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524B1 - 신발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신발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524B1
KR102173524B1 KR1020197004899A KR20197004899A KR102173524B1 KR 102173524 B1 KR102173524 B1 KR 102173524B1 KR 1020197004899 A KR1020197004899 A KR 1020197004899A KR 20197004899 A KR20197004899 A KR 20197004899A KR 102173524 B1 KR102173524 B1 KR 102173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bstrate
fibers
strand portion
t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1520A (ko
Inventor
아론 바텔
리샤 더프리
에밀리 파리나
리샌드레 폴렛
스테판 이 게스트
헬렌 허치슨
샘 레이시
젱 루오
레이첼 엠 세비지
크리스찬 알렉산더 스타인벡
애덤 더스
크리시 예트맨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248,059 external-priority patent/US10448704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5/248,051 external-priority patent/US10842224B2/en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7/043170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17893A1/en
Publication of KR20190031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by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26Composites, e.g. carbon fibre or aramid fibre; the sole, one or more sole layers or sole part being made of a composit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43B13/127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the midsole being multi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6Concave end portions, e.g. with a cavity or cut-ou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7Sole and hee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25Composite materials, e.g. material with a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2Football boots or shoes, i.e. for soccer, football or rugby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6Running shoes; Track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toes, i.e. the phalang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8Recesses or holes filled with support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43B9/02Footwear stitched or nailed through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1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00Foot or last measuring devices; Measuring devices for shoe parts
    • A43D1/08Measuring devices for sho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5/00Devices for gluing shoe parts
    • A43D25/20Arrangements for activating or for accelerating setting of adhesives, e.g. by using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054Producing footwear by compression moulding, vulcanising or the lik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2S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4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6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2S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32B7/09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by stitching, needling or sew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71/12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 A63B2071/12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for the thig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71/12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 A63B2071/1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for the kne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71/12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 A63B2071/125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for the shin, e.g. shin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2260/023Two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6Damping, energ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는 기재, 제1 스티칭을 통해 기재에 부착된 제1 스트랜드 부, 제1 층 상에 배치된 제2 스트랜드 부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는 상기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기재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제2 스트랜드 부는 상기 제1 층 상에 제2 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기재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 플레이트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6년 7월 20일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364,594호, 2016년 7월 20일자 출원 된 미국 임시 출원 제62/364,585호, 2016년 8월 26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5/248,051호, 2016년 8월 26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5/248,059호 및 2017년 3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임시 출원 제62/474,03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문헌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러닝 운동 중에 신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신발 플레이트 및 폼을 갖는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이 섹션은 반드시 선행 기술일 필요는 없는 본 개시 내용에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한다.
신발 물품은 통상 갑피 및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기 갑피는 밑창 구조체를 수용,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갑피는 레이스, 스트랩 또는 다른 패스너와 협조하여 발 주위의 갑피의 피팅을 조정할 수 있다. 발 바닥면에 근접한 갑피의 바닥부는 밑창 구조체에 부착된다.
밑창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지면과 갑피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층형 구조를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의 하나의 층은 내마모성 및 지면과의 정지 마찰성을 제공하는 아웃솔을 포함한다. 아웃솔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부여하고 지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고무 또는 기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밑창 구조체의 다른 층은 아웃솔과 갑피 사이에 배치된 미드솔을 포함한다. 미드솔은 발에 완충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지면 반력을 감쇠시킴으로써 발을 완충시키도록 가해진 하중 하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중합체 발포 재료로 형성된다. 미드솔은 아웃솔에 대향하는 일면 상에는 바닥면을, 그리고 발 바닥면의 프로파일을 따르도록 형상화될 수 있는 반대면 상에 풋베드(footbed)를 형성할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갑피의 바닥부에 인접한 보이드 내에 위치된 편안함을 향상시키는 인솔 또는 깔창도 포함할 수 있다.
발의 중족지(metatarsophalangeal: MTP) 관절은 달리기 운동 중 족배 굴곡(dorsiflexion)을 통해 구부러지면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이 지면에서 밀려날 때까지 발바닥 굽힘을 통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MTP 관절은 달리기 운동에 흡수되는 에너지를 거의 되돌려 내지 않으므로 달리기 운동 중에 에너지 소모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밑창 구조체 내에 종방향의 강성을 갖는 평탄하고 단단한 판을 내장하는 것은 전체 강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판의 사용은 MTP 관절이 족배 굴곡을 통해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MTP 관절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줄이기 위해 밑창 구조체를 보강하지만, 평판의 사용은 발목의 족저 굴곡근(plantarflexor)에 대한 기계적 요구를 불리하게 증가시켜 특히 장거리에 걸친 달리기 운동 중에 발의 효율을 감소시키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도면들은 단지 선택된 구성들의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개시 내용의 범주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신발 물품의 분해도로서, 아웃솔의 내면과 미드솔의 바닥면 사이의 공동 내의 완충 부재 상에 배치된 신발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3-3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로서, 아웃솔의 내면과 미드솔의 바닥면 사이의 공동 내의 완충 부재 상에 배치된 신발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신발 물품의 분해도로서, 아웃솔의 내면과 미드솔의 바닥면 사이의 공동 내의 제1 완충 부재와 제2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된 신발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6-6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아웃솔의 내면과 미드솔의 바닥면 사이의 공동 내의 제1 완충 부재와 제2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된 신발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신발 물품의 분해도로서, 아웃솔의 내면과 미드솔의 바닥면 사이의 공동 내에 수용된 완충 부재와 신발의 후족부의 완충 부재 내에 매립되고 신발의 전족부의 내면 상에 배치된 신발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9-9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아웃솔의 내면과 미드솔의 바닥면 사이의 공동 내에 수용된 완충 부재와 신발의 후족부의 완충 부재 내에 매립되고 신발의 전족부의 내면 상에 배치된 신발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신발 물품의 분해도로서, 아웃솔의 내면과 미드솔의 바닥면 사이의 공동 내에 수용된 완충 부재와 신발의 전족부의 완충 부재 내에 매립되고 신발의 후족부에서 미드솔의 바닥면과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된 신발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의 12-12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아웃솔의 내면과 미드솔의 바닥면 사이의 공동 내에 수용된 완충 부재와 신발의 전족부의 완충 부재 내에 매립되고 신발의 후족부에서 미드솔의 바닥면과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된 신발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신발 물품의 분해도로서, 아웃솔의 내면과 미드솔의 바닥면 사이의 공동 내에 수용된 완충 부재와 신발의 전족부의 완충 부재 내에 매립되고 신발의 후족부에서 아웃솔의 내면과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된 신발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도 13의 15-15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아웃솔의 내면과 미드솔의 바닥면 사이의 공동 내에 수용된 완충 부재와 신발의 전족부의 완충 부재 내에 매립되고 신발의 후족부에서 아웃솔의 내면과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된 신발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물품에 사용되는 신발 플레이트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신발 플레이트의 측면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신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19는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물품에 사용되는 신발 플레이트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신발 플레이트의 측면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신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22는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물품에 사용되는 신발 플레이트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신발 플레이트의 측면도이고;
도 24는 도 22의 신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25는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물품에 사용되는 신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26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물품의 전족부에 사용되는 신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27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물품에 사용되는 신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28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물품에 사용되는 신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29는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물품에 사용되는 신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30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물품에 사용되는 신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31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32-32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신발의 전족부에서 아웃솔과 미드솔 사이에 배치되고 신발의 후족부에서 완충 부재와 미드솔 사이에 배치된 신발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3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33의 34-34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아웃솔과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된 신발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5는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36은 도 35의 36-36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완충 부재와 미드솔 사이에 배치된 신발 플레이트를 노출시키도록 아웃솔과 완충 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7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38은 도 37의 신발 물품의 분해도로서, 아웃솔의 내면과 미드솔의 바닥면 사이의 공동 내의 완충 부재 상에 배치된 유체 충전된 블래더(bladder)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9는 도 37의 39-39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아웃솔의 내면과 미드솔의 바닥면 사이의 공동 내의 완충 부재 상에 배치된 유체 충전된 블래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0a~40e는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라 신발 플레이트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프리프레그(prepreg) 섬유 시트를 보여주며;
도 41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라 신발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프리프레그 섬유 시트의 적층체의 분해도이고;
도 42a~42e는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라 신발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섬유 스트랜드의 다양한 층을 보여주며;
도 43은 본 개시 네용의 원리에 따라 신발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섬유 스트랜드 층의 분해도이고;
도 44는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몰드의 사시도로서, 신발 플레이트로 형성되기 전에 섬유 적층체와 함께 예시된 도면이고;
도 45는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라 신발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몰드의 사시도로서, 성형된 신발 플레이트와 함께 예시된 도면이고;
도 46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기재의 평면도이고;
도 47은 도 46의 기재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는 제1 토우의 섬유의 평면도이고;
도 48은 도 46의 기재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기재 상에 대응하는 제1, 제2 및 제3 층을 형성하는 제1, 제2 및 제3 토우의 섬유를 포함하는 자수된 프리폼의 평면도이고;
도 49는 도 48의 자수된 프리폼의 분해도로서, 제1, 제2 및 제3 토우의 섬유 및 기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0은 제1 스티칭을 통해 기재에 부착된 도 47의 제1 토우의 섬유의 확대도이고;
도 51은 도 50의 51-51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기재의 상부면에 제1 토우의 섬유를 부착하는 제1 스티칭 및 상기 섬유는 비-중합체 섬유 및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2는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라 기재에 부착되어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토우의 평면도이고;
도 53은 도 52의 일부의 상세도로서, 제1 토우의 인접한 세그먼트를 연결하기 위해 기재의 주변 에지에 근접하게 배치된 고리형 부분을 포함하는 토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4는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라 기재에 부착되어 기재 상에 대응하는 제1, 제2 및 제3 층을 형성하는 제1, 제2 및 제3 토우의 섬유와 기재를 포함하는 자수된 프리폼의 분해도이고;
도 55는 도 54의 기재에 부착된 제1, 제2 및 제3 토우의 섬유와 기재의 병렬 평면도이고;
도 56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라 기재의 상부면에 배치된 제1 토우의 섬유 및 제2 토우의 섬유를 포함하는 프리폼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57은 도 56의 57-57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기재의 외주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 제1 토우의 섬유에 대한 외부 보강 영역을 제공하는 제2 토우의 섬유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8은 도 56의 57-57 선을 따라 취한 대체 단면도로서, 제1 토우의 섬유를 위한 외부 보강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제2 토우의 섬유를 대체하는 중합체 재료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9는 도 56의 57-57 선을 따라 취한 대체 단면도로서, 제1 토우의 섬유를 위한 외부 보강 영역을 제공하는 접힘부를 포함하는 기재의 외주 에지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60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라 몰드가 개방될 때 몰드의 상부 몰드부와 몰드의 하부 몰드부 사이에 위치된 기재에 부착된 섬유의 토우를 포함하는 자수된 프리폼을 예시한 몰드의 개략도이고;
도 61은 도 60의 몰드의 개략도로서, 몰드가 폐쇄될 때 상부 몰드부와 하부 몰드부 사이의 자수된 프리폼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2는 도 60의 몰드의 개략도로서, 몰드가 개방되고, 자수된 프리폼이 성형되고 경화되어 상부 몰드부와 하부 몰드부에 의해 부여된 만곡부 및 실질적으로 편평한 부분을 갖는 실질적으로 강성의 신발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대응하는 참조 번호는 도면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구성들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예시적인 구성들은 본 개시 내용이 철저해지도록, 그리고 본 개시 내용의 범주를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완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특정 구성 요소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의 예들과 같은 특정한 세부 구성들이 본 개시 내용의 구성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특정 세부 구성은 반드시 채용될 필요는 없고, 예시적인 구성들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체화될 수도 있고, 특정 상세들 및 예시적인 구성들은 본 개시 내용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한 예시적인 구성들을 설명할 목적을 위한 것이고,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문맥상 분명히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지정되고 지정되지 않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형태들도 또한 포함하도록 의도될 수도 있다. "포함하다", "구비하다", 및 "가지다"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이고, 그에 따라 특징들, 단계들, 작동들, 요소들, 및/또는 구성 요소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단계들, 작동들, 요소들, 구성 요소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 단계들, 프로세스들, 및 작동들은, 수행의 순서로서 구체적으로 식별되지 않는 한, 논의 또는 예시된 특정 순서에서의 이들의 수행을 반드시 요구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단계들이 채용될 수도 있다.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 "위에" 있는 것, 이들"에 결합되는" 것, 이들"에 연결되는" 것, 이들"에 부착되는" 것, 또는 이들"에 커플링되는" 것으로서 지칭될 때, 그것은 다른 요소 또는 층 바로 위에 있거나, 결합되거나, 연결되거나, 부착되거나, 또는 커플링될 수도 있거나, 또는 개재 요소들 또는 층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요소가 다른 요소 또는 층 "바로 위에" 있는 것, 이들"에 직접 결합되는" 것, 이들"에 직접 연결되는" 것, 이들"에 직접 부착되는" 것, 또는 이들"에 직접 커플링되는" 것으로서 지칭될 때, 어떠한 개재 요소들 또는 층들도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단어들(예를 들어, "사이에" 대 "바로 사이에", "인접한" 대 "바로 인접한" 등)은 유사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연관되고 나열된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의 임의의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요소들, 구성 요소들, 구역들, 층들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요소들, 구성 요소들, 구역들, 층들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요소, 구성 요소, 구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구역, 층 또는 섹션으로부터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제2", 및 다른 수치 용어들과 같은 용어들은, 문맥상 명백히 나타내지 않는 한, 시퀀스 또는 순서를 암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아래에 논의되는 제1의 요소, 구성 요소, 구역, 층 또는 섹션은 예시적인 구성들의 교시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제2의 요소, 구성 요소, 구역, 층 또는 섹션으로 불릴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양태는 갑피를 갖는 신발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밑창 구조체는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과 상기 갑피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와, 오목부와 상기 갑피 사이에 배치된 제1 완충층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밑창 구조체의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밑창 구조체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etatarsophalageal: 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본 개시 내용의 구현예는 다음의 선택적인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밑창 구조체는 오목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연결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의 접합부에서 동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과 갑피 사이에 배치된 제2 완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완충층이 아웃솔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3 완충층은 힐 영역 내에 배치된다. 제3 완충층은 힐 영역으로부터 전족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또한 플레이트와 갑피 사이 및/또는 아웃솔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전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전 챔버는 제2 완충층 및 제3 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의 완충층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에 위치된다. 곡률 반경의 중심은 MTP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일정한 곡률 반경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일정한 곡률 반경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의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40%만큼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아웃솔은 지면 접촉면 및 해당 지면 접촉면보다 아웃솔의 반대측에 형성된 내부면을 포함한다. 내부면은 플레이트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내부면은 오목부에 인접하게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양태는 갑피를 가지는 신발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밑창 구조체는 아웃솔과, 해당 아웃솔과 상기 갑피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와, 만곡부와 상기 갑피 사이에 배치된 제1 완충층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하고, 밑창 구조체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만곡부를 포함한다.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이 양태는 다음의 선택적인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된다.
일부 예에서, 밑창 구조체는 만곡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연결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의 접합부에서 동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과 갑피 사이에 배치된 제2 완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완충층이 아웃솔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완충층은 힐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완충층은 힐 영역으로부터 전족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밑창 구조체는 플레이트와 갑피 사이 및/또는 아웃솔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전 챔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전 챔버는 제2 완충층과 제3 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의 완충층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에 위치된다. 곡률 반경의 중심은 MTP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일정한 곡률 반경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일정한 곡률 반경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40%만큼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아웃솔은 지면 접촉면 및 해당 지면 접촉면보다 아웃솔의 반대쪽에 형성된 내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면은 플레이트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내부면은 만곡부에 인접하게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갑피를 가지는 신발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밑창 구조체는 아웃솔과, 해당 아웃솔과 상기 갑피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와, 만곡부와 상기 갑피 사이에 배치된 제1 완충층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하고, 밑창 구조체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 원형 곡률을 가지는 만곡부를 포함한다.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이 양태는 다음의 선택적인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밑창 구조체는 만곡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진다.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연결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의 접합부에서 동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과 갑피 사이에 배치된 제2 완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완충층이 아웃솔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완충층은 힐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3 완충층은 힐 영역으로부터 전족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플레이트와 갑피 사이 및/또는 아웃솔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전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전 챔버는 제2 완충층과 제3 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의 완충층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에 위치된다. 원형 곡률의 중심은 MTP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원형 곡률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원형 곡률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40%만큼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아웃솔은 지면 접촉면 및 해당 지면 접촉면보다 아웃솔의 반대쪽에 형성된 내부면을 포함한다. 내부면은 플레이트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내부면은 만곡부에 인접하게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밑창 구조체는 제1 완충층과는 플레이트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2 완충층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양태는 갑피를 가지는 신발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밑창 구조체는 아웃솔과, 해당 아웃솔과 상기 갑피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와, 오목부와 상기 갑피 사이에 배치된 제1 완충층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밑창 구조체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본 개시 내용의 구현예들은 다음의 선택적인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밑창 구조체는 오목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연결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의 접합부에서 동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과 갑피 사이에 배치된 제2 완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완충층이 아웃솔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3 완충층은 힐 영역 내에 배치된다. 제3 완충층은 힐 영역으로부터 전족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플레이트와 갑피 사이 및/또는 아웃솔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전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전 챔버는 제2 완충층과 제3 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의 완충층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에 위치된다. 곡률 반경의 중심은 MTP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일정한 곡률 반경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일정한 곡률 반경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40%만큼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아웃솔은 지면 접촉면 및 해당 지면 접촉면보다 아웃솔의 반대쪽에 형성된 내부면을 포함한다. 내부면은 플레이트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내부면은 오목부에 인접하게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갑피를 가지는 신발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밑창 구조체는 아웃솔과, 해당 아웃솔과 상기 갑피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와, 만곡부와 상기 갑피 사이에 배치된 제1 완충층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하고, 밑창 구조체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만곡부를 포함한다.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이 양태는 다음의 선택적인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된다.
일부 예에서, 밑창 구조체는 만곡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연결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의 접합부에서 동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과 갑피 사이에 배치된 제2 완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완충층이 아웃솔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완충층은 힐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완충층은 힐 영역으로부터 전족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밑창 구조체는 플레이트와 갑피 사이 및/또는 아웃솔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전 챔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전 챔버는 제2 완충층과 제3 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의 완충층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에 위치된다. 곡률 반경의 중심은 MTP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일정한 곡률 반경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일정한 곡률 반경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40%만큼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아웃솔은 지면 접촉면 및 해당 지면 접촉면보다 아웃솔의 반대쪽에 형성된 내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면은 플레이트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내부면은 만곡부에 인접하게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갑피를 가지는 신발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밑창 구조체는 아웃솔과, 해당 아웃솔과 상기 갑피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와, 만곡부와 상기 갑피 사이에 배치된 제1 완충층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하고, 밑창 구조체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 원형 곡률을 가지는 만곡부를 포함한다.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이 양태는 다음의 선택적인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밑창 구조체는 만곡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진다.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연결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의 접합부에서 동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과 갑피 사이에 배치된 제2 완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완충층이 아웃솔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완충층은 힐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3 완충층은 힐 영역으로부터 전족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플레이트와 갑피 사이 및/또는 아웃솔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전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전 챔버는 제2 완충층과 제3 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의 완충층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에 위치된다. 원형 곡률의 중심은 MTP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원형 곡률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원형 곡률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40%만큼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아웃솔은 지면 접촉면 및 해당 지면 접촉면보다 아웃솔의 반대쪽에 형성된 내부면을 포함한다. 내부면은 플레이트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내부면은 만곡부에 인접하게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밑창 구조체는 제1 완충층과는 플레이트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적어도 아웃솔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 완충층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양태는 기재, 기재에 부착되고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는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1 층 상에 배치되어 제2 층을 형성하는 제2 스트랜드 부를 가지는 신발 물품을 위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를 스티칭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지르고 제1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1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해 기재에 부착된다.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제1 스트랜드 부를 통해 연장되고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하는 제2 스티칭을 통해 기재에 부착된다.
일부 구성에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2 부착 위치와 제2 스트랜드 부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한 연속적인 스트랜드의 부분일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제1 토우의 섬유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제2 토우의 섬유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거의 동일한 개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층에 제1 보이드를 형성한다. 기재는 제1 보이드 내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층에 제2 보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보이드는 제1 보이드와 정렬되어 제2 층에서 기재를 노출시키거나 제2 보이드는 제1 보이드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는 기재에 제1 형상으로 부착되고, 제2 스트랜드 부는 제1 층에 제2 형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제1 형상은 제2 형상과 대략 동일하다. 다른 구성에서, 제1 형상은 제2 형상과 상이하다.
제1 스티칭 및 제2 스티칭은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티칭 및 제2 스티칭은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스티칭 및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진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스티칭은 제1 부착 위치들 사이에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지그재그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스티칭은 제2 부착 위치 사이에서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지그재그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양태는 외주 에지를 가지는 기재, 기재에 부착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1 층 상에 배치된 제2 스트랜드 부를 가지는 신발 물품을 위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는 기재의 외주 에지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어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는 제1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제1 세그먼트는 서로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스트랜드 부는 기재의 외주 에지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어 제1 층 상에 제2 층을 형성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제2 세그먼트는 제1 세그먼트와 수렴하고 서로 인접하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 중 적어도 하나는 연속 스트랜드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한 연속 스트랜드의 부분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고, 다른 예에서는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다.
일부 구성에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1 토우의 섬유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2 토우의 섬유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수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거나,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스트랜드 부는 기재의 외주 에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루프부를 포함하고, 제1 루프부는 인접한 제1 세그먼트들을 연결한다. 또한, 제2 스트랜드 부는 기재의 외주 에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인접한 제2 세그먼트들을 연결하는 제2 루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층에 제1 보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재는 제1 보이드 내에 노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층에 제2 보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보이드는 제1 보이드와 정렬되어 제2 층에서 기재를 노출시키거나, 제2 보이드는 제1 보이드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제1 세그먼트는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로 기재에 적용되고, 제2 세그먼트는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와 다른 제2 각도로 제1 층에 적용된다. 이들 구성에서, 제3 스트랜드 부가 제2 층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기재의 외주 에지를 따라 2곳의 다른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어 제2 층 상에 제3 층을 형성하는 제3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세그먼트는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와 수렴할 수 있고 서로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3 세그먼트는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 및 제2 각도와 다른 제3 각도로 제2 층에 적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스티칭을 통해 기재에 부착되고,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스티칭을 통해 기재에 부착된다. 제1 스티칭 및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티칭 및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일부 예에서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진다. 제1 스티치 및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티칭은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지그재그형일 수 있고 제1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할 수 있고, 제2 스티칭은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지그재그형일 수 있고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부착 위치는 제1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는 제2 층과 제2 부착 위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티칭은 제1 스트랜드 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제1 층 및 제2 층은 이방성이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신발 물품을 위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플레이트는 기재 및 기재에 부착되어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는 제1 스트랜드 부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층에 제1 보이드를 형성하여 제1 보이드 내에서 기재를 노출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플레이트는 제1 층 상에 배치되어 제2 층을 형성하는 제2 스트랜드 부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한 연속적인 스트랜드의 부분일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 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 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 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 1 스트랜드 부 및 제 2 스트랜드 부는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일부 구성에서,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층에 제2 보이드를 형성한다. 제2 보이드는 제2 층에서 기재를 노출시키도록 제1 보이드와 정렬될 수 있다. 제2 보이드는 제1 보이드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형상으로 기재에 적용되고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형상으로 제1 층에 적용된다. 제1 형상은 제2 형상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제1 형상은 제2 형상과 다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스티칭에 의해 기재에 부착된다. 상기 스티칭은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티칭은 상기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스티칭은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스티칭은 기재 상에 위치된 부착 위치 사이의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지그재그형으로 연장된다.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우의 섬유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는 제1 층 상에 배치되어 제2 층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제2 토우의 섬유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개수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신발 물품을 위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플레이트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형성하는 기재,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하나에서 기재에 부착되고 대향되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하나에 제1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제1 패턴을 포함한다. 제2 스트랜드 부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에서 기재에 부착되고 대향하며 제1 패턴과 다른 제2 패턴을 포함한다. 제2 스트랜드 부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에 제1 성능 특성과 상이한 제2 성능 특성을 제공한다.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하나의 형상을 형성하는 제1 에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의 형상을 형성하는 제2 에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에지는 제2 에지로부터 이격 및 분리될 수 있다. 제1 에지는 제2 에지와 접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하고 연속적인 스트랜드의 부분일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 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우의 섬유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제2 토우의 섬유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개수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길이를 가진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 2 스트랜드 부는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보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기재가 보이드 내에 노출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진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하나는 신발 물품의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 중 하나에 위치된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는 신발 물품의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 중 다른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스티칭을 통해 기재에 부착되고,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스티칭을 통해 기재에 부착된다. 제1 스티치 및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티칭 및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스티칭 및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진다. 제1 스티칭은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지그재그형일 수 있고 제1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1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할 수 있다. 제2 스티칭은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지그재그형일 수 있고 제2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신발 물품을 위한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플레이트는 기재 및 제1 스트랜드 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는 전족 영역과 힐 영역을 가진다. 제1 스트랜드 부는 기재에 부착되고, 전족 영역에 배치된 제1 단부와 힐 영역에 배치된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중족 영역에서 서로 교차하는 다수의 세그먼트는 전족 영역과 힐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연속 스트랜드로 형성된다. 제1 스트랜드 부는 복수의 세그먼트의 각각의 제1 단부를 결합하는 제1 루프부 및 복수의 세그먼트의 각각의 제2 단부를 결합하는 제2 루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세그먼트, 제1 루프부 및 제2 루프부는 제1 스트랜드 부를 연속적인 구조로 제공하도록 협력한다. 제1 스트랜드 부는 신발 물품의 갑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플레이트는 제1 스트랜드 부와 신발 물품의 갑피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인장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인장 스트랜드는 복수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복수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제1 스트랜드 부에 부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는 갑피를 조여진 상태와 이완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레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장 스트랜드는 레이스와 다수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을 결합할 수 있다.
기재는 그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클리트(cleat)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스트랜드 부는 기재의 표면에 부착되고 클리트 부재의 일부 주위로 연장된다. 제1 스트랜드 부는 기재의 표면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클리트 부재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는 기재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복수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는 클리트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싼다.
일부 예에서, 복수의 세그먼트는 중족 영역에서 함께 직조된다.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우의 섬유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는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기재는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 내에 노출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제1 다발의 복수의 세그먼트 및 제2 다발의 복수의 세그먼트는 서로 협력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를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는 제1 다발과 제2 다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양태는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도록 기재에 제 1 스트랜드 부를 스티칭하는 단계 및 제2 층을 형성하도록 제1 층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스티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를 스티칭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지르고 제1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1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하는 제1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스트랜드 부를 스티칭하는 단계는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지르고 제1 스트랜드 부를 통해 연장되고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하는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제1 층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스티칭하는 단계는 제2 부착 위치와 제2 스트랜드 부 사이에 제1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연속 스트랜드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를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2 스트랜드 부를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것은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것은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길이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대략 동일한 길이일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스티칭하는 단계는 제1 층에 제1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기재를 제1 보이드 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스티칭하는 단계는 제2 층에 제2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이드는 제2 보이드와 제1 보이드를 정렬하여 제2 층에서 기재를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2 보이드를 제1 보이드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스티칭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제1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층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스티칭하는 단계는 제2 스트랜드 부를 제1 층에 제2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형상으로 그리고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와 제2 스트랜드 부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형상으로 그리고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와 제2 스트랜드 부를 다른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스티칭을 적용하는 것과 상기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수지로 형성된 스티칭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스티칭을 적용하는 것과 상기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스티칭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티칭을 적용하고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스티칭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는 제1 부착 위치 사이에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제1 스티칭을 지그재그형으로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는 제2 부착 위치 사이에서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제2 스티칭을 지그재그형으로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 및 제2 스트랜드 부 모두에 결합시키도록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에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기재,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양태는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기재에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제1 층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시키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의 제1 세그먼트를 기재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1 세그먼트는 기재의 외주 에지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어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한다. 제1 세그먼트는 서로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1 층 상에 제2 층을 형성하도록 기재의 외주 에지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 스트랜드 부의 제2 세그먼트를 제1 층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세그먼트는 제1 세그먼트와 수렴하고 서로 인접하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방법은 기재에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시키는 단계 및 제1 층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배치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가 연속 스트랜드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에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시키고 제1 층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단일의 연속 스트랜드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다른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토우의 섬유로 된 제1 스트랜드 부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제1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토우의 섬유로 된 제2 스트랜드 부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제2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에 대해 기재의 외주 에지에 근접하게 배치된 제1 루프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루프부는 인접한 제1 세그먼트들을 연결시킨다. 또한, 방법은 제2 스트랜드 부에 대해 기재의 외주 에지에 근접하게 배치된 제2 루프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루프부는 인접한 제2 세그먼트들을 연결시킨다.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제1 층에 제1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법은 기재을 제1 보이드 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층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층에 제2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2 보이드를 제1 보이드와 정렬시켜 제2 층에서 기재를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2 보이드를 제1 보이드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 상에 제1 스트랜드 부의 제1 세그먼트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로 제1 세그먼트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의 제2 세그먼트를 제1 층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2 세그먼트를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와 다른 제2 각도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2 층 상에 제3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기재의 외주 에지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어 제2 층 상에 제3 층을 형성하는 제3 스트랜드 부의 제3 세그먼트를 제2 층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세그먼트는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와 수렴할 수 있고 서로 인접하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세그먼트를 제2 층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3 세그먼트를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 및 제2 각도와 상이한 제3 각도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제1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스트랜드 부를 제1 층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티칭을 적용하고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티칭을 적용하고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는 제1 부착 위치 사이에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제1 스티칭을 지그재그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는 제2 부착 위치 사이에서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제2 스티칭을 지그재그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는 제2 스티칭을 제1 스트랜드 부를 통해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 및 제2 스트랜드 부 모두에 결합시키도록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에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기재,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시켜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층에 제1 보이드를 형성하여 제1 보이드 내에서 기재를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2 층을 형성하도록 제1 층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연속 스트랜드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다른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길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거의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2 층에 제2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제2 보이드를 제1 보이드와 정렬시켜 제2 층에서 기재를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보이드를 상기 제1 보이드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제1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2 스트랜드 부를 제1 층 상에 제2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형상으로 적용하고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와 제2 스트랜드 부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형상으로 적용하고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와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는 수지로 형성된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는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는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는 기재 상에 위치된 제1 부착 위치 사이에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스티칭을 지그재그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제1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2 층을 형성하도록 제1 층 상에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 제2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제2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신발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기재 상에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하나에서 상기 기재에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기재에 제2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시키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대향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상기 하나의 영역에 제1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제1 패턴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대향하는 제1 패턴과 상이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의 영역에 상기 제1 성능 특성과 다른 제2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제2 패턴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상기 하나의 영역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제1 에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영역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제2 에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에지를 제2 에지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에지를 상기 제2 에지에 연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연속 스트랜드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제1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제2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길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대략 동일한 길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기재를 보이드 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상이한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대략 동일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성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하나를 신발 물품의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 중 하나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를 신발 물품의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 중 다른 하나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방법은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수지로 형성된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제1 스티칭을 지그재그 배치하고 제1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1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제2 스티칭을 지그재그 배치하고 제2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제2 스티칭을 지그재그 배치하고 제2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신발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도록 가요성 기재에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기재의 형상을 변경하도록 제1 몰드면 상에 상기 기재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기재를 상기 제1 몰드면의 형상에 일치시키도록 상기 제1 스트랜드 부 및 기재에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를 신발 물품에 통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기재 상에 제2 층을 형성하도록 기재에 제2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제2 스트랜드 부를 제1 스트랜드 부에 인접하게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제2 스트랜드 부의 적어도 일부를 제1 스트랜드 부 상에 중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 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연속 스트랜드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제1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제2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성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길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대략 동일한 길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층 및 제2 층 중 적어도 하나에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재를 상기 보이드 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대략 동일한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층 및 제2 층을 상이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층 및 제2 층을 대략 동일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재를 제1 몰드면의 형상에 일치시키는 단계는 기재에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수지로 형성된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에 합체된 수지 재료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에 액체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기재 및 제1 스트랜드 부에 대해 진공 성형 및 압축 성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액체 재료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재료의 경화 단계는 열경화성 재료의 경화를 포함할 수 있다. 열경화성 재료를 경화시키는 단계는 에폭시, 폴리우레탄, 중합 가능한 조성물 및 예비 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스트랜드 부에 액체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는 일단 경화된 액체 재료의 연성을 증가시키도록 액체 재료에 중합체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액체 재료에 중합체를 첨가하는 단계는 고무 및 블록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기재를 열가소성 필름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열가소성 필름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열가소성 필름에 부착시키는 단계는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 및 기재에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결합시키도록 열가소성 필름 및 열가소성 스티칭을 열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기재 및 제1 스트랜드 부에 대해 진공 성형 및 압축 성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신발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도록 제1 기재에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와 제2 기재 상에 제2 층을 형성하도록 제2 기재에 제2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제1 기재 상에 제2 기재를 위치시켜 기재 스택을 형성하는 단계, 기재 스택을 제1 몰드면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기재 스택을 제1 몰드면의 형상에 일치시키도록 기재 스택에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 및 기재 스택을 신발 물품에 합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에 합체된 수지 재료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에 대해 액체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기재 스택에 대해 진공 성형 및 압축 성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액체 재료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재료의 경화는 열경화성 재료의 경화를 포함할 수 있다. 열경화성 재료를 경화시키는 단계는 에폭시, 폴리우레탄, 중합 가능한 조성물 및 예비 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에 대해 액체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는 일단 경화된 액체 재료의 연성을 증가시키도록 액체 재료에 중합체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액체 재료에 중합체를 첨가하는 단계는 고무 및 블록 공중 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상기 방법은 제1 기재 및 제2 기재 중 적어도 하나를 열가소성 필름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기재에 부착시키는 단계는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 스택에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1 기재를 결합시키도록 제1 기재의 열가소성 필름 및 제1 스티칭을 열성형하는 단계 및 제2 스트랜드 부 및 제2 기재를 결합시키도록 제2 기재의 열가소성 필름 및 제2 스티칭을 열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수지로 형성된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 중 적어도 하나에 합체된 수지 재료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기재 스택에 대해 진공 성형 및 압축 성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제1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제2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성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길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대략 동일한 길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기재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기재에 부착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층 및 제2 층 중 적어도 하나에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기재를 상기 보이드 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대략 동일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층 및 제2 층은 상이한 두께로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1 층 및 제2 층을 대략 동일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재 스택을 제1 몰드면의 형상에 일치시키는 단계는 기재 스택에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신발 물품을 위한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전족 영역과 힐 영역을 가지는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 제1 스트랜드 부를, 전족 영역에 배치된 제1 단부와 힐 영역에 배치된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가지는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 및 전족 영역과 힐 영역 사이에 배치된 중족 영역에서 복수의 세그먼트를 교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연속 스트랜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에 연속적인 구조를 제공하도록 제1 루프부를 통해 복수의 세그먼트의 각각의 제1 단부를 결합시키고 제2 루프부를 통해 복수의 세그먼트의 각각의 제2 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를 신발 물품의 갑피로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와 신발 물품의 갑피 사이에서 인장 스트랜드를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스트랜드 부와 갑피 사이에서 인장 스트랜드를 연장시키는 단계는 인장 스트랜드를 통해 제1 스트랜드 부와 갑피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복수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복수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인장 스트랜드를 제1 스트랜드 부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갑피를 조여진 상태와 이완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레이스와 복수의 세그먼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사이에서 인장 스트랜드를 연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이스와 복수의 세그먼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와의 사이에서 인장 스트랜드를 연장시키는 단계는 인장 스트랜드를 레이스와 다수의 세그먼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방법은 기재에 대해 그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클리트(cleat)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의 표면에 부착시키고 제1 스트랜드 부를 클리트 부재의 일부 주위로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의 표면에 부착하고 적어도 하나의 클리트 부재를 제1 스트랜드 부로 둘러싸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의 표면에 부착하고 복수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로 클리트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방법은 복수의 세그먼트를 중족 영역에서 함께 직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를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세그먼트 중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기재를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 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방법은 제1 다발의 복수의 세그먼트 및 제2 다발의 복수의 세그먼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기재를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 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의 상세는 첨부된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 설명된다. 다른 양태, 특징 및 장점은 상세한 설명과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분명할 것이다.
