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474A - 안전화용 내답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전화용 내답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474A
KR20140013474A KR1020120080541A KR20120080541A KR20140013474A KR 20140013474 A KR20140013474 A KR 20140013474A KR 1020120080541 A KR1020120080541 A KR 1020120080541A KR 20120080541 A KR20120080541 A KR 20120080541A KR 20140013474 A KR20140013474 A KR 20140013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etration
cover
weaving
inner plat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수
Original Assignee
김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수 filed Critical 김양수
Priority to KR1020120080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3474A/ko
Publication of KR2014001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2Sol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화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어 못과 같이 뾰족한 물체로부터 발바닥을 보호하는 안전화용 내답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 철판으로 형성하던 내답판을 직물지로서 형성하되, 직물지로 형성되는 내답판을 강인한 고강도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밀도가 높게 이중직으로 상부커버지와 방침지를 각각 제직형성한 뒤에, 그 상부커버지와 방침지를 접착 결합하며, 방침지의 저면에 하부커버지를 부착하여 내답판으로의 사용이 가능한 내답판본체를 형성하고, 뒤이어 상기 내답판본체의 상하부에 내답판이 발바닥 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유지되게 하는 커버성형체를 형성함으로서, 내답판이 종래의 철판으로 된 것보다 부드러워 착용감이 우수하면서 발바닥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커버지와 방침지를 제직하는데 사용되는 고강도 합성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단계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펠릿 93중량%와, 항균기능을 하는 은나노분말 1중량%와, 보강제로 사용되는 라바분말 3중량% 및 그라스파우더 2중량%와, 분산제로 사용되는 아연계파우더 1중량%를 교반기에 투입한 뒤에 이들을 교반하여 혼합하는 소재혼합공정(101)과, 각각의 소재가 혼합된 혼합물로서 펠릿을 형성하는 펠릿화공정(102)과, 펠릿화공정에서 형성된 합성섬유 제조용 폴리에틸렌 펠릿을 이용하여 고강도 합성섬유를 형성하는 방사(spinning)공정(103)으로 이루어지는 합성섬유 제조단계(104)와; 상기 합성섬유 제조단계(104)에서 제조 형성된 고강도 합성섬유 70가닥을 연사(twisting)하여 1차 연사섬유를 형성하고, 이 1차 연사섬유 8가닥을 다시 연사하여 2차 연사섬유를 완성하는 연사단계(105)과; 상기 연사단계(105)에서 연사된 2차 연사섬유(내답판제조용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밀도가 높게 이중직으로 상부커버지 원단과 방침지 원단을 각각 제직하는 제직단계(106)와; 상기 제직단계(106)에서 제직 형성된 상부커버지 원단과, 방침지 원단과 별도로 공급되는 하부커버지 원단을 접착제또는 핫멜트로서 접착하는 접착단계(107)와; 상기 접착단계(107)에서 접착된 원단본체를 발바닥의 모양에 맞게 재단하여 내답판본체(10)를 완성하는 재단단계(10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화용 내답판 제조방법{Penetration-resistant insert manufacturing method for safety boots}
본 발명은 안전화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어 못과 같이 뾰족한 물체로부터 발바닥을 보호하는 안전화용 내답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 철판으로 형성하던 내답판을 직물지로서 형성하되, 직물지로 형성되는 내답판을 강인한 고강도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밀도가 높게 이중직으로 상부커버지와 방침지를 각각 제직형성한 뒤에, 그 상부커버지와 방침지를 접착 결합하며, 방침지의 저면에 하부커버지를 부착하여 내답판으로의 사용이 가능한 내답판본체를 형성하고, 뒤이어 상기 내답판본체의 상하부에 내답판이 발바닥 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유지되게 하는 커버성형체를 형성함으로서, 내답판이 종래의 철판으로 된 것보다 부드러워 착용감이 우수하면서 발바닥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안전화용 내답판 제조방법은 특허등록 제10-0623070호(발명의 명칭 : 내답판 제조방법)로 특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발명은, 금속판을 발바닥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금속판 절단단계;
