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073B1 - 액정병 뚜껑 - Google Patents

액정병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073B1
KR101274073B1 KR1020110078924A KR20110078924A KR101274073B1 KR 101274073 B1 KR101274073 B1 KR 101274073B1 KR 1020110078924 A KR1020110078924 A KR 1020110078924A KR 20110078924 A KR20110078924 A KR 20110078924A KR 101274073 B1 KR101274073 B1 KR 101274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hole
injection
crystal bottl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6800A (ko
Inventor
김주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7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073B1/ko
Priority to TW101106163A priority patent/TWI541074B/zh
Priority to CN201210068246.3A priority patent/CN102921606B/zh
Publication of KR20130016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디스펜서에 구비된 액정병에 결합되며 액정 주입을 위한 주입홀이 형성되는 액정병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정병의 주둥이와 결합되는 결합홀; 상기 결합홀과 연통하는 깔때기부재 삽입홀; 및 상기 깔때기부재 삽입홀과 연통하는 제1 주입홀을 포함하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는 방향설정 브래킷과,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는 유동홀; 및 상기 제1 주입홀과 상기 유동홀을 연통시키는 제2 주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깔때기부재 삽입홀에 삽입되는 깔때기부재와, 상기 유동홀에 주입되는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홀에 삽입되는 유도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정병 뚜껑{Liquid crystal bottle cap}
본 발명은 액정병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 디스펜서에 구비된 액정병에 결합되며 액정 주입을 위한 주입홀이 형성되는 액정병 뚜껑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중 액정 적하 방식은 액정을 직접 기판에 적하하고, 적하된 액정을 기판의 합착 압력에 의해 기판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시킴으로써 액정층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액정을 기판상에 적하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펜서가 이용된다.
도 1은 액정 공급유닛이 구비되는 액정 디스펜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펜싱 헤드유닛과 액정 주입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액정 디스펜서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디스펜싱 헤드유닛(20)을 구비하며, 디스펜싱 헤드유닛(20)이 기판(70)에 대해 상대 이동하면서 노즐(32)을 통해 기판(70)상에 액정을 적하시킨다.
디스펜싱 헤드유닛(20)은,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조립체(22)와, 기판(70)에 적하될 액정을 저장하는 액정병(26)과, 지지 조립체(22)에 결합되고 액정병(26)을 지지하는 액정병 지지대(24)와, 액정병(26)의 주둥이(27)에 결합되어 액정병(26)의 입구를 막는 액정병 뚜껑(40)과, 액정병(26)에 저장된 액정을 흡입하여 노즐(32)로 토출시키는 펌프유닛(30)과, 일단이 액정병(26)에 삽입되고 타단이 펌프유닛(30)에 연결되는 튜브(28)를 포함한다. 액정병(26)에 저장된 액정은 튜브(28)를 통해 펌프유닛(30)에 의해 흡입되어 노즐(32)을 통해 기판(70)에 적하된다.
액정 디스펜서의 작동에 따라 디스펜싱 헤드유닛(20)에 구비된 액정병(26)에 저장된 액정의 양이 감소하여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디스펜싱 헤드유닛(20)이 액정 공급위치로 이동한 후 액정 공급유닛(50)으로부터 액정병(26)으로 액정이 공급된다.
액정 공급유닛(50)은 일반적으로 커버 프레임(90)의 외부에 배치된다. 액정 공급유닛(50)은 액정이 저장되는 액정 탱크(52)와, 액정 탱크(52)에 저장된 액정을 액정병(26)에 주입시키는 액정 주입부(54)를 포함한다.
액정 공급유닛(50)으로부터 액정병(26)에 액정을 주입하기 위하여 액정병 뚜껑(40)의 내부에는 주입 통로(42)가 구비된다. 주입 통로(42)는 액정병 뚜껑(40)의 하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공통홀(44)과, 액정병 뚜껑(40)의 외주면으로부터 공통홀(44)의 내주면까지 관통하는 주입홀(46)을 포함한다.
도 3은 도 2의 액정병 뚜껑의 주입 통로에 주입관이 삽입되어 액정을 주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액정병(26)에 액정을 공급하고자 할 경우, 주입관(56)이 액추에이터(58)에 의하여 액정병 뚜껑(40) 쪽으로 직선으로 이동하여 주입홀(46)을 통과하여 액정병 뚜껑(40)에 삽입된다. 액정 탱크(52)의 액정은 주입관(56)을 통해 액정병 뚜껑(40) 내부로 주입되고, 주입관(56)을 통해 주입되는 액정은 액정병 뚜껑(40) 내에 형성된 주입 통로(42)를 통해 액정병(26)으로 유입된다. 액정병으로 액정이 주입되는 중에 액정병(26) 내의 액정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액정의 주입이 중단되고 주입관(56)은 액추에이터(58)에 의하여 액정병 뚜껑(40)으로부터 인출된다.
