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718B1 -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 - Google Patents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718B1
KR102181718B1 KR1020180163046A KR20180163046A KR102181718B1 KR 102181718 B1 KR102181718 B1 KR 102181718B1 KR 1020180163046 A KR1020180163046 A KR 1020180163046A KR 20180163046 A KR20180163046 A KR 20180163046A KR 102181718 B1 KR102181718 B1 KR 102181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brasive
xylitol
contain
deodo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4536A (ko
Inventor
진태원
Original Assignee
진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태원 filed Critical 진태원
Priority to KR1020180163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71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성 고체 구강청결제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산화규소와 같은 연마제를 함유하지 않고 자일리톨을 기재로 하는 세정기능, 탈취기능, 치아와 잇몸 건강기능을 지닌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에 관한 것으로 충치를 예방하는 그리고 탈취력을 지닌 자일리톨을 기재로 하고 탈취 증강제인 자일리톨 아연 착체, 이산화탄소 발포제, 이산화탄소 발포촉진제, 결합제와 세정제를 기본 성분으로 하고, 치아와 잇몸 건강과 미백에 도움을 주는 성분들이 추가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구취제거 및 치아건강 기능성을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한 발포력으로 구강 세정력이 우수하여 칫솔질이 필요없고, 치약과 달리 이산화규소나 제올라이트와 같은 연마제가 함유되지 않아 무해한 그리고 휴대가 간편한 분말형 또는 정제형의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 {Abrasive-free foamable solid mouthwash}
본 발명은 다기능성 고체 구강청결제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산화규소와 같은 연마제를 함유하지 않고 자일리톨을 기재로 하는 세정기능, 탈취기능, 치아와 잇몸 건강기능을 지닌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에 관한 것이다.
생화학적으로 구강 내에서의 나는 냄새의 원인은 황 화합물과 질소 화합물의 생성에서 기인됩니다. 입안의 많은 황 화합물과 질소 화합물은 단순히 마늘, 양파 그리고 고 단백질 음식의 호흡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맛과 영양을 위해 사용되는 조미료는 황 화합물과 질소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마늘, 파, 양파, 해조, 생선과 고기류를 포함하고 있어 식사 후에 구취의 원인이 됩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입안에 사는 구강 생물체인 박테리아가 음식물을 분해하여 황 화합물과 질소 화합물을 많이 생성하여 입안 냄새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잇몸을 자극하고 박테리아를 번식시켜 잇몸과 치아의 건강을 해치는 원인이 됩니다.
호흡을 개선하고 치아와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치아를 자주 닦고 치실을 하여야한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액체 구강 청정제는 입안을 헹궈서 치아보호와 구취 제거효과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구취와 관련하여서는 입안을 헹궈거나 향으로 마스킹 하는것은 구취 예방에 도움은 되지만, 근본적으로 냄새를 제거하지는 못한다.
구취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천연오일, 흡착제, 키토산, 식물 조성물, 효소, pH 조절제가 함유된 휴대가 용이한 알약 형태의 고체 치약이 개발된 바 있지만, 효과면에서 한계가 있고 칫솔을 소지해야 함으로 편의성면에서 불편한 점이 있다. 그러므로, 즉각적이고 강한 탈취력과 발포력으로 구강 세정력이 우수하고 휴대가 간편한 구강청결제가 요구된다. 구강내에서 액상으로 용해되어 칫솔질이 필요없는 휴대가 간편한 분말 또는 정제형(tablet) 고체 구강청결제는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1. 특허등록번호 10-0347342 2. 특허등록번호 10-0769573 3. 특허등록번호 10-0759518 4. 특허등록번호 10-1272226 5. 특허등록번호 10-1056573
본 발명의 구강내에서 액상으로 용해되어 칫솔질 없이 강한 탈취력과 발포력으로 구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고, 이산화규소 연마제가 함유되지 않아 무해하고, 자일리톨을 기재(주성분이 되는 기본재료) 및 탈취제로 하는 연마제 무함유 발포성 고체 정제형 구강 청결 및 탈취기능을 갖는 연마제기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자일리톨 15~85 중량%, 이산화탄소 발포제인 탄산수소나트륨 5~40 중량%, 이산화탄소 발포촉진제인 시트릭산, 사과산, 주석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5~40 중량%를 혼합한 후 증류수 15~35 중량%에 산화아연 25~35 중량%와 시트릭산 40~50 중량%를 혼입하고 50~80℃에서 1~3시간 교반 후에 서서히 10℃까지 냉각하여 생성된 결정체를 여과하고 물과 에탄올로 세척하고 이를 건조하여 얻은 탈취증강제인 시트릭산 아연착체를 추가 포함하고,
세정제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1~5 중량%를 혼합하거나 타정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와,
삭제
삭제
삭제
소르비톨 또는 만니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결합제 1~45 중량%와,
멘톨, 바나나, 망고, 메론, 딸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착향제 0.1~5 중량%와,
수크랄로스, 에리스리톨, 아스파탐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감미제 0.01~0.5 중량%와,
충치 예방제인 불화나트륨 0.01~0.3 중량%와,
치석침착 억제제인 인산수소칼슘 0.01~0.5 중량%와,
