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708B1 - 영사용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영사용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708B1
KR102173708B1 KR1020130139285A KR20130139285A KR102173708B1 KR 102173708 B1 KR102173708 B1 KR 102173708B1 KR 1020130139285 A KR1020130139285 A KR 1020130139285A KR 20130139285 A KR20130139285 A KR 20130139285A KR 102173708 B1 KR102173708 B1 KR 102173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rame unit
projection
unit
projec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352A (ko
Inventor
조훈
오홍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9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7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6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64Means for mounting individual pictures to be projected, e.g. frame for transpar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영사용 스크린은 영사용 스크린의 전면부 테두리를 구성하는 베젤유닛; 상기 베젤유닛과 결합되며, 영사용 스크린의 뒷면을 형성하는 프레임 유닛; 상하좌우 끝단과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포함하며, 화면이 프로젝션되는 전면부는 상기 프레임 유닛 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공들이 형성된 상하좌우 끝단부는 상기 프레임 유닛의 각 단부에서 접혀 상기 프레임 유닛의 뒷면에 고정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장력이 부가되는 스크린 필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젤유닛과 프레임 유닛은 적어도 4개 이상으로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사용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Screen for projection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사용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PC 화면이나 비디오 화상, 또한 메모리 카드 등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의한 화상 등을 스크린에 투영하는 화상 투영 장치로서의 데이터 프로젝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프로젝터는 광원으로부터 사출(射出)된 광을 DMD(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라는 마이크로 미러 표시 소자, 또는 수정판에 집광(集光)시켜 스크린 상에 컬러 화상을 표시한다.
최근에는 100인치 이상의 대화면 구현이 가능한 레이저 광원을 사용하는 빔 프로젝터로서, TV수신은 물론 데이터 수신을 통한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광원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거리가 50cm 내외인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벽체에 고정되는 스크린 유닛과 광원장치가 포함된 광원모듈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구성할 수 있어, 설치공간의 제약을 줄일 수 있으며, LCD나 OLED 등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100인치 이상의 대화면 구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7325호(2013.08.06. 공개)에서는 벽체에 영사용 스크린을 고정하고, 근접된 위치에 영상 투사 장치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대화면 스크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 변형, 휨, 뒤틀림 현상 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스크린의 후면에 허니콤 형상의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스크린 필름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스크린의 안전성은 확보되지만, 허니콤 형태의 지지부재의 가공이 어려우며, 지지부재의 표면에 라미네이팅 작업 등을 수반한 필름 고정 작업에 따른 제조 원가 증가 등의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베젤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조립성이 향상된 영사용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사용 스크린은 영사용 스크린의 전면부 테두리를 구성하는 베젤유닛; 상기 베젤유닛과 결합되며, 영사용 스크린의 뒷면을 형성하는 프레임 유닛; 상하좌우 끝단과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포함하며, 화면이 프로젝션되는 전면부는 상기 프레임 유닛 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공들이 형성된 상하좌우 끝단부는 상기 프레임 유닛의 각 단부에서 접혀 상기 프레임 유닛의 뒷면에 고정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장력이 부가되는 스크린 필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젤유닛과 프레임 유닛은 적어도 4개 이상으로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젤유닛과 프레임 유닛은 가로부품과 세로부품으로 4분할될 수 있다.
