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587B1 - 아웃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웃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587B1
KR102141587B1 KR1020190039589A KR20190039589A KR102141587B1 KR 102141587 B1 KR102141587 B1 KR 102141587B1 KR 1020190039589 A KR1020190039589 A KR 1020190039589A KR 20190039589 A KR20190039589 A KR 20190039589A KR 102141587 B1 KR102141587 B1 KR 102141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inner
outsole
forefoot
midfoo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표
유원호
심재륜
장인배
Original Assignee
삼덕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덕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덕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9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아웃솔; 및 상기 아웃솔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다공성 내답판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 중 일부가 상기 다공성 내답판의 기공에 침투하여 상기 아웃솔 및 상기 다공성 내답판이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에 의해 결합된 아웃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아웃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AN OUTSOLE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웃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답판과의 결합력 및 유연성이 우수하고 경량화 가능한 아웃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화는 산업현장에서 착용하는 신발로써, 산업현장에서의 위험요소를 감안하여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외피는 날카로운 물체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 가죽으로 되어 있으며, 발가락을 보호하기 위해 금속으로 이루어진 토우-캡을 안전화의 선단에 내입하고, 발바닥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화의 바닥창 내부에 발바닥 크기의 금속판을 내입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화의 구조에서 특히 발바닥을 보호하기 위해 바닥창을 이루는 중창 앞 또는 뒤에 설치하는 금속판은 보행에 불편이 없도록 무게가 가벼우며 굽힘과 펼침의 반복에 의한 스트레스를 잘 견딜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지만, 이러한 안전화를 장기간 착용하게 되면 접착제로 결합한 부분이 이격되어 금속판이 바닥창의 앞 부분을 뚫고 나오는 문제가 있고, 금속판 자체가 지닌 강도 때문에 안전화에서 중요한 요소인 유연성이 부족하여 안전화 착화 후 불안전한 상태 및 피로감을 초래하였다.
이에 대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09067호는 일정 두께를 갖는 방탄섬유판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한 후 건조하고 이를 적절한 규격에 따라 재단하는 제1 공정과; 열가소성 스펀지로 중창형성을 위한 부품을 준비하는 제2 공정과; 금형의 맨 하부에 상기 제1 공정에서 준비된 규격별 방탄섬유판을 놓고 그 상부에 상기 제2 공정에서 준비된 중창의 준비물을 투입을 하는 제3 공정; 및 상기 방탄섬유판과 중창용 스펀지 준비물이 투입되어진 금형을 가압, 열/냉각하여 일체형 중창을 제조하는 제4 공정을 포함하는 내답판 일체형 중창의 제조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641951호는, 방탄부재 내답판이 인서트 사출된 안전화용 중창에 관한 것으로서, 중창에 하부면에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에 방탄섬유로 이루어진 방탄부재 내답판을 일체로 인서트 사출성형함으로써 강도가 대폭 강화되고, 안전화의 형상이 변형되더라도 방탄부재 내답판의 위치가 고정되어 제품의 수명이 최대한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탄부재 내답판이 발바닥과 밀착되는 상측창과 중창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중창 및 상측창을 인체공학적인 형상으로 제작하여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개시한 바 있다.
