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140B1 -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140B1
KR102174140B1 KR1020167000567A KR20167000567A KR102174140B1 KR 102174140 B1 KR102174140 B1 KR 102174140B1 KR 1020167000567 A KR1020167000567 A KR 1020167000567A KR 20167000567 A KR20167000567 A KR 20167000567A KR 102174140 B1 KR102174140 B1 KR 102174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copolymer
meth
acrylate
polymerization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8773A (ko
Inventor
아키히로 야마다
에이지 하라타
도시아키 다카오카
Original Assignee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08F220/32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containing glycidyl radical, e.g. glycid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zation Catalysts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유래의 구조 단위를 많이 함유하고, 카르복실기 및 에폭시기를 갖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잔존 단량체가 적으며, 전화율이 높은 중합 반응을 실시할 수 있으며, 또 분산도가 낮은 공중합체가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A)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함유 비율이 30 ∼ 80 질량% 이고, (B)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의 함유 비율이 1 ∼ 30 질량% 이며, (C) (메트)아크릴산의 함유 비율이 1 ∼ 40 질량% 인 단량체 혼합물을 (D) 비스(4-ter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의 존재하에서 중합시키는 공정을 갖는다.

Description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COPOLYMER}
본 발명은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유래의 구조 단위를 많이 함유하고, 카르복실기 및 에폭시기를 갖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소자 등의 전자 재료 분야 등에서는 패턴 형성된 막이 사용되고, 이 막의 형성에 사용되는 레지스트 재료의 하나로서, 광중합 반응을 이용한 감방사선성 수지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다. 감방사선성 수지 조성물은, 감도 및 해상도 (이하, 현상성이라고도 한다) 가 우수할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의 감방사선성 수지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다.
이 감방사선성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공중합체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유래의 구조 단위와 에폭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유래의 구조 단위를 함유하기 때문에, 알칼리 현상액에 의한 현상성이 있으며, 형성된 막에 내성이 얻어진다. 또한, 이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유래의 구조 단위를 함유하기 때문에, 감도 및 현상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많이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공중합시키는 경우, 종래의 중합 개시제 (이하, 간단히 개시제라고도 한다) 를 사용하여 중합 반응시키면, 통상의 중합 조건에서는 잔존 단량체가 많아지고 전화율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잔존 단량체를 줄이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개시제량을 증가시키거나, 반응 온도를 높이거나, 반응 시간을 길게 하거나 하는 수법이 취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단량체 중의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에 의한 부반응이 일어나기 쉬워져, 다분산도 (Mw/Mn) 가 높은 공중합체가 되기 때문에, 현상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는, 잔존 단량체가 적고, 전화율이 높은 중합 반응을 실시하는 것은 곤란하고, 또 다분산도가 낮은 공중합체가 얻어지고 있지 않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63626호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유래의 구조 단위를 많이 함유하고, 카르복실기 및 에폭시기를 갖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잔존 단량체가 적고, 전화율이 높은 중합 반응을 실시할 수 있으며, 또 분산도가 낮은 공중합체가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방향족 비닐 화합물 유래의 구조 단위를 많이 함유하고, 카르복실기 및 에폭시기를 갖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개시제를 사용하여 중합 반응을 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A)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함유 비율이 30 ∼ 80 질량% 이고, (B)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의 함유 비율이 1 ∼ 30 질량% 이며, (C) (메트)아크릴산의 함유 비율이 1 ∼ 40 질량% 인 단량체 혼합물을 (D) 비스(4-ter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의 존재하에서 중합시키는 공정을 갖는,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개시제로서 사용되는 (D) 성분은, 부가 능력이 높기 때문에, 미반응의 단량체가 남기 쉬운 (A)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잔존 단량체가 적어져 반응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전화율이 높은 중합 반응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중합 온도를 비교적 저온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의 반응을 억제할 수 있어, 다분산도가 낮은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향족 비닐 화합물 유래의 구조 단위를 많이 함유하고, 카르복실기 및 에폭시기를 갖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잔존 단량체가 적고, 전화율이 높은 중합 반응을 실시할 수 있으며, 또 분산도가 낮은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감도 및 현상성이 우수한 감방사선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감방사선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방사선은, 가시광선, 자외선, 원자외선, X 선, 하전 입자선 등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A) 방향족 비닐 화합물, (B)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및 (C) (메트)아크릴산을 적어도 함유하고, 추가로 임의 성분을 함유해도 되는 단량체 혼합물을, 개시제인 (D) 비스(4-ter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의 존재하에서 중합시키는 공정을 갖는다.
