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434B1 - 레이저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434B1
KR102181434B1 KR1020167000913A KR20167000913A KR102181434B1 KR 102181434 B1 KR102181434 B1 KR 102181434B1 KR 1020167000913 A KR1020167000913 A KR 1020167000913A KR 20167000913 A KR20167000913 A KR 20167000913A KR 102181434 B1 KR102181434 B1 KR 102181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ser
semiconductor laser
prism
optica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6988A (ko
Inventor
다카시 세키네
도시유키 가와시마
야스키 다케우치
유마 하타노
Original Assignee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6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2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raction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05Dividing and/or superposing multiple light bea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a plurality of identical beams or images, e.g. image repl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05Optical components external to the laser cavity,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homogenisation or merging of the beams or for manipulating laser pulses, e.g. pulse sha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40Arrangement of two or more semiconductor las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S5/02 - H01S5/30
    • H01S5/4012Beam combining, e.g. by the use of fibres, gratings, polarisers, pr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40Arrangement of two or more semiconductor las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S5/02 - H01S5/30
    • H01S5/4025Array arrangements, e.g. constituted by discrete laser diodes or laser ba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02B19/0052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aser diode
    • G02B19/005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aser diode in the form of a laser diode array, e.g. laser diode ba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16Adapting the beam shape of a semiconductor light source such as a laser diode or an LED, e.g. for efficiently coupling into optical fibers
    • G02B27/0922Adapting the beam shape of a semiconductor light source such as a laser diode or an LED, e.g. for efficiently coupling into optical fibers the semiconductor light source comprising an array of light emit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6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enhancing image performance, like resolution, pixel numbers, dual magnifications or dynamic range, by tiling, slicing or overlapping fields of vie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40Arrangement of two or more semiconductor las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S5/02 - H01S5/30
    • H01S5/4025Array arrangements, e.g. constituted by discrete laser diodes or laser bar
    • H01S5/4031Edge-emitting structures
    • H01S5/4043Edge-emitting structures with vertically stacked active layers
    • H01S5/405Two-dimensional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과,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광속의 광축을 시프트하는 것에 의해 광속끼리의 간격을 축소하는 프리즘 광학계와, 광속을 광속마다 집광 및 편향하는 결상 광학계를 구비하며, 결상 광학계는, 소정 위치에서 광속이 서로 겹치도록 광속을 편향함과 아울러, 결상 광학계와 소정 위치와의 사이에 광속의 집광점을 생기게 하는, 레이저 장치.

Description

레이저 장치{LASER DEVICE}
본 발명의 일측면은, 레이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고체 레이저의 여기(勵起)에 이용되는 집광(集光)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9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집광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집광 장치(100)는, 2개의 광원(106)과, 2개의 광학계(112)와, 집광 렌즈(114)를 구비하고 있다. 광원(106)은,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stack)(102) 및 실린드리칼 렌즈 스택(104)을 가진다.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102)은, 복수의 발광 영역을 가지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116)가 복수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실린드리칼 렌즈 스택(104)은,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116)와 동수(同數)의 실린드리칼 렌즈(118)가 적층 방향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102)의 복수의 발광 영역의 근방에 설치된다. 또, 광학계(112)는, 프리즘(108) 및 프리즘(110)을 가진다. 프리즘(108)은, 삼각기둥 모양의 직각 프리즘이며, 측면에는 전반사(全反射) 코팅이 실시되어 있다. 프리즘(110)은, 삼각기둥 모양의 직각 프리즘이며, 광 입사면에는 반사 방지 코팅이 실시되고, 전반사면에는 고반사 코팅이 실시되어 있다. 집광 렌즈(114)는, 집광 장치(100)의 여기 대상인 고체 레이저(120) 내에 초점을 가지고 있다.
이 집광 장치(100)에서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102)의 각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116)의 발광 영역으로부터 레이저 광(La1)이 출사된다. 이 레이저 광(La1)은, 실린드리칼 렌즈 스택(104)의 각 실린드리칼 렌즈(118)에 의해서 평행화 된 후, 프리즘(108)의 2개의 측면에서 반사되어, 광속 Lb1과, 광속 Lc1으로 분할된다. 광속 Lc1은, 프리즘(110)의 2개의 전반사면에서 반사된 후, 프리즘(108) 위를 통과하여, 광속 Lb1에 대해서 평행하게 인접한다. 그 후, 광속 Lb1 및 Lc1은, 필요에 따라서 반사 미러(122, 124)에 의해 광로가 변경된 후, 집광 렌즈(114)에 의해서 고체 레이저(120)의 내부에 집광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1-111147호 공보
대출력의 레이저 광원으로서, 발광 영역을 복수 가지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가 복수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이 이용되고 있다.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은, 예를 들면 레이저 매질을 가지는 고에너지 고체 레이저 장치의 여기 광원으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에서, 레이저 광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발광 영역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즉 보다 많은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를 적층하거나, 또는 보다 많은 발광 영역을 각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에 마련할 수 있다. 그러나, 발광 영역의 수가 늘어나는 만큼 발열량도 늘어난다. 따라서, 냉각 장치의 대형화나 조립의 수율의 관점으로부터 보면, 하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을 대형화하는 것 보다도, 적당한 크기의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을 조합시키는 쪽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을 조합시키는 경우,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으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광속을 단일의 광속으로 모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끼리가 인접하면, 냉각이 불충분하게 되기 쉽고, 또 충분히 냉각하기 위해서 냉각 장치를 대형화하지 않을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끼리의 간격을 적당히 두고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으로부터 각각 출사되는 복수의 레이저 광속을, 광학계를 이용하여 하나로 통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어진 집광 장치(100)에서도, 2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102)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속이, 프리즘(108, 110)이나 반사 미러(122, 124)라고 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하나로 통합되어 있다.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집광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레이저 광속이 광축을 일치시키면서, 단일의 집광 렌즈(114)에 입사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102)의 일부에 열화(劣化)가 생기면, 조사 대상물인 고체 레이저(120)에서, 그 열화 부분에 대응하는 개소의 레이저 광량이 국소적으로 저하하여, 조사 대상물에서의 레이저 광량의 균일성을 해쳐 버린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끼리를 인접시킬 필요가 없고,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의 일부에 열화가 생긴 경우라도 조사 대상물에서의 레이저 광량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는 레이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레이저 장치는, 소정 방향으로 배열된 2개 이상의 발광 영역으로부터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가 출사 방향을 일치시켜 소정 방향 및 출사 방향과 교차하는 적층 방향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광을 하나의 광속(光束)으로서 각각 출력하는 N개(N은 2 이상의 정수(整數))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stack)과, 광속에 포함되는 레이저 광의 속축(速軸) 방향의 평행화를 행하는 제1 콜리메이트부와,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 각각으로부터 출력되어 제1 콜리메이트부를 거친 광속을 투과함과 아울러, 해당 광속의 광축을 해당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시프트하는 것에 의해 광속끼리의 간격을 축소하는 프리즘 광학계와,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각 광속을, 지축(遲軸) 방향과 교차하는 면내에서 광속마다 집광함과 아울러, 해당 면내에서 각 광속의 광축을 광속마다 편향하는 결상 광학계를 구비하며, 결상 광학계는, 소정 위치에서 N개의 광속이 서로 겹치도록 각 광속을 편향함과 아울러, 결상 광학계와 소정 위치와의 사이에 각 광속의 집광점을 생기게 한다.