상기 금속판 절단단계에서 절단된 상기 금속판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단계; 상기 불순물 제거단계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상기 금속판의 표면에 접착제를 바르는 접착제 도포단계;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금속판의 일면에 상부도포면을 접촉시키고, 타면에 하부도포면을 접촉시킨 후, 상기 금속판과 상기 상부도포면, 그리고 상기 금속판과 상기 하부도포면 사이의 공간에 수지를 사출하는 동시사출단계; 및 상기 금속판을 수용하는 상기 수지층과 상기 도포면을 발바닥의 형상으로 필요한 크기만큼 절단하는 내답판 절단단계; 를 포함하여, 한 번의 사출작업만으로 상기 수지층이 그 내부에 상기 금속판을 수용하고, 그 외부에는 상기 하부도포면과 상기 상부도포면을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어, 내답판을 제조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발명은 금속판의 상하부 외측에 합성수지재를 사출형성하여 제조됨에 따라 제조공정이 증가되어 제조원가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고, 내답판을 구성하는 주요부가 금속판으로 형성됨에 따라 무게가 무거운 문제와, 착용자가 보행시 발바닥의 구부러짐과 펼침이 반복되는 상황에서도 금속판으로 된 내답판을 단단한 판형태로 유지되고 있음에 따라 발바닥의 움직임에 대응하지 못하여 발바닥이 쉽게 피로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등록 제10-0623070호(발명의 명칭 : 내답판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에 철판의 상하부에 합성수지재가 사출 형성하던 내답판을 직물지로서 형성하되, 직물지로 형성되는 내답판을 강인한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밀도가 높게 이중직으로 상부커버지와 방침지를 각각 제직형성한 뒤에, 그 상부커버지와 방침지를 접착제로서 결합하며, 방침지의 저면에 하부커버지를 부착하여 내답판으로의 사용이 가능한 내답판본체를 형성하고, 뒤이어 상기 내답판본체의 상하부에 내답판이 발바닥 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유지되게 하는 커버성형체를 형성함으로서, 내답판이 종래의 철판으로 된 것보다 부드러워 착용감이 우수하면서 발바닥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커버지와 방침지를 제직하는데 사용되는 고강도 합성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단계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펠릿 93중량%와, 항균기능을 하는 은나노분말 1중량%와, 보강제로 사용되는 라바분말 3중량% 및 그라스파우더 2중량%와, 분산제로 사용되는 아연계파우더 1중량%를 교반기에 투입한 뒤에 이들을 교반하여 혼합하는 소재혼합공정과, 각각의 소재가 혼합된 혼합물로서 펠릿을 형성하는 펠릿화공정과, 펠릿화공정에서 형성된 합성섬유 제조용 폴리에틸렌 펠릿을 이용하여 고강도 합성섬유를 형성하는 방사(spinning)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합성섬유 제조단계와; 상기 합성섬유 제조단계에서 제조 형성된 고강도 합성섬유 70가닥을 연사(twisting)하여 1차 연사섬유를 형성하고, 이 1차 연사섬유 8가닥을 다시 연사하여 2차 연사섬유를 완성하는 연사단계과; 상기 연사단계에서 연사된 2차 연사섬유를 이용하여 밀도가 높게 이중직으로 상부커버지 원단과 방침지 원단을 각각 제직하는 제직단계와; 상기 제직단계에서 제직 형성된 상부커버지 원단과, 방침지 원단과 별도로 공급되는 하부커버지 원단을 접착하는 접착단계와; 상기 접착단계에서 접착된 원단본체를 발바닥의 모양에 맞게 재단하여 내답판본체를 완성하는 재단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에 철판의 상하부에 합성수지재를 사출 형성하던 내답판을 강인한 고강도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밀도가 높게 이중직으로 상부커버지와 방침지를 각각 제직형성한 뒤에, 그 상부커버지와 방침지를 접착 결합하며, 방침지의 저면에 하부커버지를 부착하여 내답판으로의 사용이 가능한 내답판본체를 형성함으로서, 내답판이 종래의 철판을 주요부로 하던 것보다 부드러워 착용감이 우수하면서 발바닥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와, 안전화의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직물지로서 뻣뻣한 판형태로 형성하여 안전화의 내측바닥에서 평탄하게 펼쳐지는 내답판본체의 상하부에 합성수지재나 고무재와 같은 커버성형체를 적층 성형함으로서, 내답판이 아치부를 포함한 발바닥 곡면에 대응되는 상태의 형상을 유지하여 우수한 착용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안전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안전화용 내답판을 나타내는 분리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부커버지와 방침지의 직조상태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용 내답판의 평면도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용 내답판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안전화(100)는 일반적인 안전화와 동일하게 밑창(3)의 상부에 갑피(1)가 덮어씌워지게 설치되고, 그 갑피(1)의 전방 내측에는 단단하여 발끝을 보호하는 토우캡(2)이 설치되며, 갑피(1) 내측의 바닥에는 중창(4)과, 내답판(5), 그리고 안창(6)이 차례로 적층되게 설치된다.
