형성되며, 좌면(14)의 전후단에는 아래에 설명하는 제 1 및 제 2전면(12a, 12b)과 제 1 및 제 2후면(18a, 18b)과의 결합을 위한 제 1 및 제 2좌결합편(14a, 14b)이 내향 절곡선(B)으로 구분되어 연장 형성되고, 우면(16)의 전후단에도 아래에 설명하는 제 1 및 제 2전면(12a, 12b)과 제 1 및 제 2후면(18a, 18b)과의 결합을 위한 제 1 및 제 2우결합편(16a, 16b)이 내향 절곡선(B)으로 구분되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전면(12) 형성을 위한 제 1 및 제 2전면(12a, 12b)이 상기 저면(11)의 전단에 내향 절곡선(B)으로 구분되면서 연장 형성되는데, 이 제 1 및 제 2전면(12a, 12b)의 길이는 상기 설명과 같이 전면(12)의 높이와 같게 형성한다.
상기 후면(18) 형성을 위해서는 제 1 및 제 2후면(18a, 18b)이 상기저면(11)의 후단에 내향 절곡선(B)으로 구분되면서 연장 형성되는데, 이 제 1 및 제 2후면의 길이는 상기 설명과 같이 후면(18)의 높이와 같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저면(11)의 양측단 중앙 부분에는 상기 좌우적층결합구(11a, 11b)가 형성되며, 전후단 중앙 부분에는 아래에 설명하는 전후결합편(12c, 18c)이 삽입 결합되는 전후결합구(11c, 11d)가 형성된다.
상기 제 2전면(12b)의 종단 중앙 부분에는 상기 전결합구(11c)에 삽입 결합되는 전결합편(12c)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2후면(18b)의 종단 중앙 부분에도 상기 후결합구(11d)에 삽입 결합되는 후결합편(18c)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체(10)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조립된다.
먼저, 좌우면(14, 16)의 양단에 형성된 제 1 및 제 2좌결합편(14a, 14b)과 제 1 및 제 2우결합편(16a, 16b)을 각각 좌우면(14, 16)에 대하여 직각으로 내향 절곡시키고, 이어서 좌우면(14, 160을 상기 저면(11)에 대하여 직각으로 내향 절곡시킨다.
그리고, 제 1전면(12a)을 저면(11)에 대하여 직각으로 내향 절곡시키고, 다시 제 2전면(12b)을 제 1전면(12a)에 대하여 180도 내향 절곡시키면서, 전결합편(12c)을 전결합구(11c) 삽입 고정시킨다. 이렇게 하면, 상기 제 1좌결합편(14a) 및 제 1우결합편(16a)의 외측면이 상기 제 1전면(12a)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제 1좌결합편(14a) 및 제 1우결합편(16a)의 내측면이 상기 제 2전면(12a)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이어서, 제 1후면(18a)을 저면(11)에 대하여 직각으로 내향 절곡시키고, 다시 제 2후면(18b)을 제 1후면(18a)에 대하여 180도 내향 절곡시키면서, 후결합편(18c)을 후결합구(11d)에 삽입 고정시킨다. 이렇게 하면, 제 2좌결합편(14b) 및 제 2우결합편(16b)의 외측면이 상기 제 1후면(18a)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제 2좌결합편(14b) 및 제 2우결합편(16b)의 내측면이 상기 제 2후면(18b)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상기 커버(20)는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 좌우 길이와 같은 좌우 길이와, 상기 본체(10) 좌우면(14, 16)의 상단 길이와 같은 전후 길이를 갖도록 상면(21)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21)의 좌우 양단에는 외향 절곡선(A)으로 구분되는 좌우지지면(22, 23)이 형성되는데, 이 좌우지지면(22, 23)의 종단부는 상기 저면(11)의 내부 전후 길이와 같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지지면(22, 23)의 전단은 상면(21)에서 그 좌우측으로 경사지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좌우지지면(22, 23)의 종단부 길이는 본 고안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골판지를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전후면(12, 18)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전면(12a, 12b)과 제 1후면 및 제 2후면(18a, 18b)의 이중 두께로 인하여, 골판지 두께의 2배 길이 정도로 짧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상면(21)과 좌우지지면(22, 23) 사이의 외향 절곡선(A)을 기준으로 상면(21) 중심 방향으로 3변이 절개되고 나머지 1변이 좌우지지면(22, 23)에 연장된 구조를 갖는 좌우적층결합편(21a, 21b)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커버(20)는 상면(21)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외향 절곡선(A)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외향 절곡하면, 좌우지지면(22, 23)이 상면(21)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를 유지한다. 이 때, 상기 좌우적층결합편(21a, 21b)은 상기 좌우지지면(22, 23)에 연장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향 돌출되는 형태로 변경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와 커버(20)를 각각 절곡시켜 조립하면 도 2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들을 서로 결합시키면 즉, 커버(20)의 좌우지지면(22, 23)의 외측면이 본체(10)의 좌우면(14, 16)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서로를 결합시키면 도 1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체(10)의 전면(12)의 높이가 후면(18)의 높이에 비하여 낮게 형성되고, 상면(21)의 전단부가 뒤로 후퇴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상자는 그 전면이 개봉된 형태를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를 이용하여 상품을 포장하고, 적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자에 상품을 적재 포장하기 위해서는 본체(10) 내에 상품을 넣어서 적재한 후에 커버(20)의 좌우지지면(22, 23)이 상기 본체(10)의 좌우면(14, 16)의 내측에 접하도록 조립하면 포장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그 내부에 상품이 적재된 다수의 상자를 적층할 때에는 상단에 놓이는 상자의 본체(10) 저면(11)에 형성된 좌우결합구(11a, 11b)에 하단에 놓여 있는 상자의 커버(20)에 형성된 좌우결합편(21a, 21b)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함으로써, 상하 적층되는 상자가 서로 안정적으로 적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상자에 상품을 적재하여 이동하거나 창고에 적층할 때에 상하간이 상자가 서로 안정적으로 적층되며, 상자의 전면 일부가 개봉되어 있는 상태이기 진열을 위하여 상품을 일일이 꺼내어 진열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품 관리의 효율성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그 내부에 다수의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포장 상자에 있어서,
