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349B1 -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349B1
KR102177349B1 KR1020180017472A KR20180017472A KR102177349B1 KR 102177349 B1 KR102177349 B1 KR 102177349B1 KR 1020180017472 A KR1020180017472 A KR 1020180017472A KR 20180017472 A KR20180017472 A KR 20180017472A KR 102177349 B1 KR102177349 B1 KR 102177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thelin
composition
somatic cell
cells
effici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708A (ko
Inventor
이은주
김효수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80017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349B1/ko
Priority to US16/969,045 priority patent/US20210139845A1/en
Priority to PCT/KR2019/001686 priority patent/WO2019160299A1/ko
Publication of KR20190097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87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transformation
    • C12N15/873Techniques for producing new embryos, e.g. nuclear transfer, manipulation of totipotent cells or production of chimeric embryos
    • C12N15/877Techniques for producing new mammalian cloned embryo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03Embryonic cells ; Embryoid bodies
    • C12N5/0604Whole embryos; Culture medium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07K14/57536Endothelin, vasoactive intestinal contractor [VIC]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998Protei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도텔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체세포에 처리할 경우, 핵치환 시 성공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된 H3K9me3을 억제하고, 그 반대 활성을 가지는 H3K4me3을 증가시켜 핵 치환의 성공 효율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세포 복제 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핵치환 유래 만능줄기세포 제조 효율을 증가시키고, 궁극적으로 세포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본 발명은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 및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줄기세포 (stem cells)는 무한히 자가 재생할 수 있으면서 신체 모든 조직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미분화 세포이다. 줄기세포 연구는 재생의학, 신약 개발과 같은 세포치료제의 개발, 인체 질환의 발병 원인 및 치료, 그리고 인체의 발생 과정을 연구하는 중요한 대상으로 각광받고 있는 연구 분야이다.
만능 줄기세포 (totipotent stem cells)는 난자와 정자의 수정 이후 8세포기까지의 세포를 말하며, 이 세포를 분리하여 자궁에 이식하면 하나의 완전한 개체로 발생 가능하다. 전분화능 줄기세포 (pluripotent stem cells)는 수정 4-5일 후 나타나는 배반포 (blastocyte)의 안쪽에 위치한 내세포피 (inner cell mass)에서 유래하며, 다양한 세포와 조직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새로운 생명체를 형성하지는 못한다. 다분화능 줄기세포 (multipotent stem cells)는 세포가 포함되어 있는 조직 및 기관에 특이적인 세포로만 분화할 수 있는 줄기세포이다.
줄기세포 중 배아 줄기세포는 착상 전 배아의 내세포피 (inner cell mass)로부터 만들어지며, 적절한 환경 하에서 200가지 이상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고, 기관 전체를 만들 수도 있다. 그러나 세포치료제로써 배아 줄기세포는 난자를 사용해서 만들어야 하고, 배아를 파괴해야 얻을 수 있다는 윤리적인 문제를 가지며, 또한 면역거부반응이 있어서 임상에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 등과 같은 여러 문제점을 가진다.
최근,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유도 만능 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가 보고되고 있다. 유도 만능 줄기세포는 분화가 끝난 세포를 역분화시켜 전분화능 (pluripotency)을 갖는 세포를 지칭하며, 배아 줄기세포와 유사하게 자가재생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신체의 모든 타입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현재까지 유도 만능 줄기세포는 유전자 발현과 분화능에서 만능 줄기세포인 배아 줄기세포와 거의 동일한 성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Cell, 126:663-676, 2006).
한편, 재생의학에 있어 사람 체세포의 핵을, 핵을 제거한 난자에 주입하여 만드는 핵치환(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유래 만능줄기세포의 제작기법은 개개인의 특정적 질환의 치료 뿐 아니라 질병모델링 및 신약 개발 등에 이르기까지 최근 잠재적 사용 영역이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는 중요기술이다. 그러나 핵치환 후 성공적인 만능줄기세포의 유도는 아직까지 그 효율이 매우 낮아 활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최근 이러한 낮은 효율은 공여세포의 유전자의 remodeling 과정에서 발생하며, 특히 공여세포의 Histone H3 lysine 9 trimethylation (H3K9me3)의 발현이 SCNT 과정 중 감소되지 않는 것이 원인임이 밝혀진 바 있다 (Cell Stem Cell 17, 758766, 2015).