상기 베젤유닛은 스크린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로 평행한 제 1 및 제 2 베젤과, 상기 제 1 및 제 2 베젤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스크린의 세로 방향과 평행인 제 3 및 제 4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은 스크린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로 평행한 제 1 및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스크린의 세로 방향과 평행인 제 3 및 제 4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베젤유닛보다 프레임 유닛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베젤유닛과 마주보는 상하좌우 측에 둥글게 형성된 라운드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젤유닛은 합성 수지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필름부재는 하드코트 층; 상기 하드코트 층 일면에 형성된 틴트층; 상기 틴트층에 형성된 확산층; 상기 확산층의 일면에 형성된 프레넬 렌즈층; 상기 프레넬 렌즈층의 경사면에 형성된 박막 증착 반사층; 및 상기 박막 증착 반사층을 둘러싸는 검정 색상을 가지는 색상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막 증착 반사층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필름부재는 각 모서리 부분이 사각형으로 절취되어 십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통공은 한 쌍의 상호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아일릿(EYELET)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사용 스크린은 일단은 상기 아일릿과 후킹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 유닛의 후방에 고정되어, 상기 스크린 필름부재에 장력을 부가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 스프링(TENSION SPRING)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크린 필름부재의 상하좌우 끝단에 상호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씨알티(CRT, Cathode Ray Tube) 프로젝션 방식,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 프로젝션 방식, 엘코스(LCoS, Liquid Crystal On Silicon) 프로젝션 방식 및 디엘피(DLP, 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션 방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영상 투사 장치; 및 상기 영상 투사 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반사시키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영사용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가의 허니콤 재질의 지지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스크린 부재에 충분한 장력을 부가할 수 있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베젤의 증가 없이 스크린 부재에 충분한 장력을 부가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재질 사용을 통해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스크린 유닛을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시 부품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사용 스크린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필름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사용 스크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분할 가능한 프레임 유닛과 베젤유닛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필름부재와 프레임 유닛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사용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사용 스크린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필름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사용 스크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분할 가능한 프레임 유닛과 베젤유닛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필름부재와 프레임 유닛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측면도 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영사용 스크린(100)은 베젤유닛(110), 프레임 유닛(120) 및 스크린 필름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닥면(B)에 고정된 영상 투사 장치(10)에서 투사된 빛이 결상 되어 화상을 출력한다. 영사용 스크린(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W)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영상 투사 장치(10)는 영상소자 등에서 생성된 영상이 투사렌즈 등을 통과하여 영사용 스크린(100)에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영상 투사 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에 따라, 씨알티(CRT, Cathode Ray Tube) 프로젝션 방식,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 프로젝션 방식, 엘코스(LCoS, Liquid Crystal On Silicon) 프로젝션 방식 및 디엘피(DLP, 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션 방식 등이 있다.
씨알티 프로젝션 방식은 브라운관에서 증폭된 외부기기의 영상 신호를 스크린에 투사하는 방식으로 빔 프로젝터라고도 하며, 씨알티(CRT)가 하나인 1관식과 씨알티(CRT)가 세 개인 3관식이 있다. 또한, 엘씨디 프로젝션 방식은 액정의 전기 광학적 성질을 표시장치에 이용한 것으로, 램프에서 나온 광원(적색, 녹색, 청색)이 각각 투과형 액정패널을 통과한 후 편광 프리즘을 통해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되어 스크린에 확대 투사되는 방식이다. 또한, 엘코스 프로젝션 방식은 기존 액정 표시 장치(LCD) 소자에서 하단의 유리 대신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고 그 위에 전자 회로를 형성한 엘코스(LCoS)(반사형 액정패널) 칩을 사용한 것으로, 램프에서 나온 광원(적색, 녹색, 청색)이 엘코스 칩의 표면에서 반사된 후 편광 프리즘을 통해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되어 스크린에 확대 투사되는 방식이다. 또한, 디엘피 프로젝션 방식은 미국의 티아이(TI, Texas Instrument) 사에서 개발한 디엠디(DMD, Digital Mirror Device) 칩을 이용한 것으로, 램프에서 발생한 빛이 컬러 휠을 통과한 후 디엠디 칩에 반사되어 확대 투사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된 영상 투사 장치(10)는 전술한 프로젝션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밖의 다양한 프로젝션 방식의 영상 투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투사 장치(10)는 전면 투사 방식의 초단초점을 갖는 프로젝터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투사 장치(10)는 영사용 스크린(100)과 가까운 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사용 스크린(100) 부근의 바닥면(B)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영사용 스크린(100)과 일정한 거리와 각도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천장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영사용 스크린(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W)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베젤유닛(110), 프레임 유닛(120) 및 스크린 필름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젤유닛(110)과 프레임 유닛(120)은 분해 조립 가능한 구조이다. 