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958A - 장화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화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958A
KR20110054958A KR1020090111790A KR20090111790A KR20110054958A KR 20110054958 A KR20110054958 A KR 20110054958A KR 1020090111790 A KR1020090111790 A KR 1020090111790A KR 20090111790 A KR20090111790 A KR 20090111790A KR 20110054958 A KR20110054958 A KR 20110054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reinforcing material
mold
boots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2271B1 (ko
Inventor
강형중
Original Assignee
강형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형중 filed Critical 강형중
Priority to KR1020090111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2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0Producing footwear having preformed soles or heels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feeding or injecting plastics material between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2S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114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using an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6PVC, i.e. polyvinylchlor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가볍고 착용감이 우수한 장화를 용이하게 제작하여 품질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밑창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료로 이루어진 밑창보강재를 밑창 몰드상의 보강영역에 대응되는 일정 크기로 재단 가공하는 보강재가공단계; 가공된 상기 밑창보강재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접착층형성단계; 접착층이 형성된 상기 밑창보강재의 타면을 상기 밀창 몰드의 상면에 경질의 상기 밑창보강재를 압착시키는 조정부착수단으로 위치 조정하여 부착하는 보강재부착단계; 및 상기 밑창보강재가 부착된 상기 밑창 몰드에 신골과 몸통 몰드를 결합시켜 사출재료와 상기 밑창보강재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사출성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장화, 밑창보강재, 조정부착수단

Description

장화 및 그의 제조방법{boo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boots}
본 발명은 장화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볍고 착용감이 우수한 장화를 용이하게 제작하여 품질이 향상되는 장화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화는 방수, 안전, 방한 등의 목적을 위해서 목이 길게 올라오는 신으로서 모든 산업분야 및 레져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장화는 용도에 따라 물이 고여 있는 작업장에서 방수를 위한 목적으로 착용되며 일반적인 장화를 일컫는 일반장화와, 겨울철에 방한을 위해서 착용되는 방한장화와, 산업 현장에서 안전을 위해서 착용되는 안전장화와, 낚시를 할 때 착용되는 낚시장화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런데, 장화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신축성이 뛰어난 연질 재료로 제작됨에 따라 바닥부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장화 착용자의 발을 다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바닥부의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장화의 바닥부에는 장화의 몸체를 이루는 연질 재료보다 강도가 높은 재료를 사용한 밑창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장화는 밑창과 상기 밑창과 융착되고 내부에 발이 들어갈 수 있 는 공간이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와 밑창의 내부면에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내피를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장화를 제작하는 종래의 방법은 고무판 또는 고무시트를 장화형으로 되게 접착하여 제조하기 위해서 고무를 카렌다 시트로 제작하여 장화를 형태대로 오려 붙인 다음 고온 숙성 가마에 쪄서 고무를 가황시키는 방법이나 상부금형,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몸통몰드와 밑창몰드에 고무나 합성수지판을 