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715B1 -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5715B1 KR102175715B1 KR1020170180239A KR20170180239A KR102175715B1 KR 102175715 B1 KR102175715 B1 KR 102175715B1 KR 1020170180239 A KR1020170180239 A KR 1020170180239A KR 20170180239 A KR20170180239 A KR 20170180239A KR 102175715 B1 KR102175715 B1 KR 1021757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carbonate
- repeating unit
- epoxy group
- resin composition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06—Butadi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with vinyl-aromatic mono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with nitri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 C08G64/305—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and alcoho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8L101/0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oxygen ato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및 스티렌계 수지와 함께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는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유래 제1 반복단위; 올레핀계 단량체 유래 제2 반복단위; 그리고 비닐아세테이트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단량체 유래 제3 반복단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반복단위를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4중량% 이상으로 포함함으로써, 개선된 마찰 소음성을 나타내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찰 소음성이 개선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와 같은 방향족 디을과 포스겐과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축중합하여 제조되는 수지로서,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열적 물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상온에서 높은 내충격성을 가지고 있으며,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폴리카보네이트에 다양한 종류의 층진제를 보강하여 우수한 물성을 구현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외에 ABS (아크릴로니트릴ㅡ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와 혼합하여 가공성을 높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상 PC/ ABS 수지 또는 PC/ ABS Alloy라고 한다.
PC/ABS 소재는 높은 노치 충격 강도를 유지하면서 가공성을 향상시킨 열가소성 수지 혼합물로서, 비교적 내열성이 높기 때문에 Centerfacia, Air-vent bezel, Garnish 등 자동차의 다양한 부품이나, 컴퓨터의 하우징 또는 기타 사무용 기기 등의 열을 많이 발하는 대형 사출물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난연성도 우수하며 최근 그 사용 영역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PC/ABS 소재는 내찰상성이 낮고 타 부재와 서로 마찰시 마찰 소음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PC/ABS 소재로 제조된 부품들이 조립되어 완성차로 운행시 가속이나 감속 등 차량의 움직임에 의한 부품간 마찰로 인해 Squeak Noise (두 개의 부품이 미끄러지면서 발생되는 소음)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움직이는 부품에 적용되는 PC/ABS 소재의 마찰 소음성을 개선하여 Noise 발생 가능성을 낮추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마찰 소음성이 개선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 터폴리머-스티렌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스티렌계 수지, 및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는,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유래 제1 반복단위; 올레핀계 단량체 유래 제2 반복단위; 및 비닐아세테이트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단량체 유래 제3 반복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복단위는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4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에 대해 우수한 상용성을 갖는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개선된 마찰 소음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품 제조시 마찰로 인한 Squeak Noise (두개의 부품이 미끄러지면서 발생되는 소음)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어 성형품 제조시 우수한 외관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나 OA전자기기, 전기 전자기기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우수한 외관 특성과 함께 마찰 소음성 개선이 요구되는 Centerfacia, Air-vent bezel, Garnish 등 자동차의 다양한 부품 제조에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시, 특정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여 두 수지에 대해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는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마찰 소음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형품의 외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b)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터폴리머-스티렌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스티렌계 수지, 및
(c)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c)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는,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유래 제1 반복단위; 올레핀계 단량체 유래 제2 반복단위; 및 비닐아세테이트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단량체 유래 제3 반복단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반복단위를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4중량% 이상으로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 성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베이스 수지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향족 디올계 화합물과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중합 반응에 의해 제조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제조를 위한 방향족 디올계 화합물은 비스페놀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 BPA),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비스페놀 Z; BPZ),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또는 α,ω-비스[3-(ο-히드록시페닐)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부틸 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 카보네이트, 디페닐 카보네이트, 디토릴 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 카보네이트, m-크레실 카보네이트, 디나프틸 카보네이트, 비스(디페닐) 카보네이트, 카보닐 클로라이드(포스겐), 트리포스겐, 디포스겐, 카보닐 브로마이드 또는 비스할로포르메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도 트리포스겐 또는 포스겐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방향족 디올계 화합물의 히드록시기와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반응하여 형성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10 알킬, C1-10 알콕시, 또는 할로겐이고,
Z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페닐로 치환된 C1-10 알킬렌, 비치환되거나 또는 C1-10 알킬로 치환된 C3-15 사이클로알킬렌, O, S, SO, SO2, 및 C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클로로, 또는 브로모이고, Z는 메틸렌, 에탄-1,1-디일, 프로판-2,2-디일, 부탄-2,2-디일, 1-페닐에탄-1,1-디일, 또는 디페닐메틸렌과 같이, 비치환되거나 또는 페닐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 알킬렌이거나, O, S, SO, SO2, 또는 CO일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Z는 사이클로헥산-1,1-디일, O, S, SO, SO2, 또는 CO일 수 있다.
