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855B1 - 이동식 교행 신호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교행 신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855B1
KR102181855B1 KR1020200052105A KR20200052105A KR102181855B1 KR 102181855 B1 KR102181855 B1 KR 102181855B1 KR 1020200052105 A KR1020200052105 A KR 1020200052105A KR 20200052105 A KR20200052105 A KR 20200052105A KR 102181855 B1 KR102181855 B1 KR 102181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vehicle
intersection
control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닉테크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닉테크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닉테크노스
Priority to KR1020200052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 현장에서 설치 및 철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동식 교행 신호기에 관한 것으로, 도로 공사 현장의 양쪽의 외측인 도로의 노면에 각기 설치되는 것으로, 도로의 노면에 세워져 설치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캐스터가 구비된 박스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접힘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본체의 전방으로 접혀짐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별도의 위치에 설치된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교행 제어부로부터 차량의 교행 정보 데이터를 입력받아 교행 정보 영상을 전방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본체 전방의 하나 이상의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상기 교행 제어부로 실시간으로 촬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카메라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본체를 통과하는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통과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상기 교행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2 카메라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교행 제어부에서 차량의 차단 신호 또는 차량의 통과 신호를 입력받아 도로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키는 차량 차단수단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제1,2 카메라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교행 신호기{MOVABLE SIGNAL APPARATUS FOR CROSS PASSAGE}
본 발명은 이동식 교행 신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사 현장에서 설치 및 철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동식 교행 신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행 신호기는 도로의 공사 현장에서 서로 반대 차선의 차량을 교대로 통행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종래의 교행 신호기는 두 명의 신호수가 직접 수동으로 조작하는 수동식 교행 신호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차량의 이동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는 무인형 자동식 교행 신호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먼저 종래의 자동식 교행 신호기의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793535호의 "이동식 교대통행 신호 시스템 및 방법"을 구성하는 "검지장치와 차단장치"(이하, "종래의 검지장치와 차단장치"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검지장치와 차단장치는 차로의 공사구간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차량의 유무를 감지하여 차량의 진입을 차단시키거나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검지장치는 상기 차단구획재가 설치된 도로의 외측 차로에 설치되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고정철물에 의하여 도로의 바닥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통과하는 상기 차량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센서와, 상기 검지센서에서 검지한 상기 차량의 유무를 전송하는 무선송신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검지센서는 상기 케이스를 밟게 되는 상기 차량의 무게를 감지하거나 상부로 전달되는 상기 차량을 적외선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지센서는 차량이 지나갈 때 발생하는 압력에 의하여 전자파가 유도되는 루프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검지센서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장치는 도로의 공사구간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검지장치가 검지하는 차량의 유무에 따라 각각의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진입을 차단시키거나 통과시키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차단장치는 이동수단에 의하여 이동하며 도로의 공사구간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봉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장치에서 전달되는 상기 차량의 유무에 따라 신호를 조절하는 신호장치와, 상기 신호장치가 구비되는 상기 결합봉에 결합되어 도로를 주행하는 상기 차량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표지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정보표지장치와 상기 신호장치로 상기 차량의 유무를 수신받는 수신장치와, 상기 결합봉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유무에 따라 수직으로 각도가 가변되는 차단봉을 구비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검지장치와 차단장치는 서로 분리되어 각각 설치해야 함으로써 공사 현장에서 설치 및 철거시 설치 및 철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고, 검지장치와 차단장치가 분리됨에 따라 제조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검지장치와 차단장치는 검지장치를 차로의 바닥에 박아 설치해야 함으로써 차로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검지장치와 차단장치는 차단장치를 구성하는 차단봉와 신호장치 및 정보표시장치가 본체의 상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부피가 큼에 따라, 차량의 운반시 적재함을 가진 카코 트럭이 필수적으로 필요함에 따라 운반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793535호 "이동식 교대통행 신호 시스템 및 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차량 