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559B1 -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559B1
KR102172559B1 KR1020200032358A KR20200032358A KR102172559B1 KR 102172559 B1 KR102172559 B1 KR 102172559B1 KR 1020200032358 A KR1020200032358 A KR 1020200032358A KR 20200032358 A KR20200032358 A KR 20200032358A KR 102172559 B1 KR102172559 B1 KR 102172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groove
bar
connec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32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0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2Arrangements of multiple bars with or without pivotable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배선되는 통신선의 배선 위치에 따라 통신단자함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며 설치를 이룰 수 있고, 통신 단자함의 덮개를 개방하여 통신작업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도 덮개의 위치를 편리하게 고정시키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벽체의 일측에 매립 또는 돌출되게 설치되는 통신단자함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밀착되는 판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내경 테두리를 따라 이격 형성된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을 중심으로 한 상,하,좌,우측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과 인접한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설치브라켓과, 상기 안착홈에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하면 테두리 부위에는 연결홈이 각각 형성되며, 내측 하면에는 통신선이 유입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외측 테두리에 상기 결합홈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돌기를 갖는 결합바가 구비된 단자함과, 상기 단자함의 개방된 부위를 가리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하면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연결홈과 연결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복수개의 지지공이 형성된 덮개와, 내측에 통신기구의 삽입이 가능한 박스 형상으로, 상기 벽체와 대향되는 일면에는 고정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납박스와, 상기 지지공과 대응되는 체결공이 전면에 형성된 밀착바와, 상기 밀착바의 상부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단자함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홈과 덮개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홈을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연결바와, 상기 상부연결바의 단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연결자석이 구비된 상부결합바와, 상기 밀착바의 하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단자함의 하면에 형성된 연결홈과 덮개의 하면에 형성된 지지홈을 덮도록 결합되는 하부연결바와, 상기 하부연결바의 단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연결자석이 구비된 하부결합바로 구성되어 상기 단자함과 덮개의 연결 부위를 덮으며 상기 고정자석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Terminal box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에 배선되는 통신선의 배선 위치에 따라 통신단자함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며 설치를 이룰 수 있고, 통신 단자함의 덮개를 개방하여 통신작업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도 덮개의 위치를 편리하게 고정시키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신 단자함이란, 건축물의 시공시에 벽체에 매립 또는 돌출되게 설치되어 건축물의 내부로 인입되어 배선되는 각종 전선, 전화선, 인터넷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함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신 단자함은 배선을 이루고자 하는 통신선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대개는 설명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에 매립 또는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때, 통신 단자함은 건축물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통신케이블을 지정된 사용 장소로 배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며, 통신선을 배선하기 위한 작업환경에 따라 통신 단자함의 설치 위치는 변화될 수 있으나. 통신 단자함의 내측으로 원텐블럭과 같은 통신기구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전면에 덮개 또는 도어가 설치된 박스 형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다.
예컨대, 종래의 통신단자함은 문헌(1)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어 내측으로 각종 통신케이블이 배선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통신단자함 구조는 사각형의 박스 형상 내측으로 다수개의 연결단자들을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벽체에 설치가 이루어진 후에는 그 설치 위치를 통신선의 배선 방향에 따라 변경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통신단자함의 내측으로 다수개의 연결단자들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통신선 또는 단자함에 이상이 발생 되는 경우에는 단자함의 전면에 설치된 덮개 또는 도어를 젖혀 내며 작업을 이루고 있으나, 단자함에 설치된 덮개의 위치로 인하여 통신선 또는 연결단자의 설치나, 보수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는 힘든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06645(2007.04.0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벽체의 일측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통신 단자함 본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통신선의 배선 방향에 따라 통신 단자함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단자함의 설치 위치를 편리하게 변경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설치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납박스 구성을 통하여 각종 통신선이나 통신 기구 등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어 통신 단자함의 고장이나 사고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설치브라켓의 전면으로 단자함과 덮개가 고정부재를 통하여 설치되게 구성됨으로써, 통신 단자함의 내측에 위치된 통신선이나 연결단자를 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덮개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며 효율적인 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통신선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이루어진 