상기 내답판(5)은 종래에 금속판의 상하부면에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었으나, 본 발명은 직물지로서 제작 형성한다.
즉, 본 발명에 의헤 제조되는 안전화용 내답판(5)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물지로 된 상부커버지(11)와 방침지(12), 그리고 하부커버지(13)가 차례로 적층 부착되어 내답판본체(10)를 구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내답판본체(10)의 상하부 외측면부에 합성수지재나 고무재와 같이 내답판본체(10)가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부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커버성형체(16)가 몰딩 적층된다.
이때, 상기 내답판본체(10)의 일측 바닥에는 발바닥의 움푹 파인 아치부에 대응하도록 아치대응부(14)가 만곡 가능하도록 바닥부분과 아치대응부(14)와의 경계부에 1㎜ 내외 크기의 절곡홈(15)이 점선형태로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2~3㎜의 두께로 뻣뻣하게 형성된 내답판본체(10)의 아치대응부(14)를 만곡시킬 수 있게 하였으며, 그 내답판본체(10)의 상하부에 연질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와 같은 연질의 소재로 되는 커버성형체(16)를 몰딩 성형하여 아치대응부(14)가 만곡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질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와 같은 연질의 소재로 되는 커버성형체(16)에 보강제로 사용되는 그라스파우더를 혼합하여 내답판(5)의 전체적인 강도가 증대되도록 하며, 상하부측 커버성형체(16)의 외부면에는 안전화(100)의 내측에서 내답판(5)이 이동되지 않게 하는 다수개의 논슬립돌기(17)를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상부커버지(11)와 방침지(12)는 강인한 고강도의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밀도가 높게 이중직으로 제직형성한 뒤에, 그 상부커버지(11)와 방침지(12)를 접착제나 또는 필름형 핫멜트(hot melt)로서 결합하게 되는데, 그 접착제 또는 핫멜트에 그라스파우더를 혼합하여 접착층에서도 강도를 유지하게 한다.
위와 같은 내답판(5)을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상부커버지(11)와 방침지(12)를 제직하는데 사용되는 고강도 합성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합성섬유 제조단계(104)와, 합성섬유 제조단계(104)에서 제조 형성된 다수가닥의 합성섬유를 연사하는 연사단계(105)과, 연사단계(105)에서 연사된 내답판제조용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밀도가 높게 이중직으로 상부커버지 원단과 방침지 원단을 각각 제직하는 제직단계(106)와, 상기 제직단계(106)에서 제직 형성된 상부커버지 원단과, 방침지 원단과 별도로 공급되는 하부커버지 원단을 접착제 또는 필름형 핫멜트(hot melt)로 접착하는 접착단계(107)와, 접착단계(107)에서 접착된 원단본체를 발바닥의 모양에 맞게 재단하는 재단단계(108)와, 재단단계(108)에서 재단된 내답판본체(10)의 외부 전체면에 커버성형체(16)를 몰딩 형성하여 발바닥형상에 대응되는 내답판(5)의 제조를 완성하는 커버성형체 몰딩단계(109)로 이루어진다.
