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709B1 -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709B1
KR102174709B1 KR1020157034047A KR20157034047A KR102174709B1 KR 102174709 B1 KR102174709 B1 KR 102174709B1 KR 1020157034047 A KR1020157034047 A KR 1020157034047A KR 20157034047 A KR20157034047 A KR 20157034047A KR 102174709 B1 KR102174709 B1 KR 102174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lip
groove
stick cooking
coo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825A (ko
Inventor
지 창 푸
이 솅 쿠
준 첸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60003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몸체 및 눌어붙지 않는 코팅을 포함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며, 용기 몸체는 립형 내부 표면을 가지며, 립형 내부 표면은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립(21) 및 홈(22)을 포함하고,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은 립(21) 및 홈(22)의 표면을 덮고, 립(21)은 상부 표면(211)을 가지며, 홈(22)은 저부 표면(221)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은 흠집이 형성되거나 떨어져 나가기 어려워서, 조리 용기가 오린 기간 동안 동일한 눌어붙지 않는 속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다.

Description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NON-STICK COOKING CONTAINER}
본 발명은 주방 기구 분야에 관한 것이며,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는 특히, 펜, 웍, 냄비 및 스튜 냄비를 포함한다.
현재, 기존의 눌어붙지 않는 용기는 일반적으로 샌드 블라스팅 또는 숏 블라스팅에 의해 처리된 후 된 눌어붙지 않는 코팅 분사에 의해 처리된 편평한 저부를 갖는 조리 용기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처리된 눌어붙지 않는 코팅 제품은 흠집, 떨어져 나감 및 마모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이런 제품의 내용 연수가 줄어든다.
중국 실용특허 번호 CN2369590Y는, 둥근 중심 및 조리 용기의 림으로 연장하는 동심 원들 또는 스코어링(scoring)을 포함하는, 강성이고 내구적인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의 일 유형을 제안하고 있는데, 상기 조리 용기의 단면적은 톱니 주름을 가지며, 상기 조리 용기의 단면적은 벼슬, 골 및 측면으로 구성된다. 조리 용기의 표면은 Teflon®의 눌어붙지 않는 층으로 코팅된다.
전술된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는 눌어붙지 않는 코팅의 내용 연수를 연장시키지만, 상기 톱니의 벼슬을 덮는 코팅은 상술된 바와 같은 톱니 주름 구조의 사용 도중 쉽게 흠집이 생기고 떨어져 나가게 된다. 눌어붙지 않는 코팅의 이러한 부분이 떨어져 나가는 것은 주변 주름의 벼슬 떨어져 나가는 것을 초래하고 이는 크게 떨어져 나간 영역이 출연하게 만들어서, 이는 결과적으로 이러한 코팅의 내용 연수를 감소시킨다.
문서 EP0259056은 눌어붙지 않는 코팅으로 덮인 립형(ribbed) 내부 표면을 갖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를 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립은 마찬가지로 톱니 프로파일을 갖는다.
문서 EP0510546은 플라즈마 분사에 의해 립형 표면 상에 형성된 거친 중간 층 상에 적층되는 눌어붙지 않는 코팅을 갖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를 개시한다. 립형 표면은 널링(knurling)에 의해, 구체적으로는 십자홈을 널링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는 홈을 갖는다. 이러한 그릇의 생산은 상대적으로 복잡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눌어붙지 않는 코팅의 내용 연수가 효과적으로 연장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의 제공을 제안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용기 몸체 및 눌어붙지 않는 코팅을 포함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데, 상기 용기 몸체는 립형 내부 표면을 가지며, 립형 내부 표면은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립 및 홈을 구비하고, 상기 눌어붙지 않는 코팅은 상기 립 및 홈의 표면을 덥고, 상기 립은 상부 표면을 가지며, 상기 홈은 저부 표면을 갖는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립의 상부 표면은 편평하거나 또는 캠버형(cambered)이고, 홈의 저부 표면은 편평하거나 또는 캠버형이다.
더욱 유리하게는, 립의 측면 벽이 편평하거나 또는 캠버형이다.
더욱 유리하게는, 2개의 이웃한 립들은 0.3 mm와 1 mm 사이인 간격에 의해 분리된다.
더욱 유리하게는, 상기 간격에 대한 립의 폭의 비율은 약 1/3과 1/2 사이이다.
더욱 유리하게는, 동일 립의 상기 2개의 측면 벽들 사이의 분리 각도는 예각이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상기 분리 각도는 25°와 45°사이이다.
더욱 유리하게는, 홈의 저부 표면의 최저 지점과 립의 상부 표면의 최고 지점을 분리하는 수직 거리는 0.12 mm와 0.45 mm 사이이다.
더욱 유리하게는, 립의 표면의 거칠기는 3 μm와 8 μm 사이이다.