먼저, 상기 (A) ∼ (D) 의 각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호 「∼」를 사용하여 규정된 수치 범위는 「∼」의 양단 (상한 및 하한) 의 수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2 ∼ 5」는 2 이상 5 이하를 나타낸다.
<(A) 방향족 비닐 화합물>
(A) 성분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이고,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m-에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t-부틸스티렌, 클로로스티렌, 하이드록시스티렌, t-부톡시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및 하이드록시스티렌이 바람직하고, 특히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또한, (A) 성분으로서 2 종 이상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단량체 혼합물 중에 있어서의 (A) 성분의 함유 비율은, 30 ∼ 80 질량% 이다. 바람직하게는 40 ∼ 75 질량% 이고, 45 ∼ 7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30 질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공중합체를 감방사선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했을 때에 해상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 80 질량% 보다 많은 경우에는, 잔존 단량체가 많아짐과 함께 전화율이 낮아져, 제조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B)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B) 성분은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이고, 아크릴산글리시딜 및 메타크릴산글리시딜을 들 수 있으며, 공업적으로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점에서 메타크릴산글리시딜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산글리시딜 및 메타크릴산글리시딜 중 일방 또는 양방을 사용할 수 있다.
단량체 혼합물 중에 있어서의 (B) 성분의 함유 비율은 1 ∼ 3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5 ∼ 25 질량% 이다.
<(C) (메트)아크릴산>
(C) 성분은 (메트)아크릴산이고,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을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중 일방 또는 양방을 사용할 수 있다.
단량체 혼합물 중에 있어서의 (C) 성분의 함유 비율은 1 ∼ 4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5 ∼ 30 질량% 이다.
<(D) 비스(4-ter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개시제인 (D) 성분은, 비스(4-ter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이다. 이 개시제는 부가 능력이 높고, 저온 활성이기 때문에, 중합 온도를 비교적 저온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A)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촉진시키고, 또 부반응을 억제하여 다분산도가 낮은 공중합체가 얻어진다.
(D) 성분의 사용량은, 사용하는 단량체의 조합이나, 반응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개시제의 투입시에는, 전체량을 일괄 주입해도 되고, 일부를 일괄 주입하고 나머지를 적하 등으로 서서히 첨가해도 되고, 혹은 전체량을 서서히 첨가해도 된다. 또, 단량체와 함께 개시제를 서서히 첨가하면, 반응의 제어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또한 잔존 단량체를 저감시키기 위해 단량체 첨가 후에도 개시제를 첨가해도 된다.
<그 밖의 단량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단량체 혼합물에는, 상기 (A) ∼ (C) 성분 이외의 다른 단량체를 1 종 또는 2 종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그 함유 비율은, 단량체 혼합물 중에 있어서 0 ∼ 20 질량% 이다.
또한, 상기 (A) ∼ (C) 성분 및 임의 성분으로서의 다른 단량체로 구성되는 단량체 혼합물의 총량은 100 질량% 이다.
다른 단량체로는, 상기 (A) ∼ (C) 성분 이외의 단량체이고, 또한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프로필,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펜틸, (메트)아크릴산헥실,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헵틸,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노닐, (메트)아크릴산데실, (메트)아크릴산도데실, (메트)아크릴산페닐, (메트)아크릴산벤질, (메트)아크릴산-2-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3-메톡시부틸,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트)아크릴산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을 나타낸다.