달리기 운동 중에, 지면으로부터 밀어내는 힘을 제공하는 신발의 적용 지점은 신발의 전족부에 위치된다. 신발의 적용 지점은 발의 중족지(MTP) 관절에 대향된다. 운동 선수의 발목 관절과 밀어내는 힘을 제공하는 작용점의 동작 라인 사이의 거리는 발목 주위의 응력 중심간 길이를 정의한다. 발목 족저 굴곡근(예, 종아리 근육 힘줄 유닛)에 대한 기계적 요구는 응력 중심간 거리의 길이와 운동 선수가 제어하는 밀어내기 힘의 크기를 곱하는 것으로 결정된 발목에서의 밀어냄 모멘트를 기초로 할 수 있다. 경질의 평탄한 신발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경질의 평탄한 플레이트가 지면과의 작용점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기인하여 발목에 기계적 요구를 증가시킨다. 그 결과, 발목 관절에서 응력 중심간 거리와 밀어냄 모멘트가 증가한다. 본 명세서의 구현은 MTP 관절에 대향하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경질의 신발 플레이트를 제공함으로써 발목에서 밀어냄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해 발목 관절로부터 응력 중심간 거리의 길이를 단축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신발 물품(10)이 제공되고,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된 밑창 구조체(200)를 포함한다. 신발 물품(10)은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부분은 전족부(12), 중족부(14) 및 힐 부분(16)을 포함할 수 있다. 전족부(12)는 신발(10)의 사용 중에 발의 중족지골을 마디 뼈와 연결하는 관절과 발가락에 대응할 수 있다. 전족부(12)는 발의 MTP 관절에 대응할 수 있다. 중족부(14)는 발의 아치 영역에 대응할 수 있고, 힐 부분(16)은 신발 물품(10)의 사용 중에 종골(calcaneus bone)을 포함하는 발의 후방 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신발(10)은 신발(10)의 양 측부에 대응하고 상기 부분(12, 14, 16)을 통해 연장되는 내측부 및 외측부(18, 20)를 포함할 수 있다.
갑피(100)는 신발 물품(10)의 사용 중에 밑창 구조체(200) 상에 지지되도록 발을 수용 및 고정하는 내부 보이드(102)를 형성하는 내부 표면을 포함한다. 힐 부분(16)의 발목 개구(104)는 내부 보이드(102)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목 개구(104)는 발을 보이드(102) 내에 고정하고 발을 내부 보이드(102)에 대해 진입 및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발을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하나 이상의 패스너(106)가 갑피(100)를 따라 연장되어 발 주위의 내부 보이드(102)의 맞춤을 조정하는 동시에 그로부터 발의 진입 및 제거를 용인한다. 갑피(100)는 아일렛 및/또는 패스너(106)를 수용하는 직물 또는 메시 루프와 같은 다른 결합부와 같은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패스너(106)는 레이스, 스트랩, 코드, 고리 체결부(hook-and-loop)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종류의 패스너를 포함할 수 있다.
갑피(100)는 내부 보이드(102)와 패스너(106) 사이에서 연장되는 텅부(tongue portion)(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갑피(100)는 내부 보이드(102)를 형성하도록 함께 스티칭 또는 접합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갑피의 적절한 재료는 섬유, 발포재, 가죽 및 합성 피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는 내구성, 통기성, 내마모성, 유연성 및 안락성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선택하고 배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밑창 구조체(200)는 적층 구조로 배치된 아웃솔(210), 완충 부재(250) 및 미드솔(220)을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200)((예, 아웃솔(210), 완충 부재(250) 및 미드솔(220))는 종축(L)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아웃솔(210)은 신발 물품(10)의 사용 중에 지면과 결합되고, 미드솔(220)은 갑피(100)에 부착되고, 완충 부재(250)는 그 사이에 배치되어 미드솔(220)과 아웃솔(210)을 분리한다. 미드솔(220)은 통상적인 스트로벨(strobel)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로브" 및 "미드솔(midsole)"이라는 용어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요소(220)를 지칭할 때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250)는 아웃솔(210)에 대향하는 바닥면(252)과, 바닥면(252)보다 완충 부재(250)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되고 미드솔(220)에 대향하는 상부면(254)을 형성한다. 상부면(254)은 내부 보이드(102) 내의 발의 바닥면(예, 발바닥)의 프로파일에 일치하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밑창 구조체(200)는 신발(10)의 안락성을 향상시키도록 발의 발바닥을 수용하도록 갑피(100)의 내부 보이드(102)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인솔(260)(도 2 및 도 3) 또는 깔창과 같은 추가적인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측벽(230)은 완충 부재(25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완충 부재(250)와 미드솔/스트로브(220)를 분리하여 그 사이에 공동(240)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250)의 측벽(230) 및 상부면(254)은 내부 보이드(102)가 그 안에 발을 수용할 때 발을 완충 부재(250) 상에 발을 유지 및 지지하도록 협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230)은 보행 또는 달리기 운동을 수행할 때 신발(10)의 사용 중에 발을 구속하기 위해 완충 부재(250)의 형상화된 상부면(254)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림(rim)을 형성할 수 있다. 림은 완충 부재(250)가 미드솔(220)에 부착될 때 미드솔(220) 둘레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달리기 운동 중에 지면과의 결합을 위해 신발(10)의 롤링시 발의 롤링을 향상시키면서 MTP 관절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키도록 완충 부재(250)의 상부면(254) 및 미드솔(220) 아래에 신발 플레이트(300)가 배치된다. 신발 플레이트(300)는 밑창 구조체(200)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되는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플레이트(300)의 길이는 밑창 구조체(200)의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12, 14, 16)을 통해 연장된다. 다른 예에서, 플레이트(300)의 길이는 전족부(12) 및 중족부(14)를 통해 연장하고, 힐 부분(16)에는 없다.
일부 예에서, 신발 플레이트(300)는 플레이트(300)의 전체 표면적에 걸쳐 균일한 부분 강성(예, 인장 강도 또는 굴곡 강도)을 포함한다. 플레이트의 강성은 플레이트의 일방향의 강성이 다른 방향과는 다른 이방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300)는 플레이트(300)에 걸쳐 구배 강성 및 구배 로드 경로를 부여하기 위해 서로 이방성인 적어도 2개의 섬유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플레이트(300)는 횡방향 강성(예, 종축(L)의 횡방향)보다 큰 종방향 강성(예, 종축(L)의 방향)을 제공한다. 일례로, 횡방향 강성은 종방향 강성보다 적어도 10% 낮다. 다른 예에서, 횡방향 강성은 종방향 강성의 약 10% 내지 약 20%이다. 일부 구성에서, 플레이트(300)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일층 이상의 섬유 토우 및/또는 섬유층으로 형성된다. 특정 구성에서, 섬유는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 및 유리 섬유의 조합을 포함한다. 섬유 토우는 기재에 부착될 수 있다. 섬유 토우는 스티치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섬유 토우 및/또는 섬유층은 열경화성 중합체 및/또는 열가소성 중합체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00)는 종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횡방향으로 인장 강도 또는 휨 강도를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300)의 강성은 착용자의 힘줄 유연성, 종아리 근육 강도 및/또는 MTP 관절 유연성을 기초로 특정 착용자를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300)의 강성은 운동 선수의 주행 운동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플레이트(300)는 단방향 테이프의 하나 이상의 층/파일로 형성된다. 일부 예에서, 스택의 각 층은 아래에 배치된 층과 상이한 배향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방향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플레이트(300)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재료는 적어도 70 기가 파스칼(GPa)의 영률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플레이트(300)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플레이트(300)의 두께는 약 0.6 ㎜ 내지 약 3.0 ㎜의 범위이다. 일례로, 플레이트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1.0 ㎜와 동일하다. 다른 구현예에서, 플레이트(300)의 두께는 불균일하여, 플레이트(300)는 전족부(12) 및 힐 부분(16)의 두께보다 밑창 구조체(200)의 중족부(14)에서 더 큰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아웃솔(210)은 지면 결합면(212) 및 대향 내부면(214)을 포함할 수 있다. 아웃솔(210)은 갑피(100)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완충 부재(250)의 바닥면(252)은 아웃솔의 내부면(214)에 부착되고, 측벽(230)은 완충 부재(250)의 둘레로부터 연장되어 미드솔220) 또는 갑피(100)에 부착된다. 도 1의 예는 전족부(12)의 선단에 근접한 갑피(100)에 부착된 아웃솔(210)을 예시한다. 아웃솔(210)은 일반적으로 신발 물품(10)의 사용 중에 지면에 대해 내마모성 및 견인력을 제공한다. 아웃솔(210)은 내구성과 내마모성을 부여하는 한편, 지면과의 견인력을 향상시키는 일종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는 아웃솔(21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미드솔/스트로브(220)는 바닥면(222) 및 바닥면(222)보다 미드솔(220)의 반대측에 배치된 풋베드(footbed)(22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칭(226) 또는 접착제에 의해 미드솔(220)이 갑피(100)에 고정될 수 있다. 풋베드(224)는 발의 바닥면(예, 발바닥)의 프로파일을 따르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바닥면(222)은 완충 부재(250)를 수용하기 위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아웃솔(210)의 내부면(214)과 대향할 수 있다.
도 2는 아웃솔(210), 아웃솔(210)의 내부면(214) 상에 배치된 완충 부재(250) 및 완충 부재(250)의 상부면(254)과 미드솔(220)의 바닥면(222) 사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경질인 신발 플레이트(300)를 예시한 신발 물품(10)의 분해도를 제공한다. 완충 부재(250)는 아웃솔(210)과 미드솔(220) 사이의 빈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차지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 부재(250)와 미드솔(220)의 바닥면(222) 사이의 공동(240)은 신발 플레이트(300)를 수용하는 빈 공간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완충 부재(250)와 상기 플레이트(300)는 상기 미드솔(220)의 바닥면(222)과 상기 아웃솔(210)의 내부면(214) 사이의 공간의 전체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완충 부재(250)는 미드솔(220)과 아웃솔 210)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완충 부재(250)는 신발 플레이트(300)를 상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표면 프로파일을 갖는 중합체 발포체 슬래브에 대응한다. 완충 부재(250)는 인가된 하중 하에서 탄성적으로 압축하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발포 재료에 적절한 중합체 재료의 예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및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발포체는 또한 단일 중합체 재료 또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PEBA) 공중합체, EVA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및/또는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2종 이상의 중합체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250)는 약 0.05 g/㎤ 내지 약 0.20 g/㎤ 범위의 밀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완충 부재(250)의 밀도는 약 0.1 g/㎤이다. 또한, 완충 부재(250)는 약 11 쇼어 A 내지 약 50 쇼어 A 범위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완충 부재(250)를 형성하는 일종 이상의 재료는 적어도 60%의 에너지 반환을 제공하는 데 적합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지면-반응력에 응답하는 신발(10)의 완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밑창 구조체(200)의 적어도 일부(12, 14, 16)에서 신발 플레이트(300)와 완충 부재(250) 사이에 유체-충전 블래더(400)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유체-충전 블래더(400)는 가압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고 내부에 가압 유체를 유지하기 위한 내구성 있는 밀봉 장벽을 제공하는 내부 보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가압 유체는 공기, 질소, 헬륨 또는 육플루오르화황과 같은 고밀도 가스일 수 있다. 유체-충전 블래더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액체 또는 겔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유체-충전 블래더(400)는 완충 부재(250)와 아웃솔(210) 사이 또는 플레이트(300)와 미드솔(220) 사이에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은 힐 부분(16)에서 생기는 지면과의 초기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밑창 구조체(200)의 힐 부분(16)에 있는 유체-충전 블래더(400)를 예시한다. 다른 구성에서, 하나 이상의 유체-충전 블래더(400)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밑창 구조체(200)의 중족부(14) 및/또는 전족부(12)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완충 부재(250) 및 유체-충전 블래더(400)는 밑창 구조체(200)가 하중 하에 있을 때 기능 및 완충 특성을 향상 시키도록 협력할 수 있다.
신발 플레이트(300)의 길이는 제1 단부(301)와 제2 단부(30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단부(301)는 밑창 구조체(200)의 힐 부분(16)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단부(302) 밑창 구조체(200)의 전족부(12)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부(301)는 플레이트(300)의 "최후방 지점"으로도 지칭될 수 있는 반면에, 제2 단부(302)는 플레이트의 "최전방 지점"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신발 플레이트(300)의 길이는 완충 부재(250)의 길이보다 작다. 신발 플레이트(300)는 밑창 구조체(200)의 종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두께 및 외측(18)과 내측(20) 사이에서 연장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00)의 길이, 폭 및 두께는 완충 부재(250)의 상부면(254)과 미드솔의 바닥면(222)에 의해 형성된 공동(240)을 실질적으로 점유할 수 있고, 밑창 구조체(200)의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12, 14, 16)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예(예를 들어, 도 35)에서, 신발 플레이트(300)의 외주 에지는 신발(10)의 외측 및/또는 내측(18, 20)을 따라 관찰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3-3 라인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는 완충 부재(250), 미드솔(220), 아웃솔(210)과 신발 플레이트(300) 사이에 배치된 완충 부재(250) 사이에 배치된 신발 플레이트(300)를 예시한다. 인솔(260)은 발 밑의 내부 공동(102) 내의 풋베드(22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힐 영역(16) 내에 유체-충전 블래더(400)를 수용하도록 감소된 두께를 형성하는 완충 부재(250)를 예시한다. 일부 예에서, 완충 부재(250)는 블래더(400)를 봉지하지만, 다른 예에서, 완충 부재(250)는 단지 블래더(400)를 수용하기 위한 절단부를 형성한다. 일부 구성에서, 플레이트(300)의 일부는 유체-충전 블래더(400)와 직접 접촉한다. 완충 부재(250)는 밑창 구조체(200)의 전족부(12)에서보다 힐 부분(16)에서 더 큰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아웃솔(210)과 미드솔(220)을 분리하는 갭 또는 거리는 밑창 구조체(200)의 종축(L)을 따르는 방향으로 힐 부분(16)으로부터 전족부(12) 측으로 감소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완충 부재(250)의 상부면(254)은 매끄럽고, 신발 플레이트(300)의 표면 프로파일과 일치하도록 형상화된 표면 프로파일을 가져서, 신발 플레이트(300) 및 완충 부재(250)는 서로 동평면이다. 완충 부재(250)는 밑창 구조체의 전족부(12)의 두께를 약 7 ㎜~약 20 ㎜의 범위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전족부(12)에서 완충 부재(250)의 두께는 약 12 ㎜이다.
일부 구성, 예를 들어, 도 33 및 도 34의 신발 플레이트(10f)에서, 트랙 이벤트용 스파이크, 즉 "트랙 슈즈"를 가지는 신발은 플레이트(300)와 아웃솔(210) 사이에서 전족부(12) 내에 약 8 ㎜의 감소된 두께를 가지는 완충 부재(250f)(도 34)를 합체시킨다. 이들 구성에서, 완충 부제(250)는 전족부(12) 내에서는 플레이트(300)와 아웃솔(210) 사이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동일한 쿠션 부재(250) 또는 상이한 완충 부재와 관련된 완충 재료는 플레이트(300)와 미드솔(220) 사이에 배치되어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12, 14, 16)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신발 플레이트(300)는 밑창 구조체(200)의 전족부(12) 및 중족부(14)를 통해 연장되는 만곡된 영역(310)을 포함한다. "만곡부", "오목부" 및 "원형부"라는 용어는 만곡된 영역(310)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신발 플레이트(300)는 플레이트(300)의 만곡된 영역(310)으로부터 최후방 지점(301)까지 힐 부분(16)을 통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만곡된 영역(310)은 MTP 지점(320)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만곡부(322) 및 MTP 지점(320)의 타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후방 만곡부(324)를 형성하도록 MTP 지점(320) 주위의 곡률 반경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전방 만곡부(322)는 플레이트(300)의 MTP 지점(320)과 최전방 지점(AMP)(302)(예를 들어, 제2 단부(302)) 사이에서 연장되는 반면, 후방 만곡부(324)는 만곡된 영역(310)과 평탄한 영역(312)의 접합부에 배치된 후방 지점(326)과 MTP 지점(320) 사이에서 연장된다. 일부 예에서, 전방 만곡부(322) 및 후방 만곡부(324)는 MTP 지점(320)에 대해 경면 대칭되는 동일한 곡률 반경과 관련된다. 다른 예에서, 전방 만곡부(322) 및 후방 만곡부(324)는 각각 상이한 곡률 반경과 관련된다. 일부 구성에서, 후방 만곡부(324)의 일부는 전방 만곡부(322)와 동일한 곡률 반경과 관련된다. 따라서, 만곡부(322, 324)는 각각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대응하는 곡률 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곡률 반경은 서로 적어도 2% 정도 상이하다. 만곡된 영역(322, 324)에 대한 곡률 반경은 200 ㎜ 내지 약 400 ㎜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전방 만곡부(322)는 만곡부(322, 324)가 동일한 곡률 반경을 형성하고 동일한 꼭짓점을 공유하도록 후방 만곡부(324)의 곡률을 지속하는 곡률 반경을 가진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플레이트는 플레이트(300)의 후방 만곡부(324)를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에 연결시키는 곡률 반경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이란 용어는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5도 내의, 즉 지면에 평행한 5도 내의 평탄한 영역(312)을 지칭한다.
MTP 지점(320)은 아웃솔(210)의 내부면(214)에 최근접한 신발 플레이트(300)의 지점이고, 플레이트(300)의 후방 지점(326) 및 AMP(302)는 MTP 지점(320)보다 아웃솔(210)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된다. 일부 구성에서. 최후방 지점(301)과 AMP(302)는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일부 예에서, 플레이트(300)의 MTP 지점(320)은 발이 갑피(100)의 내부 보이드(102) 내에 수용될 때 발의 MTP 관절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다른 예에서, MTP 지점(320)은 MTP 관절보다 밑창 구조체(200)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더 먼 위치에 배치된다. 만곡된 영역(310)의 전방 만곡부 및 후방 만곡부(322, 324)는 각각 플레이트(300)에 대해 발의 MTP 관절에 근접한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키고 달리기 운동 중 발의 롤링을 향상시켜 응력 중심간 거리를 감소시키고 발목 관절에 대한 변형을 완화시키는 종방향 강성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AMP(302) 및 후방 지점(326)은 위치 높이(H)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MTP 지점(320) 위로 위치된다. 여기서, 위치 높이(H)는 밑창 구조체(200)의 종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MTP(320)로부터 연장된다. 높이(H)는 약 3 ㎜ 내지 약 28 ㎜의 범위이다. 다른 예에서, 높이(H)는 약 3 ㎜ 내지 약 17 ㎜의 범위이다. 일례로, 높이(H)는 약 17 ㎜와 동일하다. 따라서, 전방 만곡부(322) 위에 위치하는 발가락은 MTP 지점(320)으로부터 AMP(302)를 향해 아웃솔(210)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전방 만곡부(322)로 인해 상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방 만곡부(322)의 길이(LA)는 후방 만곡부(324)의 길이(Lp)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LA 및 Lp는 각각 MTP 지점(320)과 AMP(302) 및 후방 지점(326) 중 대응하는 하나 사이의 종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라인을 따라 측정된다. 다시 말해, 길이(LA 및 Lp)는 MTP 지점(320)과 AMP(302) 및 후방 지점(326) 중 대응하는 하나 사이의 거리와 각각 관련된다. 일부 구성에서, LA 및 Lp는 각각 플레이트(300)의 전체 길이의 약 30%이고, 평탄한 영역(312)의 길이는 플레이트(300)의 전체 길이의 나머지 40%를 차지한다. 다른 구성에서, LA는 플레이트(300)의 전체 길이의 약 25%~약 35%이고, Lp는 플레이트(300)의 전체 길이의 약 25%~약 35%이고, 평탄한 영역(312)의 길이는 그 나머지이다. 다른 구성에서, LA, Lp 및 평탄한 영역(312)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만곡된 영역(310)의 곡률 반경을 변화시키면, 최전방 지점(302) 및 후방 지점(306)의 길이(LA 및 Lp) 및/또는 높이(H)가 MTP 지점(320)에 대해 변화된다. 예를 들어, 곡률 반경을 감소시키면, MTP 지점(320)과 AMP(302) 사이의 각도가 증가할뿐만 아니라 MTP 지점(320) 위의 AMP(302)의 높이(H)도 증가하게 된다. 만곡부(322, 324)가 각각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는 구성에서, MTP 지점(320)으로부터의 대응하는 길이(La 및 Lp) 및/또는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만곡된 영역(310)의 곡률 반경은 상이한 신발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신발(10)의 의도된 용도에 따라 변할 수 있고 및/또는 착용자 착용 기준으로 발의 해부학적 특징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MTP 지점(320)은 AMP(302)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에 위치된다. 만곡된 영역(310)의 곡률 반경의 중심은 MTP 지점(320)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만곡된 영역(310)(예 오목부)은 AMP(302)로부터 MTP 지점(320)을 지나 연장되는 일정한 곡률 반경과 관련된다. 이러한 예에서, 일정한 곡률 반경은 AMP(302)로부터 MTP 지점(320)을 지나 AMP(302)로부터의 플레이트(300)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40% 연장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된 밑창 구조체(200a)를 포함하는 신발 물품(10a)을 제공한다. 신발 물품(10a)에 대한 신발 물품(10)과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의 실질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을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변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체(200a)는 적층 구성으로 배열된 아웃솔(210), 제1 완충 부재(250a), 신발 플레이트(300), 제2 완충 부재(270) 및 미드솔/스트로브(220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종축(L)을 형성하는 밑창 구조체(200a)(예, 아웃솔(210a), 완충 부재(250a, 270), 플레이트(300) 및 미드솔(220a))를 예시하는 신발 물품(10a)의 분해도를 제공한다. 아웃솔(210)은 지면 결합면(212)보다 아웃솔(210)의 반대 측면 상에 배치된 내부면(214)을 포함한다. 미드솔(220a)은 풋베드(224)보다 미드솔(220a)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아웃솔(210)의 내부면(214)에 대향되는 바닥면(222a)을 포함한다.
제1 완충 부재(250a), 신발 플레이트(300) 및 제2 완충 부재(270)는 내부면(214)과 바닥면(222a) 사이에 배치되어 미드솔(220a)과 아웃솔(210)을 분리시킨다. 예를 들어, 제1 완충 부재(250a)는 아웃솔(210)의 내부면(214)에 의해 수용된 바닥면(252)과 바닥면(252)보다 완충 부재(250a)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미드솔(220a)에 대향되어 상부에 신발 플레이트(300)를 지지하는 상부면(254a)을 포함한다. 제2 완충 부재(270)는 제1 완충 부재보다 신발 플레이트(300)의 반대 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 완충 부재(270)는 신발 플레이트(300)에 대향하는 바닥면(272)과, 바닥면(272)보다 제2 완충 부재(270)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미드솔(220a)의 바닥면(222a)에 대향하는 상부면(274)을 포함한다. 상부면(274)은 내부 보이드(102) 내에서 발의 바닥면(예, 발바닥)의 프로파일과 일치하도록 윤곽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의 완충 부재(250)에서와 같이, 제2 완충 부재(270)는 제2 완충 부재(27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측벽(230a)을 형성할 수 있다. 측벽(230a)은 제2 완충 부재(270)가 미드솔(220a)에 부착될 때 미드솔(220a)의 외주 둘레로 연장되는 림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제1 및 제2 완충 부재(250a, 270) 각각의 총 두께는 도 1~3의 신발 물품(10)의 완충 부재(250)의 두께와 동일하다. 제1 완충 부재(250)의 두께는 제2 완충 부재(27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1 완충 부재(250a)와 제2 완충 부재(270)는 신발 플레이트(300)가 아웃솔(210)의 내부면(214) 및 미드솔(220a)의 바닥면(222a) 모두로부터 이격되도록 완충 부재 사이에 신발 플레이트(300)를 매립 또는 개재하도록 사용된다. 따라서, 완충 부재(250a, 270) 및 플레이트(300)는 미드솔/스트로브(220a)의 바닥면(222a)과 아웃솔(210)의 내부면(214) 사이의 공간의 전체 부피를 실질적으로 점유할 수 있다.
완충 부재(250a, 270)는 미드솔(220)과 아웃솔(210)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완충 부재(250a, 270)는 도 1~3의 완충 부재(250)를 형성하는 동일한 일종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중합체 발포 슬래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250a, 270)는 EVA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PEBA 공중합체 및/또는 TPU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완충 부재(250a, 270)는 상이한 완충 특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완충 부재(250a)는 플레이트(300)가 지면과 접촉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가된 하중 하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고, 제2 완충 부재(270)는 지면 반응력을 감쇠시키고 착용자의 발에 대한 편안함을 향상시키도록 발에 대해 소정 레벨의 소프트한 완충을 제공할 수 있다. 밑창 구조체(200a)는 밑창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12, 14, 16)에서 신발 플레이트(300)와 제1 완충 부재(250a) 사이에 유체-충전 블래더(400)를 결합하여 지면 반응력에 반응하여 신발(10)의 완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래더(400)는 공기, 질소, 헬륨, 육플루오르화황, 또는 액체/겔과 같은 가압 유체로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00) 및 유체-충전 블래더(400)에 의해 분리된 완충 부재(250a, 270)는 협력하여 적용 하중이 변화함에 따라 변화하는 신발 제품(10a)에 대한 구배적 완충을 제공할 수 있다(즉, 하중이 커질수록 완충 부재(250a, 270)는 더 압축되고, 따라서 신발이 더 많이 반응한다). 완충 부재(250a, 270)는 약 0.05 g/㎤ 내지 약 0.20 g/㎤의 범위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완충 부재(250a, 270)의 밀도는 대략 0.1 g/㎤이다. 또한, 완충 부재(250a, 270)는 약 11 쇼어 A 내지 약 50 쇼어 A의 범위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완충 부재(250a, 270)를 형성하는 일종 이상의 재료는 적어도 60%의 에너지 반환을 제공하기에 적절할 수 있다.
신발 플레이트(300)는 완충 부재(250a, 27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는 제1 단부(301)와 제2 단부(302)(예, AMP(302))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를 형성한다. 플레이트(300)의 길이, 폭 및 두께는 제1 완충 부재(250)의 상부면(254)과 제2 완충 부재(270)의 바닥면(272) 사이의 공간의 부피를 실질적으로 점유할 수 있고, 밑창 구조체(200a)의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12, 14, 16)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플레이트(300)는 밑창 구조체(200a)의 전족부(12) 및 중족부(14)를 통해 연장되지만 힐 부분(16)에는 없다. 일부 예에서. 신발 플레이트(300)의 외주 에지는 신발(10a)의 내측 및/또는 외측(18, 20)을 따라 관찰 가능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완충 부재(250a)의 상부면(254) 및 제2 완충 부재(270)의 바닥면(272)은 매끄럽고 신발 플레이트(300)의 대향 측면의 표면 프로파일과 일치하도록 형상화된 표면 프로파일을 포함함으로써 신발 플레이트(300)는 각각의 완충 부재(250a, 270)와 동평면으로 결합된다.
도 1~3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신발 플레이트(300)는 이방성이거나 아닐 수 있는 균일한 부분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300)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섬유층 및/또는 섬유 토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00)는 종축(L)을 가로지르는(예를 들어, 수직) 방향의 강성보다 밑창 구조체의 종방향을 따라 더 큰 두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300)의 횡방향 강성은 플레이트(300)의 종방향 강성보다 적어도 10% 작거나, 종방향(예, 종축(L)에 평행한)을 따른 플레이트(300)의 두께의 약 10~20%일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300)는 플레이트(300)를 가로질러 약 0.6 ㎜~약 3.0 ㎜의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균일 한 두께 또는 플레이트를 가로질러 변하는 불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레이트(300)의 중족부(14)의 두께는 전족부(12) 및 힐 부분(16)의 두께보다 크다.
도 6은 도 4의 6-6 라인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를 제공하며, 제1 및 제2 완충 부재(250a, 270) 사이에 배치된 신발 플레이트(300)와, 아웃솔(210)과 신발 플레이트(300) 사이에 배치된 제1 완충 부재(250a)와, 미드솔(220a)과 신발 플레이트(300) 사이에 배치된 제2 완충 부재(270)를 예시한다. 인솔(260)은 발 아래의 내부 보이드(102) 내에 풋베드(22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완충 부재(250a)는 블래더(400)를 봉지하거나 또는 블래더(400)를 수용하기 위한 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고, 플레이트(300)의 일부는 블래더(40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제1 완충 부재(250a)는 전족부(12)에서보다 밑창 구조체(200a)의 힐 부분(16)에서 더 큰 두께를 가지며, 상부면(254)은 상부에 지지되는 신발 플레이트(300)의 표면 프로파일과 일치하도록 형상화된 표면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제2 완충 부재(270)는 제1 완충 부재(250a)와 협동하여 그 사이에 신발 플레이트(300)를 둘러싸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완충 부재(270)의 바닥면(272)의 부분 및 제1 완충 부재(250a)의 상부면(254)은 신발 플레이트(300)를 유지하기 위한 공동을 한정하도록 리세스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완충 부재(270)의 두께는 제1 완충 부재(250a)의 두께보다 각각 전족부 및 중족부(12, 14)에서 더 크다. 바람직하게는, 전족부(12) 및 중족부(14)에서 제2 완충 부재(270)에 의해 제공되는 증가된 두께는 발의 MTP 관절과 신발 플레이트(3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신발(10a)이 동리기 운동/동작을 수행할 때 지면 반응력에 응답하여 신발(10a)의 완충 특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구성에서, 제2 완충 부재(270)의 두께는 플레이트(300)의 MTP 지점(320)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제1 완충 부재(250a)의 두께보다 크다. 이들 구성에서, 제2 완충 부재(270)는 MTP 지점(320)에 대향하는 위치에 약 3.0 ㎜ 내지 약 13.0 ㎜의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 최대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최대 두께는 대략 10.0 ㎜와 동일하다. 제2 완충 부재(270)의 두께는 AMP(302)에 근접한 제2 완충 부재(270)의 두께가 MTP w지점(320)에 근접한 최대 두께보다 약 60% 작도록 MTP 지점(320)으로부터 AMP(302)로의 방향을 따라 테이퍼질 수 있다. 다른 한편, 제1 완충 부재(250a)는 MTP 지점(320)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약 0.5 ㎜ 내지 약 6.0 ㎜의 범위 내의 값과 동일한 최소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최소 두께는 약 3.0 ㎜와 동일하다.
