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993B1 -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993B1
KR102178993B1 KR1020140067563A KR20140067563A KR102178993B1 KR 102178993 B1 KR102178993 B1 KR 102178993B1 KR 1020140067563 A KR1020140067563 A KR 1020140067563A KR 20140067563 A KR20140067563 A KR 20140067563A KR 102178993 B1 KR102178993 B1 KR 102178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termediate terminal
charge
control circuit
discharg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711A (ko
Inventor
히로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과제] 전지 전압의 밸런스가 무너져 배터리 장치의 수명을 짧게 하는 일 없이, 중간 단자 풀림을 검출할 수 있는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2 차 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로서, 각 2 차 전지의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 사이에 형성되고, 간헐적으로 동등한 검출 전류로 각 중간 단자의 중간 단자 풀림을 검출하는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AND BATTERY DEVICE}
본 발명은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2 차 전지와, 2 차 전지와의 접속이 풀린 것을 검출하는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를 구비한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2 차 전지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에 있어서, 2 차 전지와 충방전 제어 회로의 접속 부분의 단선 (이후, 중간 단자 풀림으로 부른다) 이 발생하면, 2 차 전지의 충방전 제어를 할 수 없게 된다. 즉, 과충전, 또는 과방전의 2 차 전지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검출할 수 없게 되어, 2 차 전지에 다대한 스트레스를 부여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중간 단자 풀림을 검출함으로써 2 차 전지의 안전성을 높일 목적으로,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도 3 에 종래의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를 탑재한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종래의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를 탑재한 배터리 장치는, 2 차 전지 (107a, 107b) 와, 충전 제어용 FET (106) 와, 방전 제어용 FET (105) 와, 외부 단자 (112, 113) 와, 충방전 제어 회로 (201) 를 구비하고 있다.
충방전 제어 회로 (201) 는, 2 차 전지 (107a) 의 정 (正) 전원이 접속되는 정전원 접속 단자 (108) 와, 2 차 전지 (107a) 의 부 (負) 전원과 2 차 전지 (107b) 의 정전원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중간 단자 (109) 와, 2 차 전지 (107b) 의 부전원이 접속되는 부전원 접속 단자 (110) 와, 정전원 접속 단자 (108) 와 중간 단자 (109) 사이의 전압을 감시하는 전압 검출 회로 (102) 와, 중간 단자 (109) 와 부전원 접속 단자 (110) 사이의 전압을 감시하는 전압 검출 회로 (103) 와, 전압 검출 회로 (102, 103) 의 출력을 받아 충전 제어용 FET (106) 와 방전 제어용 FET (105) 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회로 (204) 와,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 (211) 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종래의 배터리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 단자 (112) 와 외부 단자 (113) 사이에 충전기 등의 전압 발생기가 접속되어 2 차 전지 (107a, 107b) 가 충전되면, 2 차 전지 (107a) 의 전압이 전압 검출 회로 (102) 에서 설정된 소정 전압 이상이 된 경우, 전압 검출 회로 (102) 가 검출 신호를 제어 회로 (204) 로 출력한다. 그리고, 그 신호를 받은 제어 회로 (204) 가 충전 제어용 FET (106) 를 오프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충전 제어용 FET (106) 가 오프됨으로써 충전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2 차 전지 (107a) 가 과충전이 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외부 단자 (112 와 113) 사이에 저항 등의 부하가 접속되어 2 차 전지 (107a, 107b) 가 방전되면, 2 차 전지 (107a) 의 전압이 전압 검출 회로 (102) 에서 설정된 다른 소정 전압 이하가 된 경우, 전압 검출 회로 (102) 가 검출 신호를 제어 회로 (204) 로 출력한다. 그리고, 그 신호를 받은 제어 회로 (204) 가 방전 제어용 FET (105) 를 오프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방전 제어용 FET (105) 가 오프됨으로써 방전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2 차 전지 (107a) 가 과방전이 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 (211) 는, 전압 검출 회로 (102) 에 흐르는 전류보다 많은 전류를 흘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중간 단자 (109) 와 2 차 전지 (107) 의 접속이 풀렸을 때,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 (211) 에 의해 중간 단자 (109) 의 전압이 풀업된다. 따라서, 중간 단자 (109) 와 부전원 접속 단자 (110) 사이의 전압 차이가 커진다. 전압 검출 회로 (103) 에서 설정된 소정 전압 이상이 되면, 전압 검출 회로 (103) 는 중간 단자 풀림을 검출하여 신호를 제어 회로 (204) 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 (211) 를 구비함으로써, 중간 단자 풀림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높은 배터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의 도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308115호
그러나, 종래의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에서는, 2 차 전지 (107a) 가 소비하는 전류와 2 차 전지 (107b) 가 소비하는 전류는,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 (211) 에 흐르는 전류분에서 차분이 발생한다. 이 전류의 차분은, 접속되는 2 차 전지에 있어서 언밸런스 전류가 되어, 전지 전압의 밸런스가 무너지는 원인이 되므로, 배터리 장치의 수명을 짧게 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서, 전지 전압의 밸런스가 무너져 배터리 장치의 수명을 짧게 하는 일 없이, 중간 단자 풀림을 검출할 수 있는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하였다.