<중합 반응>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개시제인 (D) 성분의 존재하에서 중합시킬 때에는, 통상의 라디칼 중합을 실시하는 방법으로서 알려져 있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중합에 있어서는, 단량체 및 개시제를 함유하는 용액을, 용매 또는 단량체를 함유하는 용액에 적하하여 중합 반응시키는 방법이나, 단량체를 함유하는 용액과 개시제를 함유하는 용액을 각각 따로 용매 또는 단량체를 함유하는 용액에 적하하여 중합 반응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개시제는 고체인 채로 사용해도 되고, 용매와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중합 반응시에는, 분자량 조정을 위해, 필요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연쇄 이동제를 사용해도 된다.
중합 반응시에는, 단량체 혼합물, 개시제, 필요에 따라 연쇄 이동제의 투입 후, 숙성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숙성 조건으로는, 개시제를 완전히 분해할 수 있는 중합 온도, 중합 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액 중합에 의한 중합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로는, 사용하는 단량체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제이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코올류, 에테르류, 케톤류, 아미드류, 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한 혼합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용매량으로는, 단량체 혼합물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해, 예를 들어, 100 ∼ 1,000 질량부가 바람직하다. 용매량이 이 범위일 때, 중합체 용액이 교반되기 쉬워 균일한 용액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분자량의 조정도 실시하기 쉬워, 단량체가 잔존하기 어렵다.
중합 반응 후의 용액은, 그대로 감방사선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해도 되고, 공중합체를 단리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조작, 예를 들어 재침전, 용제 제거 등의 조작을 실시하여 공중합체를 단리한 후, 감방사선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방향족 비닐 화합물 유래의 구조 단위를 많이 함유하고, 카르복실기 및 에폭시기를 갖는 공중합체의 중합 반응을 높은 전화율, 예를 들어 전화율 80 % 이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다분산도가 낮은 공중합체, 예를 들어, 다분산도 (Mw/Mn) 가 3 이하인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공중합체의 전화율은 중합체 용액에 함유되는 단량체량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GC) 에 의해 분석하여 구할 수 있으며, 공중합체의 다분산도 (Mw/Mn) 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GPC) 측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Mw 는 중량 평균 분자량을, Mn 은 수 평균 분자량을 각각 나타낸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종 물성값, 측정 및 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따랐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질량부는 단량체 혼합물의 총량 100 질량부에 대한 질량부를 나타내고, 질량% 는 단량체 혼합물 (총량 100 질량%)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을 나타낸다.
(1) 전화율
중합체 용액에 함유되는 단량체량을 하기 방법에 의해 정량하고, 전화율을 산출하였다.
중합체 용액 3 g 과 내부 표준 물질의 비페닐 0.01 g 을 아세톤 35 g 에 용해시켜 분석 시료를 조제하였다. 시료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GC) 에 의해 하기 조건에서 분석하고, 내부 표준법에 의해 정량하였다.
GC 장치 :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GC-2014
검출기 : FID
인젝션 온도 : 200 ℃
검출기 온도 : 250 ℃
칼럼 온도 : 50 ℃ 에서 10 분 유지, 매분 10 ℃ 승온, 250 ℃ 에서 10 분 유지
칼럼 : 애질런트ㆍ테크놀로지 (주) 제조, DB-17 (내경 0.25 ㎜, 길이 30 m, 막두께 0.25 ㎛)
그리고, 원료인 물질 수지 및 잔존 단량체량으로부터 단량체의 전화율 (%) 을 산출하였다.
(2)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다분산도 (Mw/Mn)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GPC) 측정에 의해, 하기 조건에서 구하였다.
GPC 장치 : 토소 (주) 제조, HLC-8220
칼럼 : 쇼와 전공 (주) 제조, Shodex KF-805L
용매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표준 물질 : 폴리스티렌
또, 실시예 중의 약호는 이하와 같다.