신발 플레이트(300)는 전족부(12) 및 중족부(14)를 통해 연장되는 만곡된 영역(310)을 포함하고, 만곡된 영역(310)에서의 후방 지점(326)으로부터 플레이트(300)의 최후방 지점(301)까지 힐 부분(16)을 통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만곡된 영역(310)의 곡률 반경은 밑창 구조체(200a)의 발가락 단부에서 MTP 지점(320)과 AMP(302) 사이에서 연장되는 전방 만곡부(322)와 MTP 지점(320)과 후방 지점(326) 사이에서 연장되는 후방 만곡부(324)를 형성한다. 일부 구성에서, 전방 만곡부(322) 및 후방 만곡부(324)는 각각 MTP 지점(320)에 대해 경면 대칭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진다. 다른 구성에서, 만곡부(322, 324)는 각각 다른 곡률 반경과 관련된다. 따라서, 만곡부(322, 324)는 각각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상응하는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곡률 반경은 서로 적어도 2% 정도 상이하다. 만곡된 영역(322, 324)에 대한 곡률 반경은 약 200 ㎜ 내지 약 400 ㎜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전방 만곡부(322)는 만곡된 영역(322, 324)이 동일한 곡률 반경을 형성하고 동일한 꼭짓점을 공유하도록 후방 만곡부(324)의 곡률에 연속되는 곡률 반경을 가진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플레이트는 후방 만곡부(324)를 플레이트(300)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에 연결시키는 곡률 반경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이란 용어는 지면에 수평으로 5도 내의, 즉 지면에 평행한 5도 내의 평탄한 영역(312)을 지칭한다.
만곡부(322, 324)는 각각 플레이트(300)의 전체 길이의 약 30%를 차지할 수 있는 한편, 평탄한 영역(312)의 길이는 플레이트(300)의 길이의 나머지 40%를 차지할 수 있다. 만곡된 영역(310)의 전방 만곡부 및 후방 만곡부(322, 324) 각각은 발의 MTP 관절에 근접한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키고, 또한 달리기 동작 중에 발의 롤링을 향상시켜 응력 중심간 거리를 감소시키고 발목 관절에 대한 변형을 완화시키는 종방향 강성을 플레이트(300)에 제공한다. AMP(302) 및 후방 지점(326)은 MTP 지점(320) 위에 위치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 높이(H)만큼 MTP 지점(320)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전방 만곡부(322)의 길이(LA) 및 후방 만곡부(324)의 길이(Lp)(예, MTP 지점(320)과 AMP(302) 및 후방 지점(326) 중 각각의 하나와의 사이의 종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라인을 따라 측정됨)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만곡된 영역(310)의 곡률 반경을 변화시키면, 최전방 지점(302) 및 후방 지점(306)의 길이(LA 및 Lp) 및/또는 높이(H)가 MTP 지점(320)에 대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300)의 강성은 착용자의 신발 크기, 신발(10)의 의도된 용도 및/또는 착용자의 발의 해부학적 특징을 위해 조절된 맞춤형 신발 플레이트(300)를 제공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된 밑창 구조체(200b)를 포함하는 신발 물품(10b)을 제공한다. 신발 물품(10b)에 대한 신발 물품(10)과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의 실질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을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변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도 8은 밑창 구조체(200b)를 가지는 신발 물품(10b)의 분해도를 제공하고, 밑창 구조체(200b)는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고 종축(L)을 형성하는 아웃솔(210b), 완충 부재(250b) 및 미드솔/스트로브(220b)를 포함한다. 아웃솔(210b)은 지면 결합면(212)보다 아웃솔(210b)의 반대 측면 상에 배치된 내부면(214b)을 포함한다. 미드솔(220b)은 풋베드(224)보다 미드솔(220b)의 반대 측에 배치된 바닥면(222b)을 포함한다. 완충 부재(250b)는 내부면(214b)과 바닥면(222b) 사이에 배치되어 미드솔(220b)과 아웃솔(210b)을 분리시킨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250b)는 아웃솔(210)의 내부면(214b)에 대향된 바닥면(252b)과 바닥면(252b)보다 완충 부재(250b)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미드솔(220b)에 대향되는 상부면(254b)을 포함한다. 상부면(254b)은 내부 보이드(102) 내에서 바닥면(예, 발바닥)의 프로파일과 일치하도록 윤곽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의 완충 부재(250)에서와 같이, 완충 부재(250b)는 완충 부재(250b)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측벽(230b)을 형성할 수 있다. 측벽(230b)은 완충 부재(250b)가 미드솔(220b)에 부착될 때 미드솔(220b)의 외주 둘레로 연장되는 림을 형성할 수 있다.
완충 부재(250b)는 미드솔(220b)과 아웃솔(210b)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으며, 도 1~3의 완충 부재(250)를 형성하는 동일한 일종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250b)는 EVA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PEBA 공중합체 및/또는 TPU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밑창 구조체(200a)는 밑창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12, 14, 16)에서 신발 플레이트(300)와 완충 부재(250a) 사이에 유체-충전 블래더(400)를 결합하여 지면 반응력에 반응하여 신발(10)의 완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래더(400)는 공기, 질소, 헬륨, 육플루오르화황, 또는 액체/겔과 같은 가압 유체로 충전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완충 부재(250b)는 밑창 구조체(200b)의 힐 부분(16)에서의 상부면(254b)과 바닥면(252b) 사이의 내측 부분 내에 공동(240b)(예, 슬리브)을 형성한다. 도 9는 도 7의 9-9 라인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를 제공하며, 완충 부재(250b)의 공동(240b) 내에 수용된 신발 플레이트(300)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과 완충 부재(250b)의 바닥면(252b)과 아웃솔(210b)의 내부면(214b) 사이의 공동(240b)으로부터 노출된 만곡된 영역(310)을 예시한다. 도 9는 플레이트(300)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312)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240b)에 대한 접근 개구(242)를 형성하는 완충 부재(250b)의 바닥면(252b)을 예시한다. 공동(240b)은 유체-충전 블래더(400)를 매립하기 위해 완충 부재(250b) 내에 형성된 절개부와 인접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9의 신발 물품(10b)에 의해 합체된 밑창 구조체(200b)는 힐 부분(16)에서 아웃솔(210b)의 내부면(214b)에 부착되는 완충 부재(250b)의 바닥면(252b)을 포함하고, 접근 개구(242)에서 완충 부재(250b)의 공동(240b) 밖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300)의 만곡된 영역(310)은 전족부(12) 및 중족부(14) 각각에서 내부면(214)과 직접 접촉한다. 따라서, 완충 부재(250b)에 의해 형성된 공동(240b)은 플레이트(300)의 적어도 일부(예, 평탄한 영역(312))를 내부에 매립/봉지하도록 작동한다. 도 1~3의 완충 부재(250)와 같이, 완충 부재(250b) 및 플레이트(300)는 미드솔(220b)의 바닥면 (222b)과 아웃솔(210b)의 내부면(214b) 사이의 공간의 전체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인솔(260)은 발 아래의 내부 보이드(102) 내의 풋베드(22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250b)는 블래더(450)를 봉지하거나 또는 블래더(400)를 수용하기 위한 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플레이트(300)의 일부는 블래더(40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블래더(400)를 수용하는 절개부는 완충 부재(250b)를 통해 형성된 공동(240b)과 인접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완충 부재(250b)는 전족부(12)보다 밑창 구조체(200b)의 힐 부분(16)에 더 큰 두께를 형성한다. 일부 예에서, 미드솔(220b)의 바닥면(222b)과 플레이트(300)를 분리하는 완충 부재(250b)의 두께는 플레이트(300)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에 근접한 위치에서보다 플레이트(300)의 만곡된 영역(310)에 근접한 위치에서 더 크다. 이러한 예에서, 완충 부재(250b)는 달리기 운동/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발의 MTP 관절이 플레이트(300)와 접촉되지 않도록 플레이트(300)와 미드솔(220b) 사이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키도록 동작한다. 완충 부재(250b)는 밑창 구조체(200b)의 전족부(12)의 두께를 약 7 ㎜~약 20 ㎜의 범위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완충 부재(250b)의 전족부(12)의 두께는 약 12 ㎜이다. 완충 부재(250b)는 약 0.05 g/㎤ 내지 약 0.20 g/㎤의 범위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완충 부재(250b)의 밀도는 대략 0.1 g/㎤이다. 또한, 완충 부재(250b)는 약 11 쇼어 A 내지 약 50 쇼어 A의 범위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완충 부재(250b)를 형성하는 일종 이상의 재료는 적어도 60%의 에너지 반환을 제공하기에 적절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신발 플레이트(300)는 이방성이거나 아닐 수 있는 균일한 부분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300)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섬유층 및/또는 섬유 토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00)는 종축(L)을 가로지르는(예를 들어, 수직) 방향의 강성보다 밑창 구조체의 종방향을 따라 더 큰 두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300)의 횡방향 강성은 종방향(예, 종축(L)에 평행한)을 따른 플레이트(300)의 두께의 약 10~20%일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300)는 플레이트(300)를 가로질러 약 0.6 ㎜~약 3.0 ㎜의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 또는 플레이트를 가로질러 변하는 불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레이트(300)의 중족부(14)의 두께는 전족부(12) 및 힐 부분(16)의 두께보다 크다. 일부 예에서, 플레이트(300)는 약 1.0 ㎜의 두께를 가진다.
만곡된 영역(310)의 곡률 반경은 밑창 구조체(200b)의 발가락 단부에서 MTP 지점(320)과 AMP(302) 사이에서 연장되는 전방 만곡부(322)와 MTP 지점(320)과 후방 지점(326) 사이에서 연장되는 후방 만곡부(324)를 형성한다. 일부 구성에서, 전방 만곡부(322) 및 후방 만곡부(324)는 각각 MTP 지점(320)에 대해 경면 대칭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진다. 다른 구성에서, 만곡부(322, 324)는 각각 다른 곡률 반경과 관련된다. 만곡부(322, 324)는 각각 플레이트(300)의 전체 길이의 약 30%를 차지할 수 있는 한편, 평탄한 영역(312)의 길이는 플레이트(300)의 길이의 나머지 40%를 차지할 수 있다. 만곡된 영역(310)의 전방 만곡부 및 후방 만곡부(322, 324) 각각은 발의 MTP 관절에 근접한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키고, 또한 달리기 동작 중에 발의 롤링을 향상시켜 응력 중심간 거리를 감소시키고 발목 관절에 대한 변형을 완화시키는 종방향 강성을 플레이트(300)에 제공한다. AMP(302) 및 후방 지점(326)은 MTP 지점(320) 위에 위치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 높이(H)만큼 MTP 지점(320)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전방 만곡부(322)의 길이(LA) 및 후방 만곡부(324)의 길이(Lp)(예, MTP 지점(320)과 AMP(302) 및 후방 지점(326) 중 각각의 하나와의 사이의 종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라인을 따라 측정됨)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만곡된 영역(310)의 곡률 반경을 변화시키면, 최전방 지점(302) 및 후방 지점(306)의 길이(LA 및 Lp) 및/또는 높이(H)가 MTP 지점(320)에 대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300)의 강성은 착용자의 신발 크기, 신발(10)의 의도된 용도 및/또는 착용자의 발의 해부학적 특징을 위해 조절된 맞춤형 신발 플레이트(300)를 제공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도 10~12는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된 밑창 구조체(200c)를 포함하는 신발 물품(10c)을 제공한다. 신발 물품(10c)에 대한 신발 물품(10)과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의 실질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을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변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도 11은 밑창 구조체(200c)를 가지는 신발 물품(10c)의 분해도를 제공하고, 밑창 구조체(200c)는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고 종축(L)을 형성하는 아웃솔(210c), 완충 부재(250c) 및 미드솔/스트로브(220c)를 포함한다. 아웃솔(210c)은 지면 결합면(212)보다 아웃솔(210c)의 반대 측면 상에 배치된 내부면(214c)을 포함한다. 미드솔(220c)은 풋베드(224)보다 미드솔(220c)의 반대 측에 배치된 바닥면(222c)을 포함한다. 완충 부재(250c)는 내부면(214c)과 바닥면(222c) 사이에 배치되어 미드솔(220c)과 아웃솔(210c)을 분리시킨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250c)는 아웃솔(210c)의 내부면(214c)에 대향된 바닥면(252c)과 바닥면(252c)보다 완충 부재(250c)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미드솔(220c)에 대향되는 상부면(254c)을 포함한다. 상부면(254c)은 내부 보이드(102) 내에서 바닥면(예, 발바닥)의 프로파일과 일치하도록 윤곽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의 완충 부재(250)에서와 같이, 완충 부재(250c)는 완충 부재(250c)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측벽(230c)을 형성할 수 있다. 측벽(230c)은 완충 부재(250c)가 미드솔(220c)에 부착될 때 미드솔(220c)의 외주 둘레로 연장되는 림을 형성할 수 있다.
완충 부재(250c)는 미드솔(220c)과 아웃솔(210c)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으며, 도 1~3의 완충 부재(250)를 형성하는 동일한 일종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250c)는 EVA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PEBA 공중합체 및/또는 TPU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밑창 구조체(200c)는 밑창 구조체(200c)의 적어도 일부(12, 14, 16)에서 신발 플레이트(300)와 완충 부재(250c) 사이에 유체-충전 블래더(400)를 결합하여 지면 반응력에 반응하여 신발(10c)의 완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래더(400)는 공기, 질소, 헬륨, 육플루오르화황, 또는 액체/겔과 같은 가압 유체로 충전될 수 있다. 완충 부재(250c)는 약 0.05 g/㎤ 내지 약 0.20 g/㎤의 범위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완충 부재(250c)의 밀도는 대략 0.1 g/㎤이다. 또한, 완충 부재(250c)는 약 11 쇼어 A 내지 약 50 쇼어 A의 범위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완충 부재(250c)를 형성하는 일종 이상의 재료는 적어도 60%의 에너지 반환을 제공하기에 적절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완충 부재(250c)는 밑창 구조체(200c)의 전족부 및 중족부(12, 14)에서의 상부면(254c)과 바닥면(252c) 사이의 내측 부분 내에 공동(240c)(예, 슬리브)을 형성한다. 도 12는 도 10의 12-12 라인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를 제공하며, 완충 부재(250c)의 공동(240c) 내에 수용된 신발 플레이트(300)의 만곡된 영역(310)과 완충 부재(250c)의 상부면(254c)과 미드솔(220c)의 바닥면(222c) 사이의 공동(240c)으로부터 노출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을 예시한다. 도 12는 플레이트(300)의 만곡된 영역(310)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240c)에 대한 접근 개구(242c)를 형성하는 완충 부재(250c)의 상부면(254c)을 예시한다. 따라서, 도 10~12의 신발 물품(10c)에 의해 합체된 밑창 구조체(200c)는 전족부 및 중족부(12, 14)에서 미드솔(220c)의 바닥면(222c)에 부착되는 완충 부재(250c)의 상부면(254c)을 포함하고, 접근 개구(242c)에서 완충 부재(250c)의 공동(240c) 밖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300)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은 힐 부분(16)에서 바닥면(222c)과 직접 접촉한다. 완충 부재(250c)의 전체 바닥면(252c)은 아웃솔(210c)의 내부면(214c)에 부착된다. 따라서, 완충 부재(250c)에 의해 형성된 공동(240c)은 플레이트(300)의 적어도 일부(예, 만곡된 영역(310))를 내부에 매립/봉지하도록 작동한다. 즉, 발의 MTP 관절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의 만곡된 영역(310)은 공동(240c)의 대향 측면상의 완충 부재(250c)의 각각의 부분에 의해 아웃솔(210c) 및 미드솔(220c)로부터 분리된다. 도 1~3의 완충 부재(250) 및 플레이트(300)와 같이, 완충 부재(250c) 및 플레이트(300)는 미드솔(220b)의 바닥면(222c)과 아웃솔(210c)의 내부면(214c) 사이의 공간의 전체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인솔(260)은 발 아래의 내부 보이드(102) 내의 풋베드(22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250c)는 블래더(450)를 봉지하거나 또는 블래더(400)를 수용하기 위한 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플레이트(300)의 일부는 블래더(40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완충 부재(250c)는 전족부(12)보다 밑창 구조체(200c)의 힐 부분(16)에 더 큰 두께를 형성한다. 완충 부재(250c)는 밑창 구조체(200c)의 전족부(12)의 두께를 약 7 ㎜~약 20 ㎜의 범위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완충 부재(250c)의 전족부(12)의 두께는 약 12 ㎜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플레이트(300)와 전족부(12)에서 미드솔(220c)의 바닥면(222c) 사이의 두께는 약 3 ㎜~약 28 ㎜의 범위에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플레이트(300)와 전족부(12)에서 아웃솔(210c)의 내부면(214c) 사이의 두께는 약 2 ㎜~약 13 ㎜의 범위에 있다.
도 1~3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신발 플레이트(300)는 이방성이거나 아닐 수 있는 균일한 부분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300)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섬유 토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00)는 종축(L)을 가로지르는(예를 들어, 수직) 방향의 강성보다 밑창 구조체의 종방향을 따라 더 큰 두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300)의 횡방향 강성은 종방향(예, 종축(L)에 평행한)을 따른 플레이트(300)의 두께의 약 10~20%일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300)는 플레이트(300)를 가로질러 약 0.6 ㎜~약 3.0 ㎜의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 또는 플레이트를 가로질러 변하는 불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레이트(300)의 중족부(14)의 두께는 전족부(12) 및 힐 부분(16)의 두께보다 크다.
만곡된 영역(310)의 곡률 반경은 밑창 구조체(200a)의 발가락 단부에서 MTP 지점(320)과 AMP(302) 사이에서 연장되는 전방 만곡부(322)와 MTP 지점(320)과 후방 지점(326) 사이에서 연장되는 후방 만곡부(324)를 형성한다. 일부 구성에서, 전방 만곡부(322) 및 후방 만곡부(324)는 각각 MTP 지점(320)에 대해 경면 대칭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진다. 다른 구성에서, 만곡부(322, 324)는 각각 다른 곡률 반경과 관련된다. 만곡부(322, 324)는 각각 플레이트(300)의 전체 길이의 약 30%를 차지할 수 있는 한편, 평탄한 영역(312)의 길이는 플레이트(300)의 길이의 나머지 40%를 차지할 수 있다. 만곡된 영역(310)의 전방 만곡부 및 후방 만곡부(322, 324) 각각은 발의 MTP 관절에 근접한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키고, 또한 달리기 동작 중에 발의 롤링을 향상시켜 응력 중심간 거리를 감소시키고 발목 관절에 대한 변형을 완화시키는 종방향 강성을 플레이트(300)에 제공한다. 다른 구성에서, 만곡부(322, 324)는 각각 플레이트(300)의 전체 길이의 약 25%~약 35%를 차지할 수 있다. AMP(302) 및 후방 지점(326)은 MTP 지점(320) 위에 위치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 높이(H)만큼 MTP 지점(320)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전방 만곡부(322)의 길이(LA) 및 후방 만곡부(324)의 길이(Lp)(예, MTP 지점(320)과 AMP(302) 및 후방 지점(326) 중 각각의 하나와의 사이의 종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라인을 따라 측정됨)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만곡된 영역(310)의 곡률 반경을 변화시키면, 최전방 지점(302) 및 후방 지점(306)의 길이(LA 및 Lp) 및/또는 높이(H)가 MTP 지점(320)에 대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300)의 강성은 착용자의 신발 크기, 신발(10)의 의도된 용도 및/또는 착용자의 발의 해부학적 특징을 위해 조절된 맞춤형 신발 플레이트(300)를 제공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도 13~15는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된 밑창 구조체(200d)를 포함하는 신발 물품(10d)을 제공한다. 신발 물품(10d)에 대한 신발 물품(10)과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의 실질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을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변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도 14는 밑창 구조체(200d)를 가지는 신발 물품(10d)의 분해도를 제공하고, 밑창 구조체(200d)는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고 종축(L)을 형성하는 아웃솔(210d), 완충 부재(250d) 및 미드솔(220d)을 포함한다. 아웃솔(210d)은 지면 결합면(212)보다 아웃솔(210d)의 반대 측면 상에 배치된 내부면(214d)을 포함한다. 미드솔(220d)은 풋베드(224)보다 미드솔(220d)의 반대 측에 배치된 바닥면(222d)을 포함한다. 완충 부재(250d)는 내부면(214d)과 바닥면(222d) 사이에 배치되어 미드솔(220d)과 아웃솔(210d)을 분리시킨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250d)는 아웃솔(210d)의 내부면(214d)에 대향된 바닥면(252d)과 바닥면(252d)보다 완충 부재(250d)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미드솔(220d)에 대향되는 상부면(254d)을 포함한다. 상부면(254d)은 내부 보이드(102) 내에서 바닥면(예, 발바닥)의 프로파일과 일치하도록 윤곽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의 완충 부재(250)에서와 같이, 완충 부재(250d)는 완충 부재(250d)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측벽(230d)을 형성할 수 있다. 측벽(230d)은 완충 부재(250d)가 미드솔(220d)에 부착될 때 미드솔(220d)의 외주 둘레로 연장되는 림을 형성할 수 있다. 완충 부재(250d)는 미드솔(220d)과 아웃솔(210d)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으며, 도 1~3의 완충 부재(250)를 형성하는 동일한 일종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250d)는 EVA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PEBA 공중합체 및/또는 TPU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 부재(250d)는 약 0.05 g/㎤ 내지 약 0.20 g/㎤의 범위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완충 부재(250d)의 밀도는 대략 0.1 g/㎤이다. 또한, 완충 부재(250d)는 약 11 쇼어 A 내지 약 50 쇼어 A의 범위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완충 부재(250d)를 형성하는 일종 이상의 재료는 적어도 60%의 에너지 반환을 제공하기에 적절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완충 부재(250d)는 밑창 구조체(200d)의 전족부 및 중족부(12, 14)에서의 상부면(254d)과 바닥면(252d) 사이의 내측 부분 내에 공동(240d)(예, 슬리브)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완충 부재(250d)의 바닥면(252d)은 전족부 및 중족부(12, 14)의 두께와 비교하여 힐 부분(16)에서의 완충 부재(250d)에 대해 감소된 두께를 형성하도록 상부면(254d) 측으로 테이퍼진다.
도 15는 도 13의 15-15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를 제공하며, 완충 부재(250d)의 공동(240d) 내에 수용된 신발 플레이트(300)의 만곡된 영역(310) 및 완충 부재(250d)의 바닥면(254d)과 미드솔220d)의 내부면(214d) 사이의 공동(240d)으로부터 노출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을 예시한다. 도 10~12의 완충 부재(250c)의 상부면(254c) 공동(240c)에 대한 접근 개구(242c)를 형성하고, 완충 부재(250d)의 바닥면(252d)은 플레이트(300)의 만곡된 영역(310)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240d)에 대한 접근 개구(242d)를 형성한다. 따라서, 완충 부재(250d)의 바닥면(252d)은 전족부(12) 및 중족부(14)에서 아웃솔(210d)의 내부면(214d)에 부착되고, 바닥면(252d)을 통해 형성된 접근 개구(242d)에서 완충 부재(250d)의 공동(240d) 밖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300)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은 힐 부분(16)에서 내부면(214d)과 직접 접촉한다. 일부 예에서, 플레이트(300)의 후방 지점(326)은 만곡된 영역(310)과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 내에 배치되며, 완충 부재(250d)의 바닥면(252d)은 플레이트(300)의 연결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부면(254d) 측으로 상향으로 테이퍼진다. 도 15는 완충 부재(250d)의 바닥면(252d)이 상부면(254d) 측으로 상향으로 테이퍼질 때 플레이트(300)와 접촉하도록 테이퍼진 아웃솔(210d)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아웃솔(210d)은 플레이트(300)가 접근 개구(242d)를 통해 연장되는 곳에 근접한 위치에서 플레이트(300)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과 접촉하도록 테이퍼진다. 따라서, 완충 부재(250d)에 의해 형성된 공동(240d)은 플레이트(300)의 적어도 일부(예, 만곡된 영역(310))를 내부에 매립/봉지하도록 작동한다. 즉, 발의 MTP 관절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의 만곡된 영역(310)은 공동(240d)의 대향 측면상의 완충 부재(250d)의 각각의 부분에 의해 아웃솔(210d) 및 미드솔(220d)로부터 분리된다. 도 1~3의 완충 부재(250) 및 플레이트(300)와 같이, 완충 부재(250d) 및 플레이트(300)는 미드솔(220d)의 바닥면(222d)과 아웃솔(210d)의 내부면(214d) 사이의 공간의 전체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인솔(260)은 발 아래의 내부 보이드(102) 내의 풋베드(22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250d)는 밑창 구조체(200d)의 전족부(12)의 두께를 약 7 ㎜~약 20 ㎜의 범위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완충 부재(250d)의 전족부(12)의 두께는 약 12 ㎜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플레이트(300)와 전족부(12)에서 미드솔(220d)의 바닥면(222d) 사이의 두께는 약 3 ㎜~약 28 ㎜의 범위에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플레이트(300)와 전족부(12)에서 아웃솔(210d)의 내부면(214d) 사이의 두께는 약 2 ㎜~약 13 ㎜의 범위에 있다.
도 16~18은 신발 플레이트(300) 대신에 도 1~15 및 도 31~39의 신발 물품(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 및 10h) 중 임의의 하나에 통합될 수 있는 신발 플레이트(300a)를 제공한다. 신발 플레이트(300a)에 대한 신발 플레이트(300)와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의 실질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을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변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도 16은 플레이트의 최후방 지점에 대응하는 제1 단부(301)와 플레이트(300a)의 최전방 지점(AMP)에 대응하는 제2 단부(302)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를 형성하는 신발 플레이트(300a)의 상부 사시도를 제공한다. "제1 단부" 및 "최후방 지점"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호환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플레이트(300)의 "제2 단부" 및 "AMP"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호환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신발 플레이트(300a)는 토우(toe) 세그먼트(362), MTP 세그먼트(364), 브리지 세그먼트(366) 및 힐 세그먼트(368)를 형성하는 길이를 가로질러 분할될 수 있다. 토우 세그먼트(362)는 발의 발가락에 대응하고, MTP 세그먼트는 중족골을 마디 뼈와 연결하는 MTP 관절에 대응한다. 플레이트(300a)의 토우 세그먼트(362) 및 MTP 세그먼트(364)는 도 1~15의 밑창 구조체(200~200d)의 전족부(12)에 대응할 수 있다. 브리지 세그먼트(366)는 발의 아치 영역에 대응하고 MTP 세그먼트(364)를 힐 세그먼트(368)에 연결한다. 브리지 세그먼트(366)는 중족부(14)에 대응할 수 있고, 힐 세그먼트(358)는 플레이트(300a)가 도 1~15의 밑창 구조체(200~200d)에 합체될 때 힐 부분(16)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6은 만곡된 영역(310)(362, 364, 366 세그먼트를 포함)과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69 세그먼트를 포함)을 예시한다.
도 17은 도 16의 신발 플레이트(300a)의 측면도를 제공하며, 지면(미도시)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 기준면(RP)에 대한 신발 플레이트(300a)의 최근접 지점으로서 MTP 지점(320)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MTP 지점(320)은 수평 기준 평면(RP)에 접하고 발이 신발(10~10d)의 내부 보이드(102)에 수용될 때 발의 MTP 관절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MTP 관절(320)은 전방 만곡부(322)가 발의 MPT 관절 아래에 있도록 발의 MTP 관절 아래와 약간 뒤에 배치된다. 만곡된 영역(310)의 전방 만곡부(322)는 대응하는 곡률 반경 및 MTP 지점(320)과 AMP(302) 사이의 길이(LA)를 형성할 수 있는 한편, 만곡된 영역(310)의 후방 만곡부(324)는 대응하는 곡률 반경 및 MTP 지점(320)과 후방 지점(326) 사이의 길이(Lp)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LA 및 Lp는 각각 MTP 지점(320)과 AMP(302) 및 후방 지점(326) 중 각각의 하나와의 사이의 수평 기준 평면(RP)을 따라 측정된다. 일부 예에서, 전방 만곡부(322)(토우 세그먼트(362) 및 MTP 세그먼트(364)를 포함)는 밑창 구조체(200~200d)의 길이의 약 30%를 차지하고, 후방 만곡부(324)(브리지 세그먼트(366)를 포함)의 Lp는 밑창 구조체(200~200d)의 길이의 약 30%를 차지하며,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312)(힐 세그먼트(368)를 포함)은 밑창 구조체(200~200d)의 길이의 약 40%를 차지한다. 다른 예에서, 전방 만곡부(322)의 LA는 밑창 구조체(200~200d)의 길이의 약 25%~약 35%의 범위 내에 있고, 후방 만곡부(324)의 Lp는 밑창 구조체(200~200d)의 길이의 약 25%~약 35%의 범위 내에 있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은 밑창 구조체(200~200d)의 길이의 나머지를 포함한다.
전방 만곡부(322)와 관련된 곡률 반경은 AMP(302)가 수평 기준 평면(RP)에 대해 MTP 지점(320)으로부터 소정 각도(α1)로 연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방 만곡부(322)는 플레이트(300a)의 토우 세그먼트(362)가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발가락을 편향되게 한다. 각도(α1)는 약 12° 내지 약 35°의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각도(α1)는 대략 24°의 값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후방 만곡부(324)와 관련된 곡률 반경은 후방 지점(326)이 수평 기준 평면(RP)에 대해 MTP 지점(320)으로부터 소정 각도(β1)로 연장되게 한다. 각도(β1)는 약 12° 내지 약 35 °의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각도(β1)는 대략 24°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구성에서, 각도(α1, β1)는 곡률 반경이 서로 같고 동일한 꼭짓점을 공유하도록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후방 지점(326)은 후방 만곡부(324)에 있는 만곡 영역(310)을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에 결합하도록 형성된 곡률 반경을 가지는 플레이트(300)의 만곡부(310)를 따른 연결부(328)를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연결부(328)는 만곡 영역(310)과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연결한다. 일부 예에서,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진다. 연결부(328)는 플레이트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이 수평 기준 평면(RP)(및 지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제1 단부(301)(최후방 지점)와 후방 지점(326) 사이에서 연장되게 할 수 있다. 후방 만곡부(324)의 곡률 반경 및 연결부(328)의 곡률 반경의 결과로서, 후방 지점(326)은 MTP 지점(320) 위의 위치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후방 지점(326)의 위치 높이(H1)는 후방 지점(326)과 기준 평면(RP) 사이의 수평 기준 평면(RP)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격 거리에 대응한다. 위치 높이(H1)는 일부 예에서 약 3 ㎜~약 28 ㎜의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예에서, 위치 높이(H1)는 약 3 ㎜~약 17 ㎜의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위치 높이(H1)는 약 17 ㎜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후방 지점(301) 및 AMP(302)는 연결부(328)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의 접합부에서 동일 평면이다.
도 18은 도 16의 신발 플레이트(300a)의 평면도를 제공하며, 플레이트(300a)의 길이에 걸쳐 형성된 토우 세그먼트(362), MTP 세그먼트(364), 브리지 세그먼트(366) 및 힐 세그먼트(368)를 보여준다. MTP 지점(320)은 토우 세그먼트(362)를 브리지 세그먼트(366)에 결합시키는 MTP 세그먼트(36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후방 지점(326)은 브리지 세그먼트(366)가 힐 세그먼트(368)와 결합하는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서 브리지 세그먼트(36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328)(도 17)의 곡률 반경은 후방 만곡부(324)와 관련된 브리지 세그먼트(366)를 플레이트(300)의 평탄한 영역(312)과 연관된 힐 세그먼트(368)에 이음매 없이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9~21은 신발 플레이트(300) 대신에 도 1~15 및 도 31~39의 신발 물품(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 및 10h) 중 임의의 하나에 통합될 수 있는 신발 플레이트(300b)를 제공한다. 신발 플레이트(300b)에 대한 신발 플레이트(300)와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의 실질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을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변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도 19는 플레이트(300b)의 제1 단부(301)와 AMP(302b)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를 형성하는 신발 플레이트(300b)의 상부 사시도를 제공한다. 신발 플레이트(300b)는 토우 세그먼트(362), MTP 세그먼트(364), 브리지 세그먼트(366) 및 힐 세그먼트(368)를 형성하는 길이를 가로질러 분할될 수 있다. 도 19는 만곡 영역(310b)(362, 364, 366 세그먼트를 포함)과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368 세그먼트를 포함)을 포함하는 신발 플레이트(300b)를 예시한다.