주입관(56)을 통해 주입되는 액정은 수평으로 분사되며, 액정병 뚜껑(40) 내에 형성되는 주입 통로(42)를 이루는 액정병 뚜껑(40)의 내벽, 즉 공통홀(44)의 내벽은 수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주입관(56)을 통해 주입되는 액정이 액정병 뚜껑(40)의 내벽에 부딪히는 경우 액정은 액정병 뚜껑(40)의 내벽에 거의 수직으로 부딪힌다. 액정병 뚜껑(40)의 내벽에 부딪힌 액정 중 일부는 주입관(56)에 묻거나 액정병 뚜껑(40)의 주입홀(46)을 통해 액정병 뚜껑(40) 외부로 빠져 나온다. 액정병 뚜껑(40)의 내벽에 부딪혀서 액정병 뚜껑(40) 밖으로 튀어 나오는 액정들로 인하여 액정 디스펜서의 다른 부품들이 오염될 뿐만 아니라, 액정병 뚜껑(40) 외부로 튀어 나온 액정이 기판(70)에 떨어질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액정 공급유닛(50)을 이용하여 액정병(26)에 액정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주입관(56)이 액정병 뚜껑(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액정병 뚜껑(40)의 주입홀(46)이 주입관(56)을 향해있어야 한다. 즉, 액정병 뚜껑(40)의 주입홀(46)의 연장선과 주입관(56)의 연장선이 동일선상에 있어야 한다. 작업자는 액정병 뚜껑(40)이 액정병(26)에 결합된 상태에서 액정병(26)을 액정병 지지대(24)에 거치시킬 때 액정병 뚜껑(40)의 주입홀(46)이 주입관(56)을 향하도록 액정병 뚜껑(40)의 방향을 조절한다. 그러나, 액정병 뚜껑(40)의 주입홀(46)이 향하는 방향을 맞추는 작업은 작업자의 감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액정병 뚜껑(40)이 정확하게 주입관(56)을 향하기 어려우며, 조정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설사 액정병(500)이 액정병 지지대(24)에 거치될 때에는 액정병 뚜껑(40)의 주입홀(46)이 정확하게 주입관(56)을 향하도록 조정되었다고 하더라도, 액정 디스펜서의 작동 중 디스펜싱 헤드유닛(20)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액정병(26)이 액정병 지지대(24) 상에서 액정병(26)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액정병(26)에 결합된 액정병 뚜껑(40)의 주입홀(46)이 향하는 방향이 변하게 된다. 주입홀(46)의 방향이 변하여 액정병 뚜껑(40)의 주입홀(46)이 액정 공급유닛(50)의 주입관(56)을 향하지 않는 경우 주입관(56)이 액정병 뚜껑(40)에 삽입되지 못하고 액정병 뚜껑(40)의 외벽에 충돌하여 액정의 주입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정의 주입 시 액정병 뚜껑의 내벽에 부딪힌 액정이 주입관에 묻거나 액정병 뚜껑 밖으로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병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정병 뚜껑을 액정 디스펜서에 설치 시 액정병 뚜껑의 주입홀이 정확하게 주입관 측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 액정병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정 디스펜서의 작동 중에 액정병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액정병 뚜껑의 주입홀의 방향이 변하지 않는 액정병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정병의 주둥이와 결합되는 결합홀, 상기 결합홀과 연통하는 깔때기부재 삽입홀, 및 상기 깔때기부재 삽입홀과 연통하는 주입구를 포함하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는 방향설정 브래킷;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는 유동홀 및 상기 주입구와 상기 유동홀을 연통시키는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깔때기부재 삽입홀에 삽입되는 깔때기부재; 및 상기 유동홀에 주입되는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홀에 삽입되는 유도부재를 포함하는 액정병 뚜껑을 제공한다.
상기 방향설정 브래킷은 소정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삽입기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깔때기부재는, 상기 깔때기부재가 상기 깔때기부재 삽입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2 주입홀이 상기 제1 주입홀을 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기준부의 평면 형상에 부합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깔때기부재가 상기 깔때기부재 삽입홀에 삽입될 때 상기 삽입기준부와 대향하는 제1 방향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유도부재가 상기 유동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경사면이 상기 제1 주입홀을 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기준부의 평면 형상에 부합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유도부재가 상기 유동홀에 삽입될 때 상기 삽입기준부와 대향하는 제2 방향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정병 뚜껑은, 상기 유동홀과 연통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형태로서, 액정병의 주둥이와 결합되는 결합홀, 상기 결합홀과 연통하는 유동홀, 상기 깔때기부재 삽입홀과 연통하는 주입구 및 상기 결합홀의 바닥에 구비되고 상기 유동홀과 연통하며 상기 액정병의 주둥이에 삽입되는 유출부를 포함하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는 방향설정 브래킷; 및 상기 유동홀에 주입되는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홀에 삽입되는 유도부재를 포함하는 액정병 뚜껑을 제공한다.
상기 방향설정 브래킷은 소정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삽입기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유도부재가 상기 유동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경사면이 상기 주입홀을 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기준부의 평면 형상에 부합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유도부재가 상기 유동홀에 삽입될 때 상기 삽입기준부와 대향하는 방향설정면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정병 뚜껑은, 상기 유동홀과 연통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액정병의 주둥이와 결합되는 결합홀; 상기 결합홀과 연통하는 깔때기부재 삽입홀; 및 상기 깔때기부재 삽입홀과 연통하는 주입구를 포함하는 제1 방향설정 브래킷;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는 유동홀; 및 상기 주입구와 상기 유동홀을 연통시키는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깔때기부재 삽입홀에 삽입되는 깔때기부재; 및 상기 유동홀에 주입되는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홀에 삽입되는 유도부재; 상기 제1 방향설정 브래킷, 상기 깔때기부재 및 상기 유도부재가 결합되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는 제2 방향설정 브래킷을 포함하는 액정병 뚜껑을 제공한다.
상기 액정병 뚜껑은, 상기 유동홀과 연통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액정병과 결합되는 결합홀; 일측에 구비되는 주입구와 상기 결합홀을 연통시키는 유동홀; 및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가이드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주입구가 향하는 방향을 고정시키는 액정병 뚜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액정의 주입 시 액정이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에 부딪히므로 액정이 액정병 뚜껑의 외부로 튕기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액정병 뚜껑이 가이드부재에 결합됨으로써 액정병 뚜껑의 주입홀이 정확하게 액정 공급유닛의 주입관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액정병 뚜껑의 주입홀이 향하는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도부재에 방향설정 브래킷에 형성되는 삽입기준부의 형상에 부합되는 형상의 방향설정면이 형성됨으로써 액정병 뚜껑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경사면이 향하는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액정 공급유닛이 구비되는 액정 디스펜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펜싱 헤드유닛과 액정 주입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액정병 뚜껑의 주입 통로에 주입관이 삽입되어 액정을 주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병 뚜껑이 액정병 및 가이드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액정병 뚜껑이 액정병 및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는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병 뚜껑이 액정병 및 가이드부재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병 뚜껑이 액정병 및 가이드부재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액정병 뚜껑을 구성하는 방향설정 브래킷을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정병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액정병 뚜껑이 액정병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디스펜싱 헤드유닛의 정면, 즉 액정 공급유닛이 배치되는 쪽을 '전방'이라고 하고 그 반대쪽을 '후방'이라고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병 뚜껑이 액정병 및 가이드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액정병 뚜껑이 액정병 및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는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수직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병 뚜껑이 액정병 및 가이드부재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병 뚜껑(100)은 액정 디스펜서의 디스펜싱 헤드유닛(800)에 구비되는 액정병(500)의 주둥이(510)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병 뚜껑이 결합되는 액정병(500)의 일례로써 내부에 액정을 저장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주둥이(510)가 형성되고, 주둥이(5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액정병(500)일 수 있다. 액정병(500)은 디스펜싱 헤드유닛(800)에 구비되는 액정병 지지대(830)에 지지될 수 있다. 액정병 지지대(830)는 액정병(500)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부(832)와, 받침부(832)의 상면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액정병(50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83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병 뚜껑(100)은, 액정병(500) 및 가이드부재(840)에 결합되는 방향설정 브래킷(110)과, 방향설정 브래킷(110)에 삽입되는 깔때기부재(120)와, 깔때기부재(120)에 삽입되는 유도부재(130)와, 깔때기부재(120)에 결합되는 안내관(140)을 포함한다.
