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051B1 - 연옥가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연옥가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051B1
KR102175051B1 KR1020180150895A KR20180150895A KR102175051B1 KR 102175051 B1 KR102175051 B1 KR 102175051B1 KR 1020180150895 A KR1020180150895 A KR 1020180150895A KR 20180150895 A KR20180150895 A KR 20180150895A KR 102175051 B1 KR102175051 B1 KR 102175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effect
powder
kera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610A (ko
Inventor
최은미
장미경
주지혜
홍해든
강소현
Original Assignee
(주)그린솔루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솔루션스 filed Critical (주)그린솔루션스
Priority to KR102018015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051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옥 가루(Nephrite powder)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 각질 개선, 모공 개선, 피부 유수분 밸런스 조절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옥가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with nephrite powder}
본 발명은 연옥가루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피부 각질 개선, 피부 모공 개선 및 피부 유수분 밸런스 조절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각질층은 외부와 직접 접촉하는 가장 바깥층으로, 외부의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및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방어 기능을 한다. 각질(keratin)세포는 죽은 피부세포로, 표피 최하증에서 지속적으로 증식하는 기저세포가 각질층으로 이동하면서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쳐 형성된 세포이다.
일정 기간이 지나면 오래된 각질형성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새로운 각질형성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는 표피 분화 및 각화 과정이 반복된다. 이러한 각화 과정에서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과 같은 세포 간 지질을 생성하여 외부와 체내를 차단하는 피부장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노화 및 피부 손상도에 따라, 표피, 진피 및 피하 조직의 두께가 얇아지고 피부 수분 함량이 감소하고, 피부에 탄력을 주는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성분의 변화로 인해 피부가 탄력을 잃고 주름이 형성되며, 각질층의 분리가 정상보다 늦어져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피부가 활력을 잃게 된다. 이렇게 두꺼워진 각질층을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얇게 제거하면 각질층 밑의 살아있는 세포가 활성 또는 재생되어 피부결이 부드러워지며, 주름 완화, 여드름 발생 억제 및 치료 등의 효과가 있다. 이에 자극이 유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죽은 각질을 제거하고 피부를 부드럽게 만드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피부의 부속기관인 피지선은 모공을 통해 피지를 피부 최외층으로 분비한다. 피지는 각질층의 수분 증발을 막아 피부에 윤기를 주는 효과가 있으나, 피지의 분비가 지나친 경우 피부가 번들거리고 염증으로 인한 여드름이 유발되며, 세균감염에 의한 모낭염이 생기기도 한다. 반면 피지의 분비가 적은 경우에는 피부가 건조해지고 이로 인해 건선 등의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피지 조절, 즉 유수분 밸런스의 조절이 피부 관리에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피부 각질 개선 및 피부 유수분 밸런스 조절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0357호(2018.10.10. 공개)에는 옥정수와 연옥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17192호(2008.02.26. 공개)에는 연옥분을 함유한 마스크 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피부 각질 개선, 피부 결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지 흡착 및 모공 개선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유수분 밸런스 조절 효과가 뛰어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옥 가루(Nephrite pow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옥 가루(Nephrite pow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옥 가루(Nephrite pow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유수분 밸런스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옥 가루를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15 중량% 함유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각질 개선 효과는, 바람직하게 피부 톤 개선 또는 피부 결 개선 효과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모공 개선 효과는, 바람직하게 블랙헤드 및 화이트헤드 감소 효과 또는 모공 축소 효과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유수분 밸런스 조절은, 바람직하게 피지 분비 완화 또는 개선 효과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피지 흡착 효과가 뛰어난 연옥 가루(Nephrite powder)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피부 각질 개선효과가 뛰어나고, 피부 결 및 피부톤 개선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공 개선 효과가 뛰어나, 블랙헤드 및 화이트헤드 흡착(감소) 및 모공 수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유수분 밸런스 조절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연옥(nephrite), 점토(white clay), 운모(illite), 맥반석(반암) 가루의 각각의 피지 흡착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사용 전 후 피부 각질 개선 효과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3에서 확인한 피부 수분 함량 측정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4에서 확인한 피부 각질 변화 측정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5에서 확인한 모공 개선 측정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 6에서 확인한 피부 톤 측정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 7에서 확인한 블랙헤드 및 화이트헤드 흡착 측정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예 8에서 확인한 피부 결 측정 결과이다.