상기 합성섬유 제조단계(104)는 소재를 혼합하는 소재혼합공정(101)과, 각각의 소재가 혼합된 혼합물로서 펠릿을 형성하는 펠릿화공정(102)과, 펠릿화공정에서 형성된 합성섬유 제조용 폴리에틸렌 펠릿을 이용하여 고강도 합성섬유를 형성하는 방사(spinning)공정(10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재혼합공정(101)은 상온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펠릿 93중량%와, 항균기능을 하는 은나노분말 1중량%와, 보강제로 사용되는 라바(고무)분말 3중량% 및 그라스파우더 2중량%와, 분산제로 사용되는 아연계파우더 1중량%를 교반기에 투입한 뒤에 이들을 교반하여 혼합한다.
그리고, 펠릿화공정(102)은 소재혼합공정에서 혼합된 소재혼합물을 펠릿제조장치에 투입한 뒤에 175~185℃의 온도로 가열하게 되면, 주원료가 되는 폴리에틸렌 펠릿이 녹으면서 노즐을 통하여 물렁한 가닥으로 압출되게 되는데, 이렇게 압출되는 혼합물 가닥을 잘게(5~10㎜)가 절단하고 냉각시켜서 알갱이 형태의 펠릿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펠릿제조장치에서 소재혼합물이 가열되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펠릿이 용융되게 되고, 분산제로 사용되는 아연계파우더가 소재혼합물에 포함된 각각의 소재 입자들을 확산시키면서 고르게 분포되게 하여 각각의 소재들이 고르게 혼합되게 한다.
그리고, 혼합제 중에 라바분말은 폴리에틸렌 소재 자체가 소정의 강도를 지니고 있어 부러질 수 있으므로, 신축성이 우수한 라바(고무)를 혼합시킴에 따라 주성분을 이루는 폴리에틸렌 성형물(고강도 합성섬유)에 텐션을 부여하게 되어 부러짐을 방지하게 하며, 그라스파우더는 추후 성형이 완료되는 내답판 제조용 합성섬유의 인장력을 증대시키게 한다.
또한, 항균제로 사용하게 되는 은나노분말은 추후 성형이 완료된 합성섬유에 항균력을 부여하여 안전화의 내측에 바닥에 설치되는 내답판에 항균력을 부여하게 된다.
위와 같은 펠릿화공정(102)을 거쳐서 제조 성형된 합성섬유제조용 펠릿은 방사기에 투입되어 융액상태에서 방사노즐을 통하여 사출하여 섬유상으로 합성섬유를 방사 형성하는 방사공정(103)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방사되는 폴리에틸렌 합성섬유(고강도 합성섬유)는 1,000데니아의 굵기로 방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합성섬유 제조단계(104)를 거쳐서 고강도 합성섬유를 제조 형성된 뒤에는 연사단계(105)가 이루어지는데, 이 연사단계(105)는 고강도 합성섬유 70가닥을 연사(twisting)하여 1차 연사섬유를 형성하고, 이 1차 연사섬유 8가닥을 다시 연사하여 2차 연사섬유(내답판제조용 합성섬유)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연사단계(105)를 거쳐서 완성된 2차 연사섬유, 즉 내답판제조용 합성섬유의 제조를 완료한 뒤에는, 이 내답판제조용 합성섬유를 위사, 경사, 결합사로 사용하면서 조밀하게 이중 제직하여 상부커버지원단과 방침지원단을 제직하는 제직단계(106)를 실행한다.
이때, 방침지원단의 경우는 위사나 경사 중의 어느 하나나, 또는 위사, 경사 모두를 케블라나 스펙트라, 다이나마와 같은 고강도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제직하여 매우 강도가 우수한고강도의 방침지원단을 제직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제직단계(106)를 통하여 상부커버지원단과 방침지원단을 제직 형성한 뒤에는, 이들 상부커버지원단과 방침지원단과 이미 제조되어 판매되는 하부커버지원단(부직포나 직물지 중의 하나를 선택함)를 접착하여 원단본체를 형성하는 접착단계(107)를 실행한다.
상기 접착은 접착제나 또는 필름형 핫멜트(hot melt)를 이용할 수 있는데, 접착제는 접착면에 도포한 뒤에 압착하여 부착하는 것은 당연하고, 필름형 핫멜트를 이용할 때는 상부커버지원단과 방침지원단의 사이와, 방침지원단과 하부커버지원단 사이에 필름형 핫멜트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열프레스로 압착하면 핫멜트가 녹으면서 상부커버지원단과 방침지원단, 그리고 하부커버지를 간편하게 접착시킬 수 있게 된다.
