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268A -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268A
KR20120117268A KR1020110034922A KR20110034922A KR20120117268A KR 20120117268 A KR20120117268 A KR 20120117268A KR 1020110034922 A KR1020110034922 A KR 1020110034922A KR 20110034922 A KR20110034922 A KR 20110034922A KR 20120117268 A KR20120117268 A KR 20120117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flow prevention
fluid tank
inner tube
prevention devic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1996B1 (ko
Inventor
이용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4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996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28Mean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scape of vap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용 유체탱크에 설치되어 내부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에 있어서, 상측부가 선박의 상부데크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일자형(一字形)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데크 상에서 분리 취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Counterflow preventing apparatus for fluid tank of ship}
본 발명은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유 등이 저장되는 선박용 유체탱크에 장착되어 내부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유 등을 운송하는 선박의 오일탱크에는 역류방지장치가 장착된다. 역류방지장치는 메인로딩파이프의 잔유(殘油)를 오일탱크로 주입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오일탱크 내의 유독성가스나 원유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원유(原油, Crude oil) 등의 적재 후, 메인로딩파이프의 관로에는 잔유가 남아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은 잔유는 역류방지장치를 통하여 오일탱크 내부로 주입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역류방지장치(20)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역류방지장치(20)는 상부가 용접을 통해 상부데크(10)에 고정되며, 오일탱크(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역류방지장치(20) 상단의 유입구(22)는 지관(支管, 미도시)을 통해 메인로딩파이프(미도시)와 연결되며, 메인로딩파이프의 관로에 남아있는 잔유가 주입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유입구(22)을 통해 주입된 잔유는 역류방지장치(20)의 배출구(23)를 통해 오일탱크(30)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일반적인 역류방지장치(20)는 U자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는 잔유를 오일탱크(30)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오일이 역류하거나, 오일탱크 내에서 발생된 유독성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역류방지장치(20)는 일종의 트랩(Trap) 장치와 같이 기능할 수 있도록 U자형이나 S자형과 같이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때, 역류방지장치(20)의 U자형 굴곡부(21)에는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이 적층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막힘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즉, U자형 굴곡부(21)에서는 오일의 유동흐름이 느려지므로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들이 침전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상기와 같이 침전된 이물질이 계속 적층되면 U자형 굴곡부(21)의 관로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가 U자형 굴곡부(21)로 접근하여 U자형 굴곡부(21)를 해체하고 부품을 교체하거나, 작업공구를 사용하여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보수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역류방지장치(20)는 선박의 상부데크(10)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보수작업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역류방지장치(20)는 상부데크(10) 상에서 분리가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작업자가 오일탱크(30) 내부로 직접 진입하여야만 상기와 같은 보수작업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오일탱크(30) 내부에 원유 등이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수작업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작업자가 보수작업 중 오일탱크(30) 내부의 유독성가스를 흡입할 위험성도 존재하였다. 또한, 역류방지장치(20)의 설치위치가 작업자가 접근 불가한 높이에 있을 경우, 역류방지장치(20)의 보수작업을 위하여 오일탱크(30) 내부에 별도의 플랫폼(31)을 설치하여야 하였으며, 이로 인해 선박의 제조단가 상승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부데크 상에서 분리 취출이 가능하여 보수작업이 용이한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용 유체탱크에 설치되어 내부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에 있어서, 상측부가 선박의 상부데크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일자형(一字形)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데크 상에서 분리 취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는 외주면에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되며, 상측부가 상기 상부데크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외관부; 및 상기 외관부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외관부 내측을 유체가 주입되는 내부유로 및 상기 주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외부유로로 구획하는 내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출공은 복수개가 상기 외관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공은 상기 외관부의 상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는, 상기 외관부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제 1 결합플랜지; 및 상기 제 1 결합플랜지를 상기 상부데크에 체결시키는 제 1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관부의 하단은 상기 외관부의 하단보다 소정정도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는, 상기 내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관부가 상기 외관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관부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가 상기 내관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는, 상기 내관부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제 2 결합플랜지; 및 상기 제 2 결합플랜지를 상기 외관부 상단에 체결시키는 제 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는, 상기 외관부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외관부의 하단을 밀폐시키는 블라인드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는 선박의 상부데크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부데크 상에서 보수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적층된 이물질의 제거나 부품의 교체와 같은 유지보수작업이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는 외관부 및 내관부의 이중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일자형 구조를 이루면서도 종래의 U자형 역류방지장치와 같이 유체의 역류방지, 유독성가스의 누출차단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는 유체탱크의 내측에 별도의 플랫폼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선박의 제조단가를 절감시키고, 제작공수를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역류방지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Ⅲ-Ⅲ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Ⅳ-Ⅳ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Ⅴ-Ⅴ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제 1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의 역류방지구조를 보여주는 제 2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Ⅲ-Ⅲ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는 상측부가 선박의 상부데크(10)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유체탱크의 내부를 향해 배치된다. 또한, 선박용 유체탱크의 역류 방지장치(100)는 일자형(一字形) 구조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는, 종래 용접 등을 통해 상부데크(10)에 일체로 고정되었던 역류방지장치(20, 도 1 참고)와 달리, 상부데크(10)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를 분리 취출해 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부데크(10) 상에서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의 보수작업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는 상측부가 상부데크(10)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외관부(110)와, 외관부(110)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는 내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관부(110)는 중공 원통형의 일자형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가 상부데크(10)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부데크(10) 위로 소정정도 노출된다. 또한, 외관부(110)의 하부는유체탱크의 내부를 향해 배치된다.
