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670B1 -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한 탄성받침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한 탄성받침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670B1
KR102179670B1 KR1020200048485A KR20200048485A KR102179670B1 KR 102179670 B1 KR102179670 B1 KR 102179670B1 KR 1020200048485 A KR1020200048485 A KR 1020200048485A KR 20200048485 A KR20200048485 A KR 20200048485A KR 102179670 B1 KR102179670 B1 KR 102179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lastic support
fixture
fix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수
이광훈
이창우
장대영
Original Assignee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8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하부구조물 위에 설치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탄성받침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솔 플레이트(310); 하부구조물에 고정되는 마손리 플레이트(320); 상기 솔 플레이트(310)과 마손리 플레이트(320)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받침(100); 상기 탄성받침(100)을, 상기 솔 플레이트(310)과 마손리 플레이트(320)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한 탄성받침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한 탄성받침 체결장치{Elastomeric bearing for easy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본 발명은,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한 탄성받침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탄성받침의 구조를 개선하고, 보다 간편하게 탄성받침을 교량에 설치하고 교체할 수 있는 탄성받침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교각, 교대) 사이에 탄성받침을 설치하는데, 탄성받침은 교량 상부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온도변화, 크리프, 건조수축 및 처짐 등에 의해 발생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신축변위와 이동을 자체 탄성을 통해 수용하고, 하중, 진동, 충격을 흡수하여 지진에 대비하는 내진설계로 사용된다.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일반적인 탄성받침(30)은, 탄성패드(33)의 상부에 상부플레이트(31)를 체결하고, 탄성패드(33)의 하부에 하부플레이트(32)를 체결하여, 앵커(11)에 의해 교량의 상부구조물(10)과 하부구조물(20)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높이조절판(12)과 베이스판(21)에 볼트(40)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패드(33)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부와 하부에는 상판(331)과 하판(333)이 부착되어 있고, 내부에는 복수의 내부보강판(334)을 구비하며, 내부보강판의 사이사이와 외부에 가황고무(335)를 부착하여 제작한다.
탄성패드(33)의 상부와 하부에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판(331)과 하판(333)에 볼트공(332)을 미리 형성하여야 하고, 마찬가지로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에도 다수개의 볼트공(3100, 3200)을 미리 형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탄성받침(30)은, 상판(331)과 하판(333)에 미리 볼트공(332)을 형성하여야 하고,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에도 미리 볼트공(3100, 3200)을 형성하여야 하며, 탄성패드(33)의 상부와 하부에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2)를 각각 체결하여야 하므로, 탄성받침의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볼트에 의해서, 탄성패드(33)와 상부플레이트(31) 및 하부플레이트(32)를 체결하다보니, 시간이 지나면서 탄성패드(33)와 상부플레이트(31)의 사이 및 탄성패드(33)와 하부플레이트(32)의 사이로 이물질과 물이 침투하게 되어 받침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특허문헌 0001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인 상판을 지지하는 교량받침을 교량의 하부구조물인 교각 상면에 결합시키는 앵커에 관한 것인데, 특허문헌 0001 역시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36899 호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작과 설치가 간편한 탄성받침과 탄성받침의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물과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해도 내구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고, 교체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탄성받침 체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교량의 하부구조물 위에 설치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탄성받침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솔 플레이트(310); 하부구조물에 고정되는 마손리 플레이트(320); 상기 솔 플레이트(310)과 마손리 플레이트(320)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받침(100); 상기 탄성받침(100)을, 상기 솔 플레이트(310)과 마손리 플레이트(320)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한 탄성받침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탄성받침(100)은 평면형상이 사각형으로서, 상기 탄성받침(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판(101); 상기 탄성받침(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판(102); 상기 상부판(101)과 하부판(102) 사이에 부착되는 가황고무(104)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101)은, 상부판삽입부(1011) 및 상부판노출부(1012)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102)은 하부판삽입부(1021) 및 하부판노출부(1022)를 포함하며, 상기 가황고무(104)가 상기 상부판삽입부(1011) 및 하부판삽입부(1021)를 둘러싸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상부판노출부(1012)의 네 측면을 고정하는 상부측면고정구(110) 및 