방향설정 브래킷(110)은 액정병(500)의 주둥이(510)와 결합되는 결합홀(113)과, 결합홀(113)과 연통하는 깔때기부재 삽입홀(111)과, 깔때기부재 삽입홀(111)과 연통하는 제1 주입홀(112)과, 소정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삽입기준부(117)를 포함한다. 깔때기부재(120) 및 유도부재(130)가 수용되는 방향설정 브래킷(110)은 액정병(500) 및 가이드부재(840)에 결합됨으로써 디스펜싱 헤드유닛(800)에 대한 깔때기부재(120)의 제2 주입홀(124) 및 유도부재(130)의 경사면(132)이 향하는 방향을 설정하고, 액정병(500)을 액정병 지지대(830)에 고정시킨다.
결합홀(113)은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하면에 형성된 제1 홀(113a)과, 제1 홀(113a)에 연통되고 제1 홀(113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제2 홀(113b)을 포함한다. 제2 홀(113b)의 나사산이 액정병(500)의 주동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함으로써 결합홀(113)과 액정병(500)은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제1 홀(113a)은 방향설정 브래킷(110)이 액정병(500)의 주둥이(510)를 완전히 수용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예와 같이 액정병(500)의 주둥이(510)에 액정병(500)의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512)가 없거나, 방향설정 브래킷(110)이 액정병(500)의 주둥이(510)를 완전히 수용하지 않고 단순히 나사결합만 되도록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홀(113a)은 생략될 수 있다.
깔때기부재 삽입홀(111)은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며, 결합홀(113)과 연통된다. 깔때기부재 삽입홀(111)에는 깔때기부재(120)가 삽입된다.
제1 주입홀(112)은 깔때기부재 삽입홀(111)과 연통되도록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측면으로부터 깔때기부재(120)의 내주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1 주입홀(112)은 방향설정 브래킷(110)이 가이드부재(840)에 결합 시 액정 공급유닛(700)의 주입관(710)과 정면으로 대향한다. 액정 공급유닛(700)으로부터 액정병(500)에 액정을 공급 시에 액정이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제1 주입홀(112)을 통해 액정병(500)에 공급된다. 이때, 제1 주입홀(112)을 통해 주입관(710)의 일부가 방향설정 브래킷(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액정이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주입홀(112)은 주입관(710)의 직경보다 충분히 큰 내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기준부(117)는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깔때기부재(120) 및 유도부재(130)에는 삽입기준부(117)의 형상과 부합하는 형상의 제1 방향설정부(126) 및 제2 방향설정부(134)가 각각 형성된다. 삽입기준부(117)는 깔때기부재(120) 및 유도부재(130)가 방향설정 브래킷(110)에 삽입될 때 깔때기부재(120)의 제2 주입홀(124)과 유도부재(130)의 경사면(132)이 제1 주입홀(112)을 향하도록 깔때기부재(120) 및 유도부재(130)의 삽입 방향을 가이드한다. 삽입기준부(117)에 의하여 깔때기부재(120) 및 유도부재(130)의 삽입 방향이 가이드됨으로써 깔때기부재(120)와 유도부재(130)가 방향설정 브래킷(110)에 삽입될 때 제2 주입홀(124) 및 경사면(132)이 깔때기부재 삽입홀(11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임의의 방향으로 향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1 방향설정부(126) 및 제2 방향설정부(134)가 삽입기준부(117)와 대향한 상태에서만 깔때기부재(120) 및 유도부재(130)가 방향설정 브래킷(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 주입홀(112) 및 경사면(132)이 방향설정 브래킷(110)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기준부(117)의 전면의 평면 형상은 직선이며, 제1 방향설정부(126) 및 제2 방향설정부(134)의 삽입기준부(117)의 전면과 대향하는 면의 평면 형상 또한 직선이다. 이와 같이 제1 방향설정부(126) 및 제2 방향설정부(134)의 삽입기준부(117)와 대향하는 면의 평면 형상을 직선으로 형성하고, 제2 주입홀(124) 및 경사면(132)이 제1 방향설정부(126) 및 제2 방향설정부(134)의 삽입기준부(117)와 대향하는 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깔때기부재(120) 및 유도부재(130)가 방향설정 브래킷(110)에 삽입 시 제2 주입홀(124) 및 경사면(132)은 제1 주입홀(112)을 향하게 된다. 제1 방향설정부(126) 및 제2 방향설정부(134)와 삽입기준부(117) 간의 간격이 좁을수록 깔때기부재(120) 및 유도부재(130)가 회전할 수 있는 유격이 감소하므로 제2 주입홀(124) 및 경사면(132)과 제1 주입홀(112)의 방향 일치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후술할 플랜지(128) 및 안착부(136) 중 제1 방향설정부(126) 및 제2 방향설정부(134)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삽입기준부(117)와 부합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 깔때기부재(120) 및 유도부재(130)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깔때기부재(120)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 방향설정부(126)의 끝단까지의 길이는 깔때기부재 삽입홀(111)의 내주면으로부터 삽입기준부(117)의 전면까지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도록 구성되고, 제1 방향설정부(126)를 제외한 플랜지(128)의 다른 부분이 깔때기부재(12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길이는 깔때기부재 삽입홀(111)의 내주면으로부터 삽입기준부(117)의 전면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하는 경우, 제1 방향설정부(126)가 삽입기준부(117)와 대향된 상태에서만 깔때기부재(120)가 방향설정 브래킷(110)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삽입기준부(117), 제1 방향설정부(126) 및 제2 방향설정부(134)의 평면 형상은 직선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V자형, 톱니형 또는 곡선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방향설정 브래킷(110)은 가이드부재(840)와 결합됨으로써 디스펜싱 헤드유닛(800)에 고정된다. 가이드부재(840)의 형상 및 설치위치와, 가이드부재(840)와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결합 구조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부재(840)는 액정병 지지대(830)의 측면 지지부(834)의 일측에 결합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가이드부재(840)의 형상 및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부재(840)는 디스펜싱 헤드유닛(800)의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될 수 있으며, 디스펜싱 헤드유닛(800)의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일 수도 있다. 액정병 뚜껑(100)을 가이드부재(84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방향설정 브래킷(110)에는 가이드부재(840)가 삽입되는 가이드부재 삽입홈(118)이 형성된다. 가이드부재 삽입홈(118)은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후면에 형성되고,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며, 후방 측으로 개방된다. 