적어도,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2 차 전지의 정극 단자와 전지간 접속 단자와 부극 단자가 각각 접속되는 정전원 접속 단자와 중간 단자와 부전원 접속 단자와, 정전원 접속 단자와 중간 단자 사이와, 인접하는 중간 단자 사이와, 중간 단자와 부전원 접속 단자 사이에, 소정의 시간마다 전환하여 검출 전류를 흘리는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와, 복수의 2 차 전지에 각각 병렬로 접속되는 복수의 전압 검출 회로와, 복수의 전압 검출 회로의 출력이 입력되는 제어 회로와,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를 제어하는 중간 단자 풀림 제어 회로를 구비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를 스위치에 의해 일정 시간마다 전환하고, 각 2 차 전지에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가 접속되어 있는 시간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각 2 차 전지에 있어서의 언밸런스 전류가 흐르는 시간이 동일해지고, 결과적으로 시간 평균으로 모든 2 차 전지에 있어서의 언밸런스 전류를 상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지 전압의 밸런스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 장치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충방전 제어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 는 제 2 실시형태의 충방전 제어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 은 종래의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충방전 제어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제 1 실시형태의 충방전 제어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는, 2 차 전지 (107a, 107b) 와, 충전 제어용 FET (106) 와, 방전 제어용 FET (105) 와, 외부 단자 (112, 113) 와, 충방전 제어 회로 (101) 를 구비하고 있다. 충방전 제어 회로 (101) 는, 정전원 접속 단자 (108) 와, 중간 단자 (109) 와, 부전원 접속 단자 (110) 와,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 (125) 와,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 (118) 와, 전압 검출 회로 (102) 와, 전압 검출 회로 (103) 와, 중간 단자 풀림 제어 회로 (115) 를 갖는 제어 회로 (104) 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 (125) 는, 정전류원 (111) 과, 스위치 (116) 로 구성된다.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 (118) 는, 정전류원 (114) 과, 스위치 (117) 로 구성된다.
2 차 전지 (107a) 는, 정전원이 외부 단자 (112) 와 정전원 접속 단자 (108) 에 접속되고, 부전원이 중간 단자 (109) 에 접속된다. 2 차 전지 (107b) 는, 정전원이 중간 단자 (109) 에 접속되고, 부전원이 부전원 접속 단자 (110) 와 방전 제어용 FET (105) 에 접속된다. 전압 검출 회로 (102) 는, 정전원 접속 단자 (108) 와 중간 단자 (109) 사이에 접속된다. 전압 검출 회로 (103) 는, 중간 단자 (109) 와 부전원 접속 단자 (110) 사이에 접속된다. 제어 회로 (104) 는, 전압 검출 회로 (102 와 103) 의 출력이 입력되고, 출력이 충전 제어용 FET (106) 의 게이트와 방전 제어용 FET (105) 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충전 제어용 FET (106) 와 방전 제어용 FET (105) 는, 2 차 전지 (107b) 의 부전원과 외부 단자 (113) 사이에 접속된다.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 (125) 는, 정전원 접속 단자 (108) 와 중간 단자 (109) 사이에 접속된다.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 (118) 는, 중간 단자 (109) 와 부전원 접속 단자 (110) 사이에 접속된다.