이때, 외관부(110)의 상측부에는 제 1 결합플랜지(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결합플랜지(111)는 제 1 고정부재(112)를 통해 상부데크(10)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외관부(110)의 상측부에 제 1 결합플랜지(111)가 형성되고, 볼트나 핀 등의 제 1 고정부재(112)를 통해 제 1 결합플랜지(111)를 상부데크(10)에 고정시킴으로써, 외관부(110)가 상부데크(10)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외관부(110)가 상부데크(10)에 체결되는 방식은 분리 가능한 형태이면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외관부(110)에는 유출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Ⅳ-Ⅳ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유출공(113)은 외관부(110)의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로 유입된 유체가 유체탱크 내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도 6 참고)
이때, 유출공(113)은 외관부(110)의 상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유체탱크에 적재된 유체의 수위가 유출공(113)이 형성된 높이보다 높을 경우,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가 역류방지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유출공(113)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외관부(110)에 6개의 유출공(113)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다만, 유출공(113)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한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덧붙여, 복수개의 유출공(113)들은 외관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유출공(113)들이 방사형으로 배치된 경우, 외관부(110)로 유입된 유체가 유체탱크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내관부(120)는 중공 원통형의 일자형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관부(110)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내관부(120)는 외관부(110)의 내측을 내부유로(125) 및 외부유로(115)로 구획한다. 즉, 외관부(110)의 내측은 내관부(120)로 인해 형성되는 내부유로(125)와, 내관부(120)와 외관부(110) 사이에 형성되는 외부유로(115)로 구획된다. 이때, 내부유로(125)는 유체가 주입되는 통로가 되며, 외부유로(115)는 상기와 같이 주입된 유체가 유출공(113)을 통해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이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내관부(120)는 하단이 외관부(110)의 하단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내관부(120)의 하단은 외관부(110)의 하단보다 소정정도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관부(120)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내관부(120)의 하단을 통해 유출되어 외관부(110)로 유동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내관부(120)는 외관부(110)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내관부(120)에 제 2 결합플랜지(121)가 형성되고, 제 2 고정부재(122)를 통해 제 2 결합플랜지(121)가 외관부(110)의 체결되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즉, 내관부(120)의 상부측에 제 2 결합플랜지(121)가 형성되고, 제 2 고정부재(122)를 통해 제 2 결합플랜지(121)를 외관부(110)의 상단에 결합시킴으로써, 내관부(120)와 외관부(110)가 분리 가능한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다만, 내관부(120)와 외관부(110)의 체결되는 방식은 분리 가능한 형태이면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결합플랜지(121)와 외관부(110) 사이에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켓(Gasket, 미도시) 등이 개재될 수 있다.
