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247B1 -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247B1
KR102273247B1 KR1020200132136A KR20200132136A KR102273247B1 KR 102273247 B1 KR102273247 B1 KR 102273247B1 KR 1020200132136 A KR1020200132136 A KR 1020200132136A KR 20200132136 A KR20200132136 A KR 20200132136A KR 102273247 B1 KR102273247 B1 KR 102273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oove
terminal box
doo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132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0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통신 단자함의 전면에 연결되는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도어의 개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단자함의 도어가 통신선로 작업을 이루는 작업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벽체에 대응되는 장형의 판 형상으로, 상기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 중심 부위에는 탄성판이 구비되어 벽체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볼트공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된 설치함과, 상기 설치함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장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판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함과,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연결돌기가 일단에 구비된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 연결되며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지지돌기가 구비된 수직바로 구성되어 상기 설치함의 개방된 부위를 덮도록 상기 가이드판에 회동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의 내경에는 복수개의 고정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외경에는 상기 고정홈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TERMINAL CASE HAVING A WATERPROOF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통신 단자함의 전면에 연결되는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도어의 개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단자함의 도어가 통신선로 작업을 이루는 작업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함은, 건축물로 인입시키고자 하는 각종 전선, 전화선, 통신선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박스 형태의 함을 말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단자함은, 건축물의 내측 또는 외측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단자함의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의 조절에 따라, 단자함 내측에 설치된 각종 전기, 통신 회로나, 케이블의 설치와 유지, 보수를 이룰 수 있게 구성된다.
예컨대, 종래의 단자함들은 문헌(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된 단자함의 전면에 힌지로 연결된 도어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단자함의 내측 공간이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종래의 단자함들은 단자함의 내측으로 각종 전기회로나 케이블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단자함과 연결된 도어가 젖혀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단자함 구조들은 단자함의 전면으로 힌지와 같은 연결구조를 통하여 도어가 설치되는 것이 보통으로 작업자가 단자함의 내측에 설치된 각종 전기회로나, 케이블을 설치 보수하는 경우에, 작업자의 신체나 옷에 도어가 걸려 단자함과 도어의 연결부위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단자함의 밀폐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이, 단자함의 도어가 파손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도어를 교체하거나, 단자함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어 불필요한 단자함의 유지, 보수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06645(2007.04.0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자함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가 젖혀지는 경우에는 벽체의 방향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단자함에 설치된 전기회로나 각종 케이블의 설치와, 유지, 보수 작업을 이루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신체나 옷에 도어가 걸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단자함과 도어의 결합 상태를 용이하게 조절하며 단자함의 내측 밀폐 상태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단자함과 도어의 결합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도어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단자함과 도어의 연결 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함으로써, 도어의 파손으로 인한 불필요한 교체비용이나 작업비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단자함에 연결된 도어를 벽체의 방향으로 젖혀 고정시키는 경우에도 구비된 거치판의 구성을 통하여 도어의 위치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체에 대응되는 장형의 판 형상으로, 상기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 중심 부위에는 탄성판이 구비되어 벽체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볼트공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된 설치함과, 상기 설치함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장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판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함과,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연결돌기가 일단에 구비된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 연결되며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지지돌기가 구비된 수직바로 구성되어 상기 설치함의 개방된 부위를 덮도록 상기 가이드판에 회동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의 내경에는 복수개의 고정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외경에는 상기 고정홈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판의 전면에는 내측에 자석이 구비된 안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의 전면에는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구비된 안착돌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단자함의 전면에서 도어가 회전될 시, 상기 수직바가 가이드홈을 중심으로 회전된 후, 가이드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결합판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수직바의 안착돌기가 결합판의 안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바는 상기 설치함과 대응되는 부위에 지지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의 상면에는 걸림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설치함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가이드판과 수직바가 밀착되게 결합 될 시, 상기 지지홈에 하단이 삽입되고 상기 걸림홈에 상단이 삽입되게 설치되는 거치판이 안착 결합되는 거치홈이 더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단자함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가 젖혀지는 경우에는 벽체의 방향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단자함에 설치된 전기회로나 각종 케이블의 설치와, 유지, 보수 작업을 이루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신체나 옷에 도어가 걸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둘째, 단자함과 도어의 결합 상태를 용이하게 조절하며 단자함의 내측 밀폐 상태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단자함과 도어의 결합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도어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셋째, 단자함과 도어의 연결 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함으로써, 