일례로, 비스페놀 A와 카보네이트 전구체로서 트리포스겐이 중합될 경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1]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ASTM D1238에 따라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FRR)(300℃, 1.2kg)가 2 내지 30 g/10min, 보다 구체적으로는 3 내지 20 g/10min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가공성이 우수하고 물성 밸런스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ASTM D792에 따라 측정한 밀도가 0.8 내지 1.5,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1.3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충격강도가 우수하고 유동성이 양호하여 우수한 가공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20,000 내지 60,000 g/mol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충격강도가 우수하고 유동성이 양호하여 우수한 가공성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폴리카보네이트는 일반적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잘 알려진 합성 방법에 따라 직접 합성하거나,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입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함량은 조절하고자 하는 조성물의 물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97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80중량%,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5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함량 범위로 포함될 때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및 충격강도가 개선될 수 있다.
(b) 스티렌계 수지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터폴리머-스티렌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공중합체는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나타내는 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에 스티렌계 단량체와 아크릴로니트릴이 그라프트(Graft)된 스티렌계 수지이며,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 터폴리머-스티렌 폴리머(Acrylonitrile-Ethylene-Propylene-dieneterpolymer-Styrene polymer; AES 수지)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터폴리머(EPDM)의 고무질 중합체 상에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스티렌계 수지이다. 이다. 단, 본 명세서에서 'ABS 수지'라 함은 반드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에 한정하여 지칭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시안화 비닐 화합물-고무질 중합체-방향족 비닐화합물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수지로 확대 해석하는 것 또한 가능함을 명기한다.
이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와의 우수한 상용성 등을 고려할 때 상기 스티렌계 수지로는 ABS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ABS 수지에 있어서, 고무질 중합체는 그 구성의 한정은 없으나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폴리스티렌-부타디엔(Polystyrene-Butadiene),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Polyacrylonitrile-Butadiene) 등의 디엔계 고무; 및 상기 디엔계 고무에 수소를 첨가한 포화 고무; C1-C8 알킬아크릴레이트(Alkylacrylat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Polybutylacrylate),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thylhexylacrylate) 등의 아크릴 고무; 이소프렌(Isoprene) 고무; 클로로프렌(Chloroprene) 고무; 에틸렌-프로필렌(Ethylene-Propylene: EPM)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Ethylene-Propylene-Diene: EPDM)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도 폴리부타디엔 고무일 수 있다. 상기 ABS 수지내 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 스티렌계 단량체 및 아크릴로니트릴은 그 총 합이 100중량%가 되도록 하는 함량으로 포함되며, 이중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함량은 ABS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7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60중량%,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20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함량으로 고무질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그라프트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최종 제조되는 성형품의 충격강도 및 내화학성도 우수하다.
상기 ABS 수지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또는 p-메틸스티렌 등일 수 있으며, 스티렌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는 ABS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함량으로 고무질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그라프트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최종 제조되는 성형품의 충격강도 및 내화학성도 우수하다.
상기 ABS 수지는 ASTM D1238에 따라 25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한 용융지수(MI)가 5 내지 20 g/10min,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0min인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MI 값을 가질 때, 보다 우수한 충격강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티렌계 수지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종류 및 함량, 그리고 조절하고자 하는 조성물의 물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87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70중량%,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함량 범위로 포함될 때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및 충격강도가 개선될 수 있다.