후에도 불필요한 재설치비용이나 교체비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체의 일측에 매립 또는 돌출되게 설치되는 통신단자함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밀착되는 판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내경 테두리를 따라 이격 형성된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을 중심으로 한 상,하,좌,우측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과 인접한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설치브라켓과, 상기 안착홈에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하면 테두리 부위에는 연결홈이 각각 형성되며, 내측 하면에는 통신선이 유입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외측 테두리에 상기 결합홈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돌기를 갖는 결합바가 구비된 단자함과, 상기 단자함의 개방된 부위를 가리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하면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연결홈과 연결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복수개의 지지공이 형성된 덮개와, 내측에 통신기구의 삽입이 가능한 박스 형상으로, 상기 벽체와 대향되는 일면에는 고정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납박스와, 상기 지지공과 대응되는 체결공이 전면에 형성된 밀착바와, 상기 밀착바의 상부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단자함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홈과 덮개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홈을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연결바와, 상기 상부연결바의 단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연결자석이 구비된 상부결합바와, 상기 밀착바의 하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단자함의 하면에 형성된 연결홈과 덮개의 하면에 형성된 지지홈을 덮도록 결합되는 하부연결바와, 상기 하부연결바의 단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연결자석이 구비된 하부결합바로 구성되어 상기 단자함과 덮개의 연결 부위를 덮으며 상기 고정자석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홈은 외측 테두리 부위에 복수개의 거치홈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함은 상기 거치홈에 각 모서리가 삽입되는 다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통신선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관통공이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공과 결합바 간 결합시, 상기 거치홈에 단자함의 모서리 부위가 삽입되게 위치되도록 삽입공의 결합홈으로 결합바의 체결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플레시블한 재질의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바, 상부연결바, 상부결합바의 연결부위와, 밀착바, 하부연결바, 하부결합바의 연결부위에는 접힘선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벽체의 일측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통신 단자함 본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둘째, 통신선의 배선 방향에 따라 통신 단자함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단자함의 설치 위치를 편리하게 변경하며 사용할 수 있다.
셋째, 설치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납박스 구성을 통하여 각종 통신선이나 통신 기구 등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어 통신 단자함의 고장이나 사고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넷째, 설치브라켓의 전면으로 단자함과 덮개가 고정부재를 통하여 설치되게 구성됨으로써, 통신 단자함의 내측에 위치된 통신선이나 연결단자를 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덮개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며 효율적인 작업을 이룰 수 있다.
다섯째,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 통신선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이루어진 후에도 불필요한 재설치비용이나 교체비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를 도시한 다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가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의 고정부재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의 고정부재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다른 결합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벽체(1)의 일측에 매립 또는 돌출되게 설치되는 통신단자함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1)에 밀착되는 판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안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1)의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결합홈(12a)이 내경 테두리를 따라 이격 형성된 삽입공(1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12)을 중심으로 한 상,하,좌,우측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13)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3)과 인접한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볼트(P)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공(14)이 형성된 설치브라켓(10)과, 상기 삽입홈(13)에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고정공(21)이 형성되고, 상,하면 테두리 부위에는 연결홈(22)이 각각 형성되며, 내측 하면에는 통신선(2)이 유입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2)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외측 테두리로 상기 결합홈(12a)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돌기(24a)가 구비된 결합바(24)가 구비된 단자함(20)과, 상기 단자함(20)의 개방된 부위를 가리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공(2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볼트공(31)이 형성되고, 상,하면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연결홈(22)과 연결되는 지지홈(32)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복수개의 지지공(33)이 형성된 덮개(30)와, 내측에 통신기구의 삽입이 가능한 박스 형상으로, 상기 벽체(1)와 대향되는 일면에는 고정자석(41)이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13)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납박스(40)와, 상기 지지공(33)과 대응되는 체결공(51a)이 전면에 형성된 밀착바(51)와, 상기 밀착바(51)의 상부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단자함(20)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홈(22)과 