도 20은 도 19의 신발 플레이트(300b)의 측면도를 제공하며, 발이 신발(10~10d)의 내부 보이드(102)에 수용될 때 발의 MTP 관절 아래에 배치되고 수평 기준 평면(RP)에 접하는 신발 플레이트(300b)의 만곡 영역(310b)의 MTP 지점(320b)을 예시한다. MTP 지점(320b)과 AMP(302b) 사이에서 연장되는 전방 만곡부(322b)는 도 16~18의 전방 만곡부(322)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진다. 따라서, 전방 만곡부(322b)와 관련된 곡률 반경은 AMP(302b)가 수평 기준 평면(RP)에 대해 도 16~18의 전방 만곡부(322b)와 관련된 각도(α1)보다 큰 각도(α2)로 MTP 지점(320b)으로부터 연장되게 한다. 따라서, 전방 만곡부(322b)는 플레이트(300b)의 토우 세그먼트(362)가 발가락을 도 16~18의 플레이트(300b)에 비해 지면으로부터 더 멀리 편향시키도록 도 16~18의 전방 만곡부(322)보다 가파른 경사와 관련된다. 다른 예에서, 전방 만곡부(322b)의 LA는 밑창 구조체(200~200d)의 길이의 약 25%~약 35%의 범위 내에 있고, 후방 만곡부(324b)의 Lp는 밑창 구조체(200~200d)의 길이의 약 25%~약 35%의 범위 내에 있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은 밑창 구조체(200~200d)의 길이의 나머지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MTP 지점(320b)과 후방 지점(326b) 사이에서 연장되는 후방 만곡부(324b)는 도 16~18의 후방 만곡부(324)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진다. 따라서, 후방 만곡부(324b)와 관련된 곡률 반경은 후방 지점(326b)이 수평 기준 평면(RP)에 대해 MTP 지점(320b)으로부터 도 16~18의 후방 만곡부(324)와 관련된 각도(β1)보다 큰 각도(β2)로 연장되게 한다. 따라서, 후방 만곡부(324b)는 플레이트(300b)의 브리지 세그먼트(366)가 발의 MTP 관절을 도 16~18의 플레이트(300a)에 비해 발의 힐로부터 더 멀리 지면 측으로 편향시키도록 도 16~18의 후방 만곡부(324)보다 가파른 경사와 관련된다. 각도(α2)는 약 12° 내지 약 35 °의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각도(α2)는 대략 24°의 값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후방 만곡부(324b)와 관련된 곡률 반경은 후방 지점(326b)이 수평 기준 평면(RP)에 대해 MTP 지점(320b)으로부터 각도(β2)로 연장되게 한다. 각도(β2)는 약 12° 내지 약 35 °의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각도(β2)는 대략 24°의 값을 포함한다. 일부 구성에서, 각도(α2, β2)는 곡률 반경이 서로 같고 동일한 꼭짓점을 공유하도록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만곡부(322b, 324b)는 각각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상응하는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곡률 반경은 서로 적어도 2% 정도 상이하다. 만곡된 영역(322b, 324b)에 대한 곡률 반경은 약 200 ㎜ 내지 약 400 ㎜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전방 만곡부(322b)는 만곡된 영역(322b, 324b)이 동일한 곡률 반경을 형성하고 동일한 꼭짓점을 공유하도록 후방 만곡부(324b)의 곡률에 연속되는 곡률 반경을 가진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플레이트는 후방 만곡부(324b)를 플레이트(300b)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에 연결시키는 곡률 반경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이란 용어는 지면에 수평으로 5도 내의, 즉 지면에 평행한 5도 내의 평탄한 영역(312)을 지칭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후방 지점(326)은 후방 만곡부(324b)에 있는 만곡 영역(310b)을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b)에 결합하도록 형성된 곡률 반경을 가지는 플레이트(300b)의 만곡부(310b)를 따른 연결부(328b)를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연결부(328b)는 만곡 영역(310)과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연결한다. 일부 예에서,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진다. 도 16~18의 만곡 영역(310)의 연결부(328)에서와 같이, 연결부(328b)는 플레이트(300b)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이 수평 기준 평면(RP)(및 지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제1 단부(301)(최후방 지점)와 후방 지점(326b) 사이에서 연장되게 할 수 있다. 후방 만곡부(324b)의 곡률 반경 및 연결부(328b)의 곡률 반경의 결과로서, 후방 지점(326b)은 도 16~18의 MTP 지점(320) 위의 후방 지점(326)의 위치 높이(H1)보다 큰 MTP 지점(320) 위의 위치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위치 높이(H2)는 일부 예에서 약 3 ㎜~약 28 ㎜의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예에서, 위치 높이(H2)는 약 3 ㎜~약 17 ㎜의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위치 높이(H2)는 약 17 ㎜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후방 지점(301) 및 AMP(302b)는 연결부(328b)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의 접합부에서 동일 평면이다.
도 21은 도 19의 신발 플레이트(300b)의 평면도를 제공하며, 플레이트(300b)의 길이에 걸쳐 형성된 토우 세그먼트(362), MTP 세그먼트(364), 브리지 세그먼트(366) 및 힐 세그먼트(368)를 보여준다. MTP 지점(320b)은 토우 세그먼트(362)를 브리지 세그먼트(366)에 결합시키는 MTP 세그먼트(36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후방 지점(326b)은 브리지 세그먼트(366)가 힐 세그먼트(368)와 결합하는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서 브리지 세그먼트(36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328b)(도 20)의 곡률 반경은 후방 만곡부(324b)와 관련된 브리지 세그먼트(366)를 플레이트(300b)의 평탄한 영역(312)과 연관된 힐 세그먼트(368)에 이음매 없이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2~24는 신발 플레이트(300) 대신에 도 1~15 및 도 31~39의 신발 물품(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 및 10h) 중 임의의 하나에 통합될 수 있는 신발 플레이트(300c)를 제공한다. 신발 플레이트(300c)에 대한 신발 플레이트(300)와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의 실질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을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변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도 22는 플레이트(300c)의 제1 단부(301)와 AMP(302c)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를 형성하는 신발 플레이트(300c)의 상부 사시도를 제공한다. 플레이트(300c)는 토우 세그먼트(362), MTP 세그먼트(364), 브리지 세그먼트(366) 및 힐 세그먼트(368)를 형성하는 길이를 가로질러 분할될 수 있다. 도 22는 만곡 영역(310c)(362, 364, 366 세그먼트를 포함)과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368 세그먼트를 포함)을 포함하는 신발 플레이트(300c)를 예시한다.
도 23은 도 22의 신발 플레이트(300c)의 측면도를 제공하며, 만곡부(322c, 324c)가 MTP 지점(320c)에 대해 경면 대칭되도록 전방 만곡부(322c)와 후방 만곡부(324c)가 동일한 곡률 반경(R)과 관련되고 공통 꼭짓점(V)을 공유하도록 만곡 영역(310)이 반원형인 것을 예시한다. 일부 구성에서, 반경(R)은 약 86 ㎜~약 202 ㎜의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한다. 다른 구성에서, 반경(R)은 약 140 ㎜~약 160 ㎜의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한다. 반경(R)에 대한 예시값은 약 87 ㎜, 117 ㎜, 151 ㎜ 또는 201 ㎜를 포함할 수 있다. MTP 지점(320c)은 수평 기준 평면(RP)에 접하고, 발이 신발(10~10d)의 내부 보이드(102)에 수용될 때 발의 MTP 관절 아래에 배치된다. 따라서, MTP 지점(320c)은 만곡부(322c, 324c)를 포함하는 만곡 영역(310c)의 중심에 대응한다. 전방 만곡부(322c)는 MTP 지점(320c)과 AMP(302b) 사이에서 연장되고, 후방 만곡부(324c)는 MTP 지점(320c)과 후방 지점(326c) 사이에서 연장된다.
전방 만곡부(322c)는 MTP 지점(320c)과 후방 지점(326c) 사이의 후방 만곡부(324c)의 길이(Lp)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MTP 지점(320c)과 AMP(302c) 사이의 길이(LA)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LA 및 Lp는 각각 MTP 지점(320c)과 AMP(302c) 및 후방 지점(326c) 중 각각의 하나와의 사이의 수평 기준 평면(RP)을 따라 측정된다. 일부 구성에서, LA 및 Lp는 신발 플레이트(300c)가 남자 사이즈(10)와 관련된 신발 물품(10~10d)에 의해 합체 될 때 각각 약 81 ㎜와 동일하다. 일부 예에서, 전방 만곡부(322c)(토우 세그먼트(362) 및 MTP 세그먼트(364)를 포함)의 LA는 밑창 구조체(200~200d)의 길이의 약 30%를 차지하고, 후방 만곡부(324)(브리지 세그먼트(366)를 포함)의 Lp는 밑창 구조체(200~200d)의 길이의 약 30%를 차지하며,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312)(힐 세그먼트(368)를 포함)은 밑창 구조체(200~200d)의 길이의 약 40%를 차지한다. 다른 예에서, 전방 만곡부(322c)의 LA는 밑창 구조체(200~200d)의 길이의 약 25%~약 35%의 범위 내에 있고, 후방 만곡부(324c)의 Lp는 밑창 구조체(200~200d)의 길이의 약 25%~약 35%의 범위 내에 있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은 밑창 구조체(200~200d)의 길이의 나머지를 포함한다.
AMP(302c)는 수평 기준 평면(RP)에 대해 MTP 지점(320c)으로부터 각도(α3)로 연장되고, 후방 지점(326c)은 수평 기준 평면(RP)에 대해 MTP 지점(320c)으로부터 각도(β3)로 연장된다. 만곡부(322c, 324c)는 동일한 곡률 반경(R)과 관련되고 공통 꼭짓점(V)을 공유하기 때문에, 각도(a3, β3)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다. 각도(a3, β3)의 값은 일례로 약 11°~약 35°의 범위에 있고, 다른 예에서, 약 20°~약 25°의 범위이다. 각도(a3, β3)의 예시적인 값은 약 12°, 16°, 22°, 또는 57°를 포함한다. 각도(α3)는 발이 신발(10~10d)의 내부 보이드(102)에 의해 수용될 때 플레이트(300c)의 토우 세그먼트(362)가 발가락을 상향으로 지면으로부터 멀리 편향시키는 각도에 대응한다.
또한, 후방 지점(326c) 및 AMP(302c)는 각각 MTP 지점(320c) 위로 동일한 위치 높이(H3)를 가질 수 있다. 도 16~18 및 도 19~21의 플레이트(300a, 300b)와 같이, 후방 지점(326c)과 MTP 지점(320c)의 위치 높이(H3)는 MTP 지점(320c)과 후방 지점(326c) 및 AMP(302c) 중 각각의 하나와의 사이의 수평 기준 평면(RP)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격 거리에 대응한다. 일부 구성에서, 위치 높이(H3)는 약 17 ㎜~약 57 ㎜의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한다. 위치 높이(H3)의 예시적인 값은 약 17 ㎜, 24 ㎜, 33 ㎜ 또는 57 ㎜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후방 지점(326c)은 후방 만곡부(324c)에 있는 만곡 영역(310c)을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에 결합하도록 형성된 곡률 반경을 가지는 플레이트(300)의 만곡 영역(310c)을 따른 연결부(328c)를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연결부(328c)는 만곡 영역(310c)과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연결한다. 일부 예에서,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진다. 연결부(328c)는 플레이트(300c)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이 수평 기준 평면(RP)(및 지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제1 단부(301)(최후방 지점)와 후방 지점(326c) 사이에서 연장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AMP(302c)와 후방 지점(326c) 연결부(328c)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의 접합부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이다. 이와 같이, 힐 세그먼트(368) 및 플레이트(300c)의 제1 단부 (301)과 후방 지점(326c) 사이에서 연장되는 브리지 세그먼트(366)의 일부는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신발 플레이트(300c)가 남자 사이즈(10)와 관련된 신발 물품(10~10d)에 의해 합체될 때, 연결부(328c)는 약 133.5 ㎜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후방 지점(301) 및 AMP(302c)는 연결부(328c)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의 접합부에서 동일 평면이다.
도 24는 도 22의 신발 플레이트(300c)의 평면도이고, 플레이트(300c)의 길이에 걸쳐 분할 된 토우 세그먼트(362), MTP 세그먼트(364), 브리지 세그먼트(366) 및 힐 세그먼트(368)를 예시한다. MTP 지점(320c)은 토우 세그먼트(362)를 브리지 세그먼트(366)에 결합시키는 MTP 세그먼트(36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후방 지점(326b)은 브리지 세그먼트(366)가 힐 세그먼트(368)와 결합하는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서 브리지 세그먼트(36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328c)(도 23)의 곡률 반경은 후방 만곡부(324c)와 관련된 브리지 세그먼트(366)를 플레이트(300c)의 평탄 영역(312)과 연관된 힐 세그먼트(368)에 이음매 없이 연결시킬 수 있다. 이점에서, 도 22~24의 신발 플레이트(300c), 다음의 매개 변수는 크기 10의 남성용 신발에 지정될 수 있다:
1. R = 201 ㎜, a3 = 12°, H3 = 17 ㎜, LA = 81 ㎜ 및 연결부(328c)의 곡률 반경이 134 ㎜;
2. R = 151 ㎜, a3 = 16°, H3 = 24 ㎜, LA = 81 ㎜ 및 연결부(328c)의 곡률 반경이 134 ㎜;
3. R = 117 ㎜, a3 = 22°, H3 = 33 ㎜, LA = 81 ㎜ 및 연결부(328c)의 곡률 반경이 134 ㎜; 및
4. R = 87 ㎜, a3 = 35°, H3 = 57 ㎜, LA = 81 ㎜ 및 연결부(328c)의 곡률 반경이 134 ㎜.
도 1~24의 신발 플레이트(300~300c)를 참조하면, 만곡 영역(322~322c)은 플레이트(300~300c)의 전체적인 종방향 강성이 착용자의 발의 MTP 관절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키면서 보행/주행 동작 중에 발의 롤링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응력 중심간 거리를 줄이고 작용자의 발목 관절에서의 변형을 완화시킨다. 전방 만곡부(322~322c)와 관련된 곡률 반경은 특히 보행/주행 동작 중에 발이 어떻게 롤링될 지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플레이트(300~300c)의 종방향 강성에 영향을 미친다. 일부 예에서, 플레이트(300~300c)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을 생략하여 후방 지점(326~326c)과 AMP(302~302c)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를 한정한다. MTP 지점(320~320c)은 지면에 가장 가까운(예, 가장 낮은) 플레이트(300~300c)의 지점에 대응하고, 밑창 구조체(200~200d)의 상부의 신발(10~10d)의 내부 보이드(102)에 의해 수용될 때 발의 MTP 관절에 또는 그 바로 뒤에 위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완충 부재(250~250c, 270)는 밑창 구조체(200~200d)에 의해 합체될 수 있다. 완충 부재(들)(250~250c, 270)는 발의 MTP 관절과 MTP 지점(320~320c) 사이의 거리를 최대화하기 위해 신발 플레이트(300~300c)의 MTP 지점(320~320c) 상부 위로 최대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완충 부재(들)(250~250c, 270)는 도보/주행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신발(10~10d)의 사용 중에 에너지를 복원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부하가 인가된 상태에서 압축될 때 적어도 60%의 탄성을 갖는 고성능 (연질 및 저 에너지 손실의) 발포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 플레이트(300~300c)의 상이한 기하학적 구조는 달리는 스타일이 다른 주자, 예를 들어 전족형 스트라이커 대 발꿈치형 스트라이커와 같은 주자 등의 운동 선수에게 상이한 기계적 장점을 부여한다. 만곡부(322~322c, 324~324c)의 곡률 반경은 상이한 각도(α1-α3)를 생성하여, 상이한 신발 크기에 대해 위치 높이(H-H3)가 상이하다.
도 25는 신발 플레이트(300) 대신에 도 1~15 및 도 31~39의 신발 물품(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 및 10h) 중 임의의 하나에 통합될 수 있는 신발 플레이트(300d)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신발 플레이트(300d)에 대한 신발 플레이트(300)와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의 실질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을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변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신발 플레이트(300d)는 제1 단부(301)와 제2 단부(302)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를 형성하고, 토우 세그먼트(362), MTP 세그먼트(364), 브리지 세그먼트(366) 및 힐 세그먼트(368)를 한정하도록 상기 길이에 걸쳐 분할된다. 플레이트(300d)의 브리지 세그먼트(366d)는 플레이트(300a, 300b, 300c)의 브리지 세그먼트(366)의 폭과 비교하여 힐 세그먼트(368)에 근접한 위치에서 감소된 폭을 형성한다. 좁은 브리지 세그먼트(366d)는 유연성을 증가시키면서 신발 플레이트(300d)의 무게를 감소시킨다. MTP 세그먼트(364)는 플레이트(300d)의 가장 넓은 부분과 관련되는 반면, 토우 세그먼트(362)는 발의 발가락을 지지하도록 약간 좁다.
도 26을 참조하면, 신발 플레이트(300) 대신에 도 1~15 및 도 31~39의 신발 물품(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 및 10h) 중 임의의 하나에 통합될 수 있는 신발 플레이트(300e)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신발 플레이트(300e)에 대한 신발 플레이트(300)와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의 실질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을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변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도 26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과 관련된 힐 세그먼트(368)가없는 신발 플레이트(300e)를 예시한다. 플레이트(300e)는 제1 단부(301e)와 제2 단부(302) 사이에서 연장되는 감소된 길이를 한정하고, 토우 세그먼트(362), MTP 세그먼트(364) 및 절두형 브리지 세그먼트(366e)를 한정하도록 상기 길이에 걸쳐 분할된다. 여기서, 플레이트(300e)의 제1 단부(301e)는 플레이트(300~300d)의 후방 지점(326~326d)과 관련된다.
일부 예에서, 절두형 브리지 세그먼트(366e)는 발의 족근중족(tarsometatarsal) 관절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감소된 길이와 관련된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300e)는 절두형의 브리지 세그먼트(366e), MTP 세그먼트(364) 및 토우 세그먼트(362)를 포함하는 만곡 영역(310)만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7은 신발 플레이트(300) 대신에 도 1~15 및 도 31~39의 신발 물품(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 및 10h) 중 임의의 하나에 통합될 수 있는 신발 플레이트(300f)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신발 플레이트(300f)에 대한 신발 플레이트(300)와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의 실질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을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변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신발 플레이트(300f)는 제1 단부(301)와 제2 단부(302) 사이에서 분할된 전족부(12f), 중족부(14) 및 힐 부분(16)을 통해 연장되는 길이를 형성한다. 플레이트(300f)는 분할된 전족부(12f)와 중족부(14)를 통해 연장되는 만곡 영역(310)을 포함한다. 플레이트(300f)는 플레이트(300f)의 만곡 영역(310)으로부터 제1 단부(301)까지 힐 부분(16)을 통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00f)의 분할된 전족부(12f)는 외측 세그먼트(371) 및 내측 세그먼트(372)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외측 및 내측 세그먼트(371, 372)는 각각 플레이트(300f)의 MTP 지점(320)으로부터 연장된다. 전족부(12f)를 외측 세그먼트(371) 및 내측 세그먼트(372)로 분할하는 것은 플레이트(300f)의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내측 세그먼트(372)는 발의 제1 MTP 골(예, 엄지 발가락) 및 엄지 발가락을 지지하는 데 적절한 폭과 관련된다. 플레이트(300f)는 하나의 인접한 시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8은 신발 플레이트(300) 대신에 도 1~15 및 도 31~39의 신발 물품(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 및 10h) 중 임의의 하나에 통합될 수 있는 신발 플레이트(300g)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신발 플레이트(300g)에 대한 신발 플레이트(300)와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의 실질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을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변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신발 플레이트(300g)는 제1 단부(301)와 제2 단부(302) 사이에서 핑거형 전족부(12g), 중족부(14) 및 힐 부분(16)을 통해 연장되는 길이를 형성한다. 플레이트(300g)는 핑거형 전족부(12g)와 중족부(14)를 통해 연장되는 만곡 영역(310)을 포함한다. 플레이트(300g)는 플레이트(300f)의 만곡 영역(310)으로부터 제1 단부(301)까지 힐 부분(16)을 통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00g)의 핑거형 전족부(12g)는 외측 곡률(374)을 가지는 내측 세그먼트(372g)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내측 세그먼트(372g)는 플레이트(300g)의 MTP 지점(320)으로부터 연장되고, 발의 제1 MTP 골(예, 엄지 발가락)을 지지하는 데 적절한 폭과 관련된다. 플레이트(300g)는 하나의 인접한 시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9는 신발 플레이트(300) 대신에 도 1~15 및 도 31~39의 신발 물품(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 및 10h) 중 임의의 하나에 통합될 수 있는 신발 플레이트(300h)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신발 플레이트(300h)에 대한 신발 플레이트(300)와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의 실질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을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변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신발 플레이트(300h)는 제1 단부(301)와 제2 단부(302) 사이에서 헤일로형(halo-shaped) 전족부(12h), 중족부(14) 및 힐 부분(16)을 통해 연장되는 길이를 형성한다. 플레이트(300h)는 헤일로형 전족부(12h)와 중족부(14)를 통해 연장되는 만곡 영역(310)을 포함한다. 플레이트(300h)는 플레이트(300h)의 만곡 영역(310)으로부터 제1 단부(301)까지 힐 부분(16)을 통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00h)의 헤일로형의 전족부(12h)는 플레이트(300h)의 전족부(12h)를 통해 형성된 내부 컷아웃 영역(380)을 포함한다. 컷아웃 영역(380)은 플레이트(300h)의 외주에 의해 경계진 림(rim)(382)에 의해 둘러싸인다. 일부 예에서, 림(382)은 플레이트(300h)의 MTP 지점(320)으로부터 연장되고 발 아래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내부 컷아웃 영역(380)은 플레이트(300h)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개방 영역과 연관된다. 플레이트(300h)는 하나의 인접한 시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플레이트(300h)는 기재 상에 제1 섬유 토우를 적용하고 기재를 노출시키도록 컷아웃 영역(380)의 형상과 관련된 제1 섬유 토우 내에 보이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기재의 노출된 부분은 이후 제거(예, 절단)되어 컷아웃 영역(380)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섬유 토우는 제1 섬유 토우에 의해 형성된 보이드의 둘레 주위로 연장되어, 일단 열과 압력 중 적어도 하나가 인가되어 플레이트(300h)를 형성하면 컷아웃 영역(380)을 구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30은 신발 플레이트(300) 대신에 도 1~15 및 도 31~39의 신발 물품(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 및 10h) 중 임의의 하나에 통합될 수 있는 신발 플레이트(300i)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신발 플레이트(300i)에 대한 신발 플레이트(300)와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의 실질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을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변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신발 플레이트(300i)는 제1 단부(301)와 제2 단부(302) 사이에서 집게형 전족부(12i), 중족부(14) 및 힐 부분(16)을 통해 연장되는 길이를 형성한다. 플레이트(300i)는 집게형 전족부(12i)와 중족부(14)를 통해 연장되는 만곡 영역(310)을 포함한다. 플레이트(300i)는 플레이트(300i)의 만곡 영역(310)으로부터 제1 단부(301)까지 힐 부분(16)을 통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31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00i)의 집게형 전족부(12i)는 외측 세그먼트(371i) 및 내측 세그먼트(372i)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외측 및 내측 세그먼트(371i, 372i)는 각각 플레이트(300f)의 MTP 지점(320)으로부터 연장된다. 세그먼트(371i, 372i)는 개구(384)가 세그먼트(371i, 372i)를 분리시켜 세그먼트(371i, 372i)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29의 플레이트(300h)의 컷아웃 영역과 유사한 내부 컷아웃 영역(380i)을 형성하도록 협력할 수 있다. 따라서, 집게형 전족부(12i)는 내부 컷아웃 영역(380i)이 분할된 전족부(12f)를 합체하는 플레이트(300f)의 중량에 비해 감소된 중량을 플레이트(300i)에 제공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27의 분할된 전족부(12f)의 세그먼트(371, 372)와 유사하게 서로 독립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외측 및 내측 세그먼트(371i, 372i)를 제공한다. 플레이트(300i)는 하나의 인접한 시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는 갑피(100)와 갑피(100)에 부착된 밑창 구조체(200e)를 포함하는 신발 물품(10e)을 제공한다. 신발 물품(10e)에 대한 신발 물품(10)과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의 실질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을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변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체(200e)는 적층 구성으로 배열된 아웃솔(210e), 완충 부재(250e), 신발 플레이트(300) 및 미드솔/스트로브(220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2는 도 31의 32-32 라인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를 제공하고, 중족부(220e)와 힐 부분(14, 16)에서 완충 부재(250e)와 미드솔(220e) 사이에, 그리고 전족부(12)에서 아웃솔(210e)과 미드솔(220e) 사이에 배치된 신발 플레이트(300)를 예시한다. 완충 부재(250e)는 지면(2)에 대향하는 바닥면(252e)과, 바닥면(252e)과는 완충 부재(250e)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플레이트(300)에 부착된 상부면(254e)을 포함한다. 아웃솔(210e)은 완충 부재(250e)의 바닥면(252e)과 플레이트(300)에 부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면-결합 세그먼트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아웃솔(210e)은 완충 부재(250e)의 바닥면(252e)이 밑창 구조체(200e)의 중족부 및 힐 부분(14, 16)에서 지면과 접촉하고 플레이트(300)가 밑창 구조체(200e)의 전족부(12)의 지면(2), 즉 플레이트(300)의 만곡 영역(310)과 접촉하도록 생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돌출부(800)(예, 트랙 스파이크)가 플레이트(300) 및 아웃솔(210e)로부터 지면(2) 측으로 연장되어 지면과 함께 견인력을 제공한다. 돌출부(800)는 플레이트(300) 또는 아웃솔(210e)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도 32는 MTP 지점(320) 위에(예, 플레이트(300)와 미드솔(220e) 사이에) 또는 MTP 지점(320) 아래에(예, 플레이트(300)와 아웃솔(210e) 사이에) 완충 재료가 배치되지 않은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완충 재료(250e)는 달리기 동작 중에 지면-반응력의 초기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중족부 및 힐 부분(14, 16)에 제공되지만, 완충이 덜 필수적인 전족부에는 밑창 구조체(200e)의 중량을 감소시키도록 완충 재료가 제공되지 않는다. 밑창 구조체(200e)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신발(10e)은 더 짧은 거리의 트랙 이벤트를 위한 트랙 신발과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인솔(260)은 발 밑의 내부 보이드(102) 내의 미드솔(220e)의 풋베드(22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는 갑피(100)와 갑피(100)에 부착된 밑창 구조체(200f)를 포함하는 신발 물품(10f)을 제공한다. 신발 물품(10f)에 대한 신발 물품(10)과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의 실질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을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변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체(200f)는 적층 구성으로 배열된 아웃솔(210f), 완충 부재(250f), 신발 플레이트(300) 및 미드솔/스트로브(220f)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4는 도 33의 34-34 라인을 따라 취한 부분 횡단면도를 제공하고, 완충 부재(250f)와 미드솔(220f) 사이에 배치된 신발 플레이트(300)와 플레이트(300)와 아웃솔(210f) 및/또는 지면(2) 사이에 배치된 완충 부재(250f)를 예시한다. 완충 부재(250f)는 지면(2)에 대향하는 바닥면(252f)과, 바닥면(252f)과는 완충 부재(250f)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플레이트(300)에 부착된 상부면(254f)을 포함한다. 아웃솔(210f)은 완충 부재(250f)의 바닥면(252f)에 부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면-결합 세그먼트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아웃솔(210f)은 완충 부재(250f)의 바닥면(252f)이 지면(2)과 접촉하도록 생략된다. 더욱이, 인솔(260)은 발 밑의 내부 보이드(102) 내의 미드솔(220f)의 풋베드(22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250f)는 전족부(12)보다 밑창 구조체(200f)의 힐 부분(16)에서 더 큰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아웃솔(210f)과 미드솔(220f)을 분리하는 간극 또는 거리는 힐 부분(16)으로부터 전족부(12) 측으로 밑창 구조체(200)의 종축(L)을 따른 방향으로 감소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완충 부재(250f)의 상부면(254f)은 평탄하고, 신발 플레이트(300)와 완충 부재(250f)가 서로 동일 높이가 되도록 신발 플레이트(300)의 표면 프로파일과 일치하도록 형상화된 표면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완충 부재(250f)는 밑창 구조체의 전족부(12)의 두께를 8 ㎜ 내지 9 ㎜를 포함하는 범위 내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00)의 만곡 영역(310)에 대향하는 완충 부재(250f)의 두께는 플레이트(300)가 주행 동작 중에 지면(2)에 직접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만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돌출부(800)(예, 트랙 스파이크)가 플레이트(300) 및 아웃솔(210f)로부터 지면(2) 측으로 연장되어 지면과 함께 견인력을 제공한다. 돌출부(800)는 플레이트(300), 완충 부재(250f) 또는 아웃솔(210f)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은 갑피와 갑피(100)에 부착된 밑창 구조체(200g)를 포함하는 신발 물품(10g)을 제공한다. 신발 물품(10g)에 대한 신발 물품(10)과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의 실질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을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변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도 35는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고 종축(L)을 형성하는 아웃솔(210g), 완충 부재(250g), 신발 플레이트(300) 및 미드솔/스트로브(220)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200g)를 보여주는 신발 물품(10g)의 상부 사시도를 제공한다. 일부 구성에서, 신발 플레이트(300)의 외주 에지는 외측부 및 내측부(18, 20)를 따라 신발(10g)의 외부로부터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신발(10g)은 보행에 사용되도록 의도되게 설계될 수 있다.
도 36은 도 35의 36-36 라인을 따라 취해진 부분 단면도를 제공하며, 완충 부재(250g)와 미드솔(220) 사이에 배치된 신발 플레이트(300)와, 플레이트(300)와 아웃솔(210g) 사이에 배치된 완충 부재(250g)를 예시한다. 인솔(260)은 발 아래의 내부 보이드(102) 내에 풋베드(22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6의 구성에 포함되지 않지만, 도 1~3의 유체 충전 블래더(400)가 추가적인 완충을 제공하도록 밑창 구조체(200g)에 의해 합체될 수 있다. 아웃솔(210g)은 지면 결합면(212g) 및 해당 지면 결합면(212g)보다 아웃솔(210g)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완충 부재(250g)의 바닥면(252g)에 대향하는 내부면(214g)을 포함한다. 완충 부재(250g)는 바닥면(252g)과, 바닥면(252g)보다 완충 부재(250g)의 반대측에 배치된 상부면(254g)을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200g)의 구성은 밑창 구조체(200g)가 신발(10g)의 바닥에서 보았을 때 플레이트(300)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아웃솔(210g) 및 완충 부재(250g)를 통해 형성된 복수의 구멍(255)을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1~3의 밑창 구조체(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36은 힐 부분(16) 및 전족부(12)에 위치된 복수의 구멍(255)을 예시한다. 다른 구성은 중족부(14)의 구멍뿐만 아니라 힐 부분(16) 및/또는 전족부(12)에 더 많거나 적은 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12, 14, 16) 중 하나의 부분에만 구멍(255)이 형성된다. 각각의 구멍(255)은 아웃솔(210g) 및 완충 부재(250g)를 통해 형성될 수 있고, 종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리하게, 구멍(255)은 더 가벼운 신발 물품(10g)을 제공하도록 신발 구조체(200g)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도록 작동한다. 구멍(255)은 유사하게 도 1~15 및 도 33~36의 밑창 구조체(200~200f) 중 임의의 것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37~39는 갑피(100)와 갑피(100)에 부착된 밑창 구조체(200h)를 포함하는 신발 물품(10h)을 제공한다. 신발 물품(10h)에 대한 신발 물품(10)과 관련된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기능의 실질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을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변형된 구성 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체(200h)는 적층 구성으로 배열된 아웃솔(210), 제1 완충 부재(250h), 유체 충전 블래더(400h)로 형성된 플레이트 및 미드솔/스트로브(220h)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8은 종축(L)을 형성하는 밑창 구조체(200h)(예, 아웃솔(210h), 완충 부재(250h) 및 미드솔(220h))를 예시하는 신발 물품(10h)의 분해도를 제공한다. 아웃솔(210h)은 지면 결합면(212)보다 아웃솔(210)의 반대 측면 상에 배치된 내부면(214h)을 포함한다. 미드솔(220h)은 풋베드(224)보다 미드솔(220h)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아웃솔(210)의 내부면(214h)에 대향되는 바닥면(222h)을 포함한다.
완충 부재(250h) 및 유체 충전 블래더(400h)는 내부면(214h)과 바닥면(222h) 사이에 배치되어 미드솔(220h)과 아웃솔(210h)을 분리시킨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250h)는 아웃솔(210h)의 내부면(214h)에 의해 수용된 바닥면(252)과 바닥면(252)보다 완충 부재(250h)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미드솔(220h)에 대향되어 상부에 블래더(400h)를 지지하는 상부면(254h)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측벽(230h)은 완충 부재(250h)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완충 부재(250h)와 미드솔(220h)을 분리시켜 그 사이에 공동(240h)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측벽(230h)은 보행 또는 달리기 운동을 수행할 때 신발(10)의 사용 중에 발을 유지하도록 완충 부재(250h)의 윤곽이 형성된 상부면(254h)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림을 형성할 수 있다 림은 완충 부재(250)가 미드솔(220)에 부착될 때 미드솔(220)의 외주 둘레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유체 충전 블래더(400h)는 완충 부재(250h)의 상부면(254h) 위와 미드솔(220h) 아래에 배치되어, 달리기 동작 중에 지면과의 결합을 위해 신발(10h)이 롤링될 때 발의 롤링을 향상시키면서 MTP 관절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킨다. 도 1~3의 신발 플레이트(300)와 마찬가지로, 유체 충전 블래더(400h)는 완충 부재(250h) 및 아웃솔(210h)의 강성보다 큰 강성을 가진다. 유체 충전 블래더(400h)는 밑창 구조체(200h)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되는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블래더(400h)의 길이는 밑창 구조체(200h)의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12, 14, 16)을 통해 연장된다. 다른 예에서, 블래더(400h)의 길이는 전족부(12) 및 중족부(14)를 통해 연장하고, 힐 부분(16)에는 없다.