다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내답판을 부착하기 위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적용된 내답판 자체의 유연성이 여전히 부족하다. 또한, 내답판을 구성하는 아라미드, 케블라와 같은 대표적인 방탄소재는 친수성인 반면에, 상기 내답판에 부착, 결합되는 아웃솔(겉창) 및/또는 미드솔(중창)을 구성하는 고무 등의 소재는 소수성이므로 이종 소재의 친수성-소수성 상호작용에 기한 부착력, 결합력을 기대할 수 없고, 그에 따라 접착제 또는 접착층과 같은 추가의 구성과 공정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답판과의 결합력 및 유연성이 우수하고 경량화 가능한 아웃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아웃솔; 및 상기 아웃솔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다공성 내답판;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 중 일부가 상기 다공성 내답판의 기공에 침투하여 상기 아웃솔 및 상기 다공성 내답판이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에 의해 결합된 아웃솔 구조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내답판은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족부, 상기 중족부 및 상기 후족부의 평균 두께는 각각 T1, T2 및 T3이고, T2<T1 및 T2<T3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로부터 상기 중족부로의 두께 구배는 연속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족부로부터 상기 후족부로의 두께 구배는 연속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로부터 상기 중족부로의 두께 구배는 불연속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족부로부터 상기 후족부로의 두께 구배는 불연속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T1, T2 및 T3가 하기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i) 0.1mm <T1-T2<5mm; 및 (ii) 0.1mm<T3-T2<5m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내답판은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의 적어도 일면은 각각 평균 깊이가 d1, d2 및 d3이고, 평균 너비가 w1, w2 및 w3인 복수의 요철을 포함하고, d3≤d1<d2이고, w3≤w1<w2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내답판은 방탄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A)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를 포함하는 다공성 내답판을 가압하여 상기 다공성 내답판의 일면을 패터닝하는 단계; 및 (B) 상기 다공성 내답판을 인서트 프레스 방식으로 아웃솔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전족부, 상기 중족부 및 상기 후족부의 평균 두께를 각각 T1, T2 및 T3할 때, T2<T1 및 T2<T3를 만족하도록 상기 다공성 내답판을 가압하거나, 상기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의 적어도 일면에 각각 평균 깊이가 d1, d2 및 d3이고, 평균 너비가 w1, w2 및 w3이고, d3≤d1<d2이고, w3≤w1<w2를 만족하는 요철을 형성하도록 상기 다공성 내답판을 가압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아웃솔 중 일부가 상기 다공성 내답판의 기공에 침투하여 상기 아웃솔 및 상기 다공성 내답판이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에 의해 결합되는 아웃솔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아웃솔 구조체는, 아웃솔 중 일부가 다공성 내답판의 기공에 침투하여 상기 아웃솔 및 상기 다공성 내답판이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가지므로, 결합력,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다공성 내답판은 경량의 방탄소재로 이루어진 다공성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 금속 및/또는 솔리드(기공없이 내부가 꽉 찬 구조) 고분자 판재로 이루어진 내답판에 비해 가벼우므로 아웃솔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을 경량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내답판은 두께 구배를 가지거나 그 표면이 일정 형태로 패터닝된 것으로서, 상기 다공성 내답판에 포함된 소재의 화학적 특성에 기인한 유연성뿐만 아니라 구조적, 기계적, 물리적 특성에 기인한 유연성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착용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 구조체의 단면을 도식화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내답판의 단면을 도식화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내답판의 단면을 도식화한 것이고;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내답판의 단면을 도식화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내답판의 단면을 도식화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내답판의 단면을 도식화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웃솔 구조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아웃솔; 및 상기 아웃솔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다공성 내답판;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 중 일부가 상기 다공성 내답판의 기공에 침투하여 상기 아웃솔 및 상기 다공성 내답판이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에 의해 결합된 아웃솔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아웃솔은 공지된 탄성소재, 예를 들어,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공성 내답판은, 합성섬유 원단을 접착제로 도포 및/또는 함침시킨 후 여러 