위의 접착단계(107)에서 형성된 원단본체는 발바닥모양으로 재단되어 내답판본체(10)를 형성하는 재단단계(108)를 실행하게 되는데, 이 내답판본체(10)는 종래의 금속판으로 제조된 내답판과 동일하게 못과 같은 뾰족한 물체가 관통하지 못하게 되어 이 내답판본체(10)만으로도 내답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내답판본체(10)는 강인한 내답판제조용 합성섬유를 조밀하게 이중 제직하여 형성한 2겹의 직물지(상부커버지:11, 방침지:12)와 하부커버지(13)이 적층 결합하여 형성되었기 때문에, 이 내답판본체(10)는 2~3㎜의 두께로 형성되면서 뻣뻣하지만, 신발 내측의 평평한 바닥에 놓였을 때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가 되어 착용감이 좋지 못하게 되는 아쉬움이 있게 되어 추후에 완성되는 내답판(5)이 발바닥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유지하게 하는 커버성형체 몰딩단계(109)를 실행한다.
이 커버성형체 몰딩단계(109)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답판본체(10)의 평평한 바닥부분과 아치대응부(14)가 형성되는 경계선 부분에 1㎜ 내외 크기의 절곡홈(15)이 점선형태로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한 뒤에,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되는 성형공간을 가지는 금형의 내측에 상기 다수의 절곡홈(15)을 형성한 내답판본체(10)를 삽입시킨 상태로 그 상하부에 연질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와 같은 연질의 소재로 되는 커버성형체(16)를 몰딩 성형하면, 그 커버성형체(16) 소재가 내답판본체(10)의 외부 전체면에 증착됨과 아울러 절곡홈(15)으로도 삽입 성형되어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되는 내답판(5)이 형성되게 한다.
이렇게 성형 완료된 내답판(5)의 아치대응부(14)가 다수의 절곡홈(15)을 통과하면서 내답판본체(10)의 상하부 외부면에 증착되는 커버성형체(16) 소재에 의해 발바닥의 대응되는 형상을 유지하게 되어 발바닥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내답판본체(10)의 외부 전체면에 커버성형체(16)를 몰딩 형성할 때, 내답판본체(10)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커버지(11)와, 부직포나 직물지로 형성되는 하부커버지(13)의 표면은 작은 요철부가 연속 형성되고, 직물지를 직조하는 섬유사이의 미세한 공극들에 의해 커버성형체(16)를 형성하는 합성수지재나 고무재 등의 소재가 내답판본체(10)의 외부 전체면에 겹합되는 면적이 증대되어 견고하게 몰딩 증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가 완성된 본 발명에 의한 내답판(5)을 신발의 내측에 삽입시켰을 때, 내답판(5)의 하측에는 중창(4)이 위치하고, 내답판(5)의 상측에는 안창(6)이 위치하게 되는데, 내답판(5)의 상하부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논슬립돌기(17)가 형성되어서 내답판(5)이 신발의 내측에서 움직임이 없이 제자리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안전화를 착용한 착용자가 부주의로 인하여 못과 같은 뾰족한 물체를 밟게 되면, 그 뾰족한 물체는 안전화(100)의 바닥으로부터 밑창(3)과 중창(4)을 뚫고 들어오면서 내답판(5) 저면에 도달하게 된다.
내답판(5)의 저면까지 도달한 뾰족한 물체의 선단부는 내답판(5)를 뚫고 들어가려고 하나,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내답판(5)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측에서부터 하부측 커버성형체(16), 하부커버지(13), 하부커버지(13)와 방침지(12)를 접착하는 접착층, 방침지(12), 방침지(12)와 상부커버지(11)를 접착하는 접착층, 상부커버지(11), 상부측 커버성형체(16)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뾰족한 물체의 선단부는 내답판(5)를 뚫지 못하게 된다.
