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262B1 -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262B1
KR102180262B1 KR1020200043264A KR20200043264A KR102180262B1 KR 102180262 B1 KR102180262 B1 KR 102180262B1 KR 1020200043264 A KR1020200043264 A KR 1020200043264A KR 20200043264 A KR20200043264 A KR 20200043264A KR 102180262 B1 KR102180262 B1 KR 102180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hield
coating layer
low
ta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태
Original Assignee
김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태 filed Critical 김용태
Priority to KR1020200043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쉴드캔의 렌즈창 주변 저반사용 코팅공정 개선을 통하여 카메라 쉴드캔의 제조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생산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일측에 렌즈창이 형성된 몸체 케이스를 동 또는 동합금 재질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렌즈창 주변에 테이핑 또는 UV인쇄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 케이스에 니켈도금 또는 금속 스퍼터링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핑 또는 UV인쇄층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핑 또는 UV인쇄층 제거부위에 레이저 가공 또는 샌딩을 실시하여 요철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요철면에 블랙옥사이드를 코팅하여 저반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 및 그 제조방법{SHIELD CAN FOR CAMERA MODULE AND ITS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 하우징을 이루는 쉴드캔의 제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이에 따른 작업시간 단축 및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쉴드캔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폰, PDA 등의 이동단말에 있어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기능이 강조되어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는 카메라 모듈을 실장하기 적합한 형태로 만들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shield can)이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은 카메라 본체 하우징에 카메라 렌즈용 렌즈창 개구부가 천공 형성되고, 상기 렌즈창 개구부 주변에는 반사율 저감을 위한 흑색 도장층 또는 흑색 인쇄층을 형성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도장층의 보호를 위해 AR(무반사 코팅)작업을 다수회 진행하게 됨으로써, 작업시간이 증대됨과 함께 이에 따른 제품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1-24432호(2011.03.09.공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21085호(2012.03.08.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렌즈창 주변의 저반사용 코팅공정 개선을 통하여 카메라 쉴드캔의 제조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는, 몸체 케이스의 일측에 개구된 렌즈창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창의 내면과 외면 주변에는 저반사 코팅층이 형성된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 코팅층은 블랙옥사이드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일측에 렌즈창이 형성된 몸체 케이스를 동 또는 동합금 재질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렌즈창 주변에 테이핑 또는 UV인쇄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 케이스에 니켈도금 또는 금속 스퍼터링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핑 또는 UV인쇄층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핑 또는 UV인쇄층 제거부위에 레이저 가공 또는 샌딩을 실시하여 요철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요철면에 블랙옥사이드를 코팅하여 저반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 및 그 제조방법은, 쉴드캔의 렌즈창 주변 저반사용 코팅공정 개선을 통하여 카메라 쉴드캔의 제조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생산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쉴드캔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쉴드캔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쉴드캔 제조과정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은, 몸체 케이스(10)의 일측에 개구된 렌즈창(11)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창(11) 주변의 내면과 외면에는 저반사 코팅층(20)이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저반사 코팅층(20)은 블랙옥사이드(Iron oxide black) 성분을 코팅하여 형성된다.
즉, 도 4의 확대 단면도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렌즈창(11) 주변의 외면과 내면에는 반사율 저감을 위한 블랙옥사이드 재질의 저반사 코팅층(20)이 박막으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반사 코팅층(20)을 렌즈창(11) 주변의 내면과 외면에 각각 형성하는 이유는 내부에서는 반사율을 감소시키고 외부에서는 카메라 렌즈 색상에 맞추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의 제조과정을 도 5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동 또는 동합금 재질의 판재를 몸체 케이스(10) 형태로 성형 제작 후 일측에 렌즈창(11)을 관통 형성한 후, 상기 렌즈창 주변에 테이핑 또는 UV인쇄를 실시하게 된다.
이후, 몸체 케이스(10) 표면에 질감을 위해 니켈도금 또는 금속 스퍼터링을 실시하게 되며, 니켈도금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렌즈창(11) 주변의 테이핑 또는 UV인쇄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실시하게 된다.
상기 니켈도금 단계에서 렌즈창(11) 주변에는 테이핑 또는 UV인쇄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부위의 도금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거단계가 완료되면 테이핑 또는 UV인쇄층 제거부위에 레이저 가공 또는 샌딩을 실시하여 요철면을 형성하게 된다.
즉, 이때 요철면을 형성하는 이유는 편평한 면에 블랙옥사이드를 코팅하여 블랙옥사이드의 미분말 형태 흑색 물질 즉, 스머트(smut)가 생성되는데 이때 손으로 문지르면 광택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요철을 형성시키게 되면 스머트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저반사율에 유리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레이저 가공 또는 샌딩을 통한 요철면 형성단계 후에는 전처리액에 침지시키는 전처리 단계를 거친 후, 요철면에 블랙옥사이드를 코팅하여 최종적으로 저반사 코팅층(20)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쉴드캔 제조방법은, 쉴드캔의 렌즈창 주변에 저반사율 구현을 위한 블랙옥사이드를 코팅함으로써 종래 Ar코팅 작업을 수회 반복 실시하던 것에 비하여 카메라 쉴드캔의 제조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생산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는 상기 저반사 코팅층(20)이 기능성 향상을 위하여 블랙옥사이드를 주 재료로 하여 카본블랙,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산화지르코늄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 성분의 혼합 조성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즉, 이때 코팅 재료는 주 재료인 블랙옥사이드 65~80중량%, 탄소분말 형태의 카본블랙 1~10중량%, 코팅층의 접착력 향상을 위한 멜라민 수지 1~10중량%, 열경화성의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1~5중량%, 내화 기능 강화를 위한 산화지르코늄 1~5중량%, 포타슘코코일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1~5중량%, 소다장석 1~3중량%의 혼합 조성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성을 이루게 되면, 블랙옥사이드가 카본블랙과 혼합으로 인해 저반사율이 향상되고, 멜라민 수지의 기능성으로 인해 접착력이 향상되어 저반사 코팅층(20)의 탈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의 혼합으로 인해 코팅층의 열경화 기능이 향상됨과 함께 변색 발생이 방지되고, 산화지르코늄의 혼합으로 인해 내화 기능이 강화되는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한편, 추가로 첨가된 포타슘코코일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은 블랙옥사이드의 활성화를 통하여 저반사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됨과 함께 코팅층의 표면 광택을 방지하고, 소다장석은 코팅층의 내구성을 강화하여 크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카메라 쉴드캔 구조 및 제조방법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쉴드캔의 특정한 외관 구조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쉴드캔의 외관 형상 및 렌즈창의 위치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반사 코팅층의 성분 역시 기능성을 위해 다양한 재료가 블랙옥사이드와 혼합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몸체 케이스 11 : 렌즈창
20 : 저반사 코팅층