덮개(30)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홈(32)을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연결바(52)와, 상기 상부연결바(52)의 단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연결자석(53a)이 구비된 상부결합바(53)와, 상기 밀착바(51)의 하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단자함(20)의 하면에 형성된 연결홈(22)과 덮개(30)의 하면에 형성된 지지홈(32)을 덮도록 결합되는 하부연결바(54)와, 상기 하부연결바(54)의 단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연결자석(55a)이 구비된 하부결합바(55)로 구성되어 상기 단자함(20)과 덮개(30)의 연결 부위를 덮으며 상기 고정자석(41)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벽체(1)는 본 발명에서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설치브라켓(1)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볼트(P)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벽체공(미도시)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브라켓(10)은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벽체(1)의 일측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벽체(1)와 대향 되는 내측 중심부에는 안착홈(11)이 형성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단자함(20)이 상기 안착홈(11)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 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브라켓(10)은 삽입공(12), 삽입홈(13), 체결공(14)이 상기 벽체(1)와 대향되는 전면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삽입공(12)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결합홈(12a)이 내경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11)의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삽입홈(13)은 상기 삽입공(12)을 중심으로 한 상,하,좌,우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설치브라켓(10)의 전면으로 복수개의 삽입홈(13)이 상기 삽입공(12)을 중심으로 방사상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3)은 상기 벽체(1)의 일측으로 설치브라켓(10)을 볼트(P)로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볼트(P)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브라켓(10)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함(20)은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브라켓(10)의 안착홈(11)에 일단이 삽입되게 결합되는 것이며,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개방된 부위로 원텐블럭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연결단자(3)의 설치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함(20)은 전면 테두리 부위에 볼트(P)가 체결 가능한 복수개의 고정공(21)을 형성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덮개(30)가 단자함(20)의 전면에 볼트(P)로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함(20)의 연결홈(22)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단자함(20)의 상,하측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단자함(20)의 상면과 하면에 홈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내측 하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22)으로는 건축물의 내측으로 인입하여 배선을 이루고자 하는 각종 통신선이 단자함(20)의 내측으로인입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23)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고정부재(50)의 하부결합바(54)가 단자함(20)의 하단에 밀착되게 위치되는 경우에도 관통공(23)으로 통신선(2)의 인입이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단자함(20)은 상기 설치브라켓(10)의 삽입공(12)과 대응되는 부위에 결합바(24)가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결합바(24)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삽입공(12)의 결합홈(12a)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돌기(24a)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설치브라켓(10)의 안착홈(11)으로 단자함(20)을 결합하는 경우, 설치브라켓(10)의 삽입공(12)에 형성된 결합홈(12a)으로 단자함(20)의 결합바(24)에 구비된 체결돌기(24a)가 삽입되도록 결합하여, 설치브라켓(10)의 전면에 설치된 단자함(20)의 설치 위치를 고정 시킬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설치브라켓(10)의 안착홈(11)에 단자함(20)이 설치되는 방향을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설치브라켓(10)의 전면으로 단자함(20)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안착홈(11)을 외측 테두리 부위에 복수개의 거치홈(11a)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단자함(20)은 상기 거치홈(11a)에 각 모서리가 삽입되는 다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단자함(20)의 내측으로 인입시키고자 하는 통신선(2)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관통공(23)이 통신선(2)과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상기 안착홈(11)에 결합되는 단자함(20)의 설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12)과 결합바(24)를 결합하는 경우에도, 상기 거치홈(11a)에 단자함의 모서리 부위가 삽입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12)의 결합홈(12a)으로 결합바(24)의 체결돌기(24a)가 삽입되어 고정되게 결합을 이루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설치브라켓(10)의 전면으로 단자함(20)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가 삽입공(12)의 결합홈(12a)에 결합되는 결합바(24)의 체결돌기(24a)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안착홈(11)의 거치홈(11a)에 단자함(20)의 각 모서리 부위가 삽입되게 결합함으로써, 설치브라켓(10)의 안착홈(11)에 설치되는 단자함(20)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며 결합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단자함(20)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공(23)이 통신선(2)의 설치 위치 방향으로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건축물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통신선(2)의 방향에 따라 상기 단자함(20)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단자함의 내측에 설치되는 연결단자(3)와 통신선(2)의 연결을 용이하게 이루고, 연결단자(3)와 연결된 통신선(3)의 배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덮개(30)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단자함(20)의 개방된 부위를 가리도록 단자함(20)의 전면에 결합되는 