상기 하부판노출부(1022)의 네 측면을 고정하는 하부측면고정구(120)이고, 상기 상부측면고정구(110)는 볼트(400)에 의해 상기 솔 플레이트(310)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측면고정구(120)는 볼트(400)에 의해 상기 마손리 플레이트(32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상부판노출부(1012)의 네 모서리를 고정하는 상부모서리고정구(210) 및 상기 하부판노출부(1022)의 네 모서리를 고정하는 하부모서리고정구(220)이고, 상기 상부모서리고정구(210)는 볼트(400)에 의해 상기 솔 플레이트(310)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모서리고정구(220)는 볼트(400)에 의해 상기 마손리 플레이트(32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측면고정구(110)는, 단면형상이 ㄴ자 형상으로서, 상기 솔 플레이트(310)에 면접하는 상부면(111); 상기 가황고무(104)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면(113); 상기 상부면(111)과 상기 가압면(113) 사이에 위치하는 단턱부(112);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볼트공(114)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측면고정구(120)는, 단면형상이 ㄱ자 형상으로서, 상기 마손리 플레이트(320)에 면접하는 하부면(121); 상기 가황고무(104)의 하부를 가압하는 가압면(123); 상기 하부면(121)과 상기 가압면(123) 사이에 위치하는 단턱부(122);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볼트공(124)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모서리고정구(210)는, 단면형상이 ㄴ자 형상으로서, 상기 솔 플레이트(310)에 면접하는 상부면(211); 상기 가황고무(104)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면(213); 상기 상부면(211)과 상기 가압면(213) 사이에 위치하는 단턱부(212);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볼트공(214)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모서리고정구(220)는, 단면형상이 ㄱ자 형상으로서, 상기 마손리 플레이트(320)에 면접하는 하부면(221); 상기 가황고무(104)의 하부를 가압하는 가압면(223); 상기 하부면(221)과 상기 가압면(223) 사이에 위치하는 단턱부(222);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볼트공(224)을 포함한다.
상기 솔 플레이트(310)의 하부에는 고정구삽입홈(312)이 구비되고, 상기 마손리 플레이트(320)의 상부에는 고정구삽입홈(322)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삽입홈(312)에 상기 상부면(111)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구삽입홈(322)에 상기 하부면(121)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솔 플레이트(310)의 하부에는 고정구삽입홈(312)이 구비되고, 상기 마손리 플레이트(320)의 상부에는 고정구삽입홈(322)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삽입홈(312)에 상기 상부면(211)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구삽입홈(322)에 상기 하부면(221)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탄성받침과 탄성받침 체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에는 상하부플레이트를 별도로 제작하고, 볼트공을 가공한 후, 상하부플레이트를 볼트에 의해 탄성패드의 상하부에 별도로 체결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부판과 하부판의 일부가 가황고무 속에 삽입되도록 가황 제작함으로써 탄성받침의 제조공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된다.
둘째, 종래에는 상하부플레이트와 가황고무 사이로 물과 이물질이 침투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가황고무의 상하부 끝부분을 고정구의 가압면이 상시 가압하고 있어, 고무와 철판의 경계부분에서 물의 침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탄성받침 설치에 필요로 하는 볼트공의 수가 획기적으로 줄게 되어 제작 및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줄어들고, 특히 설치와 교체 시에 고정구를 상하부에 체결하기만 하면 고정되므로 설치 및 교체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넷째, 솔 플레이트와 마손리 플레이트에 고정구삽입홈을 형성하고, 고정구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고정구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설치하면 탄성받침의 고정력이 증대된다.
도 1, 2는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탄성받침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5,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8,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11,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14,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부측면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하부측면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부모서리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하부모서리고정구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성받침(100)의 내외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탄성받침(100)은 전체적인 평면형상이 사각형이다.
상기 탄성받침(100)은, 상부판(101), 하부판(102), 내부보강판(103), 가황고무(104)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판(101)은, 가황고무 속으로 삽입되어 부착되는 상부판삽입부(1011) 및 가황고무 밖으로 노출되어 상부측면고정구(110) 또는 상부모서리고정구(210)의 단턱부에 걸리게 되는 상부판노출부(101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판삽입부(1011)와 상부판노출부(1012)는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하부판(102)은, 가황고무 속으로 삽입되어 부착되는 하부판삽입부(1021) 및 가황고무 밖으로 노출되어 하부측면고정구(120) 또는 하부모서리고정구(220)의 단턱부에 걸리게 되는 하부판노출부(102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판삽입부(1021)와 하부판노출부(1022)는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탄성받침(100)의 내부에 복수의 내부보강판(103)을 간격을 두고 적층하고, 내부보강판의 사이 사이와 상기 상부판(101)과 하부판(102) 사이 및 외부에는 열과 압력하에서 가황처리된 가황고무(104)가 상기 상부판삽입부(1011) 및 하부판삽입부(1021)를 둘러싸면서 부착되어 일체로 거동한다.