올려놓고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신골로 밀착시키면 고열 및 압착력에 의해 상기 금형들에 올려진 고무나 합성수지판이 상호 융착되는 방법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고무장화는 단일 재료로 제작됨에 따라 유연성으로 인한 착용감과 강도로 인한 안전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강도 보강을 위해 밑창을 사용할 경우 밑창이 몸통보다 강도가 높은 경질 재료가 사용됨에 따라 장화가 전체적으로 무거워지므로 작업 피로를 가중시켰으며 신축성이 저하되어 착용감이 떨어지므로 발의 피로를 가중시키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장화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 강도보강이 요구되는 부위에만 밑창보강재를 삽입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함으로써 가볍고 착용감이 우수한 장화를 용이하게 제작하여 품질이 향상되는 장화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밑창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료로 이루어진 밑창보강재를 밑창 몰드상의 보강영역에 대응되는 일정 크기로 재단 가공하는 보강재가공단계; 가공된 상기 밑창보강재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접착층형성단계; 접착층이 형성된 상기 밑창보강재의 타면을 상기 밀창 몰드의 상면에 경질의 상기 밑창보강재를 압착시키는 조정부착수단으로 위치 조정하여 부착하는 보강재부착단계; 및 상기 밑창보강재가 부착된 상기 밑창 몰드에 신골과 몸통 몰드를 결합시켜 사출재료와 상기 밑창보강재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사출성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재부착단계는 상기 조정부착수단이 상기 밑창보강재에 홈 형성된 다수 개의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에 대향되는 상기 밀창 몰드상에 상기 끼움홈에 압입되는 너비로 라운드지게 밴딩되어 돌출된 다수 개의 끼움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층형성단계는 상기 접착층이 PVC사출 성형시 사출 온도에서 용융되어 냉각된 후 접착력을 발휘하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적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보강재가공단계에서 상기 보강재료는 경질 재료의 미끄럼방지용 특수고무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출성형단계에서 상기 사출재료의 주성분은 경화후 연질 재료가 되는 폴리염화비닐(PVC)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되,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몸통; 상기 몸통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바닥면의 길이 방향으로 단차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영역부가 형성된 밑창; 및 상기 보강영역부에 형합되도록 일체로 사출 성형되되, 하면이 상기 밑창 바닥면의 최하단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사출 성형시 용융되어 상기 밑창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접착층이 적층 형성된 경질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밑창보강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PVC로 된 밑창의 일부에 배치되는 밑창보강재가 특수고무로 구비됨으로써, 이질 재료의 상이한 밀도나 경도에 따른 내마모성이 향상됨은 물론 물속의 작업장 등에서 지면에 밀착되어 슬립을 경감시키므로 장화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장화를 제조함에 있어서 지면 접촉과 구조적인 강도를 고려한 밑창의 보강영역에 밑창보강재가 삽입됨으로써, 기존의 밑창 전체가 보강재료로 이루어진 것에 비해 안전성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훨씬 가벼워지므로 사용상의 착용성이 현저 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밑창보강재가 신골과 이격 배치되어 사출 성형됨으로써, 밑창보강재가 밑창 바닥면의 최하단부에 배치되어 안전에 대한 접촉기능을 수행하면서 밑창보강재를 제외한 밑창의 기타 부분은 연질의 몸통과 동일한 사출재료로 이루어지므로 가벼우며 경질의 밑창보강재와 연질의 밑창으로 이루어진 이원화된 충격 흡수력으로 발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다.
넷째, 밑창보강재를 밑창 몰드에 밀착되도록 부착함에 있어서 끼움홈과 끼움핀으로 이루어진 조정부착수단을 사용함으로써, 밑창보강재의 부착 및 장화의 분리가 용이함과 동시에 정확한 부착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단일의 몰드 내에서 이질 재료의 밑창을 갖는 장화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다섯째, 특수고무로 된 밑창보강재를 삽입하여 PVC사출 성형에 의해 장화를 제조함으로써, 조정부착수단이 구비된 밑창 몰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기존의 장화제조장치에도 용이하게 호환 적용할 수 있다.