겹으로 적층, 압착하여 일정 두께의 판(sheet)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합성섬유 원단은 제직된 직포, 또는 스핀 코팅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합성섬유 원단의 유형에 관계없이, 상기 합성섬유 원단은 일정 수준의 통기성을 가지며, 이를 적층, 압착하여 제조된 내답판 또한 그 내부와 표면에 다수의 개방형 및/또는 폐쇄형 기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개방형 및/또는 폐쇄형 기공은 상기 내답판에 구조적 유연성을 1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다공성 내답판 중 상기 기공의 부피, 즉, 기공률이 클수록 유연성은 개선되는 반면에 기계적 강도는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적층, 압착 시 상기 내답판의 두께와 기공률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 구조체의 단면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아웃솔(200) 중 일부가 상기 다공성 내답판(100)의 표면에 형성된 개방형 기공의 내부로 침투하여 상기 아웃솔 및 상기 다공성 내답판이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내답판은 상기 아웃솔과 후술할 인서트 프레스 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이 때, 금형에 가해진 열에 의해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아웃솔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가 용융될 수 있다. 용융된 아웃솔의 표면은 상기 다공성 내답판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호 압착되므로, 상기 용융된 아웃솔 중 일부가 상기 다공성 내답판의 표면에 형성된 개방형 기공의 내부로 침투할 수 있고, 이후 냉각되면서 상기 아웃솔 및 상기 다공성 내답판 사이에 앵커링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아웃솔 및 상기 다공성 내답판은 용융 접착 또는 용융 압착이라는 화학적 수단 및 앵커링 효과라는 물리적, 구조적 수단에 의해 강하게 결합되어 상기 아웃솔 구조체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화의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내답판은 경량의 방탄소재로 이루어진 다공성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 금속 및/또는 솔리드(기공없이 내부가 꽉 찬 구조) 고분자 판재로 이루어진 내답판에 비해 가벼우므로 아웃솔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을 경량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내답판의 단면을 도식화한 것이다. 상기 다공성 내답판(100)은 전족부(110), 중족부(120) 및 후족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족부, 상기 중족부 및 상기 후족부의 평균 두께는 각각 T1, T2 및 T3이고, T2<T1 및 T2<T3인 두께 구배를 가질 수 있다. 착용자의 관점에서, 상기 전족부는 발가락이 위치하는 영역, 상기 중족부는 발볼과 아치가 위치하는 영역, 상기 후족부는 발꿈치가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내답판(100)은 미리 정해진 두께 구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족부(110), 상기 중족부(120) 및 상기 후족부(130)의 평균 두께가 각각 T1, T2, T3인 경우, T2<T1, 및 T2<T3인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내답판(100)을 아웃솔 구조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일정한 형태로 성형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상기 다공성 내답판(100)의 기계적 강도와 유연성 간에는 트레이드-오프(trade-off)가 발생하므로, 각 부분의 적용 부위, 역할에 따라 상기 다공성 내답판(100)에 두께 구배를 부여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유연성을 균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두께 구배는 다음과 같이 예시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전족부(110)로부터 상기 중족부(120)로의 두께 구배 및 상기 중족부(120)로부터 상기 후족부(130)로의 두께 구배가 연속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 내답판(100)의 두께는 상기 전족부(110)로부터 상기 중족부(120)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중족부(120)로부터 상기 후족부(130)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증가하여, T2<T1, 및 T2<T3인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연속적"은 상기 두께 구배에 의한 경사면이 단차 없이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증감 태양을 가리킨다.
상기 연속적 두께 구배는 평평한 하단면을 기준으로 상단면에만 형성될 수 있고(도 2), 하단면과 상단면 양측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도 3). 상기 전족부(110), 중족부(120) 및 상기 후족부(130)의 평균 두께 T1, T2, 및 T3는 각 부위의 단면 상에서 나타나는 중점으로부터 하단면까지의 거리, 또는 중점 간의 거리로 측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내답판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전족부(110)로부터 상기 중족부(120)로의 두께 구배 및 상기 중족부(120)로부터 상기 후족부(130)로의 두께 구배가 불연속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 내답판(100)의 두께는 상기 전족부(110)로부터 상기 중족부(120)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중족부(120)로부터 상기 후족부(130)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증가하여, T2<T1, 및 T2<T3인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불연속적"은 일정한 기울기 없이 하나 이상의 계단형 단차에 의한 두께의 증감 태양을 가리킨다.
