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299B1 - 연료 펌프와, 그의 입구 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연료 펌프와, 그의 입구 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299B1
KR102178299B1 KR1020190159516A KR20190159516A KR102178299B1 KR 102178299 B1 KR102178299 B1 KR 102178299B1 KR 1020190159516 A KR1020190159516 A KR 1020190159516A KR 20190159516 A KR20190159516 A KR 20190159516A KR 102178299 B1 KR102178299 B1 KR 102178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rod
bushing
armature
valve body
b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8595A (ko
Inventor
로버트 비. 페리
제이슨 씨. 쇼트
유세프 카조어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아이피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아이피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아이피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68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3809Common rail control systems
    • F02D41/3836Controlling the fuel pressure
    • F02D41/3845Controlling the fuel pressure by controlling the flow into the common rail, e.g. the amount of fuel pum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02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8Assembling; Disassembling; Repla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3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by variably-timed valves controlling fuel passages to pumping elements or overflow passages
    • F02M59/366Valves being actu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3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by variably-timed valves controlling fuel passages to pumping elements or overflow passages
    • F02M59/366Valves being actuated electrically
    • F02M59/367Pump inlet valves of the check valve type being open when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3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by variably-timed valves controlling fuel passages to pumping elements or overflow passages
    • F02M59/366Valves being actuated electrically
    • F02M59/368Pump inlet valves being closed when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02M59/464Inlet valves of the check valv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02M59/466Electrically operated valves, e.g. using electromagnetic or piezoelectric op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14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 F02M63/0015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electrical, e.g. using soleno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14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 F02M63/0015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electrical, e.g. using solenoid
    • F02M63/0017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electrical, e.g. using solenoid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02M63/0021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electrical, e.g. using solenoid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31Valve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valves, e.g. special valve member details, valve seat details, valve housing details
    • F02M63/0054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7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the groups F02M63/0014 - F02M63/0059
    • F02M63/0075Stop members in valves, e.g. plates or disks limiting the movement of armature, valve or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02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riven by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04B49/065Control using electricity and making use of compu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04B49/225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with throttling valves or valves varying the pump inlet opening or the outlet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1/00Pump parameters
    • F04B2201/06Valve parameters
    • F04B2201/0604Valve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6Motor parameter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4B2203/0605Rotational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연료 펌프(20)는, 펌핑 챔버(38)가 형성된 연료 펌프 하우징(28); 플런저 보어(30)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펌핑 플런저(34); 및 입구 밸브 조립체(40)를 구비한다. 상기 입구 밸브 조립체(40)는, 상기 펌핑 챔버(38)와 연료 공급 통로(22)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비안착 위치와, 상기 펌핑 챔버(38)와 상기 연료 공급 통로(22)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는 안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체크 밸브 부재(78); 및 와이어 권선(90); 폴 피스(84); 상기 와이어 권선(90)에 통전되지 않을 때의 제1 위치와, 상기 와이어 권선에 통전될 때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전기자(85); 상기 폴 피스(84)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전기자(85)를 바이어스하는 리턴 스프링(86); 및 상기 전기자(85)와 독립적으로 상기 입구 밸브 축(56)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어 로드(87)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연료 펌프와, 그의 입구 밸브 조립체{FUEL PUMP AND INLET VALVE ASSEMBLY THEREOF}
본 발명은 내연 기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펌프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 밸브 조립체를 구비하는 연료 펌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자동차 시장에서 사용하기 위해 가솔린에 의해 연료를 공급받는 현대의 내연 기관의 연료 시스템은 내연 기관의 연소실에 연료를 직접 분사하는 연료 인젝터가 제공되는 가솔린 직접 분사(GDi)를 채용한다. GDi를 채용하는 이러한 시스템에서, 연료 탱크로부터의 연료는, 일반적으로 연료 탱크 내에 위치한 전기 연료 펌프인 저압 연료 펌프에 의해 비교적 저압 하에서 공급된다. 저압 연료 펌프는 내연 기관의 캠축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펌핑 플런저를 구비하는 고압 연료 펌프에 연료를 공급한다. 펌핑 플런저의 왕복 운동은 내연 기관의 연소실에 연료를 직접 분사하는 연료 인젝터에 공급되도록 연료를 추가로 가압한다. 작동 중에, 내연 기관은 출력 토크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받는다. 다양한 출력 토크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펌핑 플런저의 각 스트로크에 의해 전달되는 연료의 질량도 변해야 한다. 고압 연료 펌프에 의한 연료의 전달을 변화시키는 하나의 전략은 각각의 흡기 스트로크 동안에 연료의 완전한 충전이 펌핑 챔버에 들어가게 하는 디지털 입구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지만, 디지털 입구 밸브는 일부 연료가 공급원을 향해 다시 흘리게 하도록 펌핑 플런저의 압축 스트로크의 일부 동안에 개방 유지하게 될 수 있다. 디지털 입구 밸브가 나머지의 압축 스트로크 동안에 닫히면, 연료가 가압되고, 가압된 연료는 연료 인젝터에 공급된다. 이러한 구성의 예는, Usui 등의 미국 특허 7,401,594호와, Yamada 등의 미국 특허 7,707,996호에 개시되어 있다.