또, 상기한 함량 범위를 충족하는 조건 하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와 스티렌계 수지는 50:50 내지 80:20의 중량비, 보다 구체적으로는 70:30 내지 60:4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와 스티렌계 수지가 상기한 함량비로 포함될 경우,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및 충격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c)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는 펜던트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서, 구체적으로는 에폭시기 포함 1 이상의 단량체 유래 제1 반복단위; 1 이상의 올레핀계 단량체 유래 제2 반복단위; 및 비닐아세테이트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단량체 유래 제3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는 상기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와 스티렌계 수지 간의 상용성을 향상시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의 충격 향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와 스티렌계 수지 둘 모두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화학적 상호작용을 통해 그라프팅 되거나, 또는 물리적 상호작용을 통해 분산상의 표면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를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의 가공 온도 범위에서 안정하기 때문에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에 있어서,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유래 제1 반복단위는 2-에틸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2-에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2-(n-프로필)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2-(n-프로필)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2-(n-부틸)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2-(n-부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틸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헵틸)-2-에틸 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헵틸)-2-에틸 메타크릴레이트, (6',7'-에폭시헵틸) 아크릴레이트, (6',7'-에폭시헵틸) 메타크릴레이트,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알릴 3,4-에폭시헵틸 에테르, 6,7-에폭시헵틸 알릴 에테르, 비닐 글리시딜 에테르, 비닐 3,4-에폭시헵틸 에테르, 3,4-에폭시헵틸 비닐 에테르, 6,7-에폭시헵틸 비닐 에테르, o-비닐벤질 글리시딜 에테르, m-비닐벤질 글리시딜 에테르, p-비닐벤질 글리시딜 에테르 및 3-비닐시클로헥센 옥시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유래의 제1 반복단위는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의 중합체 쇄 전체에 걸쳐 통계학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유래 제1 반복단위는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4중량%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4 내지 20중량%,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8 내지 12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함량 범위로 포함될 때 상기한 폴리카보네이트 및 스티렌계 수지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로서, 수지 조성물의 마찰 소음성 및 외관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복단위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 등과 같은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켄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제3 반복단위는 단분자 화합물로서 비닐아세테이트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단량체 유래 구조 단위를 포함하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에 포함되어 폴리카보네이트 및 스티렌계 수지와의 상용성 향상을 통해 수지 조성물의 마찰 소음성을 감소시키고, 또 성형품의 박리 불량 등의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반복단위는 상기 제1 및 제2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에 블록 공중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반복단위는 비닐아세테이트 및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포함하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구체적으로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n-옥틸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에 상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유래 반복단위가 제3 반복단위로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분자 화합물인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폴리카보네이트 및 스티렌계 수지와의 상용성 측면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제3 반복단위는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반복단위가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포함하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35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30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 반복단위로서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가 상기한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및 스티렌계 수지에 대한 상용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로서 수지 조성물의 마찰 소음성을 더욱 감소시키고, 성형품의 박리 불량을 방지하며, 외관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 상기 제3 반복단위가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내지 7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 반복단위로서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가 상기한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에도 역시 폴리카보네이트 및 스티렌계 수지에 대한 상용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로서 수지 조성물의 마찰 소음성을 더욱 감소시키고, 성형품의 박리 불량을 방지하며, 외관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MA)-알켄-아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GMA-알켄-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또는 GMA-알켄-아크릴산 에스테르-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등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MA) 유래 반복단위의 함량이 4중량% 이상이고,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유래 반복단위를 상기한 함량으로 더 포함하는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EGMA 수지)일 수 있다.
또,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는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에 대한 추가의 기능 부여 또는 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의 용도에 따라, 추가의 단량체, 구체적으로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각각의 알콕시 및 알킬 부분에 갖는 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예를 들면 , 메톡시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등); 비닐 에스테르(예를 들면,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비닐 부티레이트 등); 비닐 케톤(예를 들면, 메틸 비닐 케톤 또는 에틸 비닐 케톤 등); 비닐 방향족 화합물(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또는 비닐톨루엔 등); 공액화된 디엔(예를 들면,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 등); 히드록실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예를 들면, 4-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등); 니트릴기를 갖는 비닐 또는 비닐리덴 단량체(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3-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등); 및 불포화 아미드 단량체(예를 들면, 아크릴아미드 또는 N-메틸메타크릴아미드 등)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 유래 반복 단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추가의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더 포함할 경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함량으로 추가의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더 포함할 경우, 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의 효과 저하 없이 추가의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 포함에 따른 개선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2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3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함량으로 포함시 우수한 마찰 소음성과 함께 외관 특성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 상기한 함량 범위를 충족하는 조건 하에서,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는 폴리카보네이트 및 스티렌계 수지의 총 함량 100중량부에 대해 1 내지 20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내지 10중량부,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3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및 스티렌계 수지의 총 함량에 대한 상기 함량 범위를 충족할 경우, 마찰 소음성 및 외관 특성 개선 효과를 더욱 증진 시킬 수 있다.