더욱 유리하게는, 립의 상부 표면 및 립의 측면 벽은 오목부를 가지며 따라서 거칠고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유리하게는, 양극 산화층(anodic oxidation layer)이 한편으로는 립과 홈의 표면과 다른 한편으로는 눌어붙지 않는 코팅 사이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 용기의 몸체의 내부 표면은 립형 영역을 가지며, 이러한 립형 영역은 복수의 립 및 홈을 가지고, 상기 립 및 홈의 표면은 눌어붙지 않는 코팅으로 덮인다. 상기 립의 기능은 내마모성을 강화하고 조리 용기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따라서 조리 용기의 사용 도중에 주걱은 단지 상기 립 상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과 접촉하고 상기 홈의 저부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은 효과적으로 보호되고 흠집이 생성되거나 또는 떨어져 나가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조리 용기의 눌어붙지 않는 속성이 오랜 기간 동안 보유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립은 상부 표면을 갖는다. 종래 기술의 톱니 주름식 구조와 관련하여, 눌어붙지 않는 코팅은 립의 상부 표면에 더욱 양호하게 점착되고 눌어붙지 않는 코팅은 조리 용기의 사용 도중 떨어져 나가려는 경향이 없으며, 상기 상부 표면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에도, 홈의 저부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은 그에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며, 또한 립의 상부 표면 상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의 두께를 보장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여, 눌어붙지 않는 표면의 균질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상부 표면에 제공된 립은 더욱 저항력을 갖게 되고, 마모 또는 크랙이 덜 발생하게 되고, 조리 용기를 효과적으로 강화 및 보호한다. 본 발명에서, 홈은 저부 표면을 갖는다. 상기 홈의 저부 표면은 어떠한 예각도 갖지 않으며, 눌어붙지 않는 코팅은 상기 코팅이 분사될 때 그 내부에서 자유롭게 순환하여 상기 저부를 매끄럽고 균일하게 충진하며, 소결 후 기공이 형성되지 않는데, 이는 눌어붙지 않는 코팅을 더욱 일관적이게 만들어서 더욱 단단하고 더욱 내부식성이 되게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추가된 도면의 일부는 더욱 상세한 방식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개략적인 적용예 및 그 해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의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의 부분(A)의 확대도로서, 눌어붙지 않는 코팅은 도 2에 도시되지 않는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의 부분도로서, 눌어붙지 않는 코팅은 도 3에 도시되지 않는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의 부분도로서, 눌어붙지 않는 코팅은 도 4에 도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의 제2 예시적 실시예의 부분도로서, 눌어붙지 않는 코팅은 도 5에 도시되지 않는다.
상술된 도면은 후속하는 도면 부호를 포함한다: 10 = 용기 몸체, 21 = 립, 22 = 홈, 211 = 립의 상부 표면, 212 = 립의 측면 벽, 221 = 홈의 저부 표면, 22a = 오목부, 30 = 눌어붙지 않는 코팅.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다면, 본 특허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 및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의 세부 사항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 실시예와 관련하여 첨부된 도면이 참조되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예시적 실시예의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는 용기 몸체(10)를 가지며, 용기 몸체(10)의 내부 표면은 회선(convolution) 영역을 가지며, 복수의 립(21) 및 홈(22)은 상기 회선을 형성하도록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되고,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층은 립(21) 및 홈(22)의 표면을 덮는다. 립(21)은 내마모성을 강화하고 조리 용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조리 용기의 사용 도중, 주걱은 립(21) 상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에만 접촉하고, 홈(22)의 저부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은 효과적으로 보호되어 흠집이 생성되거나 떨어져 나가게 되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조리 용기의 눌어붙지 않는 속성이 오랜 기간 동안 보유될 수 있다.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 립(21)은 상부 표면(211)을 갖는다. 종래 기술의 톱니 주름식 구조와 관련하여,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은 립(21)의 상부 표면(211)에 더욱 양호하게 점착되고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은 조리 용기의 사용 도중 떨어져 나가려는 경향이 없으며, 상부 표면(211)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에도, 홈(22)의 저부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은 그에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며, 또한 립(21)의 상부 표면(211) 상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두께를 보장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여,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균질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부 표면(211)에 제공된 립(21)은 더욱 저항력을 갖게 되고, 마모 또는 파손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조리 용기를 효과적으로 강화 및 보호한다.
종래 기술에서, 홈(22)의 저부는 예각을 가지며,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은 분사될 때, 그 내부에서 자유롭게 순환하기 어려운 기간을 가지며 기공이 소결 후 예각의 부근에 출연하는 경향이 있다. 즉, 홈의 저부는 눌어붙지 않는 코팅이 결여될 수 있다.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 홈(22)은 저부 표면(221)을 가지며, 홈(22)의 저부 표면은 어떠한 예각도 갖지 않으며, 눌어붙지 않는 코팅은 그 내부에서 자유롭게 순환하여 눌어붙지 않는 코팅이 분사될 때 매끄럽고 균일하게 저부를 충진하며, 소결 후 기공이 형성되지 않아서,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을 더욱 일관적이게 하여 더욱 단단하고 더욱 내부식성이 되게 한다.