이 레이저 장치에서는,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의 광축이 프리즘 광학계에 의해서 시프트되는 것에 의해, 광속끼리의 간격이 축소된다. 여기서, 광속의 광축을 시프트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프리즘 광학계로부터 출사하는 광속의 광축을, 프리즘 광학계에 입사하는 광속의 광축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하면서, 해당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프리즘 광학계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끼리를 인접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냉각을 충분히 할 수 있고, 또 냉각 장치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이 레이저 장치에서는, 결상 광학계가, 결상 광학계와 소정 위치와의 사이에 각 광속의 집광점이 생기도록 각 광속을 광속마다 집광한다. 이것에 의해, 소정 위치에서의 레이저 광량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조사 대상물에 균일한 광 강도의 레이저 광속을 부여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레이저 장치에서는, 결상 광학계가, 균일한 N개의 레이저 광속을 소정 위치에서 서로 겹치도록 광속마다 편향한다. 이것에 의해, 소정 위치에서 균일하게 퍼진 N개의 레이저 광속이 서로 겹치므로, 어느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의 일부에 열화가 생겨, 한 개의 레이저 광속에 그 영향이 생겼다고 해도, 다른 레이저 광속에 의해서 광량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레이저 장치는, 결상 광학계가,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각 광속을 광속마다 집광하는 N개의 결상 렌즈와, 각 광속의 광축을 광속마다 편향하는 N개의 편향 광학 소자를 포함해도 괜찮다. 이것에 의해, 상기의 결상 광학계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레이저 장치는,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이 적층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으며, 프리즘 광학계가, 광속의 광축을 적층 방향으로 시프트해도 괜찮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의 적층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면서,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을 배치할 수 있다.
또, 레이저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을 포함하는 제1 군(群)과, 하나 또는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을 포함하는 제2 군이 소정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으며, 프리즘 광학계는, 제1 군에 포함되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속과, 제2 군에 포함되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속과의 간격이 축소하도록, 소정 방향으로 해당 광속의 광축을 시프트해도 괜찮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레이저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끼리를 인접시킬 필요가 없고,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의 일부에 열화가 생긴 경우라도 조사 대상물에서의 레이저 광량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레이저 장치가 구비하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어진 레이저 장치를 Y축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어진 레이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어진 레이저 장치를 Y축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내어진 레이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집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레이저 장치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면의 설명에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장치(1A)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2는, 레이저 장치(1A)가 구비하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stack)(LS1~LSN)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는 XYZ 직교좌표계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레이저 장치(1A)는, N개(N은 2 이상의 정수(整數). 도면에서는 N=4인 경우를 예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과, 프리즘 광학계(10A)를 구비하고 있다.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은, Y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프리즘 광학계(10A)는, 이들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마련된 N개의 제1 프리즘(PA1~PAN)과, 제2 프리즘(PB1~PBK)(단, K=N/2)을 가진다. 제1 프리즘(PA1~PAN) 및 제2 프리즘(PB1~PBK)도 또, 각각 Y축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은,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12)를 가진다. 이들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12)는, 소정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된 2개 이상의 발광 영역(14)을 각각 가지고 있으며, 이들 발광 영역(14) 각각으로부터 혹은 광 출사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Z축 방향)을 향해서 레이저 광(La)이 출사된다. 레이저 광(La)의 속축(速軸) 방향은 Y축 방향을 따르고 있으며, 지축(遲軸) 방향은 X축 방향을 따르고 있다.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12)는, 광 출사 방향을 일치시켜 상기 소정 방향(X축 방향) 및 광 출사 방향(Z축 방향)과 교차하는 적층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Y축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은,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12)로부터 출사되는 이들 레이저 광(La)을 하나의 광속(光束)으로서 각각 출력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n 번째 (n은 1 이상 N 이하의 정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n)으로부터 출력된 레이저 광속(Ln)은, 콜리메이터 렌즈 스택(16)을 통과한다. 콜리메이터 렌즈 스택(16)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1 콜리메이트부 로서, 각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각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의 발광 영역(14)에 대향하고 있다. 콜리메이터 렌즈 스택(16)은, X축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12)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실린드리칼 렌즈를 가진다. 각 실린드리칼 렌즈는, 대응하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12)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La)의 속축 방향의 평행화를 행한다.
콜리메이터 렌즈 스택(16)에 의해서 속축 방향의 평행화가 이루어진 레이저 광속(Ln)은, 대응하는 제n 번째의 제1 프리즘(PAn)의 광 입사면(21)에 입사한다. 제1 프리즘(PA1~PAN)은, 예를 들면 유리, 석영 등의 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즘으로서, 광 입사면(21) 및 광 출사면(22)을 가진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프리즘(PA1~PAN)은, YZ평면을 따른 단면(斷面)이 평행사변형(예를 들면 능형(菱形)) 등의 형상을 나타내며, 해당 평행사변형의 한 변이 광 입사면(21)으로 되어 있고, 해당 한 변과 평행한 다른 한 변이 광 출사면(22)으로 되어 있다.