차단수단을 하나의 본체에 구비함으로써 공사 현장에서 설치 및 철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고, 제조 비용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교행 신호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사 현상의 양측의 도로의 노면에 세워놓는 과정만을 통해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교행 신호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시 부피를 최소로 줄여 차량의 통한 운반비용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교행 신호기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행 신호기는 도로 공사 현장의 양쪽의 외측인 도로의 노면에 각기 설치되는 것으로, 도로의 노면에 세워져 설치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캐스터가 구비된 박스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접힘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본체의 전방으로 접혀짐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별도의 위치에 설치된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교행 제어부로부터 차량의 교행 정보 데이터를 입력받아 교행 정보 영상을 전방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본체 전방의 하나 이상의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상기 교행 제어부로 실시간으로 촬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카메라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본체를 통과하는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통과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상기 교행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2 카메라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교행 제어부에서 차량의 차단 신호 또는 차량의 통과 신호를 입력받아 도로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키는 차량 차단수단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제1,2 카메라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행 신호기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하단이 상기 접힘 연결수단과 연결되는 접힘봉과, 상기 접힘봉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교행 제어부로부터 차량의 교행 정보 데이터를 무선으로 입력받아 교행 정보 영상을 전방으로 출력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행 신호기의 상기 접힘 연결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면에 고정 구비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전방에 힌지부로 연결되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접혀짐이 가능하고 상면에는 상기 접힘봉의 하단이 연결 고정되는 철판인 회전 접힘판과, 상기 수평판의 후방에 구비되어 회전 접힘판의 후방을 수평판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자력으로 부착시키는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차량 차단수단을 하나의 본체에 구비하여 공사 현장에서 설치 및 철거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도로 공사 전과 공사 후에 차량의 전면 통제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감지수단과 차단수단을 하나의 본체에 구비함으로 교행 신호 차단기의 제조비용을 최소로 줄여 가격 경쟁력을 가지는 이동식 교행 신호 차단기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사 현상의 양측의 도로의 노면에 세워놓는 과정만을 통해 교행 신호기를 설치함으로써 도로의 노면에 손상시키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이동식 교행 신호 차단기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반시 부피를 최소로 줄여 차량의 통한 운반시 SUV차량이 자가용의 트렁크에 적재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운반 비용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이동식 교행 신호 차단기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행 신호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행 신호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행 신호기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행 신호기의 접힘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행 신호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행 신호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행 신호기를 나타낸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행 신호기의 접힘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교행 신호기(이하, "교행 신호기(1)"라 한다.)는 도로 공사 현장의 양쪽의 외측인 도로의 노면에 하나 씩 두 개가 각기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2), 디스플레이부(4), 접힘 연결수단(3), 제1 카메라부(5), 제2 카메라부(6), 차량 차단수단(7), 온/오프 스위치(8)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는 도로 공사 현장의 외측인 도로의 노면에 세워져 설치되고 하부에는 끌거나 밀고 다닐 수 있도록 다수의 캐스터(C)가 구비되는 것으로,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박스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는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
도록 전후 두께가 얇고 양측 폭이 넓은 박스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양 측판 하부의 전,후방에는 본체(2)를 도로의 노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각각이 하부의 다리 접힘수단(22)을 통해 수직으로 세워져 접혀지거나 본체(2)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펼쳐져 각각의 외측 단부가 노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접힘 다리(2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다리 접힘수단(22)은 다리를 용이하게 접고 펼칠 수 있도록, 다리(21)의 하부와 측판을 연결하는 힌지축(221)과, 상기 힌지축(221)이 관통 조립되는 측판의 외측 하부에 형성되는 관통홀(222)과, 상기 다리(21)의 내측에 형성되어 다리(21)가 본체(2)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222)과 일치되는 탭홀(223)과, 상기 다리(21)가 본체(2)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탭홀(223)에 체결 관통되어 나사축의 끝단부가 상기 관통홀(222)에 삽입되고 다리(21)가 수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는 나사축의 끝단부가 상기 관통홀(222)에서 이탈되게 