(d) 기타첨가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무기첨가제, 난연제, 안정화제, 드립 지연제(drip retardant), 결정화 핵형성제, 금속 염, 대전 방지제, 가소제, 윤활제, 염료, 안료, 및 착색제 등의 첨가제를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또는 티오에테르계 산화방지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내 구성 성분들과의 우수한 상용성 및 기계적 특성 개선 효과를 고려할 때,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로는 테트라키스 메틸렌 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 1,3,5-트리스-(4-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젤)-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및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s-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외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IR1076 (Ciba Geigy 사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로는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또는 비스(2,4-디-ter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외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IF 168 (BASF사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스티렌계 수지의 총 함량 100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5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0.05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될 때 보다 우수한 산화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에에 따른 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함량 범위를 충족하는 조건 하에서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는 3:1 내지 1.2:1, 보다 구체적으로는 2:1 내지 1.5:1의 혼합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혼합비로 혼합하여 포함할 경우, 페놀계 산화방지제 사용에 따른 고분자 수지내 라디칼과의 반응을 통한 고분자 수지의 안정화 효과, 그리고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사용에 따른 페놀계 안정제에 의한 발생 현상 방지 및 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의 변색 방지, 그리고 산화에 의한 분자 사슬의 절단, 가교 등으로 플라스틱 자체 물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무기 충전제로는 금속 분말, 유리 섬유, 카본블랙, 탄소 섬유, 클레이, 운모류, 탈크, 웰라스토나이트(wollastonite) 또는 마이카(mica)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내 구성 성분들과의 우수한 상용성 및 기계적 특성 개선 효과를 고려할 때, 무기 충전제로서 카본블랙,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진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내 폴리카보네이트 및 스티렌계 수지의 총 함량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10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3 내지 8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함량 범위로 포함될 때 보다 우수한 기계적 특성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 상기 난연제로는 할로겐계 난연제 또는 인계 난연제와 같은 유기 난연제; 또는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 등과 같은 무기 난연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내 구성 성분들과의 우수한 상용성 및 난연성 개선 효과를 고려할 때 비스페놀-A 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Bisphenol-A bis(diphenyl phosphate)) 등과 같은 인계 난연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스티렌계 수지의 총 함량 100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5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0.05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될 때 보다 우수한 난연성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윤활제로는 광유, 탄화수소, 지방산,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금속 비누, 천연 왁스, 실리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들은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한 성분들을 혼합하는 동안 적절히 혼합시킬 수 있고,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에 포함시킴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포함된 1종 이상의 첨가제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한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개선된 마찰 소음성을 나타내어 노이드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은 코딩 공정 없이도 우수한 내찰상성과 함께 개선된 마찰 소음성을 나타낸다.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가공성을 나타내어 성형품 제조시 외관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나 OA전자기기, 전기 전자기기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Centerfacia, Air-vent bezel, Garnish 등 자동차의 다양한 부품에 적용시 자동차내 마찰소음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상기 성형품을 상술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원료로 사용하여 압출, 사출 또는 캐스팅 등의 방법으로 성형하여 얻어지는 물품이다. 상기 성형 방법 및 조건은 성형품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 및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성형품은 상기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혼합 및 압출 성형하여 펠릿으로 제조한 후, 상기 펠릿을 건조하여 사출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됨에 따라 마찰소음성이 감소하고 우수한 외관 특성을 가지며, 자동차, OA전자기기, 전기 전자기기 등일 수 있으며, 특히 센터패시아(Centerfacia), 에어밴트 베젤(Air-vent bezel), 가니시(Garnish) 등 자동차의 부품 일 수 있다.