그 이유는 하부커버지(13)와 방침지(12), 그리고 방침지(12)와 상부커버지(11)를 접착하는 접착층과, 내답판본체(10)의 외부전체를 커버하는 커버성형체(16)에 보강제 역할을 하는 그라스파우더가 포함되어있고, 상부커버지(11)와 방침지(12)가 고강도 합성섬유로 조밀하게 이중직으로 직조되어 있기 때문에 못과 같은 뾰족한 물체가 본 발명의 내답판(5)을 뚫지 못하게 된다.
상기 상부커버지(11)와 방침지(12)를 제직하는데 소요되는 내답판제조용 합성섬유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보강제 역할을 하는 그라스파우더와 부러짐을 방지하도록 텐션을 부여하는 라바분말이 포함되어 있으며, 내답판제조용 합성섬유를 제조할 때, 고강도 합성섬유를 1차로 70가닥을 연사하고, 그 1차로 연사된 1차 연사섬유 8가닥을 2차로 연사하여 함에 따라 위사, 경사, 결합사 들의 1가닥은 560가닥의 고강도 합성섬유가 소요된다.
그리고, 이들 560가닥으로 제조된 위사(a), 경사(b), 결합사(c) 들을 이중직으로 직조할 때, 위사, 경사, 결합사를 4~6가닥으로 직조함에 따라 상부커버지(11)와 방침지(12)는 각각 2,240~3,360가닥의 고강도 합성섬유가 소요되며, 이렇게 2,240~3,360가닥의 고강도 합성섬유가 소요된 상부커버지(11)와 방침지(12)가 적층되었으므로 전체적으로 4,480~6,720가닥의 고강도 합성섬유가 소요된다.
또한, 내답판제조용 합성섬유를 위사와 경사 그리고 결합사로 하는 이중직 구조로 직조하되, 위사와 경사 그리고 결합사 사이의 공극을 최소화시킨 조밀한 구조로 직조하여 상부커버지(11)와 방침지(12)를 직조하여 내답판본체(10)를 구성하였다.
상기 상부커버지(11)와 방침지(12)만 보더라도 비교적 굵은 1,000데니아의 고강도 합성섬유가 4,480~6,720가닥이 제직에 사용된 것임에 따라 못과 같은 뾰족한 물체가 찔릴 때, 그 수많은(4,480~6,720가닥) 섬유들 사이에서 저항이 생기고 지그재그 형으로 배치되게 되는 위사와 경사, 그리고 결합사에 뾰족한 물체의 선단부가 걸리게 되고, 상하부측 커버성형체(16)와 각각의 접착층에서도 저항력이 작용함에 따라 뾰족한 물체가 내답판(5) 전체를 뚫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부커버지(11)의 하측에 위치하는 방침지(12)는 매우 강도가 높은 케블라, 스펙트라, 다이니마와 같은 고강도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한 것임에 따라 못이 찔리는 초기부터 못을 뚫림을 저지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1 : 갑피 2 : 토우캡 3 : 밑창
4 : 중창 5 : 내답판 6 : 안창
10 : 내답판본체 11 : 상부커버지 12 : 방침지
13 : 하부커버지 14 : 아치대응부 15 : 절곡홈
16 : 커버성형체 17 : 논슬립돌기 100 : 안전화
101 : 소재혼합공정 102 : 펠릿화공정 103 : 방사공정
104 : 합성섬유 제조단계 105 : 연사단계 106 : 제직단계
107 : 접착단계 108 : 재단단계 109 : 커버성형체 몰딩단계

Claims (3)

  1. 상부커버지와 방침지를 제직하는데 사용되는 고강도 합성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단계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펠릿 93중량%와, 항균기능을 하는 은나노분말 1중량%와, 보강제로 사용되는 라바분말 3중량% 및 그라스파우더 2중량%와, 분산제로 사용되는 아연계파우더 1중량%를 교반기에 투입한 뒤에 이들을 교반하여 혼합하는 소재혼합공정(101)과, 각각의 소재가 혼합된 혼합물로서 펠릿을 형성하는 펠릿화공정(102)과, 펠릿화공정에서 형성된 합성섬유 제조용 폴리에틸렌 펠릿을 이용하여 고강도 합성섬유를 형성하는 방사(spinning)공정(103)으로 이루어지는 합성섬유 제조단계(104)와;
    상기 합성섬유 제조단계(104)에서 제조 형성된 고강도 합성섬유 70가닥을 연사(twisting)하여 1차 연사섬유를 형성하고, 이 1차 연사섬유 8가닥을 다시 연사하여 2차 연사섬유를 완성하는 연사단계(105)과;
    상기 연사단계(105)에서 연사된 2차 연사섬유를 이용하여 밀도가 높게 이중직으로 상부커버지 원단과 방침지 원단을 각각 제직하는 제직단계(106)와;
    상기 제직단계(106)에서 제직 형성된 상부커버지 원단과, 방침지 원단과 별도로 공급되는 하부커버지 원단을 접착제 또는 핫멜트로서 접착하는 접착단계(107)와;
    상기 접착단계(107)에서 접착된 원단본체를 발바닥의 모양에 맞게 재단하여 내답판본체(10)를 완성하는 재단단계(10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용 내답판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침지원단은 위사, 또는 경사 중에 어느 하나를 케블라, 스펙트라, 다이나마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제직 형성하고,