제n 번째의 제1 프리즘(PAn)은, 광 입사면(21)에 입사한 레이저 광속(Ln)을 투과하여, 광 출사면(22)으로부터 출사한다. 광 입사면(21)은 XZ평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어, 레이저 광속(Ln)이 광 입사면(21)에 입사할 때, 레이저 광속(Ln)은 광 출사 방향(Z축 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만큼 굴절한다. 또, 광 출사면(22)은 광 입사면(21)에 대해서 평행이어서, 레이저 광속(Ln)이 광 출사면(22)으로부터 출사할 때, 레이저 광속(Ln)은 앞의 굴절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소정 각도만큼 다시 굴절하고, 다시 광 출사 방향(Z축 방향)을 따라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제1 프리즘(PAn)은, 레이저 광속(Ln)의 광축을, 해당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Y축 방향)으로 시프트한다. 환언하면, 제1 프리즘(PAn)은, 광 출사면(22)으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광속(Ln)의 광축을, 광 입사면(21)에 입사하는 레이저 광속(Ln)의 광축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하면서,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2k-1)번째 (단, k는 1 이상 K 이하의 정수)의 제1 프리즘(PA2k-1)과, 2k번째의 제1 프리즘(PA2k)이 Y축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제1 프리즘(PA2k-1)의 광 입사면(21) 및 광 출사면(22)과, 제1 프리즘(PA2k)의 광 입사면(21) 및 광 출사면(22)이, XZ평면을 따른 기준면(AAk)을 사이에 두고 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프리즘(PA2k-1)의 광 입사면(21)에 입사한 레이저 광속(L2k-1)은, 서로 이웃하는 레이저 광속(L2k)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절하고, 또, 제1 프리즘(PA2k)의 광 입사면(21)에 입사한 레이저 광속(L2k)은, 서로 이웃하는 레이저 광속(L2k-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절한다. 이것에 의해, 이들 레이저 광속(L2k-1, L2k)이 광 출사면(22)으로부터 출사할 때에는, 레이저 광속(L2k-1, L2k)끼리의 간격이 축소되어, 한 쌍의 광속(L2k-1, L2k)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저 광속군(LAk)이 형성된다. 이 레이저 광속군(LAk)은, 원래의 광 출사 방향(Z축 방향)을 따라서 진행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레이저 광속군(LAk)을 구성하는 레이저 광속(L2k-1, L2k)은, 서로 인접하여 진행되지만, 서로 겹치지 않고, 예를 들면 1mm 정도의 간격을 가진다.
제2 프리즘(PB1~PBK)은, 예를 들면 유리, 석영 등의 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즘으로서, 광 입사면(23) 및 광 출사면(24)을 가진다. 본 실시 형태의 제2 프리즘(PB1~PBK)은, 제1 프리즘(PA1~PAN)과 마찬가지로, YZ평면을 따른 단면에서 평행사변형(예를 들면 능형) 등의 형상을 나타내며, 해당 평행사변형의 한 변이 광 입사면(23)으로 되어 있고, 해당 한 변과 평행한 다른 한 변이 광 출사면(24)으로 되어 있다.
제1 프리즘(PA2k-1, PA2k)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속(L2k-1, L2k)은, 레이저 광속군(LAk)으로서 제k 번째의 제2 프리즘(PBk)의 광 입사면(23)에 입사한다. 제2 프리즘(PBk)은, 광 입사면(23)에 입사한 레이저 광속군(LAk)을 투과하여, 광 출사면(24)으로부터 출사한다. 광 입사면(23)은 XZ평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어, 레이저 광속군(LAk)이 광 입사면(23)에 입사할 때, 레이저 광속군(LAk)은 광 출사 방향(Z축 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만큼 굴절한다. 또, 광 출사면(24)은 광 입사면(23)에 대해서 평행이어서, 레이저 광속군(LAk)이 광 출사면(24)으로부터 출사할 때, 레이저 광속군(LAk)은 앞의 굴절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소정 각도만큼 다시 굴절하고, 다시 광 출사 방향(Z축 방향)을 따라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제2 프리즘(PBk)은, 레이저 광속군(LAk)의 광축을, 해당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Y축 방향)으로 시프트한다. 환언하면, 제2 프리즘(PBk)은, 광 출사면(24)으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광속군(LAk)의 광축을, 광 입사면(23)에 입사하는 레이저 광속군(LAk)의 광축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하면서,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2m-1)번째 (단, m은 1 이상 M 이하의 정수. M=N/4)의 제2 프리즘(PB2m-1)과, (2m)번째의 제2 프리즘(PB2m)이 Y축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제2 프리즘(PB2m-1)의 광 입사면(23) 및 광 출사면(24)과, 제2 프리즘(PB2m)의 광 입사면(23) 및 광 출사면(24)이, XZ평면을 따른 기준면(ABm)을 사이에 두고 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프리즘(PB2m-1)의 광 입사면(23)에 입사한 레이저 광속군(LA2m-1)은, 서로 이웃하는 레이저 광속군(LA2m)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절하고, 또, 제2 프리즘(PB2m)의 광 입사면(23)에 입사한 레이저 광속군(LA2m)은, 서로 이웃하는 레이저 광속군(LA2m-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절한다. 이것에 의해, 이들 레이저 광속군(LA2m-1, LA2m)이 광 출사면(24)으로부터 출사하는 때에는, 레이저 광속군(LA2m-1, LA2m)끼리의 간격이 축소되어, 한 쌍의 레이저 광속군(LA2m-1, LA2m)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저 광속군(LBm)이 형성된다. 이 레이저 광속군(LBm)은, 원래의 광 출사 방향(Z축 방향)을 따라서 진행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레이저 광속군(LBm)을 구성하는 레이저 광속군(LA2m-1, LA2m)은, 서로 인접하여 진행되지만, 서로 겹치지 않고, 예를 들면 1mm 정도의 간격을 가져 겹치지 않는다. 즉, 1개의 레이저 광속군(LBm)에는 4개의 레이저 광속(Ln)이 포함되고, 또한, 이들 레이저 광속(Ln)은 Y축 방향으로 늘어서 있고, 서로 겹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레이저 광속의 사이에 1mm 정도의 간격을 가진다.
본 실시 형태의 레이저 장치(1A)는, 결상 광학계(18)를 더 구비하고 있다. 결상 광학계(18)는, 제1 프리즘(PA1~PAN) 및 제2 프리즘(PB1~PBK)을 투과한 각 레이저 광속(L1~LN)을, 지축 방향과 교차하는 면내(본 실시 형태에서는 YZ평면내)에서 레이저 광속마다 집광한다. 또, 결상 광학계(18)는, 해당 면내에서 각 레이저 광속(L1~LN)의 광축을 레이저 광속마다 편향한다.
구체적으로는, 결상 광학계(18)는, N개의 결상 렌즈(F1~FN)와, N개의 편향 광학 소자(D1~DN)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결상 렌즈(F1~FN)는, N개의 레이저 광속(L1~LN)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고, 제n 번째의 결상 렌즈(FN)는, 대응하는 레이저 광속(Ln)을 YZ평면 내에서 집광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상 렌즈(F1~FN)는 XZ평면 내에서는 집광 작용을 가지지 않아, 레이저 광속(L1~LN)은 XZ평면 내에서는 집광되지 않는다.
또, 결상 렌즈(F1~FN)는, 결상 광학계(18)와 Z축 방향의 소정 위치 Q와의 사이에 각 레이저 광속(L1~LN)의 집광점(P1~PN)을 생기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결상 렌즈(F1~FN)의 초점 거리는 결상 광학계(18)와 소정 위치 Q와의 거리 보다도 짧고, 레이저 광속(L1~LN)은 소정 위치 Q의 바로 앞에서 일단 수렴한 후, 다시 확대하면서 소정 위치 Q를 통과한다.