치주질환 예방제인 알란토인 또는 아미노카프론산 0.01~0.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고성능 탈취성능을 지닌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를 제조할 수 있다. 충치를 예방하고 구취 제거력를 지닌 자일리톨을 기재로 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고, 치아와 잇몸 건강과 미백에 도움을 주는 성분들이 함유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성을 갖추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한 발포력으로 구강 세정력이 우수하여 칫솔질이 필요 없으며, 치약과 달리 이산화규소나 제올라이트와 같은 연마제가 함유되지 않아 삼켜도 무해한 그리고 휴대가 간편한 분말형 또는 정제형의 새로운 고체 구강청결제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인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의 구성 성분과 제조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인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구성 성분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재(주성분이 되는 기본재료)및 탈취제 역할을 하는 자일리톨은 자일로스를 가공하여 만든, 알코올계의 당으로 설탕 대용품이나 치아 관리용품에 이용되는 물질이다. 같은 질량의 자당과 같은 정도의 단맛이 나지만 칼로리는 자당의 60% 정도이다. 자당, 포도당, 과당 등의 육탄당과는 달리 자일리톨은 오탄당으로 뮤탄스균이 당을 발효시키지 못해 산의 생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치아를 보호하거나 손상된 치아 표면을 복원하는데 도움을 준다. 자일리톨을 기재로 사용하면 충치예방, 치아보호, 손상된 치아복원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실험을 통해 검토한 결과, 탈취성능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일리톨과 자이리톨 아연착체를 병행하여 사용하면 탈취력을 더욱 증가시켜 구취제거효과를 높일수 있다. 상기의 자일리톨 아연착체의 제조법은,
증류수 50~60 중량%와 에탄올 10~20 중량%의 혼합액에 자일리톨 25~15 중량%와 산화아연 15~5 중량%를 혼입하고 65~85℃에서 교반한다. 6시간 교반 후에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에탄올로 세척하고 이를 건조하면, 본 발명에 필요한 상기의 자일리톨 아연착체를 얻을 수 있다. 충분한 반응을 위해서 교반 시간과 온도는 진행상태에 따라서 조절이 가능하다.
탄산수소나트륨은 구강내의 타액에 의해 용해되면서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고, 첨가된 세정제를 거품형태로 만들어 구강을 골고루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해준다.
소르비톨이나 만니톨은 결합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수크랄로스, 아스파탐, 에리스리톨은 감미제로, 멘톨, 바나나, 망고, 메론, 딸기는 착향제로, 불화나트륨은 치아 건강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충치 예방제로, 인산수소칼슘은 미백 효과를 지닌 치석침착 억제제로, 아미노카프론산은 치주질환제로,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는 활택제로서의 기능을 하며 이것들을 적절하게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기재 및 탈취제인 자일리톨과, 이산화탄소 발포제인 탄산수소나트륨과, 이산화탄소 발포촉진제인 시트릭산, 사과산, 주석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거나 타정하여 제조 및 구성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증류수 15~35 중량%에 산화아연 25~35 중량%와 시트릭산 40~50 중량%를 혼입하고 50~80℃에서 1~3시간 교반 후에 서서히 10℃까지 냉각하여 생성된 결정체를 여과하고 물과 에탄올로 세척하고 이를 건조하여 얻은 탈취증강제인 시트릭산 아연착체를 추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재 및 탈취제인 자일리톨 15~85 중량%, 이산화탄소 발포제인 탄산수소나트륨 5~40 중량%, 이산화탄소 발포촉진제인 시트릭산, 사과산, 주석상중에서 선택된 1종이상 5~40 중량%, 세정제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1~5 중량%를 혼합하거나 타정하면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인 본 발명이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탈취증강제인 시트릭산 아연착제 1~5중량%을 포함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구강청결제들에 있어서, 전체조성에 대하여 소르비톨 또는 만니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결합제 1~45 중량%와, 멘톨, 바나나, 망고, 메론, 딸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착향제 0.1~5 중량%와, 수크랄로스, 에리스리톨, 아스파탐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감미제 0.01~0.5 중량%와, 충치예방제인 불화나트륨 0.01~0.3 중량%와, 치석 침착 억제제인 인산수소칼슘 0.01~0.5 중량%와, 치주질환 예방제인 알란토인 또는 아미노카프론산 0.01~0.5 중량%를 추가하여 치아 건강기능과 맛과 향을 지닌 본 발명을 이룬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탈취 성능검사와 용해시간 및 발포력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탈취 성능검사]
냄새의 주요 원인 물질인 아민 화합물, 황 화합물, 알데히드 화합물들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구취제거 성능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실시예 1과 2의 두가지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를 제조한 후,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에 대해 탈취시험을 각각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으로는 500mL 용기에 각각 실시예 1과 2의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 시편 1.0g을 넣고 각각의 냄새시료 가스를 개별 주입한 후, 시험 측정시간을 1분, 3분, 5분으로 하여 시편이 들어 있는 용기 내의 잔여가스 농도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제조사: 미국 Agilent) 분석장치로 측정함으로써 각각의 가스에 대한 탈취성능을 측정하였다. 아래의 [표 2], [표 3], [표 4]은 암모니아, 트리에칠아민, 황화수소의 탈취시험에 대한 실시예 1의 시험결과이며, [표 5], [표 6], [표 7]은 암모니아, 트리에칠아민, 황화수소의 탈취시험에 대한 실시예 2의 시험결과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원료명 중량% 원료명 중량%
자일리톨 65.0 자일리톨 62.0
탄산수소나트륨 18.5 자일리톨 아연착체 3.0
시트릭산 15.0 탄산수소나트륨 15.5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1.5 시트릭산 15.0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1.5
실시예 1의 탈취시험
시험항목 측정시간(분) 냄새시료의 농도(ppm) 탈취율(%)