상술된 회선 영역이 용기 몸체(10)의 내부 표면을 처리함으로써 취득될 수 있다. 따라서, 립형 내부 표면이 취득된다. 명백하게,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이 이러한 회선 영역에 제한되지 않으며, 간단한 립형 영역도 충분하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상술된 립형 영역은 또한 동심 영역일 수 있거나 또는 균일하고 평행한 직선/곡선의 영역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통신 영역 또는 균일하고 평행한 직선/곡선의 영역의 원리 및 기능은 회선 영역의 원리 및 기능과 유사한데, 이 주제는 본원에서는 더이상 상세하게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상술된 립형 영역은 용기 몸체의 전체 내부 표면이나 단지 조리 용기의 저부를 덮을 수 있거나 또는 조리 용기의 저부 및 조리 용기의 벽의 일부를 덮을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부 표면(211)은 편평한 표면을 가지며, 립(21)의 측면 벽(212)은 편평하여, 즉 립(21)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이며, 홈의 저부 표면(221)은 캠버형이다. 상술된 구조로 인해,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은 자유롭게 순환할 수 있으며 기공을 남기지 않고 매끄럽고 균일하게 상기 표면을 덮을 수 있어서, 눌어붙지 않는 코팅의 점착 및 밀도(consistency)를 향상시킨다. 립(21)의 측면 벽(212)과 상부 표면(211) 사이의 공간은 바람직하게는 경사진 각도의 형상을 가질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예시적 실시예와 제1 예시적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은 단지 제2 예시적 실시예에서 립(21)의 상부 표면(211)이 캠버형인 것이다. 도 5에서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립(21)의 상부 표면(211)은 외향 아치를 형성한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립(21)의 상부 표면(211)은 캠버형인 것과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홈(22)의 저부 표면(221)은 편평할 수도 있으며, 립(21)의 측면 벽(212)은 본 실시예가 달성될 수 있도록 캠버형일 수도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형 영역의 2개의 이웃한 립(21)들 사이의 간격(L)은 균일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즉 립들은 중앙에서 외부로 용기 몸체(10)의 저부 상에 균일한 방식으로 분포될 것이다. 립(21)들 사이의 상술된 간격(L)은 음식 조리 도중 용기 몸체(10)의 내부 표면과 주걱 사이의 접촉 표면과 반드시 관련될 것이기 때문에, 주걱은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으로 충진된 홈(22)의 저부에 흠집을 형성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립(21)의 표면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이 떨어져 나가게 하지도 않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수많은 수많은 연구 및 실험 후에 2개의 이웃한 립(21)들 사이의 최적의 간격(L)이 0.3 mm와 1 mm 사이라고 결정하였다. 상기 간격(L)이 0.3 mm보다 작을 때, 눌어붙지 않는 코팅은 표면 상에서 부유하고 홈(22)을 효과적으로 충진하지 않으며, 또한 주걱에 의해 쉽게 흠집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L)이 1 mm보다 클 때, 주걱은 홈(22)에 진입할 수 있어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에 흠집을 형성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수많은 연구 및 실험 후에, 간격(L)에 대한 립(21)의 폭(B)의 이상적인 비율이 1/3 내지 1/2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결정하였다. 간격(L)에 대한 립(21)의 폭(B)의 비율이 1/3보다 작을 때, 립(21)은 충분히 단단하지 않아서 흠집이 생성되거나 파손되기 쉽다. 간격(L)에 대한 립(21)의 폭(B)의 비율이 1/2보다 크면, 립(21)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이 조리 용기의 사용을 통해 마모된 후 조리 용기의 노출된 표면이 상대적으로 크고 조리 용기의 눌어붙지 않는 속성이 빠르게 감소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간격(L)은 2개의 인접한 립(21)의 상부 표면(211)들 사이의 공간 뿐만 아니라 립(21)의 상부 표면에서의 폭(B)을 포함한다.