한편, 내관부(120)에는 가이드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Ⅴ-Ⅴ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가이드부(124)는 내관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가이드부(124)들은 내관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내관부(120)의 외주면에 3개의 가이드부(124)가 방사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다만, 가이드부(124)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한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부(124)는 내관부(120)가 외관부(110)의 중심 측에 위치하도록 내관부(120)의 위치를 가이드한다. 즉, 가이드부(124)는 분리된 내관부(120)를 다시 외관부(110)에 조립할 경우 내관부(120)가 외관부(110)의 중심 측으로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내관부(120)의 위치를 가이드한다. 따라서 가이드부(124)는 내관부(120)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가이드부(124)는 내관부(12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나 선박의 운동 등에 의하여 내관부(120)가 외관부(110) 내부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124)는 내관부(120)와 외관부(110)의 충돌로 인한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의 작동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내관부(120)의 상단은 상부데크(10) 위로 노출되며, 잔유주입파이프(미도시) 등이 연결되어 메인로딩파이프(미도시)에 남아있는 잔유 등이 주입된다. 이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는 블라인드플랜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라인드플랜지(130)는 외관부(110)의 하단에 체결되어 외관부(110)의 하단을 밀폐시킨다. 이때, 블라인드플랜지(130)는 볼트결합 등을 통해 외관부(110)와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외관부(110)의 하단에 이물질이 적층되면 블라인드플랜지(130)를 분리하여 간편하게 상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플랜지(130)와 외관부(110) 사이에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켓(Gasket, 미도시) 등이 개재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제 1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내관부(120)의 상단에는 메인로딩파이프(미도시)에서 지관(支管)된 잔유주입파이프(20)가 연결되고, 잔유주입파이프(20)를 통해 상기 메인로딩파이프의 관로에 남아있는 오일 등의 유체가 주입된다. 이때, 유체의 주입을 위하여 펌프(미도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내관부(120)로 주입된 유체는 상기 펌프의 압력에 의하여 내부유로(125)를 따라 하부방향으로 유동하여 내관부(120)의 하단으로 배출된다.
즉, 내관부(120)의 하단이 외관부(110)의 하단보다 소정정도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블라인드플랜지(130)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므로, 내부유로(125)를 따라 하부방향으로 유동한 유체는 내관부(120)의 하단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때, 외관부(110)의 하단은 블라인드플랜지(130)에 의해 밀폐되어 있으므로, 내관부(120)의 하단으로 배출된 유체는 다시 외부유로(115)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 즉, 내관부(120)의 하단으로 배출된 유체는 유동방향이 전환되어 외부유로(115)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유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는 외관부(110)와 내관부(120)의 이중관 구조를 통해, 종래와 같은 U자형 구조가 없이도 유체의 유동경로를 U자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물질 유입방지 등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자형 구조로 형성되어 선박의 상부데크(10)에서의 분리 취출이 용이하다.
한편, 외부유로(115)를 따라 상부로 유동한 유체는 외관부(110)에 형성된 유출공(113)을 통해 유체탱크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는 복수개의 유출공(113)들을 외관부(110)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상기와 같은 유체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하나의 배출구(23, 도 1 참고)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는데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는 복수개의 유출공(113)들을 통해 유체가 배출되므로, 일부 유출공(113)이 막히거나 폐쇄되는 경우에도 다른 유출공(113)을 통해 유체가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 등으로 인해 유로가 폐쇄되어 유체가 유체탱크 내로 배출되지 않는 등의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의 역류방지구조를 보여주는 제 2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유체의 주입이 완료되고 잔유주입파이프(20)가 제거되면, 외관부(110) 및 내관부(120)의 하부에는 소정정도의 유체가 고여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는 유체탱크 내에서 발생되는 유독성가스 등의 내부가스가 역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블라인드플랜지(130)로 폐쇄되어 있는 외관부(110)의 하단에는 유체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이 침전되어 적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상부데크(10) 상에서 제 1 고정부재(112)를 결합해제하고 외관부(110) 및 내관부(120)를 분리 취출한다. 또한, 작업자는 블라인드플랜지(130)를 외관부(110)에서 분리하여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는 일자형으로 상부데크(10)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므로, 상기와 같은 작업이 상부데크(10)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적층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유체탱크 내부로 직접 진입할 필요가 없으며, 상부데크(10) 상에서 보수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유체탱크에 유체가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이물질의 제거와 같은 보수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자가 유체탱크 내 유독성가스를 흡입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100)에 접근하기 위한 별도의 플랫폼 등을 유체탱크 내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유체탱크의 제작공수가 단축될 수 있으며, 선박의 제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120: 내관부