본 발명은 연옥 가루(Nephrite pow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옥 가루(Nephrite pow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옥 가루(Nephrite pow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유수분 밸런스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옥(Jade)은 비취라고도 불리며, 연옥(Nephrite)과 경옥(Jadeite)으로 나뉘며, 경옥이 연옥보다 밀도가 높고 단단하다. 옥은 인체에 유익한 칼슘, 철분, 마그네슘 등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어 탁월한 약리적 효능을 발휘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옥은 위의 열을 내리고 가슴이 답답한 것을 치료하며, 갈증을 멎게 하고 신체의 노폐물을 배출하는 효능이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한편, 본초강목에 따르면 약재용 연옥 가루인 옥설은 천식을 제거하고 심폐, 인후, 모발에 도움이 되며 장기간 복용 시 장수하는 등 인체 건강에 유익한 효능이 있다고 전해진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연옥 가루는 바람직하게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15 중량% 함유하는 것이 좋다. 0.01 중량% 미만 함유될 경우 본 발명에서 확인한 여러 피부 기능성의 효과가 미미하고, 15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할 경우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재료 투입량 대비 효율성이 떨어져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 예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초 화장료 제형; 스킨; 로션; 아이크림; 수딩젤; 연고; 마스크팩용 제형; 바디워시용 제형; 필링젤;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색조화장료 제형; 두피용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염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예컨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30 중량% 이다. 다만, 어떠한 경우라도 보조제 및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일례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저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저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저 제형 또는 비누일 경우에는,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젤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피부 각질 개선 효과는 바람직하게 피부 톤 개선 또는 피부 결 개선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공 개선 효과는 바람직하게 블랙헤드 및 화이트헤드 흡착(감소) 효과 또는 모공 축소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유수분 밸런스 조절 효과는 바람직하게 피지 분비 완화 또는 개선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험예 1: 연옥 가루(Nephrite powder)의 피지 흡착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화장품 제형 개발 시 피지 조절 효능을 부여하는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파우더 류인 점토(white clay), 운모(illite), 맥반석(반암)과 연옥 가루의 피지 흡착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피지 대체 물질로 대두유를 사용하였다.
연옥 가루와 상기 점토, 운모, 맥반석을 각각 0.5g씩 코니컬 튜브(conical tube)에 계량한 후 대두유 5ml를 투입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5분 간격으로 vortex 교반을 1분씩 3회 반복한 후 3,000 rpm에서 4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피지 흡수율은 아래와 같이 계산하여 결과값을 도 1에 나타내었다.
흡수율(%) = [(대두유 흡수 후 측정값 - 대두유 흡수 전 측정값)/대두유 흡수 전 측정값] × 100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료 자체의 피지 흡착 효능 평가 결과, 점토, 운모, 맥반석에 비해 연옥 가루의 피지 흡착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 연옥 가루(Nephrite powder)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연옥 가루를 함유하는 클렌저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아래 표 1에 기재된 실시예 1의 원료를 모두 투입하여 80℃에서 완전히 용해 후 호모지나이저(homogenizer)로 1500rpm에서 5분간 교반시켰다. 그 후, 단지 형태의 용기에 투입하고 25℃로 냉각하여 완전히 굳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 아래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조성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비즈왁스 10 10 10 10 10
폴리에틸렌 3 3 3 3 3
세레신 3 3 3 3 3
C12-15알킬벤조에이트 5 5 5 5 5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5 5 5 5 5
피이지-20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 5 5 5 5 5
연옥 가루 2 - - - -
점토(White Clay) 가루 - - 2 - -
운모(Illite) 가루 - - - 2 -
맥반석(반암) 가루 - - - - 2
[실험예 2 : 연옥 가루(Nephrite powder)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 개선 효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연옥 가루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을 각질이 있는 피부에 도포하여 세정한 후 세정 전·후의 피부 상태를 촬영하고 각질의 개선 정도를 비교하여 효능을 평가하였다. 피부 상태 촬영은 KC Technology 사의 Hair Polarzer_PL5-471 및 Callegari S.r.l 사의 Soft Pluss를 사용하여 피부 표면을 촬영하였다.