구비되는 나비볼트(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의 상부에 후술할 접힘 연결수단(3)으로 연결되어 본체(2)의 전방으로 접혀짐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별도의 위치에 설치된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교행 제어부로부터 차량의 교행 정보 데이터를 입력받아 교행 정보 영상을 전방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는 부피와 무게를 최소로 줄이면서 교행 정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접힘 연결수단(3)과 연결되는 접힘봉(41)과, 상기 접힘봉(41)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교행 제어부로부터 차량의 교행 정보 데이터를 무선으로 입력받아 교행 정보 영상을 전방으로 출력하는 모니터(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의 상부에는 본체(2)의 전방에 차량의 운전자에게 통행 신호를 전달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8)와 연결되어 상기 교행 제어부에서 차량의 차단 신호 또는 차량의 통과 신호를 입력받아 적색, 황색 및 녹색 중에서 선택되는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광을 발광시키는 발광 신호등(4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힘 연결수단(3)은 디스플레이부(4)를 간단히 접고 펼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의 상면에 고정 구비되는 수평판(31)과, 상기 수평판(31)의 전방에 힌지부(32)로 연결되고 힌지부(3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상기 본체(2)의 전방으로 접혀짐이 가능하고 상면에는 상기 접힘봉(41)의 하단이 연결 고정되는 철판인 회전 접힘판(33)과, 상기 수평판(31)의 후방에 구비되어 회전 접힘판(33)의 후방을 수평판(31)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자력으로 부착시키는 자석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카메라부(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의 타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4)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본체(2) 전방의 하나 이상의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상기 교행 제어부로 실시간으로 촬영 데이터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제1 카메라부(5)는 본체(2)의 전방을 보다 멀리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모니터(42)의 타측에 상부로 돌출되게 수직으로 세워지게 고정 구비된 수직봉(51)과, 상기 수직봉(51)의 상부에 구비되어 본체(2)의 전방의 본체(2) 전방의 하나 이상의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상기 교행 제어부로 실시간으로 촬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방 촬영 카메라(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카메라부(6)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본체(2)를 통과하는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통과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상기 교행 제어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제1 카메라부(5)는 본체(2)의 측부를 통과하는 차량을 보다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모니터(42)의 상부 일측에 일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브래킷(61)과, 상기 브래킷(61)의 상부에 본체(2)의 일측을 촬영하게 고정 구비되어 본체(2)를 통과하는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통과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상기 교행 제어부로 출력하는 측부 촬영 카메라(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부 촬영 카메라(62) 대신에 본체(2)를 통과하는 차량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기 위한 수단으로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센서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여 공지된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차단수단(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의 일측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교행 제어부에서 차량의 차단 신호 또는 차량의 통과 신호를 입력받아 도로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차량 차단수단(7)은 교량 신호기를 사용한 후 접었을 때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본체(2)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종방향 회전축(711)을 포함하는 모터(71)와, 상기 회전축(711)에 내측 단부가 연결되어 회전축(711)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눕혀지거나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고 내측의 제1 봉(721)과 외측의 제2 봉(722)을 포함하고 제2 봉(722)이 접힘이 가능하게 제1,2 봉이 봉 접힘수단(723)으로 연결되는 차단봉(72)과, 상기 본체(2)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71), 온/오프 스위치(8)와 연결되며 상기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교행 제어부에서 차량의 차단 신호 또는 차량의 통과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터(71)를 제어하여 상기 차단봉(72)을 수평 방향으로 눕혀지거나 수직방향으로 세우는 모터 컨트롤러(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봉 접힘수단(723)은 펼친 상태에서 접혀지지 않도록, 상기 제1 봉(721)의 외측 끝단의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외측과 내측에는 힌지홀(H)과 탭홀이 형성된 하부 돌출부(723a)와, 상기 제2 봉(722)의 내측 끝단의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돌출부(723a)에 포개지게 구비되고 상기 힌지홀(H)과 상응되는 위치에 힌지홀(H)이 형성되고 상기 탭홀에 상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 돌출부(723b)와, 서로 일치하는 두 개의 힌지홀(H)에 삽입 설치되는 힌지축(724)과, 상기 제1,2 봉이 펼쳐진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는 상기 관통홀과 탭홀에 관통 체결되고 상기 제2 봉(722)이 접혀진 상태에서 이탈되는 체결볼트(7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오프 스위치(8)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 발광 신호등(43), 제1,2 카메라부(5, 6)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4), 발광 신호등(43), 제1,2 카메라부(5, 6)에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역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누름을 통해 조작된다.