여섯째, 밑창보강재의 상면에는 사출재료와의 접착을 위한 접착층이 도포되어 적층 형성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결합으로 인한 내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외부충격으로 인한 구멍을 밀폐하여 방수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화 및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화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화의 밑창 몰드 및 밑창보강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화의 밑창 몰드에 밑창보강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화의 제조방법에 따른 사출 성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화의 제조방법은 밑창보강재(11)를 일정 크기로 재단하는 보강재가공단계(S1), 밑창보강재(11)의 일면에 사출재료와의 접착을 위한 접착층(12)을 형성하는 접착층형성단계(S2), 밑창보강재(11)의 타면을 밑창 몰드(20)상에 위치 조정하여 끼움고정시키는 보강재부착단계(S3), 사출재료(70)로 밑창보강재(11)를 사출 몰드(20, 30, 40) 내에서 일체로 사출 성형시키는 사출성형단계(S4) 및 사출 성형된 장화를 냉각 또는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먼저 밑창(도 5의 1 참조)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료로 이루어진 밑창보강재(11)를 밑창 몰드(20)상의 보강영역(21)에 대응되는 크기로 재단 가공하는 보강재가공단계(S1)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밑창보강재(11)는 보강재료로서 적합한 경질의 특수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영역(21)은 밑창의 보강이 필요한 면적과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밑창 몰드(20)상의 적어도 1개소 이상에 소정 면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강영역(21)은 실질적인 지면 접촉과 구조적인 강성을 위해서 도 시된 것처럼 상기 밑창 몰드(20)상 전측에 중앙 부위가 구획된 전측중앙부(21a)와 후단측에 외곽테두리 부위가 구획된 후측외곽부(21b)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밑창보강재(11)를 재단하는 것은 프레스 절단 가공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판 형상의 보강재료의 일부분을 절단기를 사용해서 전단 가공에 의하여 재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장화의 사이즈별로 제작되며 밑창보강재(11)의 형상에 대응되는 절단용 몰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밑창보강재를 재단하는 것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됨 없이 수작업으로도 가능하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가공된 상기 밑창보강재(11)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12)을 형성시키는 접착층형성단계(S2)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는 합성수지의 사출재료와 고무 재질의 보강재료 결합에 사용가능함과 동시에 고온에서 액상으로 도포가능하며 사출성형시 용융되어 냉각되면서 접착력을 발휘하는 열가소성 수지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착층(12)은 PVC사출 성형시 사출 온도에서 용융되어 냉각된 후 접착력을 발휘하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적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는 PU접착제, 고무계 접착제등의 핫멜트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착층(12)은 밑창보강재(11)와 사출성형시에 밑창보강재(11)의 상면 측으로 주입되는 사출재료(70)와의 결합에 사용되므로 상기 밑창보강재(11)의 상면에 적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접착층(12)은 사출 형성시 밑창을 이루도록 충진되는 사출재료가 밑창보강재(11)에 융착됨과 아울러 사출재료의 고온에 의해 용융되어 상온에서 고형화됨에 따라 PVC의 밑창과 특수고무의 밑창보강재(11)를 강한 접착력으로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밑창보강재(11)가 밑창의 최하단부에 위치하여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착용자의 사용에 따른 잦은 충격에도 융착 결합과 접착 결합에 의한 강한 결합력에 의해 결합 부위에 틈이 쉽게 발생하지 않아 사용 수명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적층 형성된 상기 접착층(12)에 의해 밑창보강재(11)가 지면에 접촉되면서 압핀 등의 이물질에 의해 구멍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발생된 구멍을 접착층(12)이 밀폐하므로 방수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접착층(12)을 적층 형성하는 것은 도장, 코팅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12)은 밑창보강재를 재단 가공하기 전에 판형상의 보강재료에 접착제가 미리 도포되어 적층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접착층(12)은 사출성형시 사출재료(70)가 밑창보강재(11)에 융착 결합되는 것과 더불어 밑창보강재(11)와 사출재료(70)의 냉각 후의 접착 유지에 사용됨으로써 이들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이후, 접착층(12)이 형성된 상기 밑창보강재(11)의 타면을 상기 밑창 몰드의 상면에 경질의 상기 밑창보강재(11)를 압착시키는 조정부착수단(11c, 21c)으로 위치 조정하여 부착하는 보강재부착단계(S3)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정부착수단(11c, 21c)은 밑창보강재가 밑창의 일부에 아무런 구속없이 놓이게 됨에 따라 몰드 이동시나 사출 성형시 위치가 변하거나 밑창의 표면 굴곡으로 인한 들림 현상으로 발생되는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밑창보강재(11)를 상기 밑창 몰드(20)에 밀착시키는 것으로서 끼움홈(11c)과 끼움핀(21c)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홈(11c)은 상기 밑창보강재(11)에 다수 개로 홈 형성되며 상기 끼움핀(21c)은 상기 끼움홈(11c)에 대향되는 상기 밑창 몰드(20) 상에 상기 끼움홈(11c)에 압입되는 너비로 라운드지게 밴딩되어 다수 개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끼움홈(11c)이 형성된 경질 재료의 밑창보강재(11)는 내재 탄성력을 가지게 되며 상기 끼움핀(21c)은 밑창 몰드(20)와 일체로 제작된 금속제이다. 물론, 상기 끼움핀은 밑창 몰드 상에 별도로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밑창보강재(11)를 밑창 몰드(20)에 밀착되게 부착하는 것은 사용자가 밑창보강재(11)의 위치를 끼움홈(11c)을 끼움핀(21c)에 대향되도록 조정한 후 걸림감을 느끼도록 끼움핀(21c)이 끼움홈(11c)에 압입 고정되는 것에 의한 압착으로 이루어진다.