완충 부재(250h)는 미드솔(220h)과 아웃솔(210h)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완충 부재(250h)는 도 1~3의 완충 부재(250)를 형성하는 동일한 일종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중합체 발포 슬래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250h)는 EVA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PEBA 공중합체 및/또는 TPU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체 충전 블래더(400h)는 지면 반응력에 응답하여 신발(10h)의 완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래더(400)는 공기, 질소, 헬륨, 황, 육플루오르화물, 또는 액체/겔과 같은 가압 유체로 충전될 수 있다.
유체 충전 블래더(400h)의 길이는 완충 부재(250h)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블래더(400h)의 길이, 폭 및 두께는 완충 부재(250h)의 상부면(254h)과 미드솔(220h)의 바닥면(222h) 사이의 공간(예, 공동(240h))의 부피를 실질적으로 점유할 수 있고, 밑창 구조체(200h)의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12, 14, 16)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블래더(400h)는 밑창 구조체(200h)의 전족부(12) 및 중족부(14)를 통해 연장되지만 힐 부분(16)에는 없다. 일부 예에서. 블래더(400h)의 측벽(403)은 신발(10h)의 외측부 및/또는 내측부(18, 20)를 따라 관찰 가능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완충 부재(250h)의 상부면(254h) 및 미드솔(220h)의 바닥면(222h)은 평탄하고 블래더(400h)의 대향 측면의 표면 프로파일과 일치하도록 형상화된 표면 프로파일을 포함함으로써 블래더(400h)는 완충 부재(250h) 및 미드솔(200h)과 동평면으로 결합된다.
유체 충진 블래더(400h)는 가압 유체를 내부에 유지하기 위해 내구적인 밀봉 장벽을 제공하면서 가압 유체를 수용하는 내부 공동을 형성한다. 블래더(400h)는 미드솔(220h)의 바닥면(222h)에 대향하는 상부 장벽부(401)와, 상부 장벽부(401)보다 블래더(400h)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완충 부재(250h)의 상부면(254h)에 대향하는 하부 장벽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403)은 블래더(400h)의 주변 둘레로 연장되고 상부 장벽부(401)를 하부 장벽부(402)에 연결한다.
일부 구성에서, 유체 충전 블래더(400h)의 내부 공동은 테더(tether) 요소(500)를 역시 수용하는 데, 테더 요소(500)는 상부 장벽부(401)에 부착되는 상부 플레이트, 하부 장벽부(402)에 부착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테더 요소(500)의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테더(530)를 구비한다. 테더 요소(500)를 블래더(400h)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 결합 또는 열 접착이 사용될 수 있다. 테더 요소(500)는 블래더(400h)가 블래더(400h)의 내부 공동 내의 유체의 압력으로 인해 외부로 팽창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확장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한다. 즉, 테더 요소(500)는 장벽부(401, 402)의 의도된 표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압력하에 있을 때 블래더(400h)의 팽창을 제한할 수 있다.
도 39는 도 37의 39-39 라인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를 제공하며, 완충 부재(250h)와 미드솔(220h) 사이에 배치된 유체 충전 블래더(400h)와 아웃솔(210h)과 블래서(400h) 사이에 배치된 완충 부재(250h)를 예시한다. 인솔(260)은 발 아래의 내부 보이드(102) 내에 풋베드(22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완충 부재(250h)는 전족부(12)에서보다 밑창 구조체(200h)의 힐 부분에서 더 큰 두께를 가지며, 상부면(254h)은 상부의 블래더(400h)의 하부 장벽부(402)의 표면 프로파일과 일치하도록 형상화된 표면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완충 부재(250h)는 미드솔(220h)과 협동하여 그 사이에 블래더(400h)를 둘러싸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신발 플레이트(300~300i)에서와 같이, 블래더(400h)는 전족부(12) 및 중족부(14)를 통해 연장되는 만곡 영역(410)을 포함하고, 힐 부분(16)을 통해 만곡 영역(410)의 후방 지점으로부터 밑창 구조체(200h)의 토우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블래더(400h)의 AMP까지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영역(412)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만곡 영역은 도 1~3의 신발 플레이트(300)의 전방 및 후방 만곡부(322, 324) 각각과 유사한 전방 만곡부(422) 및 후방 만곡부(424)를 형성하는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만곡부(422, 424)는 각각 아웃솔(21Oh)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블래더(400h)의 지점과 관련된 MTP 지점(420)에 대해 경면 대칭된 동일한 곡률 반경을 포함한다. 다른 구성에서, 만곡부(422, 424)는 각각 상이한 곡률 반경과 연관된다. 만곡부(322, 324)는 각각 블래더(400h)의 전체 길이의 약 30%를 차지할 수 있는 한편, 평탄한 영역(412)의 길이는 블래더(400h)의 길이의 나머지 40%를 차지할 수 있다. 만곡 영역(410)의 전방 만곡부 및 후방 만곡부(422, 424) 각각은 발의 MTP 관절에 근접한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키고, 또한 달리기 동작 중에 발의 롤링을 향상시켜 응력 중심간 거리를 감소시키고 발목 관절에 대한 변형을 완화시키는 종방향 강성을 블레이드(400)에 제공한다. 도 37~39의 예의 신발(10h)은 완충 부재(250h)와 미드솔(220h) 사이에 신발 플레이트(300) 대신에 만곡된 유체 충전 블래더(400h)를 포함하지만, 만곡된 유체 충전된 블래더(400h)는 전술한 신발 물품(10~10ㅎ) 중 임의의 신발 물품의 플레이트(300)를 대체할 수 있다.
전술한 신발 플레이트(300~300i)는 미리 함침된(즉, "프리프레그") 섬유 시트 또는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섬유 시트 또는 텍스타일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신발 플레이트(300~300i)는 섬유 토우를 기재에 또는 서로에 부착시킴으로써 일종 이상의 섬유(예, 섬유 토우)의 다중 필라멘트로 형성되는 스트랜드에 의해 제조되어 주로 미리 결정된 각도 또는 미리 결정된 위치에 배열된 섬유의 스트랜드를 가지는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섬유 스트랜드를 사용할 때, 스트랜드에 포함된 섬유의 유형은 스트랜드에 존재하는 다른 섬유 및 선택적으로는 스티칭 스레드(thread) 또는 기재 또는 양자 모두와 같은 다른 성분을 고화시키기 위해 용융 및 재응고될 수 있는 합성 중합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섬유 스트랜드 및 선택적으로 스티치 스레드 또는 기재 또는 양자 모두와 같은 다른 성분은 섬유 스트랜드를 기재 및/또는 서로에 부착시킨 후에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고화될 수 있다. 위의 과정은 아래에 설명된다.
도 40a~40e 및 도 41을 참조하면, 신발 플레이트(300~300i)는 일련의 적층된 프리프레그(prepreg) 섬유 시트(600a~600e)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프리프레그 섬유 시트(600a~600e)는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600a-600e)의 각각은 수지로 함침된 일련의 섬유(602)를 갖는 다축 직물 또는 단일 방향 테이프일 수 있다. 섬유(602)는, 단일 방향 시트 또는 다축 직물을 형성하는, 탄소 섬유, 아라미드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다른 중합체 섬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 섬유는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조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일 수 있다. 중합체 섬유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조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 섬유는 아라미드를 조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 섬유는 폴리(p-페닐렌-2,6-벤조비스옥사졸)(PBO)을 조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탄소 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붕소 섬유와 같은 섬유는 높은 영률을 제공할 수 있고, 유리 섬유(예를 들어, 섬유 유리) 및 다른 중합체 섬유(예를 들어, 아라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올레핀이 아닌 폴리아미드들과 같은 합성 섬유)는 중간 영률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트(600a-600e) 중의 일부는, 단일 방향 테이프일 수 있고, 시트(600a-600e) 중의 다른 것은 다축 직물일 수 있다. 더욱이, 시트(600a-600e)의 각각은 동일한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섬유(602)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시트(600a-600e) 중의 하나 이상은, 다른 시트(600a-600e)의 섬유(602)와 상이한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섬유(60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00~300i)의 제조 중에, 단일 방향 테이프 또는 다축 직물이 제공되고, 섬유 겹(fiber ply)들로 절단된다. 겹들은, 서로에 대해 각도를 갖도록 놓이고 절취되며, 그리고 다양한 시트(600a-600e)의 형상은 적층된 겹들로부터 도 40a 내지 도 40e에 도시된 형상으로 절단된다. 이렇게 하는데 있어서, 시트(600a-600e)는 단일 방향 테이프 또는 다축 직물의 섬유(602)의 종축이 일단 절단된 각각의 시트(600a-600e)의 종축(L)에 대해 소정의 각도(Φ)로 배치되도록, 서로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형성되는 섬유(602)를 구비한다. 따라서, 시트(600a-600e)가 서로 적층될 때, 섬유(602)의 종축은, 플레이트(300~300i)의 종축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로 배치된다.
하나의 구성에서, 도 40a에 도시된 각도(Φ)는 0도(0°)이고, 도 40b에 도시된 각도(Φ)는 -15도(-15°)이고, 도 40c에 도시된 각도(Φ)는 -30도(-30°)이고, 도 40d에 도시된 각도(Φ)는 15(15°)이고, 도 40e에 도시된 각도(Φ)는 30도(30°)이다. 플레이트(300~300i)를 제조할 때, 시트(600a-600e)가 적층된 겹으로부터 절단될 때, 시트(600a-600e)가 도 40a 내지 도 40e에 도시된 형상들을 갖고 도 41에 도시된 순서로 적층되도록, 겹들이 적층된다. 즉, 바닥 시트(600c)는 종축(L)에 대해 -30°로 위치 설정되는 섬유들(602)을 포함하고, 다음 시트(600d)는 종축(L)에 대해 15°로 위치 설정되는 섬유들을 포함하고, 다음 2개의 시트(600a)는 종축(L)에 대해 0°로 위치 설정되는 섬유들을 포함하고, 다음 시트(600b)는 종축(L)에 대해 -15°로 위치 설정되는 섬유들을 포함하고, 상부의 마지막 시트(600e)는 종축(L)에 대해 30°로 위치 설정되는 섬유들을 포함한다. 바닥 시트(600c)가 종축(L)에 대해 -30°의 각도(Φ)로 위치 설정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상부 시트(600e)가 종축(L)에 대해 30°의 각도(Φ)로 위치 설정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바닥 시트(600c)는 대안적으로 종축(L)에 대해 -15°의 각도(Φ)로 위치 설정될 수 있고, 상부 시트(600e)는 대안적으로 종축(L)에 대해 15°의 각도(Φ)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2장의 시트(600a)가 종축(L)에 대해 0°의 각도(Φ)로 위치 설정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0°의 각도(Φ)로 위치 설정되는 2개보다 많은 시트(600a)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8개의 시트(600a)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8장의 시트(600a)가 제공될 수 있다.
일단 겹들이 적층되고 시트(600a-600e)로 절단되면, 적층체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적층된 시트(600a-600e)에 플레이트(300~300i)의 특정 형상을 부여하기 위해 열 및 압력을 받는다. 부가적으로, 수지로 사전 함침되는 섬유가 사용될 때, 적층체에 열 및 압력을 가하는 것은, 사전 함침된 수지를 용융시키거나 연화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겹들을 함께 부착하고 이들을 특정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액체 수지가 플레이트들을 함께 부착하기 위하여 그리고 일부 경우에 섬유들을 고화시키기 위하여 겹들에 도포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일단 수지가 응고되면 플레이트의 인장 강도를 증가시킨다.
도 42a 내지 도 42e를 참조하면, 신발 플레이트(300~300i)가 기재에 섬유의 스트랜드를 부착하는 프로세스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즉, 신발 플레이트(300~300i)는 플레이트(300~300i) 전체에 걸쳐 이방성 강성 및 경사진 하중 경로를 부여하기 위하여 선택된 패턴으로 배열되는, 섬유의 하나 이상의 스트랜드(702)로부터 형성된다. 섬유들의 스트랜드들(702)은, 동일한 기재 또는 별도의 기재(704)에 부착될 수 있고, 적층된 구성으로 자수될 수 있다. 섬유의 스트랜드(702)가 별도의 기재(704)에 적용되는 경우, 개별적인 기재(704)는, 일단 각각 기재(704)에 섬유의 스트랜드(702)가 공급되면, 서로의 상부에 적층된다. 한편, 단지 하나의 기재(704)가 플레이트(300~300i)를 형성하는데 활용되는 경우, 섬유의 제1 스트랜드(702)가 기재(704)에 적용되고, 섬유의 부가적인 스트랜드(702)(즉, 층)가, 제1 스트랜드(702)의 상부에 적용된다. 마지막으로, 섬유의 단일의 연속하는 스트랜드(702)가 플레이트(300)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스트랜드(702)는 초기에 기재(704)에 적용되고 부착되고, 도 43에 도시된 적층된 구성을 형성하기 위해, 후속적으로 그 자체의 상부에 적층된다. 상술한 프로세스의 각각이 플레이트(300~300i)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다음의 프로세스는, 개별적인 스트랜드(702a-702e)가 미리 형성된 플레이트의 층(700a~700e)을 각각 형성하는 도 43에 도시된 적층된 구성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용된 섬유의 개별 스트랜드(702)와 함께 단일 기재(704)를 채용하는 것으로 설명될 것이다.
각각의 스트랜드(702)는 복수의 섬유의 토우, 모노 필라멘트, 얀(yarn) 또는 중합체 사전 함침 토우와 관련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랜드(702)는, 활성화될 때, 원하는 형상으로 그리고 서로에 대한 위치에서 탄소 섬유를 굳히고 유지하는 복수의 탄소 섬유 및 복수의 수지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토우(tow)"는, 꼬이거나 꼬이지 않을 수 있는, 다발(즉, 복수의 필라멘트(예를 들어, 섬유)을 지칭하고, 각각의 토우는 대응하는 토우가 포함하는 섬유들의 개수와 연관되는 크기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스트랜드(702)가, 대략 다발당 1,000개의 섬유 내지 대략 다발당 48,000개의 섬유의 크기 범위에 놓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기재(704)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 스트랜드(702)가 그에 부착되는 장막, 보유체 또는 지지체 중의 어느 하나와 관련 있다. 기재(704)는 열경화성 중합체 재료 또는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직물(예를 들어, 편물, 직조물, 또는 비직조물), 사출 성형 물품, 오르가노시트 또는 열성형 물품일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각 스트랜드(702)와 연관되는 섬유는 탄소 섬유, 아라미드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탄소 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붕소 섬유와 같은 섬유는 높은 영률을 제공할 수 있고, 유리 섬유(예를 들어, 섬유 유리) 및 중합체 섬유(예를 들어, 합성 섬유)는 중간 영률을 제공할 수 있다.
플레이트(300~300i)를 형성할 때, 제1 스트랜드(702c)가 기재(704)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 스트랜드(702c)는 기재(704)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원하는 위치에 제1 스트랜드(702c)를 유지하기 위하여 기재(704)에 스티칭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서, 제1 스트랜드(702c)는 스트랜드(702c)가 기재(704)의 종축(L)에 대해 -30도(-30°)인 것으로 도 42c에 도시된 각도(Φ)로 위치 설정되도록, 기재(704)에 적용된다. 다른 스트랜드 또는 제2 스트랜드(702d)는 예를 들어,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702c)에 적용될 수 있고, 기재(704)의 종축(L)에 대해 15도(-15°)인 것으로 도 42b에 도시된 각도(Φ)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스트랜드(702a)가 기재(704)의 종축(L)에 대해 0도(0°)인 것으로 도 42a에 도시된 각도(Φ)로 제2 스트랜드에 적용될 수 있다. 제4 스트랜드(702b)가 기재(704)의 종축(L)에 대해 -15도(15°)인 것으로 도 42d에 도시된 각도(Φ)로 제3 스트랜드에 적용될 수 있다. 제5의 마지막 스트랜드(702e)가 기재(704)의 종축(L)에 대해 30도(30°)인 것으로 도 42e에 도시된 각도(Φ)로 제2 스트랜드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스트랜드(702c)가 기재(704)의 종축(L)에 대해 -30도(-30°)인 것으로 도 42c에 도시된 각도(Φ)로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며, 제5 스트랜드(702e)가 기재(704)의 종축(L)에 대해 30도(30°)인 것으로 도 42e에 도시된 각도(Φ)로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이러한 각도들(Φ)은 대안적으로 각각 -15도(-15°) 및 15도(15°)일 수 있다.
스트랜드(702a-702e)는 사전 형성된 플레이트(300~300i)의 여러 층(700a-700e)을 형성한다. 일단 층(700a-700e)이 형성되면, 층(700a-700e)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여러 스트랜드(702a-702e)의 함침된 수지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그리고 더하여 플레이트들(300~300i)의 특정 형상을 층(700a-700e)에 부여하기 위해, 열 및 압력을 받는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층된 프로세스(도 43)를 사용하여 형성된 플레이트(300~300i)는 프리프레그 섬유 시트(도 41)를 통해 형성된 플레이트(300~300i)보다 적은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즉, 적층된 프로세스는 단지 기재(704)의 종축(L)에 대해 0도(0°)인 것으로 도 42a에 도시되는 각도(Φ)를 갖는 단일 층(700a)만을 활용할 수 있다. 적층된 프로세스가 플레이트(300~300i)를 형성하는데 하나 적은 층을 사용하지만, 결과에 따른 플레이트(300~300i)는 프리프레그 섬유 시트를 사용하여 형성된 플레이트(300~300i)와 실질적으로 특성(즉, 강성, 두께 등)을 갖는다.
특히, 도 44 및 45를 참조하면, 플레이트(300~300i)의 형성은 몰드(800)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몰드(800)는 제1 몰드 절반부(first mold half)(802) 및 제2 몰드 절반부(804)를 포함한다. 몰드 절반부(802, 804)는 적층된 시트(600a-600e) 또는 층(700a-700e)에 몰드(800)가 특정 플레이트(300~300i)의 원하는 형상을 부여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플레이트(300~300i)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 몰드 공동(806)을 포함한다.
적층된 시트(600a-600e) 또는 층(700a-700e)을 형성한 후에, 시트(600a-600e) 또는 층(700a-700e)은, 몰드 절반부(802, 804) 사이에서 몰드 공동(806) 내부에 삽입된다. 이 시점에, 몰드(800)는, 몰드 절반부(802, 804)를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거나 또는 몰드 절반부(802, 804) 중의 하나를 다른 몰드 절반부(802, 804)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폐쇄된다. 일단 폐쇄되면, 몰드(800)는, 적층된 시트(600a-600e) 또는 층(700a-700e)과 연관되는 수지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몰드 공동(806) 내부에 배치되는 적층된 시트(600a-600e) 또는 층(700a-700e)에 열 및 압력을 가한다. 적층된 시트(600a-600e) 또는 층(700a-700e)에 가해지는 열 및 압력은, 몰드 공동(806)의 특정 형상이 적층된 시트(600a-600e) 또는 층(700a-700e)에 적용되게 하며, 일단 경화되면, 적층된 시트(600a-600e) 또는 층(700a-700e)과 연관되는 수지는 적층된 시트(600a-600e) 또는 층(700a-700e)이 원하는 형상으로 경화되고 유지되게 한다.
시트(600a-600e) 및 층(700a-700e)이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시트(600a-600e) 및 층(700a-700e)은, 부가적으로, 몰드(800) 내부에 주입되는 수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주입된 수지는, 시트(600a-600e) 및 층(700a-700e)의 함침된 수지에 부가되는 것일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함침된 수지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주입된 수지는 열가소성 재료 및/또는 열경화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주입된 수지는 신발 플레이트의 연성을 증가시키는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6은 전술한 신발 플레이트(300~300i) 중 임의의 것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예시적인 기재(400)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기재(1400)는 실질적으로 얇고, 평탄하며, 유연할 수 있다. 기재(1400) 또는 그 적어도 일부는 열경화성 중합체 재료 또는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기재(1400)는 편직, 직조 또는 부직일 수 있는 직물을 포함한다. 기재(1400)는 임의로 사출 성형품, 열 성형품 또는 오가노시트(organosheet)로 형성될 수 있다. 기재(1400)는 주변 에지(1402)에 의해 한정된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기재(1400)는 내부 부분 내에서 절단되어 도 29의 신발 플레이트(300h)의 컷아웃부(380) 또는 도 30의 신발 플레이트(300i)의 컷아웃부(380i)를 형성한다.
도 47은 도 46의 기재(1400)의 상부면(1410)에 부착되어 기재(1400)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는 섬유(1350)의 제1 토우(1300, 1310)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제1 토우(1310)(즉, 제1 스트랜드 부)는 기재(1400)의 전족부(12)에 제1 보이드(1316)를 형성하고 힐 부분(16)에 제2 보이드(1318)를 형성한다. 일부 예에서, 섬유들(1350)의 제1 토우(1310)는 기재를 따라 2곳의 다른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어 그 위에 제1 층을 형성하고 내부에 기재(1400)를 노출시키도록 보이드들(1316, 1318)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세그먼트(131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세그먼트(1312)의 일부는 보이드(1316, 1318)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기재(1400)의 외주 에지(1402)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1312)의 다른 부분은 기재(1400)의 외주 에지(1402)를 따른 제1 위치와 보이드(1316, 1318) 중 하나의 경계와 관련된 기재(1400)의 내부 영역에서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1 세그먼트(1312)는 서로 인접하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세그먼트(1312)는 기재(1400)의 종축(L)에 대해 제1 각도로 기재(1400)에 적용된다.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는 기재(1400)의 외주 에지(1402)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루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제1 루프부는 인접한 제1 세그먼트(1312)를 연결하도록 동작한다. 도 47은 발의 해부학적 특징을 기초로 방향을 변화시키는 만곡 경로를 포함하는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를 예시한다.
일부 구성에서,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는 제1 스티칭(1314)을 통해 기재(1400)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제1 스티칭(1314)은 기재(1400) 상에 위치된 제1 부착 위치 사이에서 제1 토우(1310)를 가로질러 지그재그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티칭(1314)은 제1 부착 위치에서 기재(1400)를 관통한다. 여기서, 부착 위치는 보이드(1316, 1318) 내에 노출된 기재(1400)의 부분 둘레뿐만 아니라 기재(1400)의 외주 에지(1402)를 따라 제1 토우(13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스티칭(1314)은 기재(1400)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거나, 제1 스티칭(1314)은 제1 스티칭(1314)이 기재(1400)보다 높은 융점과 관련되도록 기재(1400)를 형성하는 재료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스티칭(1314)을 기재(1400)보다 높은 융점으로 제공하는 것은 기재(1400)가 용융하기 시작할 때 스티칭(1314)이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열이 인가될 때 스티칭(1314)이 기재(1400) 다음에 용융되도록 한다. 일부 예에서, 제1 스티칭(1314) 또는 그 적어도 일부는 수지로 형성된다.
도 48은 가열, 성형 및 경화되어 만곡된 실질적으로 경질의 신발 플레이트(300~300i) 중 임의의 것을 형성할 수 있는 자수된 프리폼을 형성하는 적층된 구성으로 도 46의 기재(1400)에 부착된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 섬유(1350)의 제2 토우(1320) 및 섬유(1350)의 제3 토우(1330)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다른 구성은 다른 기재(1400)에 부착되고 적층되어 적층형 기재(1400)를 제공하는 각각의 토우(1310, 1320, 13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들)(1400) 및/또는 토우(1310, 1320, 1330)는 신발 플레이트(300~300i)를 형성하도록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기 전에 트리밍될 수 있다.
도 49는 도 48의 자수된 프리폼의 분해도를 제공하며, 각각의 토우(1310, 1320, 1330)가 섬유(1350)의 개별적인 대응 스트랜드/묶음으로 형성되도록 기재(1400), 제1 토우(1310), 제2 토우(1320) 및 제3 토우(1330) 중 각각의 하나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제1 토우(1310), 제2 토우(1320) 및 제3 토우(1330) 중 적어도 하나는 섬유(1350)의 대응하는 연속 스트랜드로부터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구성에서, 토우(1310, 1320, 1330)는 모두 동일한 연속 스트랜드/다발의 섬유(1350)로 형성될 수 있다. 토우(1310, 1320, 1330)는 상부면(1410)보다 기재(1400)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된 바닥면(1412)을 관통하지 않고 기재(1400)의 상부면(1410)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토우(1310)는 제1 형상과 관련되고 제2 토우(1320)는 제1 형상과 상이한 제2 형상과 연관된다. 유사하게, 제3 토우(1330)는 제1 및 제2 형상과 다를 수 있는 제3 형상과 관련된다. 따라서, 토우(1310, 1320, 1330) 중 적어도 2개와 관련된 층은 이방성일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제2 형상 및/또는 제3 형상과 대략 동일한 제1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토우(1310, 1320, 1330) 중 적어도 2개는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이에 비해, 다른 구현예는 상이한 길이를 갖는 토우(1310, 1320, 1330)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8 및 도 49의 예는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12, 14, 16)을 통해 연장되는 길이를 형성하는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 전족부 및 중족부(12, 14)를 통해 연장되고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를 형성하는 섬유(1350)의 제2 토우(1320), 및 기재(1400)의 전족부 및 중족부(12, 14) 내에서 연장되고 제2 길이보다 짧은 제3 길이를 형성하는 섬유(1350)의 제3 토우(1330)를 예시한다. 각각의 토우(1310, 1320, 1330)는 다른 토우(1310, 1320, 1330)에 의해 제공된 대응하는 성능 특성과 상이한 대응하는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토우(1310, 1320, 1330)의 적층 구성은 기재(1400)의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12, 14, 16) 전체에 걸쳐 가변적인 두께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토우(1320)(즉, 제2 스트랜드 부)는 제1 층(예, 제1 토우(1310)) 상에 배치되고, 기재(1400)의 주변 에지(1402)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어 제1 층 상에 제2 층을 형성하는 제2 세그먼트(1322)를 포함한다. 제2 세그먼트(1322)는 제1 세그먼트(1312)와 수렴할 수 있다.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 및 섬유(1350)의 제2 토우(1320)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토우(1310) 및/또는 제2 토우(1320)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섬유(1350)의 제2 토우(1320)는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와 대략 동일한 개수의 섬유(1350)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섬유(1350)의 제2 토우(1320)는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와 다른 수의 섬유(1350)를 포함한다. 제1 토우(1310)와 같이, 섬유(1350)의 제2 토우(1320)는 인접한 제2 세그먼트(1322)를 연결하기 위해 기재(1400)의 외주 에지(1402)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루프부(1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루프부(1323) 중 하나 이상은 기재(1400)의 외주 에지(1402) 너머로 연장되고, 자수된 프리폼을 형성하는 적층형 구성이 섬유(1350)를 고화시켜 신발 플레이트(300~300i)를 형성하도록 압력(예, 성형)을 받을 때 적층형 구성이 신발 플레이트(300)를 형성하도록 섬유(450)를 고화시키기 위해 압력(예, 성형)을 받을 때 핀치 포인트를 생성한다. 따라서, 도 48은 루프부(1323)를 제거하기 위해 기재(1400)의 외주 에지(1402)를 따라 절단되어 최종 신발 플레이트(300~300i)를 형성하도록 압력을 가할 때의 핀치 포인트의 존재를 제거하는 섬유(1350)의 제2 토우(1320)를 예시한다. 따라서, 인접한 제2 세그먼트(1322)는 일단 대응하는 루프부(1323)가 제거되면(예, 절단에 의해) 기재(1400)의 외주 에지에서 분리될 수 있다.
섬유(1350)의 제2 토우(1320)는 기재(1400) 상에 위치된 제2 부착 위치 사이에서 제2 토우(1320)를 가로 질러 지그재그 배치될 수 있는 제2 스티칭(1324)을 통해 기재(1400)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2 스티칭(1324)은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1400)를 관통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2 스티칭(1324)은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스티칭(1324)은 섬유(1350)의 제2 토우(1320)를 넘어가고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를 통해 연장하고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1400)를 관통함으로써 섬유(1350)의 제2 토우(1320)를 기재(1400)에 부착할 수 있다.
일부 시나리오에서, 제1 스티칭(1314) 및/또는 제2 스티칭(1324)은 수지로 형성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스티칭(1314) 및 제2 스티칭(1324)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1400)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일부 구성에서, 제1 스티칭(1314) 및 제2 스티칭(1324)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1400)보다 높은 융점을 가진다. 여기서, 높은 융점은 기재(1400)가 열처리 중에 용융되기 시작한 후에 스티칭(들)(1314, 1324)이 용융되도록 하여 대응하는 토우(1310, 1320)가 스티칭(들)(1314, 1324)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도록 한다. 스티칭(들)(1314, 1324)은 또한 압축 성형 및/또는 진공 성형에 사용되는 선택적인 주입 중합체와 매칭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토우(1330)(즉, 제3 스트랜드 부)는 제2 층(예, 제2 토우(1320)) 상에 배치되고, 제2 층 상에 제3 층을 형성하도록 기재(1400)의 외주 에지(1402)를 따라 2곳의 다른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3 세그먼트(1332)를 포함한다. 제1 토우(1310)의 제1 세그먼트(1312)와 같이, 대응하는 제2 및 제3 토우(1320, 1330)의 제2 세그먼트(1322) 및 제3 세그먼트(1332)는 각각 서로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8은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의 제1 세그먼트(1312)와 관련된 제1 각도와 상이한 기재(1400)의 종축에 대한 제2 각도로 기재(1400)에 적용된 섬유(1350)의 제2 토우(1320)의 제2 세그먼트(1322)를 예시한다. 도 48은 제1 세그먼트(1312)와 관련된 제1 각도 및 제2 세그먼트(1322)와 관련된 제2 각도와 상이한 기재(1400)의 종축에 대한 제3 각도로 기재(1400)에 적용된 제3 토우(1330)의 제3 세그먼트(1322)를 예시하고 있지만, 제3 각도는 제1 각도 및 제2 각도 중 하나와 동일하지만 제1 각도 및 제2 각도 중 다른 하나와 다를 수 있다. 다시 말해, 다른 구성은 제1 세그먼트(1312) 및 제2 세그먼트(1322) 중 오직 하나와 수렴하는 제3 세그먼트(1332)를 갖는 제3 토우(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섬유(1350)의 제3 토우(1330)는 기재(1400) 상에 위치된 제3 부착 위치 사이에서 제3 토우(1330)를 가로 질러 지그재그 배치되는 제3 스티칭(1334)을 통해 기재(1400)에 부착된다. 일부 예에서, 제3 스티칭(1334)은 제3 부착 위치에서 기재(1400)를 관통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3 스티칭(1334)은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 및 섬유(1350)의 제2 토우(132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즉, 제3 스티칭(1334)은 섬유(1350)의 제3 토우(1330)를 넘어가고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 및/또는 제2 토우(1320)를 통해 연장하고 제3 부착 위치에서 기재(1400)를 관통함으로써 섬유(1350)의 제3 토우(1330)를 기재(1400)에 부착할 수 있다.
도 50을 참조하면, 확대 도면은 제1 스티칭(1314)을 통해 기재(1400)에 부착된 섬유(1350)의 제1 토우(1300, 1310)의 일부를 예시한다. 제1 토우(1310)는 기재(1400)의 상부면(1410) 상에 배치되며, 제1 스티칭(1314)은 제1 토우(1310) 위로 가로질러(예, 지그재그) 제1 토우(1310)로부터 이격된 제1 부착 위치(3115)에서 기재(1400)를 관통한다. 기재(1400) 및 제1 스티칭(1314)은 열처리 중에 용융되는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티칭(1314)은 제1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기재(1400)는 제1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보다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제2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티칭(1314)은 열처리 중에 기재(400)가 용융되기 시작할 때 용융없이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를 제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제1 토우(1310)와 관련된 섬유(1350)는 비-중합체 섬유(1352)와 중합체 섬유(135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중합체 섬유(1352)는 탄소 섬유,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또는 붕소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중합체 섬유(1354)는 기재(1400) 및/또는 제1 스티칭(1314)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의 융점보다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재(1400)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는 비-중합체 섬유(1352)(예, 탄소 섬유)와 관련된 분해 온도보다 낮은 용융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도 51은 도 50의 51-51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제공하며, 제1 스티칭(1314)에 의해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가 기재(1400)의 상부면(1410)애 부착된 것을 예시한다. 제1 스티칭(1314)은 기재(1400)의 표면(1410, 1412)을 관통하여 제1 부착 위치(1315) 사이에서 제1 토우(1310)를 가로질러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비-중합체 섬유(1352)(예, 탄소 섬유) 및 중합체 섬유(1354)(예,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는 제1 토우(1310)의 길이 전체에 걸쳐 서로 혼합되는 원형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1350)의 토우(1310, 1320, 1330)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자수된 프리폼은 완성된 신발 플레이트(300~300i)에 의해 부여된 강성을 조절하기 위해 도 41의 일련의 적층된 프리프레그 섬유 시트(600a~600e) 또는 도 43의 층(700a~700e)을 각각 형성하는 개별 스트랜드(702a~702e)에 합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자수된 프리폼 층이 도 41에 도시된 순서로 적층된 섬유 시트(600a~600e) 중 임의의 것 또는 도 43의 임의의 층(700a~700e)에 추가로 또는 이를 대체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52는 기재(1400)에 부착되어 기재(1400)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는 섬유(1350)의 다른 토우(1300a)를 제공한다. 섬유(1350)의 토우(1300a)는 서로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세그먼트(1302)의 패턴을 포함한다. 도 47~49의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의 제1 세그먼트(1312)는 기재(1400)를 노출시키는 보이드(1316, 1318)를 형성하지만, 세그먼트(1302)는 기재(1400)의 외주 에지(1402)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임의의 보이드를 형성하지 않고 기재(1400)를 덮는 제1 층을 형성하며, 즉 세그먼트(1302)는 외측부와 내측부 사이에서 기재(1400)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세그먼트(1302)는 기재(1400)의 종축과 수렴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53을 참조하면, 도 52의 가상원(53) 내의 상세도는 인접한 세그먼트(1302)를 연결하기 위해 기재(1400)의 외주 에지(1402)에 인접하게 배치된 루프부(1303)를 포함하는 토우(1300a)를 예시하고 있다. 더욱이, 섬유(1350)의 토우(1300a)는 기재(1400) 상에 위치된 부착 위치(1305) 사이에서 토우(1300a)를 가로질러 지그재그 배치될 수 있는 스티칭(1304)을 통해 기재(1400)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외주 에지(1402)를 넘어 연장되는 루프부(1303)가 제거되어 플레이트(300~300i)의 외주 에지를 형성할뿐만 아니라 프리폼이 압력(예, 성형)을 받을 때의 핀치 포인트의 존재를 제거한다.