그리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8)에는 충전기(미도시)나 발전기(미도시)가 연결됨으로써, 전기가 공급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교행 신호기(1)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행 신호기(1)를 사용하여 도로의 공사 현장에서 차량을 교대로 통행시킬 경우에는, 먼저 두 개의 교행 신호기(1)를 도로 공사 현장의 양쪽의 외측인 도로의 노면에 하나 씩 각기 설치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로 공사현장의 양쪽 외측의 두 개의 반대 차선에 두 개의 교행 신호기(1)를 하나 씩 대칭되게 설치한다. 즉 각각의 교행 신호기(1)를 도로 노면에 세워 설치함에 있어서 차량의 진입하는 방향과 마주보는 교행 신호기(1)의 전방을 위치되게 하여 각각의 교행 신호기(1)를 설치한다.
그리고 두 개의 교행 신호기(1)를 제어하는 교행 제어부를 제어자가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다음, 두 개의 교행 신호기(1)를 온시키고 상기 교행 제어부를 온시키면, 두 개의 각 교행 신호기(1)의 전방 촬영 카메라(52)에서 촬영된 전방 촬영 데이터가 상기 교행 제어부로 입력되고, 두 개의 각 교행 신호기(1)의 측부 촬영 카메라(62)에서 촬영된 측부 촬영 데이터가 제어부에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각 교행 신호기(1)의 전방 촬영 카메라(52)에서 촬영된 전방 촬영 데이터가 상기 교행 제어부로 입력되고, 두 개의 각 교행 신호기(1)의 측부 촬영 카메라(62)에서 촬영된 측부 촬영 데이터가 제어부에 입력되면, 교행 제어부에서는 각 교행 신호기(1)에서 입력된 전방 촬영 데이터와 측부 촬영 데이터가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출력되는 영상을 보면서 제어자가 도로 공사 현장의 양쪽의 외측에 설치된 두 개의 각 교행 신호기(1)의 전방에 차량의 개수와 각 교행 신호기(1)를 통과하는 차량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두 개의 각 교행 신호기(1)에 차단신호를 통과신호를 번갈아 보내 차량을 원활하게 소통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두 개의 각 교행 신호기(1)의 전방 촬영 카메라(52)에서 촬영된 전방 촬영 데이터가 상기 교행 제어부로 입력되고, 두 개의 각 교행 신호기(1)의 측부 촬영 카메라(62)에서 촬영된 측부 촬영 데이터가 제어부에 입력되면, 교행 제어부의 메인 컴퓨터가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도로 공사 현장의 양쪽의 외측에 설치된 두 개의 각 교행 신호기(1)의 전방에 차량의 개수와 각 교행 신호기(1)를 통과하는 차량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두 개의 각 교행 신호기(1)에 최적화된 차단신호와 통과신호를 번갈아 보내 차량을 원활하게 소통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을 촬영하는 제1,2 카메라부(5, 6)와 차량 차단수단(7)을 하나의 본체(2)에 구비하여 교행 신호기(1)를 제조함에 따라, 교행 신호기(1)를 공사 현장의 양쪽 외측에 각기 설치함에 있어서 설치 및 철거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도로 공사전과 공사 후에 차량의 전면 통제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을 촬영하는 제1,2 카메라부(5, 6)와 차량 차단수단(7)을 하나의 본체(2)에 구비함으로써, 교행 신호 차단기의 제조비용을 최소로 줄여 가격 경쟁력을 가지는 이동식 교행 신호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사 현상의 양측의 도로의 노면에 세워놓는 과정만을 통해 교행 신호기(1)를 설치함으로써 도로의 노면에 손상시키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본 발명은 교행 신호기(1)를 다 사용한 후 운반시, 디스플레이부(4)를 본체(2)의 전방에 접고, 차단봉(72)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제2 봉(722)을 접고, 본체(2) 하부의 다수의 접힘 다리(21)를 수직으로 접어 부피를 최소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운반시 부피를 최소로 줄여 차량의 통한 운반시 트렁크에 적재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운반 비용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이동식 교행 신호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교행 신호기
2 : 본체
21 : 접힘 다리
22 : 다리 접힘수단
3 : 접힘 연결수단
31 : 수평판
32 : 힌지부
33 : 회전 접힘판
34 : 자석부
4 : 디스플레이부
41 : 접힘봉
42 : 모니터
43 : 발광 신호등
5 : 제1 카메라부
51 : 수직봉
52 : 전방 촬영 카메라
6 : 제2 카메라부
61 : 브래킷
62 : 측부 촬영 카메라
7 : 차량 차단수단
71 : 모터
711 : 회전축
72 : 차단봉
73 : 모터 컨트롤러
8 : 온/오프 스위치

Claims (10)

  1. 도로 공사 현장의 양쪽의 외측인 도로의 노면에 각기 설치되는 것으로, 도로의 노면에 세워져 설치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캐스터가 구비된 박스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접힘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본체의 전방으로 접혀짐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별도의 위치에 설치된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교행 제어부로부터 차량의 교행 정보 데이터를 입력받아 교행 정보 영상을 전방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본체 전방의 하나 이상의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상기 교행 제어부로 실시간으로 촬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카메라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본체를 