접착성 코팅(30)의 도포 후 립(21)들 사이의 간격(L)이 0.3 mm 내지 1 mm의 범위 내에 있을 때 그리고 간격(L)에 대한 립(21)의 폭(B)의 비율이 1/3 내지 1/2의 범위 내에 있을 때, 용기 몸체(10)의 내부 표면의 립은 여전히 나안으로도 관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립(21)의 2개의 측면 벽(212) 사이의 분리 각도(α)는 예각이다. 본 발명자들은 수많은 연구 및 실험 후에, 최선의 결과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분리 각도(α)가 25°와 45°사이에 있어야 한다고 결정하였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수많은 연구와 실험 후에, 립(21)의 상부 표면(211)의 최고 지점과 홈(22)의 저부 표면(221)의 최저 지점을 분리하는 최적의 수직 거리(H)가 0.12 mm와 0.45 mm 사이에 있다는 것을 결정하였다. 수직 거리(H)가 0.12 mm보다 작을 때, 효과적인 지지 지점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수직 거리(H)가 0.45 mm보다 클 때, 눌어붙지 않는 코팅은 양호하게 순환하지 않으며 홈(22)의 내부에 침투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서, 조리 용기의 사용 도중 상기 홈 내에 축적되는 오염물이 세척되기 곤란하다.
립(21)의 표면의 거칠기(Ra)는 3 μm와 8 μ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 거칠기는 샌드 블라스팅 또는 다른 조면화 방법(예컨대, 숏 블라스팅, 화학적 부식 또는 전기화학적 부식 등)에 의해 취득될 수 있다. 상술된 표면 거칠기는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뛰어난 점착 및 단단함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21)의 상부 표면(211) 및 립(21)의 측면 벽(212)은 거칠고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오목부(22a)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목부(22a)는 접착 표면을 증가시켜서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뛰어난 접착성 및 단단함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도 3 및 도 5에서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홈(22)의 저부 표면(221) 상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두께는 인접한 립(21)의 상부 표면(211) 상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두께보다 크다.
도 3 및 도 5에서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립(21)의 상부 표면(211)의 최고 지점과 인접한 홈(22)의 저부 표면(221)의 최저 지점을 분리하는 수직 거리(H)는 상기 홈(22)의 저부 표면(221)과 상기 립(21)의 상부 표면(211)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높이 차(V)보다 크다.
도 3 및 도 5에서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홈(22)의 저부 표면(221) 상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두께(R)는 상기 홈(22)의 저부 표면(221)과 인접한 립(21)의 상부 표면(211)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표면의 높이 차(V)보다 크다.
도 3 및 도 5에서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립(21)의 상부 표면(211)의 최고 지점 및 인접한 홈(22)의 저부 표면(221)의 최저 지점을 분리하는 수직 거리(H)는 상기 홈(22)의 저부 표면(221) 상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두께(R)보다 크다.
도 3 및 도 5에서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립(21)의 측면 벽(212)과 인접한 홈(22)의 저부 표면(221)은 둥근 벽에 의해 연결된다. 홈(22)의 저부 표면(221)의 폭은 홈(22)의 저부 표면(221) 상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두께보다 크다.
눌어붙지 않는 코팅(30) 및 당해의 립(21) 및 홈(22)의 표면 사이에 양극 산화층이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양극 산화층이 한편으로는 홈(22)과 립(21)의 표면과, 다른 한편으로는 눌어붙지 않는 코팅(30) 사이에 배열된다. 이 양극 산화층은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을 분사하는 단계 이전에 하드 애노드화(hard anodization)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데, 이 방법은 립(21)에 대한 마모 및 파손에 특정 강도 및 양호한 저항성을 제공한다. 양극 산화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50 Hv 내지 600 Hv 범위의 경도에 대해 20 μm와 45 μ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눌어붙지 않는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두께는 15 μm와 50 μ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적용예가 본 발명의 유리한 결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대응되었다.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9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8의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가 후속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취득된다.
(1) 용기 몸체의 다이 캐스팅: 용기 몸체는 예컨대, 캠버형이거나 편평한 저부를 형성하기 위해 알루미늄 합금을 가압 다이 캐스팅(pressure die-casting)함으로써 생성되는데, 용기 몸체는 세척 후 소결 단계를 거친다. 용기 몸체(10)는 따라서 다이 캐스팅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2) 회선 영역: 회전은 표 1에 열거된 파라미터들에 따라 생성되며, 회선 영역은 용기 몸체의 전체 내부 표면 위에 배열되고, 회선의 립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홈의 저부는 캠버형이다.
(3) 샌드 블라스팅: no. 46 금강사(no. 46 emery sand)가 샌드 블라스팅을 위해 사용되고, 이는 립의 표면에 대해 5 μm의 거칠기(Ra)를 취득할 수 있게 한다.
(4) 하드 애노드화: 상술된 처리 단계 후에, 용기 몸체는 하드 애노드화 처리를 거치는데, 이는 350 Hv의 경도를 갖는 30 μm 두께의 애노드 층을 생성한다.
(5) 눌어붙지 않는 코팅의 분사: 35 μm 두께 층을 형성하는 플루오린화 수지계 눌어붙지 않는 코팅이 용기 몸체의 내부 표면 상에 분사되고, 상기 표면은 분사가 종료될 때 380℃에서 6분의 소결 상을 거친다.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9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8에서 취득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에는 가속 시뮬레이션 시험 방법(acceleration simulation test method)에 따라 수행되는 측정이 가해진다, 성능에 대한 표 1 참조.