도 3에는 복수의 내부보강판(103)이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내부보강판이 없는 탄성받침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종래의 탄성받침은 상하부플레이트를 별도로 제작하여 상판과 하판에 볼트로 체결하여야 하므로, 제작이 번거롭고, 볼트공이 많아 취약부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탄성받침(100)은, 도 3과 같은 상부판(101)과 하부판(102)을 가황 작업으로 고무와 부착만 하면 되므로 종래에 비해 제작이 간편하고, 취약부가 적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탄성받침(100)을 교량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고정시키는 체결장치로 4가지의 실시예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탄성받침 체결장치는, 상부앵커(313)에 의해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솔 플레이트(sole plate)(310), 하부앵커(323)에 의해 하부구조물에 고정되는 마손리 플레이트(masonry plate)(320), 상기 솔 플레이트(310)과 마손리 플레이트(320)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받침(100) 및 상기 탄성받침(100)을, 상기 솔 플레이트(310)과 마손리 플레이트(320)에 고정시키는 상부측면고정구(110)/하부측면고정구(120) 및 상부모서리고정구(210)/하부모서리고정구(220)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에는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보면, 솔 플레이트(310)와 마손리 플레이트(320)의 사이에 4개의 상부측면고정구(110)와 4개의 하부측면고정구(120)에 의해 탄성받침(100)이 체결되어 있다.
위와 같은 체결을 위해 솔 플레이트(310)의 하부에는 볼트탭(311)이 구비되어 있고, 마손리 플레이트(320)의 상부에는 볼트탭(321)이 구비되어 있으며, 탄성받침(100)의 상부판(101)과 하부판(102)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구멍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도 5 참조).
제1실시예에서, 탄성받침(100)의 고정은 4개의 상부측면고정구(110)와 4개의 하부측면고정구(12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4개의 상부측면고정구(110)와 4개의 하부측면고정구(120)는 탄성받침(100)의 4개의 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체결된다.
상기 상부측면고정구(110)는, 상기 솔 플레이트(310)에 면접하게 되는 상부면(111), 볼트에 의해 체결하였을 때, 상기 가황고무(104)의 상부와 면접하게 되어 가황고무를 눌러주게 되는 가압면(113), 상기 상부면(111)과 상기 가압면(113)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판노출부(1012)의 측면이 안착되는 단턱부(112) 및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볼트공(114)을 포함한다(도 16 참조).
상기 하부측면고정구(120)는, 상기 마손리 플레이트(320)에 면접하게 되는 하부면(121), 볼트에 의해 체결하였을 때, 상기 가황고무(104)의 하부와 면접하게 되어 가황고무를 눌러주게 되는 가압면(123), 상기 하부면(121)과 상기 가압면(123)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판노출부(1022)의 측면이 안착되는 단턱부(122) 및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볼트공(124)을 포함한다(도 17 참조).
상기 상부측면고정구(110)의 평면형상은 사각형, 단면형상은 ㄴ자 형상이고, 상기 하부측면고정구(120)의 평면형상은 사각형, 단면형상은 ㄱ자 형상이다.
따라서 볼트(400)를 상기 볼트공(114)과 볼트공(124)에 통과시키고, 각각 상기 볼트탭(311)과 볼트탭(321)에 체결시키기만 하면(이때 필요에 따라 와셔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탄성받침(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탄성받침의 상부판노출부(1012)의 4개의 측면이 단턱부(112)에 맞물려 단단히 고정되고, 하부판노출부(1022)의 4개의 측면이 단턱부(122)에 맞물려 단단히 고정되며, 상기 가압면(113)과 가압면(123)이 각각 가황고무(104)의 상부와 하부를 항상 눌러주게 됨으로써 물과 이물질의 침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는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는, 4개의 상부측면고정구(110)와 4개의 하부측면고정구(120)를 사용하여 볼트 체결하는 것이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2실시예에서는 솔 플레이트(310)의 하부에 고정구삽입홈(312)이 구비되고, 상기 마손리 플레이트(320)의 상부에는 고정구삽입홈(322)이 구비되어(도 8 참조), 상기 고정구삽입홈(312)에 상기 상부면(111)이 삽입, 안착되고, 상기 고정구삽입홈(322)에 상기 하부면(121)이 삽입, 안착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상부측면고정구(110)와 하부측면고정구(120)의 일부를 각각 고정구삽입홈(312)과 고정구삽입홈(322)에 삽입한 상태에서 볼트 체결하므로 더욱더 견고한 체결구조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해 고정구의 단면이 저항하게 되므로 전단지지 단면이 대폭 증가하게 되어, 볼트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볼트의 직경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솔 플레이트(310)과 마손리 플레이트(320)의 사이에 4개의 상부모서리고정구(210)와 4개의 하부모서리고정구(220)에 의해 탄성받침(100)이 체결되어 있다.