PGMEA : 아세트산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GMA : 메타크릴산글리시딜
MAA : 메타크릴산
EMA : 메타크릴산에틸
DCPMA :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TCP : 비스(4-ter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상품명 : 퍼로일 TCP, 니치유 (주) 제조)
V-65 :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와코 순약 공업 (주) 제조)
MSD : α-메틸스티렌 다이머 (상품명 : 노프머-MSD, 니치유 (주) 제조)
퍼옥타 ND :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네오데카네이트 (니치유 (주) 제조 : 순도 70 % 품)
(실시예 1)
교반기, 온도계, 냉각관, 적하 깔때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2 리터의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PGMEA 637 g (200 질량부) 을 도입하여 65 ℃ 로 승온 후, 스티렌 191.1 g (60 질량%), GMA 63.7 g (20 질량%), MAA 63.7 g (20 질량%) 을 2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병행하여, TCP 44.6 g (14 질량부) 을 2 시간에 걸쳐 분할 투입하였다. 적하 종료 후 2 시간 숙성시켜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중합 반응은 질소 분위기하에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체 용액을 평가한 결과, 전화율은 84.9 % 였다. 또, 공중합체의 Mw 는 10,000 이고, Mw/Mn 은 1.8 이었다.
(실시예 2)
교반기, 온도계, 냉각관, 적하 깔때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2 리터의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PGMEA 654 g (200 질량부) 을 도입하여 65 ℃ 로 승온 후, 스티렌 196.1 g (60 질량%), GMA 65.4 g (20 질량%), MAA 65.4 g (20 질량%) 을 2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병행하여, TCP 19.6 g (6 질량부) 을 2 시간에 걸쳐 분할 투입하였다. 적하 종료 후 2 시간 숙성시켜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중합 반응은 질소 분위기하에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체 용액을 평가한 결과, 전화율은 80.8 % 였다. 또, 얻어진 공중합체의 Mw 는 50,000 이고, Mw/Mn 은 2.5 였다.
(실시예 3)
교반기, 온도계, 냉각관, 적하 깔때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2 리터의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PGMEA 625 g (200 질량부) 을 도입하여 65 ℃ 로 승온 후, 스티렌 187.5 g (60 질량%), GMA 62.5 g (20 질량%), MAA 62.5 g (20 질량%) 을 2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병행하여, TCP 62.5 g (20 질량부) 을 2 시간에 걸쳐 분할 투입하였다. 적하 종료 후 2 시간 숙성시켜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중합 반응은 질소 분위기하에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체 용액을 평가한 결과, 전화율은 86.6 % 였다. 또, 얻어진 공중합체의 Mw 는 5,100 이고, Mw/Mn 은 1.7 이었다.
(실시예 4)
교반기, 온도계, 냉각관, 적하 깔때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2 리터의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PGMEA 637 g (200 질량부) 을 도입하여 65 ℃ 로 승온 후, 스티렌 191.1 g (60 질량%), GMA 63.7 g (20 질량%), MAA 47.8 g (15 질량%), EMA 15.9 g (5 질량%) 을 2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병행하여, TCP 44.6 g (14 질량부) 을 2 시간에 걸쳐 분할 투입하였다. 적하 종료 후 2 시간 숙성시켜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중합 반응은 질소 분위기하에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체 용액을 평가한 결과, 전화율은 85.2 % 였다. 또, 얻어진 공중합체의 Mw 는 9,800 이고, Mw/Mn 은 1.8 이었다.
(실시예 5)
교반기, 온도계, 냉각관, 적하 깔때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2 리터의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PGMEA 637 g (200 질량부) 을 도입하여 65 ℃ 로 승온 후, 스티렌 191.1 g (60 질량%), GMA 63.7 g (20 질량%), MAA 47.8 g (15 질량%), DCPMA 15.9 g (5 질량%) 을 2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병행하여, TCP 44.6 g (14 질량부) 을 2 시간에 걸쳐 분할 투입하였다. 적하 종료 후 2 시간 숙성시켜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중합 반응은 질소 분위기하에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체 용액을 평가한 결과, 전화율은 84.3 % 였다. 또, 얻어진 공중합체의 Mw 는 9,800 이고, Mw/Mn 은 1.8 이었다.
