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875B1 - 래들 커플러 - Google Patents

래들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875B1
KR102177875B1 KR1020190021063A KR20190021063A KR102177875B1 KR 102177875 B1 KR102177875 B1 KR 102177875B1 KR 1020190021063 A KR1020190021063 A KR 1020190021063A KR 20190021063 A KR20190021063 A KR 20190021063A KR 102177875 B1 KR102177875 B1 KR 102177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ladle
gas
unit
nozzl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724A (ko
Inventor
윤영천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1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875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00Treatment of fused masses in the ladle or the supply runners before casting
    • B22D1/002Treatment with gases
    • B22D1/005Injection assembl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들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대차에 구비되고, 래들의 가스유입부가 안착되는 새들부와, 새들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장착부와, 가스가 통과가능한 유로부를 구비하여 노즐장착부에 설치되고, 가스공급장치와 연결되는 노즐부와, 노즐장착부에 설치되고, 노즐부를 가스유입부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래들 커플러{LADLE COUPLER}
본 발명은 래들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차로부터 래들측으로 용강 교반용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래들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용강은 래들에 담겨져 대차에 의해 이송되는데, 대차에는 래들의 내부로 Ar, N2 등의 가스를 공급하여 용강을 균일하게 교반하기 위한 래들 커플러와, 래들 커플러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장치가 설치된다. 래들에는 래들 커플러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가스유입부가 형성되며, 가스공급장치에서 제공된 가스는 래들 커플러와 가스유입부를 거쳐 래들측으로 공급되고, 래들의 하부로 유동된 후 래들의 내부로 공급되어 용강을 교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64780호 (2007. 06. 22. 공개, 발명의 명칭 : 정련 버블링용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하는 래들)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래들의 가스유입부로 가스를 원활하게 공급가능하여 가스를 이용한 용강 교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래들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커플러는, 대차에 구비되고, 래들의 가스유입부가 안착되는 새들부; 상기 새들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장착부; 가스가 통과가능한 유로부를 구비하여 상기 노즐장착부에 설치되고, 가스공급장치와 연결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부를 상기 가스유입부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장착부는, 안착플랜지부; 상기 안착플랜지부의 하부에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새들부를 관통하는 관통연장부; 상기 안착플랜지부와 상기 관통연장부의 내부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와 상기 탄성지지부가 설치되는 노즐설치부; 및 상기 관통연장부의 둘레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새들부에 압접되는 착탈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설치부는, 상기 안착플랜지부와 상기 관통연장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가 수용되는 노즐수용부; 상기 노즐수용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로부에서 배출된 가스가 상기 가스유입부로 유입되기 이전에 경유하는 가스경유부; 및 상기 노즐수용부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지지부가 설치되는 탄성체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노즐장착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중간노즐부; 상기 중간노즐부의 상부에 상기 중간노즐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부의 배출단부가 형성되는 상부노즐부; 상기 중간노즐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노즐장착부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가스공급장치와 연결되는 하부노즐부; 및 상기 하부노즐부의 둘레부에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노즐장착부의 하부와 접하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상향유동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부는, 노즐본체부; 상기 노즐본체부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스유입부와 접하며,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부측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막힘방지접촉부; 및 상기 막힘방지접촉부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유로부의 배출단부와 연통되는 분사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부는, 상기 노즐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메인유로부; 및 상기 메인유로부의 배출단부에 분기되어 형성되고, 상기 분사홈부와 연통되는 분기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노즐장착부 또는 상기 노즐부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장착부와 상기 노즐부간의 접촉에 의한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노즐유동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유동완충부는, 상기 노즐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부의 일측 이동 시 상기 노즐부와 접하는 제1완충부재; 및 상기 노즐장착부를 관통한 상기 노즐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부의 타측 이동 시 상기 노즐장착부와 접하는 제2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커플러는, 노즐장착부를 새들부에 착탈시키는 것에 의해 노즐부의 설치, 점검,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장착부 상에 노즐부에서 토출된 가스가 충진, 경유하여 가스유입부로 유입가능하게 하는 별도의 기밀한 공간부를, 즉 가스경유부를 형성할 수 있어, 가스유입부의 안착 위치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래들측으로 가스를 원활하게 공급가능하여, 가스를 이용한 용강 교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강재 제조의 품질 상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들 커플러를 적용가능한 대차와 래들의 구조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들 커플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들 커플러의 새들부와 노즐장착부 간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들 커플러의 노즐장착부와 노즐부 간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들 커플러의 노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커플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들 커플러를 적용가능한 대차와 래들의 구조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들 커플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들 커플러(2)는 새들부(10), 노즐장착부(20), 노즐부(30), 탄성지지부(50), 노즐유동완충부(60)를 포함한다.