이하,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물질은 하기와 같다:
폴리카보네이트 : LUPOY 1300-22™ (LG chem. 사제)
ABS : Sinopec 8391™ (Sinopec 사제, MI (250℃, 2.16kg)=8 g/10min, 부타디엔 함량=12중량%)
EGMA 1: IGETABOND 7B™ (Sumitomo 사제) (GMA(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함량=12중량%, VA(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5중량%)
EGMA 2: IGETABOND E™ (Sumitomo 사제) (GMA 함량=12중량%)
EGMA 3: IGETABOND 7L™ (Sumitomo 사제) (GMA 함량= 3중량%, MA(메타아크릴레이트) 함량=27중량%)
EGMA 4: IGETABOND CG5001™ (Sumitomo 사제) (GMA 함량= 19중량%)
EGMA 5: Lotader AX8900™ (Arkema 사제) (GMA 함량= 8중량%, MA 함량= 24중량%)
Ethylene-SAN 그래프트 공중합체 (E-SAN) : A1401™ (NOF 사제) (Ethylene 함량=50중량%, SAN(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함량=50중량%)
첨가제 1: 페놀계 산화방지제, IR1076™ (Ciba Geigy 사제)
첨가제 2: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IF168™ (BASF사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사용하여 슈퍼 믹서(super mixer)로 혼합한 후, 이축 압출기 (twin-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220 내지 280℃ 온도 구간에서 용융 혼련하였다. 이후 압출가공을 통해 펠렛화한 후, 100℃에서 2시간 이상 건조하고, 사출 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편은 상온에서 1일 방치한 후 이하 실험예에서의 마찰소음성과 상용성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4 | 1 | 2 | 3 | 4 | 5 | |
폴리카보네이트 | 70 | 70 | 70 | 30 | 70 | 70 | 70 | 70 | 70 |
ABS | 30 | 30 | 30 | 70 | 30 | 30 | 30 | 30 | 30 |
EGMA 1 | 6 | - | 2 | 6 | - | - | - | - | - |
EGMA 2 | - | - | - | - | - | 6 | - | - | - |
EGMA 3 | - | - | - | - | - | - | 6 | - | - |
EGMA 4 | - | - | - | - | - | - | - | 6 | - |
EGMA 5 | - | 6 | - | - | - | - | - | - | - |
E-SAN | - | - | - | - | - | - | - | - | 6 |
첨가제1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첨가제2 | 0.1 | 0.1 | 0.1 | 0.1 | 0.1 | 0.1 | 0.1 | 0.1 | 0.1 |
실험예
: 물성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에 대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마찰소음성 및 상용성 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마찰소음성(Stick-Slip Noise) : 70 x 60mm 및 25 x 50mm의 평판 시편을 이용하여 Ziegler SSP-04 장비로 가속도(acceleration), 충격(impulse), 진동수(Frequency), 마찰저항(Friction), 및 변동(Fluctuation)을 각각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RPN(Risk Priority Number)값을 계산한 후, 하기 기준에 따라 aging 전/후 마찰소음성을 평가하였다. 시편의 하중과 운동조건은 (10N, 1mm/s), (10N, 4mm/s), (40N, 1mm/s) 및 (40N, 4mm/s)의 4가지 조건에서 행하였다.
[수학식 1]
<마찰 소음성 평가>
RPN 1 이상 3 이하 : 양호 (마찰소음 발생가능성 매우 낮음),
RPN 4 이상 5이하 : 부분적으로 양호
RPN 6 이상 10 이하 : 좋지 않음
상용성 : Sodik 140톤 고속사출기를 사용하여 1mm 직경의 Pinpoint 게이트를 갖는 Disk(100mm diameter, 1mm thickness) 금형에서 사출 시편의 외관 특성(게이트 주변 박리 발생 정도)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양호
○: 보통
×: 불량
××: 매우 불량
조건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4 | 1 | 2 | 3 | 4 | 5 | ||
RPN (aging 전) | 10N,1mm/s | 2 | 3 | 3 | 1 | 5 | 3 | 2 | 2 | 3 |
10N,4mm/s | 2 | 2 | 2 | 2 | 5 | 2 | 2 | 2 | 3 | |
40N,1mm/s | 2 | 2 | 2 | 1 | 4 | 2 | 2 | 2 | 4 | |
40N,4mm/s | 2 | 2 | 3 | 2 | 4 | 3 | 4 | 2 | 3 | |
RPN (aging 후, 80℃, 300hr) | 10N,1mm/s | 3 | 2 | 5 | 2 | 7 | 4 | 3 | 3 | 6 |
10N,4mm/s | 4 | 4 | 5 | 4 | 10 | 3 | 3 | 5 | 6 | |
40N,1mm/s | 4 | 5 | 4 | 2 | 10 | 3 | 4 | 3 | 5 | |
40N,4mm/s | 4 | 4 | 5 | 3 | 8 | 4 | 5 | 5 | 6 | |
상용성 및 외관 평가 | ◎ | ◎ | ◎ | ◎ | ◎ | × | ○ | ×× | ◎ |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을 갖는 실시예 1 내지 4의 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5의 결과와 비교하여, 마찰소음성과 상용성 둘 모두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16)
-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터폴리머-스티렌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스티렌계 수지, 및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는 폴리카보네이트 및 스티렌계 수지의 총 함량 100중량부에 대해 1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는,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유래 제1 반복단위; 올레핀계 단량체 유래 제2 반복단위; 및 비닐아세테이트 유래 제3 반복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복단위는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4 내지 20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제3 반복단위는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방향족 디올계 화합물과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중합 반응에 의해 제조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ASTM D1238에 따라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FRR)(300℃, 1.2kg)가 10 내지 50 g/10min 이고, ASTM D792에 따라 측정한 밀도가 0.8 내지 1.5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ASTM D1238에 따라 25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한 용융지수(MI)가 5 내지 20 g/10min 