편향 광학 소자(D1~DN)는, N개의 레이저 광속(L1~LN)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고, 제n 번째의 편향 광학 소자(Dn)는, 대응하는 레이저 광속(Ln)을 YZ평면 내에서 편향한다. 여기서, 레이저 광속(Ln)을 편향한다는 것은, 레이저 광속(Ln)의 광축의 방향을 약간 변경하는 것을 말하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이저 광속(Ln)의 광축이 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Y축 방향으로 약간의 경사진다.
이러한 레이저 광속(Ln)의 편향은, Z축 방향의 소정 위치 Q에서 N개의 레이저 광속(L1~LN)이 서로 겹치도록 행해진다. 환언하면, X축 방향으로부터 본 레이저 광속(L1~LN)의 각 광축은, 편향 광학 소자(D1~DN)를 통과한 후, 소정 위치 Q에서 서로 겹친다. 이러한 작용을 가지는 편향 광학 소자(D1~DN)는, 예를 들면 웨지(wedge) 프리즘에 의해서 실현된다. 소정 위치 Q에는, 예를 들면 조사 대상물이 배치된다. 이 조사 대상물로서는, 예를 들면, 레이저 공진기의 공진 광로 상에 배치되며, 여기광(勵起光)이 공급됨으로써 방출광을 발생시키는 고체 레이저 매질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레이저 장치(1A)는, 지축 콜리메이터 렌즈(41, 42, 및 43)를 더 구비하고 있다. 지축 콜리메이터 렌즈(41)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2 콜리메이트부이며, 지축 콜리메이터 렌즈(43)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3 콜리메이트부이다. 지축 콜리메이터 렌즈(41)는, 콜리메이터 렌즈 스택(16)과 제1 프리즘(PA1~PAN)과의 사이의 광축 상에 배치되며, 레이저 광속(Ln)에 포함되는 레이저 광(La)의 지축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X축 방향)의 평행화를 행한다. 지축 콜리메이터 렌즈(42)는, 제1 프리즘(PA1~PAN)과 제2 프리즘(PB1~PBK)과의 사이의 광축 상에 배치되며, 레이저 광속군(LAk)에 포함되는 레이저 광(La)의 지축 방향의 평행화를 행한다. 지축 콜리메이터 렌즈(43)는, 제2 프리즘(PB1~PBK)과 결상 광학계(18)와의 사이의 광축 상에 배치되며, 레이저 광속군(LBm)에 포함되는 레이저 광(La)의 지축 방향의 평행화를 행한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본 실시 형태의 레이저 장치(1A)에 의해서 얻어지는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이 레이저 장치(1A)에서는,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속(L1~LN)의 광축이 프리즘 광학계(10A)(제1 프리즘(PA1~PAN), 제2 프리즘(PB1~PBK))에 의해서 시프트되는 것에 의해, 레이저 광속(L1~LN)끼리의 간격이 축소된다. 이러한 프리즘 광학계(10A)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끼리를 인접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의 사이의 간극을 이용하여 냉각을 충분히 할 수 있고, 또 간소한 냉각 장치로 충분하기 때문에 냉각 장치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또, 프리즘 광학계(10A)와 같은 간이한 구성으로서 레이저 광속(L1~LN)을 모을 수 있으므로, 레이저 장치(1A)를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이 레이저 장치(1A)에 의하면, 프리즘 광학계(10A)를 이용하여 레이저 광속(L1~LN)을 전송하므로, 레이저 광속(L1~LN)을, 작은 스페이스에서, 저손실(예를 들면 수% 이하)로 장거리(예를 들면 1m 이상) 전송할 수 있다. 또, 임의의 위치 Q에서 균일성이 높은 공간 강도 분포를 가지고, 임의의 크기(예를 들면 1cm각(角))의 영역 내에 충분한 광 강도(예를 들면 수십 kW/cm2 이상)로 레이저 광속(L1~LN)을 수렴시킬 수 있다.
또, 이 레이저 장치(1A)에서는, 결상 광학계(18)가, 각 레이저 광속(L1~LN)을 광속마다 집광하고, 결상 광학계(18)와 소정 위치 Q와의 사이에 각 레이저 광속(L1~LN)의 집광점(P1~PN)을 생기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소정 위치 Q에서의 레이저 광량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소정 위치 Q에 설치되는 조사 대상물에 균일한 광 강도의 레이저 광속을 부여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레이저 장치(1A)에서는, 결상 광학계(18)가, 균일한 N개의 레이저 광속(L1~LN)을 소정 위치 Q에서 서로 겹치도록 광속마다 편향한다. 이것에 의해, 소정 위치 Q에서 균일한 N개의 레이저 광속(L1~LN)이 서로 겹치므로,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 중 어느 일부에 열화가 생겨, 하나의 레이저 광속(Ln)에 그 영향이 생겼다고 해도, 다른 레이저 광속에 의해서 레이저 광속군(LBm)의 광량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이저 광원 장치가 고체 레이저 매질의 여기에 이용되는 경우, 여기광의 공간 패턴의 강도 변동은, 고체 레이저 매질의 출력 특성(에너지 안정성, 패턴의 균일성)에 크게 영향을 주고, 또, 광학 소자 등의 광 손상의 한 요인이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레이저 장치(1A)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광속군(LBm)의 광량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고체 레이저 매질의 출력 특성을 안정시키고, 광학 소자 등의 광 손상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레이저 장치(1A)에서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의 개수 N을 증감시키고 싶은 경우라도 대규모의 구조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프리즘 광학계(10A)에 포함되는 제1 프리즘(PA1~PAN) 및 제2 프리즘(PB1~PBK), 및 결상 광학계(18)에 포함되는 결상 렌즈(F1~FN) 및 편향 광학 소자(D1~DN)의 개수를 증감하는 것만으로 된다. 따라서, 레이저 장치(1A)에 의하면, 조사 광량의 증감이 용이하고 확장성이 높은 레이저 장치(1A)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와 같이,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이 적층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고, 프리즘 광학계(10A)가, 레이저 광속(L1~LN)의 광축을 적층 방향으로 시프트해도 괜찮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의 적층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면서,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을 배치할 수 있다.