방향설정 브래킷(110)을 가이드부재(84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방향설정 브래킷(110)이 가이드부재(840)의 정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방향설정 브래킷(110)을 수평 방향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가이드부재(840)가 가이드부재 삽입홈(118)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거나, 방향설정 브래킷(110)이 가이드부재(84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방향설정 브래킷(110)을 수직 방향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가이드부재(840)가 가이드부재 삽입홈(118)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방향설정 브래킷(110)이 디스펜싱 헤드유닛(800)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840)에 결합되면 방향설정 브래킷(110)은 디스펜싱 헤드유닛(800)에 고정된다. 방향설정 브래킷(110)을 가이드부재(840)에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 고정 수단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볼 플런저(400)가 이용된다. 볼 플런저(400)가 가이드부재 삽입홈(118)의 양측 내벽에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수직 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방향설정 브래킷(110)을 가이드부재(840)에 쉽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방향설정 브래킷(110)을 가이드부재(84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볼트(미도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방향설정 브래킷(110)이 가이드부재(840)에 결합되면 디스펜싱 헤드유닛(800)에 대한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위치 및 방향이 결정된다. 또한, 방향설정 브래킷(110)에 의하여 깔때기부재(120) 및 유도부재(130)의 위치 및 방향이 결정되므로, 방향설정 브래킷(110)이 가이드부재(840)에 결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디스펜싱 헤드유닛(800)에 대한 깔때기부재(120) 및 유도부재(130)의 위치 및 방향이 결정된다. 또한, 방향설정 브래킷(110)은 액정병(5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840)에 결합됨으로써 액정병(500)을 액정병 지지대(830)에 고정시킨다. 액정 디스펜서의 작동 시 액정병(500)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데 방향설정 브래킷(110)에 의하여 액정병(500)이 액정병 지지대(830)에 고정됨으로써 액정병(500)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따라서, 액정 디스펜서의 작동 시 액정병(500)의 액정이 액정병(500) 외부로 튀거나, 액정병(500) 내의 액정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정 디스펜서의 작동 중에 깔때기부재(120) 및 유도부재(130)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으므로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제1 주입홀(112), 깔때기부재(120)의 제2 주입홀(124) 및 유도부재(130)의 경사면(132)이 향하는 방향이 변하지 않는다.
깔때기부재(120)는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는 유동홀(122)과, 제1 주입홀(112)과 유동홀(122)을 연통시키는 제2 주입홀(124)과, 깔때기부재(120)의 삽입 깊이를 결정하는 플랜지(128)와, 삽입기준부(117)의 평면 형상에 부합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 방향설정부(126)를 포함하며, 깔때기부재 삽입홀(111)에 삽입된다.
유동홀(122)은 주입관(710)으로부터 주입되는 액정이 유동하는 이동 통로가 되며, 제2 주입홀(124)을 통해 유동홀(122)로 주입된 액정은 출구(125)를 통해 빠져나간다. 유동홀(122)의 직경, 즉 깔때기부재(120)의 내경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홀(122)의 직경은 단계적으로 감소하거나, 연속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깔때기부재(120)의 제2 주입홀(124)은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제1 주입홀(112)과 유동홀(122)을 연통시키도록 깔때기부재(120)의 측면으로부터 유동홀(122)의 내주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된다. 깔때기부재(120)의 제2 주입홀(124)은 깔때기부재(120)가 방향설정 브래킷(110)에 삽입 시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제1 주입홀(112)과 유체적으로 연통된다. 깔때기부재(120)의 제2 주입홀(124)을 통해 주입된 액정은 유동홀(122)을 거쳐 출구(125)를 통해 액정병(500)으로 유입된다. 액정의 주입 과정에서 액정병(500)의 주둥이(510)와 결합홀(113)의 결합면 사이로 액정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깔때기부재(120)의 출구(125)는 액정병(500) 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128)는 깔때기부재(120)의 상단에 형성되며 깔때기부재(120)의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다. 깔때기부재(120)가 방향설정 브래킷(110)에 삽입 시 플랜지(128)의 하면이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깔때기부재(120)의 삽입 깊이가 결정된다.
제1 방향설정부(126)는 깔때기부재(120)가 방향설정 브래킷(110)에 삽입 시 플랜지(128)의 삽입기준부(117)와 대향하는 측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방향설정부(126)는 삽입기준부(117)의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유도부재(130)는, 유동홀(122)에 주입되는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32)과, 유도부재(130)의 삽입 깊이를 결정하는 안착부(136)와, 삽입기준부(117)의 평면 형상에 부합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 방향설정부(134)와, 튜브(850)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튜브 삽입홀(138)을 포함하며, 유동홀(122)에 삽입된다.
경사면(132)은 유동홀(122)에 주입되는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깔때기부재(120)의 유동홀(122) 내에 배치된다. 액정병 뚜껑(100)을 통해 액정병(500)으로 주입되는 액정은 액정 공급유닛(700)의 액정 주입 속도에 따라 유도부재(130)의 경사면(132)에 부딪힌 후 깔때기부재(120)의 출구(125)로 유도되기도 하고 유도부재(130)의 경사면(132)에 부딪히지 않고 직접 깔때기부재(120)의 출구(125)로 향하기도 한다. 경사면(132)이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경사면(132)에 부딪힌 액정이 깔때기부재(120)의 출구(125) 측으로 튕기므로 액정이 액정병 뚜껑(100) 밖으로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동홀(122)에 주입되는 액정이 부딪히는 경사면(132)이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놓이는 것이 아니라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놓임으로써 경사면(132)에 의해 반사되는 액정이 깔때기부재(120)의 제2 주입홀(124)이 아니라 깔때기부재(120)의 출구(125)로 유도될 수 있다.
안착부(136)는 유도부재(130)의 상단에 형성되며, 유동홀(122)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유도부재(130)가 깔때기부재(120)에 삽입 시 안착부(136)의 하면이 깔때기부재(120)의 플랜지(128)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유도부재(130)의 삽입 깊이가 결정된다.