따라서 베젤유닛(110)과 프레임 유닛(120)은 제품 출하 시에는 부품의 형태로 출하가 되어, 설치 현장에서 조립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베젤유닛(110)은 영사용 스크린(100)의 외부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최대한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베젤유닛(110)은 출력되는 화상의 해상도 등에 의해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F-HD(Full HD) 해상도에 적합하도록 가로 세로의 비율이 16:9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이 비율을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시네마 스코프(cinema scope) 화면 비율을 지원할 경우 가로 세로의 비율이 21:9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젤유닛(110)은 제 1 내지 제 4 베젤(110a~110d)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베젤(110a)(110b)은 가로 방향 베젤이고, 제 3 및 제 4 베젤(110c)(110d)은 세로 방향 베젤이다. 따라서, 제 1 베젤(110a)과 제 2 베젤(110b)의 양 끝단에 제 3 및 제 4 베젤(110c)(110d)과 연결되어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유닛(110)은 영사용 스크린(100)의 테두리 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스크린 필름부재(130)의 상하좌우 측 끝단부가 프레임 유닛(120)의 후면에 접히는 부분이 사용자 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는 역할을 수행하여 영사용 스크린(100)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베젤유닛(110)은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내열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베젤유닛(110)은 프레임 유닛(120)과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로 연결될 수도 있고, 끼워 맞춤 결합이 가능한 요철 구조를 마련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임 유닛(120)은 상기 베젤유닛(110)과 조립되며, 상기 베젤유닛(110)과 같이 4분할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 유닛(120)은 제 1 내지 제 4 프레임(120a~120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120a)(120b)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3 및 제 4 프레임(120c)(120d)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내지 제 4 프레임(120a~120d)의 연결부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 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제 1 및 제 2 프레임(120a)(120b)과 제 3 및 제 4 프레임(120c)(120d)이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 유닛(120)은 알루미늄과 같이 경량 고강도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부품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유닛(120)은 스크린 필름부재(130)를 사용자가 보지 못하는 후면 측에서 탄성부재(125)를 이용하여 장력을 부가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 유닛(120)은 제 1 내지 제 4 프레임(120a~120d)의 조립을 통해 형성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근에는 사용자는 보지 못하는 빈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스크린 필름부재(130)의 상하좌우 4면을 모두 잡아 당겨 장력을 부가하기 때문에, 중앙 부근에서는 상기 스크린 필름부재(130)를 지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 유닛(120)을 알루미늄으로 형성하면, 화재 발생 시에도 불길이 번질 위험이 없으므로 불연성이 우수하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화학적 손상에도 안정성이 높아 기온 및 기압이 다양한 조건의 환경에서도 물리, 화학적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장기간 영사용 스크린(100)을 사용시 알루미늄이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백화현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 유닛(120)은 불소 코팅 등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크린 필름부재(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및 좌우 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 유닛(120)에 감겨 고정될 수 있도록 십자(+)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된 단부 측에는 복수 개의 통공(131)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131)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부재 (140a)(140b)가 가압 결합(press fit)되어 아일릿(eyelet)(140)(도 7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아일릿(140)은 통공(13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13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 측 끝단부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데, 각각의 통공(131)들은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측과 하측,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통공(131)들은 서로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탄성부재(125)에 의해 부가되는 장력에 의해 스크린 필름부재(130)가 팽팽하게 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크린 필름부재(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코트 층(a), 틴트(Tint)층(b), 확산층(c), 프레넬 렌즈층(d), 박막 증착 반사층(e) 및 색상 코팅층(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트 층(a)은 상기 프레임 유닛(120)과 마주보는 면에서 밀착될 수 있으며, 틴트층(b), 확산층(c), 프레넬 렌즈층(d), 박막 증착 반사층(e) 및 색상 코팅층(f)은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색상 코팅층(f)은 상기 프레넬 렌즈층(d)의 경사면에 형성된 박막 증착 반사층(e)을 둘러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 투사 장치(10)로부터 출력된 영상은 상기 색상 코팅층(f)을 통과하여 순차적으로 입사될 수 있다. 