제강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용강은 래들(3)에 담겨져 대차(1)에 의해 이송된다. 대차(1)에는 래들(3) 내 용강속으로 Ar, N2 등의 가스를 공급하여 용강을 균일하게 교반하기 위한 래들 커플러(2)와, 래들 커플러(2)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장치(5)가 설치된다.
래들(3)에는 래들 커플러(2)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가스유입부(4)가 형성되며, 가스공급장치(5)에서 제공된 가스는 래들 커플러(2)와 가스유입부(4)를 거쳐 래들(3)측으로 공급되고, 래들(3)의 하부로 유동된 후 래들(3)의 내부로 공급되어 용강을 교반시키게 된다.
새들부(10)는 래들(3)의 가스유입부(4)가 안착되는 장치부로, 래들(3)의 가스유입부(4)를 통해 작용되는 하중을 지지가능한 강성을 가지고, 대차(1)의 상부에 배치된다. 노즐장착부(20)는 노즐부(30)와 탄성지지부(50)를 커버링하는 케이싱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래들 커플러(2)와 가스유입부(4) 간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부로, 새들부(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노즐부(30)는 가스가 통과가능한 유로부(40)를 구비하여 노즐장착부(20)에 설치된다. 노즐부(30)의 하부는 가스공급장치(6)의 가스공급관(7)와 연결되어, 가스공급장치(6)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새들부(10)에 안착된 가스유입부(4)로 가스를 전달하게 되며, 이러한 가스 유동은 노즐부(3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부(40)를 통해 이루어진다.
탄성지지부(50)는 노즐부(30)를 가스유입부(4)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장치부로, 노즐장착부(20)의 내부에 설치된다. 코일스프링의 구조를 가지고, 노즐부(30)의 둘레에 직립되게 배치된다. 탄성지지부(50)는 노즐장착부(20)의 내면부에 안착되고, 상부가 노즐부(30)와 접하게 설치되어, 노즐장착부(20)를 기준으로 노즐부(30)를 상측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노즐부(30)는 노즐장착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초기 배치되고, 가스유입부(4)를 새들부(10)에 안착 시 가스유입부(4)와의 접촉에 의해 노즐부(30)가 하향력을 받게 되면 탄성지지부(50)가 탄성변형되며, 노즐부(30)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충시키게 된다.
노즐유동완충부(60)는 노즐장착부(20)와 노즐부(30)간의 접촉에 의한 충격력을 완충시키기 위한 장치부로, 노즐장착부(20) 또는 노즐부(30) 중 적어도 일측에 타측과 마주하게 설치된다. 노즐부(30)는 상기와 같이 탄성지지부(5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됨에 있어서, 노즐장착부(20)와 접하면서 그 상향 이동과 하향 이동이 설정거리 이내로 구속되는데, 노즐유동완충부(60)는 이와 같이 노즐장착부(20)와 노즐부(3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설치된다.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들부(10)는 새들베이스(11), 안내부(12), 새틀플레이트(13)를 포함한다.
새들베이스(11)는 래들 커플러(2)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래들(3)의 가스유입부(4)를 통해 작용되는 하중을 지지가능한 강성을 가진다. 안내부(12)는 가스유입부(4)의 설정위치 안착을 유도하는 장치부로, 새들베이스(11) 상에 가스유입부(4)의 너비에 대응되는 이격간격을 두고 한 쌍이 마주하게 설치된다.
안내부(12)에는 가스유입부(4)를 새들부(10) 상의 설정위치로 유도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가스유입부(4)는 새들부(10)에 안착 시 안내부(12)와 접하는 것만으로 안내부(12)의 경사면을 타고 자연히, 한 쌍의 안내부(12) 사이에 해당되는 설정위치로 유도된다.