유사한 정도의 각질이 있는 건조된 피부에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을 3 g 도포하여 1분간 동일한 힘으로 문지른 뒤 남아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물로 세정하였다. 타올 드라이 후 물이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 피부 각질 상태를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Soft Pluss의 Keratin 측정 장치의 경우 피부 표면의 각질 부분이 흰색으로 나타나, 흰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많을수록 각질이 많음을 의미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첨가군인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경우 세정 전후의 각질 개선 효과가 눈에 띄지 않았으나,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세정 전후의 각질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Soft Pluss의 Keratin 측정 결과를 비교해 보아도 실시예 1이 비교예에 비하여 각질이 효과적으로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 연옥 가루(Nephrite powder)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유수분 밸런스 조절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험예 2의 결과에 따라 피부 각질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했던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 유수분 밸런스 조절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1) 피부 유분 함유량 측정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얼굴 부위에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부드럽게 마사지하듯 클렌징 한 후 미온수로 씻어내었으며, 사용 전 및 사용 직후에 세버미터(Sebumeter SM815)를 사용하여 피부 유분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측정된 피부 유분 함유량의 단위는 ㎍/㎠이며, 측정 값과 피부 유분 정도는 비례한다.
피부 유분함유량 변화
시간 평균±표준편차(%) 개선율a(%) 유의확률b(p값)
사용 전 167.050±104.072 - -
사용 직후 81.500±77.615 -55.889 0.000*
· 개선율a(%) = [(제품 사용 후 측정 값 - 제품 사용 전 측정 값)/제품 사용 전 측정 값] x 100
· 유의확률b(p값)* : p<0.05 by Paired samples T-test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직후 피부 유분 함유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2) 피부 수분 함유량 측정
상기 피부 유분 함유량 측정 방법과 동일하게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사용 전 및 사용 직후에 엡실론(Epsilon)을 사용하여 피부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아래 표 3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측정된 피부 수분 함유량의 단위는 A.U.(Arbitrary Unit)이며, 분석 값과 피부 보습력 정도는 비례한다.
피부 수분함유량 변화
시간 평균±표준편차(A.U) 개선율a(%) 유의확률b(p값)
사용 전 20.758±7.780 - -
사용 직후 26.240±6.940 34.331.177 0.000*
· 개선율a(%) = [(제품 사용 후 측정 값 - 제품 사용 전 측정 값)/제품 사용 전 측정 값] x 100
· 유의확률b(p값)* : p<0.05 by Paired samples T-test
상기 표 3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직후 피부 수분 함유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상 종합하면, 본 발명의 연옥 가루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유수분 밸런스 조절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 연옥 가루(Nephrite powder)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각질 개선율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험예 2의 결과에 따라 피부 각질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했던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 개선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얼굴 부위에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부드럽게 마사지하듯 클렌징 한 후 미온수로 씻어내었으며, 사용 전 및 사용 직후에 피험자 얼굴의 볼 부위에 접착력이 있는 특수 테이프인 Corneofix을 사용하여 각질을 채취하여 Visioscan VC98로 촬영하였다. 피험자의 피부 각질에 대하여, 평균 각질 지수(D.I. : Desquamation index)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4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측정된 피부 각질 값의 단위는 %이며, D.I.%와 피부 각질 정도는 비례한다.