도 54 및 도 55는 신발 물품(10~10h) 중 임의의 물품에 합체될 신발 플레이트(300~300i) 중 임의의 것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자수된 프리폼의 분해도를 제공한다. 신발 플레이트(300~300i)와 관련된 자수된 프리폼은 적층형 구성으로 배열된 기재(1400),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a), 섬유(1350)의 제2 토우(1320a) 및 섬유의 제3 토우(1330a)를 포함한다. 토우(1310a, 1320a, 1330a)는 동일한 연속 섬유(1350) 스트랜드/다발로 형성될 수 있거나, 토우(1310a, 1320a, 1330a)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연속 섬유(1350) 스트랜드/다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8 및 도 49의 토우(1310, 1320, 1330)와 같이, 토우(1310a, 1320a, 1330a)는 기재(1400) 상에 배치된 부착 위치 사이에서 대응하는 토우(1310a, 1320a, 1330a) 위로 교차하는 스티칭(1314, 1324, 1334)을 통해 기재(1400)의 바닥면(1412)을 관통하지 않고 기재(1400)의 상부면(1410)에 부착될 수 있다. 섬유(1350)의 토우(1310a, 1320a, 1330a)는 유사하게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스티칭(1314, 1324, 1334)의 적어도 일부는 기재(1400)의 바닥면(1412)을 관통한다.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a)는 기재(1400)(예, 상부면(1410))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도록 기재(1400)의 외주 에지(1402)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1312a)를 포함한다. 제1 세그먼트(1312)는 서로 인접하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55는 기재(400)의 종축(L)에 대해 제1 각도(α1)로 기재(1400)에 적용된 제1 세그먼트(1312a)를 예시한다.
섬유(1350)의 제2 토우(1320a)는 제1 층 상에 제2 층을 형성하도록 기재(1400)의 외주 에지(1402)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1322a)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세그먼트(1322a)는 제1 세그먼트(1312a)와 수렴하고 서로 인접하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 세그먼트(1322a)는 기재(1400)의 종축(L)에 대해 제1 각도(α1)와 상이한 제2 각도(α2)로 제1 층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토우(1310a)와 관련된 제1 층 및 제2 토우(1320a)와 관련된 제2 층은 이방성이어서 플레이트(300~300i) 전체에 걸쳐 구배 강성 및 구배 부하 경로를 부여한다.
섬유(1350)의 제3 토우(1330a)는 제2 층 상에 제3 층을 형성하도록 기재(1400)의 외주 에지(1402)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3 세그먼트(1332a)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 세그먼트(1332a)는 제1 세그먼트(1312a) 및 제2 세그먼트(1322a)와 수렴하고 서로 인접하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3 세그먼트(1332a)는 기재(1400)의 종축(L)에 대해 제1 각도(α1) 및 제2 각도(α2)와 상이한 제3 각도(α3)로 제2 층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각각의 토우(1310a, 1320a, 1330a)를 별도의 대응하는 기재에 부착하고 기재들을 적층하여 제1 토우(1310a)가 하부 기재와 중간 기재 사이에 배치되고 제2 토우(1320a)가 중간 기재와 상부 기재 사이에 배치되고 제3 토우가 상부 기재 상에 배치된 기재 스택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6~59는 신발 물품(10~10h) 중 임의의 것으로 합체되도록 신발 플레이트(300~300i) 중 임의의 것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자수된 프리폼을 제공한다. 도 56은 기재(1400)의 상부면(1410) 상에 배치된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b) 및 섬유의 제2 토우(1320b)를 포함하는 프리폼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스티칭은 상부면 및 바닥면(1410, 1412)을 통해 기재(1400)를 관통할 수 있는 대응하는 부착 위치에서 토우(1310b, 1320b)를 기재(1400)에 부착할 수 있다. 제1 토우(1310b)(즉, 제1 스트랜드 부)는 기재(1400)를 따라 2것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어 그 위에 층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세그먼트(1312b)를 형성하고, 기재(1400)의 전족부(12)에 제1 보이드(1316b) 및 힐 부분(16)에 제2 보이드(1318b)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토우(1320b)는 제2 토우(1320b)의 섬유(1350)가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b)와 관련된 제1 세그먼트(1312b)를 둘러싸도록 기재(1400)의 외주 에지(1402)를 따라 배치된 외부 보강 영역으로서 작용한다. 프리폼 플레이트는 선택적으로 전족부(12) 내의 제1 보이드(1316b)를 둘러싸는 내부 보강 영역으로서 작동하는 섬유(1350)의 제3 토우(133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및 제3 토우(1320b, 1330b)에 의해 형성된 외부 및 내부 보강 영역은 기재(1400)의 제1 보이드(1316b)와 외주 에지(1402) 사이의 영역에서 제1 토우(1310b)의 제1 세그먼트(1312b)에 대한 추가적인 보강 또는 구조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예는 기재(1400)를 노출시키도록 제1 보이드(1316b)와 일부 정렬된 제2 보이드(1318b)로부터 이격된 제3 보이드(1336b)를 형성하는 제3 토우(1330b)를 예시한다. 도 56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리폼 플레이트는 제3 토우(1330b)가 제1 보이드(1316b)를 둘러싸는 제1 세그먼트(1312b)를 보강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힐 부분(16)의 제2 보이드(1318b)를 둘러싸는 대응하는 내부 보강 영역으로서 작동하는 섬유의 제4 토우를 역시 포함할 수 있다.
도 57을 참조하면, 도 56의 57-57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는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b)에 대한 외부 보강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기재(1400)의 외주 에지(1402)를 따라 배치된 섬유(1350)의 제2 토우(1320b)를 예시한다. 토우(1310b, 1320b)는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거나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토우(1310b, 1320b)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토우(1310b, 1320b)와 관련된 섬유(1350)는 비-중합체 섬유(1352)(예를 들어, 탄소 섬유, 유리 섬유 및/또는 아라미드 섬유, 및/또는 붕소 섬유) 및 중합체 섬유(13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합체 섬유(1354)는 기재(1400)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존재한다면)의 것보다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토우(1310b, 1320b)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다.
도 58은 도 56의 57-57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단면도를 제공하며,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b)를 위한 외부 보강 영역을 제공하는 중합체 재료(1520)를 예시한다. 여기서, 중합체 재료(1520)는 기재(1400)의 외주 에지(1402)를 따라 연장되는 것에 의해 섬유(1350)의 제2 토우(1320b)를 대체하는 단일 스트랜드의 재료(즉, 원형 단면을 가짐)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 재료(1520)는 기재(1400)가 용융되기 시작할 때 중합체 재료(1520)가 기재(1400)의 외주 에지(1402)를 따라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b)를 보강하도록 기재(1400)를 형성하는 중합체 재료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 또는 열경화성 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9는 도 56의 57-57 라인을 따라 취한 다른 대체 단면도를 제공하며, 제1 토우(1310b)에 대향하는 상부면(1410) 및 상부면(1410)보다 기재(1400a)의 반대측에 배치된 하부면(1412)을 갖는 기재(1400a)에 부착된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b)를 예시한다. 중합체 재료(1520)의 제2 토우(1320b)는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b)를 위한 외부 보강 영역을 제공하도록 도 556~58의 기재(1400)에 부착되지만, 기재(1400a)는 섬유(1350)의 제1 토우(1310b)를 위한 외부 보강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기재(1400a)의 두께를 배가시키도록 외주 에지(1402a)를 따라 접힘부(1414)를 포함한다.
도 60~62를 참조하면, 몰드가 제공되고, 하나 이상의 기재(1400)에 부착된 섬유(1350)의 하나 이상의 토우(1300)를 포함하는 자수된 프리폼(1300, 1400)을 성형하여 신발 플레이트(300~300i) 중 임의의 것을 형성하는 상부 몰드부(82) 및 하부 몰드부(84)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300~300i)(플레이트(300)를 참조)는 도 1~15 및 도 31~39의 신발 물품(10~10h) 중 임의의 것으로 합체되도록 만곡부/오목부(310) 및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31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몰드부(82)는 자수된 프리폼이 몰드부(82, 84) 사이에서 압축될 때 만곡부/오목부(310)를 제공하기 위해 자수 프리폼(1300, 1400)에 형상을 부여하는 표면 프로파일을 갖는 접촉면(86)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하부 몰드부(84)는 자수된 프리폼이 몰드부(82, 84) 사이에서 압축될 때 만곡부/오목부(310)를 제공하기 위해 자수 프리폼(1300, 1400)에 형상을 부여하는 표면 프로파일을 갖는 접촉면(8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하부 몰드부(84)는 고정되고 상부 몰드부(82)는 하부 몰드부(84) 쪽으로 이동하여 몰드(80)를 닫고 그 사이에 자수된 프리폼(1300, 1400)을 압축한다. 다른 예에서, 하부 몰드부(84)와 상부 몰드부(82)는 각각 서로를 향해 이동하거나 또는 하부 몰드부(84)만이 상부 몰드부(82)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0은 몰드(80)가 개방되고 상부 몰드부(82)와 하부 몰드부(82) 사이에 위치된 자수된 프리폼(1300, 1400)을 예시한다. 자수 프리폼(1300, 1400)은 기재(1400)에 부착된 섬유(1350)의 하나 이상의 토우(13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1400) 및 토우(1300)는 실질적으로 유연할 수 있다. 예컨대, 토우(1300)는 기재(1400)를 관통하지 않고 기재(1400)에 부착되어 기재(1400)의 상부면(1410) 상에 하나 이상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우(300)는, 토우(1300) 위로 교차하고, 토우(1300)로부터 이격되고 및/또는 토우(1300)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는 부착 위치(1305)에서 기재(1400)를 관통하는 스티칭(1304)을 통해 기재(1400)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스티칭(1304)은 수지로 형성된다.
일부 구성에서, 하나 이상의 토우(1300)는 기재(1400)에 부착되어 기재(1400)의 상부면(1410) 상에 제1, 제2 및 제3 층을 형성하는 도 48 및 도 49의 제1, 제2 및 제3 토우(1310, 1320, 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예에서, 토우(1310, 1320, 1330)는 동일한 연속 섬유(1350) 스트랜드로 형성될 수 있거나, 토우(1310)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섬유(1350) 스트랜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이상의 토우(1310, 1320, 1330)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대략 동일하거나 상이한 수의 섬유(1350)를 포함할 수 있고, 대략 동일하거나 상이한 길이를 포함할 수 있고, 대략 동일하거나 상이한 두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8 및 도 49는 단일 기재(1400) 상에 적층된 구조로 배열된 토우(1310, 1320, 1330)를 예시하고 있지만, 다른 구성은 각각의 토우(1310, 1320, 1330)를 대응하는 기재(1400)에 부착하여 기재 스택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들 구성에서, 기재 스택은 상부 몰드부(82)와 하부 몰드부(84) 사이에 위치되고 스택을 대응하는 접촉면(86, 88)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과 일치시키도록 열과 압력을 가하고 경화되어 만곡부(310) 및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312)을 갖는 신발 플레이트(300~300i)(도 62)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자수된 프리폼(1300, 1400)은 적어도 하나의 토우(1300)의 외부를 코팅/봉지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토우(1300)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관통하여 해당 적어도 하나의 토우(1300)를 기재(1400) 및/또는 다른 토우(1300)에 결합시키는 액체 재료(1650)가 주입된다. 이들 구현예에서, 액체 재료(1650)는 용융 상태로 프리폼(1300, 1400)에 도포된 열경화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열경화성 재료는 에폭시, 폴리우레탄, 중합 가능한 조성물 및 예비 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재료(1650)가 경화될 때 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무 및/또는 블록 공중합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가 액체 재료(1650)에 첨가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수지 재료(1652)가 적어도 하나의 토우(1300)에 결합되어 해당 적어도 하나의 토우(1300)를 기재(1400)에 결합/부착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몰드(80)는 상부 몰드부(82) 및 하부 몰드부(84) 중 적어도 하나를 상부 몰드부(82) 및 하부 몰드부(84) 중 다른 하나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폐쇄될 수 있다. 도 61은 몰드(80)가 폐쇄되고, 프리폼(1300, 1400)을 몰드부(82, 84) 사이에 둘러싸면서 압축 성형 및 진공 성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자수된 프리폼(300, 400)에 압력을 인가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몰드(80)는 자수된 프리폼(1300, 1400)을 대응하는 접촉면(86, 88)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에 맞추고 자수된 프리폼(1300, 1400)을 경화시켜 신발 플레이트(300~300i)에 원하는 형태 및 강성을 제공하는 것을 돕기 위해 열을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상부 몰드부(82) 및/또는 하부 몰드부(84)는 물과 같은 가열된 액체를 대응하는 몰드부(들)(82, 84)를 통해 흐르게 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된 물은 대응하는 몰드부(82, 84)의 전체 온도를 상승시키고 프리폼(1300, 1400)은 몰드부(82, 84)로부터 열을 전도하여 프리폼(1300, 1400)의 온도를 하나 이상의 그와 관련된 재료를 용융 및/또는 경화시키는 데 적절한 온도로 상승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프리폼(1300, 1400)은 몰드(80) 내에 배치되기 전에 가열된다.
일부 구성에서, 기재(1400)는 부착 위치(1305)에서 기재(1400)를 관통하는 스티칭(1304)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토우(1300)에 부착되는 열가소성 필름으로 형성된다. 2개 이상의 기재(1400)가 스택을 형성하는 예에서, 기재(1400) 중 적어도 하나는 열가소성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티칭(1304)의 적어도 일부는 기재(1400)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티칭(1304)의 적어도 일부는 기재(1400)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필름과 동일한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몰드(80)가 폐쇄되는 동안 자수된 프리폼(1300, 1400)에 열을 가하는 것은 열가소성 필름 및 열가소성 스티칭(1304)을 열 성형하여 섬유(1350)의 적어도 하나의 토우(1300)를 기재에 결합시키는 작용을 한다. 추가로, 폐쇄된 몰드(80)는 자수된 프리폼(1300, 1400)에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열가소성 스티칭(1304)은 열가소성 필름보다 높은 융점을 가짐으로써, 스티칭(1305)이 열가소성 필름의 용융 후에 용융되므로 기재(1400)의 열가소성 필름이 용융하기 시작할 때 스티칭(1304)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토우(1300)가 기재(1400) 상에 적소에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수지 재료(1652)가 적어도 하나의 토우(1300)에 합체되는 구성에서, 가열 및 가압은 수지 재료(1652)를 활성화시켜, 스티칭의 적어도 일부가 수지로 형성될 때 스티칭(1304)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토우(1300)와 관련된 섬유(1350)를 결합시킨다.
액체 재료(1650)(예를 들어, 연성 증가 중합체가 첨가되거나 첨가되지 않은 열경화성 재료)가 섬유(1350)의 적어도 하나의 토우(1300)에 주입되는 구현예에서,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밀폐된 몰드(180)는 적어도 하나의 토우(300)가 기재(1400) 및/또는 다른 토우(1300)에 결합되도록 액체 재료(1650)를 경화시키기 위해(예, 열경화성 재료를 경화시키기 위해) 진공 성형 및 압축 성형 중 적어도 하나를 자수된 프리폼에 대해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62를 참조하면, 상기 몰드(80)는 상부 몰드부(82)를 하부 몰드부(84)로부터 멀어지게 및/또는 하부 몰드부(84)를 상부 몰드부(82)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개방된다. 토우(1300)로 주입되는 액체 재료(1650)(열경화성 재료) 및/또는 기재(1400) 및/또는 스티칭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재료는 경화되어 원하는 형태의 신발 플레이트(300~300i)를 형성한다. 그 후, 신발 플레이트(300~300i)는 신발 물품(10~1Oh)에 합체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스들은, 주문 제작 신발류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신발 플레이트 및 완충 요소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에 대한 다양한 측정값이, 신발 물품 내로 포함되는 신발 플레이트 및 완충 부재(들)의 적합한 치수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기록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발의 게이트(gate)와 연관되는 데이터가, 발이 발가락 타격 또는 힐 타격을 나타내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획득될 수 있다. 발 측정값 및 획득된 데이터는 신발 플레이트 위에, 아래에 또는 이를 에워싸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완충 부재의 두께뿐만 아니라 신발 플레이트의 최적 각도 및 곡률 반경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신발 플레이트의 길이 및 폭이 수집된 데이터 및 발 측정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발 측정값 및 수집된 데이터는, 착용자의 발에 밀접하게 일치하는 다양한 크기 및 치수의 복수의 사전 제작된 신발 플레이트 및/또는 완충 부재(들)로부터, 신발 플레이트 및/또는 완충 부재(들)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맞춤 신발 플레이트는 추가로 신발류의 특정 착용자를 위한 플레이트의 강성의 맞춤 조정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선수의 힘줄 강성 및 종아리 근육 강도가, 운동 선수에 의한 사용을 위한 플레이트의 적합한 강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측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신발 플레이트의 강성은 운동 선수의 강도와 함께, 또는 운동 선수의 힘줄의 크기/상태에 대해 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플레이트의 강성은, 운동 선수의 관절의 각도가 달리기 운동 동안에 어떻게 변화하는 지와 같은, 특정 운동 선수의 달리기 메커니즘 및 생체 역학에 기초하여, 맞춤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운동 선수의 힘 및 운동 측정값은 운동 선수를 위한 맞춤 플레이트를 제조하기 이전에 획득된다. 다른 예들에서, 플레이트들은, 개별 운동 선수가 적합한 강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반-맞춤형 신발류를 제공하기 위하여 강성의 특정 범위 또는 증분으로 제조된다.
일부 예에서, 신발 플레이트(300)를 제조하는 방법은 복수의 적층된 층을 용융시켜 단일층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적층된 층(또는 토우)을 제공하는 단계와, 플레이트(300)를 형성하도록 단일층을 열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내부 보이드(102)를 형성하는 갑피(100)를 제공하는 단계와 내부 보이드(102) 내로 플레이트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전족부(12)로부터 힐 부분(16)으로 연장되는 미드솔(220)을 제공하는 단계, 플레이트(300)를 미드솔(220)의 상부에 배치하는 단계, 갑피(100)를 미드솔(220)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신발 물품을 형성하도록 아웃솔(210)을 미드솔(220)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의 항목은 전술한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 및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항목 1: 갑피를 갖는 신발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로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과 상기 갑피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와, 오목부와 상기 갑피 사이에 배치된 제1 완충층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밑창 구조체의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밑창 구조체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etatarsophalageal: 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상기 오목부와 상기 갑피 사이에 제1 완충층이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는 제1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제1 토우, 제2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제2 토우 및 제3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제3 토우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섬유의 제1 토우, 섬유의 제2 토우 및 섬유의 제3 토우는 플레이트의 길이에 걸쳐 플레이트의 종축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위치된다.
항목 2: 항목 1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항목 3: 항목 2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하며,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된다.
항목 4: 항목 1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하며,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된다.
항목 5: 항목 4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오목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항목 6: 항목 5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진다.
항목 7: 항목 5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연결부는 남자 사이즈(10)의 신발 물품에 대해 약 134 ㎜와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진다.
항목 8: 항목 5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연결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의 접합부에서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항목 9: 항목 3~8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과 갑피 사이에 배치된 제2 완충층을 더 포함한다.
항목 10: 항목 9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아웃솔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제3 완충층을 더 포함한다.
항목 11: 항목 10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제3 완충층은 힐 영역 내에 배치된다.
항목 12: 항목 10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제3 완충층은 힐 영역으로부터 전족 영역으로 연장된다.
항목 13: 항목 12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제2 완충 부재는 MTP 지점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약 3.0 ㎜~약 13.0 ㎜의 두께를 가지며, 제3 완충 부재는 MTP 지점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약 0.5 ㎜~약 6.0 ㎜의 두께를 가진다.
항목 14: 항목 9~12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제1 완충 부재, 제2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약 0.05 g/㎤ 내지 약 0.20 g/㎤의 밀도, 약 11 쇼어 A~약 50 쇼어 A의 경도 및 적어도 60%의 에너지 회수율을 가진다.
항목 15: 항목 9~12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와 갑피 사이 및/또는 아웃솔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전 챔버를 더 포함한다.
항목 16: 항목 15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전 챔버는 제2 완충층 및 제3 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의 완충층 내에 배치된다.
항목 17: 항목 1~16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에 위치되고, 최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에 위치된다.
항목 18: 항목 1~17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81 ㎜에 위치되고, 최후방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81 ㎜에 위치된다.
항목 19: 항목 1~18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25%~약 35%에 위치되고, 최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25%~약 35%에 위치된다.
항목 20: 항목 1~19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곡률 반경의 중심은 MTP 지점에 위치된다.
항목 21: 항목 1~20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일정한 곡률 반경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된다.
항목 22: 항목 1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일정한 곡률 반경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의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40%만큼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된다.
항목 23: 항목 1~22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아웃솔은 지면 접촉면 및 해당 지면 접촉면보다 아웃솔의 반대측에 형성된 내부면을 포함하며, 내부면은 플레이트에 직접 부착된다.
항목 24: 항목 23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상기 내부면은 오목부에 인접하게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항목 25: 항목 1~24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는 약 0.6 ㎜~약 3.0 ㎜의 두께를 가진다.
항목 26: 항목 1~25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는 적어도 70 GPa의 영률을 가진다.
항목 27: 항목 1~26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의 최전방 지점 및 최후방 지점은 각각 약 3 ㎜~약 28 ㎜의 MTP로부터의 위치 높이를 가진다.
항목 28: 항목 1~27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의 최전방 지점 및 최후방 지점은 각각 약 17 ㎜~약 57 ㎜의 MTP로부터의 위치 높이를 가진다.
항목 29: 항목 1~28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최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수평 기준 평면에 대해 약 12도~약 35도의 각도로 연장된다.
항목 30: 항목 1~29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최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수평 기준 평면에 대해 약 12도~약 35도의 각도로 연장된다.
항목 31: 갑피를 갖는 신발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로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과 상기 갑피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밑창 구조체의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하고 밑창 구조체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만곡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상기 만곡부와 상기 갑피 사이에 제1 완충층이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는 제1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제1 토우, 제2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제2 토우 및 제3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제3 토우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섬유의 제1 토우, 섬유의 제2 토우 및 섬유의 제3 토우는 플레이트의 길이에 걸쳐 플레이트의 종축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위치된다.
항목 32: 항목 31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항목 33: 항목 32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하며,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된다.
항목 34: 항목 31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하며,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된다.
항목 35: 항목 34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만곡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항목 36: 항목 35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진다.
항목 37: 항목 24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연결부는 남자 사이즈(10)의 신발 물품에 대해 약 134 ㎜와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진다.
항목 38: 항목 35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연결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의 접합부에서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항목 39: 항목 33~38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과 갑피 사이에 배치된 제2 완충층을 더 포함한다.
항목 40: 항목 39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아웃솔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제3 완충층을 더 포함한다.
항목 41: 항목 40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제3 완충층은 힐 영역 내에 배치된다.
항목 42: 항목 40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제3 완충층은 힐 영역으로부터 전족 영역으로 연장된다.
항목 43: 항목 42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제2 완충 부재는 MTP 지점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약 3.0 ㎜~약 13.0 ㎜의 두께를 가지며, 제3 완충 부재는 MTP 지점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약 0.5 ㎜~약 6.0 ㎜의 두께를 가진다.
항목 44: 항목 39~43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제1 완충 부재, 제2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약 0.05 g/㎤ 내지 약 0.20 g/㎤의 밀도, 약 11 쇼어 A~약 50 쇼어 A의 경도 및 적어도 60%의 에너지 회수율을 가진다.
항목 45: 항목 39~42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와 갑피 사이 및/또는 아웃솔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전 챔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6: 항목 45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전 챔버는 제2 완충층 및 제3 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의 완충층 내에 배치된다.
항목 47: 항목 31~46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에 위치되고, 최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에 위치된다.
항목 48: 항목 31~47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81 ㎜에 위치되고, 최후방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81 ㎜에 위치된다.
항목 49: 항목 31~48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25%~약 35%에 위치되고, 최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25%~약 35%에 위치된다.
항목 50: 항목 31~49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곡률 반경의 중심은 MTP 지점에 위치된다.
항목 51: 항목 31~50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일정한 곡률 반경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된다.
항목 52: 항목 31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일정한 곡률 반경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의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40%만큼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된다.
항목 53: 항목 31~52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아웃솔은 지면 접촉면 및 해당 지면 접촉면보다 아웃솔의 반대측에 형성된 내부면을 포함하며, 내부면은 플레이트에 직접 부착된다.
항목 54: 항목 53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상기 내부면은 만곡부에 인접하게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항목 55: 항목 31~54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는 약 0.6 ㎜~약 3.0 ㎜의 두께를 가진다.
항목 56: 항목 31~55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는 적어도 70 GPa의 영률을 가진다.
항목 57: 항목 31~56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의 최전방 지점 및 최후방 지점은 각각 약 3 ㎜~약 28 ㎜의 MTP로부터의 위치 높이를 가진다.
항목 58: 항목 31~57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의 최전방 지점 및 최후방 지점은 각각 약 17 ㎜~약 57 ㎜의 MTP로부터의 위치 높이를 가진다.
항목 59: 항목 31~58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최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수평 기준 평면에 대해 약 12도~약 35도의 각도로 연장된다.
항목 60: 항목 31~59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최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수평 기준 평면에 대해 약 12도~약 35도의 각도로 연장된다.
항목 61: 갑피를 갖는 신발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로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과 상기 갑피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밑창 구조체의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하고 밑창 구조체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원형 곡률을 가지는 만곡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상기 만곡부와 상기 갑피 사이에 제1 완충층이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는 제1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제1 토우, 제2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제2 토우 및 제3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제3 토우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섬유의 제1 토우, 섬유의 제2 토우 및 섬유의 제3 토우는 플레이트의 길이에 걸쳐 플레이트의 종축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위치된다.
항목 62: 항목 61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항목 63: 항목 62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하며,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된다.
항목 64: 항목 61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하며,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된다.
항목 65: 항목 64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만곡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항목 66: 항목 65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진다.
항목 67: 항목 65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연결부는 남자 사이즈(10)의 신발 물품에 대해 약 134 ㎜와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진다.
항목 68: 항목 65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연결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의 접합부에서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항목 69: 항목 63~68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과 갑피 사이에 배치된 제2 완충층을 더 포함한다.
항목 70: 항목 69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아웃솔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제3 완충층을 더 포함한다.
항목 71: 항목 70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제3 완충층은 힐 영역 내에 배치된다.
항목 72: 항목 70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제3 완충층은 힐 영역으로부터 전족 영역으로 연장된다.
항목 73: 항목 72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제2 완충 부재는 MTP 지점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약 3.0 ㎜~약 13.0 ㎜의 두께를 가지며, 제3 완충 부재는 MTP 지점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약 0.5 ㎜~약 6.0 ㎜의 두께를 가진다.
항목 74: 항목 69~73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제1 완충 부재, 제2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약 0.05 g/㎤ 내지 약 0.20 g/㎤의 밀도, 약 11 쇼어 A~약 50 쇼어 A의 경도 및 적어도 60%의 에너지 회수율을 가진다.
항목 75: 항목 69~72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와 갑피 사이 및/또는 아웃솔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전 챔버를 더 포함한다.
항목 76: 항목 75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충전 챔버는 제2 완충층 및 제3 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의 완충층 내에 배치된다.
항목 77: 항목 61~76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에 위치되고, 최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에 위치된다.
항목 78: 항목 61~77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81 ㎜에 위치되고, 최후방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81 ㎜에 위치된다.
항목 79: 항목 61~78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25%~약 35%에 위치되고, 최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25%~약 35%에 위치된다.
항목 80: 항목 61~49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원형 곡률의 중심은 MTP 지점에 위치된다.
항목 81: 항목 61~80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원형 곡률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된다.
항목 82: 항목 61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원형 곡률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의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40%만큼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된다.
항목 83: 항목 61~52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아웃솔은 지면 접촉면 및 해당 지면 접촉면보다 아웃솔의 반대측에 형성된 내부면을 포함하며, 내부면은 플레이트에 직접 부착된다.
항목 84: 항목 83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상기 내부면은 만곡부에 인접하게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항목 85: 항목 83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제1 완충층보다 플레이트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2 완충층을 더 포함하고, 제2 완충층은 아웃솔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항목 86: 항목 61~85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는 약 0.6 ㎜~약 3.0 ㎜의 두께를 가진다.
항목 87: 항목 61~86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는 적어도 70 GPa의 영률을 가진다.
항목 88: 항목 61~87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의 최전방 지점 및 최후방 지점은 각각 약 3 ㎜~약 28 ㎜의 MTP로부터의 위치 높이를 가진다.
항목 89: 항목 61~88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의 최전방 지점 및 최후방 지점은 각각 약 17 ㎜~약 57 ㎜의 MTP로부터의 위치 높이를 가진다.
항목 90: 항목 61~89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최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수평 기준 평면에 대해 약 12도~약 35도의 각도로 연장된다.
항목 91: 항목 61~90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최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수평 기준 평면에 대해 약 12도~약 35도의 각도로 연장된다.
항목 92: 밑창 구조체를 가지는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밑창 구조체의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밑창 구조체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플레이트는 제1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제1 토우, 제2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제2 토우 및 제3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제3 토우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섬유의 제1 토우, 섬유의 제2 토우 및 섬유의 제3 토우는 플레이트의 길이에 걸쳐 플레이트의 종축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위치된다.
항목 93: 항목 92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항목 94: 항목 93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하며,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된다.
항목 95: 항목 92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하며,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된다.
항목 96: 항목 95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만곡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항목 97: 항목 96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진다.
항목 98: 항목 96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연결부는 남자 사이즈(10)의 신발 물품에 대해 약 134 ㎜와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진다.
항목 99: 항목 96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연결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의 접합부에서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항목 100: 항목 92~99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에 위치되고, 최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에 위치된다.
항목 101: 항목 92~100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81 ㎜에 위치되고, 최후방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81 ㎜에 위치된다.
항목 102: 항목 92~101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25%~약 35%에 위치되고, 최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25%~약 35%에 위치된다.
항목 103: 항목 92~102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곡률 반경의 중심은 MTP 지점에 위치된다.
항목 104: 항목 92~103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일정한 곡률 반경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된다.
항목 105: 항목 104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일정한 곡률 반경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의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40%만큼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된다.
항목 106: 항목 92~105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는 약 0.6 ㎜~약 3.0 ㎜의 두께를 가진다.
항목 107: 항목 92~106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는 적어도 70 GPa의 영률을 가진다.
항목 108: 항목 92~107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의 최전방 지점 및 최후방 지점은 각각 약 3 ㎜~약 28 ㎜의 MTP로부터의 위치 높이를 가진다.
항목 109: 항목 92~108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의 최전방 지점 및 최후방 지점은 각각 약 17 ㎜~약 57 ㎜의 MTP로부터의 위치 높이를 가진다.
항목 110: 항목 92~109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최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수평 기준 평면에 대해 약 12도~약 35도의 각도로 연장된다.
항목 111: 항목 92~110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최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수평 기준 평면에 대해 약 12도~약 35도의 각도로 연장된다.
항목 112: 밑창 구조체를 가지는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밑창 구조체의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하고 밑창 구조체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만곡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플레이트는 제1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제1 토우, 제2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제2 토우 및 제3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제3 토우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섬유의 제1 토우, 섬유의 제2 토우 및 섬유의 제3 토우는 플레이트의 길이에 걸쳐 플레이트의 종축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위치된다.
항목 113: 항목 112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항목 114: 항목 113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하며,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된다.
항목 115: 항목 112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하며,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된다.
항목 116: 항목 115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만곡부는 일정한 곡률 반경과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항목 117: 항목 107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진다.
항목 118: 항목 116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연결부는 남자 사이즈(10)의 신발 물품에 대해 약 134 ㎜와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진다.
항목 119: 항목 107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연결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의 접합부에서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항목 120: 항목 47: 항목 112~119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에 위치된다.
항목 121: 항목 112~120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81 ㎜에 위치되고, 최후방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81 ㎜에 위치된다.
항목 122: 항목 112~121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25%~약 35%에 위치되고, 최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25%~약 35%에 위치된다.
항목 123: 항목 112~122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곡률 반경의 중심은 MTP 지점에 위치된다.