새들플레이트(13)는 가스유입부(4)와의 접촉에 의한 새들베이스(1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부로, 안내부(12)의 사이에 새들베이스(11)의 상부를 커버하게 배치된다. 새들플레이트(13)는, 가스유입부(4)를 통해 작용하는 반복적인 하중으로 인해 의해 손상이 발생되는 경우, 교체 가능하게 새들베이스(11)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들 커플러의 새들부와 노즐장착부 간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조립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들 커플러의 노즐장착부와 노즐부 간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조립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들 커플러의 노즐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새들베이스(11)와 새들플레이트(13)는 상호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노즐장착부(20)를 조립가능한 조립홀부(14)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조립홀부(14)는 상부가 하부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되, 다단으로 단턱진 형상을 가진다. 노즐장착부(20)는 새들플레이트(13)와 새들베이스(11)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상측으로부터 끼워져 조립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장착부(20)는 안착플랜지부(21), 관통연장부(22), 노즐설치부(23), 착탈체결부(27), 제1씰링부재(28)를 포함한다.
안착플랜지부(21)는 관통연장부(22)의 상부에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립홀부(14)의 상부에 안착된다. 관통연장부(22)는 안착플랜지부(21)의 하부에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하부가 조립홀부(14)를 관통하여 새들부(10)의 외부로 하향 돌출된다. 새들부(10)의 하측으로 연장된 관통연장부(22)의 하부에는 착탈체결부(27)가 결합된다.
노즐설치부(23)는 노즐부(30)와 탄성지지부(50)가 수용, 설치되는 장치부로, 안착플랜지부(21)와 관통연장부(22)의 내부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노즐설치부(23)는 안착플랜지부(21)와 관통연장부(22)를 연속하여 관통하도록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설치부(23)는 노즐수용부(24), 가스경유부(25), 탄성체수용부(26)를 포함한다.
노즐수용부(24)는 노즐부(30)가 수용되는 중공부로, 안착플랜지부(21)와 관통연장부(22)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가스경유부(25)는 유로부(40)에서 배출된 가스가 가스유입부(4)로 유입되기 이전에 경유하게 되는 중공부로, 노즐수용부(24)의 상부에 형성된다. 유로부(40)를 거쳐 노즐부(30)의 외부로 배출된 가스는 가스경유부(25)에 충진되고, 가스유입부(4) 상에 형성된 유입유로부(5)로 유입된다.
탄성체수용부(26)는 탄성지지부(50)가 설치되는 중공부로, 노즐수용부(24)의 중간부에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수용부(26)에 탄성지지부(50)를 삽입한 후, 노즐수용부(24)에 노즐부(30)를 삽입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탄성지지부(50)의 설치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30)를 상측으로 탄성지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착탈체결부(27)는 노즐장착부(20)를 새들부(10)에 착탈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장치부로, 너트의 구조를 가지고 관통연장부(22)의 둘레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된다. 관통연장부(22)의 둘레부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착탈체결부(27)에는 이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착탈체결부(27)는 나사체결에 의해 관통연장부(22)에 착탈가능하게 결속된다.
착탈체결부(27)는 새들부(10)에 압접되게 체결됨으로써, 노즐장착부(20)를 새들부(10) 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착탈체결부(27)는 노즐장착부(20)의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한 복수개의 너트부재와, 너트부재의 풀림을 방지 및 하중 분산을 위해 와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씰링부재(28)는 노즐장착부(20)와 가스유입부(4)의 사이를 기밀시키기 위한 장치부로, 고무 등의 연질 탄성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씰링부재(28)는 노즐수용부(24)의 둘레에 노즐수용부(24)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폐도형 내지 폐곡선, 예를 들어 원형의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부(30)는 노즐본체부(31), 막힘방지접촉부(36), 분사홈부(37), 제2씰링부재(38), 유로부(40)를 포함한다.
노즐본체부(31)는 노즐부(30)의 주요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하부가 상부보다 축소된 너비를 가지게 다단으로 단턱진 형상을 가지고, 노즐설치부(23)를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노즐본체부(31)의 내부에는 유로부(40)가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본체부(31)는 중간노즐부(32), 상부노즐부(33), 하부노즐부(34), 상향유동구속부(35)를 포함한다.