디지털 흡기 밸브는 통상적으로 연료 인젝터에 공급되는 연료 전하를 결정하도록 솔레노이드 조립체에 의해 압축 스트로크의 일부 동안에 선택적으로 개방 유지되는 체크 밸브를 구비한다. 솔레노이드 조립체는 정지된 폴 피스와, 코일에 대한 전류의 인가에 근거하여 이동가능한 전기자를 구비한다. 코일이 통전하게 되면, 전기자가 폴 피스로 끌어 당겨진다. 반대로, 코일이 통전하지 않으면, 리턴 스프링은 폴 피스로부터 멀어지게 전기자를 가압한다. 체크 밸브의 상태에 영향을 주기 위해, 제어 로드는 전기자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코일이 통전하지 않으면, 제어 로드는 체크 밸브가 개방 위치에 유지되도록 가압한다. 반대로, 코일이 통전되면, 체크 밸브가 체크 밸브를 가로지르는 차압에 근거하여 체크 밸브가 정상적으로 기능할 때 체크 밸브가 개폐하게 하도록 제어 로드가 이동된다. 코일이 통전되거나 또는 통전되지 않고, 전기자 및 제어 로드 조합체가 위치를 변경하면, 전기자 및 제어 로드의 조합체가 주행 정지점에 도달할 때 소음이 발생한다. 전기자 및 제어 로드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소음은 전기자 및 제어 로드의 총 질량과, 조합체가 주행 정지점에 도달할 때 전기자 및 제어 로드 조합체의 충격 속도의 함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단점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는 연료 펌프 및 입구 체크 밸브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요약하면, 연료 펌프는, 펌핑 챔버가 형성된 연료 펌프 하우징; 플런저 보어 축을 따라 플런저 보어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펌핑 플런저로서, 상기 펌핑 플런저의 흡기 스트로크는 상기 펌핑 챔버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상기 펌핑 챔버의 압축 스트로크는 상기 펌핑 챔버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상기 펌핑 플런저; 및 입구 밸브 조립체를 구비한다. 상기 입구 밸브 조립체는, 1) 상기 펌핑 챔버와 연료 공급 통로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비안착 위치와, 2) 상기 펌핑 챔버와 상기 연료 공급 통로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는 안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체크 밸브 부재; 및 솔레노이드 조립체를 구비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조립체는, 와이어 권선; 폴 피스; 1) 상기 와이어 권선에 통전되지 않을 때의 제1 위치와, 2) 상기 와이어 권선에 통전될 때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입구 밸브 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전기자; 상기 폴 피스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전기자를 바이어스하는 리턴 스프링; 및 상기 전기자와 독립적으로 상기 입구 밸브 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어 로드를 구비한다. 상기 전기자의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비안착 위치에서 상기 체크 밸브 부재를 보유하도록 상기 제어 로드를 가압하고, 상기 전기자의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체크 밸브 부재가 상기 제어 로드를 이동하게 하여 상기 체크 밸브 부재가 상기 안착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본원에 기술된 연료 펌프 및 입구 밸브 조립체는 전기자와 제어 로드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하게 하여 위치를 변경할 때 보다 적은 개별적인 충격을 제공함으로써 입구 밸브 조립체의 작동과 관련된 소음을 최소화한다. 또한, 전기자와 제어 로드가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함으로써, 폴 피스에 도달함에 따라 전기자의 속도를 늦추는 유압 댐핑 효과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더 큰 평행성을 갖도록 전지가가 폴 피스에 충격을 허용하게 하여, 충격 소음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그리고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펌프를 구비하는 연료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료 펌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의 연료 펌프의 입구 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부분 확대도로서, 연료 펌프의 입구 밸브 조립체가 제1 위치에 있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도면으로서, 제2 위치에서의 입구 밸브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4 및 5의 도면으로서, 도 5의 위치로부터 도 4의 위치로 이동할 때의 과도 위치에서의 입구 밸브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7은 종래의 입구 밸브에 의해 생성된 음향 강도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입구 밸브에 의해 생성된 음향 강도의 플롯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 1을 우선 참조하면, 내연 기관(12)을 위한 연료 시스템(10)이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연료 시스템(10)은 일반적으로 그 작동을 위해 내연 기관(12)에 공급될 연료의 부피를 보유하는 연료 탱크(14); 내연 기관(12)의 각 연소실(미도시) 내로 직접 연료를 분사하는 복수의 연료 인젝터(16); 저압 연료 펌프(18); 및 저압 연료 펌프(18)가 연료 탱크(14)로부터 연료를 끌어당겨 고압 연료 펌프(20)가 연료 인젝터(16)로의 전달을 위해 연료의 압력을 더욱 상승시키는 고압 연료 펌프(20)를 구비한다.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저압 연료 펌프(18)는 연료의 압력을 약 500 kPa 이하로 상승시킬 수 있고, 고압 연료 펌프(20)는 연료의 압력을 약 14 MPa 이상으로 상승시킬 수 있고, 내연 기관(12)의 작동 요구에 따라 약 35 MPa일 수 있다. 4개의 연료 인젝터(16)가 도시되어 있지만, 더 적거나 더 많은 개수의 연료 인젝터(16)가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 연료 펌프(18)는 연료 탱크(14) 내에 제공될 수 있지만, 저압 연료 펌프(18)는 대안적으로 연료 탱크(14) 외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저압 연료 펌프(18)는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바와 같은 전기 연료 펌프일 수 있다. 저압 연료 공급 통로(22)는 저압 연료 펌프(18)로부터 고압 연료 펌프(20)로의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연료 압력 조절기(24)는 저압 연료 폄프(18)에 의해 공급되는 연료의 일부를 연료 리턴 통로(26)를 통해 연료 탱크(14)로 회수함으로써 저압 연료 공급 통로(22) 내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연료 압력 조절기(24)가 연료 탱크(14) 외부의 저압 연료 공급 통로(22)에 도시되어 있지만, 연료 압력 조절기(24)는 연료 탱크(14)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저압 연료 펌프(18)와 통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2를 추가로 참조하면, 고압 연료 펌프(20)는 플런저 보어 축(32)을 따라 연장되어 그 중심에 위치하는 플런저 보어(30)를 구비하는 연료 펌프 하우징(28)을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보어(30)는 인서트의 조합에 의해 그리고 연료 펌프 하우징(28)에 의해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압 연료 펌프(20)는 내연 기관(12)의 회전 캠축(36)(도 1에만 도시)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플런저 보어(30) 내에 위치되고, 플런저 보어 축(32)을 따라 플런저 보어(30)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펌핑 플런저(34)를 구비한다. 펌핑 챔버(38)는 연료 펌프 하우징(28) 내에 형성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펌핑 챔버(38)는 플런저 보어(30) 및 펌핑 플런저(34)에 의해 형성된다. 고압 연료 펌프(20)의 입구 밸브 조립체(40)는 연료 펌프 하우징(28)의 펌프 하우징 입구 통로(41) 내에 위치되어, 출구 밸브 조립체(42)가 연료 펌프 하우징(28)의 출구 통로(43) 내에 위치되는 동안에 저압 연료 펌프(18)로부터의 연료가 펌핑 챔버(38)에 선택적으로 들어가게 하고, 각각의 연료 인젝터(16)가 유체 연통하는 연료 레일(44)을 통해 펌핑 챔버(38)로부터 연료 인젝터(16)로 연료가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한다. 작동 시, 펌핑 플런저(34)의 왕복 운동은, 플런저 리턴 스프링(46)이 펌핑 플런저(34)를 아래로 이동하게 하는 펌핑 플런저의 흡기 스트로크(도 2의 배향과 같은 하향) 동안에 펌핑 챔버(38)의 부피가 증가하게 하고, 반대로 캠축(36)이 펌핑 플런저(34)를 플런저 리턴 스프링(46)의 힘에 대해 위로 이동하게 하는 압축 스트로크(도 2의 배향과 같은 상향) 동안에 펌핑 챔버(38)의 부피가 감소하게 한다. 이로써, 연료는 흡기 스트로크 동안에 펌핑 챔버(38) 내로 유도되고, 반대로 연료는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입구 밸브 조립체(40)의 작동 상태에 따라서 압축 스트로크 동안에 펌핑 플런저(34)에 의해 펌핑 챔버(38) 내에서 가압되어, 연료 레일(44) 및 연료 인젝터(16)로의 압력 하에서 출구 밸브 조립체(42)를 통해 배출된다. 명확성을 위해, 펌핑 플런저(34)는 흡기 스트로크를 나타내도록 도 2에서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펌핑 플런저(34)는 압축 스트로크를 나타내도록 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고압 연료 펌프(20)는 출구 밸브 조립체(42)의 하류 압력이 방치하지 않으면 안전하지 않은 작동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사전결정된 한계에 도달할 경우 펌핑 챔버(38)로 유체 경로를 다시 제공하기 위해 출구 밸브 조립체(42)의 하류에 배치되는 압력 릴리프 밸브 조립체(48)를 구비한다.