즉, 금속제의 끼움핀(21c)이 끼움홈(11c)에 억지끼움되는 것에 의해 간단히 부착되고, 사출 성형된 장화의 분리시 고리 형상의 라운드진 끼움핀(21c)에 의해 끼움핀(21c)의 라운드 구조에 의해 부드럽게 가이드되며 걸림이 발생되지 않아 분리 역시 용이하다.
또한, 끼움핀(21c)의 길이와 끼움홈(11c)의 깊이는 상호 대응되며 실질적으로 1mm ~ 3mm 의 범위로 이루어지므로 부착시 위치 조정을 위한 밑창보강재(11)의 수평 이동이 용이하며 분리시 완성된 장화의 무게에 의해 자동 분리되므로 더욱 편리하다.
더욱이, 상기 끼움핀(21c) 및 끼움홈(11c)의 개수는 상호 대응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분산된 다수 개소에 형성된다.
물론, 상기 조정부착수단은 상기 밑창보강재(11)의 외형에 대응되는 테두리가 밑창 몰드 상에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밑창보강재와 밑창 사이에 테두리로 인한 이격이 발생되어 결합 지지력이 저하되며 경질의 밑창보강재에 발생되는 들림 현상을 방지할 수 없으므로 불량 발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밑창보강재(11)를 밑창 몰드(20)에 부착함에 있어서 끼움홈(11c)과 끼움핀(21c)으로 이루어진 조정부착수단(11c, 21c)을 사용하므로 사출 성형을 위한 밑창 몰드(20)의 이동시나 사출 성형시에 밑창보강재(11)의 위치가 변하지 않으며 몰드 표면에 밀착이 유지되어 불량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출 성형 완료 후에는 장화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밑창보강재(11)의 부착위치의 안정적 고정 및 성형 후 장화의 분리가 용이함과 동시에 정확한 부착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단일의 몰드 내에서 이질 재료의 밑창을 갖는 장화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조정부착수단(11c, 21c)은 밑창에 형합되는 밑창보강재(11)의 상하좌우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시킴으로써 밑창보강재(11)의 위치가 조금만 뒤틀려도 사용상의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품질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밑창보강재(11)가 부착된 상기 밑창 몰드(20)에 신골(40)과 몸통 몰드(30)를 결합시켜 사출재료(70)와 상기 밑창보강재(11)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사출성형단계(S4)를 수행한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몸통 몰드(30)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밑창 몰드(20)상에 배치되며 양측으로 분할되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통 몰드(30)의 내측에 신골(40)이 링크부재(50)에 연결되어 고정 배치된다.
따라서, 몸통 몰드(30)와 밑창 몰드(20)의 내측 공간에 신골(40)이 배치되어 사출 성형을 위한 사출재료(70)가 주입되는 틈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밑창보강재(11)가 상기 밑창 몰드(20)에 상기 조정부착수단(11c, 21c)에 의해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신골(40)과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밑창보강재(11)가 밑창 몰드(20)에 밀착됨으로써 사출 성형 후 밑창 바닥면의 최외곽부에 배치되어 지면에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접촉 충격을 경질 재료의 밑창보강재(11)가 1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밑창보강재(11)가 상기 신골(40)과 이격 배치됨으로써 밑창보강재(11)를 제외한 밑창의 기타 부분은 연질의 몸통과 동일한 사출재료로 이루어지므 로 밑창보강재(11)의 상측에 연질 재료의 밑창이 접촉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밑창의 보강 부위에서 하부에는 경질재료의 밑창보강재(11)가 배치되고 상부에는 사출재료가 사출 형성된 연질재료가 배치된다.