중간노즐부(32)는 노즐장착부(20)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하부가 상부보다 축소된 너비를 가지게 단턱진 형상을 가진다. 중간노즐부(32) 중 단턱진 형상을 가지는 단턱부(도면부호 미표기)는 탄성지지부(50)의 상부와 접한다. 중간노즐부(32)의 내부에는 유로부(40)의 연장부(43)가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부노즐부(33)는 중간노즐부(32)의 상부에 중간노즐부(32)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유로부(40)의 배출단부(44)가 형성된다. 하부노즐부(34)는 노즐장착부(20)의 외부로 연장되는 중간노즐부(32)의 하부에 중간노즐부(32)보다 축소된 너비로 형성된다. 하부노즐부(34)의 내부에는 유로부(40)의 유입단부(42)가 형성된다. 하부노즐부(34)에 가스공급관(7)의 단부를 끼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함으로써, 유로부(40)와 가스공급관(7)을 연통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노즐본체부(31)를 노즐설치부(23)에 삽입 설치함에 있어서, 중간노즐부(32)는 노즐수용부(24)에 수용되고, 상부노즐부(33)는 가스경유부(25)에 수용된다. 하부노즐부(34)는 노즐수용부(24)를 하향 통과하여 노즐장착부(20)의 외부로 연장된다. 상향유동구속부(35)는 노즐설치부(23)의 하부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하부노즐부(34)의 둘레부에 결합되어, 노즐장착부(20)의 저면부와 접하는 걸림턱을 형성한다.
상향유동구속부(35)는 너트의 구조를 가지고 하부노즐부(34)의 둘레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된다. 하부노즐부(34)의 둘레부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향유동구속부(35)에는 이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향유동구속부(35)는 나사체결에 의해 하부노즐부(34)에 착탈가능하게 결속된다.
하부노즐부(34) 상에의 상향유동구속부(35)의 결합위치를 결정함에 있어서는, 노즐부(30)의 설정간격 이내의 범위에서 상하방향 유동이 가능하게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노즐부(33)가 가스경유부(25)의 저면부로부터 설정간격을 두고 상향 이격되게 배치한다. 상향유동구속부(35)는 복수개의 너트부재와, 너트부재의 풀림을 방지 및 하중 분산을 위해 와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막힘방지접촉부(36)는 노즐본체부(31)의 상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노즐장착부(20)의 상면부보다 상향 돌출되게 초기 배치된다. 래들 커플러(2)에 가스유입부(4)를 안착 시, 막힘방지접촉부(36)는 가스유입부(4)와 접하게 되고, 가스유입부(4)에 밀려 가스경유부(25)의 내부로 하향 인입된다.
막힘방지접촉부(36)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노즐본체부(31)의 중앙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부측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힘방지접촉부(36)의 상부는, 상측으로 볼록한 구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막힘방지접촉부(36)는 평탄한 저면부를 가지는 가스유입부(4)와 점접촉되고, 막힘방지점촉부(36)의 외면부 대부분은 가스경유부(25)와 접하게 된다. 또한, 공정 중에 이물질이 막힘방지접촉부(36)에 안착, 부착되더라도, 이물질이 막힘방지접촉부(36)의 표면을 따라 막힘방지접촉부(36)의 하부로 자연히 낙하하게 되므로, 막힘방지접촉부(36)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단부(44) 내지 분기유로부(45)가 이물질로 인해 막히는 현상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분사홈부(37)는 막힘방지접촉부(36)의 외면부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유로부(40)의 배출단부(44)와 연통된다. 배출단부(44)에는 복수개의 분기유로부(45)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분사홈부(37)는 분기유로부(45)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즉, 분사홈부(37)는 복수개가 설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분기유로부(45)와 연통된다.