    상기 재단단계(108)에서 재단된 내답판본체(10)의 외부 전체면에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 중의 어느 하나의 소재로 되는 커버성형체(16)를 몰딩 형성하여 발바닥형상에 대응되는 내답판(5)의 제조를 완성하는 커버성형체 몰딩단계(109)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용 내답판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와 커버성형체(16)에는 접착제층과 커버성형체(16)를 보강하는 그라스 파우더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용 내답판 제조방법.
KR1020120080541A 2012-07-24 2012-07-24 안전화용 내답판 제조방법 KR20140013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541A KR20140013474A (ko) 2012-07-24 2012-07-24 안전화용 내답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541A KR20140013474A (ko) 2012-07-24 2012-07-24 안전화용 내답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474A true KR20140013474A (ko) 2014-02-05

Family

ID=5026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541A KR20140013474A (ko) 2012-07-24 2012-07-24 안전화용 내답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34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8700A (zh) * 2018-10-31 2019-03-15 盐城优和博新材料有限公司 一种抗菌高强聚乙烯纤维的制造方法
CN113261746A (zh) * 2016-07-20 2021-08-17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鞋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61746A (zh) * 2016-07-20 2021-08-17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鞋板
CN113261746B (zh) * 2016-07-20 2023-02-17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鞋板
CN109468700A (zh) * 2018-10-31 2019-03-15 盐城优和博新材料有限公司 一种抗菌高强聚乙烯纤维的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76174B (zh) 鞋底
JP6549513B2 (ja) スポーツシューズ用のソール
JP6685636B2 (ja) シューズ、特にスポーツシューズ
US9775401B2 (en) Sole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a one-piece knit outsole
US5996255A (en) Puncture resistant insole
CN109561747A (zh) 鞋板
US20140338222A1 (en) Upper of footwea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3835558A (en) Insole
KR20090010163A (ko) 슈즈-강화 물질, 및 이로 구성된 배리어 유닛, 복합체 슈즈밑창, 및 신발
CN107048585A (zh) 具有带分段保护件的轻质鞋底夹层的鞋底结构和鞋类物品
KR200469039Y1 (ko) 안전화용 내답판
EP1937096B1 (en) Insole having puncture-resistant properties for safety footwear
KR102141587B1 (ko) 아웃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3137529A1 (en) Custom insoles and preparing method therefor
CN108601425B (zh) 用于鞋类物品的耐候鞋面
KR20140013474A (ko) 안전화용 내답판 제조방법
US20240138525A1 (e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winding elements
KR20140003943A (ko) 신발에 적용되는 내답판용 원단 및 그 내답판용 원단의 제조 방법, 내답판 및 그 내답판의 제조 방법
KR100909081B1 (ko) 찔림방지용 군화
KR100964332B1 (ko) 안전화의 제조방법
KR102247685B1 (ko) 신발용 내답판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8137647A1 (zh) 橡胶复合物、橡胶鞋底及其制造方法
US11896076B1 (en) Footwear upper having a unitary knit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20090002347U (ko) 신발 안창
US11447897B2 (en) Puncture resistant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