암모니아
0.0 100 0
1.0 20 80
3.0 14 86
5.0 9 91
실시예 1의 탈취시험
시험항목 측정시간(분) 냄새시료의 농도(ppm) 탈취율(%)

트리에칠아민
0.0 100 0
1.0 19 81
3.0 13 87
5.0 10 90
실시예 1의 탈취시험
시험항목 측정시간(분) 냄새시료의 농도(ppm) 탈취율(%)

황화수소
0.0 50 0
1.0 13 74
3.0 11 78
5.0 9 82
실시예 2의 탈취시험
시험항목 측정시간(분) 냄새시료의 농도(ppm) 탈취율(%)

암모니아
0.0 100 0
1.0 12 88
3.0 8 92
5.0 2 98
실시예 2의 탈취시험
시험항목 측정시간(분) 냄새시료의 농도(ppm) 탈취율(%)

트리에칠아민
0.0 100 0
1.0 14 86
3.0 7 93
5.0 3 97
실시예 2의 탈취시험
시험항목 측정시간(분) 냄새시료의 농도(ppm) 탈취율(%)

황화수소
0.0 50 0
1.0 9 82
3.0 5 90
5.0 3 94
상기 실시예 1과 2의 탈취실험 결과인 표 2~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시간경과에 따른 시료 농도가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2는 짧은 시간내 우수한 탈취성능을 지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용해시간 및 발포력 검사]
직경이 3cm, 높이가 10cm인 원통용기에 물을 높이 3cm 까지 채우고 자석교반기로 100rpm으로 교반되는 상태에서, 상기 실시예 1과 2로 조제된 발포성 고체청결제 0.5g을 각각의 용기에 한번에 넣어서 95% 이상이 용해될 때까지의 용해시간과 발포로 인한 거품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표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2 모두 10초안에 95% 이상 용해되고 용액 대비 거품의 높이가 2배 이상이 되는 빠른 용해도와 우수한 거품 발포력이 확인되었다.
용해시간 (초) 거품높이/용액높이
실시예 1 8 2.2
실시예 2 10 2.0

Claims (5)