위와 같은 체결을 위해 솔 플레이트(310)의 하부에는 볼트탭(311)이 구비되어 있고, 마손리 플레이트(320)의 상부에는 볼트탭(321)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제1, 2실시예에서 탄성받침의 측면 쪽으로 볼트탭을 형성한 것과 달리, 제3실시예에서는 탄성받침의 모서리쪽에 볼트탭을 형성한다.
제3실시예에서, 탄성받침(100)의 고정은 4개의 상부모서리고정구(210)와 4개의 하부모서리고정구(22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4개의 상부모서리고정구(210)와 4개의 하부모서리고정구(220)는 탄성받침(100)의 4개 모서리의 상부와 하부에 체결된다.
상기 상부모서리고정구(210)는, 상기 솔 플레이트(310)에 면접하는 상부면(211), 볼트에 의해 체결하였을 때, 상기 가황고무(104)의 상부를 눌러주게 되는 가압면(213), 상기 상부면(211)과 상기 가압면(213) 사이에 위치하고, 상부판노출부(1012)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단턱부(212) 및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볼트공(214)을 포함한다(도 18 참조).
상기 하부모서리고정구(220)는, 상기 마손리 플레이트(320)에 면접하는 하부면(221), 볼트에 의해 체결하였을 때, 상기 가황고무(104)의 하부를 눌러주게 되는 가압면(223), 상기 하부면(221)과 상기 가압면(223)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판노출부(1022)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단턱부(222) 및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볼트공(224)을 포함한다(도 19 참조).
상기 상부모서리고정구(210)의 평면형상과 단면형상이 ㄴ자 형상이고, 상기 하부모서리고정구(220)의 평면형상과 단면형상이 ㄱ자 형상이다.
볼트(400)를 상기 볼트공(214)과 볼트공(224)에 통과시키고, 각각 상기 볼트탭(311)과 볼트탭(321)에 체결시키기만 하면(이때 필요에 따라 와셔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탄성받침(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탄성받침의 상부판노출부(1012)의 4개의 모서리가 단턱부(112)에 맞물려 단단히 고정되고, 하부판노출부(1022)의 4개의 모서리가 단턱부(122)에 맞물려 단단히 고정되며, 상기 가압면(213)과 가압면(223)이 각각 가황고무(104)의 상부와 하부를 항상 눌러주게 됨으로써 물과 이물질의 침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는 제4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4실시예는, 4개의 상부모서리고정구(210)와 4개의 하부모서리고정구(220)를 사용하여 볼트 체결하는 것이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4실시예에서는 솔 플레이트(310)의 하부에 고정구삽입홈(312)이 구비되고, 상기 마손리 플레이트(320)의 상부에는 고정구삽입홈(322)이 구비되어(도 14 참조), 상기 고정구삽입홈(312)에 상기 상부면(211)이 삽입, 안착되고, 상기 고정구삽입홈(322)에 상기 하부면(221)이 삽입, 안착된다.
제4실시예에서는 상부모서리고정구(210)와 하부모서리고정구(220)의 일부를 각각 고정구삽입홈(312)과 고정구삽입홈(322)에 삽입한 상태에서 볼트 체결하므로 더욱더 견고한 체결구조를 얻을 수 있다. 제4실시예에서도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해 고정구의 단면이 저항하게 되므로 볼트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볼트의 직경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탄성받침 체결장치는 설치할 때 뿐만 아니라 교체할 때에도 매우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기 설치된 탄성받침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기 설치 탄성받침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구들 중 어느 일측의 고정구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를 조금만 풀어 고정구와 솔 플레이트 및 마손리 플레이트 간의 결합을 느슨하게 하고, 타측의 고정구는 볼트를 완전히 풀고 제거한 후 기 설치 탄성받침을 타측 방향으로 빼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탄성받침의 설치는 분리시와 반대 방향으로 끼우고 고정구를 볼트로 고정하면 교체작업이 완료된다.