전압 검출 회로 (102) 는, 정전원 접속 단자 (108) 와 중간 단자 (109) 사이의 전압을 감시한다. 전압 검출 회로 (103) 는, 중간 단자 (109) 와 부전원 접속 단자 (110) 사이의 전압을 감시한다. 제어 회로 (104) 는, 전압 검출 회로 (102, 103) 의 출력을 받아 충전 제어용 FET (106) 와 방전 제어용 FET (105) 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중간 단자 풀림 제어 회로 (115) 는,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치 (116, 117) 의 온, 오프를 제어한다. 정전류원 (111) 은, 중간 단자 (109) 와 2 차 전지의 접속이 풀린, 즉 중간 단자 풀림이 발생했을 때에, 중간 단자 (109) 를 풀업한다. 정전류원 (114) 은, 중간 단자 (109) 와 2 차 전지의 접속이 풀린, 즉 중간 단자 풀림이 발생했을 때에, 중간 단자 (109) 를 풀다운한다. 정전류원 (111 과 114) 은 동등한 전류를 흘린다.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충방전 제어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충방전 제어 회로 (101) 에 의해 2 차 전지 (107a, 107b) 의 전압을 감시하고 있을 때, 중간 단자 풀림 제어 회로 (115) 는 스위치 (116) 와 스위치 (117) 를 소정 시간 교대로 온하도록 제어한다. 스위치 (116) 가 온되고, 스위치 (117) 가 오프됨으로써, 정전류원 (111) 은 정전원 접속 단자 (108) 와 중간 단자 (109) 사이에 접속된다. 또, 스위치 (116) 가 오프되고, 스위치 (117) 가 온됨으로써, 정전류원 (114) 은 중간 단자 (109) 와 부전원 접속 단자 (110) 사이에 접속된다.
중간 단자 (109) 와 2 차 전지의 접속이 풀린, 즉 중간 단자 풀림이 발생했을 때에, 스위치 (116) 가 온되면, 중간 단자 (109) 는 정전류원 (111) 에 의해 풀업되고, 중간 단자 (109) 와 부전원 접속 단자 (110) 사이의 전압 차이가 커진다. 따라서, 전압 검출 회로 (103) 는, 단자간 전압이 소정 전압 이상이 되면 중간 단자 풀림을 검출하여, 충전 제어용 FET (106) 를 오프한다. 또, 중간 단자 풀림이 발생했을 때에, 스위치 회로 (117) 가 온되면, 중간 단자 (109) 는 정전류원 (114) 에 의해 풀다운되고, 정전원 접속 단자 (108) 와 중간 단자 (109) 사이의 전압 차이가 커진다. 따라서, 전압 검출 회로 (102) 는, 단자간 전압이 소정 전압 이상이 되면 중간 단자 풀림을 검출하여, 충전 제어용 FET (106) 를 오프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정전류원 (111) 과 정전류원 (114) 의 전류를 동등하게 하고, 스위치 (116) 와 스위치 (117) 가 온되는 시간을 동등하게 했으므로, 2 차 전지 (107a) 와 2 차 전지 (107b) 로부터 흐르는 전류가 동등해져,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에 의한 각 2 차 전지에 대한 영향을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116, 117) 를 모두 오프하는 기간을 형성하여, 즉 소정의 간격을 두고 스위치 (116, 117) 를 온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언밸런스 전류가 흐르는 시간을 더욱 저감시키고, 스위치 (116, 117) 의 전환으로 언밸런스 전류를 시간 평균으로 상쇄할 수 있다. 이 때, 스위치 (116) 와 스위치 (117) 가 온되는 소정의 시간이나 간격은 적절히 설계되어도 된다.
또, 각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가, 동등한 정전류원과 동등한 온 시간을 갖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실시했지만, 흐르는 검출 전류의 총량이 동등하면, 어떻게 설정해도 된다.
또, 중간 단자를 풀업, 풀다운하는 수단으로서 정전류원을 사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2 개의 2 차 전지를 접속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2 차 전지의 수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충방전 제어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는,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에 의한 언밸런스 전류를 시간 평균으로 상쇄할 수 있고, 전지 전압의 언밸런스를 해소하여 배터리 장치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2 는, 제 2 실시형태의 충방전 제어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제 2 실시형태의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 (123) 는, 정전류원 (124) 과 스위치 (119, 120, 121, 122) 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119) 는, 일방의 단자가 정전원 접속 단자 (108) 에 접속되고, 타방의 단자가 정전류원 (124) 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된다. 정전류원 (124) 의 타방의 단자는, 스위치 (122) 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된다. 스위치 (122) 의 타방의 단자는, 부전원 접속 단자 (110) 와 접속된다. 스위치 (121) 는, 일방의 접속 단자가 스위치 (119) 와 정전류원 (124) 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타방의 단자가 중간 단자 (109) 에 접속된다. 스위치 (120) 는, 일방의 접속 단자가 스위치 (122) 와 정전류원 (124) 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타방의 단자가 중간 단자 (109) 에 접속된다.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의 충방전 제어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충방전 제어 회로 (101) 에 의해 2 차 전지 (107a, 107b) 의 전압을 감시하고 있을 때, 중간 단자 풀림 제어 회로 (115) 는 스위치 (119, 120) 와 스위치 (121, 122) 를 소정의 시간 교대로 온하도록 제어한다. 스위치 (119, 120) 가 온되고, 스위치 (121, 122) 가 오프됨으로써, 정전류원 (124) 은 정전원 접속 단자 (108) 와 중간 단자 (109) 사이에 접속된다. 또, 스위치 (119, 120) 가 오프되고, 스위치 (121, 122) 가 온됨으로서, 정전류원 (124) 은 중간 단자 (109) 와 부전원 접속 단자 (110) 사이에 접속된다.