상기 박막 증착 반사층(e)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색상 코팅층(f)은 상기 박막 증착 반사층(e)의 산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색상 코팅층(f)은 검정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박막 증착 반사층(e)을 상기 프레넬 렌즈층(d)의 경사면에 형성시킴으로써 밝은 공간에서도 휘도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면 반사 효과로 휘도가 약 5.6배 향상되며, 피크 게인(Peak Gain)은 약 5.2배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 필름부재(130)에 형성된 통공(131)은 금속 또는 수지재질과 같이 필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아일릿(140)에 의해 보호된다. 이때, 상기 아일릿(140)에는 탄성부재(125)의 일단이 후킹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볼 수 없는 프레임 유닛(120)의 후면 측에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프레임 유닛(120)과 결합 및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아일릿(140)과 후킹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 필름부재(130)를 탄성부재(12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잡아 당길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스크린 필름부재(130)는 탄성부재(12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팽팽하게 잡아 당겨 지면서, 이미지가 투사되는 전면부 측이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 유닛(120)의 끝단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게 가공된 라운드 단부(121)를 포함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으로 형성된 스크린 필름부재(130)의 각 날개부(130a~130d)에 형성된 통공(131a~131d)이 프레임 유닛(120)의 후단으로 휘어져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125)에 의해 부가되는 장력이 스크린 필름부재(130)에 작용함에 있어 상기 라운드 단부(121)가 방해되지 않기 때문에, 항상 스크린 필름부재(130)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장 스프링(tension spring)이 사용된 실시예를 도 7에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탄성부재(125)는 상기 스크린 필름부재(130)에 장력을 부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125)의 탄성 복원력의 크기는 상기 스크린 필름부재(130)의 재질 특성에 따라 가변 될 수 있으며, 온도에 따른 팽창률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영사용 스크린(100)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온도, 습도 기타 환경 요인에 의한 열 변형, 휨, 뒤틀림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강성, 평활성, 경량성, 불연성 및 내구성 등 제반물성이 우수하다.
특히, 베젤유닛(110)과 프레임 유닛(120)을 4분할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면서, 스크린 필름부재(130)를 프레임 유닛(120)의 후면에 감아 고정하기 때문에, 베젤유닛(110)의 크기는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출하 시에 베젤유닛(110)과 프레임 유닛(120) 및 스크린 필름부재(130)를 별도 부품으로 출하하고, 현장에서 작업 기사가 간단히 이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배송 및 이송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영사용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간 시청이 가능하고,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영사용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고, 미려한 외관 디자인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영상 투사 장치 100; 영사용 스크린
110; 베젤유닛 120; 프레임 유닛
121; 라운드 단부 125; 탄성부재
130; 스크린 필름부재 131; 통공
140a; 제 1 부재 140b; 제 2 부재
140; 아일릿

Claims (11)

  1. 영사용 스크린의 전면부 테두리를 구성하는 베젤유닛;
    상기 베젤유닛의 내측에 결합되며, 영사용 스크린의 뒷면을 형성하는 프레임 유닛;
    상하좌우 끝단과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을 포함하며, 화면이 프로젝션되는 전면부는 상기 프레임 유닛의 전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공들이 형성된 상하좌우 끝단부는 상기 프레임 유닛의 각 단부에서 접혀 상기 프레임 유닛의 뒷면에 고정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장력이 부가되는 스크린 필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젤유닛과 프레임 유닛은 적어도 4개 이상으로 분리되며,
    상기 베젤유닛은, 상기 스크린 필름부재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끝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 유닛에 결합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의 후면에는 타 영역보다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후면부가 결합되는 홈이 배치되는 영사용 스크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유닛과 프레임 유닛은 가로부품과 세로부품으로 4분할되는 영사용 스크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유닛은 스크린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로 평행한 제 1 및 제 2 베젤과, 상기 제 1 및 제 2 베젤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스크린의 세로 방향과 평행인 제 3 및 제 4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은 스크린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로 평행한 제 1 및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스크린의 세로 방향과 평행인 제 3 및 제 4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베젤유닛보다 프레임 유닛이 더 크게 형성되는 영사용 스크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베젤유닛과 마주보는 상하좌우 측에 둥글게 형성된 라운드 단부;를 포함하는 영사용 스크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유닛은 합성 수지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영사용 스크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필름부재는,
    하드코트 층;
    상기 하드코트 층 일면에 형성된 틴트 층;
    상기 틴트층에 형성된 확산층;
    상기 확산층의 일면에 형성된 프레넬 렌즈층;
    상기 프레넬 렌즈층의 경사면에 형성된 알루미늄 재질의 박막 증착 반사층; 및
    상기 박막 증착 반사층을 둘러싸는 검정 색상을 가지는 색상 코팅층을 포함하는 영사용 스크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필름부재는,
    각 모서리 부분이 사각형으로 절취되어 십자(+)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관통공은 한 쌍의 상호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아일릿(EYELET)이 결합되는 영사용 스크린.