상기 시험 방법은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소비자에 의한 조리 용기의 매일 사용 중 눌어붙지 않는 코팅의 악화의 매커니즘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로 구성되는데, 중국 소비자의 조리 습관이 반영되고 강화된 기계적 시뮬레이션 시험이 평가 기준으로서 가속 시뮬레이션 시험 사이클의 수를 이용하여 조리 용기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의 내용 연수를 평가하기 위해 포함된다. 가속 시뮬레이션 시험 방법 및 조리 용기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의 속성 및 내용 연수를 평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I. 눌어붙지 않는 코팅의 내용 연수를 평가하는 방법
레벨 사정 수행을 위해, 계란이 각각의 가속 시뮬레이션 시험 사이클의 말미에 조리된다. 계란을 조리하는 동안 눌어붙지 않는 코팅의 떨어져 나간 표면의 직경이 6 mm보다 크거나 눌어붙지 않는 층이 상기 층으로부터 이어지는 10개보다 많은 깊은 흠집을 갖는 경우, 시험은 중지되고 시뮬레이션 시험 사이클의 수가 기록된다. 사이클의 수가 많을수록, 눌어붙지 않는 코팅의 내용 연수가 길어진다.
II. 눌어붙지 않는 코팅의 속성을 평가하는 방법
눌어붙지 않는 코팅의 속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후속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시뮬레이션 시험 사이클의 말미에, 샘플은 세척되고 표면에 잔류하는 물은 닦인다.
용기 몸체의 내부 표면이 건조된 후, 조리 오일의 층이 스폰지 또는 다른 부드러운 물체를 이용하고 오일의 액적 또는 고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된다.
그에 따라 오일이 도포된 조리 용기는 140℃과 170℃ 사이의 온도까지 가스 레인지에서 가열된다.
계란을 깨서 고온 조리 용기에 붓고 계란이 응고되게 한다; 이후 계란은 조리 용기로부터 제거되고, 조리 용기의 눌어붙지 않는 속성이 이러한 동작을 기초로 평가된 후 기록된다.
III. 가속 시뮬레이션 시험 방법
나무 주걱이 가속 시뮬레이션 시험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시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단계 A: 조개(shell) 진동에 의한 마모 시험
단계 B: 다양한 양념으로 구성된 혼합물의 조리
단계 C: 스틸 와이어를 이용하는 마모 시험
단계 D: 튀김 감자
단계 E: 계란 조리에 의한 눌어붙지 않는 속성의 평가
상기 4개의 시험 단계 + 상술된 눌어붙지 않는 속성을 평가하는 1 단계의 종료가 하나의 사이클의 완료에 대응한다.
단계 A의 세부 사항: 조개 진동에 의한 마모 시험:
측정 기기: 진동 마모 시험 장치.
본 시험의 구체적 설명
(1) 500g의 조개가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내에 배치된 후, 개방부가 알루미늄 접착제 테이프로 밀봉된다.
(2)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가 적외선 또는 다른 유형의 오븐 내에 배치된다.
(3) 시험 장치가 400 rpm의 속도로 150℃와 180℃ 사이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진동하도록 설정된다.
(4) 시작 버튼이 15분 동안 눌어붙지 않는 용기 내의 조개를 진동시키기 위해 눌려진다.
(5) 시험이 종료되면, 조개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로부터 제거되고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는 수돗물을 이용하여 적절하게 세척된다.
단계 B의 세부 사항: 다양한 양념으로 구성된 혼합물의 조리:
재료: 콩기름, 식초, 소금, 설탕, 구이린(Guilin) 핫 소스, 케첩.
본 시험의 구체적 설명:
(1) 당해 혼합물이 후속하는 속성에서 준비된다:
균질의 혼합물이 취득될 때까지 혼합되는 70% 수돗물, 5% 콩기름, 5% 식초, 5% 소금, 5% 설탕, 5% 구이린 칠리 소스, 5% 케첩.
(2) 이 혼합물 1800 ml가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내에 부어지고; 조리 용기는 가스레인지 상에 배치되고, 조리 용기의 저부가 완전히 덮이지 않았다면 추가의 액체가 필요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3) 혼합물은 끓을 때까지 가열되고 30분 동안 끓게 놔둔다. 이 시간 동안, 액체의 농도(consistency) 및 두께를 유지하기 위해 물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본 혼합물에 추가될 수 있다.
(4) 조리 시간이 경과된 후, 혼합물은 제거되고 조리 용기가 수돗물로 세척된다.