본 발명자들은 공여세포의 H3K9me3의 발현을 낮추는 것만으로도 만능줄기세포의 성공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H3K9me3의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예의 연구한 결과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엔도텔린 (endothel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엔도텔린 (endothel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핵치환 효율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엔도텔린 (endothel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 방법 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도텔린 (endothel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세포는 인간 또는 동물 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세포 복제는 체세포 핵치환(somatic cell nuclear strasfer (SCNT)) 유래 세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은 체세포 핵치환 효율 증진에 기인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엔도텔린은 엔도텔린-1, 엔도텔린-2, 엔도텔린-3, 엔도텔린 유사체 (Endothelin Modifier), Big ET (Big Endothelin) 및 prepro ET (prepro Endothelin)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엔도텔린 유사체는 엔도텔린을 구성하는 21개의 아미노산 중에서, 16번 내지 21번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그대로 포함하되, 1번 내지 15번의 아미노산 중 하나 이상이 변형되거나 결실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prepro ET 및 big ET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엔도텔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핵치환 효율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체세포의 핵치환 과정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체세포의 핵치환 과정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핵치환 효율 증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도텔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체세포에 처리할 경우, 핵치환 시 성공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된 H3K9me3을 억제하고, 그 반대 활성을 가지는 H3K4me3을 증가시켜 핵 치환의 성공 효율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세포 복제 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핵치환 유래 만능줄기세포 제조 효율을 증가시키고, 궁극적으로 세포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Endothelin에 의해 demethylase 의 promoter 부분에서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있던 H3K9me3 이 떨어지고 유전자 발현을 촉진 시키는 H3K4me3 의 binding이 증가됨을 보여주는 ChIP PCR 결과이다.
도 2는 Endothelin에 의한 demethylase, APOBEC1 의 발현 촉진에 대한 설명 모식도 이다.
도 3은 Endothelin에 의한 demethylase, APOBEC1 의 promoter 부분에서 H3K4me3 --> H3K9me3 의 transit을 보여주기 위해 진행한 ChIP 설명도 이다.
본 발명자들은 엔도텔린이 유전자 발현 억제자로 알려진 H3K9me3 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체세포 복제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발견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엔도텔린"은 혈관 내피세포에서 생성되는 펩타이드로, 21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되며 (Yanagisawa M et al.,Nature, 332:411-415, 1988), 혈관 수축 펩타이드로 알려져 있다. 엔도텔린은 한 분자에 2개의 S-S 결합을 가지고 있으며, 엔도텔린 전구체가 변형됨으로써 생성된다.
대부분의 포유류는 엔도텔린-1, 엔도텔린-2 및 엔도텔린-3의 이소펩타이드 엔도텔린을 가지고 있다. 상기 3종류의 이소펩타이드 엔도텔린은 일과성 혈관 확장과 지속적인 혈관 수축 작용에 있어서, 유사한 기능 및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엔도텔린"은 엔도텔린-1, 엔도텔린-2, 엔도텔린-3, 엔도텔린 유사체 (Endothelin Modifier), Big ET (Big Endothelin) 및 prepro ET (prepro Endothelin)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엔도텔린 유사체 (Endothelin Modifier)"는 21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엔도텔린에 있어서, 활성부분인 16번-21번의 아미노산 (서열번호 1)은 포함하되, 1번-15번의 아미노산 중 하나 이상이 변형되거나 결실된 형태를 의미하며, 엔도텔린의 활성을 담당하는 주요부인 16번-21번의 아미노산을 제외한 부분이 변형 또는 결실된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Endothelin Derivative라고도 불린다. 엔도텔린 유사체는 엔도텔린이 수용체에 binding하는 것과 유사한 기능 및 효과를 가진다.
서열번호 1: His-Leu-Asp-Ile-Ile-Trp
본 발명에서 "변형"이란 엔도텔린을 구성하는 1번-15번의 아미노산 중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되는 것을 의미하며, "결실"이란 엔도텔린을 구성하는 1번-15번의 아미노산 중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삭제된 것을 뜻한다.