  8. 제 7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아일릿과 후킹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 유닛의 후방에 고정되어, 상기 스크린 필름부재에 장력을 부가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필름부재의 상하좌우 끝단에 상호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영사용 스크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 스프링(TENSION SPRING)인 영사용 스크린.
  10. 씨알티(CRT, Cathode Ray Tube) 프로젝션 방식,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 프로젝션 방식, 엘코스(LCoS, Liquid Crystal On Silicon) 프로젝션 방식 및 디엘피(DLP, 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션 방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영상 투사 장치; 및
    상기 영상 투사 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반사시키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영사용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의 후면과, 상기 프레임 유닛의 후면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영사용 스크린.
KR1020130139285A 2013-11-15 2013-11-15 영사용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3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285A KR102173708B1 (ko) 2013-11-15 2013-11-15 영사용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285A KR102173708B1 (ko) 2013-11-15 2013-11-15 영사용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352A KR20150056352A (ko) 2015-05-26
KR102173708B1 true KR102173708B1 (ko) 2020-11-03

Family

ID=53391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285A KR102173708B1 (ko) 2013-11-15 2013-11-15 영사용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7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341B1 (ko) * 2015-12-31 2017-01-03 (주)세경하이테크 터치 윈도우용 데코필름
CN108873587A (zh) * 2018-08-27 2018-11-23 广州市加影视听设备有限公司 一种多档位投影幕布拉紧机构
KR102319879B1 (ko) * 2019-01-29 2021-10-29 신상철 클라우드 운영체제 기반의 베젤 가변형 스마트 디바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7737A (ja) * 2002-08-16 2004-03-11 Ppp Design Corp プロジェクタ用スクリーン
JP4168509B2 (ja) * 1999-02-10 2008-10-22 凸版印刷株式会社 背面投射スクリーン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6818A (ja) * 2006-03-24 2007-10-04 Sony Corp 背面投射型表示装置及び透過型スクリーン
KR20110045515A (ko) * 2009-10-27 2011-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120019140A (ko) * 2010-08-25 2012-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30087325A (ko) * 2012-01-27 2013-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사용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8509B2 (ja) * 1999-02-10 2008-10-22 凸版印刷株式会社 背面投射スクリーン
JP2004077737A (ja) * 2002-08-16 2004-03-11 Ppp Design Corp プロジェクタ用スクリ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352A (ko)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4558B2 (en) Back face transmission screen
US8210693B2 (en)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projection optical system
JP4582213B2 (ja)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US7522339B2 (en) High contrast projection systen
JP6007757B2 (ja) プロジェクター
JP2008076524A (ja) 映像表示装置
KR102173708B1 (ko) 영사용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4465862B2 (ja) 大画面表示装置
JP2001005103A (ja) 背面投射型スクリーンとその製造方法及び背面投射型ディスプレイ
JP5542637B2 (ja) 背面投射型映像表示装置
US6848793B2 (en) Projector apparatus
US7413315B2 (en) Integrated optical assembly and method for projection displays
KR101777856B1 (ko) 프로젝터용 스크린
KR20130087325A (ko) 영사용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268863A (ja) 投影装置
JP6105293B2 (ja) 光学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投影型映像表示装置
WO2004008243A1 (ja) 背面投写型スクリーン及び背面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H11327048A (ja) 背面投写型表示装置
KR102221282B1 (ko) 영사용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334207A (ja) 反射型スクリーン
JP4962601B2 (ja)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3237819B2 (ja) 投射型液晶表示装置
JP2016009129A (ja) 画像表示装置
KR102017225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투광커버 고정구조
JP2008170574A (ja) スクリーン、およびリア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