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복단위는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제2반복단위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제2반복단위는 에틸렌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알켄-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와 스티렌계 수지를 30:70 내지 80:20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의 총 함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무기첨가제, 난연제, 안정화제, 드립 지연제, 결정화 핵형성제, 금속 염, 대전 방지제, 가소제, 윤활제, 염료, 안료, 및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스티렌계 수지 총 함량 100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5중량부의 함량으로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를 3:1 내지 1.2:1의 혼합비로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7항, 제10항,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 제1항 내지 제7항, 제10항,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0239A KR102175715B1 (ko) | 2017-12-26 | 2017-12-26 |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0239A KR102175715B1 (ko) | 2017-12-26 | 2017-12-26 |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8370A KR20190078370A (ko) | 2019-07-04 |
KR102175715B1 true KR102175715B1 (ko) | 2020-11-06 |
Family
ID=6725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0239A KR102175715B1 (ko) | 2017-12-26 | 2017-12-26 |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571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6945B1 (ko) * | 2019-11-27 | 2024-03-12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고강도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08485B2 (ja) | 1990-04-12 | 2001-09-10 | ザ ダウ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 オレフィン系変性剤を含むポリカーボネート/芳香族ポリエステルブレンド |
KR101067141B1 (ko) * | 2008-12-31 | 2011-09-22 | 주식회사 삼양사 | 친환경 수지 조성물 |
KR101212673B1 (ko) | 2009-07-31 | 2012-12-14 | 제일모직주식회사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90749B2 (ja) * | 1993-03-22 | 2002-06-10 | 住友ダウ株式会社 |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
-
2017
- 2017-12-26 KR KR1020170180239A patent/KR1021757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08485B2 (ja) | 1990-04-12 | 2001-09-10 | ザ ダウ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 オレフィン系変性剤を含むポリカーボネート/芳香族ポリエステルブレンド |
KR101067141B1 (ko) * | 2008-12-31 | 2011-09-22 | 주식회사 삼양사 | 친환경 수지 조성물 |
KR101212673B1 (ko) | 2009-07-31 | 2012-12-14 | 제일모직주식회사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8370A (ko) | 2019-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72401B2 (en) | Flame-retardant scratch-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compatibility | |
US9133323B2 (en) |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
CN109988405B (zh) | 热塑性树脂组合物和由其生产的模制品 | |
US20120172504A1 (en) | Flameproof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
JP5660015B2 (ja) |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 |
US20190322862A1 (en)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lce Using Same | |
KR20190082073A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JP2002129003A (ja) | 電磁波遮蔽性樹脂組成物 | |
US9290655B2 (en) |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good chemical resistance | |
KR102175715B1 (ko) |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
JP5910298B2 (ja) |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 |
US9359500B2 (en) | Resin composition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 |
JP2017095667A (ja) | 樹脂組成物、成形体、電子部品、電子機器、及び電子事務機器 | |
CN111386312A (zh) | 树脂组合物和由其制造的模制产品 | |
JP2007169616A (ja) |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 |
KR102330601B1 (ko) |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JP2013112752A (ja) |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 |
JP5706033B1 (ja) | 樹脂組成物、樹脂成形品、およ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 |
KR102181558B1 (ko) |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 |
JP6310240B2 (ja) | レーザーダイレクトストラクチャリング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樹脂成形品、およ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 |
JPH1134150A (ja) | ブロー成形品 | |
CN115335454B (zh) | 热塑性树脂组合物、其制备方法和包含其的模制品 | |
KR20200063888A (ko) |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JP2015074676A (ja) | 樹脂組成物、樹脂成形品、およ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 |
JP7420958B2 (ja) |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成形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