본 발명에서 "prepro ET (prepro Endothelin)"는 엔도텔린을 coding하는 유전자가 전사되어 최초로 생성되는 212개의 아미노산을 의미하며, prepro ET는 효소의 작용에 의해 3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진 "big ET (big Endothelin)"을 생성한다. 엔도텔린은 ET 변환 효소 (Endothelin Converting Enzyme : ECM)가 big ET에 작용하여 C-terminal의 아미노산이 떨어져 나가면서 생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체세포" 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유전적 배경 및/또는 기원을 가지는 인간 및 동물 세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체세포"는 분화가 완료되어, 만능성이 없거나 제한적인 세포를 의미하며, "분화"란 세포가 분열 증식하여 성장하는 동안에 서로 구조나 기능이 특수화하는 현상으로, 생물의 세포, 조직 등이 각각에게 주어진 일을 수행하기 위하여 형태나 기능이 변해가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체세포는 천연 발생의 체세포 또는 유전자 변형 체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줄기세포"는 여러 종류의 신체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세포, 즉 미분화세포이며 배아 줄기세포와 성체 줄기세포로 분류할 수 있다. "배아 줄기세포"는 분화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아직 분화는 일어나지 않은 미분화 세포로, 이러한 미분화 상태에서 적절한 조건을 맞춰주면 다양한 조직세포로 분화가 가능한 만능 줄기세포성 (pluripotency)을 가지는 세포를 의미하며, 넓은 의미로는 배아 줄기세포로부터 유래한 배아체 (embryoid bodies)도 포함한다. "성체 줄기세포"는 모든 조직으로 분화할 수는 없으나 각 표적기관으로는 분화할 수 있는, 제한된 분화능을 가지는 세포를 의미한다. 더불어 "분화능"이란 생물의 초기 발생에서 배의 일부가 주어진 발생 조건에 따라 각종 기관이나 조직으로 분화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만능 줄기세포"는 개체 형성에 필요한 중배엽, 내배엽 및 외배엽을 비롯한 삼배엽 관련 모든 세포로 분화가 가능한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줄기세포의 궁극적 능력을 나타낸다. 또한, 만능 줄기세포성 유전자는 이러한 능력을 나타내는 표지자 또는 만능성을 유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유전자를 의미하므로, 역분화 유도인자로도 분류되어진다.
본 발명에서 히스톤메틸효소(Histone metyltransferase)는 히스톤 단백질의 lysine 또는 arginine (R) 잔기에 methyl기를 부착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촉진시키는 효소를 의미한다. H3K9me3 는 histone H3의 lysine잔기에 three methyl군을 부착시키는 효소로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endothelin을 인간 중간엽 줄기세포에 전 처리 하였을 때 유전자 발현 억제자로 알려진 H3K9me3 의 발현은 억제되는 반면, 유전자 발현 활성자로 알려진 H3K4me3는 발현이 증가됨을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ChIP) assay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참조). Apobec1은 deaminase 로써 demethylase로도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이며, 이 유전자의 활성화는 whole genome 상의 demethylation을 유발하며, 궁극적으로 전체 유전자의 발현을 증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Endothelin 에 의한 Apobec1 의 발현은, SMARC A4 와 SMARC D2 중간 mediator에 의해 Apobec1 프로모터 부분의 H3K9me3이 H3K4me3 로 변화(transit) 됨에 기인된다는 것을 siRNA를 이용한 SMARC A4 와 SMARC D2의 knock-down 을 통해 확인하였다 (도 1의 세 번째 및 네 번째 lane 참조). 이와 관련하여, endothelin에 의한 demethylase, APOBEC1 의 발현 촉진에 대한 설명 모식도를 도 2에 나타내었다. SMARC(SWI/SNF Related, Matrix Associated, Actin Dependent Regulator Of Chromatin)는 chromatin regulator 로 알려져 있는 유전자 집합체로 Endothelin에 의한 demethylase, APOBEC1 의 발현 촉진이 SMARC 에 의해 중재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Endothelin에 의한 demethylase, APOBEC1 의 promoter 부분에서 H3K4me3 --> H3K9me3 의 transit을 보여주기 위해 ChIP를 진행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전체 genomic DNA를 추출하여 단편화한 후 H3K4me3 또는 H3K9me3 antibody로 반응 시켜 full down 하고, APOBEC1 의 promoter 부분에서 Histone 이 binding 하는 부분을 찾아서 PCR을 진행하였다 (도 3 참조).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Endothelin의 H3K4me3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 확인
인간 중간엽줄기세포에 SMARCA4 또는 SMARCD2 의 siRNA를 transfection 한 후 Endothelin을 처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Lonza에서 구매한 인간 중배엽 줄기세포 (Poietics™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Lonza) 를 사용하였다. 상기 세포는 인간 중배엽 줄기세포 동정 실험을 실시하여 선별된 것으로, 중배엽 줄기세포의 양성 세포 표지자 (CD29, CD90, CD44, CD73, CD105, CD166) 의 표현과 세포 표지자 (CD34, CD45, CD14, HLA-DR or CD19) 의 음성 확인, 및 중배엽 줄기세포의 다중 분화능을 확인한 후, 인간 골수 유래 줄기세포로 동정, 분류된 것이다.