제2 방향설정부(134)는 유도부재(130)가 깔때기부재(120)에 삽입 시 안착부(136)의 삽입기준부(117)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방향설정부(134)는 삽입기준부(117)의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튜브 삽입홀(138)은 유도부재(13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된다. 튜브 삽입홀(138)은 유동홀(122) 및 결합홀(113)과 연통한다. 튜브 삽입홀(138)에는 튜브(850)가 삽입되어 관통한다. 튜브(850)의 일단은 액정병(500) 내의 바닥 부근에 위치하며, 타단은 액정 펌프유닛(810)에 연결된다. 액정의 주입 시 주입되는 액정이 튜브(85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튜브 삽입홀(138)을 직선으로 연장한 연장선과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제1 주입홀(112)을 직선으로 연장한 연장선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평면 상에서 제1 주입홀(112)이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중심선상에 위치할 경우 튜브 삽입홀(138)은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중심선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다.
안내관(140)은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관통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다. 안내관(140)은 깔때기부재(120)와 결합하고 안내관(140)의 유로는 유동홀(122)과 연통한다. 안내관(140)의 상단에는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142)가 형성되며, 확장부(142)는 액정병(500)의 주둥이(510)의 상면에 안착한다. 안내관(140)은 액정병(500)에 주입되는 액정이 액정병(500)의 내벽을 타고 흐르거나 액정병(500) 내의 액정과 충돌하여 튀는 것을 방지한다. 깔때기부재(120)의 출구(125)와 연통되도록 안내관(140)이 결합됨으로써 유동홀(122)로 주입되는 액정은 안내관(140)을 통해 액정병(500)에 유입된다. 깔때기부재(120)의 하단이 안내관(140)에 억지 끼움될 수 있도록 안내관(140)의 내경은 깔때기부재(120)의 하단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액정 공급유닛(700)에는 설치 높이에서 액정병(500) 내에 액정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액정병(500)에 저장된 액정의 액위가 액정 감지 센서가 감지하는 높이 미만인지 또는 이상인지를 감지하는 액정 감지 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액정 공급유닛(700)으로부터 액정병(500)으로 액정이 주입되는 도중에 액정병(500) 내의 액정이 소정 레벨에 도달하면 액정 감지 센서가 이를 감지함으로써 액정이 액정병(500)으로 공급되는 것이 중단된다. 액정 감지 센서는 일반적으로 액정병(500) 내부로 빛을 통과시켜 액정병(500)을 통과하는 빛의 양의 변화에 따라 특정 높이에서의 액정의 유무를 감지한다. 그런데, 액정이 액정병(500)에 주입될 때 액정병(500)의 내벽을 타고 흐르는 경우 액정 감지 센서에서 방출되는 빛이 액정병(500) 내벽을 타고 흐르는 액정을 통과하면서 광량이 감소함으로써 액정병(500)의 액정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액정 감지 센서가 액정이 해당 레벨에 도달한 것으로 오작동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액정이 안내관(140)을 타고 액정병(500) 내로 주입됨으로써 액정 감지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정병(500)에 액정이 공급되는 횟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액정병(500)에 최대한 많은 양의 액정을 주입시켜야 하는데 액정이 액정병(500)의 제2 주입홀(124) 근처 높이까지 차 있는 상태에서 액정이 주입되면 주입되는 액정이 액정병(500) 내의 액정 표면과 충돌하여 튐으로써 액정병(500) 밖으로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액정이 안내관(140)을 타고 액정병(500) 내로 주입됨으로써 주입되는 액정이 액정병(500) 내의 액정과 충돌하여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안내관(140)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병 뚜껑(100)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채택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깔때기부재(120) 및 유도부재(130)를 방향설정 브래킷(1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깔때기부재(120), 유도부재(130) 및 방향설정 브래킷(110)에는 서로 연통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볼트홀(119, 129, 139)이 형성된다. 깔때기부재(120) 및 유도부재(130)가 방향설정 브래킷(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홀에 볼트(미도시)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면 깔때기부재(120), 유도부재(130) 및 방향설정 브래킷(110)은 일체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병 뚜껑(100)은, 방향설정 브래킷(110)이 디스펜싱 헤드유닛(800)에 고정되므로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제1 주입홀(112) 및 깔때기부재(120)의 제2 주입홀(124)이 향하는 방향이 디스펜싱 헤드유닛(800)을 기준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액정병 뚜껑(100)의 조립 시 작업자가 깔때기부재(120)의 제2 주입홀(124) 및 유도부재(130)의 경사면(132)이 향하는 방향을 신경 쓰지 않고 단순히 제1 방향설정부(126) 및 제2 방향설정부(134)를 삽입기준부(117)에 대향시키면서 깔때기부재(120) 및 유도부재(130)를 방향설정 브래킷(110)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도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제1 주입홀(112), 깔때기부재(120)의 제2 주입홀(124) 및 유도부재(130)의 경사면(132)이 정확하게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액정병 뚜껑(100)이 가이드부재(840)에 결합되면 제1 주입홀(112), 제2 주입홀(124) 및 경사면(132)이 정확하게 주입관(710)을 향한 상태에서 고정되므로 주입관(710)이 방향설정 브래킷(110)에 삽입 시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외벽에 부딪히지 않고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주입관(710)을 통해 주입되어 유도부재(130)의 경사면(132)에 부딪히는 액정이 일정한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다. 나아가, 액정 디스펜서의 작동 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제1 주입홀(112), 제2 주입홀(124) 및 경사면(132)이 향하는 방향이 주입관(710)과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병 뚜껑(100)의 조립 방법 및 액정 공급유닛(700)에 의한 액정 주입 과정을 설명한다.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깔때기부재 삽입홀(111)에 깔때기부재(120)를 삽입하고, 깔때기부재(120)의 유동홀(122)에 유도부재(130)를 삽입한다. 이때, 제1 방향설정부(126) 및 제2 방향설정부(134)를 삽입기준부(117)에 대향시키면서 깔때기부재(120)와 유도부재(130)를 삽입한다. 깔때기부재(120)와 유도부재(130)를 삽입이 완료되면 제1 주입홀(112), 제2 주입홀(124) 및 경사면(132)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결합 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깔때기부재(120)와 유도부재(130)를 방향설정 브래킷(110)에 결합시킨다. 그 후 깔때기부재(120)의 하단을 안내관(140)에 삽입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액정병 뚜껑(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조립 순서는 액정병 뚜껑(100)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액정병 뚜껑(10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액정병 뚜껑(100)을 액정병(500)에 결합시킨다. 이때,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결합홀(113)에 액정병(500)의 주둥이(510) 부분을 삽입하고 액정병 뚜껑(100) 또는 액정병(500)을 돌려 결합시킨다. 액정병(500)이 결합된 액정병 뚜껑(100)을 가이드부재(840)와 결합시킨다. 가이드부재(840)가 방향설정 브래킷(110)의 가이드부재 삽입홈(118)에 삽입되면서 액정병(500)은 액정병 지지대(830)에 안착된다. 