교체작업시에 어느 일측의 고정구와 볼트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그 결합력만 느슨하게 한 후, 다시 볼트를 단단히 체결하면 되므로 교체작업이 매우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상부구조물 11. 앵커
12. 높이조절판
20. 하부구조물 21. 베이스판
30. 탄성받침
31. 상부플레이트 32. 하부플레이트
3100. 볼트공 3200. 볼트공
33. 탄성패드
331. 상판 332. 볼트공
333. 하판 334. 내부보강판
335. 가황고무
40. 볼트
100. 탄성받침
101. 상부판
1011. 상부판삽입부 1012. 상부판노출부
102. 하부판
1021. 하부판삽입부 1022. 하부판노출부
103. 내부보강판 104. 가황고무
110. 상부측면고정구
111. 상부면 112. 단턱부
113. 가압면 114. 볼트공
120. 하부측면고정구
121. 하부면 122. 단턱부
123. 가압면 124. 볼트공
210. 상부모서리고정구
211. 상부면 212. 단턱부
213. 가압면 214. 볼트공
220. 하부모서리고정구
221. 하부면 222. 단턱부
223. 가압면 224. 볼트공
310. 솔 플레이트
311. 볼트탭 312. 고정구삽입홈
313. 상부앵커
320. 마손리 플레이트
321. 볼트탭 322. 고정구삽입홈
323. 하부앵커
400. 볼트

Claims (8)

  1. 교량의 하부구조물 위에 설치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탄성받침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받침 체결장치는,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솔 플레이트(310); 하부구조물에 고정되는 마손리 플레이트(320); 상기 솔 플레이트(310)와 마손리 플레이트(320)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받침(100); 상기 탄성받침(100)을, 상기 솔 플레이트(310)와 마손리 플레이트(320)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받침(100)은 평면형상이 사각형으로서, 상기 탄성받침(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판(101); 상기 탄성받침(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판(102); 상기 상부판(101)과 하부판(102) 사이에 부착되는 가황고무(104)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101)은, 상부판삽입부(1011) 및 상부판노출부(1012)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102)은 하부판삽입부(1021) 및 하부판노출부(1022)를 포함하며, 상기 가황고무(104)가 상기 상부판삽입부(1011) 및 하부판삽입부(1021)를 둘러싸도록 부착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상부판노출부(1012)의 네 측면을 고정하는 상부측면고정구(110) 및 상기 하부판노출부(1022)의 네 측면을 고정하는 하부측면고정구(120)이고,
    상기 상부측면고정구(110)는 볼트(400)에 의해 상기 솔 플레이트(310)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측면고정구(120)는 볼트(400)에 의해 상기 마손리 플레이트(320)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측면고정구(110)는, 단면형상이 ㄴ자 형상으로서, 상기 솔 플레이트(310)에 면접하는 상부면(111); 상기 가황고무(104)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면(113); 상기 상부면(111)과 상기 가압면(113) 사이에 위치하는 단턱부(112);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볼트공(114)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측면고정구(120)는, 단면형상이 ㄱ자 형상으로서, 상기 마손리 플레이트(320)에 면접하는 하부면(121); 상기 가황고무(104)의 하부를 가압하는 가압면(123); 상기 하부면(121)과 상기 가압면(123) 사이에 위치하는 단턱부(122);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볼트공(124)을 포함하는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한 탄성받침 체결장치.