중간 단자 (109) 와 2 차 전지의 접속이 풀린, 즉 중간 단자 풀림이 발생했을 때에, 스위치 (119, 120) 가 온되면, 중간 단자 (109) 는 정전류원 (124) 에 의해 풀업되고, 중간 단자 (109) 와 부전원 접속 단자 (110) 사이의 전압 차이가 커진다. 따라서, 전압 검출 회로 (103) 는, 단자간 전압이 소정 전압 이상이 되면 중간 단자 풀림을 검출하여, 충전 제어용 FET (106) 를 오프한다. 또, 중간 단자 풀림이 발생했을 때에, 스위치 (121, 122) 가 온되면, 중간 단자 (109) 는 정전류원 (124) 에 의해 풀다운되고, 정전원 접속 단자 (108) 와 중간 단자 (109) 사이의 전압 차이가 커진다. 따라서, 전압 검출 회로 (102) 는, 단자간 전압이 소정 전압 이상이 되면 중간 단자 풀림을 검출하여, 충전 제어용 FET (106) 를 오프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공통의 정전류원 (124) 에 의해, 스위치 (119, 120) 와 스위치 (121, 122) 가 온되는 시간을 동등하게 하여 중간 단자 풀림을 검출하도록 했으므로, 2 차 전지 (107a) 와 2 차 전지 (107b) 로부터 흐르는 전류가 동등해져,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 (123) 에 의한 각 2 차 전지에 대한 영향을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스위치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온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언밸런스 전류가 흐르는 시간을 더욱 저감시키고, 언밸런스 전류를 시간 평균으로 상쇄할 수 있다. 이 때, 각 스위치가 온되는 소정의 시간이나 간격은 적절히 설계되어도 된다.
또, 각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가, 동등한 정전류원과 동등한 온 시간을 갖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실시했지만, 흐르는 검출 전류의 총량이 동등하면, 어떻게 설정해도 된다.
또, 중간 단자를 풀업, 풀다운하는 수단으로서 정전류원을 사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2 개의 2 차 전지를 접속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2 차 전지의 수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충방전 제어 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는,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에 의한 언밸런스 전류를 시간 평균으로 상쇄할 수 있고, 전지 전압의 언밸런스를 해소하여 배터리 장치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107a, 107b : 2 차 전지
108 : 정전원 접속 단자
109 : 중간 단자
110 : 부전원 접속 단자
105 : 방전 제어용 FET
106 : 충전 제어용 FET
101, 125, 201 : 충방전 제어 회로
102, 103 : 전압 검출 회로
104, 204 : 제어 회로
115 : 중간 단자 풀림 제어 회로

Claims (4)

  1.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2 차 전지의 정극 단자와 전지간 접속 단자와 부극 단자가 각각 접속되는 정전원 접속 단자와 중간 단자와 부전원 접속 단자와,
    상기 정전원 접속 단자와 상기 중간 단자 사이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중간 단자 사이와, 상기 중간 단자와 상기 부전원 접속 단자 사이에, 소정의 시간마다 전환하여 검출 전류를 흘리는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와,
    상기 복수의 2 차 전지에 각각 병렬로 접속되는 복수의 전압 검출 회로와,
    상기 복수의 전압 검출 회로의 출력이 입력되는 제어 회로와,
    상기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를 제어하는 중간 단자 풀림 제어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는, 상기 중간 단자 풀림 제어 회로로부터의 신호로 제어되고, 상기 검출 전류를 흘리지 않는 기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단자 풀림 검출 회로는, 상기 복수의 전압 검출 회로에 각각 병렬로 복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제어 회로.