단계 C의 세부 사항: 스틸 와이어를 이용한 마모 시험:
시험 기기: 스틸 와이어를 갖는 장치가 설비된 마멸 및 마모 시험 기계
본 시험의 구체적 설명:
(1) 적절한 양의 조리 오일이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내에 부어진다.
(2) 조리 용기가 가스레인지 상에서 가열되고, 측정 기기의 마멸 회수가 400으로 설정되고 상기 오일의 온도는 180℃와 220℃ 사이가 된다.
(3) 시험이 종료되면, 조리 오일이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로부터 제거된다.
(4) 스틸 와이어가 시험 도중 올바르고 견고하게 위치 설정되는 것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각 시험 사이클에 대해, 스틸 와이어의 표면의 마모 수준이 체크되어야 하며, 그러한 마모 수준이 명백한 마모 신호를 나타낸다면 스틸 와이어는 수리 또는 교체되어야 한다.
단계 D의 세부 사항: 감자의 튀김:
재료: 300g의 감자 및 500g 튀김 오일.
본 시험의 구체적 설명:
(1) 감자가 프렌치 프라이로 절단된다.
(2) 500g의 튀김 오일이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내에 부어진다.
(3) 조리 용기는 가스레인지 상에서 가열되고, 상기 오일이 충분히 뜨거워지면, 상기 프렌치 프라이가 요일 내에 넣어져서 외부가 황갈색(golden-brown)이 될 때까지 튀겨진다.
(4) 프렌치 프라이 그리고 후속하여 오일이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로부터 제거된다.
L (mm) B/L (폭/간격) α(°) H (mm) 눌어붙지 않는 코팅의 내용 연수(사이클 수)
적용예 1 0.3 5/12 35° 0.3 8
적용예 2 0.6 5/12 35° 0.3 10
적용예 3 1 5/12 35° 0.3 5
적용예 4 0.6 1/3 35° 0.3 7
적용예 5 0.6 1/2 35° 0.3 7
적용예 6 0.6 5/12 25° 0.3 6
적용예 7 0.6 5/12 45° 0.3 6
적용예 8 0.6 5/12 35° 0.12 6
적용예 9 0.6 5/12 35° 0.45 5
비교예 1 0.1 5/12 35° 0.3 2
비교예 2 1.2 5/12 35° 0.3 1
비교예 3 0.6 1/5 35° 0.3 2
비교예 4 0.6 3/4 35° 0.3 2
비교예 5 0.6 5/12 15° 0.3 2
비교예 6 0.6 5/12 60° 0.3 2
비교예 7 0.6 5/12 35° 0.04 1
비교예 8 0.6 5/12 35° 0.6 2
결과가 4가지 유형의 파라미터에 대한 합리적인 수치와 비교되는 표 1의 데이터 비교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9에 의해 취득된 조리 용기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의 내마모 속성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8에 의해 취득된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의 내마모 속성에 비해 훨씬 우수하다는 것이 증명된다. 적용예 2가 가장 우수한 속성을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해 취득된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가 더 긴 내용 연수를 갖는다는 것이 증명된다.
상술된 적용예는 단지 본 발명의 용례의 가장 우수한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용례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관련 분야의 기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도 및 원리를 유지하여 이루어진 임의의 변경, 대체 또는 개선은 본 발명의 보호 범주 내에 포함된다.

Claims (25)

  1. 용기 몸체(10) 및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을 포함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로서, 용기 몸체(10)는 립형 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립형 내부 표면은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립(21) 및 홈(22)을 포함하며,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은 립(21)의 표면과 홈(22)의 표면을 덮고, 립(21)은 상부 표면(211)과 립(21)의 상부 표면(211)의 폭(B)을 포함하며, 홈(22)은 저부 표면(221)을 포함하고, 홈(22)의 저부 표면(221) 상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두께(R)는 상기 홈(22)의 저부 표면(221)과 인접한 립(21)의 상부 표면(211) 사이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표면의 고도 차(V)보다 큰,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에 있어서,
    동일 립(21)의 2개의 측면 벽(212) 사이의 분리 각도(α)가 25°와 45°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립(21)의 상부 표면(211)은 편평하거나 캠버형이고 홈(22)의 저부 표면(221)은 편평하거나 캠버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립(21)의 측면 벽(212)은 편평하거나 캠버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이웃한 립(21)은 0.3 mm와 1 mm 사이인 간격(L)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간격(L)에 대한 립(21)의 폭(B)의 비율은 1/3과 1/2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립(21)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립(21)의 측면 벽(212)과 인접한 홈(22)의 저부 표면(221)은 둥근 벽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립(21)의 상부 표면(211)의 최고 지점과 홈(22)의 저부 표면(221)의 최저 지점을 분리하는 수직 거리(H)는 0.12 mm와 0.45 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홈(22)의 저부 표면(221) 상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두께는 인접한 립(21)의 상부 표면(211) 상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립(21)의 상부 표면(211)의 최고 지점과 인접한 홈(22)의 저부 표면(221)의 최저 지점을 분리하는 수직 거리(H)는 상기 립(21)의 상부 표면(211)과 상기 홈(22)의 저부 표면(221) 사이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표면의 고도 차(V)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립(21)의 상부 표면(211)의 최고 지점과 인접한 홈(22)의 저부 표면(221)의 최저 지점을 분리하는 수직 거리(H)는 상기 홈(22)의 저부 표면(221) 상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두께(R)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두께는 15 μm와 50 μ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립(21)의 표면의 거칠기(Ra)는 3 μm와 8 μ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14. 