Claims (5)

  1. 일측에 렌즈창(11)이 형성된 몸체 케이스(10)를 동 또는 동합금 재질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렌즈창(11)의 내면과 외면 주변에 테이핑 또는 UV인쇄를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 케이스(10)에 니켈도금 또는 금속 스퍼터링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핑 또는 UV인쇄층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핑 또는 UV인쇄층 제거부위에 레이저 가공 또는 샌딩을 실시하여 요철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요철면에 블랙옥사이드를 코팅하여 저반사 코팅층(20)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이저 가공 또는 샌딩을 통한 요철면 형성단계 후에는 전처리액에 침지시키는 전처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저반사 코팅층(20)은 블랙옥사이드, 카본블랙,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산화지르코늄의 혼합 조성을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 코팅층(20)에는 포타슘코코일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소다장석 성분이 추가로 첨가되고,
    상기 저반사 코팅층(20)의 조성비는, 블랙옥사이드 65~80중량%, 탄소분말 형태의 카본블랙 1~10중량%, 코팅층의 접착력 향상을 위한 멜라민 수지 1~10중량%, 열경화성의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1~5중량%, 내화 기능 강화를 위한 산화지르코늄 1~5중량%, 포타슘코코일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1~5중량%, 소다장석 1~3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43264A 2020-04-09 2020-04-09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 및 그 제조방법 KR102180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264A KR102180262B1 (ko) 2020-04-09 2020-04-09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264A KR102180262B1 (ko) 2020-04-09 2020-04-09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262B1 true KR102180262B1 (ko) 2020-11-18

Family

ID=7369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264A KR102180262B1 (ko) 2020-04-09 2020-04-09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047B1 (ko) * 2021-11-10 2022-01-10 브이엠텍(주) 산화피막 형성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522A (ko) * 2004-08-31 2006-03-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상부 케이스
KR101233656B1 (ko) * 2012-02-15 2013-02-15 유흥상 터치스크린 패널의 백색코팅막 진공코팅 방법
KR20140085998A (ko) * 2012-12-28 2014-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쉴드캔 및 쉴드캔 제조용 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522A (ko) * 2004-08-31 2006-03-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상부 케이스
KR101233656B1 (ko) * 2012-02-15 2013-02-15 유흥상 터치스크린 패널의 백색코팅막 진공코팅 방법
KR20140085998A (ko) * 2012-12-28 2014-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쉴드캔 및 쉴드캔 제조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047B1 (ko) * 2021-11-10 2022-01-10 브이엠텍(주) 산화피막 형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028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using
KR102180262B1 (ko)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 및 그 제조방법
JP4783721B2 (ja) 金属黒化処理方法、電磁波遮蔽フィルタ及び複合フィルタ、並びにディスプレイ
CN108677146B (zh) 壳体的表面处理方法、壳体和终端设备
CN106572211B (zh) 壳体、壳体制作方法及移动终端
CN109996409B (zh) 电子装置的壳体、电子装置及壳体的制造方法
CN108686911B (zh) 壳体的表面处理方法、壳体
CN110087409B (zh) 一种基材表面处理方法、壳体、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US20110097560A1 (en) Device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4708289B2 (ja) 電波透過性を有する金属色加飾成形体の製造方法
KR100887725B1 (ko) 컬러층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자동차 내외장재, 휴대폰 외장재, 전자제품 외장재
JP2006319251A (ja) 複合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タ
JP2002040208A (ja) 反射防止カバー部品とその製造方法
KR100253066B1 (ko) 도전성 반사방지막 및 음극선관
CN216852131U (zh) 一种潜望式摄像模组外壳结构
CN112312688A (zh) 壳体、壳体的制造方法和电子设备
KR100963875B1 (ko) 실리콘과 알루미늄의 합금을 이용한 박막 코팅방법
CN112074134A (zh) 电子设备金属壳体及其加工工艺
CN113829003B (zh) 机壳的制作方法
WO2011099499A1 (ja) 表示窓パネルおよび表示窓パネルの製造方法
KR102601334B1 (ko) 모바일 카메라 모듈용 사출물 산화피막 형성방법
CN109263169A (zh) 一种防爆盖板
WO2010032783A1 (ja) 光学干渉薄膜
CN218450915U (zh) 一种具有陶瓷效果的消费类电子产品后盖
US8628824B2 (en) Manufacture method for forming antique color on metal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