출구 밸브 조립체(42)는 일반적으로 출구 밸브 부재(42a), 출구 밸브 시트(42b) 및 출구 밸브 스프링(42c)을 구비한다. 볼(ball)로서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 도시된 출구 밸브 부재(42a)는 출구 밸브 스프링(42c)에 의해 출구 밸브 시트(42b)를 향해 바이어스되며, 여기서 출구 밸브 스프링(42c)은 펌핑 챔버(38)와 연료 레일(44) 간의 사전결정된 압력차가 성취할 때 출구 밸브 부재(42a)를 개방하도록 선택된다. 출구 밸브 조립체(42)는, 출구 밸브 조립체(42)를 통해 연료가 펌핑 챔버(38) 외부로 흐르도록 배향되지만, 연료는 출구 밸브 조립체(42)를 통해 펌핑 챔버(38) 내로 흐르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압력 릴리프 밸브 조립체(48)는 일반적으로 압력 릴리프 밸브 부재(48a), 압력 릴리프 밸브 시트(48b) 및 압력 릴리프 밸브 스프링(48c)을 구비한다. 볼로서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 도시된 압력 릴리프 밸브 부재(48a)는 압력 릴리프 밸브 스프링(48c)에 의해 압력 릴리프 밸브 시트(48b)를 향해 바이어스되며, 여기서 압력 릴리프 밸브 스프링(48c)은 펌핑 챔버(38)와 연료 레일(44) 사이의 사전결정된 압력차가 성취될 때. 압력 릴리프 밸브 부재(48a)를 개방하도록 선택된다. 압력 릴리프 밸브 조립체(48)는, 압력 릴리프 밸브 조립체(48)를 통해 연료가 펌핑 챔버(38) 내로 흐르도록 배향되지만, 연료는 압력 릴리프 밸브 조립체(48)를 통해 펌핑 챔버(38) 외부로 흐를 수 없다.
입구 밸브 조립체(40)는 도 1 및 2를 계속하여 참조하고 그리고 특히 도 3-6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입구 밸브 조립체(40)는 밸브 본체(50), 체크 밸브(52) 및 솔레노이드 조립체(54)를 구비한다. 입구 밸브 조립체(40)의 다양한 요소는 하기의 단락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밸브 본체(50)는 입구 밸브 축(56)에 대해 중심설정되어 입구 밸브 축(56)을 따라 연장되어, 밸브 본체(50)는 밸브 본체 제1 단부(50a)로부터 밸브 본체 제2 단부(50b)까지 연장된다. 밸브 본체 보어(58)는 밸브 본체 제1 단부(50a)로부터 밸브 본체(50) 내로 연장되고, 밸브 본체 보어(58)가 바람직하게 원통형이 되도록 밸브 본체 제2 단부(50b)로 연장되는 밸브 본체 단부 벽(60)에서 종결된다. 하나 이상의 밸브 본체 입구 통로(62)는 밸브 본체(50)를 통해 연장되어, 밸브 본체 입구 통로(62)가 밸브 본체(50)의 밸브 본체 외주부(50c)로부터 연장되고 밸브 본체 보어(58) 내로 개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본체(50)는 다수-피스 구성일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단일 피스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 본체 중앙 통로(66)는 밸브 본체 단부 벽(60)을 통해 연장되어, 밸브 본체 중앙 통로(66)가 밸브 본체 제2 단부(50b)를 밸브 본체 보어(58)와 연결하고, 밸브 본체 중앙 통로(66)가 입구 밸브 축(56)에 대해 중심설정되어 입구 밸브 축(56)을 따라 연장된다. 복수의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는 밸브 본체 단부 벽(60)에 제공되어, 각각의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가 밸브 본체 단부 벽(60)을 통해 연장되고, 각각의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가 밸브 본체 제2 단부(50b)를 밸브 본체 보어(58)와 연결한다. 각각의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는 밸브 본체 중앙 통로(66)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입구 밸브 축(56)에 평행한 방향으로 밸브 본체 단부 벽(60)을 통해 연장된다.
체크 밸브(52)는 체크 밸브 부재(78) 및 이동 제한기(80)를 구비한다. 체크 밸브(52)는 밸브 본체 제2 단부(50b)에 배치되어, 상세하세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를 차단하는 안착 위치(도 5에 도시)와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를 차단하지 않는 개방 위치(도 4 및 6에 도시) 사이에서 체크 밸브 부재(78)가 이동된다. 체크 밸브 부재(78)는, 그를 통해 연장되는 체크 밸브 통로(78b)를 갖는 평탄한 플레이트인 체크 밸브 중앙부(78a)를 구비하며, 여기서는 선택된 체크 밸브 통로(78b)만이 명확성을 위해 도 3에 표시되어 있다. 체크 밸브 통로(78b)는 체크 밸브 통로(78b)가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와 축방향으로 정렬되지 않도록 체크 밸브 중앙부(78a)를 통해 배치된다. 복수의 체크 밸브 레그(78c)는, 체크 밸브 레그(78c)가 탄성이고 호환적이도록 체크 밸브 중앙부(78a)로부터 연장된다. 체크 밸브 레그(78c)의 자유 단부는, 예컨대 용접에 의해 밸브 본체 제2 단부(50b)에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밸브 본체 보어(58)와 펌핑 챔버(38) 사이의 압력차가 충분히 높을 때, 체크 밸브 중앙부(78a)는 체크 밸브 레그(78c)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밸브 본체 제2 단부(50b)로부터 이탈되어,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를 개방시킨다. 이동 제한기(80)는 체크 밸브 부재(78)의 허용가능한 변위량을 제공하기 위해 밸브 본체 제2 단부(50b)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이동 제한기 링(80a)을 구비한다. 또한, 이동 제한기(80)는 이동 제한기 링(80a)과 밸브 본체 제2 단부(50b) 사이의 축방향 간격을 제공하는 복수의 이동 제한기 레그(80b)를구비한다. 이동 제한기 레그(80b)는 이동 제한기 링(80a)과 일체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밸브 본체 제2 단부(50b)에 고정된다.