상기 불연속적 두께 구배 또한 평평한 하단면을 기준으로 상단면에만 형성될 수 있고(도 4), 하단면과 상단면 양측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도 5). 이 때, 상기 두께 구배는 하나의 단차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단차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족부(110), 중족부(120) 및 상기 후족부(130)의 두께는 각 부분에서 일정하므로, 평균 두께 T1, T2, 및 T3는 각 부분의 두께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중족부(120)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된 단차의 높이와 수는 다공성 내답판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동일할 수 있고, 각 부분의 길이, 강도, 성형성, 유연성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이할 수도 있다. 즉, 상기 T1과 T3는 동일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다공성 내답판(100)은 연속적인 두께 구배와 불연속적인 두께 구배를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족부(110)로부터 상기 중족부(120)로의 두께 구배가 연속적이고, 상기 중족부(120)로부터 상기 후족부(130)로의 두께 구배가 불연속적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전족부(110)로부터 상기 중족부(120)로의 두께 구배가 불연속적이고, 상기 중족부(120)로부터 상기 후족부(130)로의 두께 구배가 연속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족부(110)로부터 상기 중족부(120)로의 두께 구배 및 상기 중족부(120)로부터 상기 후족부(130)로의 두께 구배가 각각 연속적인 경사와 불연속적인 단차에 의해 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족부(120)의 상단면이 연속적, 불연속적, 또는 이들이 복합된 두께 구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T2가 0.1~5mm, 바람직하게는, 1~5mm일 수 있다. 상기 T2가 0.1mm 미만이면 상기 다공성 내답판에 필요한 강도를 부여할 수 없고, 5mm 초과이면 유연성이 저하되어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고, 상기 중족부(120)가 상기 전족부(110)와 후족부(130)에 집중된 응력을 적절히 분산할 수 없어 다공성 내답판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T1 및 T3는 1~10mm, 바람직하게는, 3~10mm일 수 있다. 상기 T1 및 T3가 1mm 미만이면 상기 다공성 내답판에 필요한 강도를 부여할 수 없고, 10mm 초과이면 유연성이 저하되고 중량이 늘어나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1, T2 및 T3가 하기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i) 0.1mm <T1-T2<5mm; 및 (ii) 0.1mm<T3-T2<5mm.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내답판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다공성 내답판(100)은 전족부(110), 중족부(120) 및 후족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의 적어도 일면은 각각 평균 깊이가 d1, d2 및 d3이고, 평균 너비가 w1, w2 및 w3인 복수의 요철을 포함하고, d3≤d1<d2이고, w3≤w1<w2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요철은 상기 다공성 내답판의 양면에 그 형태와 구조가 대칭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착용자의 관점에서, 상기 전족부(110)는 발가락이 위치하는 영역, 상기 중족부(120)는 발볼과 아치가 위치하는 영역, 상기 후족부(130)는 발꿈치가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내답판(100)에서, 상기 다수의 개방형 및/또는 폐쇄형 기공은 상기 내답판에 구조적 유연성을 1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요철은 상기 내답판에 구조적 유연성을 2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다공성 내답판(120)에 포함된 기공과 그 표면에 형성된 요철이 상호 조합됨으로써, 상기 다공성 내답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아웃솔 구조체와 안전화의 유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요철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반)원형 등으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다공성 내답판이 굽혀진 상태와 펴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이질감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요철의 단면이 테이퍼된(tapered) 형태 및/또는 삼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용 간 상대적으로 굽힘 빈도가 잦은 상기 중족부(120)에 형성된 요철의 평균 깊이(d2) 및 평균 너비(w2)는 상기 전족부(100) 및 상기 후족부(130)의 평균 깊이(d1, d3) 및 평균 너비(w1, w3)에 비해 클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다공성 내답판(100)의 유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내답판은 방탄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탄소재는, 예를 들어, 폴리아마이드, 아라미드 섬유, 폴리올레핀, 탄소섬유, 그래핀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아웃솔 구조체는 상기 아웃솔(200)과 상기 다공성 내답판(100)이 실질적으로 일체를 이루므로, 상기 아웃솔 구조체의 상면에 미드솔, 갑피, 토우-캡 등의 부재를 선택적으로 및/또는 조합하여 결합함으로써 주변 환경에 적합하고 착용감, 내구성이 개선된 안전화를 제조할 수 있다.