    바닥면인 저면을 중심으로 그 상부가 개봉되고, 전면의 높이가 후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좌우측면의 상단부는 상기 전면과 후면의 높이에 맞게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 좌우면의 내측면에 그 외측면이 접촉되는 좌우측면과, 상기 좌우측면의 상단에 상기 본체의 저면에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상면으로 이루어지는 커버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가 본체에 조립된 포장 상자의 전면 상단에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면 양측단에 한 쌍의 적층결합편이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저면 양측단에 상기 적층 결합편이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좌우결합구가 형성되어, 그 상하에 적층되는 다른 본체의 저면 및 다른 커버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상면의 전후 길이는 상기 본체 저면의 전후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전면의 개방 면적을 늘림으로써 물건의 인출을 편리하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각형의 구조를 갖고, 그 4변의 각 중앙 부분에 결합을 위한 결합구가 형성되는 저면과; 상기 저면의 전단에 연장 형성되어 직각으로 내향 절곡되는 제 1전면과; 상기 제 1전면에 같은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180도 내향 절곡되는 제 2전면과; 상기 제 2전면의 중앙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저면의 전단에 형성된 결합구에 삽입 결합되는 전결합편과; 상기 전면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저면의 후단에 연장 형성되어 직각으로 내향 절곡되는 제 1후면과; 상기 제 2후면에 같은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180도 내향 절곡되는 제 2후면과; 상기 제 2후면의 중앙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저면의 후단에 형성된 결합구에 삽입 결합되는 후결합편과; 그 후단은 상기 후면의 높이와 같고, 그 전단은 상기 전면의 높이와 같도록 상기 저면의 좌우에 연장 형성되는 좌우면과; 상기 좌우면의 전후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직각으로 내향 절곡되어 상기 제 1 및 제 2전면사이와 상기 제 1 및 제 2후면사이에 각각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좌우결합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의 내부 좌우 길이와 같은 좌우 길이와, 상기 본체 좌우면의 상단 길이와 같은 전후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상면과; 상기 상면의 좌우 양단에 연장 형성되면서, 각 일단의 전후 길이는 상기 저면의 내부 전후 길이와 같게 형성되어 외향 절곡되는 좌우지지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
KR2020010004355U 2001-02-20 2001-02-20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 KR2002305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355U KR200230565Y1 (ko) 2001-02-20 2001-02-20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355U KR200230565Y1 (ko) 2001-02-20 2001-02-20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565Y1 true KR200230565Y1 (ko) 2001-07-19

Family

ID=73096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355U KR200230565Y1 (ko) 2001-02-20 2001-02-20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5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556B1 (ko) 2009-09-22 2010-02-25 박철규 골판지를 이용한 접이식 네비게이션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556B1 (ko) 2009-09-22 2010-02-25 박철규 골판지를 이용한 접이식 네비게이션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8040B2 (en) Blanks and methods for forming a shelf-ready display container
US10526107B2 (en) Blanks and methods for forming a shelf-ready display container
JP4763757B2 (ja) ディスペンディング・パッケージ
US6296178B1 (en) Container with triangular corner posts
EP2307283A1 (en) Protection arrangement
JP2013509338A (ja) ディスプレイコンテナのためのスプリットケースシステム
US5762203A (en) Container for shipping and displaying of product
JP2006021808A (ja) トレイ形包装用箱
US20040094452A1 (en) Box for shipping and displaying product
US20240017879A1 (en) Sustainable Rack and Display System
GB2117356A (en) Cartons
JP4799023B2 (ja) トレー用仕切体
US5332146A (en) Right parallelepiped package including non-linear fold line
KR200230565Y1 (ko)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
US20080000955A1 (en) Filler tray and unitary blank for assembling same
JP2008179371A (ja) 包装用箱
US20210078760A1 (en) Display ready case and blank for forming the same
JP2003341660A (ja) 単一の段ボール紙から成る陳列用開口を開き得る包装箱
JP2006168791A (ja) 包装用箱
EP0841253A2 (en) Packaging box
RU2783565C1 (ru) Восьмигранный короб для хранения продуктов и их извлечения из него (варианты)
US200900787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es integrated with product containers
JP2010100301A (ja) 多角形の包装容器
JPS5837796Y2 (ja) 連結用輸送箱
KR200322733Y1 (ko) 과일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