솔레노이드 조립체(54)는 내부 하우징(82), 내부 하우징(82) 내에 위치한 폴 피스(84), 내부 하우징(82) 내에 위치한 전기자(85), 폴 피스(84)로부터 멀어지게 전기자(85)를 바이어스하는 리턴 스프링(86), 제어 로드(87), 스풀(88), 코일(90), 오버몰드(92), 및 외부 하우징(94)을 구비한다. 솔레노이드 조립체(54)의 다양한 요소는 이하의 단락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내부 하우징(82)은 중공형이며, 입구 밸브 축(56)에 대해 중심설정되고, 그를 따라 연장된다. 내부 하우징(82)의 외주부는 밸브 본체 보어(58)의 내주부와 밀봉식으로 결합한다.
폴 피스(84)는 자기적으로 투과성인 재료로 제조되고, 폴 피스(84)가 입구 밸브 축(56)에 대해 중심설정되고 그를 따라 연장되도록, 예를 들어 간섭 끼워맞춤 또는 용접에 의해 내부 하우징(82)과 고정된 관계로 내부 하우징(82) 내에 수용된다. 폴 피스(84)의 폴 피스 제1 단부(84a)는 폴 피스 제1 단부(84a)로부터 폴 피스 스프링 포켓 바닥면(84c)으로 연장되는 폴 피스 스프링 포켓(84b)을 구비하여, 폴 피스 스프링 포켓(84b)가 원통형이며 입구 밸브 축(56)에 대해 중심설정될 수 있고, 리턴 스프링(86)의 일부가 폴 피스 스프링 포켓 바닥면(84c)과 맞닿아 폴 피스 스프링 포켓(84b) 내에 위치된다.
전기자(85)는 자석에 의해 끌어 당겨지는 재료로 제조되고, 전기자(85)가 입구 밸브 축(56)에 대해 중심설정되고 그를 따라 연장되도록 입구 밸브 축(56)을 따라 내부 하우징(82)에 슬라이딩가능한 관계로 내부 하우징(82) 내에 수용된다. 전기자(85)는 도시된 바와 같이 2-피스 구조일 수 있으며, 이는 폴 피스(84)에 근접한 전기자 제1 부분(85a)과, 예를 들어 용접 또는 기계식 파스너에 의해 전기자 제1 부분(85a)에 고정되는 전기자 제2 부분(85b)을 구비한다. 전기자 제1 부분(85a)은 폴 피스(84)에 근접하고 입구 밸브 축(56)에 대해 중심설정되고 그를 따라 연장되는 전기자 제1 단부(85d)로부터 연장되는 전기자 스프링 보어(85c)를 구비한다. 리턴 스프링(86)의 일부는 전기자 스프링 보어(85c) 내에 위치되어 전기자 제2 부분(85b)과 인접하여, 리턴 스프링(86)은 전기자 제2 부분(85b)과 폴 피스 스프링 포켓 바닥면(84c) 사이에서 압축 유지됨으로써, 폴 피스(8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기자(85)를 바이어스한다. 전기자 제2 부분(85b)은 전기자 제어 로드 보어(85e)가 입구 밸브 축(56)에 대해 중심설정되고 그를 따라 연장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기자 제어 로드 보어(85e)를 구비한다.
제어 로드(87)는, 제어 로드(87)가 입구 밸브 축(56)에 대해 중심설정되고 그를 따라 연장되도록 전기자(85)에 근위인 제어 로드 제1 단부(87a)로부터 체크 밸브 부재(78)에 근위인 제어 로드 제2 단부(87b)까지 연장된다. 제어 로드(87)는 환형 형상이고 전기자(85)를 향해 대면하며,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 밸브 축(56)에 횡방향인 제어 로드 제1 숄더(87c)를 구비한다. 제어 로드 제1 표면(87d)은 제어 로드 제1 단부(87a)로부터 제어 로드 제1 숄더(87c)까지 연장되어, 제어 로드 제1 표면(87d)은 전기자 제어 로드 보어(85e) 내의 제어 로드 제1 표면(87d)의 반경방향 운동(즉, 입구 밸브 축(56)의 횡방향)을 방지하는 한편, 전기자 제어 로드 보어(85e) 내에서 제어 로드 제1 표면(87d)이 축방향(즉, 입구 밸브 축(56)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게 하는 근접 슬라이딩 계면부에서 전기자 제어 로드 보어(85e)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제어 로드 제1 표면(87d)과 전기자 제어 로드 보어(85e) 사이의 근접 슬라이딩 계면부는 제어 로드(87)가 전기자(85)와는 독립적으로 입구 밸브 축(56)을 따라 이동하게 것이 중요하다. 제어 로드 제1 숄더(87c)는 제어 로드 제1 표면(87d)이 전기자 제어 로드 보어(85e) 내로 삽입되고 제어 로드 제1 숄더(87c)가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어 로드(87)를 체크 밸브 부재(78)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전기자(85)가 반응하는 표면을 제공한다. 제어 로드(87)는 환형 형상이고 밸브 본체 단부 벽(60)을 향해 대면하며,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 밸브 축(56)에 횡방향인 제어 로드 제2 숄더(87e)를 구비한다. 제어 로드 제2 표면(87f)은 제어 로드 제2 단부(87b)로부터 제어 로드 제2 숄더(87e)까지 연장되어, 제어 로드 제2 표면(87f)은 밸브 본체 중앙 통로(66) 내의 제어 로드 제2 표면(87f)의 반경방향 운동(즉, 입구 밸브 축(56)의 횡방향)을 방지하는 한편, 밸브 본체 중앙 통로(66) 내에서 제어 로드 제2 표면(87f)이 축방향(즉, 입구 밸브 축(56)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게 하는 근접 슬라이딩 계면부에서 밸브 본체 중앙 통로(66)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사용 시에, 제어 로드 제2 단부(87b)는 상세하세 후술되는 바와 같이 체크 밸브(52), 특히 체크 밸브 부재(78)와 접속하도록 이용된다.