이를 통하여, 착용자는 가볍고 연질재료의 유연한 충격 흡수력에 의해 착용감이 우수한 장화로 인해 발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출 성형은 파우더 상으로 혼합된 사출재료(70)를 고온의 인젝터에서 사출시켜 냉각된 프레스 금형 안으로 주입시키고 바로 냉각, 탈고시키는 방식으로써 사출재료가 PVC일 경우 발포가 없이 금형 크기 및 형태대로 장화가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사출재료(70)로는 폴리우레탄, 폴리스틸렌, EVA(ethyl vinyl acetate), PVC, TPR(termoplastic rubber)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VC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출재료(70)는 염화비닐수지(PVC)에 보조 재료인 가소제, 안정제, 착색제 등을 혼합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PVC분말을 주원료로 하여 DOP(가소제), 오일(안정제), 지당, 표백제 등을 혼합하는 것이다.
즉, 사출재료(70)는 주원료에 보조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사출 성형으로 제작되는 장화는 유연성을 가질 수 있으며 착색제에 의한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장화의 제조는 사출 몰드(20, 30, 40)에 의해 형성된 틈으로 고온에서 액상화된 사출재료(70)를 소정 압력으로 신속하게 충진한 후 냉각 또는 건조하 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밑창보강재(11)는 고온의 상기 사출재료(70)가 융착되어 결합됨과 동시에 사출재료(70)의 고온으로 용융되는 접착층(12)에 의해 사출재료(70)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사출 성형된 장화를 냉각 또는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5)를 수행한다.
여기서, 사출 성형된 장화를 건조하는 것은 장화를 분리하기 전의 냉각 및 장화를 분리하기 후의 자연건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된 장화를 수분 잔존에 따른 접착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원적외선으로 균일하게 가열할 수도 있다. 또한, 건조 시 또는 건조 후에 장화의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는 작업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재가공단계(S1)에서 상기 보강재료는 경질 재료의 미끄럼방지용 특수고무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출성형단계(S4)에서 상기 사출재료의 주성분은 경화후 연질 재료가 되는 폴리염화비닐(PVC)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밑창보강재(11)는 특수고무로 된 경질 재료이며 밑창보강재(11)를 제외한 기타 장화를 이루는 것은 PVC의 연질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특수고무로 된 밑창보강재(11)는 PVC의 밑창이 물속의 지면에 대해 슬립현상이 발생되는 것과 달리 물속의 지면에 대한 밀착력이 우수하여 물속의 작업장 등에서 지면에 밀착되어 슬립을 경감시키므로 장화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층(12)은 물속의 지면에 대한 PVC의 밑창과 특수고무의 밑창보강재(11)의 밀착력의 차이에 따라 물속의 작업장에서 장화를 사용할 때 물속의 지면에 잘 부착되는 밑창보강재(11)가 그렇지 않은 밑창으로부터 이탈되거나 그들의 결합 틈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수고무는 SBR, 아이소프렌고무, 뷰타다이엔고무 등에서 선택된 경질 재료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출 몰드(20, 30, 40)에 밑창보강재(11)를 넣어 밑창과 몸통을 일체로 밀폐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PVC사출 성형에 특수고무를 사용하여 밑창이 일체화되면서 강도 보강이 되는 장화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장화의 제조방법은 조정부착수단(11c, 21c)이 구비된 밑창 몰드(20)를 사용하거나 조정부착수단(11c, 21c)을 별도로 밑창 몰드(20)에 구비하는 것에 의해 기존의 PVC사출 성형을 위한 장화제조장치에도 용이하게 호환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제작된 장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화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장화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화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장화의 저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화(10)는 몸통(3), 밑창(1) 및 밑창보강재(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몸통(3)은 내부에 착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몸통(3)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밑창(1)이 구비되는데, 상기 밑창(1)은 바닥면의 길이 방향으로 단차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영역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영역부는 도시된 것처럼 전측보강재(11a)와 후측보강재(11b)가 형합되기 위한 밑창(1)의 특정 부위를 말한다.