피부 각질 변화
시간 평균±표준편차(%) 개선율a(%) 유의확률b(p값)
사용 전 17.127±1.152 - -
사용 직후 13.432±1.561 -21.393 0.000*
· 개선율a(%) = [(제품 사용 후 측정 값 - 제품 사용 전 측정 값)/제품 사용 전 측정 값] x 100
· 유의확률b(p값)* : p<0.05 by Paired samples T-test
상기 표 4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직후 피부 각질이 개선된 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 연옥 가루(Nephrite powder)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모공 개선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험예 2의 결과에 따라 피부 각질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했던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모공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얼굴 부위에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부드럽게 마사지하듯 클렌징 한 후 미온수로 씻어내었으며, 사용 전 및 사용 직후에 Antera 3D를 사용하여 모공 면적을 분석하여 아래 표 5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측정된 모공 면적의 단위는 ㎟이며, 분석 값과 모공 개선 정도는 반비례한다.
피부 모공 변화
시간 평균±표준편차(㎟) 개선율a(%) 유의확률b(p값)
사용 전 0.387±0.109 - -
사용 직후 0.370±0.115 -4.952 0.003*
· 개선율a(%) = [(제품 사용 후 측정 값 - 제품 사용 전 측정 값)/제품 사용 전 측정 값] x 100
· 유의확률b(p값)* : p<0.05 by Paired samples T-test
상기 표 5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직후 모공 면적이 감소하여, 모공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 연옥 가루(Nephrite powder)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톤 개선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험예 2의 결과에 따라 피부 각질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했던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톤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얼굴 부위에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부드럽게 마사지하듯 클렌징 한 후 미온수로 씻어내었으며, 사용 전 및 사용 직후에 Janus 1 Mark Ⅱ로 얼굴 전체를 촬영하여 피부 톤을 분석하였다. 분석값은 아래 표 6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측정된 피부톤의 단위는 %이며, 분석값과 피부톤의 정도는 비례한다.
피부 톤 변화
시간 평균±표준편차(%) 개선율a(%) 유의확률b(p값)
사용 전 54.950±1.820 - -
사용 직후 55.500±1.670 1.016 0.001*
· 개선율a(%) = [(제품 사용 후 측정 값 - 제품 사용 전 측정 값)/제품 사용 전 측정 값] x 100
· 유의확률b(p값)* : p<0.05 by Paired samples T-test
상기 표 6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직후 피부톤이 밝게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 연옥 가루(Nephrite powder)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블랙헤드, 화이트헤드 흡착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험예 2의 결과에 따라 피부 각질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했던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블랙헤드 및 화이트헤드의 흡착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얼굴 부위에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부드럽게 마사지하듯 클렌징 한 후 미온수로 씻어내었으며, 사용 전 및 사용 직후에 Folliscope 4.0을 사용하여 촬영하여 블랙헤드와 화이트헤드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아래 표 7, 8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측정된 블랙헤드, 화이트 헤드의 단위는 개수이며, 분석값과 개선 정도는 반비례한다.
블랙헤드 변화
시간 평균±표준편차(ea) 개선율a(%) 유의확률b(p값)
사용 전 2.150±2.277 - -
사용 직후 1.950±2.164 -6.250 0.046†
· 개선율a(%) = [(제품 사용 후 측정 값 - 제품 사용 전 측정 값)/제품 사용 전 측정 값] x 100
· 유의확률b(p값)† : p<0.05 by Willcoxon signed ranks test
화이트헤드 변화
시간 평균±표준편차(ea) 개선율a(%) 유의확률b(p값)
사용 전 12.550±5.615 - -
사용 직후 10.750±4.887 -14.177 0.000*
· 개선율a(%) = [(제품 사용 후 측정 값 - 제품 사용 전 측정 값)/제품 사용 전 측정 값] x 100
· 유의확률b(p값)* : p<0.05 by Paired samples T-test
상기 표 7, 8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직후 블랙헤드 및 화이트 헤드의 개수가 감소한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 블랙헤드 및 화이트헤드의 흡착(감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8 : 연옥 가루(Nephrite powder)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결 개선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험예 2의 결과에 따라 피부 각질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했던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결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얼굴 부위에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부드럽게 마사지하듯 클렌징 한 후 미온수로 씻어내었으며, 사용 전 및 사용 직후에 Antera 3D로 볼 부위를 촬영하여 피부 거칠기 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아래 표 9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피부 거칠기의 파라미터는 Ra이며, 분석값과 거칠기 정도는 비례한다.