회수한 세포에서 genomic DNA를 추출 하고 H3K9me3 또는 H3K4me3 항체 [anti-H3K9me3 (Abcam; cat. no. ab8898), anti-H3K4me3 (Abcam; cat. no. ab8580), normal rabbit IgG (Cell Signaling Technology; cat. no. #2729): negative control] 를 이용하여 반응 시킨 후 H3K9me3 또는 H3K4me3 의 binding 을 확인 할 수 있는 Apobec1 promoter primer 를 이용하여 ChIP-PCR을 실시하였다.
forward primer : 5’-GAGGTCAAGAGTTCAAAAACAGCC-3’
reverse primer : 5’-TATTTATTTTTCATTATCTCCTACTCTGC-3’
구체적으로, 인간 중배엽 줄기 세포에 4% PFA를 처리하여 10분간 crosslinking 하고 125 mM glycine 으로 5분간 반응시킨 다음, ChIP 버퍼 (50 mM, NaCl 150 mM Tris-HCl pH 8.0, 0.5% Triton X-100, 1 mM EDTA, 0.1% sodium deoxycholate, 0.1% sodium dodecyl sulfate [SDS] including 1× Xpert protease inhibitor cocktail [GeneDEPOT, Barker, TX, USA])를 사용하여 세포를 lysis 시킨 후 BIORUPTOR sonicator (Diagenode, Denville, NJ, USA)를 사용하여 200500-bp의 DNA fragment 로 잘랐다. H3K9me3 또는 H3K4me3 항체를 첨가하고, protein A/G agarose bead (Abcam)를 넣어준 후 pull down 시킨 다음 비드(bead) 를 다른 wash buffer로 순차적으로 3번 세척하였다(low-salt buffer: 20 mM Tris-HCl, 150 mM NaCl, 0.5% Triton X-100, 0.1 mM EDTA; high-salt buffer: same as low-salt buffer except for 500 mM NaCl; lithium-chloride buffer: same as low-salt buffer except for 250 mM LiCl instead of NaCl).
그 후 65°C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crosslink를 제거하였다. PCR purification kit (Qiagen) 로 DNA fragments 를 회수하였으며, analyzed using qPCR 및 semi-quantitative PCR 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endothelin에 의해 demethylase 의 promoter 부분에서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있던 H3K9me3 이 떨어지고 유전자 발현을 촉진 시키는 H3K4me3 의 binding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노란 점선 부분). 이는 endothelin에 의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histone modification 이 진행되고 chromatin remodeling이 이루어짐을 시사한다.
<110>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20> Composition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130> MP17-311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6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 His Leu Asp Ile Ile Trp 1 5 <210> 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pobec1 promoter forward primer <400> 2 gaggtcaaga gttcaaaaac agcc 24 <210> 3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pobec1 promoter reverse primer <400> 3 tatttatttt tcattatctc ctactctgc 29

Claims (13)

  1. 엔도텔린-1(endothelin-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로서,
    상기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은 체세포 핵치환(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을 위한 공여 세포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세포는 인간 또는 동물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은 체세포 핵치환 효율 증진에 기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엔도텔린-1(endothelin-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핵치환 효율 증진용 조성물로서,
    상기 핵치환 효율 증진용 조성물은 체세포 핵치환(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을 위한 공여 세포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치환 효율 증진용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의 조성물을 체세포 핵치환을 위한 공여 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 방법.
  13. 제1항의 조성물을 체세포 핵치환을 위한 공여 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 방법.