본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로드(87)는 제어 로드 중앙부(87g), 관형이고 제어 로드 중앙부(87g)에 고정되는 제어 로드 제1 부싱(87h), 및 관형이고 제어 로드 중앙부(87g)에 고정되는 제어 로드 제2 부싱(87i)을 구비하는 멀티-피스 구성일 수 있다. 제어 로드 중앙부(87g)는 바람직하게 원통형이며, 제어 로드 중앙부(87g)가 제어 로드 제1 부분(87a)으로부터 제어 로드 제2 단부(87b)까지 연장되도록 입구 밸브 축(56)에 대해 중심설정된다.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어 로드 중앙부(87g)는 상업적으로 유용한 롤러 베어링일 수 있다. 제어 로드 제1 부싱(87h)은 바람직하게 입구 밸브 축(56)에 대해 중심설정되고 그를 따라 연장되는 그 외주부 상에서 원통형이므로, 제어 로드 제1 숄더(87c)가 제어 로드 제1 부싱(87h)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제어 로드 제1 부싱(87h)은 제어 로드 제1 부싱 보어(87j)가 바람직하게 원통형이 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어 로드 제1 부싱 보어(87j)를 구비한다. 제어 로드 제1 부싱(87h)과 제어 로드 중앙부(87g) 사이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 로드 제1 부싱(87h)은, 예를 들어 제어 로드 제1 부싱 보어(87j)와 제어 로드 중앙부(87g) 사이의 간섭 끼워맞춤 및 용접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어 로드 중앙부(87g)에 고정된다. 유사하게, 제어 로드 제2 부싱(87i)은 바람직하게 입구 밸브 축(56)에 대해 중심설정되고 그를 따라 연장되는 그 외주부 상에 원통형이므로, 제어 로드 제2 숄더(87e)가 제어 로드 제2 부싱(87i)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제어 로드 제1 부싱(87i)은 제어 로드 제2 부싱 보어(87k)가 바람직하게 원통형이 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어 로드 제2 부싱 보어(87k)를 구비한다. 제어 로드 제2 부싱(87i)과 제어 로드 중앙부(87g) 사이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 로드 제2 부싱(87i)은, 예를 들어 제어 로드 제2 부싱 보어(87k)와 제어 로드 중앙부(87g) 사이의 간섭 끼워맞춤 및 용접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어 로드 중앙부(87g)에 고정된다. 제어 로드 중앙부(87g)를 멀티-피스 구성요소로 제조함으로써, 제어 로드 중앙부(87g)는 제어 로드(87)와 밸브 본체 중앙 통로(66) 사이 그리고 제어 로드(87)와 전기자 제어 로드 보어(85e) 사이에 요구되는 근접 슬라이딩 끼워맞춤에 중요한 표면 마무리 및 공차에 의해 저비용으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롤러 베어링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성에서, 제어 로드 제1 부싱(87h) 및 제어 로드 제2 부싱(87i)은 구성 요소의 개수를 최소화하지만, 질량 증가의 단점을 갖는 단일 부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대안에서, 제어 로드(87)는 터닝 작업에서 단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스풀(88)은 전기 절연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입구 밸브 축(56)에 대해 중심설정되고 그를 따라 연장됨으로써 스풀(88)이 근접 끼워맞춤 관계로 내부 하우징(82)을 원주방향으로 둘러싼다. 코일(90)은, 코일(90)이 폴 피스(84)의 일부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도록 스풀(88)의 외주 둘레에 권취된 전도성 와이어의 권선이다. 결과적으로, 코일(90)이 전류로 통전될 때, 전기자(85)는 폴 피스(84)에 자기적으로 끌려서 폴 피스(84)를 향해 이동되고, 코일(90)이 전류로 통전되지 않을 때, 전기자(85)는 리턴 스프링(86)에 의해 폴 피스(84)로부터 멀어 지도록 이동된다. 더 상세한 동작 설명은 이후에 제공될 것이다.
외부 하우징(94)은 스풀(88) 및 코일(90)이 내부 하우징(82)과 외부 하우징(94)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위치되도록 내부 하우징(82), 스풀(88) 및 코일(90)을 원주방향으로 둘러싼다. 오버몰드(92)는, 코일(90)의 대향 단부에 연결되는 단자(미도시)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96)를 형성하기 위해 오버몰드(92)가 외부 하우징(94)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스풀(88)/코일(90)과 외부 하우징(94) 사이의 공극을 충전하는 전기 절연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이다. 전기 커넥터(96)는 사용 시에 코일(9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상보적인 전기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와셔(98)는 솔레노이드 조립체(54)의 자기 회로를 완성하기 위해 코일(90)과 오버몰드(92)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외부 하우징(94)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고압 연료 펌프(20), 특히 입구 밸브 조립체(40)의 작동은, 솔레노이드 조립체(54)의 코일(9)에 공급되는 전류가 없는 제1 위치에서 전기자(85)를 도시하는 도 4를 특히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코일(90)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을 때, 리턴 스프링(86)은 폴 피스(84)로부터 멀어지게 전기자(85)를 가압한다. 전기자(85)가 폴 피스(84)로부터 멀어지게 가압되고, 전기자 제2 부분(85b)은 제어 로드 제1 숄더(87)와 접촉하게 되고, 제어 로드 제2 단부(87b)가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를 통해 흐름을 허용하는 비안착 위치로 체크 밸브 부재(78)를 이동하여 체크 밸브 부재(78)를 보유하도록 그리고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가 펌핑 챔버(38)와 유체 연통하도록 제어 로드 제2 단부(87b)가 밸브 본체 제2 단부(50b)를 지나 돌출하게 하는 밸브 본체 단부 벽(60)에 제어 로드 제2 숄더(87e)가 인접할 때까지 체크 밸브 부재(78)를 향해 가압된다. 그러나, 전기자(85)는 전체 이동 기간 동안에 제어 로드 제1 숄더(87c)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어, 전기자(85)가 제어 로드 제1 숄더(87c)와 다시 접촉하기 전에 제어 로드 제2 숄더(87e)가 밸브 본체 단부 벽(60)에 인접하게 함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과적으로, 2개의 더 적은 개별적인 충격이 발생하여 소음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 6은 제어 로드 제2 숄더(87e)가 밸브 본체 단부 벽(60)에 충격을 준 과도 위치를 도시하지만, 전기자(85)는 제어 로드 제1 숄더(87c)와 다시 접촉하지 않았다. 이론에 구속되지 않으면서, 이는 전기자(85)가 제어 로드 제1 숄더(87c)에 충격을 주고, 전기자(85) 앞으로 제어 로드(87)를 추진할 수 있다. 체크 밸브 부재(78)를 개방 유지하는 것은 연료 인젝터(16)에 전달되도록 요구되는 연료의 질량에 근거하여 펌핑 플런저(34)의 압축 스트로크의 일부 동안에 펌프 하우징 입구 통로(41)를 향해 연료가 다시 유출되게 하도록 이용될 수 있고, 즉 내연 기관(12)의 상이한 작동 조건은 펌핑 플런저(34)의 각각의 펌핑 사이클을 위해 연료 인젝터(16)로 전달되도록 상이한 연료 질량을 필요로 하고, 연료 인젝터(16)에 전달된 연료의 질량은 압축 스트로크에서 수반된 연료의 일부가 펌프 하우징 입구 통로(41)로 다시 유출되게 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100)은 압축 스트로크 동안에 코일(90)에 전류를 공급하는 시간을 정하여, 연료 인젝터(16)에 공급되는 압축 스트로크로부터의 연료의 비율과, 펌프 하우징 입구 통로(41)로 다시 유출되는 압축 스트로크로부터의 연료의 비율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100)은 내연 기관(12)에 의해 생성되도록 소망되는 명령된 토크에 근거하여 변할 수 있는 연료 레일(44) 내의 소정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코일(90)에 전류를 공급하는 적절한 타이밍을 제공하도록 연료 레일(44)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102)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제 도 5를 특히 참조하면, 전기자(85)는 솔레노이드 조립체(54)의 코일(90)에 전류가 공급되는 제2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전류가 코일(90)에 공급될 때, 전기자(85)는 전기자 제1 단부(85d)가 폴 피스 제1 단부(84a)에 인접할 때까지 폴 피스(85)로 끌어 당겨져서 폴 피스(85)를 향해 이동한다. 펌핑 플런저(34)의 압축 스트로크 동안에 전류가 코일(90)에 공급될 때, 펌핑 챔버(38) 내의 연료 압력은 체크 밸브 부재(78)에 작용하고, 전기자(85)가 제어 로드(87)에 더 이상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체크 밸브 부재(78)는, 체크 밸브 부재(78)가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를 차단할 때까지 전기자(85)를 향해 제어 로드(87)를 가압한다. 