110: 외관부 121: 제 2 결합플랜지
111: 제 1 결합플랜지 122: 제 2 고정부재
112: 제 1 고정부재 124: 가이드부
113: 유출공 125: 내부유로
115: 외부유로 130: 블라인드플랜지

Claims (10)

  1. 선박용 유체탱크에 설치되어 내부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에 있어서,
    상측부가 선박의 상부데크(10)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일자형(一字形)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데크(10) 상에서 분리 취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외주면에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공(113)이 형성되며, 상측부가 상기 상부데크(10)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외관부(110); 및
    상기 외관부(110)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외관부(110) 내측을 유체가 주입되는 내부유로(125) 및 상기 주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외부유로(115)로 구획하는 내관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113)은 복수개가 상기 외관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113)은 상기 외관부(110)의 상측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관부(110)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제 1 결합플랜지(111); 및
    상기 제 1 결합플랜지(111)를 상기 상부데크(10)에 체결시키는 제 1 고정부재(1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120)의 하단은 상기 외관부(110)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관부(120)가 상기 외관부(11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관부(120)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24)는 복수개가 상기 내관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120)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제 2 결합플랜지(121); 및
    상기 제 2 결합플랜지(121)를 상기 외관부(110) 상단에 체결시키는 제 2 고정부재(1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10.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부(110)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외관부(110)의 하단을 밀폐시키는 블라인드플랜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KR1020110034922A 2011-04-15 2011-04-15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KR101301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922A KR101301996B1 (ko) 2011-04-15 2011-04-15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922A KR101301996B1 (ko) 2011-04-15 2011-04-15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268A true KR20120117268A (ko) 2012-10-24
KR101301996B1 KR101301996B1 (ko) 2013-09-02

Family

ID=4728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922A KR101301996B1 (ko) 2011-04-15 2011-04-15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9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2889A (ko) * 2013-05-08 2014-11-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오일 칼럼 탑재 시스템 및 탑재 방법
KR101523719B1 (ko) * 2014-02-13 2015-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KR102252146B1 (ko) * 2020-09-29 2021-05-14 (주)티티에스 플로팅 루프형 유류저장탱크의 자동비상용 지붕배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883B1 (ko) * 2019-11-05 2020-04-29 장진구 기능 개선형 액화수소 연료탱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9512B2 (ja) * 1987-10-28 1997-03-12 東洋炉工業株式会社 熱処理工程における焼入浴槽の冷却装置
JPH0396292U (ko) * 1990-01-24 1991-10-01
KR200179458Y1 (ko) * 1999-11-03 2000-04-15 이철수 지중 매설용 내식 및 내유성 이중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2889A (ko) * 2013-05-08 2014-11-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오일 칼럼 탑재 시스템 및 탑재 방법
KR101523719B1 (ko) * 2014-02-13 2015-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KR102252146B1 (ko) * 2020-09-29 2021-05-14 (주)티티에스 플로팅 루프형 유류저장탱크의 자동비상용 지붕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996B1 (ko) 201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996B1 (ko)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US20170065912A1 (en) Filter cleaning system and method
JP5908760B2 (ja) 空気弁
EP3290358A1 (en) Multi-purpose water tank
CN106823520B (zh) 自动活塞式行走过滤设备
JP6469198B1 (ja) 濾過装置
KR20110047407A (ko) 안전주입탱크
KR20090100529A (ko) 안전주입탱크
JP6621046B2 (ja) 水洗大便器装置
KR20190060617A (ko) 개선된 사이펀 스커퍼를 구비하는 배수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배수방법
KR101159234B1 (ko)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KR101923638B1 (ko) 급유차량용 필터 세퍼레이터
JP6130177B2 (ja) 槽内攪拌装置
KR101261868B1 (ko) 선박의 비상배수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E10242050A1 (de) Ölbehälter
CN210739469U (zh) 一种新型止回流装置
CN103028569A (zh) 瓶塞清洗机
JP5212052B2 (ja) 廃液の回収装置
JP2014181618A (ja) 攪拌装置付き水中ポンプ装置
CN108607753B (zh) 喷嘴装置、催化裂化系统及喷嘴疏通方法
JP4791050B2 (ja) 地下液体貯留設備の保護管内付着堆積物除去装置及び方法
KR102394772B1 (ko) 연료주유중 오버플로우 방지 시스템
KR102516311B1 (ko) 분리기
CN211249685U (zh) 一种磨料混合射流器
US20230114563A1 (en) Solids jetting retrof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