한편, 상기 보강영역부에 형합되도록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밑창보강재(11)가 구비되는데, 상기 밑창보강재(11)는 하면이 상기 밑창(1) 바닥면의 최하단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사출 성형시 용융되어 상기 밑창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접착층이 적층 형성된 접착층(도 3의 12 참조)이 적층 형성된 경질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3 및 도4를 참조하여 상기 밑창보강재(11)를 상기 장화(10)와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것은 밑창 몰드(20)의 전측중앙부(21a)와 후측외곽부(21b)에 대응되는 크기로 재단되며 특수고무로 이루어진 밑창보강재(11)의 일면에 열가소성의 접착층(12)을 형성하고 타면에 끼움홈(11c)을 형성시켜 상기 끼움홈(11c)에 상기 밑창 몰드의 끼움핀(21c)을 끼움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밑창보강재(11)가 부착된 상기 밑창 몰드(20)를 이용하여 장화 형상으로 PVC사출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밑창보강재(11)는 밑창(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부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러한 두께는 못 등이 쉽게 뚫지 못하는 최소 두께를 가지도록 밑창(1) 전체 두께의 1/2 ~ 3/5 의 범위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밑창보강재의 두께가 밑창의 두께에 대응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밑창보강재(11)는 밑창(1)의 측부로 작용되는 외력에 대한 구조적인 강성이 유지되도록 밑창 몰드(20)상 전측과 후단측에 일정 면적 이상으로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밑창보강재(11)는 밑창의 바닥면에 실질적으로 지면과 닿는 부위만을 고려하여 전측의 중앙 부위와 후단측의 외곽테두리 부위에 구비한다.
상세히, 기존의 밑창을 경질 재료로 구성하는 것은 강도를 보강하여 장화(10)의 바닥 부분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착용자의 발을 다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도시된 것처럼 실질적으로 밑창(1)은 착용자의 지면에 대한 접촉 부위에 대응되게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부가 함몰되며 전측과 후측이 지면과 접촉되게 굴곡진 바닥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후측 면상의 중앙부는 함몰되어 지면과 접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밑창(1)의 바닥면에서 지면에 접촉되는 주요 부위는 전측의 중앙 부위와 후단측의 외곽테두리 부위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특정 부위에 경질재료의 전측보강재(11a)와 후측보강재(11b)로 이루어진 밑창보강재(11)를 삽입 구성함으로써 지면으로부터의 접촉 충격에 대한 실질적인 강도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밑창보강재(11)는 전측보강재(11a)와 후측보강재(11b)의 서로 모양을 달리하는 2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측보강재(11a)는 반원체 형상이며 상기 후측보강재(11b)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측보강재(11a)와 상기 후측보강재(11b)는 경질재료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다.
한편, 상기 밑창보강재(11)의 바닥면에는 상기 밑창 몰드(20) 상의 특정 부위에 가공된 것과 같이 미끄럼방지를 위한 논슬립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밑창의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경질재료인 보강재료를 전체적으로 구성하는 것은 장화 전체를 무겁게 하여 착용감을 불편하게 한다. 이와 반대로, 밑창(1)의 강도를 개선하기 위한 필요 부위에만 보강재료를 사용하면 강도의 개선과 동시에 가볍고 신축성이 있는 장화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밑창보강재(11)는 강도가 개선될 수 있는 구조적으로 최적 위치와 면적상으로 최소 부위에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장화(10)는 연질이며 신축성있는 PVC재질에 특수고무로된 경질의 밑창보강재(11)가 밑창(1)의 전측 및 후측의 요부에 구비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화(10)는 기존의 밑창 전체가 경질인 것과 동일한 강도 보강이 이루어지므로 안전하면서 무게는 훨씬 가벼워진다.