  1. 자일리톨 15~85 중량%, 이산화탄소 발포제인 탄산수소나트륨 5~40 중량%, 이산화탄소 발포촉진제인 시트릭산, 사과산, 주석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5~40 중량%를 혼합한 후 증류수 15~35 중량%에 산화아연 25~35 중량%와 시트릭산 40~50 중량%를 혼입하고 50~80℃에서 1~3시간 교반 후에 서서히 10℃까지 냉각하여 생성된 결정체를 여과하고 물과 에탄올로 세척하고 이를 건조하여 얻은 탈취증강제인 시트릭산 아연착체를 추가 포함하고,
    세정제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1~5 중량%를 혼합하거나 타정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소르비톨 또는 만니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결합제 1~45 중량%와,
    멘톨, 바나나, 망고, 메론, 딸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착향제 0.1~5 중량%와,
    수크랄로스, 에리스리톨, 아스파탐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감미제 0.01~0.5 중량%와,
    충치 예방제인 불화나트륨 0.01~0.3 중량%와,
    치석침착 억제제인 인산수소칼슘 0.01~0.5 중량%와,
    치주질환 예방제인 알란토인 또는 아미노카프론산 0.01~0.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
KR1020180163046A 2018-12-17 2018-12-17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 KR102181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046A KR102181718B1 (ko) 2018-12-17 2018-12-17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046A KR102181718B1 (ko) 2018-12-17 2018-12-17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536A KR20200074536A (ko) 2020-06-25
KR102181718B1 true KR102181718B1 (ko) 2020-11-23

Family

ID=7140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046A KR102181718B1 (ko) 2018-12-17 2018-12-17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862B1 (ko) * 2021-03-18 2022-01-03 김현진 팝핑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 구강청결용 조성물
KR102585458B1 (ko) * 2021-04-19 2023-10-05 정유택 타블렛 제형의 구강청결제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98839A (zh) * 2005-06-22 2005-11-23 徐永福 一种清洁口腔异味预防龋齿的木糖醇绿茶制剂及其制备方法
US20170354578A1 (en) * 2014-10-24 2017-12-14 Colgate-Palmolive Company Preparation of Zinc Citrate and of Zinc Citrate-Containing Oral Care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342B1 (ko) 1999-09-10 2002-08-07 주식회사 자광 수용성 키토산을 함유한 구강 청정제
KR100769573B1 (ko) 2001-07-02 2007-10-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효소를 포함하는 정제형 구강세정제 조성물
KR101056573B1 (ko) 2003-12-24 2011-08-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비수 발포성 치약 조성물
KR100759518B1 (ko) 2004-09-15 2007-09-18 정충현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KR101250073B1 (ko) * 2010-12-15 2013-04-02 곽성철 분말치약 제조방법
KR101272226B1 (ko) 2011-08-22 2013-06-11 이선정 정제형 치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98839A (zh) * 2005-06-22 2005-11-23 徐永福 一种清洁口腔异味预防龋齿的木糖醇绿茶制剂及其制备方法
US20170354578A1 (en) * 2014-10-24 2017-12-14 Colgate-Palmolive Company Preparation of Zinc Citrate and of Zinc Citrate-Containing Oral Care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536A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1659C (en) Antiplaque oral composition
RU2441641C1 (ru)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очистки
JP2008303188A (ja) カンジダバイオフィルム除去剤
AU585359B2 (en) A solid oral anticariogenic composition
KR102181718B1 (ko)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
KR101506382B1 (ko) 구강세척용 발포 조성물
JP2007528906A (ja) 知覚シグナルを含む洗浄剤組成物
JP2548265B2 (ja) 口腔衛生用医薬
JP3599078B2 (ja) 舌苔除去用液状又はペースト状口腔用組成物及び舌苔を除去するために使用する方法
JPH09511912A (ja) 歯のプラク中和作用を有するあめ玉
EP3383351B1 (en) Dental product
KR102642592B1 (ko) 구강용 조성물
JP3351035B2 (ja) 義歯洗浄剤
US6063364A (en) Tooth paste with included apple cider vinegar for dazzling teeth
CN113288833B (zh) 一种缓解敏感的含有欧夏至草提取物的牙膏
JP2020183367A (ja) 新規口腔ケア剤
WO2001074324A1 (en) New formulations for the removal of dental plaque, tartar and dental stains
KR20130119797A (ko) 충치예방 및 구강청정용 음이온 타정 제 조성물
CA3131938A1 (en) Oral care composition
EP3576712A1 (en) Powder oral hygien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JP2004269437A (ja) 歯磨き剤
JP2006016354A (ja) オーラルケア製品
JPH07267837A (ja) 歯磨組成物
EP2407146A1 (en) Use of acesulfame K as a flavour modulator
CN101606891A (zh) 一种无糖型维生素c氯化钠口腔清洁喷雾剂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