제1항에 있어서, 립(21)의 상부 표면(211) 및 립(21)의 측면 벽(212)은 거칠고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오목부(22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15. 제1항에 있어서, 양극 산화층이 한편으로는 홈(22) 및 립(21)의 표면과 다른 한편으로는 눌어붙지 않는 코팅(30)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양극 산화층의 두께는 20 μm와 45 μ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양극 산화층의 경도는 150 Hv와 600 Hv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18. 제1항에 있어서, 용기 몸체(10)는 다이 캐스트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19. 제1항에 있어서, 홈(22)의 저부 표면(221)은 어떠한 예각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20. 제1항에 있어서, 홈(22)의 저부 표면(221)은 캠버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21. 제1항에 있어서, 홈(22)의 저부 표면(221)은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22. 제1항에 있어서, 립(21)은 상부 표면(211)을 인접한 홈(22)의 저부 표면(221)에 연결하는 2개의 측면 벽(2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23. 제1항에 있어서, 홈(22)의 저부 표면(221)의 폭은 홈(22)의 저부 표면(221) 상의 눌어붙지 않는 코팅(30)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24. 삭제
  25. 삭제
KR1020157034047A 2013-05-03 2014-04-29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KR102174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160536.5 2013-05-03
CN201310160536.5A CN103230216B (zh) 2013-05-03 2013-05-03 不粘锅
PCT/FR2014/051024 WO2014177804A1 (fr) 2013-05-03 2014-04-29 Recipient de cuisson antiadhesi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825A KR20160003825A (ko) 2016-01-11
KR102174709B1 true KR102174709B1 (ko) 2020-11-05

Family

ID=4887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047A KR102174709B1 (ko) 2013-05-03 2014-04-29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194771B2 (ko)
EP (1) EP2991531B1 (ko)
JP (1) JP6779128B2 (ko)
KR (1) KR102174709B1 (ko)
CN (1) CN103230216B (ko)
BR (1) BR112015027681B1 (ko)
RU (1) RU2669311C2 (ko)
TR (1) TR201908412T4 (ko)
WO (1) WO2014177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5666B (zh) * 2013-09-06 2016-08-24 武汉苏泊尔炊具有限公司 不粘锅及不粘锅的制造方法
US20150367481A1 (en) * 2014-06-23 2015-12-24 Les Promotions Atlantiques Inc. / Atlantic Promotions Inc. Method of treating a surface of a utensil
FR3025995B1 (fr) 2014-09-23 2017-02-17 Seb Sa Recipient de cuisson comportant une face interieure en acier inoxydable partiellement revetue, et procede d'obtention
CN105030048B (zh) * 2015-09-10 2018-02-02 武汉苏泊尔炊具有限公司 复合底炊具及其制造方法
CN106402420B (zh) * 2016-10-10 2019-03-22 华东理工大学 耐磨及耐冲蚀的球阀阀芯及其制造方法
WO2018143518A1 (ko) * 2017-02-03 2018-08-09 (주)네오플램 조리 용기
CN107669100A (zh) * 2017-11-10 2018-02-09 柳惠斌 一种防刮涂层锅
EP3804581A4 (en) * 2018-07-27 2021-06-30 Foshan Shunde Midea Electrical Heating Appliances Manufacturing Co., Ltd. COATING,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 COATING, COOKWARE AND COOKING EQUIPMENT
CN110859518B (zh) * 2018-08-27 2022-11-0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锅具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3097532U (zh) * 2019-06-28 2021-05-04 武汉苏泊尔炊具有限公司 烹饪器具
CN113116118B (zh) * 2019-12-31 2022-12-02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容器以及烹饪器具
CN111334834B (zh) * 2020-03-11 2021-03-19 梁世花 一种亲油不粘炊具的制作方法
KR102355038B1 (ko) * 2020-08-12 2022-02-07 이청윤 프라이팬 및 프라이팬의 제조방법
CN116250726B (zh) * 2023-02-14 2023-11-1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米饭烹饪器具的内胆及烹饪器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737Y1 (ko) * 2000-06-09 2000-12-15 장만수 양극산화피막층과 테프론 코팅층이 교호로 형성되게 한주방용 조리구
CN102641078A (zh) * 2012-04-16 2012-08-22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不粘炊具及其制作方法
JP7000827B2 (ja) * 2017-12-08 2022-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接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4715A (ja) * 1985-06-22 1987-04-18 パイロルツクス パンデフアブリ−ク ア−ペ−エス 粘着防止層を有する菓子調理器具の層状化法と菓子調理器具
GB2194879A (en) 1986-09-01 1988-03-23 Meyer Manuf Co Ltd Cooking pans
JPS64198Y2 (ko) * 1986-09-30 1989-01-05
DE4113211A1 (de) 1991-04-23 1992-10-29 Winfried Heinzel Verfahren zum beschichten von haus- und kuechengeraetschaften
FR2688426B1 (fr) * 1992-03-13 1994-05-27 Seb Sa Procede de preparation d'une surface pour l'accrochage d'un revetement.