  2. 교량의 하부구조물 위에 설치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탄성받침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받침 체결장치는, 상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솔 플레이트(310); 하부구조물에 고정되는 마손리 플레이트(320); 상기 솔 플레이트(310)와 마손리 플레이트(320)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받침(100); 상기 탄성받침(100)을, 상기 솔 플레이트(310)와 마손리 플레이트(320)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받침(100)은 평면형상이 사각형으로서, 상기 탄성받침(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판(101); 상기 탄성받침(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판(102); 상기 상부판(101)과 하부판(102) 사이에 부착되는 가황고무(104)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101)은, 상부판삽입부(1011) 및 상부판노출부(1012)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판(102)은 하부판삽입부(1021) 및 하부판노출부(1022)를 포함하며, 상기 가황고무(104)가 상기 상부판삽입부(1011) 및 하부판삽입부(1021)를 둘러싸도록 부착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상부판노출부(1012)의 네 모서리를 고정하는 상부모서리고정구(210) 및 상기 하부판노출부(1022)의 네 모서리를 고정하는 하부모서리고정구(220)이고,
    상기 상부모서리고정구(210)는 볼트(400)에 의해 상기 솔 플레이트(310)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모서리고정구(220)는 볼트(400)에 의해 상기 마손리 플레이트(320)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모서리고정구(210)는, 단면형상이 ㄴ자 형상으로서, 상기 솔 플레이트(310)에 면접하는 상부면(211); 상기 가황고무(104)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면(213); 상기 상부면(211)과 상기 가압면(213) 사이에 위치하는 단턱부(212);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볼트공(214)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모서리고정구(220)는, 단면형상이 ㄱ자 형상으로서, 상기 마손리 플레이트(320)에 면접하는 하부면(221); 상기 가황고무(104)의 하부를 가압하는 가압면(223); 상기 하부면(221)과 상기 가압면(223) 사이에 위치하는 단턱부(222);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볼트공(224)을 포함하는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한 탄성받침 체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 플레이트(310)의 하부에는 고정구삽입홈(312)이 구비되고, 상기 마손리 플레이트(320)의 상부에는 고정구삽입홈(322)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삽입홈(312)에 상기 상부면(111)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구삽입홈(322)에 상기 하부면(121)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한 탄성받침 체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 플레이트(310)의 하부에는 고정구삽입홈(312)이 구비되고, 상기 마손리 플레이트(320)의 상부에는 고정구삽입홈(322)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삽입홈(312)에 상기 상부면(211)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구삽입홈(322)에 상기 하부면(221)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한 탄성받침 체결장치.
















KR1020200048485A 2020-04-22 2020-04-22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한 탄성받침 체결장치 KR102179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485A KR102179670B1 (ko) 2020-04-22 2020-04-22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한 탄성받침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485A KR102179670B1 (ko) 2020-04-22 2020-04-22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한 탄성받침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670B1 true KR102179670B1 (ko) 2020-11-18

Family

ID=73697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485A KR102179670B1 (ko) 2020-04-22 2020-04-22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한 탄성받침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6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212Y1 (ko) * 2005-01-25 2005-04-08 유니슨 주식회사 부반력 방지를 위한 교량용 탄성받침
KR200418598Y1 (ko) * 2006-03-29 2006-06-12 주식회사 협성시스템 일체형 내진탄성받침
KR101336899B1 (ko) 2013-07-25 2013-12-04 아이컨 주식회사 교량받침 고정용 앵커볼트/앵커소켓을 이용한 수평력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212Y1 (ko) * 2005-01-25 2005-04-08 유니슨 주식회사 부반력 방지를 위한 교량용 탄성받침
KR200418598Y1 (ko) * 2006-03-29 2006-06-12 주식회사 협성시스템 일체형 내진탄성받침
KR101336899B1 (ko) 2013-07-25 2013-12-04 아이컨 주식회사 교량받침 고정용 앵커볼트/앵커소켓을 이용한 수평력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0058B2 (en) Separable integrated type vibration isolator
TWI544128B (zh) 疊層橡膠體之安裝構造及具有該安裝構造之構造體
JP4549586B2 (ja) 鋼製支承及び橋梁の支承装置
KR20180132193A (ko) 앵커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지지 장치
KR102179670B1 (ko)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한 탄성받침 체결장치
JP3866983B2 (ja) 免震構造
KR102081297B1 (ko) 교량용 교좌장치
KR10073234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탄성받침
KR100976405B1 (ko) 유지보수용 받침
KR101807772B1 (ko) 앵커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지지 장치
KR102167032B1 (ko) 교체가 간편한 교량받침
JP2006077503A (ja) 水平荷重弾性支持装置
KR101488790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분리형 교량 받침장치
KR20190102475A (ko) 연결바로 조립된 탄성받침 및 그 교체방법
KR200418599Y1 (ko) 시공이 편리한 일체형 내진탄성받침
KR101693219B1 (ko) 밸브 받침장치
KR101962665B1 (ko)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
KR101216177B1 (ko) 교량용 탄성받침 어셈블리 및 그 시공방법
KR101914243B1 (ko) 신축이음장치
KR101854417B1 (ko)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886818B1 (ko) 프리셋팅이 용이한 교량용 탄성받침 및 그의 프리셋팅 방법
KR20040085571A (ko) 유지보수를 고려한 개선된 일체형 탄성받침
KR100862118B1 (ko) 교좌장치 및 교좌장치의 설치방법
KR102706219B1 (ko) 대간격 및 미세간격 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전단키
JP3731779B2 (ja) 橋梁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