  3.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2 차 전지와,
    상기 복수의 2 차 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충방전 제어 회로와,
    상기 충방전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충방전 제어 스위치를 구비하는 배터리 장치.
  4. 삭제
KR1020140067563A 2013-06-07 2014-06-03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KR102178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21036 2013-06-07
JP2013121036A JP6066840B2 (ja) 2013-06-07 2013-06-07 充放電制御回路及びバッテリ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711A KR20140143711A (ko) 2014-12-17
KR102178993B1 true KR102178993B1 (ko) 2020-11-16

Family

ID=5200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563A KR102178993B1 (ko) 2013-06-07 2014-06-03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66993B2 (ko)
JP (1) JP6066840B2 (ko)
KR (1) KR102178993B1 (ko)
CN (1) CN104242374B (ko)
TW (1) TWI6317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9115B2 (ja) * 2015-09-17 2022-04-06 ヌヴォトンテクノロジージャパン株式会社 異常検出装置、及び電池システム
CN108258751B (zh) * 2016-12-28 2023-04-07 艾普凌科有限公司 充放电控制电路以及电池装置
JP6837899B2 (ja) * 2017-04-13 2021-03-03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バッテリ装置
JP6966864B2 (ja) * 2017-04-20 2021-11-17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バッテリ装置
CN107294167B (zh) * 2017-07-11 2020-08-25 成都芯源系统有限公司 电压均衡方法及电池均衡控制电路和电池均衡电路
CN107171405A (zh) * 2017-07-12 2017-09-15 长沙方星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断线保护技术的电池包
KR102529509B1 (ko) * 2018-05-15 2023-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399B1 (ko) * 1992-11-24 2002-12-11 세이코 인스트루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충/방전 제어 회로 및 충전가능한 전원장치
JP3581428B2 (ja) * 1995-04-28 2004-10-27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充電式電源装置
JP3270327B2 (ja) * 1996-05-24 2002-04-02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過充放電検出回路
JP4130186B2 (ja) * 2004-11-12 2008-08-06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4702331B2 (ja) * 2006-10-25 2011-06-15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010237079A (ja) * 2009-03-31 2010-10-21 Renesas Electronics Corp 断線検出回路及び断線検出方法
JP5529652B2 (ja) * 2009-08-27 2014-06-2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充放電制御回路及び充電式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239608A (ja) 2014-12-18
CN104242374A (zh) 2014-12-24
TW201517449A (zh) 2015-05-01
CN104242374B (zh) 2018-03-30
TWI631789B (zh) 2018-08-01
JP6066840B2 (ja) 2017-01-25
KR20140143711A (ko) 2014-12-17
US20140361746A1 (en) 2014-12-11
US9466993B2 (en)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993B1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CN1988315B (zh) 电池状态监测电路和电池装置
JP6370137B2 (ja) 充放電制御回路及びバッテリ装置
JP2013078242A (ja) 電源装置
KR20110022550A (ko) 충방전 제어 회로 및 충전식 전원 장치
KR102258826B1 (ko) 과충전 방지 장치 및 방법
WO2016063760A1 (ja) 電源装置、保護装置、及び保護方法
KR102439642B1 (ko) 배터리 장치
US10097036B2 (en) Uninterruptible power source device
WO2018230187A1 (ja) 電池監視装置
JP2009129657A (ja) 二次電池パック
CN106936175B (zh) 充放电控制电路及电池装置
JP6370191B2 (ja) バッテリ状態監視回路及びバッテリ装置
EP2216873A2 (en) Battery state monitoring circuit and battery device
JP2011055592A (ja) 二次電池、及びその充放電方法
JP2016154423A (ja) 電圧バランス装置
WO2014200195A1 (ko) 배터리의 과충전 및 과방전 제어회로
GB2509566A (en) Overcharge protection circuit with redundant voltage detector
JP2008054412A (ja) 充放電制御回路及び充電式電源装置
CN102005788A (zh) 电池状态监视电路以及电池装置
KR101888286B1 (ko) 스위치 회로의 제어 방법, 축전 상태 조정 회로, 축전 상태 조정 장치 및 축전지 팩
JP2008220021A (ja) 充電装置
JP2016220449A (ja) 二次電池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59046B2 (ja)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バッテリ装置
WO2015056468A1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