GB9222275D0 (en) * 1992-10-23 1992-12-09 Meyer Manuf Co Ltd Cookware and a method of forming same
US5628426A (en) * 1995-08-16 1997-05-13 Commercial Aluminum Cookware Company Cooking device having heatable work surface of raised dots
WO2000056537A1 (en) * 1999-03-24 2000-09-28 Ferro Corporation Ceramic substrate for nonstick coating
CN2369590Y (zh) 1999-04-15 2000-03-22 赖火成 耐用硬质不粘锅
US20030126996A1 (en) 2002-01-10 2003-07-10 Cheng Stanley K. Cookware with undulating cooking surface
US20050089515A1 (en) 2003-08-29 2005-04-28 Dyax Corp. Poly-pegylated protease inhibitors
CN201052068Y (zh) * 2007-05-29 2008-04-30 李昶浩 一种不粘锅
US10040118B2 (en) * 2009-08-19 2018-08-07 All-Clad Metalcrafters Llc Graphite encapsulated cookware
CN203341496U (zh) * 2013-05-03 2013-12-18 武汉苏泊尔炊具有限公司 不粘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737Y1 (ko) * 2000-06-09 2000-12-15 장만수 양극산화피막층과 테프론 코팅층이 교호로 형성되게 한주방용 조리구
CN102641078A (zh) * 2012-04-16 2012-08-22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不粘炊具及其制作方法
JP7000827B2 (ja) * 2017-12-08 2022-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接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30216B (zh) 2016-01-20
TR201908412T4 (tr) 2019-07-22
RU2015150288A3 (ko) 2018-03-20
RU2015150288A (ru) 2017-06-08
US20160113439A1 (en) 2016-04-28
JP6779128B2 (ja) 2020-11-04
WO2014177804A1 (fr) 2014-11-06
CN103230216A (zh) 2013-08-07
BR112015027681B1 (pt) 2021-07-13
EP2991531A1 (fr) 2016-03-09
JP2016516543A (ja) 2016-06-09
KR20160003825A (ko) 2016-01-11
US10194771B2 (en) 2019-02-05
RU2669311C2 (ru) 2018-10-09
EP2991531B1 (fr) 2019-05-15
BR112015027681A2 (pt)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709B1 (ko) 눌어붙지 않는 조리 용기
RU2359601C2 (ru) Кухонная посуда с повышенной стойкостью к образованию царапин
US11278147B2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profiled non-stick pans with concave-convex pattern
US8540107B2 (en) Cooking vessel with nonstick coating
US11058252B2 (en) Method of producing a cooking vessel comprising an interior surface of partially coated stainless steel
JP6224086B2 (ja) 陽極処理され電気化学的に着色された外面を備える調理容器を得る方法
JP2008539099A (ja) コーティングを施した対象物の基材及びコーティング処理
AU2003200090B2 (en) Cookware with undulating cooking surface
JP2009191605A (ja) 表面保護構造
KR101398430B1 (ko) 고기 구이판
CN201052068Y (zh) 一种不粘锅
CN213721465U (zh) 容器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3464767U (zh) 容器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4510726U (zh) 容器及烹饪器具
CN114073397A (zh) 容器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101306682B1 (ko) 프라이팬의 사용한도를 알려주는 논스틱 코팅방법
CN111481048B (zh) 易清洁烹饪用具
CN213721474U (zh) 容器及具有其的烹饪器具
TWI629035B (zh) Composite non-stick pa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209057Y1 (ko) 양극 산화 피막층과 테프론 코팅층이 교호로 형성되게 한주방용 조리구
KR100977667B1 (ko) 조리용구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3264B1 (ko) 고기 구이판
CA2884520A1 (en) Cooking vessel with protective rim
KR20080069154A (ko) 조리용 가열용기
KR20130050230A (ko)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