아웃솔 구조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A)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를 포함하는 다공성 내답판을 가압하여 상기 다공성 내답판의 일면을 패터닝하는 단계; 및 (B) 상기 다공성 내답판을 인서트 프레스 방식으로 아웃솔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전족부, 상기 중족부 및 상기 후족부의 평균 두께를 각각 T1, T2 및 T3할 때, T2<T1 및 T2<T3를 만족하도록 상기 다공성 내답판을 가압하거나, 상기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의 적어도 일면에 각각 평균 깊이가 d1, d2 및 d3이고, 평균 너비가 w1, w2 및 w3이고, d3≤d1<d2이고, w3≤w1<w2를 만족하는 요철을 형성하도록 상기 다공성 내답판을 가압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아웃솔 중 일부가 상기 다공성 내답판의 기공에 침투하여 상기 아웃솔 및 상기 다공성 내답판이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에 의해 결합되는 아웃솔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를 포함하는 다공성 내답판을 가압하여 상기 다공성 내답판의 일면을 패터닝할 수 있다. 상기 가압은 패터닝하고자 하는 두께 구배 및/또는 요철의 형태와 구조에 따라 상기 다공성 내답판을 열가압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다공성 내답판의 원재료인 합성섬유 원단을 접착제로 도포 및/또는 함침시킨 후 여러 겹으로 적층, 열압착함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열가압을 위한 수단으로는 평판 프레스, 롤 프레스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터닝된 상기 다공성 내답판의 형태와 구조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다.
상기 (B) 단계에서, 인서트 프레스 방식으로 상기 아웃솔과 상기 다공성 내답판을 결합시키는 경우, 금형이 별도의 고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전술한 앵커링 효과에 의해 상기 다공성 내답판이 상기 아웃솔의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경제성, 생산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다공성 내답판
110: 전족부
120: 중족부
130: 후족부
200: 아웃솔

Claims (10)

  1. 아웃솔; 및
    상기 아웃솔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다공성 내답판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내답판은 방탄소재를 포함하는 합성섬유 원단이 적층되어 그 내부와 표면에 다수의 개방형 및 폐쇄형 기공을 가지고,
    상기 아웃솔 중 일부가 상기 다공성 내답판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개방형 기공에 침투하여 상기 아웃솔 및 상기 다공성 내답판이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다공성 내답판은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족부, 상기 중족부 및 상기 후족부의 평균 두께는 각각 T1, T2 및 T3이고,
    T2<T1 및 T2<T3인 아웃솔 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로부터 상기 중족부로의 두께 구배는 연속적인 아웃솔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족부로부터 상기 후족부로의 두께 구배는 연속적인 아웃솔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부로부터 상기 중족부로의 두께 구배는 불연속적인 아웃솔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족부로부터 상기 후족부로의 두께 구배는 불연속적인 아웃솔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1, T2 및 T3가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아웃솔 구조체:
    (i) 0.1mm <T1-T2<5mm; 및
    (ii) 0.1mm<T3-T2<5mm.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내답판은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의 적어도 일면은 각각 평균 깊이가 d1, d2 및 d3이고, 평균 너비가 w1, w2 및 w3인 복수의 요철을 포함하고,
    d3≤d1<d2이고, w3≤w1<w2인 아웃솔 구조체.