분사홈부(37)는 분기유로부(45)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진다. 이에 따라, 배출단부(44)를 통해 토출된 가스는 분기유로부(45)가 형성하는 깔때기 형상의 통로에 대응되는 각도 범위로 안정되게 그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개의 분사홈부(37)를 설정간격을 두고 배치함으로써, 유로부(40)로부터 가스경유부(25)측으로의 가스 토출이 가스경유부(25)의 전반에 걸쳐 전방향으로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씰링부재(38)는 노즐부(30)와 노즐장착부(20)의 사이를 기밀시키기 위한 장치부로, 고무 등의 연질 탄성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노즐부(33)의 둘레부에는 제2씰링부재(38)를 삽입가능한 씰링홈부(도면부호 미표기)가 형성되고, 제2씰링부재(38)는 폐도형 내지 폐곡선, 예를 들어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지고, 상부노즐부(33)의 둘레부에 형성된 씰링홈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유로부(40)는 가스공급장치(6)로부터 가스를 가스유입부(4)로 전달가능한 유로를 형성하는 장치부로, 노즐본체부(31)의 내부에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부(40)는 메인유로부(41)와 분기유로부(45)를 포함한다.
메인유로부(41)는 노즐본체부(31)의 내부에 형성된다. 메인유로부(41)는 유입단부(42), 연장부(43), 배출단부(44)가 하측으로부터 연속하여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연장부(43)는 중간노즐부(32)의 내부에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유입단부(42)는 하부노즐부(34)의 내부에 하향 개방되게 형성되며, 배출단부(44)는 상부노즐부(33)의 내부에 형성된다.
분기유로부(45)는 배출단부(44)에서 복수개가 분기되어 형성되고, 분사홈부(37)와 연통된다. 복수개의 분기유로부(45)는 배출단부(44)로부터 설정간격 내지 설정상대각도를 두고 막힘방지접촉부(36)의 외면부를 향해 방사형으로 상호 이격되게 연장된다.
기존에는 가스 통로인 유로부(40)에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형성함에 있어서, 분기유로부(45) 없이 배출단부(44) 만을 상향 개방되게 형성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리 분기유로부(45)를 형성하지 않고, 하나의 배출단부(44)만을 직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하면, 배출단부(44)가 가스유입부(4)에 형성된 유입유로부(5)와 1:1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현장에서 가스유입부(4)를 래들 커플러(2)에 안착 시, 오차 등으로 인해 유입유로부(5)의 위치가 가변되면서 배출단부(44)의 직상방에 위치되지 못하고, 배출단부(44)가 서로 엇갈려 배치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때, 가스유입부(4)의 평탄한 저면부가 배출단부(44)와 접하면서 배출단부(44)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폐쇄시키게 되고, 가스유입부(4)로의 가스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상기와 같이 분기유로부(45)를 형성하면 복수개의 분기유로부(45) 중 하나가, 예를 들어 직상방으로 연장되는 분기유로부(45)가 가스유입부(4)와 접하여 막히더라도, 복수개의 분기유로부(45) 모두가 폐쇄되지 않는 한, 나머지 다른 복수개의 분기유로부(45) 중 어느 하나라도 폐쇄되지 않는다면, 분기유로부(45)를 통해 가스경유부(25)에 가스를 원활하게 토출, 충진시킬 수 있다.
또한, 가스유입부(4)를 래들 커플러(2)에 안착시킴에 있어서도, 유입유로부(5)를 배출단부(44)의 직상방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필요 없이, 가스경유부(25)의 상부에 해당되는 보다 확장된 너비, 면적에 걸쳐 유입유로부(5)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기만 한다면, 가스경유부(25)를 통한 유입유로부(5)로의 가스 공급이 원활화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유동완충부(60)는 제1완충부재(61), 제2완충부재(62)를 포함한다.
제1완충부재(61)는 충격력을 완충가능한 스펀지, 고무 등의 완충소재를 포함하여 노즐장착부(20)에 설치되고, 노즐부(30)의 하향 이동 시 노즐부(30)와 접한다. 제2완충부재(62)는 노즐장착부(20)를 관통한 노즐부(30)의 하부에 설치되고, 노즐부(30)의 상향 이동 시 노즐장착부(20)의 하단부와 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완충부재(61)는 링 형상을 가지고 가스경유부(25)의 저면부에 설치되며, 상부노즐부(33)의 저면부와 마주한다. 제2완충부재(62)는 하부노즐부(34)의 둘레부에 대응되는 링 형상을 가지고, 상향유동구속부(35)의 상부에 배치되며, 노즐장착부(20)의 저면부와 마주한다.