항목 124: 항목 112~123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일정한 곡률 반경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된다.
항목 125: 항목 124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일정한 곡률 반경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의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40%만큼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된다.
항목 126: 항목 112~125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는 약 0.6 ㎜~약 3.0 ㎜의 두께를 가진다.
항목 127: 항목 112~126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는 적어도 70 GPa의 영률을 가진다.
항목 128: 항목 112~127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의 최전방 지점 및 최후방 지점은 각각 약 3 ㎜~약 28 ㎜의 MTP로부터의 위치 높이를 가진다.
항목 129: 항목 112~128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의 최전방 지점 및 최후방 지점은 각각 약 17 ㎜~약 57 ㎜의 MTP로부터의 위치 높이를 가진다.
항목 130: 항목 112~129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최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수평 기준 평면에 대해 약 12도~약 35도의 각도로 연장된다.
항목 131: 항목 112~130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최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수평 기준 평면에 대해 약 12도~약 35도의 각도로 연장된다.
항목 132: 밑창 구조체를 가지는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밑창 구조체의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하고 밑창 구조체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원형 곡률을 가지는 만곡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플레이트는 제1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제1 토우, 제2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제2 토우 및 제3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제3 토우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섬유의 제1 토우, 섬유의 제2 토우 및 섬유의 제3 토우는 플레이트의 길이에 걸쳐 플레이트의 종축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위치된다.
항목 133: 항목 114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항목 134: 항목 133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하며,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된다.
항목 135: 항목 114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하며,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된다.
항목 136: 항목 133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만곡부는 원형 곡률과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항목 137: 항목 136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진다.
항목 138: 항목 136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연결부는 남자 사이즈(10)의 신발 물품에 대해 약 134 ㎜와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진다.
항목 139: 항목 136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은 연결부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의 접합부에서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항목 140: 항목 47: 항목 132~139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에 위치된다.
항목 141: 항목 132~140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81 ㎜에 위치되고, 최후방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81 ㎜에 위치된다.
항목 142: 항목 132~141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25%~약 35%에 위치되고, 최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25%~약 35%에 위치된다.
항목 143: 항목 132~142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원형 곡률의 중심은 MTP 지점에 위치된다.
항목 144: 항목 132~143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원형 곡률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된다.
항목 145: 항목 144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원형 곡률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의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40%만큼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을 지나 연장된다.
항목 146: 항목 132~145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는 약 0.6 ㎜~약 3.0 ㎜의 두께를 가진다.
항목 147: 항목 132~146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는 적어도 70 GPa의 영률을 가진다.
항목 148: 항목 132~147 중 어느 항목에 따른 밑창 구조체로서, 플레이트의 최전방 지점 및 최후방 지점은 각각 약 3 ㎜~약 28 ㎜의 MTP로부터의 위치 높이를 가진다.
항목 149: 항목 132~148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의 최전방 지점 및 최후방 지점은 각각 약 17 ㎜~약 57 ㎜의 MTP로부터의 위치 높이를 가진다.
항목 150: 항목 132~149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최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수평 기준 평면에 대해 약 12도~약 35도의 각도로 연장된다.
항목 151: 항목 132~150 중 어느 항목에 따른 플레이트로서, 최후방 지점은 MTP 지점으로부터 수평 기준 평면에 대해 약 12도~약 35도의 각도로 연장된다.
항목 152: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i) 기재; ii) 기재에 부착되고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는 제1 스트랜드 부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지르고 제1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1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하는 제1 스티칭을 통해 기재에 부착된 제1 스트랜드 부; 및 iii) 제1 층 상에 배치되어 제2 층을 형성하는 제2 스트랜드 부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제1 스트랜드 부를 통해 연장되고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하는 제2 스티칭을 통해 기재에 부착된 제2 스트랜드 부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신발 물품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신발 물품의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신발 물품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항목 153: 항목 152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2 부착 위치와 제2 스트랜드 부 사이에 배치된다.
항목 154: 항목 152~153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한 연속 스트랜드 부이다.
항목 155: 항목 152~154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항목 156: 항목 152~155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다.
항목 157: 항목 152~156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항목 158: 항목 157의 플레이트로서, 제1 토우의 섬유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항목 159: 항목 152~158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항목 160: 항목 159의 플레이트로서, 제2 토우의 섬유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항목 161: 항목 160의 플레이트로서,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거의 동일한 개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항목 162: 항목 160의 플레이트로서,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항목 163: 항목 152~162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길이를 가진다.
항목 164: 항목 152~163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항목 165: 항목 152~164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층에 제1 보이드를 형성한다.
항목 166: 항목 165의 플레이트로서, 기재는 제1 보이드 내에 노출된다.
항목 167: 항목 165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층에 제2 보이드를 형성한다.
항목 168: 항목 167의 플레이트로서, 제2 보이드는 제2 층에서 기재를 노출시키도록 제1 보이드와 정렬된다.
항목 169: 항목 167의 플레이트로서, 제2 보이드는 제1 보이드로부터 이격된다.
항목 170: 항목 152~169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기재에 제1 형상으로 적용되고, 제2 스트랜드 부는 제1 층에 제2 형상으로 적용된다.
항목 171: 항목 170의 플레이트로서, 제1 형상은 제2 형상과 대략 동일하다.
항목 172: 항목 170의 플레이트로서, 제1 형상은 제2 형상과 상이하다.
항목 173: 항목 152~172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티칭 및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지로 형성된다.
항목 174: 항목 152~173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티칭 및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항목 175: 항목 152~174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티칭 및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진다.
항목 176: 항목 152~175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티칭은 제1 부착 위치들 사이에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지그재그 배치된다.
항목 177: 항목 152~176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티칭은 제2 부착 위치 사이에서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지그재그 배치된다.
항목 178: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i) 외주 에지를 형성하는 기재; ii) 기재에 부착된 제1 스트랜드 부; 및 iii) 제1 층 상에 배치된 제2 스트랜드 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랜드 부는 기재의 외주 에지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어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는 제1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그먼트는 서로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스트랜드 부는 기재의 외주 에지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어 제1 층 상에 제2 층을 형성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세그먼트는 제1 세그먼트와 수렴하고 서로 인접하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신발 물품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신발 물품의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신발 물품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항목 179: 항목 178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 중 적어도 하나는 연속 스트랜드이다.
항목 180: 항목 178~179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한 연속 스트랜드 부이다.
항목 181: 항목 178~180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항목 182: 항목 178~181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다.
항목 183: 항목 178~182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항목 184: 항목 183의 플레이트로서, 제1 토우의 섬유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항목 185: 항목 178~184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항목 186: 항목 185의 플레이트로서, 제2 토우의 섬유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항목 187: 항목 186의 플레이트로서,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항목 188: 항목 186의 플레이트로서,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항목 189: 항목 178~188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기재의 외주 에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루프부를 포함하고, 제1 루프부는 인접한 제1 세그먼트들을 연결한다.
항목 190: 항목 178~189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트랜드 부는 기재의 외주 에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인접한 제2 세그먼트들을 연결하는 제2 루프부를 포함한다.
항목 191: 항목 178~190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층에 제1 보이드를 형성한다.
항목 192: 항목 191의 플레이트로서, 기재는 제1 보이드 내에 노출된다.
항목 193: 항목 191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층에 제2 보이드를 형성한다.
항목 194: 항목 193의 플레이트로서, 제2 보이드는 제2 층에서 기재를 노출시키도록 제1 보이드와 정렬된다.
항목 195: 항목 193의 플레이트로서, 제2 보이드는 제1 보이드로부터 이격된다.
항목 196: 항목 178~195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세그먼트는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로 기재에 적용되고, 제2 세그먼트는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와 다른 제2 각도로 제1 층에 적용된다.
항목 197: 항목 196의 플레이트로서, 제2 층 상에 배치된 제3 스트랜드 부를 더 포함하며, 제3 스트랜드 부는 기재의 외주 에지를 따라 2곳의 다른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어 제2 층 상에 제3 층을 형성하는 제3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며, 제3 세그먼트는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와 수렴하고 서로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항목 198: 항목 197의 플레이트로서, 제3 세그먼트는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 및 제2 각도와 다른 제3 각도로 제2 층에 적용된다.
항목 199: 항목 178~198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스티칭을 통해 기재에 부착되고,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스티칭을 통해 기재에 부착된다.
항목 200: 항목 199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티칭 및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항목 201: 항목 200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티칭 및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진다.
항목 202: 항목 199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티치 및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지로 형성된다.
항목 203: 항목 199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티칭은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지그재그 배치되고 제1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한다.
항목 204: 항목 203의 플레이트로서, 제1 부착 위치는 제1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다.
항목 205: 항목 203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티칭은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지그재그 배치되고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한다.
항목 206: 항목 205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2 층과 제2 부착 위치 사이에 배치된다.
항목 207: 항목 205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티칭은 제1 스트랜드 부를 통해 연장된다.
항목 208: 항목 178~207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층 및 제2 층은 이방성이다.
항목 209: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i) 기재; 및 ii) 기재에 부착되어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는 제1 스트랜드 부를 포함하며,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층에 제1 보이드를 형성하여 제1 보이드 내에서 기재를 노출시킨다. 상기 플레이트는 신발 물품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신발 물품의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신발 물품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항목 210: 항목 209의 플레이트로서, 제1 층 상에 배치되어 제2 층을 형성하는 제2 스트랜드 부를 더 포함한다.
항목 211: 항목 210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한 연속적인 스트랜드 부이다.
항목 212: 항목 210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 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항목 213: 항목 210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 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다.
항목 214: 항목 210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 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길이를 가진다.
항목 215: 항목 210의 플레이트로서, 제 1 스트랜드 부 및 제 2 스트랜드 부는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항목 216: 항목 210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층에 제2 보이드를 형성한다.
항목 217: 항목 216의 플레이트로서, 제2 보이드는 제2 층에서 기재를 노출시키도록 제1 보이드와 정렬된다.
항목 218: 항목 216의 플레이트로서, 제2 보이드는 제1 보이드로부터 이격된다.
항목 219: 항목 210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형상으로 기재에 적용되고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형상으로 제1 층에 적용된다.
항목 220: 항목 219의 플레이트로서, 제1 형상은 제2 형상과 대략 동일하다.
항목 221: 항목 219의 플레이트로서, 제1 형상은 제2 형상과 상이하다.
항목 222: 항목 209~221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스티칭에 의해 기재에 부착된다.
항목 223: 항목 222의 플레이트로서, 상기 스티칭은 수지로 형성된다.
항목 224: 항목 222의 플레이트로서, 상기 스티칭은 상기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항목 225: 항목 222의 플레이트로서, 스티칭은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진다.
항목 226: 항목 222의 플레이트로서, 스티칭은 기재 상에 위치된 부착 위치 사이의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지그재그 배치된다.
항목 227: 항목 209~226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항목 228: 항목 227의 플레이트로서, 제1 토우의 섬유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항목 229: 항목 209~228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층 상에 배치되어 제2 층을 형성하는 제2 스트랜드 부를 더 포함하고,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항목 230: 항목 229의 플레이트로서, 제2 토우의 섬유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항목 231: 항목 229의 플레이트로서,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개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항목 232: 항목 229의 플레이트로서,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항목 233: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i)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형성하는 기재; ii)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하나에서 기재에 부착되고 대향되는 제1 스트랜드 부로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상기 하나의 영역에 제1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제1 패턴을 포함하는 제1 스트랜드 부; 및 iii)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에서 기재에 부착되고 대향되는 제2 스트랜드 부로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영역에 제1 성능 특성과 상이한 제2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제1 패턴과 상이한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제2 스트랜드 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신발 물품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신발 물품의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신발 물품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항목 234: 항목 233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하나의 형상을 형성하는 제1 에지를 형성한다.
항목 235: 항목 233~234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트랜드 부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의 형상을 형성하는 제2 에지를 형성한다.
항목 236: 항목 235의 플레이트로서, 제1 에지는 제2 에지로부터 이격 및 분리된다.
항목 237: 항목 235의 플레이트로서, 제1 에지는 제2 에지와 연접한다.
항목 238: 항목 233~237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하고 연속적인 스트랜드 부이다.
항목 239: 항목 233~238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항목 240: 항목 233~239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 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된다.
항목 241: 항목 233~240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항목 242: 항목 241의 플레이트로서, 제1 토우의 섬유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항목 243: 항목 233~242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항목 244: 항목 233의 플레이트로서, 제2 토우의 섬유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항목 245: 항목 244의 플레이트로서,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개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항목 246: 항목 244의 플레이트로서,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항목 247: 항목 233~246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길이를 가진다.
항목 248: 항목 233~247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 2 스트랜드 부는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항목 249: 항목 233~248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보이드를 형성한다.
항목 250: 항목 249의 플레이트로서, 기재는 보이드 내에 노출된다.
항목 251: 항목 233~250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상이한 두께를 가진다.
항목 252: 항목 233~251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진다.
항목 253: 항목 233~252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상이한 두께를 가진다.
항목 254: 항목 233~253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진다.
항목 255: 항목 233~254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하나는 신발 물품의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 중 하나에 위치되고,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는 신발 물품의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 중 다른 하나에 위치된다.
항목 256: 항목 233~254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스티칭을 통해 기재에 부착되고,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스티칭을 통해 기재에 부착된다.
항목 257: 항목 256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티치 및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지로 형성된다.
항목 258: 항목 256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티칭 및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항목 259: 항목 256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티칭 및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진다.
항목 260: 항목 256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티칭은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지그재그 배치되고 제1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1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한다.
항목 261: 항목 260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티칭은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지그재그 배치되고 제2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한다.
항목 262: 항목 256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티칭은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지그재그 배치되고 제2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한다.
항목 263: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i) 전족 영역과 힐 영역을 가지는 기재; 및 ii) 기재에 부착된 제1 스트랜드 부를 포함하고, 제1 스트랜드 부는 전족 영역에 배치된 제1 단부와 힐 영역에 배치된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중족 영역에서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세그먼트는 전족 영역과 힐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신발 물품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신발 물품의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신발 물품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항목 264: 항목 263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연속 스트랜드로 형성된다.
항목 265: 항목 264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복수의 세그먼트의 각각의 제1 단부를 결합하는 제1 루프부 및 복수의 세그먼트의 각각의 제2 단부를 결합하는 제2 루프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세그먼트, 제1 루프부 및 제2 루프부는 제1 스트랜드 부를 연속적인 구조로 제공하도록 협력한다.
항목 266: 항목 263~265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신발 물품의 갑피로 연장된다.
항목 267: 항목 263~266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와 신발 물품의 갑피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인장 스트랜드를 더 포함한다.
항목 268: 항목 267의 플레이트로서, 인장 스트랜드는 복수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복수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제1 스트랜드 부에 부착된다.
항목 269: 항목 268의 플레이트로서, 갑피를 조여진 상태와 이완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레이스를 더 포함하고, 인장 스트랜드는 레이스와 다수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을 결합한다.
항목 270: 항목 263의 플레이트로서, 기재는 그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클리트(cleat) 부재를 포함한다.
항목 271: 항목 270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기재의 표면에 부착되고 클리트 부재의 일부 주위로 연장된다.
항목 272: 항목 270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기재의 표면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클리트 부재를 둘러싼다.
항목 273: 항목 270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기재의 표면에 부착되고 복수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는 클리트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싼다.
항목 274: 항목 263~273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복수의 세그먼트는 중족 영역에서 함께 직조된다.
항목 275: 항목 263~274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항목 276: 항목 275의 플레이트로서, 제1 토우의 섬유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항목 277: 항목 263~276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를 형성한다.
항목 278: 항목 277의 플레이트로서, 기재는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 내에 노출된다.
항목 279: 항목 277의 플레이트로서, 제1 다발의 복수의 세그먼트 및 제2 다발의 복수의 세그먼트는 서로 협력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를 형성한다.
항목 280: 항목 277의 플레이트로서,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는 제1 다발과 제2 다발 사이에 배치된다.
항목 281: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도록 기재에 제 1 스트랜드 부를 스티칭하는 단계 및 제2 층을 형성하도록 제1 층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스티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스트랜드 부를 스티칭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지르고 제1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1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하는 제1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2 스트랜드 부를 스티칭하는 단계는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지르고 제1 스트랜드 부를 통해 연장되고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하는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신발 물품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신발 물품의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신발 물품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항목 282: 항목 281의 방법으로서, 제1 층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스티칭하는 단계는 제2 부착 위치와 제2 스트랜드 부 사이에 제1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283: 항목 281~282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연속 스트랜드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284: 항목 281~283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285: 항목 281~284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286: 항목 281~285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287: 항목 286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를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288: 항목 281~287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289: 항목 288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2 스트랜드 부를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290: 항목 289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항목 291: 항목 289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항목 292: 항목 281~291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길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293: 항목 281~292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대략 동일한 길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294: 항목 281~293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스티칭하는 단계는 제1 층에 제1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295: 항목 294의 방법으로서, 기재를 제1 보이드 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296: 항목 294의 방법으로서, 제1 층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스티칭하는 단계는 제2 층에 제2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297: 항목 296의 방법으로서, 제2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2 층에서 기재를 노출시키도록 제2 보이드와 제1 보이드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298: 항목 296의 방법으로서, 제2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2 보이드를 제1 보이드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299: 항목 281~298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스티칭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제1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층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스티칭하는 단계는 제2 스트랜드 부를 제1 층에 제2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00: 항목 299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형상으로 적용하고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와 제2 스트랜드 부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01: 항목 299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형상으로 적용하고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와 제2 스트랜드 부를 다른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02: 항목 281~301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지로 형성된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03: 항목 281~302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04: 항목 281~303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와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05: 항목 281~304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는 제1 부착 위치 사이에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제1 스티칭을 지그재그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06: 항목 281~305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는 제2 부착 위치 사이에서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제2 스티칭을 지그재그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07: 항목 281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 및 제2 스트랜드 부 모두에 결합시키도록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에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08: 항목 307의 방법으로서,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기재,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09: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와; 제2 스트랜드 부를 제1 층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는 기재 상에 제1 스트랜드 부의 제1 세그먼트들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세그먼트는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도록 기재의 외주 에지를 따라 2곳의 다른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며, 제1 세그먼트는 서로 인접하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2 스트랜드 부를 제1 층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기재 상에 제2 스트랜드 부의 제2 세그먼트들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2 세그먼트는 제1 층 상에 제2 층을 형성하도록 기재의 외주 에지를 따라 2곳의 다른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며, 제2 세그먼트는 제1 세그먼트와 수렴하고 서로 인접하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신발 물품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신발 물품의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신발 물품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항목 310: 항목 309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와 제2 스트랜드 부를 제1 층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연속 스트랜드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11: 항목 309~310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와 제2 스트랜드 부를 제1 층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단일 연속 스트랜드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12: 항목 309~311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13: 항목 309~312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14: 항목 309~313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15: 항목 314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를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16: 항목 309~315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17: 항목 316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2 스트랜드 부를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18: 항목 317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항목 319: 항목 317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항목 320: 항목 309~319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에 상기 기재의 외주 에지에 근접하게 배치된 제1 루프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루프부는 인접한 제1 세그먼트들을 연결한다.
항목 321: 항목 309~320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에 상기 기재의 외주 에지에 근접하게 배치된 제2 루프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루프부는 인접한 제2 세그먼트들을 연결한다.
항목 322: 항목 309~321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스티칭하는 단계는 제1 층에 제1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23: 항목 322의 방법으로서, 기재를 제1 보이드 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24: 항목 322의 방법으로서, 제1 층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스티칭하는 단계는 제2 층에 제2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25: 항목 324의 방법으로서, 제2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2 층에서 기재를 노출시키도록 제2 보이드와 제1 보이드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26: 항목 324의 방법으로서, 제2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2 보이드를 제1 보이드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27: 항목 309~326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의 제1 세그먼트를 기재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1 세그먼트를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스트랜드 부의 제2 세그먼트를 제1 층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2 세그먼트를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와 상이한 제2 각도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28: 항목 327의 방법으로서, 제3 스트랜드 부를 제2 층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3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2 층 상에 제3 스트랜드 부의 제3 세그먼트들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3 세그먼트는 제2 층 상에 제3 층을 형성하도록 기재의 외주 에지를 따라 2곳의 다른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며, 제3 세그먼트는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와 수렴하고 서로 인접하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항목 329: 항목 328의 방법으로서, 제3 세그먼트를 제2 층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3 세그먼트를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 및 제2 각도와 상이한 제3 각도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30: 항목 309~329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제1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제1 층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31: 항목 330의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32: 항목 330의 방법으로서, 제1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와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33: 항목 330의 방법으로서, 제1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는 제1 부착 위치 사이에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제1 스티칭을 지그재그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34: 항목 330의 방법으로서,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는 제2 부착 위치 사이에서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제2 스티칭을 지그재그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35: 항목 330의 방법으로서, 제2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는 제2 스티칭을 제1 스트랜드 부를 통해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36: 항목 309~335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 및 제2 스트랜드 부 모두에 결합시키도록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에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37: 항목 336의 방법으로서,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기재,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38: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도록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층에 제1 보이드를 형성하여 제1 보이드 내에서 기재를 노출시킨다. 상기 플레이트는 신발 물품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신발 물품의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신발 물품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항목 339: 항목 338의 방법으로서, 제2 층을 형성하도록 제1 층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40: 항목 339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연속 스트랜드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41: 항목 339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42: 항목 339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다른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43: 항목 339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길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44: 항목 339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거의 동일한 길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45: 항목 339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2 층에 제2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46: 항목 345의 방법으로서, 제2 층에서 기재를 노출시키도록 제2 보이드를 제1 보이드와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47: 항목 345의 방법으로서, 제2 보이드를 제1 보이드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48: 항목 339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제1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2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2 스트랜드 부를 제1 층 상에 제2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49: 항목 348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형상으로 적용하고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와 제2 스트랜드 부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50: 항목 348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형상으로 적용하고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와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형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51: 항목 338~350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52: 항목 351의 방법으로서,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는 수지로 형성된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53: 항목 351의 방법으로서,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는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54: 항목 351의 방법으로서,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는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55: 항목 351의 방법으로서, 스티칭을 적용하는 단계는 기재 상에 위치된 제1 부착 위치 사이에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스티칭을 지그재그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56: 항목 338~355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57: 항목 356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제1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58: 항목 338~357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2 층을 형성하도록 제1 층 상에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 제2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59: 항목 358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제2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60: 항목 358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61: 항목 358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62: 신발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기재 상에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하나에서 상기 기재에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대향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상기 하나의 영역에 제1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제1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의 영역에 있는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대향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영역에 제1 성능 특성과 상이한 제2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제1 패턴과 상이한 제2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63: 항목 362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상기 하나의 영역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제1 에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64: 항목 362~363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상기 제2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영역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제2 에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65: 항목 364의 방법으로서, 제1 에지를 제2 에지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66: 항목 364의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에지를 상기 제2 에지에 연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67: 항목 362~366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연속 스트랜드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68: 항목 362~367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69: 항목 362~368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70: 항목 362~369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71: 항목 370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제1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72: 항목 362~371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73: 항목 372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제2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74: 항목 373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75: 항목 373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76: 항목 362~375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길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77: 항목 362~376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대략 동일한 길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78: 항목 362~377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79: 항목 378의 방법으로서, 기재를 보이드 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80: 항목 362~379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81: 항목 362~380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82: 항목 362~381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상이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83: 항목 362~382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대략 동일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84: 항목 362~383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하나를 신발 물품의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 중 하나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를 신발 물품의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 중 다른 하나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85: 항목 362~384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86: 항목 385의 방법으로서,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수지로 형성된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87: 항목 385의 방법으로서,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88: 항목 385의 방법으로서,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89: 항목 385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제1 스티칭을 지그재그 배치하고 제1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1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90: 항목 389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제2 스티칭을 지그재그 배치하고 제2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91: 항목 385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제2 스티칭을 지그재그 배치하고 제2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92: 신발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도록 가요성 기재에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기재의 형상을 변경하도록 제1 몰드면 상에 상기 기재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기재를 상기 제1 몰드면의 형상에 일치시키도록 상기 제1 스트랜드 부 및 기재에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를 신발 물품에 합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는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신발 물품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항목 393: 항목 392의 방법으로서, 기재 상에 제2 층을 형성하도록 기재에 제2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94: 항목 393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제2 스트랜드 부를 제1 스트랜드 부에 인접하게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95: 항목 392~394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제2 스트랜드 부의 적어도 일부를 제1 스트랜드 부 상에 중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396: 항목 392~395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 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연속 스트랜드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97: 항목 392~396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98: 항목 392~397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399: 항목 392~398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00: 항목 399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제1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01: 항목 392~400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02: 항목 401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제2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03: 항목 402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04: 항목 402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05: 항목 392~404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길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06: 항목 392~405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대략 동일한 길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07: 항목 392~406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층 및 제2 층 중 적어도 하나에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08: 항목 407의 방법으로서, 상기 기재를 상기 보이드 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09: 항목 392~408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10: 항목 392~409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대략 동일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11: 항목 392~410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층 및 제2 층을 상이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12: 항목 392~411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층 및 제2 층을 대략 동일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13: 항목 392의 방법으로서, 기재를 제1 몰드면의 형상에 일치시키는 단계는 기재에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14: 항목 392~413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15: 항목 414의 방법으로서,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수지로 형성된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16: 항목 414의 방법으로서,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17: 항목 414의 방법으로서,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18: 항목 392의 방법으로서,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에 합체된 수지 재료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19: 항목 392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에 액체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20: 항목 419의 방법으로서,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기재 및 제1 스트랜드 부에 대해 진공 성형 및 압축 성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액체 재료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21: 항목 420의 방법으로서, 액체 재료의 경화 단계는 열경화성 재료의 경화를 포함한다.
항목 422: 항목 421의 방법으로서, 열경화성 재료를 경화시키는 단계는 에폭시, 폴리우레탄, 중합 가능한 조성물 및 예비 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23: 항목 419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에 액체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는 일단 경화된 액체 재료의 연성을 증가시키도록 액체 재료에 중합체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24: 항목 423의 방법으로서, 액체 재료에 중합체를 첨가하는 단계는 고무 및 블록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25: 항목 392의 방법으로서, 기재를 열가소성 필름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26: 항목 425의 방법으로서,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열가소성 필름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27: 항목 426의 방법으로서,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열가소성 필름에 부착시키는 단계는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28: 항목 427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기재에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결합시키도록 열가소성 필름 및 열가소성 스티칭을 열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29: 항목 392~428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기재 및 제1 스트랜드 부에 대해 진공 성형 및 압축 성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30: 신발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도록 제1 기재에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 제2 기재 상에 제2 층을 형성하도록 제2 기재에 제2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 기재 스택을 형성하도록 제1 기재 상에 제2 기재를 위치시키는 단계; 기재 스택을 제1 몰드면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기재 스택을 제1 몰드면의 형상에 일치시키도록 기재 스택에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 및 기재 스택을 신발 물품에 합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 스택은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신발 물품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항목 431: 항목 430의 방법으로서,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에 합체된 수지 재료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32: 항목 430~431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에 대해 액체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33: 항목 430~432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기재 스택에 대해 진공 성형 및 압축 성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액체 재료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34: 항목 433의 방법으로서, 액체 재료의 경화는 열경화성 재료의 경화를 포함한다.
항목 435: 항목 434의 방법으로서, 열경화성 재료를 경화시키는 단계는 에폭시, 폴리우레탄, 중합 가능한 조성물 및 예비 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36: 항목 432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에 대해 액체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는 일단 경화된 액체 재료의 연성을 증가시키도록 액체 재료에 중합체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37: 항목 436의 방법으로서, 액체 재료에 중합체를 첨가하는 단계는 고무 및 블록 공중 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38: 항목 430~437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기재 및 제2 기재 중 적어도 하나를 열가소성 필름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39: 항목 438의 방법으로서,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40: 항목 439의 방법으로서,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기재에 부착시키는 단계는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41: 항목 440의 방법으로서, 기재 스택에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1 기재를 결합시키도록 제1 기재의 열가소성 필름 및 제1 스티칭을 열성형하는 단계 및 제2 스트랜드 부 및 제2 기재를 결합시키도록 제2 기재의 열가소성 필름 및 제2 스티칭을 열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42: 항목 430~441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43: 항목 442의 방법으로서,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수지로 형성된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44: 항목 442의 방법으로서,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기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45: 항목 442의 방법으로서,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티칭을 통해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스티칭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46: 항목 430~445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 중 적어도 하나에 합체된 수지 재료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47: 항목 430~446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기재 스택에 대해 진공 성형 및 압축 성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48: 항목 430~447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49: 항목 430~448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50: 항목 430~449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51: 항목 450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제1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52: 항목 430~451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53: 항목 452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제2 스트랜드 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54: 항목 453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55: 항목 453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56: 항목 430~455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길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57: 항목 430~456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대략 동일한 길이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58: 항목 430~457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기재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기재에 부착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층 및 제2 층 중 적어도 하나에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59: 항목 458의 방법으로서, 상기 기재를 상기 보이드 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60: 항목 430~459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상이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61: 항목 430~460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대략 동일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62: 항목 430~461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층 및 제2 층을 상이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63: 항목 430~462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층 및 제2 층을 대략 동일한 두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64: 항목 430의 방법으로서, 기재 스택을 제1 몰드면의 형상에 일치시키는 단계는 기재 스택에 전족부, 중족부 및 힐 부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65: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전족 영역과 힐 영역을 가지는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 제1 스트랜드 부를, 전족 영역에 배치된 제1 단부와 힐 영역에 배치된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가지는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 및 전족 영역과 힐 영역 사이에 배치된 중족 영역에서 복수의 세그먼트를 교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신발 물품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신발 물품의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신발 물품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항목 466: 항목 465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연속 스트랜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67: 항목 466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에 연속적인 구조를 제공하도록 제1 루프부를 통해 복수의 세그먼트의 각각의 제1 단부를 결합시키고 제2 루프부를 통해 복수의 세그먼트의 각각의 제2 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68: 항목 465~467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신발 물품의 갑피로 연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69: 항목 465~468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와 신발 물품의 갑피 사이에서 인장 스트랜드를 연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70: 항목 469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와 갑피 사이에서 인장 스트랜드를 연장시키는 단계는 인장 스트랜드를 통해 제1 스트랜드 부와 갑피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71: 항목 469의 방법으로서, 복수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인장 스트랜드를 제1 스트랜드 부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72: 항목 471의 방법으로서, 갑피를 조여진 상태와 이완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레이스와 복수의 세그먼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사이에서 인장 스트랜드를 연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73: 항목 472의 방법으로서, 레이스와 복수의 세그먼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와의 사이에서 인장 스트랜드를 연장시키는 단계는 인장 스트랜드를 레이스와 복수의 세그먼트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74: 항목 465의 방법으로서, 기재에 대해 그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클리트(cleat)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75: 항목 474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의 표면에 부착시키고 제1 스트랜드 부를 클리트 부재의 일부 주위로 연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76: 항목 474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의 표면에 부착하고 적어도 하나의 클리트 부재를 제1 스트랜드 부로 둘러싸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77: 항목 474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의 표면에 부착하고 복수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로 클리트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78: 항목 465~476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복수의 세그먼트를 중족 영역에서 함께 직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79: 항목 465~478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80: 항목 465~479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를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81: 항목 465~480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세그먼트 중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482: 항목 481의 방법으로서, 기재를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 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83: 항목 481의 방법으로서, 제1 다발의 복수의 세그먼트 및 제2 다발의 복수의 세그먼트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84: 항목 483의 방법으로서, 기재를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 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485: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는: 기판; 제1 스티칭을 통해 기판에 부착된 제1 스트랜드 부로서, 기판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도록 기판을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제1 스트랜드 부; 및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된 제2 스트랜드 부로서, 제1 층 상에 제2 층을 형성하도록 기판을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제2 스트랜드 부를 포함한다.
항목 486: 항목 485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티칭은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교차하고 제1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1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한다.
항목 487: 항목 485~486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교차하고 제1 스트랜드 부를 통해 연장되고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하는 제2 스티칭을 통해 기재에 부착된다.
항목 488: 항목 487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티칭 및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진다.
항목 489: 항목 485~488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한 연속 스트랜드로 된 부분이다.
항목 490: 항목 485~489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항목 491: 항목 485~490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트랜드 부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항목 492: 항목 491의 플레이트로서,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항목 493: 항목 491의 플레이트로서,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항목 494: 항목 485~493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기재의 외주 에지에 인접하게 배치된 루프부를 포함하고, 루프부는 인접한 제1 세그먼트들과 인접한 제2 세그먼트들을 연결한다.
항목 495: 항목 485~494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제1 세그먼트 및/또는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제2 세그먼트는 기재의 외주 에지에서 분리된다.
항목 496: 항목 485~495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층은 기재에 적용된 제1 세그먼트의 제1 밀도를 가지고, 제2 층은 제1 층에서와 상이한 밀도로서 제1 층에 적용된 제2 세그먼트의 제2 밀도를 가진다.
항목 497: 항목 485~496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세그먼트는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로 기재에 적용되고, 제2 세그먼트는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와는 상이한 제2 각도로 제1 층에 적용된다.
항목 498: 항목 497의 플레이트로서, 제2 층 상에 배치된 제3 스트랜드 부를 더 포함하고, 제3 스트랜드 부는 제2 층 상에 제3 층을 형성하도록 기재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3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제3 세그먼트는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와 수렴하고 서로 인접하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항목 499: 항목 485~498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열 및 압력이 인가될 때 복합체를 형성하도록 제1 스트랜드 부, 제2 스트랜드 부 및 기재를 통합시키는 중합체 수지를 더 포함한다.