통과하는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통과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상기 교행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2 카메라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교행 제어부에서 차량의 차단 신호 또는 차량의 통과 신호를 입력받아 도로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키는 차량 차단수단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제1,2 카메라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양 측판 하부의 전,후방에는 각각이 하부의 다리 접힘수단을 통해 수직으로 세워져 접혀지거나 본체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펼쳐져 각각의 외측 단부가 노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접힘 다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다리 접힘수단은 다리의 하부와 측판을 연결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이 관통 조립되는 측판의 힌지 조립홀의 외측 하부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다리의 내측에 형성되어 다리가 본체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과 일치되는 탭홀과, 상기 다리가 본체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탭홀에 체결 관통되어 나사축의 끝단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다리가 수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는 나사축의 끝단부가 상기 관통홀에서 이탈되게 구비되는 나비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차단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종방향 회전축을 포함하는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내측 단부가 연결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눕혀지거나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고 내측의 제1 봉과 외측의 제2 봉을 포함하고 제2 봉이 접힘이 가능하게 제1,2 봉이 봉 접힘수단으로 연결되는 차단봉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 온/오프 스위치와 연결되며 상기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교행 제어부에서 차량의 차단 신호 또는 차량의 통과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차단봉을 수평 방향으로 눕혀지거나 수직방향으로 세우는 모터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봉 접힘수단은 상기 제1 봉의 외측 끝단의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외측과 내측에는 힌지홀과 탭홀이 형성된 하부 돌출부와, 상기 제2 봉의 내측 끝단의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돌출부에 포개지게 구비되고 상기 힌지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힌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탭홀에 상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 돌출부와, 서로 일치하는 두 개의 힌지홀에 삽입 설치되는 힌지축과, 상기 제1,2 봉이 펼쳐진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는 상기 관통홀과 탭홀에 관통 체결되고 상기 제2 봉이 접혀진 상태에서 이탈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행 신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하단이 상기 접힘 연결수단과 연결되는 접힘봉과,
    상기 접힘봉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교행 제어부로부터 차량의 교행 정보 데이터를 무선으로 입력받아 교행 정보 영상을 전방으로 출력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행 신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는
    상기 교행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교행 제어부에서 차량의 차단 신호 또는 차량의 통과 신호를 입력받아 적색, 황색 및 녹색 중에서 선택되는 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광을 발광시키는 발광 신호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행 신호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연결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면에 고정 구비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전방에 힌지부로 연결되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접혀짐이 가능하고 상면에는 상기 접힘봉의 하단이 연결 고정되는 철판인 회전 접힘판과,
    상기 수평판의 후방에 구비되어 회전 접힘판의 후방을 수평판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자력으로 부착시키는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행 신호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부는
    상기 모니터의 타측에 상부로 돌출되게 수직으로 세워지게 고정 구비된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상부에 구비되어 본체 전방의 하나 이상의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상기 교행 제어부로 실시간으로 촬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방 촬영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행 신호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부는