  9. 삭제
  10. (A)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를 포함하는 다공성 내답판을 가압하여 상기 다공성 내답판의 일면을 패터닝하는 단계; 및
    (B) 상기 다공성 내답판을 인서트 프레스 방식으로 아웃솔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내답판은 방탄소재를 포함하는 합성섬유 원단이 적층되어 그 내부와 표면에 다수의 개방형 및 폐쇄형 기공을 가지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전족부, 상기 중족부 및 상기 후족부의 평균 두께를 각각 T1, T2 및 T3할 때, T2<T1 및 T2<T3를 만족하도록 상기 다공성 내답판을 가압하거나,
    상기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의 적어도 일면에 각각 평균 깊이가 d1, d2 및 d3이고, 평균 너비가 w1, w2 및 w3이고, d3≤d1<d2이고, w3≤w1<w2를 만족하는 요철을 형성하도록 상기 다공성 내답판을 가압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아웃솔 중 일부가 상기 다공성 내답판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개방형 기공에 침투하여 상기 아웃솔 및 상기 다공성 내답판이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에 의해 결합되는 아웃솔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20190039589A 2019-04-04 2019-04-04 아웃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141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589A KR102141587B1 (ko) 2019-04-04 2019-04-04 아웃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589A KR102141587B1 (ko) 2019-04-04 2019-04-04 아웃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587B1 true KR102141587B1 (ko) 2020-08-06

Family

ID=72040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589A KR102141587B1 (ko) 2019-04-04 2019-04-04 아웃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5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641B1 (ko) * 2020-11-09 2021-12-22 삼덕통상 주식회사 미드솔 일체형 아웃솔의 제조방법
KR102355159B1 (ko) * 2020-11-23 2022-02-07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적층 가공을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2355158B1 (ko) * 2020-11-10 2022-02-08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적층 가공을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2355157B1 (ko) * 2020-11-10 2022-02-08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적층 가공을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6508A (ko) * 1998-12-31 2000-07-25 오용훈 금속의 내답판이 일체로 성형된 안전화용깔창과 그 제조방법
JP4087882B2 (ja) * 2004-12-27 2008-05-21 美津濃株式会社 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6508A (ko) * 1998-12-31 2000-07-25 오용훈 금속의 내답판이 일체로 성형된 안전화용깔창과 그 제조방법
JP4087882B2 (ja) * 2004-12-27 2008-05-21 美津濃株式会社 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641B1 (ko) * 2020-11-09 2021-12-22 삼덕통상 주식회사 미드솔 일체형 아웃솔의 제조방법
KR102355158B1 (ko) * 2020-11-10 2022-02-08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적층 가공을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2355157B1 (ko) * 2020-11-10 2022-02-08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적층 가공을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2355159B1 (ko) * 2020-11-23 2022-02-07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적층 가공을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587B1 (ko) 아웃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US10897961B2 (en) Article having sole assembly with cleats
US10005251B2 (en) Decorated sole elements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processes for making thereof
US20210289884A1 (en) Flexible fluid-filled chamber with tensile member
CN113615931B (zh) 具有拉力构件的柔性流体填充腔室
EP3270726B1 (en) Sol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a sole structure
KR101376697B1 (ko) 인장 요소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
EP1937096B1 (en) Insole having puncture-resistant properties for safety footwear
WO2013137529A1 (en) Custom insoles and preparing method therefor
KR20110054958A (ko) 장화 및 그의 제조방법
EP3402359B1 (en)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n outer sole component with a co-molded flex modifier component, and method of making said sole structure
KR101641951B1 (ko) 방탄부재 내답판이 인서트 사출된 안전화용 중창 및 그 제조방법과, 방탄부재 내답판이 인서트 사출된 안전화용 중창이 적용된 안전화
KR102127505B1 (ko) 다공성 신발중창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신발중창
CN2330207Y (zh) 鞋中底板材构造
US20190380432A1 (en) Rubber Composite, Rubber Sole, and Method Thereof
KR101980376B1 (ko) 방탄소재 내답판이 인서트된 아웃솔을 포함하는 안전화용 신발창 및 이의 제조방법
TWM503121U (zh) 鞋墊
KR20090123097A (ko) 키높이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