또, 프리즘 광학계(10A)를 대신하여, 반사 미러를 이용하여 레이저 광속(L1~LN)을 시프트하는 것도 고려되어진다. 그렇지만, 반사 미러에서는, 레이저 광속의 입사각이 어떤 방향으로 변동하면 출사각이 반대의 방향으로 변동하므로, N개의 레이저 광속(L1~LN)의 광로의 어긋남이 크게 되어, 이들을 정밀도 좋게 늘어놓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에 대해, 프리즘에서는, 레이저 광속의 입사각과 출사각은 동일 방향으로 변동하므로, N개의 레이저 광속(L1~LN)의 광로의 어긋남이 억제되고,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을 설치할 때의 허용 오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장치(1B)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어진 레이저 장치(1B)를 Y축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어진 레이저 장치(1B)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레이저 장치(1B)는, N개(N은 2 이상의 정수. 도면에서는 N=8인 경우를 예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과, 프리즘 광학계(10B)와, 콜리메이터 렌즈 스택(16)과, 결상 광학계(18)를 구비하고 있다. 또,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 자체의 구성, 콜리메이터 렌즈 스택(16)의 배치 및 구성, 및 결상 광학계(18)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 중,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 LS3, …, LS2K-1)(단, K=N/2)은 제1 군(6a)을 구성하고 있고, 다른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2, LS4, …, LS2K)은 제2 군(6b)을 구성하고 있다. 제1 군(6a)과 제2 군(6b)은, 서로 소정 방향(X축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군(6a)에 포함되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 LS3, …, LS2K-1)은, Y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군(6b)에 포함되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2, LS4, …, LS2K)은, Y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X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 LS3, …, LS2K-1)과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2, LS4, …, LS2K)이 교호(交互)가 되도록,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의 Y축 방향의 위치가 정해져 있다.
프리즘 광학계(10B)는, 이들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마련된 N개의 프리즘(PC1~PCN)을 가진다. N개의 프리즘(PC1~PCN) 중, 프리즘(PC1, PC3, …, PC2K-1)은, 대응하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 LS3, …, LS2K-1)을 따라서 Y축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고, 프리즘(PC2, PC4, …, PC2K)은, 대응하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2, LS4, …, LS2K)을 따라서 Y축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또, 프리즘(PC1, PC3, …, PC2K-1)과 프리즘(PC2, PC4, …, PC2K)은, Y축 방향으로 교호로 늘어서 있다.
제n 번째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n)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속(Ln)은, 콜리메이터 렌즈 스택(16)에 의해서 속축 방향의 평행화가 이루어진 후, 대응하는 제n 번째의 프리즘(PCn)의 광 입사면(25)(도 4를 참조)에 입사한다. 프리즘(PC1~PCN)은, 예를 들면 유리, 석영 등의 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즘으로서, 광 입사면(25) 및 광 출사면(26)(도 4를 참조)을 가진다. 본 실시 형태의 프리즘(PC1~PCN)은, XZ평면을 따른 단면이 평행사변형(예를 들면 능형) 등의 형상을 나타내며, 해당 평행사변형의 한 변이 광 입사면(25)으로 되어 있고, 해당 한 변과 평행한 다른 한 변이 광 출사면(26)으로 되어 있다.
제n 번째의 프리즘(PCn)은, 광 입사면(25)에 입사한 레이저 광속(Ln)을 투과하여, 광 출사면(26)으로부터 출사한다. 광 입사면(25)은 YZ평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고, 레이저 광속(Ln)이 광 입사면(25)에 입사할 때, 레이저 광속(Ln)은 광 출사 방향(Z축 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만큼 굴절한다. 또, 광 출사면(26)은 광 입사면(25)에 대해서 평행이어서, 레이저 광속(Ln)이 광 출사면(26)으로부터 출사할 때, 레이저 광속(Ln)은 앞의 굴절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소정 각도만큼 다시 굴절하고, 다시 광 출사 방향(Z축 방향)을 따라서 진행한다. 이와 같이, 프리즘(PCn)은, 레이저 광속(Ln)의 광축을, 해당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X축 방향)으로 시프트한다. 환언하면, 프리즘(PCn)은, 광 출사면(26)으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광속(Ln)의 광축을, 광 입사면(25)에 입사하는 레이저 광속(Ln)의 광축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하면서,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리즘(PC1, PC3, …, PC2K-1)의 광 입사면(25)에 입사한 레이저 광속(L1, L3, …, L2K-1)은, Y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이웃하는 레이저 광속(L2, L4, …, L2K)에 가까워지는 방향(예를 들면 X축 부(負)방향)으로 굴절하고, 또, 프리즘(PC2, PC4, …, PC2K)의 광 입사면(25)에 입사한 레이저 광속(L2, L4, …, L2K)은, Y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이웃하는 레이저 광속(L1, L3, …, L2K-1)에 가까워지는 방향(예를 들면 X축 정(正)방향)으로 굴절한다. 이것에 의해, 이들 레이저 광속(L1, L2, …, L2K-1, L2K)이 광 출사면(26)으로부터 출사할 때에는, 레이저 광속(L1, L3, …, L2K-1)과 레이저 광속(L2, L4, …, L2K)과의 간격이 축소되어, 레이저 광속(L1, L2, …, L2K-1, L2K)으로 이루어지는 단일의 레이저 광속군(LC)이 형성된다. 이 레이저 광속군(LC)은, 원래의 광 출사 방향(Z축 방향)을 따라서 진행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레이저 광속군(LC)을 구성하는 레이저 광속(L1, L2, …, L2K-1, L2K)은, 서로 인접하여 진행되지만, 서로 겹치지 않고, 예를 들면 1mm 정도의 간격을 가진다.