초기 상태에서 제2완충부재(62)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장착부(20)의 저면부, 상향유동구속부(35)와 접한다. 가스유입부(4)가 래들 커플러(2)에 안착되면서 노즐부(30)가 하향 이동되면, 제2완충부재(62)가 노즐부(30)와 함께 하향 이동되면서 노즐장착부(20)의 저면부로부터 이격됨과 동시에, 제1완충부재(61)의 상부가 상부노즐부(33)의 저면부와 접하게 된다.
가스유입부(4)를 래들 커플러(2)로부터 이격시키면, 탄성지지부(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노즐부(30)가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완충부재(61)가 상부노즐부(33)의 저면부로부터 이격됨과 동시에, 제2완충부재(62)의 상부가 노즐장착부(20)의 저면부와 접하게 된다. 제1완충부재(61), 제2완충부재(62)를 이용해 상기와 같이 노즐부(30)의 왕복 이동에 따른 충격력을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래들 커플러(2)에 의하면, 노즐장착부(20)를 새들부(10)에 착탈시키는 것에 의해 노즐부(30)의 설치, 점검,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노즐장착부(20) 상에 노즐부(30)에서 토출된 가스가 충진, 경유하여 가스유입부(4)로 유입가능하게 하는 별도의 기밀한 공간부를, 즉 가스경유부(25)를 형성할 수 있어, 가스유입부(4)의 안착 위치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래들(3)측으로 가스를 원활하게 공급가능하여, 가스를 이용한 용강 교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강재 제조의 품질 상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대차 2 : 래들 커플러
3 : 래들 4 : 가스유입부
5 : 유입유로부 6 : 가스공급장치
7 : 가스공급관 10 : 새들부
11 : 새들베이스 12 : 안내부
13 : 새들플레이트 14 : 조립홀부
20 : 노즐장착부 21 : 안착플랜지부
22 : 관통연장부 23 : 노즐설치부
24 : 노즐수용부 25 : 가스경유부
26 : 탄성체수용부 27 : 착탈체결부
28 : 제1씰링부재 30 : 노즐부
31 : 노즐본체부 32 : 중간노즐부
33 : 상부노즐부 34 : 하부노즐부
35 : 상향유동구속부 36 : 막힘방지접촉부
37 : 분사홈부 38 : 제2씰링부재
40 : 유로부 41 : 메인유로부
42 : 유입단부 43 : 연장부
44 : 배출단부 45 : 분기유로부
50 : 탄성지지부 60 : 노즐유동완충부
61 : 제1완충부재 62 : 제2완충부재

Claims (8)

  1. 대차에 구비되고, 래들의 가스유입부가 안착되는 새들부;
    상기 새들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장착부; 및
    가스가 통과가능한 유로부를 구비하여 상기 노즐장착부에 설치되고, 가스공급장치와 연결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노즐장착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중간노즐부;
    상기 중간노즐부의 상부에 상기 중간노즐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부의 배출단부가 형성되는 상부노즐부;
    상기 중간노즐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노즐장착부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가스공급장치와 연결되는 하부노즐부; 및
    상기 하부노즐부의 둘레부에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노즐장착부의 하부와 접하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상향유동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부를 상기 가스유입부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장착부는,
    안착플랜지부;
    상기 안착플랜지부의 하부에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새들부를 관통하는 관통연장부;
    상기 안착플랜지부와 상기 관통연장부의 내부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와 상기 탄성지지부가 설치되는 노즐설치부; 및
    상기 관통연장부의 둘레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새들부에 압접되는 착탈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커플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설치부는,
    상기 안착플랜지부와 상기 관통연장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가 수용되는 노즐수용부;
    상기 노즐수용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로부에서 배출된 가스가 상기 가스유입부로 유입되기 이전에 경유하는 가스경유부; 및
    상기 노즐수용부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지지부가 설치되는 탄성체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커플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노즐장착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중간노즐부;
    상기 중간노즐부의 상부에 상기 중간노즐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부의 배출단부가 형성되는 상부노즐부;
    상기 중간노즐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노즐장착부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가스공급장치와 연결되는 하부노즐부; 및
    상기 하부노즐부의 둘레부에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노즐장착부의 하부와 접하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상향유동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커플러.