그 후, 일단이 액정 펌프유닛(810)에 연결된 튜브(850)의 타단을 튜브 삽입홀(138)에 삽입하면 액정병(500)으로부터 액정 펌프유닛(810)으로 액정을 공급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액정 공급유닛(700)으로부터 액정병(500)에 액정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디스펜싱 헤드유닛(800)을 액정 공급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액정 공급유닛(700)의 주입관(710)을 액정병 뚜껑(100) 측으로 이동시켜 제1 주입홀(112)에 삽입시킨다. 주입관(710)의 단부를 포함한 일부가 유동홀(122)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주입관(710)으로부터 유동홀(122)로 액정이 공급된다. 유동홀(122)로 공급된 액정은 깔때기부재(120)의 출구(125) 및 안내관(140)을 통해 액정병(500)에 주입된다. 액정병(500)으로의 액정의 주입이 완료되면 주입관(710)을 이동시켜 방향설정 브래킷(110)으로부터 인출시킨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액정병 뚜껑(100)을 구성하는 방향설정 브래킷(110), 깔때기부재(120) 및 유도부재(130)가 개별적인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액정병 뚜껑(100)이 개별적인 부품으로 나누어진 이유는 가공을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는 방향설정 브래킷(110) 및 깔때기부재(1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향설정 브래킷(110), 깔때기부재(120) 및 유도부재(130)가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병 뚜껑(200)이 액정병 및 가이드부재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액정병 뚜껑(200)을 구성하는 방향설정 브래킷(210)을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병 뚜껑(200)은 제1 실시예의 깔때기부재(도 6의 120)가 생략되고 유동홀(211)이 방향설정 브래킷(210)에 형성되며 방향설정 브래킷(210)에 유출부(214)이 구비된다는 점 이외에는 제1 실시예의 액정병 뚜껑과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병 뚜껑(200)은, 액정병(500) 및 가이드부재(840)에 결합되는 방향설정 브래킷(210)과, 방향설정 브래킷(210)에 삽입되는 유도부재(230)와, 방향설정 브래킷(210)에 결합되는 안내관(240)을 포함한다.
방향설정 브래킷(210)은 액정병(500)의 주둥이(510)와 결합되는 결합홀(213)과, 결합홀(213)과 연통하는 유동홀(211)과, 결합홀(213)의 바닥에 구비되고 유동홀(211)과 연통하며 액정병(500)의 주둥이(510)에 삽입되는 유출부(214)과, 유동홀(211)과 연통하는 주입홀(212)과, 소정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삽입기준부(217)를 포함한다.
결합홀(313)은 방향설정 브래킷(210)의 하면에 형성된 제1 홀(213a)과, 제1 홀(213a)에 연통되며 제1 홀(213a)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제2 홀(213b)을 포함한다. 유동홀(111)은 방향설정 브래킷(2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며, 결합홀(213)과 연통된다. 유동홀(211)에는 유도부재(230)가 삽입된다.
유동홀(211)은 주입관(710)으로부터 주입되는 액정이 유동하는 이동 통로가 되며, 유동홀(211)로 주입된 액정은 유출부(214)을 통해 빠져나간다.
유출부(214)은 결합홀(213)의 바닥에 구비되고 유동홀(211)과 연통된다. 유출부(214)은 유동홀(211)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액정병(500)의 주둥이(510) 내부로 삽입된다. 유출부(214)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다. 유동홀(211)로 주입되는 액정이 유출부(214)을 통해 액정병(500)으로 주입되므로, 액정의 주입 시 액정병(500)의 주둥이(510)와 결합홀(213)의 결합면 사이로 액정이 새는 것이 방지된다. 유출부(214)에는 안내관(240)이 결합될 수 있다. 안내관(240)의 구조 및 기능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유출부(214)과 안내관(240)이 결합되는 방식은 제1 실시예에서 깔때기부재와 안내관(240)이 결합되는 방식과 동일하다.
주입홀(212)은 유동홀(211)과 연통되도록 방향설정 브래킷(210)의 측면으로부터 유동홀(211)의 내주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된다.
삽입기준부(217)는 방향설정 브래킷(2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유동홀(211) 측을 향한다. 삽입기준부(217)는 방향설정 브래킷(210)에 삽입되는 유도부재(230)가 향하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이 된다. 유도부재(230)에는 삽입기준부(217)의 형상과 부합하는 형상의 방향설정면(234)이 형성된다.
유도부재(230)는 유동홀(211)에 주입되는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32)과, 유도부재(230)의 삽입 깊이를 결정하는 안착부(236)와, 삽입기준부(217)의 평면 형상에 부합되는 형상을 가지는 방향설정면(234)과, 튜브(850)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튜브 삽입홀(238)을 포함하며, 유동홀(211)에 삽입된다.
경사면(232)은 유동홀(211)에 주입되는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유동홀(211) 내에 배치된다.
안착부(236)는 유도부재(230)의 상단에 형성되며, 유동홀(211)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유도부재(230)가 방향설정 브래킷(210)에 삽입 시 안착부(236)의 하면이 방향설정 브래킷(210)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유도부재(230)의 삽입 깊이가 결정된다.
방향설정면(234)은 유도부재(230)가 방향설정 브래킷(210)에 삽입 시 안착부(236)의 삽입기준부(217)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설정면(234)은 삽입기준부(217)의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실시예에서 유동홀은 깔때기부재에 구비되었으나, 본 실시예의 액정병 뚜껑(200)에는 깔때기부재가 생략됨에 따라 유동홀(211)은 방향설정 브래킷(210)에 형성된다. 또한, 제1 실시예의 깔때기부재가 생략됨에 따라 깔때기부재의 출구 역할을 하는 유출부(214)이 방향설정 브래킷(210)에 구비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액정병 뚜껑(200)은 유동홀(211)에 주입되는 액정이 액정병 뚜껑(200) 밖으로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디스펜싱 헤드유닛(800)에 대한 주입홀(212) 및 경사면(232)이 향하는 방향을 고정하고, 액정병(500)을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고정시킨다는 점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액정병 뚜껑(100)에 의하면 제1 실시예보다 적은 개수의 부품에 의하여 제1 실시예의 액정병 뚜껑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병 뚜껑(200)의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방향설정면(234)이 삽입기준부(217)에 대향되도록 유도부재(230)를 방향설정 브래킷(210)의 유동홀(211)에 삽입한 후 결합 볼트(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유도부재(230)와 방향설정 브래킷(210)을 결합시킨다. 그 후, 방향설정 브래킷(210)의 유출부(214)을 안내관(240)에 삽입하여 방향설정 브래킷(210)과 안내관(240)을 결합시킴으로써 액정병 뚜껑(200)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정병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액정병 뚜껑이 액정병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병 뚜껑(300)은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방향설정 브래킷(도 6의 110)이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과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으로 분할되고, 삽입기준부(도 6의 117), 제1 방향설정부(도 6의 126) 및 제2 방향설정부(도 6의 134)가 생략되었다는 점 이외에는 제1 실시예의 액정병 뚜껑(100)과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정병 뚜껑(300)은, 액정병(500)에 결합되는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과,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에 삽입되는 깔때기부재(320)와, 깔때기부재(320)에 삽입되는 유도부재(330)와,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 깔때기부재(320) 및 유도부재(330)가 결합되며 가이드부재(840)에 결합되는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과, 깔때기부재(320)에 결합되는 안내관(350)을 포함한다.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은 액정병(500)의 주둥이(510)와 결합되는 결합홀(313)과, 결합홀(313)과 연통하는 깔때기부재 삽입홀(311)과, 깔때기부재 삽입홀(311)과 연통하는 제1 주입홀(312)을 포함한다.