제어 밸브(87)와 전기자(85)가 입구 밸브 축(56)을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자(85)는 제어 로드 제1 숄더(87c)로부터 분리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폴 피스(84)와 맞닿는 전기자(85)의 질량으로 인한 충격만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충격이 제어 로드(87)의 질량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입구 제어 밸브에 비해 더 작은 음향 강도가 생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전기자(85)의 위치는 체크 밸브 부재(78)가 안착 위치에 있을 필요는 없지만, 체크 밸브 부재(78)의 상태는 체크 밸브 부재(78)를 가로지르는 차압에 의해 결정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체크 밸브 부재(78)는 흡기 스트로크 동안에 개방되어 연료가 펌핑 챔버(38)로 흐르게 한다.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입구 밸브 조립체(40)를 구비한 고압 연료 펌프(20)는 전기자(85)와 제어 로드(87)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하게 하여, 통전 위치로부터 비통전 위치로 변경할 때 더 적은 개별적인 충격, 즉 전기자(85)와 제어 로드(87)로부터 상이한 시간에 발생하는 개별적인 충격을 제공함으로써, 또한 통전 위치로부터 비통전 위치로 변경할 때 더 적은 충격, 즉 전기자(85)의 질량만으로부터 생성되는 충격을 제공함으로써, 입구 밸브 조립체(40)의 작동과 관련된 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을 돕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밸브 조립체(40)의 소음강도는 20Hz 내지 20,000Hz의 음향 주파수에 대해 플롯팅되었고, 유사하게 종래의 유입 밸브 조립체, 즉 전기자와 제어 로드가 서로 강하게 결합된 음향 강도는 20Hz 내지 20,000Hz의 음향 주파수에 대해 플롯팅되었다. 입구 제어 밸브에 의해 생성되는 소음이 다른 소음이 최소화되어 가장 두드러지는 경향이 있는 아이들(idle)에서 작동하는 내연 기관의 일반적인 작동 조건을 나타내는 MPa의 출력을 생성하도록 고압 펌프를 위해 작동하는 입구 밸브를 갖는 내연 기관이 분당 750회전(RPM)으로 작동되는 양자의 샘플에 대해 시험이 수행되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지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면, 입구 밸브 조립체(40)는 주파수 범위에 걸쳐 더 낮은 음향 강도를 생성하였다. 그러나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는 사람위 귀에 가장 두드러지는 범위인 2,000Hz-20,000Hz 범위에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도 7을 생성하는데 사용 된 데이터로부터, 입구 밸브 조립체(40)의 평균 음향 강도는 52.9dB인 반면, 종래의 입구 밸브 조립체의 평균 음향 강도는 59.3dB이므로, 매우 바람직한 6.4dB의 개선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관점에서 설명되었지만, 이는 그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로 의도된다.

Claims (19)

  1. 연료 펌프(20)에 있어서,
    펌핑 챔버(38)가 형성된 연료 펌프 하우징(28);
    플런저 보어 축(32)을 따라 플런저 보어(30)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펌핑 플런저(34)로서, 상기 펌핑 플런저(34)의 흡기 스트로크는 상기 펌핑 챔버(38)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상기 펌핑 플런저(34)의 압축 스트로크는 상기 펌핑 챔버(38)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상기 펌핑 플런저(34); 및
    입구 밸브 조립체(40)
    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 밸브 조립체(40)는,
    1) 상기 펌핑 챔버(38)와 연료 공급 통로(22)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비안착 위치와, 2) 상기 펌핑 챔버(38)와 상기 연료 공급 통로(22)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는 안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체크 밸브 부재(78); 및
    와이어 권선(90); 폴 피스(84); 1) 상기 와이어 권선(90)에 통전되지 않을 때의 제1 위치와, 2) 상기 와이어 권선(90)에 통전될 때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입구 밸브 축(56)을 따라 이동가능한 전기자(85); 상기 폴 피스(84)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전기자(85)를 바이어스하는 리턴 스프링(86); 및 상기 전기자(85)와 독립적으로 상기 입구 밸브 축(56)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어 로드(87)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조립체(54)
    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85)의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비안착 위치에서 상기 체크 밸브 부재(78)를 보유하도록 상기 제어 로드(87)를 가압하고,
    상기 전기자(85)의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체크 밸브 부재(78)가 상기 제어 로드(87)를 이동하게 하여 상기 체크 밸브 부재(78)가 상기 안착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연료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85)는 전기자 제어 로드 보어(85e)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로드(87)는 상기 전기자 제어 로드 보어(85e)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어 로드(87)가 상기 전기자 제어 로드 보어(85e) 내에서 상기 입구 밸브 축(56)을 따라 이동가능한,
    연료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드(87)는 근접 슬라이딩 계면부에서 상기 전기자 제어 로드 보어(85e)와 접속하는,
    연료 펌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드(87)는, 상기 제어 로드(87)가 상기 전기자 제어 로드 보어(85e) 내로 연장되는 크기를 제한하는 제어 로드 숄더(87c)를 구비하는,
    연료 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드(87)는 제어 로드 중앙부(87g) 및 제어 로드 부싱(87h)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 로드 부싱(87h)은 상기 제어 로드 중앙부(87g)와 상기 제어 로드 부싱(87h) 사이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 로드(87)에 고정되고,
    상기 제어 로드 부싱(87h)은 제어 로드 부싱 보어(87j)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로드 중앙부(87g)는 상기 제어 로드 부싱 보어(87j)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어 로드 숄더(87c)는 상기 제어 로드 부싱(87h) 상에 제공되는,
    연료 펌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밸브 조립체(40)는 밸브 본체 단부 벽(60)을 갖는 밸브 본체(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 본체 단부 벽(60)은, 그를 통해 연장되는 밸브 본체 중앙 통로(66)와, 그를 통해 연장되는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를 갖고, 상기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는 상기 체크 밸브 부재(78)가 상기 안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체크 밸브 부재(78)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는 상기 체크 밸브 부재(78)가 상기 펌핑 챔버(38)와 상기 연료 공급 통로(22) 사이에서 상기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를 통해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상기 비안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체크 밸브 부재(78)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상기 제어 로드(87)는 근접 슬라이딩 계면부에서 상기 밸브 본체 중앙 통로(66)와 접속하는,
    연료 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드 숄더(87c)는 제어 로드 제1 숄더(87c)이고,
    상기 제어 로드(87)는, 상기 제어 로드(87)가 상기 밸브 본체 중앙 통로(66) 내로 연장되는 크기를 제한하는 제어 로드 제2 숄더(87e)를 구비하는,
    연료 펌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드 부싱(87h)은 제어 로드 제1 부싱(87h)이고;
    상기 제어 로드 부싱 보어(87j)는 제어 로드 제1 부싱 보어(87j)이고,