본 실시 형태의 레이저 장치(1B)는, 지축 콜리메이터 렌즈(44, 45, 및 46)를 더 구비하고 있다. 지축 콜리메이터 렌즈(44)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2 콜리메이트부이며, 지축 콜리메이터 렌즈(45)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3 콜리메이트부이다. 지축 콜리메이터 렌즈(44)는, 콜리메이터 렌즈 스택(16)과 프리즘(PC1~PCN)과의 사이의 광축 상에 배치되고, 레이저 광속(Ln)에 포함되는 레이저 광(La)(도 2를 참조)의 지축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X축 방향)의 평행화를 행한다. 지축 콜리메이터 렌즈(45)는, 프리즘(PC1~PCN)과 결상 광학계(18)와의 사이의 광축 상에 배치되고, 레이저 광속군(LC)에 포함되는 레이저 광(La)의 지축 방향의 평행화를 행한다. 지축 콜리메이터 렌즈(46)는, 결상 광학계(18)와 집광점(P1~PN)과의 사이의 광축 상에 배치되고, 레이저 광속군(LC)에 포함되는 레이저 광(La)의 지축 방향의 평행화를 행한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본 실시 형태의 레이저 장치(1B)에서는,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속(L1~LN)의 광축이 프리즘 광학계(10B)(프리즘(PC1~PCN))에 의해서 시프트되는 것에 의해, 레이저 광속(L1~LN)끼리의 간격이 축소된다. 이러한 프리즘 광학계(10B)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끼리를 인접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의 사이의 간극을 이용하여 냉각을 충분히 할 수 있고, 또 간소한 냉각 장치로 충분하기 때문에 냉각 장치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또, 프리즘 광학계(10B)와 같은 간이한 구성으로 레이저 광속(L1~LN)을 모을 수 있으므로, 레이저 장치(1B)를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이 레이저 장치(1B)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결상 광학계(18)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소정 위치 Q에서의 레이저 광량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소정 위치 Q에 설치되는 조사 대상물에 균일한 광 강도의 레이저 광속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소정 위치 Q에서 균일한 N개의 레이저 광속(L1~LN)이 서로 겹치므로,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 중 어느 일부에 열화가 생겨, 하나의 레이저 광속(Ln)에 그 영향이 생겼다고 해도, 다른 레이저 광속에 의해서 레이저 광속군(LC)의 광량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장치(1C)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어진 레이저 장치(1C)를 Y축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레이저 장치(1C)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8에서는 레이저 광속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6~도 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레이저 장치(1C)는, N개(N은 2 이상의 정수. 도면에서는 N=8인 경우를 예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과, 프리즘 광학계(10C)과, 콜리메이터 렌즈 스택(16)과, 결상 광학계(18)를 구비하고 있다. 또,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 자체의 구성, 콜리메이터 렌즈 스택(16)의 배치 및 구성, 및 결상 광학계(18)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 중,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J)(단, J는 2개 이상 (N-1) 미만의 정수. 도면에서는 J=4인 경우를 예시)은, 제1 군(6c)을 구성하고 있다. 또, 다른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J+1~LSn)은, 제2 군(6d)을 구성하고 있다. 제1 군(6c)과 제2 군(6d)은, 서로 소정 방향(X축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군(6c)에 포함되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J)은, Y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군(6d)에 포함되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J+1~LSn)은, Y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프리즘 광학계(10C)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마련된 N개의 제1 프리즘(PA1~PAN)과, 제2 프리즘(PB1~PBK)(단, K=N/2)과, 제3 프리즘(PD1~PDM)(단, M=N/4)을 가진다. N개의 제1 프리즘(PA1~PAN) 중, 제1 프리즘(PA1~PAJ)은 대응하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J)을 따라서 Y축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고, 제1 프리즘(PAJ+1~PAN)은, 대응하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J+1~LSn)을 따라서 Y축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프리즘(PA1~PAJ)으로 이루어지는 프리즘열과, 제1 프리즘(PAJ+1~PAN)으로 이루어지는 프리즘열은, 서로 X축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제1 프리즘(PA1~PAN)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프리즘(PA1~PAN)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제1 프리즘(PA1~PAN)은, 광 입사면(21) 및 광 출사면(22)을 가지는 평행사변형 모양을 나타내고 있고, 제n 번째의 제1 프리즘(PAn)은, 레이저 광속(Ln)의 광축을, 해당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Y축 방향)으로 시프트한다. 또, (2k-1)번째의 제1 프리즘(PA2k-1)과, 2k번째의 제1 프리즘(PA2k)이 Y축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제1 프리즘(PA2k-1)의 광 입사면(21)에 입사한 레이저 광속(L2k-1)은, 서로 이웃하는 레이저 광속(L2k)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절하고, 또, 제1 프리즘(PA2k)의 광 입사면(21)에 입사한 레이저 광속(L2k)은, 서로 이웃하는 레이저 광속(L2k-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절한다. 이것에 의해, 이들 레이저 광속(L2k-1, L2k)이 광 출사면(22)으로부터 출사할 때에는, 레이저 광속(L2k-1, L2k)끼리의 간격이 축소되고, 한 쌍의 광속(L2k-1, L2k)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저 광속군(LAk)이 형성된다. 이 레이저 광속군(LAk)은, 원래의 광 출사 방향(Z축 방향)을 따라서 진행한다.
제2 프리즘(PB1~PBK)도 또, 제1 실시 형태의 제2 프리즘(PB1~PBK)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제2 프리즘(PB1~PBK)은, 광 입사면(23) 및 광 출사면(24)을 가지는 평행사변형 모양을 나타내고 있고, 제k 번째의 제2 프리즘(PBk)은, 레이저 광속군(LAk)의 광축을, 해당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Y축 방향)으로 시프트한다. 또, (2m-1)번째의 제2 프리즘(PB2m-1)과, 2m번째의 제2 프리즘(PB2m)이 Y축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제2 프리즘(PB2m-1)의 광 입사면(23)에 입사한 레이저 광속군(LA2m-1)은, 서로 이웃하는 레이저 광속군(LA2m)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절하고, 또, 제2 프리즘(PB2m)의 광 입사면(23)에 입사한 레이저 광속군(LA2m)은, 서로 이웃하는 레이저 광속군(LA2m-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절한다. 이것에 의해, 이들 레이저 광속군(LA2m-1, LA2m)이 광 출사면(24)으로부터 출사할 때에는, 레이저 광속군(LA2m-1, LA2m)끼리의 간격이 축소되어, 한 쌍의 레이저 광속군(LA2m-1, LA2m)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저 광속군(LBm)이 형성된다. 이 레이저 광속군(LBm)은, 원래의 광 출사 방향(Z축 방향)을 따라서 진행한다.
제3 프리즘(PD1~PDM)은, 예를 들면 유리, 석영 등의 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즘으로서, 광 입사면(27) 및 광 출사면(28)을 가진다. 본 실시 형태의 제3 프리즘(PD1~PDM)은, XZ평면을 따른 단면에서 평행사변형(예를 들면 능형) 등의 형상을 나타내며, 해당 평행사변형의 한 변이 광 입사면(27)으로 되어 있고, 해당 한 변과 평행한 다른 한 변이 광 출사면(28)으로 되어 있다.