것이며,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단자함(20)의 고정공(21)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볼트공(31)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공(31)에 삽입되는 볼트(P)를 통하여 단자함(20)과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30)는 상,하면 테두리 부위에 상기 단자함(20)의 상,하면에 형성된 연결홈(22)과 연결될 수 있는 지지홈(32)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전면에는 볼트(P)가 체결될 수 있는 복수개의 지지공(3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홈(32)은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자함(20)의 연결홈(22)과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단자함(20)의 전면으로 덮개(30)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연결홈(22)과 지지홈(32)이 연결되는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단자함(20)과 덮개(30)를 감싸도록 고정부재(50)를 설치할 시, 고정부재(50)가 상기 연결홈(22)과 지지홈(32)에 삽입되며 설치브라켓(10)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박스(40)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설치브라켓(10)의 설치홈(13)에 삽입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신장비와 통신선을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통신기구를 보관할 수 있는 박스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상기 벽체(1)와 대향되는 일면에는 고정자석(4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설치홈(13)과 수납박스(40)의 결합되는 구성은,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설치홈(13)에 수납박스(4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설치홈(13)에 삽입된 수납박스(40)가 견고하게 결합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설치홈(13)으로 수납박스(40)가 끼움 결합되어 견고하게 결합되거나, 설치홈(13)에 수납박스(40)의 전면이 개방될 수 있도록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공(33)과 대응되는 체결공(51a)이 전면에 형성된 밀착바(51)와, 상기 밀착바(51)의 상부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단자함(20)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홈(22)과 덮개(30)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홈(32)을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연결바(52)와, 상기 상부연결바(52)의 단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연결자석(53a)이 구비된 상부결합바(53)와, 상기 밀착바(51)의 하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단자함(20)의 하면에 형성된 연결홈(22)과 덮개(30)의 하면에 형성된 지지홈(32)을 덮도록 결합되는 하부연결바(54)와, 상기 하부연결바(54)의 단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연결자석(55a)이 구비된 하부결합바(55)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밀착바(51), 상부연결바(52), 상부결합바(53), 하부연결바(54), 하부결합바(55)가 덮개(30)의 전면을 덮으며 덮개(30)의 지지홈(32)과 단자함(20)의 연결홈(22)에 삽입되게 결합되는 것이며, 이러한 결합과정에서 상기 상부결합바(53)에 구비된 연결자석(53a)이 설치브라켓(10)의 상부에 위치된 수납박스(40)의 고정자석(41)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결합바(55)에 구비된 연결자석(55a)이 설치브라켓(10)의 하부에 위치된 수납박스(40)의 고정자석(41)에 결합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설치브라켓(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단자함(20)과 덮개(30)를 감싸도록 고정부재(50)가 설치브라켓(10)에 결합되어 설치브라켓(10), 단자함(20), 덮개(30)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특히, 위와 같은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도,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부결합바(55)의 연결자석(55a)과 고정자석(41) 결합을 분리하여, 밀착바(51), 하부결합바(55), 하부연결바(54)를 단자함(20)의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단자함(20)의 전면에 결합되는 덮개(30)가 단자함(20)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단자함(20)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는 것이며, 하부결합바(55)에 구비된 연결자석(55a)을 상부결합바(53)에 구비된 연결자석(53a)과 결합시킴으로써, 밀착바(51), 하부결합바(55), 하부연결바(54)가 젖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단자함(20)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단자함(20)의 보수와 통신선(2)의 설치 등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정은 단자함(20)의 고정공(21)에 삽입된 볼트(P)를 분리하여 단자함(20)의 전면에 설치된 덮개(30)를 분리한 후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50)는 플레시블한 재질의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밀착바(51), 상부연결바(52), 상부결합바(53)의 연결부위와, 밀착바(51), 하부연결바(54), 하부결합바(55)의 연결부위에는 접힘선(56)이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덮개(30)와 볼트(P)로 연결된 고정부재(50)를 상기 접힘선(56)을 중심으로 접거나 펼쳐내며 덮개(20)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벽체 2: 통신선
3: 연결단자 10: 설치브라켓
11: 안착홈 11a: 거치홈
12: 삽입공 12a: 결합홈
13: 삽입홈 14: 체결공
20: 단자함 21: 고정공
22: 연결홈 23: 관통공
24: 결합바 24a: 체결돌기
30: 덮개 31: 볼트공
32: 지지홈 33: 지지공
40: 수납박스 41: 고정자석
50: 고정부재 51: 밀착바
52: 상부연결바 53: 상부결합바
53a, 55a: 연결자석 54: 하부연결바
55: 하부결합바 56: 접힘선

Claims (4)

  1. 벽체(1)의 일측에 매립 또는 돌출되게 설치되는 통신단자함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1)에 밀착되는 판 형상으로 내측 중심부에는 안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1)의 내측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결합홈(12a)이 내경 테두리를 따라 이격 형성된 삽입공(1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12)을 중심으로 한 상,하,좌,우측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13)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3)과 인접한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볼트(P)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공(14)이 형성된 설치브라켓(10)과,
    상기 안착홈(11)에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고정공(21)이 형성되고, 상,하면 테두리 부위에는 연결홈(22)이 각각 형성되며, 내측 하면에는 통신선(2)이 유입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2)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외측 테두리로 상기 결합홈(12a)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돌기(24a)가 구비된 결합바(24)가 구비된 단자함(20)과,