이들 실시예에서 얻어진 공중합체 용액 및 공중합체를 평가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전화율(%) 84.9 80.8 86.6 85.2 84.3
Mw 10,000 50,000 5,100 9,800 9,800
Mw/Mn 1.8 2.5 1.7 1.8 1.8
(비교예 1)
교반기, 온도계, 냉각관, 적하 깔때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2 리터의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PGMEA 627 g (193 질량부), MSD 3.2 g (1 질량부) 을 도입하여 70 ℃ 로 승온 후, 스티렌 194.8 g (60 질량%), GMA 32.5 g (10 질량%), MAA 64.9 g (20 질량%), EMA 32.5 g (10 질량%) 을 2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병행하여, V-65 의 22.7 g (7 질량부) 을 PGMEA 22 g (7 질량부) 에 용해시킨 개시제 용액을 2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2 시간 숙성시켜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중합 반응은 질소 분위기하에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체 용액을 평가한 결과, 전화율은 68.0 % 였다. 또, 얻어진 공중합체의 Mw 는 11,000 이고, Mw/Mn 은 2.5 였다.
(비교예 2)
교반기, 온도계, 냉각관, 적하 깔때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2 리터의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PGMEA 622 g (192 질량부), MSD 3.2 g (1 질량부) 을 도입하여 70 ℃ 로 승온 후, 스티렌 194.2 g (60 질량%), GMA 32.4 g (10 질량%), MAA 64.7 g (20 질량%), EMA 32.4 g (10 질량%) 을 2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병행하여, V-65 의 25.9 g (8 질량부) 을 PGMEA 22 g (7 질량부) 에 용해시킨 개시제 용액을 2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종료 후 2 시간 숙성시킨 후, 다시 추가적으로 V-65 의 3.2 g (1 질량부) 을 PGMEA 3 g (1 질량부) 에 용해시킨 개시제 용액을 적하하고, 추가로 2 시간 숙성시켜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중합 반응은 질소 분위기하에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체 용액을 평가한 결과, 전화율은 81.8 % 였다. 또, 얻어진 공중합체의 Mw 는 25,000 이고, Mw/Mn 은 3.5 였다.
(비교예 3)
교반기, 온도계, 냉각관, 적하 깔때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2 리터의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PGMEA 637 g (200 질량부) 을 도입하여 65 ℃ 로 승온 후, 스티렌 191.1 g (60 질량%), GMA 63.7 g (20 질량%), MAA 63.7 g (20 질량%) 을 2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병행하여, 퍼옥타 ND 44.6 g (14 질량부) 을 2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2 시간 숙성시켜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중합 반응은 질소 분위기하에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체 용액을 평가한 결과, 전화율은 72.7 % 였다. 또, 얻어진 공중합체의 Mw 는 9,000 이고, Mw/Mn 은 1.9 였다.
이들 비교예에서 얻어진 공중합체 용액 및 공중합체를 평가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전화율(%) 68.0 81.8 72.7
Mw 11,000 25,000 9,000
Mw/Mn 2.5 3.5 1.9
표 1 에 나타나는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법에 관련된 실시예에 의하면, 잔존 단량체량이 적고, 전화율이 높은 중합 반응이 행해지고 있으며, 다분산도가 낮은 공중합체가 효율적으로 얻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표 2 에 나타나는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개시제 이외의 개시제를 사용한 비교예 1 및 3 에서는, 잔존 단량체가 많고, 중합 반응의 전화율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개시제를 추가하여 2 단계로 중합 반응을 실시한 경우 (비교예 2), 전화율은 향상되지만, 다분산도가 높은 공중합체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유래의 구조 단위를 많이 함유하고, 또 다분산도 (Mw/Mn) 가 낮기 때문에, 감방사선성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공중합체로서 사용함으로써, 감도 및 현상성이 우수한 감방사선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A)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함유 비율이 30 ∼ 80 질량% 이고, (B)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의 함유 비율이 1 ∼ 30 질량% 이며, (C) (메트)아크릴산의 함유 비율이 1 ∼ 40 질량% 인 단량체 혼합물을 (D) 비스(4-ter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의 존재하에서, 또한 질소 분위기하에서 중합시키는 공정을 갖는,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KR1020167000567A 2013-06-11 2014-06-06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KR102174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23252 2013-06-11
JP2013123252 2013-06-11
PCT/JP2014/065069 WO2014199913A1 (ja) 2013-06-11 2014-06-06 共重合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773A KR20160018773A (ko) 2016-02-17
KR102174140B1 true KR102174140B1 (ko) 2020-11-04

Family