제2 프리즘(PB2m-1, PB2m)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속군(LBm)은, 제m 번째의 제3 프리즘(PDm)의 광 입사면(27)에 입사한다. 제3 프리즘(PDm)은, 광 입사면(27)에 입사한 레이저 광속군(LBm)을 투과하여, 광 출사면(28)으로부터 출사한다. 광 입사면(27)은 YZ평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어, 레이저 광속군(LBm)이 광 입사면(27)에 입사할 때, 레이저 광속군(LBm)은 광 출사 방향(Z축 방향)에 대해서 상기 각도만큼 굴절한다. 또, 광 출사면(28)은 광 입사면(27)에 대해서 평행이어서, 레이저 광속군(LBm)이 광 출사면(28)으로부터 출사할 때, 레이저 광속군(LBm)은 앞의 굴절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각도만큼 다시 굴절하고, 다시 광 출사 방향(Z축 방향)을 따라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제3 프리즘(PDm)은, 레이저 광속군(LBm)의 광축을, 해당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X축 방향)으로 시프트한다. 환언하면, 제3 프리즘(PDm)은, 광 출사면(28)으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광속군(LBm)의 광축을, 광 입사면(27)에 입사하는 레이저 광속군(LBm)의 광축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하면서,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2i-1)번째(단, i는 1 이상 I 이하의 정수. I=N/8)의 제3 프리즘(PD2i-1)에 입사한 레이저 광속군(LB2i-1)은, 서로 이웃하는 레이저 광속군(LB2i)에 가까워지는 방향(예를 들면 X축 부방향)으로 굴절하고, (2i)번째의 제3 프리즘(PD2i)에 입사한 레이저 광속군(LB2i)은, 서로 이웃하는 레이저 광속군(LB2i-1)에 가까워지는 방향(예를 들면 X축 정방향)으로 굴절한다. 이것에 의해, 이들 레이저 광속군(LBm)이 광 출사면(28)으로부터 출사할 때에는, 레이저 광속군(LB2i-1)과 레이저 광속군(LB2i)과의 간격이 축소되어, 레이저 광속군(LB1~LBM)으로 이루어지는 단일의 레이저 광속군(LD)이 형성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프리즘(PD1~PDM)이 결상 광학계(18)와 집광 위치(P1~PN)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만, 제3 프리즘(PD1~PDM)은 제2 프리즘(PB1~PBK)과 결상 광학계(18)와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괜찮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본 실시 형태의 레이저 장치(1C)에서는,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속(L1~LN)의 광축이 프리즘 광학계(10C)(제1 프리즘(PA1~PAN), 제2 프리즘(PB1~PBK), 제3 프리즘(PD1~PDM))에 의해서 시프트되는 것에 의해, 레이저 광속(L1~LN)끼리의 간격이 축소된다. 이러한 프리즘 광학계(10C)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끼리를 인접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 사이의 간극을 이용하여 냉각을 충분히 할 수 있고, 또 간소한 냉각 장치로 충분하기 때문에 냉각 장치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또, 프리즘 광학계(10C)와 같은 간이한 구성으로서 레이저 광속(L1~LN)을 모을 수 있으므로, 레이저 장치(1C)를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이 레이저 장치(1C)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결상 광학계(18)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소정 위치 Q에서의 레이저 광량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소정 위치 Q에 설치되는 조사 대상물에 균일한 광 강도의 레이저 광속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소정 위치 Q에서 균일한 N개의 레이저 광속(L1~LN)이 서로 겹치므로,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LS1~LSN) 중 어느 일부에 열화가 생겨, 하나의 레이저 광속(Ln)에 그 영향이 생겼다고 해도, 다른 레이저 광속에 의해서 레이저 광속군(LD)의 광량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레이저 장치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외에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의 개수 N이 4인 경우를 나타내고, 제2 실시 형태 및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개수 N이 8인 경우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레이저 장치에서는,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의 개수에 제한은 없고, 임의의 개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을 조합시킬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레이저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끼리를 인접시킬 필요가 없고,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의 일부에 열화가 생긴 경우라도 조사 대상물에서의 레이저 광량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1A, 1B, 1C - 레이저 장치 10A, 10B, 10C - 프리즘 광학계
12 -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14 - 발광 영역
16 - 콜리메이터 렌즈 스택 18 - 결상 광학계
21, 23, 25, 27 - 광 입사면 22, 24, 26, 28 - 광 출사면
41~46 - 지축 콜리메이터 렌즈 D1~DN - 편향 광학 소자
F1~FN - 결상 렌즈 L1~LN - 레이저 광속
La - 레이저 광 LA1~LAK - 레이저 광속군
LB1~LBM - 레이저 광속군 LC - 레이저 광속군
LD - 레이저 광속군
LS1~LSN -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
P1~PN - 집광점 PA1~PAN - 제1 프리즘
PB1~PBK - 제2 프리즘 PC1~PCN - 프리즘
PD1~PDM - 제3 프리즘 Q - 소정 위치

Claims (4)

  1. 소정 방향으로 배열된 2개 이상의 발광 영역으로부터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가 출사 방향을 일치시켜 상기 소정 방향 및 상기 출사 방향과 교차하는 적층 방향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로부터 출사되는 상기 레이저 광을 하나의 광속(光束)으로서 각각 출력하는 N개(N은 2 이상의 정수(整數))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stack)과,
    상기 광속에 포함되는 상기 레이저 광의 속축(速軸) 방향의 평행화를 행하는 제1 콜리메이트부와,
    상기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 각각으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제1 콜리메이트부를 거친 상기 광속을 투과함과 아울러, 해당 광속의 광축을 해당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시프트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광속끼리의 간격을 축소하는 프리즘 광학계와,
    상기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각 광속을, 지축(遲軸) 방향과 교차하는 면내에서 광속마다 집광(集光)하는 N개의 결상 렌즈, 및 해당 면내에서 각 광속의 광축을 광속마다 편향하는 N개의 편향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결상(結像) 광학계를 구비하며,
    상기 N개의 편향 광학 소자는, 소정 위치에서 N개의 상기 광속이 서로 겹치도록 각 광속을 편향하고,
    상기 N개의 결상 렌즈는, 상기 결상 광학계와 상기 소정 위치와의 사이에 각 광속의 집광점을 생기게 하는, 레이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이 상기 적층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프리즘 광학계가, 상기 광속의 광축을 상기 적층 방향으로 시프트하는, 레이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을 포함하는 제1 군(群)과,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을 포함하는 제2 군이 상기 소정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리즘 광학계는, 상기 제1 군에 포함되는 상기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으로부터 출사되는 상기 광속과, 상기 제2 군에 포함되는 상기 반도체 레이저 어레이 스택으로부터 출사되는 상기 광속과의 간격이 축소하도록, 상기 소정 방향으로 해당 광속의 광축을 시프트하는, 레이저 장치.