결합홀(313)은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의 하면에 형성된 제1 홀(313a)과, 제1 홀(313a)에 연통되며 제1 홀(313a)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제2 홀(313b)을 포함한다. 깔때기부재 삽입홀(311)은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며, 결합홀(313)과 연통된다. 깔때기부재 삽입홀(311)에는 깔때기부재(320)가 삽입된다. 제1 주입홀(312)은 깔때기부재 삽입홀(311)과 연통되도록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의 측면으로부터 깔때기부재(320)의 내주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된다.
깔때기부재(320)는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는 유동홀(322)과, 제1 주입홀(312)과 유동홀(322)을 연통시키는 제2 주입홀(324)을 포함하며, 깔때기부재 삽입홀(311)에 삽입된다.
유동홀(322)은 주입관으로부터 주입되는 액정이 유동하는 이동 통로가 되며, 제2 주입홀(324)을 통해 유동홀(322)로 주입된 액정은 출구(325)를 통해 빠져나간다.
깔때기부재(320)의 제2 주입홀(324)은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의 제1 주입홀(312)과 유동홀(322)을 연통시키도록 깔때기부재(320)의 측면으로부터 유동홀(322)의 내주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된다.
유도부재(330)는 유동홀(322)에 주입되는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341)과, 튜브(850)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튜브 삽입홀(338)을 포함하며, 유동홀(322)에 삽입된다.
경사면(341)은 깔때기부재(320)에 주입되는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깔때기부재(320)의 유동홀(322) 내에 배치된다.
튜브 삽입홀(338)은 유도부재(33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며, 튜브 삽입홀(338)에는 튜브(850)가 삽입되어 관통한다.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의 하면에는 유도부재(330), 깔때기부재(320) 및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이 결합되고,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은 가이드부재(840)에 결합된다. 유도부재(330), 깔때기부재(320) 및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이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에 결합되면 깔때기부재(320)가 깔때기부재 삽입홀(311)에 삽입되고 유도부재(330)가 유동홀(322)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 깔때기부재(320) 및 유도부재(330)를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깔때기부재(320), 유도부재(330) 및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에는 각각 제1 관통홀(329), 제2 관통홀(339) 및 제3 관통홀(349)이 형성되고,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에는 볼트홀(3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 볼트(900)가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의 상면으로부터 제3 관통홀(349), 제2 관통홀(339) 및 제1 관통홀(329)을 차례로 관통하여 볼트홀(319)에 결합됨으로써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 깔때기부재(320) 및 유도부재(330)는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에 결합된다.
각 관통홀(329, 339, 349) 및 볼트홀(319)은, 결합 볼트(900)가 각 관통홀(329, 339, 349)을 차례로 관통하여 볼트홀(319)에 결합되면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의 제1 주입홀(312), 깔때기부재(320)의 제2 주입홀(324) 및 유도부재(330)의 경사면(341)이 모두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의 정면을 향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 볼트(900)를 각 관통홀(329, 339, 349)을 통해 볼트홀(319)에 결합시켜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 깔때기부재(320) 및 유도부재(330)를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도 제1 주입홀(312), 제2 주입홀(324) 및 경사면(341)이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의 정면을 향하게 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동일한 방식으로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과 결합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는 액정병 지지대의 측면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에는 가이드부재가 삽입되는 가이드부재 삽입홈(343)이 형성된다.
안내관(350)은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관통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다. 안내관(350)은 깔때기부재(320)와 결합하고 유동홀(322)과 연통한다.
제1 실시예의 방향설정 브래킷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 및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으로 분할되었으나,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과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이 결합됨으로써 제1 실시예의 방향설정 브래킷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즉, 유동홀(322) 내에 경사면(332)이 구비됨으로써 유동홀(322)에 주입되는 액정이 액정병 뚜껑(300) 밖으로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이 액정병(500)과 결합하고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 깔때기부재(320) 및 유도부재(330)가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이 가이드부재(840)에 결합됨으로써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의 제1 주입홀(312), 깔때기부재(320)의 제2 주입홀(324) 및 유도부재(330)의 경사면(341)이 향하는 방향이 고정되고, 액정병(500)이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정병 뚜껑(300)의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결합 볼트(900)를 이용하여 유도부재(330), 깔때기부재(320) 및 제1 방향설정 브래킷(310)을 차례로 제2 방향설정 브래킷(34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깔때기부재(320)의 하단을 안내관(350)에 삽입하여 깔때기부재(320)와 안내관(350)을 결합시키면 액정병 뚜껑(300)의 조립이 완료된다.
110, 210: 방향설정 브래킷 120, 320: 깔때기부재
130, 230, 330: 유도부재 140, 240, 350: 안내관
310: 제1 방향설정 브래킷 340: 제2 방향설정 브래킷
500: 액정병 510: 주둥이
840: 가이드부재

Claims (9)

  1. 액정병의 주둥이와 결합되는 결합홀; 상기 결합홀과 연통하는 깔때기부재 삽입홀; 및 상기 깔때기부재 삽입홀과 연통하는 제1 주입홀을 포함하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는 방향설정 브래킷;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는 유동홀; 및 상기 제1 주입홀과 상기 유동홀을 연통시키는 제2 주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깔때기부재 삽입홀에 삽입되는 깔때기부재; 및
    상기 유동홀에 주입되는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홀에 삽입되는 유도부재
    를 포함하는 액정병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설정 브래킷은 소정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삽입기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깔때기부재는, 상기 깔때기부재가 상기 깔때기부재 삽입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2 주입홀이 상기 제1 주입홀을 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기준부의 평면 형상에 부합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깔때기부재가 상기 깔때기부재 삽입홀에 삽입될 때 상기 삽입기준부와 대향하는 제1 방향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유도부재가 상기 상기 유동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경사면이 상기 제1 주입홀을 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기준부의 평면 형상에 부합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유도부재가 상기 유동홀에 삽입될 때 상기 삽입기준부와 대향하는 제2 방향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액정병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병 뚜껑은,
    상기 유동홀과 연통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액정병 뚜껑.