    상기 모니터의 상부 일측에 일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상부에 본체의 일측을 촬영하게 고정 구비되어 본체를 통과하는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통과 차량의 촬영 데이터를 상기 교행 제어부로 출력하는 측부 촬영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교행 신호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52105A 2020-04-29 2020-04-29 이동식 교행 신호기 KR102181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105A KR102181855B1 (ko) 2020-04-29 2020-04-29 이동식 교행 신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105A KR102181855B1 (ko) 2020-04-29 2020-04-29 이동식 교행 신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855B1 true KR102181855B1 (ko) 2020-11-23

Family

ID=73680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105A KR102181855B1 (ko) 2020-04-29 2020-04-29 이동식 교행 신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8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039A1 (ko) * 2021-04-30 2022-11-03 원광전력주식회사 이동식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2793A (ja) * 2000-02-10 2001-08-17 Kanto Regional Development Bureau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 Transport 交通信号機
KR20140129757A (ko) * 2013-04-30 2014-11-07 주식회사 한진이엔씨 신호등을 무선 제어하는 이동식 신호등 장치
KR20170084464A (ko) * 2016-01-12 2017-07-20 주식회사 래도 이동식 교대통행 신호 장치 및 방법
KR101793535B1 (ko) 2016-12-08 2017-11-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식 교대통행 신호 시스템 및 방법
KR102082944B1 (ko) * 2019-09-02 2020-02-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무선통신-기반 이동식 단일통행차선 교통신호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2793A (ja) * 2000-02-10 2001-08-17 Kanto Regional Development Bureau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 Transport 交通信号機
KR20140129757A (ko) * 2013-04-30 2014-11-07 주식회사 한진이엔씨 신호등을 무선 제어하는 이동식 신호등 장치
KR20170084464A (ko) * 2016-01-12 2017-07-20 주식회사 래도 이동식 교대통행 신호 장치 및 방법
KR101793535B1 (ko) 2016-12-08 2017-11-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식 교대통행 신호 시스템 및 방법
KR102082944B1 (ko) * 2019-09-02 2020-02-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무선통신-기반 이동식 단일통행차선 교통신호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039A1 (ko) * 2021-04-30 2022-11-03 원광전력주식회사 이동식 스마트 신호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217737A1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cctv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KR101884324B1 (ko) 횡단보도 음성안내 보조장치
KR102181855B1 (ko) 이동식 교행 신호기
KR101857421B1 (ko)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JP5839039B2 (ja) 移動車両給電システム
JP2014507040A (ja) 交通制御方法と交通制御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
KR101219094B1 (ko) 좌회전 감지 신호등의 제어방법
KR20120078765A (ko) 영상감지카메라를 이용한 교차로의 신호등 시스템
KR101724865B1 (ko) 차량 진출입 통제시스템
JP2022165563A (ja) 自律走行型巡視ロボット
KR102297966B1 (ko) Cctv 및 iot센서 기반의 횡단보도 보행안전 및 지능형 스마트 안전 시스템
KR102181851B1 (ko) 지능형 차량교행신호 제어 시스템
KR100962357B1 (ko) 전용차로 단속시스템
EP3893525B1 (en) Interactive system for a track for human-driven vehicles and method for data transfer in an interactive system
KR102520997B1 (ko) 차량 출입 통제장치
KR102448697B1 (ko) 우회전 차량에 의한 횡단보도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2537705B1 (ko) 차량 진입 제한 시스템
JP2004348469A (ja) 信号無視検知システム
JPH04122711U (ja) アスフアルトフイニツシヤにおけるダンプカーの誘導装置
KR100999416B1 (ko) 씨씨티비의 촬영 정보를 통한 시뮬레이션 방식의 주행정보 제공시스템
JP2007316922A (ja) 自律移動装置
KR20230027678A (ko) 안전주차를 위한 차량 유도관제 시스템
KR19990026306A (ko) 시시티브이에 의한 교통제어 영상검지 시스템
JPH022493A (ja) 違法駐車監視システム
KR101687745B1 (ko) 양방향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교통신호 기반의 광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