피부 거칠기 변화
시간 평균±표준편차(Ra) 개선율a(%) 유의확률b(p값)
사용 전 6.861±1.328 - -
사용 직후 6.414±1.302 -6.503 0.001†
· 개선율a(%) = [(제품 사용 후 측정 값 - 제품 사용 전 측정 값)/제품 사용 전 측정 값] x 100
· 유의확률b(p값)† : p<0.05 by Willcoxon signed ranks test
상기 표 9 및 도 8에서 보듯이, 피부 거칠기가 개선된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도 8에서는 피부 표면의 요철이 완화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7)

  1. 연옥 가루(Nephrite powder)를 포함하며,
    상기 연옥 가루는 피지 흡착 효과가 있고, 블랙헤드 및 화이트헤드를 감소시키고, 피지 분비 완화 또는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개선, 모공 개선 및 피부 유수분 밸런스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연옥 가루를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1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각질 개선은,
    피부 톤 개선 또는 피부 결 개선 효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KR1020180150895A 2018-11-29 2018-11-29 연옥가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5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895A KR102175051B1 (ko) 2018-11-29 2018-11-29 연옥가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895A KR102175051B1 (ko) 2018-11-29 2018-11-29 연옥가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10A KR20200064610A (ko) 2020-06-08
KR102175051B1 true KR102175051B1 (ko) 2020-11-05

Family

ID=71089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895A KR102175051B1 (ko) 2018-11-29 2018-11-29 연옥가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0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780B1 (ko) * 2005-09-02 2006-11-10 이수환 피부미용 팩제 및 팩제를 이용한 피부미용 방법
KR101663055B1 (ko) 2015-08-27 2016-10-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표면 개질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694B1 (ko) * 1999-02-02 2001-01-15 김준한 연옥분이 함유된 화장료와 그 제조방법
KR100441773B1 (ko) * 2000-05-19 2004-07-23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옥설을 함유하는 화장료
KR20030052714A (ko) * 2001-12-21 2003-06-27 김진복 연옥분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화장품
KR20080017192A (ko) 2006-08-21 2008-02-26 주식회사 제이앤씨글로벌 연옥분을 함유한 마스크 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KR100985143B1 (ko) * 2007-03-30 2010-10-0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네랄 복합성분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G11201708816TA (en) * 2015-06-30 2017-11-29 Amorepacific Corp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jade powder for blocking blue light
KR20180110357A (ko) 2017-03-29 2018-10-10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옥정수와 연옥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780B1 (ko) * 2005-09-02 2006-11-10 이수환 피부미용 팩제 및 팩제를 이용한 피부미용 방법
KR101663055B1 (ko) 2015-08-27 2016-10-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표면 개질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10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1781A2 (en) Cosmetic composition
JP7309620B2 (ja) 皮膚及び/又は粘膜を水和させるためのネフェリウム・ラパセウム(nephelium lappaceum)の果皮の抽出物の使用
WO2009069906A1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complex of herbal extracts
US20100189675A1 (en) Cosmetic use of an imidopercarboxylic acid derivative as desquamating agent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JP2018158946A (ja) チオレドキシン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JP2022511023A (ja) シスツス・モンスペリエンシス(Cistus monspeliensis)の抽出物の新規な化粧品的及び皮膚科学的使用
TWI229605B (en) Cosmetic method
KR102281086B1 (ko) 점액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를 세정하는 방법
KR100861186B1 (ko) 크립토탄시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KR102104214B1 (ko) 포타슘 알룸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5383A (ko) 자가발포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39222A (ko) 탄시논ⅱ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75051B1 (ko) 연옥가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55807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0499A (ko) 달팽이 점액 발효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개선 및 높은 피부 흡수율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과 기능성 화장품
EP3470116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and use of a cosmetic composition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05222A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3167B1 (ko) 라멜라 액정상에 봉입된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여 빠른 피부 재생능과 피부 및 두피 개선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RU2253437C1 (ru) Способ омоложения кожи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5566A (ko) 두족류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JP2008169196A (ja) 皮膚外用剤
KR20150145745A (ko) 한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각질형성 세포 분화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