  4. 액정병의 주둥이와 결합되는 결합홀; 상기 결합홀과 연통하는 유동홀; 상기 유동홀과 연통하는 주입홀; 및 상기 결합홀의 바닥에 구비되고 상기 유동홀과 연통하며 상기 액정병의 주둥이에 삽입되는 유출부를 포함하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는 방향설정 브래킷; 및
    상기 유동홀에 주입되는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홀에 삽입되는 유도부재
    를 포함하는 액정병 뚜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설정 브래킷은 소정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삽입기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유도부재가 상기 유동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경사면이 상기 주입홀을 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기준부의 평면 형상에 부합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유도부재가 상기 유동홀에 삽입될 때 상기 삽입기준부와 대향하는 방향설정면을 더 포함하는 액정병 뚜껑.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병 뚜껑은,
    상기 유동홀과 연통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액정병 뚜껑.
  7. 액정병의 주둥이와 결합되는 결합홀; 상기 결합홀과 연통하는 깔때기부재 삽입홀; 및 상기 깔때기부재 삽입홀과 연통하는 제1 주입홀을 포함하는 제1 방향설정 브래킷;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는 유동홀; 및 상기 제1 주입홀과 상기 유동홀을 연통시키는 제2 주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깔때기부재 삽입홀에 삽입되는 깔때기부재; 및
    상기 유동홀에 주입되는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홀에 삽입되는 유도부재;
    상기 제1 방향설정 브래킷, 상기 깔때기부재 및 상기 유도부재가 결합되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는 제2 방향설정 브래킷
    을 포함하는 액정병 뚜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병 뚜껑은,
    상기 유동홀과 연통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액정병 뚜껑.
  9. 액정병과 결합되는 결합홀;
    일측에 구비되는 주입홀과 상기 결합홀을 연통시키는 유동홀; 및
    상기 유동홀에 주입되는 액정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가이드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주입홀이 향하는 방향을 고정시키는 액정병 뚜껑.
KR1020110078924A 2011-08-09 2011-08-09 액정병 뚜껑 KR101274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924A KR101274073B1 (ko) 2011-08-09 2011-08-09 액정병 뚜껑
TW101106163A TWI541074B (zh) 2011-08-09 2012-02-24 液晶瓶蓋
CN201210068246.3A CN102921606B (zh) 2011-08-09 2012-03-15 液晶瓶封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924A KR101274073B1 (ko) 2011-08-09 2011-08-09 액정병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800A KR20130016800A (ko) 2013-02-19
KR101274073B1 true KR101274073B1 (ko) 2013-06-12

Family

ID=4763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924A KR101274073B1 (ko) 2011-08-09 2011-08-09 액정병 뚜껑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74073B1 (ko)
CN (1) CN102921606B (ko)
TW (1) TWI5410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9284B (zh) * 2019-03-21 2023-12-15 泉州市大疆涂布设备有限公司 便于垫片快速精准更换的涂布机涂布模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938A (ko) * 2002-06-04 2003-12-11 조영국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JP2004244110A (ja) 2003-02-10 2004-09-02 Boku Tokushiyu 異種物質を混合可能な容器の蓋および容器
KR20110052344A (ko) * 2009-11-12 2011-05-1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 디스펜서의 액정 공급장치
KR20110074060A (ko) * 2009-12-24 2011-06-30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 디스펜서의 액정 병과 마개 사이로 액정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938A (ko) * 2002-06-04 2003-12-11 조영국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JP2004244110A (ja) 2003-02-10 2004-09-02 Boku Tokushiyu 異種物質を混合可能な容器の蓋および容器
KR20110052344A (ko) * 2009-11-12 2011-05-1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 디스펜서의 액정 공급장치
KR20110074060A (ko) * 2009-12-24 2011-06-30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 디스펜서의 액정 병과 마개 사이로 액정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21606A (zh) 2013-02-13
KR20130016800A (ko) 2013-02-19
TW201306950A (zh) 2013-02-16
CN102921606B (zh) 2015-11-25
TWI541074B (zh)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5741B2 (en) Droplet discharging device
US20030000502A1 (en) In-tank fuel supply unit
CN101493316A (zh) 能够安装注射器的间隙传感器和具有该传感器的涂布机
KR100626232B1 (ko) 정립과 도립 겸용 트리거식 액체분출 용기
KR20180108026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274073B1 (ko) 액정병 뚜껑
CN111270482A (zh) 衣物处理设备及其投放装置
KR20120122748A (ko) 그리스 용기의 교환이 가능한 진동 방지형 그리스 토출장치
KR101742463B1 (ko) 액정 유동 가이드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디스펜서의 액정 저장장치
KR101024341B1 (ko) 액정 디스펜서의 액정 용기 고정장치
JP2013189240A (ja) 液体注入装置
KR101165555B1 (ko) 실링기능을 보강한 디스펜서
KR101675105B1 (ko) 액정 디스펜서의 액정 병과 마개 사이로 액정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KR20180108030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AU2016340366B2 (en) Fuel distributor, the hydraulic compartment of which is equipped with an additive injection device
KR101388592B1 (ko) 재봉기의 오일탱크
KR101675104B1 (ko) 액정 디스펜서의 액정 공급장치
KR20180072236A (ko) 수조통과 가습조가 일체형 구조를 갖는 가습기
US10149576B1 (en) Automatic liquid soap supplying system
KR20110052911A (ko) 액정 디스펜서의 액정 주입장치
JP5450782B2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KR200409860Y1 (ko) 자동판매기용 희석장치
JPWO2018042486A1 (ja) 液流式布帛処理装置用の処理剤溶解装置、及び、液流式布帛処理装置
KR100484527B1 (ko) 약품의 미세주입이 가능한 볼 진동형 약품주입장치 및이를 포함하는 간이상수도시설
KR102177875B1 (ko) 래들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