  4. 삭제
KR1020167000913A 2013-07-03 2014-05-23 레이저 장치 KR102181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39993 2013-07-03
JP2013139993A JP6285650B2 (ja) 2013-07-03 2013-07-03 レーザ装置
PCT/JP2014/063720 WO2015001866A1 (ja) 2013-07-03 2014-05-23 レー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988A KR20160026988A (ko) 2016-03-09
KR102181434B1 true KR102181434B1 (ko) 2020-11-23

Family

ID=5214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913A KR102181434B1 (ko) 2013-07-03 2014-05-23 레이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33079B2 (ko)
EP (1) EP3018776B1 (ko)
JP (1) JP6285650B2 (ko)
KR (1) KR102181434B1 (ko)
CN (1) CN105340140B (ko)
WO (1) WO2015001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1600B2 (ja) * 2017-01-05 2020-09-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照明装置
JP6536724B1 (ja) * 2018-07-04 2019-07-03 ウシオ電機株式会社 光源装置、プロジェクタ
US10795172B1 (en) * 2018-09-20 2020-10-06 Casey LEWIS Apparatus and method of combining multiple laser beams using a negative focal length radial gradient index rod lens
CN109375337B (zh) * 2018-11-16 2021-10-08 上海禾赛科技有限公司 一种棱镜固定结构
CN109581326B (zh) * 2018-11-16 2021-05-07 上海禾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激光雷达的光学器件固定结构
CN113165115B (zh) * 2018-12-06 2023-07-18 新唐科技日本株式会社 光源单元、照明装置、加工装置以及偏转元件
WO2020121770A1 (ja) * 2018-12-13 2020-06-18 ソニー株式会社 光コネクタ、光ケーブルおよび電子機器
CN111722459B (zh) * 2019-03-19 2022-08-26 青岛海信激光显示股份有限公司 一种激光器组件、激光光源和激光投影设备
CN114296089B (zh) * 2022-03-03 2022-06-14 深圳市海创光学有限公司 光学系统及激光雷达
CN115128894B (zh) * 2022-07-29 2023-09-26 青岛海信激光显示股份有限公司 投影光源和投影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6092A (ja) * 2002-07-10 2004-03-25 Nippon Steel Corp 半導体レーザ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固体レーザ装置
JP2008021900A (ja) * 2006-07-14 2008-01-31 Jtekt Corp レーザ集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8802A (ja) * 1983-11-18 1985-06-14 Fuji Photo Film Co Ltd 光ビ−ム合成方法及び装置
DE4220705C2 (de) * 1992-06-24 2003-03-13 Lambda Physik Ag Vorrichtung zum Aufteilen eines Lichtstrahles in homogene Teilstrahlen
DE19915000C2 (de) * 1999-04-01 2002-05-08 Microlas Lasersystem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der Intensitätsverteilung eines Laserstrahls
JP4347467B2 (ja) * 1999-10-06 2009-10-21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集光装置
JP2002148562A (ja) * 2000-11-14 2002-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レーザ加工装置
JP4059623B2 (ja) * 2000-12-15 2008-03-12 株式会社リコー 照明装置、及び均一照明装置
CN1313861C (zh) 2001-03-30 2007-05-02 新日本制铁株式会社 半导体激光装置和采用它的固体激光装置
JP2003103389A (ja) * 2001-09-27 2003-04-08 Toyoda Mach Works Ltd 半導体レーザ集光装置
FI116010B (fi) * 2002-05-22 2005-08-31 Cavitar Oy Menetelmä ja laserlaite suuren optisen tehotiheyden tuottamiseksi
US6993059B2 (en) * 2003-06-11 2006-01-31 Coherent, Inc. Apparatus for reducing spacing of beams delivered by stacked diode-laser bars
US7230968B2 (en) 2003-07-10 2007-06-12 Nippon Steel Corporation Semiconductor laser device and solid-state laser device using same
JP2005051135A (ja) 2003-07-31 2005-0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680170B2 (en) * 2006-06-15 2010-03-16 Oclaro Photonics, Inc. Coupling devices and methods for stacked laser emitter arrays
JP5082316B2 (ja) * 2006-07-19 2012-11-2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集光ブロック
US7639722B1 (en) * 2007-10-29 2009-12-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Multifaceted prism to cause the overlap of beams from a stack of diode laser bars
EP2283549A4 (en) * 2008-05-08 2013-08-28 Oclaro Photonics Inc HIGH BRIGHTNESS DIODE OUTPUT METHODS AND DEVICES
CN102742100B (zh) * 2009-08-20 2015-06-0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可配置强度分布的激光器装置
JP5832455B2 (ja) * 2010-03-05 2015-12-16 テラダイオード,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選択的再配置および回転波長ビーム結合システムならびに方法
DE112011100812T5 (de) * 2010-03-05 2013-03-07 TeraDiode, Inc. System und Verfahren zur Wellenlängenstrahlkombination
US8602592B2 (en) * 2011-04-07 2013-12-10 Coherent, Inc. Diode-laser illuminator with interchangeable modules for changing irradiance and beam dimensions
CN102722027B (zh) 2012-01-16 2014-10-01 深圳市光峰光电技术有限公司 光整形装置和激光光源
CN202720390U (zh) * 2012-02-29 2013-02-06 南通傲迈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阵列半导体激光器的光束整形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6092A (ja) * 2002-07-10 2004-03-25 Nippon Steel Corp 半導体レーザ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固体レーザ装置
JP2008021900A (ja) * 2006-07-14 2008-01-31 Jtekt Corp レーザ集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40140A (zh) 2016-02-17
US10133079B2 (en) 2018-11-20
EP3018776B1 (en) 2019-05-22
CN105340140B (zh) 2019-04-30
KR20160026988A (ko) 2016-03-09
EP3018776A1 (en) 2016-05-11
WO2015001866A1 (ja) 2015-01-08
EP3018776A4 (en) 2017-05-03
US20160370593A1 (en) 2016-12-22
JP2015015305A (ja) 2015-01-22
JP6285650B2 (ja)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1434B1 (ko) 레이저 장치
US7110183B2 (en) Device for the optical beam transformation of a linear arrangement of several light sources
US6700709B1 (en) Configuration of and method for optical beam shaping of diode laser bars
US7668214B2 (en) Light source
US7079566B2 (en) Semiconductor laser apparatus capable of routing laser beams emitted from stacked-array laser diode to optical fiber with little loss
KR101676499B1 (ko) 빔 형성 장치 및 방법
US78813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intense laser light from laser diode arrays
US6778732B1 (en) Generation of high-power, high brightness optical beams by optical cutting and beam-shaping of diode lasers
US7773653B2 (en) Diode laser arrangement and associated beam shaping unit
US5877898A (en) Arrangement for combining and shaping the radiation of a plurality of laser diode lines
US6888679B2 (en) Laser diode bar integrator/reimager
US7260131B2 (en) Symmetrization device and laser diode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JP6157194B2 (ja) レーザ装置および光ビームの波長結合方法
US88423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light sources
CA2368958A1 (en) Optical arrangement for symmetrizing the radiation of two-dimensional arrays of laser diodes
CN102208753A (zh) 多波长联合外腔半导体激光器
CN104678557B (zh) 稳定波长光束组合器
CN109073908B (zh) 平行光发生装置
US9513483B2 (en) Beam shaper system for laser diode array
JP2006222399A (ja) 半導体レーザ装置
JP2011085916A (ja) 複数ビーム偏向器、二次元スキャナ及び複数ビーム偏向モジュール
US20170292679A1 (en) Light-emitting device
KR20220027876A (ko) 레이저 방사선용 변환 기기
CA2492617C (en) Symmetrization device and laser diode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