또한, 밑창(1)은 상기 밑창보강재(11)가 전측의 중앙 부위와 후측의 외곽테두리 부위에 일정 면적 이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지면의 수평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대해서도 구조적인 강성이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밑창(1)의 밑창보강재(11)를 제외한 기타 부분은 연질의 몸통(3)과 동일한 사출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신축성으로 인한 착용감이 우수하여 발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밑창(1)의 길이 방향으로 중앙 부위가 PVC의 연질 재질이므로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굴곡지는 부위가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어 착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경질 밑창이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이지 못함에 따라 밑창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발생하던 벌어짐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화(10)를 제조함에 있어서 지면 접촉과 구조적인 강도를 고려한 밑창(1)의 보강영역(21)에 밑창보강재(11)가 삽입된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밑창 전체가 보강재료로 이루어진 것에 비해 안전성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이질재료의 상이한 밀도나 경도로 인한 내마모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훨씬 가벼워지므로 내구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화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화의 밑창 몰드 및 밑창보강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화의 밑창 몰드에 밑창보강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화의 제조방법에 따른 사출 성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화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화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장화 1: 밑창
11: 밑창보강재 11c: 끼움홈
12: 접착층 3: 몸통
20: 밑창 몰드 21: 보강영역
21c: 끼움핀 30: 몸통 몰드
40: 신골 50: 링크부재
70: 사출재료

Claims (5)

  1. 밑창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료로 이루어진 밑창보강재를 밑창 몰드상의 보강영역에 대응되는 일정 크기로 재단 가공하는 보강재가공단계;
    가공된 상기 밑창보강재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접착층형성단계;
    접착층이 형성된 상기 밑창보강재의 타면을 상기 밀창 몰드의 상면에 경질의 상기 밑창보강재를 압착시키는 조정부착수단으로 위치 조정하여 부착하는 보강재부착단계; 및
    상기 밑창보강재가 부착된 상기 밑창 몰드에 신골과 몸통 몰드를 결합시켜 사출재료와 상기 밑창보강재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사출성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화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부착단계는
    상기 조정부착수단이 상기 밑창보강재에 홈 형성된 다수 개의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에 대향되는 상기 밀창 몰드상에 상기 끼움홈에 압입되는 너비로 라운드지게 밴딩되어 돌출된 다수 개의 끼움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화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형성단계는
    상기 접착층이 PVC사출 성형시 사출 온도에서 용융되어 냉각된 후 접착력을 발휘하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적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화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가공단계에서 상기 보강재료는 경질 재료의 미끄럼방지용 특수고무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출성형단계에서 상기 사출재료의 주성분은 경화후 연질 재료가 되는 폴리염화비닐(PVC)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화의 제조방법.
  5. 내부에 수용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되,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몸통;
    상기 몸통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바닥면의 길이 방향으로 단차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영역부가 형성된 밑창; 및
    상기 보강영역부에 형합되도록 일체로 사출 성형되되, 하면이 상기 밑창 바닥면의 최하단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사출 성형시 용융되어 상기 밑창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접착층이 적층 형성된 경질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밑창보강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화.