    상기 단자함(20)의 개방된 부위를 가리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공(2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볼트공(31)이 형성되고, 상,하면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연결홈(22)과 연결되는 지지홈(32)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복수개의 지지공(33)이 형성된 덮개(30)와,
    내측에 통신기구의 삽입이 가능한 박스 형상으로, 상기 벽체(1)와 대향되는 일면에는 고정자석(41)이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13)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납박스(40)와,
    상기 지지공(33)과 대응되는 체결공(51a)이 전면에 형성된 밀착바(51)와, 상기 밀착바(51)의 상부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단자함(20)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홈(22)과 덮개(30)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홈(32)을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연결바(52)와, 상기 상부연결바(52)의 단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연결자석(53a)이 구비된 상부결합바(53)와, 상기 밀착바(51)의 하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단자함(20)의 하면에 형성된 연결홈(22)과 덮개(30)의 하면에 형성된 지지홈(32)을 덮도록 결합되는 하부연결바(54)와, 상기 하부연결바(54)의 단부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연결자석(55a)이 구비된 하부결합바(55)로 구성되어 상기 단자함(20)과 덮개(30)의 연결 부위를 덮으며 상기 고정자석(41)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홈(11)은 외측 테두리 부위에 복수개의 거치홈(11a)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함(20)은 상기 거치홈(11a)에 각 모서리가 삽입되는 다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통신선(2)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관통공(23)이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상기 안착홈(11)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공(12)과 결합바(24) 간 결합시, 상기 거치홈(11a)에 단자함의 모서리 부위가 삽입되게 위치되도록 삽입공(12)의 결합홈(12a)으로 결합바(24)의 체결돌기(24a)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50)는 플레시블한 재질의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바(51), 상부연결바(52), 상부결합바(53)의 연결부위와, 밀착바(51), 하부연결바(54), 하부결합바(55)의 연결부위에는 접힘선(56)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32358A 2020-03-17 2020-03-17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 KR102172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358A KR102172559B1 (ko) 2020-03-17 2020-03-17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358A KR102172559B1 (ko) 2020-03-17 2020-03-17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559B1 true KR102172559B1 (ko) 2020-11-02

Family

ID=7339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358A KR102172559B1 (ko) 2020-03-17 2020-03-17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572B1 (ko) * 2021-04-09 2021-10-18 주식회사 동진 건축용 다단식 케이블 트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645B1 (ko) 2006-11-13 2007-04-13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통합단자함 구조
KR101916754B1 (ko) * 2018-05-31 2018-11-08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통신용 매입박스 설치구조
KR102017184B1 (ko) * 2019-02-01 2019-09-02 (주)선경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콘센트함
KR102085574B1 (ko) * 2019-08-21 2020-03-06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건축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645B1 (ko) 2006-11-13 2007-04-13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통합단자함 구조
KR101916754B1 (ko) * 2018-05-31 2018-11-08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통신용 매입박스 설치구조
KR102017184B1 (ko) * 2019-02-01 2019-09-02 (주)선경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콘센트함
KR102085574B1 (ko) * 2019-08-21 2020-03-06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건축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572B1 (ko) * 2021-04-09 2021-10-18 주식회사 동진 건축용 다단식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5009A (en) Electrical floor box
US5195288A (en) Floor fitting
US5967354A (en) Fully adjustable electrical receptacle housing
US7795544B2 (en) Recessed electrical outlet box for concrete floors
JP5535784B2 (ja) 電気接続箱
KR102256158B1 (ko) 지중배전용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2172559B1 (ko)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
KR102180547B1 (ko) 건축용 통신 단자함 방수구조
KR102273247B1 (ko)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KR101916754B1 (ko) 통신용 매입박스 설치구조
CN100490502C (zh) 摄像头连接器
KR200217383Y1 (ko) 매립형 시스템 박스
KR102180552B1 (ko)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DK165206B (da) Installationselement til ledningsfoeringskanaler
JP2554846Y2 (ja) 配電線用絶縁カバー
KR102172616B1 (ko) 건축용 통신 단자함 방수구조
JP3501071B2 (ja) 電気接続箱
KR200411267Y1 (ko)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JP2002305835A (ja) 配線用ダクト
JP3908010B2 (ja) クランプのロック構造
JP3116849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グロメットの取付構造
KR102621853B1 (ko) 다목적 its용 통신 단자함
JP4328756B2 (ja) 成端箱
EP1047170B1 (en) Connection box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KR200358856Y1 (ko) 배선덕트의 부자재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