ID=5202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567A KR102174140B1 (ko) 2013-06-11 2014-06-06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56822B2 (ko)
KR (1) KR102174140B1 (ko)
CN (1) CN105246926B (ko)
WO (1) WO201419991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1498A2 (en) 2009-07-21 2011-01-27 Basf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ndensation polymers via in-reactor chain extension and product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0901A (en) * 1948-06-19 1952-01-01 American Cyanamid Co Copolymer of styrene, glycidyl acrylate, and glycidyl methacrylate
JPS5672009A (en) * 1979-11-09 1981-06-16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Graft vulcanization of elestomer having adsorptive monomer
FR2606775B1 (fr) * 1986-11-14 1989-07-07 Charbonnages Ste Chimique Copolymeres (meth)acryliques autoreticulables a basses temperatures
JPH0770242A (ja) * 1993-09-06 1995-03-14 Daicel Chem Ind Ltd 側鎖にアリル基を有するビニル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A60351C2 (uk) * 1997-11-21 2003-10-15 Акцо Нобель Н.В. Спосіб модифікації поліпропілену
KR100908177B1 (ko) * 2001-03-15 2009-07-16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JP2003057821A (ja) * 2001-08-13 2003-02-28 Showa Highpolymer Co Ltd 感光性樹脂および感光性樹脂組成物
JP5320760B2 (ja) * 2007-07-27 2013-10-23 三菱化学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液晶表示装置
US8378044B2 (en) * 2008-05-09 2013-02-19 Kyoto University Living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using alcohol as catalyst
DE102008059050A1 (de) * 2008-11-26 2010-05-27 Tesa Se Thermisch vernetzende Polyacryla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5636839B2 (ja) * 2010-09-16 2014-12-10 Jsr株式会社 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層間絶縁膜、層間絶縁膜の形成方法及び表示素子
CN102675538B (zh) * 2012-05-23 2014-07-30 江苏明月光电科技有限公司 用于制备高透光率高耐候性光学镜片材料的组合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1498A2 (en) 2009-07-21 2011-01-27 Basf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ndensation polymers via in-reactor chain extension and product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46926A (zh) 2016-01-13
JP6456822B2 (ja) 2019-01-23
KR20160018773A (ko) 2016-02-17
WO2014199913A1 (ja) 2014-12-18
CN105246926B (zh) 2018-04-03
JPWO2014199913A1 (ja)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21889B (zh) 图像显示装置
US9512284B2 (en) Fumaric acid diester-cinnamic acid ester-based copolymer,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film using the same
KR101388818B1 (ko) 신규 중합체
JP2013133375A (ja) 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および光学物品
JP2020100852A (ja) ブロックポリマ
KR20180085946A (ko) 알칼리 수용성 수지, 이의 제조 방법 및 알칼리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에멀젼 중합체
JP2012082317A (ja) 重合体およびその用途
CN106497438A (zh) 一种电容式触摸屏贴合用光热双重固化光学胶粘剂
KR102254087B1 (ko)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KR102174140B1 (ko)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JP6292807B2 (ja) アルカリ可溶性樹脂の製造方法
CN108690149A (zh) 树脂组合物、增粘剂
KR101711309B1 (ko) 공중합체, 단량체 조성물, 수지 용액 및 수지막
JP2019023319A (ja) ブロックポリマ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94396B1 (ko) 액정표시패널의 상, 하판 사이에 스페이서용으로 사용되는감광성 수지 조성물
JP2014118471A (ja) フマル酸ジイソプロピル−ケイ皮酸エステル−アクリレート共重合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
JP6783605B2 (ja) 樹脂組成物
JP4632345B2 (ja) レジスト用共重合体の共重合組成分布の分析方法
JP6484927B2 (ja) ブロックポリマ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057305A (ja) 二重結合含有樹脂の製造方法
JP6484928B2 (ja) ブロックポリマ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2130747A1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剤層含有偏光板
WO2007141800A3 (en) Lanthanum containing polyacrylates for optical and coating applications
JP2013209597A (ja) 反応性重合体溶液の製造方法
JP2001114846A (ja) 重合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硬化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