항목 500: 항목 485~499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층에 제1 보이드를 형성한다.
항목 501: 항목 500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트랜드 부는 제1 보이드와 정렬되거나 제1 보이드로부터 이격된 제2 보이드를 제2 층에 형성한다.
항목 502: 항목 500의 플레이트로서, 기재는 제1 보이드 내에 노출되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항목 503: 항목 485~502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신발 물품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신발 물품의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신발 물품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항목 504: 항목 503의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는 신발 물품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하며, 최후방 지점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된다.
항목 505: 항목 503의 플레이트로서, MTP 지점은 최전방 지점으로부터의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에 위치된다.
항목 506: 항목 503의 플레이트로서, 오목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완충층을 더 포함한다.
항목 507: 항목 506의 플레이트로서, 완충층은 MTP 지점에 근접하여 최대 두께를 형성한다.
항목 508: 신발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가요성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도록 가요성 기재에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 제1 층 상에 제2 층을 형성하도록 제1 층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기재의 형상을 변경하도록 기재를 제1 몰드면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기재를 제1 몰드면의 형상과 일치시키도록 제1 스트랜드 부, 제2 스트랜드 부 및 기재에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 및 기재를 신발 물품에 합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는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신발 물품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항목 509: 항목 508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가요성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 위로 교차하고 제1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1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하는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가요성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10: 항목 508~509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1 층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2 스트랜드 부 위로 교차하고 제1 스트랜드 부를 통해 연장되고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하는 제2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가요성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11: 항목 508의 방법으로서, 제2 기재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여 제2 기재 상에 제2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1 층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1 층 상에 제2 기재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12: 항목 508~511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연속 스트랜드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513: 항목 508~512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514: 항목 508~513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515: 항목 514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동일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16: 항목 514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17: 항목 508~516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에 대해 기재의 외주 에지에 인접하게 배치된 루프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루프부는 인접한 제1 세그먼트들 및 인접한 제2 세그먼트들을 연결한다.
항목 518: 항목 517의 방법으로서, 플레이트의 외부 에지를 형성하도록 기판의 외주 에지 외부로 연장되는 루프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519: 항목 508~518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층 및 제2 층에 대해 상이한 밀도를 갖는 세그먼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520: 항목 508~519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의 제1 세그먼트를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로 기재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2 스트랜드 분의 제2 세그먼트를 기재의 종축에 대해 상기 제1 각도와 상이한 제2 각도로 제1 층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21: 항목 520의 방법으로서, 제2 층 상에 제3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3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2 층 상에 제3 층을 형성하도록 제3 스트랜드 부의 제 3 세그먼트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3 세그먼트는 기재의 외주 에지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며, 제3 세그먼트는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와 수렴하고 서로 인접하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항목 522: 항목 508~521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에 합체된 중합체 수지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23: 항목 508~522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제2 스트랜드 부 및 기판에 액체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액체 재료는 열경화성 재료이다.
항목 524: 항목 523의 방법으로서,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열경화성 재료를 경화시키도록 제1 스트랜드 부, 제2 스트랜드 부 및 기판에 대해 진공 성형 및 압축 성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25: 항목 508의 방법으로서, 기재를 열가소성 필름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526: 항목 525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는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 스티칭을 사용하여 제1 스트랜드 부를 열가소성 필름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27: 항목 508~526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제2 스트랜드 부 및 기재에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 제2 스트랜드 부에 대해 진공 성형 및 압축 성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28: 항목 508~527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1 층 및 제2 층 중 적어도 하나에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29: 항목 528의 방법으로서, 기재를 보이드 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530: 항목 528의 방법으로서, 보이드 내에 노출된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531: 신발 물품용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는: 기판; 제1 스티칭을 통해 기판에 부착된 제1 스트랜드 부로서, 기판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도록 기판을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제1 스트랜드 부; 및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된 제2 스트랜드 부로서, 제1 층 상에 제2 층을 형성하도록 기판을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제2 스트랜드 부를 포함한다.
항목 532: 항목 531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티칭은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교차하고 제1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1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한다.
항목 533: 항목 531~532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트랜드 부는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교차하고 제1 스트랜드 부를 통해 연장되고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하는 제2 스티칭을 통해 기재에 부착된다.
항목 534: 항목 533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티칭 및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진다.
항목 535: 항목 531~534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한 연속 스트랜드로 된 부분이다.
항목 536: 항목 531~535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항목 537: 항목 531~536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트랜드 부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된다.
항목 538: 항목 537의 플레이트로서,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대략 동일한 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항목 539: 항목 537의 플레이트로서, 제2 토우의 섬유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항목 540: 항목 531~539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는 기재의 외주 에지에 인접하게 배치된 루프부를 포함하고, 루프부는 인접한 제1 세그먼트들과 인접한 제2 세그먼트들을 연결한다.
항목 541: 항목 531~540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제1 세그먼트 및/또는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제2 세그먼트는 기재의 외주 에지에서 분리된다.
항목 542: 항목 531~541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층은 기재에 적용된 제1 세그먼트의 제1 밀도를 가지고, 제2 층은 제1 층에서와 상이한 밀도로서 제1 층에 적용된 제2 세그먼트의 제2 밀도를 가진다.
항목 543: 항목 531~542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세그먼트는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로 기재에 적용되고, 제2 세그먼트는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와는 상이한 제2 각도로 제1 층에 적용된다.
항목 544: 항목 543의 플레이트로서, 제2 층 상에 배치된 제3 스트랜드 부를 더 포함하고, 제3 스트랜드 부는 제2 층 상에 제3 층을 형성하도록 기재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3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제3 세그먼트는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와 수렴하고 서로 인접하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항목 545: 항목 531~544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열 및 압력이 인가될 때 복합체를 형성하도록 제1 스트랜드 부, 제2 스트랜드 부 및 기재를 통합시키는 중합체 수지를 더 포함한다.
항목 546: 항목 531~545 중 어느 항목의 플레이트로서, 제1 스트랜드 부는 제1 층에 제1 보이드를 형성한다.
항목 547: 항목 546의 플레이트로서, 제2 스트랜드 부는 제1 보이드와 정렬되거나 제1 보이드로부터 이격된 제2 보이드를 제2 층에 형성한다.
항목 548: 항목 546의 플레이트로서, 기재는 제1 보이드 내에 노출되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항목 549: 신발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가요성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도록 가요성 기재에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 제1 층 상에 제2 층을 형성하도록 제1 층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기재의 형상을 변경하도록 기재를 제1 몰드면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기재를 제1 몰드면의 형상과 일치시키도록 제1 스트랜드 부, 제2 스트랜드 부 및 기재에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 및 기재를 신발 물품에 합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는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과, 해당 최전방 지점보다 휠 영역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과,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신발 물품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MTP) 지점까지의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며, MTP 지점은 사용 중 발의 MTP 관절과 반대이다.
항목 550: 항목 549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가요성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 위로 교차하고 제1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1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하는 제1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가요성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51: 항목 549~550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1 층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2 스트랜드 부 위로 교차하고 제1 스트랜드 부를 통해 연장되고 제2 부착 위치에서 기재를 관통하는 제2 스티칭을 통해 제1 스트랜드 부를 가요성 기재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52: 항목 549의 방법으로서, 제2 기재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여 제2 기재 상에 제2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1 층 상에 제2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1 층 상에 제2 기재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53: 항목 549~552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를 동일한 연속 스트랜드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554: 항목 549~553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555: 항목 549~554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556: 항목 555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동일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57: 항목 555의 방법으로서, 제2 스트랜드 부를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58: 항목 549~557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에 대해 기재의 외주 에지에 인접하게 배치된 루프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루프부는 인접한 제1 세그먼트들 및 인접한 제2 세그먼트들을 연결한다.
항목 559: 항목 558의 방법으로서, 플레이트의 외부 에지를 형성하도록 기판의 외주 에지 외부로 연장되는 루프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560: 항목 549~559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층 및 제2 층에 대해 상이한 밀도를 갖는 세그먼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561: 항목 549~560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의 제1 세그먼트를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로 기재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2 스트랜드 분의 제2 세그먼트를 기재의 종축에 대해 상기 제1 각도와 상이한 제2 각도로 제1 층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62: 항목 561의 방법으로서, 제2 층 상에 제3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3 스트랜드 부를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2 층 상에 제3 층을 형성하도록 제3 스트랜드 부의 제 3 세그먼트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3 세그먼트는 기재의 외주 에지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연장되며, 제3 세그먼트는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와 수렴하고 서로 인접하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항목 563: 항목 549~562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 및 제2 스트랜드 부에 합체된 중합체 수지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64: 항목 549~563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제2 스트랜드 부 및 기판에 액체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액체 재료는 열경화성 재료이다.
항목 565: 항목 564의 방법으로서,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열경화성 재료를 경화시키도록 제1 스트랜드 부, 제2 스트랜드 부 및 기판에 대해 진공 성형 및 압축 성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66: 항목 549의 방법으로서, 기재를 열가소성 필름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567: 항목 566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부착하는 단계는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 스티칭을 사용하여 제1 스트랜드 부를 열가소성 필름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68: 항목 549~567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 제2 스트랜드 부 및 기재에 열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단계는 제1 스트랜드 부, 제2 스트랜드 부에 대해 진공 성형 및 압축 성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69: 항목 549~568 중 어느 항목의 방법으로서, 제1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부착하고 제2 스트랜드 부를 기재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제1 층 및 제2 층 중 적어도 하나에 보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목 570: 항목 569의 방법으로서, 기재를 보이드 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항목 571: 항목 569의 방법으로서, 보이드 내에 노출된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을 위해 제공되었다. 그것은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거나 또는 총망라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특정 구성의 개별 요소들 또는 피처들은 일반적으로 그 특정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지만, 적용 가능한 경우, 상호교환 가능하고, 구체적으로 도시 또는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선택된 구성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또한 다수의 방식들로 변경될 수도 있다. 그러한 변경들은 본 개시 내용으로부터의 일탈로서 간주되어서는 안 되고, 모든 그러한 수정들은 본 개시 내용의 범주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2)

  1. 신발 물품을 위한 플레이트로서:
    기재;
    제1 스티칭을 통해 기재에 부착된 제1 스트랜드 부로서, 상기 기재 상에 제1 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기재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제1 스트랜드 부;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된 제2 스트랜드 부로서, 상기 제1 층 상에 제2 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기재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제2 스트랜드 부;
    신발 물품의 전족 영역에 배치된 최전방 지점;
    상기 최전방 지점보다 신발 물품의 힐 영역에 더 가깝게 배치된 최후방 지점;
    상기 최전방 지점과 상기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신발 물품의 종족지(MTP) 지점-사용 중 발의 MTP 관절에 대향됨-까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부; 및
    열 및 압력이 인가될 때 복합체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스트랜드 부, 상기 제2 스트랜드 부 및 상기 기재를 통합시키는 중합체 수지
    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티칭은 상기 제1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교차하고, 상기 제1 스트랜드 부로부터 이격된 제1 부착 위치에서 상기 기재를 관통하는 것인 플레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랜드 부는, 상기 제2 스트랜드 부를 가로질러 교차하고 상기 제1 스트랜드 부를 통해 연장되고 제2 부착 위치에서 상기 기재를 관통하는 제2 스티칭을 통해 상기 기재에 부착되는 것인 플레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티칭 및 상기 제2 스티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재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것인 플레이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랜드 부 및 상기 제2 스트랜드 부는 동일한 연속 스트랜드의 부분인 것인 플레이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랜드 부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토우의 섬유로 형성되는 것인 플레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랜드 부는 탄소 섬유, 붕소 섬유, 유리 섬유 및 중합체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토우의 섬유로 형성되는 것인 플레이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토우의 섬유는 상기 제1 토우의 섬유와 동일한 수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플레이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토우의 섬유는 상기 제1 토우의 섬유와 상이한 수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플레이트.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랜드 부 및 상기 제2 스트랜드 부는 상기 기재의 외주 에지에 근접하게 배치된 루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부는 인접한 제1 세그먼트들 및 인접한 제2 세그먼트들을 연결하는 것인 플레이트.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제1 세그먼트 및/또는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제2 세그먼트는 상기 기재의 외주 에지에서 분리되는 것인 플레이트.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상기 기재에 적용된 제1 세그먼트의 제1 밀도를 가지며,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1 층에서와는 상이한 밀도로서 상기 제1 층에 적용된 제2 세그먼트의 제2 밀도를 가지는 것인 플레이트.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그먼트는 상기 기재의 종축에 대해 제1 각도로 상기 기재에 적용되고, 상기 제2 세그먼트는 상기 기재의 종축에 대해 상기 제1 각도와 상이한 제2 각도로 상기 제1 층에 적용된 것인 플레이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 상에 배치된 제3 스트랜드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트랜드 부는 상기 제2 층 상에 제3 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기재를 따라 2곳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3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세그먼트는 상기 제1 세그먼트 및 상기 제2 세그먼트와 수렴되고. 서로 인접하게 평행하게 배치된 것인 플레이트.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랜드 부는 상기 제1 층에 제1 보이드를 형성하는 것인 플레이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랜드 부는 상기 제1 보이드와 정렬되거나 상기 제1 보이드로부터 이격된 제2 보이드를 제2 층에 형성하는 것인 플레이트.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제1 보이드 내에 노출되거나 존재하지 않는 것인 플레이트.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신발 물품의 힐 영역 내에 배치된 평탄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최후방 지점은 상기 평탄한 부분 내에 위치된 것인 플레이트.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TP 지점은 상기 최전방 지점으로부터의 상기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의 30%에 위치된 것인 플레이트.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완충층을 더 포함하는 플레이트.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은 상기 MTP 지점에 근접하여 최대 두께를 형성하는 것인 플레이트.
  22. 삭제
KR1020197004899A 2016-07-20 2017-07-20 신발 플레이트 KR102173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64594P 2016-07-20 2016-07-20
US201662364585P 2016-07-20 2016-07-20
US62/364,585 2016-07-20
US62/364,594 2016-07-20
US15/248,059 US10448704B2 (en) 2015-10-02 2016-08-26 Plate with foam for footwear
US15/248,051 US10842224B2 (en) 2015-10-02 2016-08-26 Plate for footwear
US15/248,051 2016-08-26
US15/248,059 2016-08-26
US201762474030P 2017-03-20 2017-03-20
US62/474,030 2017-03-20
PCT/US2017/043170 WO2018017893A1 (en) 2016-07-20 2017-07-20 Footwear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520A KR20190031520A (ko) 2019-03-26
KR102173524B1 true KR102173524B1 (ko) 2020-11-04

Family

ID=6566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899A KR102173524B1 (ko) 2016-07-20 2017-07-20 신발 플레이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70203A1 (ko)
EP (1) EP3487345B1 (ko)
KR (1) KR102173524B1 (ko)
CN (3) CN1159441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446B1 (ko) * 2019-06-14 2022-11-29 더 노스 훼이스 어패럴 코오포레이션 판이 있는 신발류 물품 및 이러한 신발류 물품의 맞춤화 방법
WO2021016039A1 (en) * 2019-07-19 2021-01-28 Nike Innovate C.V. Articles of footwear including sole structures and rand
US11478039B2 (en) 2019-08-08 2022-10-25 Saucony, Inc. Footwear with a composite plate sole assembly
CN114831386B (zh) * 2022-04-28 2024-05-03 李宁(中国)体育用品有限公司 勺型支撑板及鞋底
USD1027414S1 (en) * 2023-12-05 2024-05-21 Qiying Lang Sole for footwear
USD1027408S1 (en) * 2023-12-05 2024-05-21 Qiying Lang Sole for footwea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25421A1 (en) 2011-11-23 2013-05-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n Internal and External Midsole Structure
US20140259462A1 (en) 2013-03-15 2014-09-18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Fluid-Filled Chamber With A Tensile Element
US20150040428A1 (en) 2013-08-09 2015-02-12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Article Of Footwear With Extruded Components

Family Cites Families (1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920A (en) * 1906-08-11 1908-09-08 Frank P Mcintyre Cushion for boots and shoes.
US1995506A (en) * 1930-07-21 1935-03-26 John M Guy Shoe
US2391564A (en) * 1944-09-29 1945-12-25 Gregg Jon Shoe and outsole theref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926435A (en) * 1957-03-28 1960-03-01 Margaret Maling Footwear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US3601908A (en) * 1969-05-15 1971-08-31 Francis M Gilkerson Molded insole
US3561141A (en) * 1969-08-25 1971-02-09 Vulcan Corp Pre-formed shoe insole
DE2318521A1 (de) * 1973-04-12 1974-10-31 Funck Kg Dr In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stersohlen-schuhen sowie leisten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JPS6343925Y2 (ko) * 1986-04-11 1988-11-16
US5025573A (en) * 1986-06-04 1991-06-25 Comfort Products, Inc. Multi-density shoe sole
US5572805A (en) * 1986-06-04 1996-11-12 Comfort Products, Inc. Multi-density shoe sole
US5022168A (en) * 1989-08-04 1991-06-11 Jeppson Iii John Footwear insert
GB9108548D0 (en) * 1991-04-22 1991-06-05 Rackham Anthony C Footwear
DE4421542A1 (de) * 1994-04-30 1995-11-02 Cho Myeong Eon Schuhsohle
US5718063A (en) * 1995-07-17 1998-02-17 Asics Corporation Midsole cushioning system
RU2176468C2 (ru) * 1996-05-21 2001-12-10 БфР ХОЛДИНГЗ ЛИМИТЕД Обувь с повышенной взрывостойкостью
AU6036198A (en) * 1997-01-22 1998-08-07 Ian Whatley Exercise sole
US6219939B1 (en) * 1997-04-18 2001-04-24 Mizuno Corporation Athletic shoe midsole design and construction
US6330757B1 (en) * 1998-08-18 2001-12-18 Britek Footwear Development, Llc Footwear with energy storing sole construction
US6038790A (en) * 1998-02-26 2000-03-21 Nine West Group, Inc. Flexible sole with cushioned ball and/or heel regions
US6519876B1 (en) * 1998-05-06 2003-02-18 Kenton Geer Design Associates, Inc. Footwear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AUPP536498A0 (en) * 1998-08-20 1998-09-10 Footwear Industries Pty Ltd Cushioning device for footwear, footwear incorporat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cushioning device and footwear
US6594922B1 (en) * 1999-04-26 2003-07-22 Paul A. Mansfield Medial/lateral counter foot stabilizer
DE19919409C1 (de) * 1999-04-28 2000-11-02 Adidas Int Bv Sportschuh
US6176025B1 (en) * 1999-05-28 2001-01-23 Spalding Sports Worldwide, Inc. Cushioning system for golf shoes
IT1307402B1 (it) * 1999-10-12 2001-11-06 Lotto Sport Italia Spa Struttura di sottopiede per calzatura da calcio, corsa o sportsimilari
IT1311590B1 (it) * 1999-11-23 2002-03-13 Testoni A Spa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calzatura e calzatura da essoottenibile.
US6519875B1 (en) * 1999-12-17 2003-02-18 Piloti Inc. Driving and walking shoe
US6449878B1 (en) * 2000-03-10 2002-09-17 Robert M. Lyd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pring element and selectively removable components
US7752775B2 (en) * 2000-03-10 2010-07-13 Lyden Robert M Footwear with removable lasting board and cleats
JP3979765B2 (ja) * 2000-05-15 2007-09-19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の緩衝装置
US20040064973A1 (en) * 2000-10-23 2004-04-08 Daniel Talbott Energy translating platforms incorporated into footwear for enhancing linear momentum
JP3432207B2 (ja) * 2000-10-27 2003-08-04 株式会社ミヤタ 靴 底
JP4020664B2 (ja) * 2001-05-11 2007-12-12 株式会社アシックス 緩衝構造を備えたミッドソール
ITVI20010206A1 (it) * 2001-10-03 2003-04-03 Francesco Vello Perfezionameto di una calzatura aerata da passeggio
CN2534846Y (zh) * 2001-10-15 2003-02-12 余良杰 竹箨鞋底
US6684532B2 (en) * 2001-11-21 2004-02-03 Nike, Inc. Footwear with removable foot-supporting member
US20050167029A1 (en) * 2001-11-26 2005-08-04 Nike, Inc. Method of thermoforming a fluid-filled bladder
US6754982B2 (en) * 2001-11-30 2004-06-29 Wolverine World Wide, Inc. Shoe cushion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7062865B1 (en) * 2001-12-28 2006-06-20 Nordt Iii William E Orthotic
US7426792B2 (en) * 2002-05-09 2008-09-23 Nike, Inc. Footwear sole component with an insert
US6796056B2 (en) * 2002-05-09 2004-09-28 Nike, Inc. Footwear sole component with a single sealed chamber
US7254906B2 (en) * 2003-02-24 2007-08-14 Kwame Morris Foot cushioning construct and system for use in an article of footwear
US7213354B1 (en) * 2003-04-08 2007-05-08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Footwear with display element
US20060254093A1 (en) * 2003-06-02 2006-11-16 Springboost S.A. Dorsiflexion shoe
US7013581B2 (en) * 2003-06-11 2006-03-2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uspended footbed
US7020988B1 (en) * 2003-08-29 2006-04-04 Pierre Andre Senizergues Footwear with enhanced impact protection
US20050193595A1 (en) * 2004-03-03 2005-09-08 Jennings James E. Thoro sole
CA2502901A1 (en) * 2004-03-31 2005-09-30 Les Chaussures Stc Inc./Stc Footwear Inc. Protective footwear
US7168187B2 (en) * 2004-06-01 2007-01-30 Wolverine World Wide, Inc. Footwear construction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7200955B2 (en) * 2004-06-04 2007-04-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sole structure with compressible inserts
US7484318B2 (en) * 2004-06-15 2009-02-03 Kenneth Cole Productions (Lic), Inc. Therapeutic shoe sole desig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oducts constructed therefrom
US8256147B2 (en) * 2004-11-22 2012-09-04 Frampton E. Eliis Devices with internal flexibility sipes, including siped chambers for footwear
US20230189922A1 (en) * 2004-11-22 2023-06-22 Frampton E. Ellis Footwear or orthotic sole with microprocessor control of a structural or support element with magnetorheological fluid
US20060248750A1 (en) * 2005-05-06 2006-11-09 Outland Research, Llc Variable support footwear using electrorheological or magnetorheological fluids
KR100683242B1 (ko) * 2005-06-03 2007-02-15 주식회사 트렉스타 신발 밑창
US7437838B2 (en) * 2005-09-23 2008-10-21 Srl, Inc. Article of footwear
US7559158B2 (en) * 2005-11-10 2009-07-14 Techsolutions Inc. Enhanced construction of inflatable inserts for articles of footwear
US7870681B2 (en) * 2006-05-25 2011-01-1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thread structural elements
US7908772B2 (en) * 2006-08-15 2011-03-22 Columbia Insurance Company Footwear with additives and a plurality of removable footbeds
ITPD20060372A1 (it) * 2006-10-06 2008-04-07 Novation S P A Soletta per calzature a struttura rinforzata
CN100431440C (zh) * 2006-12-05 2008-11-12 李世鹏 立体造形鞋底壳
US7810255B2 (en) * 2007-02-06 2010-10-12 Nike, Inc. Interlocking fluid-filled chambers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713818B2 (en) * 2008-01-24 2014-05-06 Brown Shoe Company, Inc. Cushioned shoe construction
US8959798B2 (en) * 2008-06-11 2015-02-24 Zurinvest Ag Shoe sole element
DE102008029296A1 (de) * 2008-06-20 2009-12-24 W. L. Gore & Associates Gmbh Sohleneinheit für Schuhwerk
US8381417B2 (en) * 2008-09-22 2013-02-26 SR Holdings, LLC Articles of footwear
US9526297B2 (en) * 2008-11-26 2016-12-27 Ariat International, Inc. Footwear sole with honeycomb reinforcement shank
CN201491792U (zh) * 2009-04-29 2010-06-02 贵州野白鹤植物鞋业有限公司 多层底的竹凉鞋
US8209885B2 (en) * 2009-05-11 2012-07-03 Brooks Sports, Inc. Shoe assembly with non-linear viscous liquid
US8650775B2 (en) * 2009-06-25 2014-02-1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perimeter and central elements
US8557157B2 (en) * 2009-07-01 2013-10-15 Wolverine World Wid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direct attach sole component
US8850718B2 (en) * 2009-09-23 2014-10-07 Shoes For Crews, Llc Shoe with support system
US20110099845A1 (en) * 2009-11-03 2011-05-05 Miller Michael J Customized footwear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N101744420A (zh) * 2009-11-16 2010-06-23 太仓力九和塑胶工业有限公司 一种防滑抗疲劳鞋底
US8479412B2 (en) * 2009-12-03 2013-07-09 Nike, Inc. Tethered fluid-filled chambers
US9801428B2 (en) * 2009-12-03 2017-10-31 Nike, Inc. Tethered fluid-filled chamber with multiple tether configurations
US8826569B2 (en) * 2009-12-23 2014-09-0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Injected footwear boar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5835900B2 (ja) * 2010-01-22 2015-12-24 賢雄 鄭 多機能インソール
US20110252670A1 (en) * 2010-04-14 2011-10-20 Jimlar Corporation Dual-density EVA footwear mid-so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8381418B2 (en) * 2010-05-10 2013-02-26 Nike, Inc. Fluid-filled chambers with tether elements
US8782924B2 (en) * 2010-05-11 2014-07-2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framework-chamber arrangement
KR200454043Y1 (ko) * 2010-05-18 2011-06-14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브리지 구조를 갖는 신발
NL2004833C2 (en) * 2010-06-07 2011-12-08 Sara Lee De Nv Shoe insole including a knitted spacer fabric.
KR101008344B1 (ko) * 2010-06-15 2011-01-13 임옥순 신발 갑피의 저면에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어 있는 신발
US8973288B2 (en) * 2010-07-30 2015-03-10 Nike, Inc. Footwear incorporating angled tensile strand elements
US8595878B2 (en) * 2010-08-02 2013-12-03 Nike, Inc. Method of lasting an article of footwear
US9161592B2 (en) * 2010-11-02 2015-10-20 Nike, Inc. Fluid-filled chamber with a stacked tensile member
CN103327844B (zh) * 2010-12-28 2016-01-27 速博菲特环球股份有限公司 具有矫正鞋底夹层的鞋
US9055784B2 (en) * 2011-01-06 2015-06-1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plate and chamber
US8789294B2 (en) * 2011-03-16 2014-07-29 Nike, Inc. Contoured fluid-filled chamber with tensile structures
US8732981B2 (en) * 2011-04-20 2014-05-27 John E. Cobb Eccentric toe-off cam lever
US8950089B2 (en) * 2011-04-20 2015-02-10 Keen, Inc. Heat retention and insulation system for wearable articles
US20130031805A1 (en) * 2011-08-01 2013-02-07 SR Holdings, LLC Articles of Footwear
US20130061494A1 (en) * 2011-09-13 2013-03-14 Danner, Inc. Footwear with sole assembly having midsole plate and heel insert and associated methods
US8365444B2 (en) * 2011-11-07 2013-02-05 Keen, Inc. Articulating footwear sole
US9204680B2 (en) * 2011-11-18 2015-12-08 Nike, Inc. Footwear having corresponding outsole and midsole shapes
US9750300B2 (en) * 2011-12-23 2017-09-0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elevated plate sole structure
US20130180128A1 (en) * 2012-01-13 2013-07-18 Teng Jen YANG Middle Sole With Cushioning Effect
JP5785963B2 (ja) * 2012-01-19 2015-09-30 賢雄 鄭
US8914994B2 (en) * 2012-03-02 2014-12-23 Nike, Inc. Guitar-shaped bladder for footwear
US9913510B2 (en) * 2012-03-23 2018-03-13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Articles of footwear
DE102012206094B4 (de) * 2012-04-13 2019-12-05 Adidas Ag Sohlen für Sportschuhe, Schuh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uhsohle
US9131748B2 (en) * 2012-04-24 2015-09-15 Nike, Inc. Sole assembly with gas and viscous fluid-filled bladder assembly
KR20140013474A (ko) * 2012-07-24 2014-02-05 김양수 안전화용 내답판 제조방법
FR2993758B1 (fr) * 2012-07-27 2015-03-27 Salomon Sas Chaussure a semelage ameliore
US10631593B2 (en) * 2012-08-21 2020-04-28 Levi J. Patton Fluid-filled chamber with a stabilization structure
US9456658B2 (en) * 2012-09-20 2016-10-04 Nike, Inc.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US20140109440A1 (en) * 2012-10-22 2014-04-24 Converse Inc. Shoe With Interchangeable Sole Portion
US20140130375A1 (en) * 2012-11-15 2014-05-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US9380832B2 (en) * 2012-12-20 2016-07-0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fluid-filled chamber lacking an inflation channe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140250720A1 (en) * 2013-03-08 2014-09-11 Nike, Inc. Multicolor Sole System
CA2902810C (en) * 2013-03-15 2017-06-27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lightweight midsole members with protective elements
US9545773B2 (en) * 2013-03-15 2017-01-17 Albany International Corp. Pad comprising an extruded mesh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9603414B2 (en) * 2013-03-15 2017-03-28 Nike, Inc. Fluid-filled chamber with a tensile element
US9801426B2 (en) * 2013-03-15 2017-10-31 Nike Inc. Flexible sole and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140325876A1 (en) * 2013-05-02 2014-11-06 Wolverine World Wide, Inc. Sole assembly for article of footwear
US9622540B2 (en) * 2013-06-11 2017-04-18 K-Swiss, Inc. Article of footwear, element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US9730487B2 (en) * 2013-07-12 2017-08-15 Nike, Inc. Contoured fluid-filled chamber
CA2822759A1 (en) * 2013-08-05 2015-02-05 Richard Patrick Desmarais Footwear having cushioning between sole and upper
CN103481523A (zh) * 2013-09-03 2014-01-01 徐振寰 一种鞋中底的制作方法及其鞋中底及包含该鞋中底的鞋
CN103750597B (zh) * 2013-11-22 2016-08-31 东华大学 一种柔性和高能量吸收的防刺割鞋底
US9615626B2 (en) * 2013-12-20 2017-04-11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segmented portions
US8800170B1 (en) * 2014-01-16 2014-08-12 Ukies LLC Footwear insole system
US9578920B2 (en) * 2014-05-13 2017-02-28 Ariat International, Inc. Energy return, cushioning, and arch support plates, and footwear and footwear soles including the same
WO2015188075A2 (en) * 2014-06-06 2015-12-10 Roar Licensing, Llc Shoe with integral orthotic/propulsion plate
US10058144B2 (en) * 2014-08-06 2018-08-2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midsole with arcuate underside cavity
US10342291B2 (en) * 2014-08-25 2019-07-09 Nike, Inc. Article with sole structure having multiple components
US9516919B2 (en) * 2014-09-16 2016-12-13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bladder for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854869B2 (en) * 2014-10-01 2018-01-0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one or more auxetic bladders
US10165826B2 (en) * 2014-10-31 2019-01-0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midsole assembly having a perimeter bladder element, a method of manufacturing and a mold assembly for same
US9820529B2 (en) * 2015-02-20 2017-11-21 Nike, Inc. Asymmetric torsion plate and composite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9629413B2 (en) * 2015-03-23 2017-04-25 Karl Stien Footwear with tapered heel, support plate, and impact point measurement methods therefore
US10306948B2 (en) * 2015-03-23 2019-06-04 Karl Stien Footwear with tapered heel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measurement
US20160302517A1 (en) * 2015-04-17 2016-10-20 Wolverine World Wide, Inc. Sol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CN204653951U (zh) * 2015-06-04 2015-09-23 福建鸿星尔克体育用品有限公司 复合弹性芯体
US9907357B2 (en) * 2015-09-24 2018-03-06 Nike, Inc. Fluid-filled chamb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JP6480846B2 (ja) * 2015-10-01 2019-03-13 美津濃株式会社 シューズ
CN105394876B (zh) * 2015-11-27 2018-03-27 琪尔特有限公司 一种仿生袋鼠跑鞋鞋底
US10010135B2 (en) * 2016-06-30 2018-07-03 Boot Royalty Company, L.P. Comfort system for boots
US10952498B2 (en) * 2016-11-11 2021-03-23 Nike, Inc. Plate with foam for footwea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25421A1 (en) 2011-11-23 2013-05-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n Internal and External Midsole Structure
US20140259462A1 (en) 2013-03-15 2014-09-18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Fluid-Filled Chamber With A Tensile Element
US20150040428A1 (en) 2013-08-09 2015-02-12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Article Of Footwear With Extruded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87345A1 (en) 2019-05-29
US20230270203A1 (en) 2023-08-31
CN113261746A (zh) 2021-08-17
KR20190031520A (ko) 2019-03-26
CN113261746B (zh) 2023-02-17
EP3487345B1 (en) 2019-11-13
CN109475200A (zh) 2019-03-15
CN109475200B9 (zh) 2021-09-24
CN115944143A (zh) 2023-04-11
CN109475200B (zh)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8717B2 (en) Footwear plate
US11344081B2 (en) Plate with foam for footwear
KR102173524B1 (ko) 신발 플레이트
US10441027B2 (en) Footwear plate
CN113558345B (zh) 用于鞋类的具有泡棉的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