    상기 제어 로드(87)는 상기 제어 로드 중앙부(87g)와 상기 제어 로드(87) 부싱 사이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 로드 제2 부싱(87i)이 상기 제어 로드(87)에 고정되도록 제어 로드 제2 부싱(87i)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로드 제2 부싱(87i)은 제어 로드 제2 부싱 보어(87k)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로드 중앙부(87g)는 상기 제어 로드 제2 부싱 보어(87k)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어 로드 제2 숄더(87e)는 상기 제어 로드 제2 부싱(87i) 상에 제공되는,
    연료 펌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밸브 조립체(40)는 밸브 본체 단부 벽(60)을 갖는 밸브 본체(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 본체 단부 벽(60)은, 그를 통해 연장되는 밸브 본체 중앙 통로(66)와, 그를 통해 연장되는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를 갖고, 상기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는 상기 체크 밸브 부재(78)가 상기 안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체크 밸브 부재(78)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는 상기 체크 밸브 부재(78)가 상기 펌핑 챔버(38)와 상기 연료 공급 통로(22) 사이에서 상기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를 통해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상기 비안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체크 밸브 부재(78)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상기 제어 로드(87)는 근접 슬라이딩 계면부에서 상기 밸브 본체 중앙 통로(66)와 접속하는,
    연료 펌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드(87)는, 상기 제어 로드(87)가 상기 밸브 본체 중앙 통로(66) 내로 연장되는 크기를 제한하는 제어 로드 숄더(87e)를 구비하는,
    연료 펌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드(87)는 제어 로드 중앙부(87g) 및 제어 로드 부싱(87i)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 로드 부싱(87i)은 상기 제어 로드 중앙부(87g)와 상기 제어 로드 부싱(87i) 사이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 로드(87)에 고정되고,
    상기 제어 로드 부싱(87i)은 제어 로드 부싱 보어(87k)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로드 중앙부(87g)는 상기 제어 로드 부싱 보어(87k)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어 로드 숄더(87c)는 상기 제어 로드 부싱(87i) 상에 제공되는,
    연료 펌프.
  12. 펌핑 챔버(38)가 형성된 연료 펌프 하우징(28); 및 플런저 보어 축(32)을 따라 플런저 보어(30)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펌핑 플런저(34)로서, 상기 펌핑 플런저(34)의 흡기 스트로크는 상기 펌핑 챔버(38)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상기 펌핑 플런저(34)의 압축 스트로크는 상기 펌핑 챔버(38)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상기 펌핑 플런저(34)를 갖는 연료 펌프용 입구 밸브 조립체(40)에 있어서,
    1) 상기 입구 밸브 조립체(40)를 통해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비안착 위치와, 2) 상기 입구 밸브 조립체(40)를 통해 유체 연통을 방지하는 안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체크 밸브 부재(78); 및
    와이어 권선(90); 폴 피스(84); 1) 상기 와이어 권선(90)에 통전되지 않을 때의 제1 위치와, 2) 상기 와이어 권선(90)에 통전될 때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입구 밸브 축(56)을 따라 이동가능한 전기자(85); 상기 폴 피스(84)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전기자(85)를 바이어스하는 리턴 스프링(86); 및 상기 전기자(85)와 독립적으로 상기 입구 밸브 축(56)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어 로드(87)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 조립체(54)
    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85)의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비안착 위치에서 상기 체크 밸브 부재(78)를 보유하도록 상기 제어 로드(87)를 가압하고,
    상기 전기자(85)의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체크 밸브 부재(78)가 상기 제어 로드(87)를 이동하게 하여 상기 체크 밸브 부재(78)가 상기 안착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입구 밸브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85)는 전기자 제어 로드 보어(85e)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로드(87)는 상기 전기자 제어 로드 보어(85e)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어 로드(87)가 상기 전기자 제어 로드 보어(85e) 내에서 상기 입구 밸브 축(56)을 따라 이동가능한,
    입구 밸브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드(87)는 근접 슬라이딩 계면부에서 상기 전기자 제어 로드 보어(85e)와 접속하는,
    입구 밸브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드(87)는, 상기 제어 로드(87)가 상기 전기자 제어 로드 보어(85e) 내로 연장되는 크기를 제한하는 제어 로드 숄더(87c)를 구비하는,
    입구 밸브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드(87)는 제어 로드 중앙부(87g) 및 제어 로드 부싱(87h)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 로드 부싱(87h)은 상기 제어 로드 중앙부(87g)와 상기 제어 로드 부싱(87h) 사이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 로드(87)에 고정되고,
    상기 제어 로드 부싱(87h)은 제어 로드 부싱 보어(87j)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로드 중앙부(87g)는 상기 제어 로드 부싱 보어(87j)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어 로드 숄더(87c)는 상기 제어 로드 부싱(87h) 상에 제공되는,
    입구 밸브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밸브 조립체(40)는 밸브 본체 단부 벽(60)을 갖는 밸브 본체(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 본체 단부 벽(60)은, 그를 통해 연장되는 밸브 본체 중앙 통로(66)와, 그를 통해 연장되는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를 갖고, 상기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는 상기 체크 밸브 부재(78)가 상기 안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체크 밸브 부재(78)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는 상기 체크 밸브 부재(78)가 상기 펌핑 챔버(38)와 상기 연료 공급 통로(22) 사이에서 상기 밸브 본체 출구 통로(68)를 통해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상기 비안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체크 밸브 부재(78)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상기 제어 로드(87)는 근접 슬라이딩 계면부에서 상기 밸브 본체 중앙 통로(66)와 접속하는,
    입구 밸브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드 숄더(87c)는 제어 로드 제1 숄더(87c)이고,
    상기 제어 로드(87)는, 상기 제어 로드(87)가 상기 밸브 본체 중앙 통로(66) 내로 연장되는 크기를 제한하는 제어 로드 제2 숄더(87e)를 구비하는,
    입구 밸브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드 부싱(87h)은 제어 로드 제1 부싱(87h)이고;
    상기 제어 로드 부싱 보어(87j)는 제어 로드 제1 부싱 보어(87j)이고,
    상기 제어 로드(87)는 상기 제어 로드 중앙부(87g)와 상기 제어 로드(87) 부싱 사이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 로드 제2 부싱(87i)이 상기 제어 로드(87)에 고정되도록 제어 로드 제2 부싱(87i)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로드 제2 부싱(87i)은 제어 로드 제2 부싱 보어(87k)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로드 중앙부(87g)는 상기 제어 로드 제2 부싱 보어(87k)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어 로드 제2 숄더(87e)는 상기 제어 로드 제2 부싱(87i) 상에 제공되는,
    입구 밸브 조립체.