KR1020180017472A 2018-02-13 2018-02-13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 KR102177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72A KR102177349B1 (ko) 2018-02-13 2018-02-13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
US16/969,045 US20210139845A1 (en) 2018-02-13 2019-02-12 Composition for promoting efficiency of somatic cell replication
PCT/KR2019/001686 WO2019160299A1 (ko) 2018-02-13 2019-02-12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72A KR102177349B1 (ko) 2018-02-13 2018-02-13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708A KR20190097708A (ko) 2019-08-21
KR102177349B1 true KR102177349B1 (ko) 2020-11-12

Family

ID=6761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472A KR102177349B1 (ko) 2018-02-13 2018-02-13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39845A1 (ko)
KR (1) KR102177349B1 (ko)
WO (1) WO201916029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2201A (ja) 2013-03-08 2016-04-25 アッヴ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急性腎障害の治療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293B1 (ko) * 2010-04-16 2016-11-17 서울대학교병원 줄기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활성 줄기 세포
KR20120134360A (ko) * 2011-06-02 2012-12-12 서울대학교병원 세포의 역분화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도 만능 줄기세포의 제조방법
EP2997131A4 (en) * 2013-05-13 2016-10-26 Univ Oregon Health & Science HUMAN PLURIPOTENTIAL STEM CELLS MADE BY SOMATIC CELL CORE TRANSFER
KR102048067B1 (ko) * 2015-01-19 2019-11-22 서울대학교병원 인간 중간엽 줄기세포의 줄기세포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2201A (ja) 2013-03-08 2016-04-25 アッヴ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急性腎障害の治療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Volume 2016, Article ID 2634976, 7 pages. 1부.*
Cell Stem Cell, Volume 17, Issue 6, (2015), pp 758-76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0299A1 (ko) 2019-08-22
KR20190097708A (ko) 2019-08-21
US20210139845A1 (en)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64280B (zh) 利用以凝血因子viii基因为靶的核酸内切酶的a型血友病治疗用组合物
US20220315946A1 (en) Composi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cell therapy
Wu et al. Generation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from newborn marmoset skin fibroblasts
Leyva-Leyva et al. Characteriz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 subpopulations from human amniotic membrane with dissimilar osteoblastic potential
Liu et al. Disruption of the ZBED6 binding site in intron 3 of IGF2 by CRISPR/Cas9 leads to enhanced muscle development in Liang Guang Small Spotted pigs
CN107828722B (zh) 特异性表达pd-1的干细胞、其鉴定和分离方法及用途
US20140178988A1 (en) Differentiated Progeny of Clonal Progenitor Cell Lines
US20130078222A1 (en) Intervertebral Disc Nucleus Pulposus Stem Cell/Progenitor Cell, The Cultivation Method And Intended Use Thereof
JP6491606B2 (ja) 多機能未成熟歯髄幹細胞および療法適用
JP2004057198A (ja) 多能性体細胞
CN104046593A (zh) 一种低免疫原性的人细胞及其制备方法
US20040234972A1 (en) Method for identifying and purifying smooth muscle progenitor cells
Sreekumar et al. G Sharma T (201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uffalo Wharton’s Jelly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CA2934100A1 (en) Mammalian muscle-derived stem cells
KR102048067B1 (ko) 인간 중간엽 줄기세포의 줄기세포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Hasani et al. Cardiac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stem cells is driven by BMP4 and bFGF but counteracted by 5-azacytidine and valproic acid
KR102177349B1 (ko) 체세포 복제 효율 증진용 조성물
JP5564679B2 (ja) 心筋細胞分化誘導促進剤およびその使用方法
Ball et al. Methods and insights from the characterization of osteoprogenitor cells of bats (Mammalia: Chiroptera)
KR20120134360A (ko) 세포의 역분화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도 만능 줄기세포의 제조방법
KR102121417B1 (ko) Stat3 활성화제를 이용한 골격근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골격근세포 분화 유도 방법
CN105073978B (zh) 利用植物干细胞或植物去分化干细胞的提取物诱导定制亚全能干细胞的方法以及利用该方法的方式制得的亚全能干细胞
WO2003099001A1 (en) Nuclear transfer nuclei from histone hypomethylated donor cells
KR102280199B1 (ko) 중간엽 줄기세포의 면역조절 활성 증진용 조성물
Bhutta et al. Advances in the use of stem cells therapy in veterinary clinical pract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