KR1020090111790A 2009-11-19 2009-11-19 장화의 제조방법 KR101132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790A KR101132271B1 (ko) 2009-11-19 2009-11-19 장화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790A KR101132271B1 (ko) 2009-11-19 2009-11-19 장화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958A true KR20110054958A (ko) 2011-05-25
KR101132271B1 KR101132271B1 (ko) 2012-04-02

Family

ID=4436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790A KR101132271B1 (ko) 2009-11-19 2009-11-19 장화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27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897B1 (ko) * 2011-06-22 2013-09-30 정연태 안전장화의 제조방법
KR101445636B1 (ko) * 2012-07-26 2014-10-06 (주)그린윙 골프화용 서포트 러버 제조 방법
KR101641951B1 (ko) * 2015-11-30 2016-07-22 김대호 방탄부재 내답판이 인서트 사출된 안전화용 중창 및 그 제조방법과, 방탄부재 내답판이 인서트 사출된 안전화용 중창이 적용된 안전화
KR101856532B1 (ko) * 2018-01-31 2018-05-10 이광재 열활성접착층이 구비된 인서트 사출 조립체의 제조방법
US10104932B2 (en) 2017-02-01 2018-10-23 Ziben Safety Co., Ltd. Safety shoes with a ventilation structure
KR20200034941A (ko) * 2017-07-20 2020-04-01 수퍼핏 월드와이드, 인크. 교정 지지부가 포함된 중창
WO2020166834A1 (ko) * 2019-02-14 2020-08-20 박수민 블로우 사출을 사용한 일회용 장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354B1 (ko) 2012-07-12 2014-08-22 한국신발피혁연구원 기계적 강도가 개선된 장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화
CN205651605U (zh) * 2016-05-03 2016-10-19 李建华 多层鞋帮注塑成型模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007A (ja) 1999-09-02 2001-03-21 Okamoto Ind Inc 靴及び靴底
KR200257630Y1 (ko) * 2001-08-16 2001-12-24 심재관 장화
KR100593415B1 (ko) * 2004-03-23 2006-06-28 주식회사 우연 다중사출로 형성된 신발 밑창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897B1 (ko) * 2011-06-22 2013-09-30 정연태 안전장화의 제조방법
KR101445636B1 (ko) * 2012-07-26 2014-10-06 (주)그린윙 골프화용 서포트 러버 제조 방법
KR101641951B1 (ko) * 2015-11-30 2016-07-22 김대호 방탄부재 내답판이 인서트 사출된 안전화용 중창 및 그 제조방법과, 방탄부재 내답판이 인서트 사출된 안전화용 중창이 적용된 안전화
US10104932B2 (en) 2017-02-01 2018-10-23 Ziben Safety Co., Ltd. Safety shoes with a ventilation structure
KR20200034941A (ko) * 2017-07-20 2020-04-01 수퍼핏 월드와이드, 인크. 교정 지지부가 포함된 중창
JP2020527368A (ja) * 2017-07-20 2020-09-10 スーパーフィート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組み込まれた矯正用支持具を有するミッドソール
KR101856532B1 (ko) * 2018-01-31 2018-05-10 이광재 열활성접착층이 구비된 인서트 사출 조립체의 제조방법
WO2020166834A1 (ko) * 2019-02-14 2020-08-20 박수민 블로우 사출을 사용한 일회용 장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271B1 (ko) 2012-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271B1 (ko) 장화의 제조방법
US11707108B2 (en) Soles for sports shoes
US10849385B2 (en) Footwear assembly having a vulcanized rubber layer and polyurethane layer
CA2569894C (en) Footwear with multi-piece midsole
US4294022A (en) Boots for aquatic activities
US4333192A (en) Method of making boots for aquatic activities
EP3089610B1 (en) Sole resistant to perfor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A2888418C (en) Skat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70095036A1 (en) Footwear having polyurethane bridge layer joining sole and up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2141587B1 (ko) 아웃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641951B1 (ko) 방탄부재 내답판이 인서트 사출된 안전화용 중창 및 그 제조방법과, 방탄부재 내답판이 인서트 사출된 안전화용 중창이 적용된 안전화
KR20150063034A (ko) 보호층을 갖춘 안전화
CN207604568U (zh) 一种多层次多密度的二次md鞋底
US20020178612A1 (en) Shoe
KR101168607B1 (ko) 구두 뒷굽의 제조방법 및 그 구두 뒷굽
US20210401115A1 (en) Sole part, a moulding assembly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an article of footwear
EP3815561A1 (en) Semi-finished product for portions of a shoe and method for its provision
RU2793534C2 (ru) Подошва для защитной обуви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й подошвы
US20220007783A1 (en) Outsole for safety footwe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n outsole
US20230380540A1 (en) Reinforced Composite Sheet Material for Enhanced Performance of Athletic Shoes
EP2591692A1 (en) Sports footwear, such as a ski boot or suchlike, and corresponding method of production
CN110876504A (zh) 一种防滑消防鞋及其制造方法
CA2761200A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footwear s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