KR1020190159516A 2018-12-04 2019-12-04 연료 펌프와, 그의 입구 밸브 조립체 KR102178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08,717 US10683825B1 (en) 2018-12-04 2018-12-04 Fuel pump and inlet valve assembly thereof
US16/208,717 2018-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595A KR20200068595A (ko) 2020-06-15
KR102178299B1 true KR102178299B1 (ko) 2020-11-13

Family

ID=6865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516A KR102178299B1 (ko) 2018-12-04 2019-12-04 연료 펌프와, 그의 입구 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83825B1 (ko)
EP (1) EP3663571B1 (ko)
KR (1) KR102178299B1 (ko)
CN (1) CN1112712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2994B1 (en) * 2021-01-12 2022-06-07 Delphi Technologies Ip Limited Fuel pump and combination outlet and pressure relief valve thereof
GB2613621B (en) * 2021-12-10 2024-04-03 Delphi Tech Ip Ltd Fuel pump
EP4350139A1 (en) * 2022-10-06 2024-04-10 Marelli Europe S.p.A. Method to control a fuel injec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37753A1 (en) 2014-05-23 2015-1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essure device to reduce ticking noise during engine idling
US20180217619A1 (en) 2017-01-30 2018-08-02 Mark Raymond Duffy Positive Sealing Proportional Control Valve With Sealable Vent Valv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02726B (de) * 1969-04-22 1972-10-25 Bosch Gmbh Robert Stelleinrichtung für Kraftstoff-Einspritzpumpen
EP1477665B1 (en) * 1999-02-09 2008-04-23 Hitachi, Ltd. High pressure fuel supply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123729B2 (ja) * 2001-03-15 2008-07-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供給装置の制御方法
EP1296061A3 (en) * 2001-09-21 2005-03-16 Hitachi, Ltd. High pressure fuel pump
EP1533516B1 (en) * 2002-06-20 2007-12-12 Hitachi, Ltd. Control device of high-pressure fuel pump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036153B2 (ja) 2003-07-22 2008-01-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ダンパ機構及び高圧燃料供給ポンプ
EP1724467B1 (en) * 2005-05-20 2016-07-13 Magneti Marelli S.p.A. Fuel pump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701227B2 (ja) * 2007-10-29 2011-06-1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プランジャ式高圧燃料ポンプ
KR20120063117A (ko) * 2010-12-07 2012-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Gdi 엔진용 고압 연료 펌프 및 고압 유체 펌프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방법
ITBO20110183A1 (it) * 2011-04-07 2012-10-08 Magneti Marelli Spa Pompa carburante silenziata per un sistema di iniezione diretta
DE102011075271B4 (de) * 2011-05-04 2014-03-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Ventils
DE102011075270A1 (de) * 2011-05-04 2012-11-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Ventils
DE102011075269B4 (de) * 2011-05-04 2014-03-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Ventils
JP5724661B2 (ja) * 2011-06-15 2015-05-27 株式会社デンソー 高圧ポンプおよびその制御方法
DE102011083787A1 (de) * 2011-09-29 2013-04-04 Hengst Gmbh & Co. Kg Kraftstoffpumpanordnung
CN102562394A (zh) * 2011-12-26 2012-07-11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电磁流量控制阀
DE102011090006B4 (de) * 2011-12-28 2015-03-2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ntil
KR101905553B1 (ko) * 2012-10-31 2018-11-2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가솔린 직분사 엔진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9169817B2 (en) * 2012-12-05 2015-10-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pump with metering valve
DE102013100440A1 (de) * 2013-01-16 2014-07-17 Kendrion (Villingen) Gmbh Hochdruckventil
JP6135437B2 (ja) * 2013-10-07 2017-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高圧燃料ポンプ
DE102013220877A1 (de) 2013-10-15 2015-04-1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ntil
US9822747B2 (en) * 2014-01-21 2017-11-21 MAGNETI MARELLI S.p.A. Method to control an electromagnetic actuato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6795846B (zh) * 2014-08-28 2019-05-03 日立汽车系统株式会社 高压燃料供给泵
DE102014225642B4 (de) * 2014-12-12 2016-06-3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ntilanordnung und Hochdruckpumpe für ein Kraftstoffeinspritz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EP3364015B8 (de) * 2017-02-15 2020-06-03 Vitesco Technologies GmbH Elektromagnetisches schaltventil und kraftstoffhochdruckpum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37753A1 (en) 2014-05-23 2015-1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essure device to reduce ticking noise during engine idling
US20180217619A1 (en) 2017-01-30 2018-08-02 Mark Raymond Duffy Positive Sealing Proportional Control Valve With Sealable Vent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71200B (zh) 2022-10-28
KR20200068595A (ko) 2020-06-15
CN111271200A (zh) 2020-06-12
US20200173391A1 (en) 2020-06-04
EP3663571A1 (en) 2020-06-10
EP3663571B1 (en) 2022-04-20
US10683825B1 (en)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299B1 (ko) 연료 펌프와, 그의 입구 밸브 조립체
EP3839240A1 (en) Fuel pump and outlet valve seat thereof
US4580760A (en) Fluid control valves
EP3696400B1 (en) Combination outlet valve and pressure relief valve and fuel pump using the same
JPH07158760A (ja) 電磁弁
EP3591214B1 (en) Fuel pump and inlet valve assembly thereof
WO2016042895A1 (ja) 高圧燃料供給ポンプ
EP3628857A1 (en) Fuel pump and outlet valve thereof
WO2007145140A1 (ja) 流量制御用電磁比例制御弁及び燃料供給用ポンプ
EP3693599B1 (en) Fuel pump and inlet valve assembly thereof
JP3666693B2 (ja) 電磁式燃料噴射装置
GB2135758A (en) Fluid control valve
CN114787497A (zh) 排出阀机构及具备该排出阀机构的高压燃料供给泵
JP5708092B2 (ja) インジェクタ
JP4239942B2 (ja) 燃料噴射弁
JP2009257511A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
JP4134956B2 (ja) 燃料噴射弁
JP5152052B2 (ja) 燃料噴射装置
JP3740726B2 (ja) 分配型燃料噴射ポンプ
JP3928162B2 (ja) 燃料噴射弁
JPH07317627A (ja) 電磁調整可能バルブを備えた燃料噴射器
KR20240007764A (ko) 입구 밸브 조립체를 갖는 연료 펌프
JPS6111450A (ja) 電磁式燃料噴射弁
JPH07145763A (ja) 燃料噴射装置の調量用電磁弁
JPH11270724A (ja) 圧力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