  5. 대차에 구비되고, 래들의 가스유입부가 안착되는 새들부;
    상기 새들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장착부; 및
    가스가 통과가능한 유로부를 구비하여 상기 노즐장착부에 설치되고, 가스공급장치와 연결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노즐본체부;
    상기 노즐본체부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스유입부와 접하며,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부측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막힘방지접촉부; 및
    상기 막힘방지접촉부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유로부의 배출단부와 연통되는 분사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커플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노즐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메인유로부; 및
    상기 메인유로부의 배출단부에 분기되어 형성되고, 상기 분사홈부와 연통되는 분기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커플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장착부 또는 상기 노즐부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장착부와 상기 노즐부간의 접촉에 의한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노즐유동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커플러.
  8. 대차에 구비되고, 래들의 가스유입부가 안착되는 새들부;
    상기 새들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장착부;
    가스가 통과가능한 유로부를 구비하여 상기 노즐장착부에 설치되고, 가스공급장치와 연결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장착부와 상기 노즐부간의 접촉에 의한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노즐유동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유동완충부는,
    상기 노즐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부의 일측 이동 시 상기 노즐부와 접하는 제1완충부재; 및
    상기 노즐장착부를 관통한 상기 노즐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부의 타측 이동 시 상기 노즐장착부와 접하는 제2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커플러.


KR1020190021063A 2019-02-22 2019-02-22 래들 커플러 KR102177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63A KR102177875B1 (ko) 2019-02-22 2019-02-22 래들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63A KR102177875B1 (ko) 2019-02-22 2019-02-22 래들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724A KR20200102724A (ko) 2020-09-01
KR102177875B1 true KR102177875B1 (ko) 2020-11-12

Family

ID=7247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063A KR102177875B1 (ko) 2019-02-22 2019-02-22 래들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87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328B1 (ko) * 2007-12-26 2010-06-04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의 버블링용 커플링 장치
KR101125855B1 (ko) * 2008-12-03 2012-03-28 주식회사 포스코 노외정련설비에 구비되는 가스 공급관 연결 장치
KR101354940B1 (ko) * 2011-12-26 2014-01-23 주식회사 포스코 쉬라우드 노즐 지지 장치
KR101377495B1 (ko) * 2012-01-31 2014-03-25 현대제철 주식회사 래들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724A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0272B2 (en) Flush toilet bowl
US20090045623A1 (en) Connector part for connecting a material supply device to a spray gun
US20040112223A1 (en) Filtering holding cup for a coffee machine and procedure for producing a drink of coffee
CN205351888U (zh) 用于制冰机的水分配管和组件
KR102177875B1 (ko) 래들 커플러
KR101918213B1 (ko) 노즐개폐부를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설비
KR101972380B1 (ko) 페인트 분사장치
RU2406832C2 (ru) Заливочный штуцер и узел заливочной горловины емкости для жидкости
JPH08506074A (ja) 樽の取り付けジョイントのためのタップヘッド
US20180313461A1 (en) Vent control valve for fuel tank
KR102146624B1 (ko) 버큠 로리의 메인 맨홀
MX2014002701A (es) Conector del depósito de combustible.
KR100866912B1 (ko) 화학기상증착장비
KR20120117268A (ko)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US11097611B2 (en) Vent control valve for fuel tank
KR101767945B1 (ko) 농약교반기 일체형 농약통
KR100764574B1 (ko) 코팅 윤활용 정량 펌프 및 이를 이용한 코팅 윤활 시스템
KR101125855B1 (ko) 노외정련설비에 구비되는 가스 공급관 연결 장치
KR101606082B1 (ko) 로드 포트용 노즐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로드 포트
KR100584911B1 (ko) 에어벤트
KR101274073B1 (ko) 액정병 뚜껑
JP2020190074A (ja) 水洗式便器
KR20200008492A (ko) 사이드 스토리지의 웨이퍼 수용 카세트용 측면 노즐 유닛 및 상기 사이드 스토리지의 웨이퍼 수용 카세트용 측면 노즐 유닛을 포함하는 사이드 스토리지의 웨이퍼 수용 카세트
KR20130048370A (ko) 벌크 탱크 공기분사장치의 자동 노즐 개폐 장치
GB2431367A (en) Spray head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backflow of perfu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