도어의 파손으로 인한 불필요한 교체비용이나 작업비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단자함에 연결된 도어를 벽체의 방향으로 젖혀 고정시키는 경우에도 구비된 거치판의 구성을 통하여 도어의 위치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가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가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다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가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건축용 통신 단자함의 단자함과 도어가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건축용 통신 단자함의 단자함에서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건축용 통신 단자함의 단자함에서 도어가 분리되어 단자함의 결합판 전면에 도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가이드판의 걸림홈과 수직바의 지지홈에 거치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벽체에서 단자함의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전면이라 명명하고, 단자함에서 벽체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부위를 후면이라고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벽체(1)에 대응되는 장형의 판 형상으로,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볼트공(11)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 중심 부위에는 탄성판(12)이 구비되어 벽체(1)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판(10)과, 상기 볼트공(11)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관통공(21a)이 형성된 결합판(21)과, 상기 결합판(21)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설치공간(22a)이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홈(22b)이 형성된 설치함(22)과, 상기 설치함(22)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장형의 가이드홈(23a)이 형성된 가이드판(23)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판(10)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함(20)과, 상기 가이드홈(23a)에 삽입되는 연결돌기(31a)가 일단에 구비된 수평바(31)와, 상기 수평바(31)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 연결되며 상기 결합홈(22b)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지지돌기(32a)가 구비된 수직바(32)로 구성되어 상기 설치함(22)의 개방된 부위를 덮도록 상기 가이드판(23)에 회동 설치되는 도어(3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22b)의 내경에는 복수개의 고정홈(22b-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32a)의 외경에는 상기 고정홈(22b-1)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32a-1)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10)은 단자함을 설치하기 위한 벽체(1)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벽체(1)에 밀착되는 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10)은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공(11)으로 볼트(P)를 체결하여 벽체(1)의 전면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구비된 탄성판(12)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벽체(1)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단자함(20)의 결합판(21) 사이에 설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벽체(1)와 탄성판(21)의 밀착 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자함(20)은 도 1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0)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10)의 전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결합판(21)과, 상기 결합판(21)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설치함(22)과, 상기 설치함(22)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판(2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단자함(20)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결합판(21)은 상기 지지판(10)의 볼트공(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관통공(21a)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1a)에 체결되는 볼트(P)가 상기 볼트공(11)을 관통하여 벽체(1)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함(22)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판(21)의 전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며, 돌출된 부위가 개방되어 내측에 설치공간(22a)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설치함(22)의 구성은 상기 설치공간(22a)으로 각종 케이블이나 전기적 기구가 설치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결합판(21)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함(22)의 개방된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홈(22b)이 형성됨으로써,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도어(30)가 단자함(2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결합홈(22b)에 도어(30)를 이루는 수직바(32)의 지지돌기(32a)가 삽입되어 고정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23)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함(22)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이며, 길이 방향을 따라 장형의 가이드홈(23a)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가이드판(23)의 가이드홈(23a)으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도어(30)의 수평바(31) 일단이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가이드홈(23a)의 형성 방향을 따라 수평바(31)가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30)는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23a)에 삽입되는 연결돌기(31a)가 일단에 구비된 수평바(31)와, 상기 수평바(31)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 연결되게 구성되는 수직바(32)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바(31)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23a)에 연결돌기(31a)가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됨으로써,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단자함(20)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30)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단자함(20)의 상부로 도어(3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이러한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은 물론이고, 도 6에서와 같이, 가이드홈(23a)의 형성 방향을 따라 수평바(31)가 이동을 이루도로 구성됨으로써, 회전이 이루어진 도어(30)가 단자함(20)의 결합판(21) 방향으로 이동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도 3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함(20)의 전면에 도어(30)를 설치하여 단자함(20)을 이루는 설치함(22)의 설치공간(22a)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단자함(20)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30)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위치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도어(30)를 젖혀 벽체(1)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어(30)가 젖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함(20)의 전면에 도어(30)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단자함(20)을 이루는 설치함(22)의 결합홈(22b)으로 수직바(32)의 지지돌기(32a)가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도 3에서와 같이, 단자함(20)의 전면에 도어(30)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더하여, 상기 결합홈(22b)의 내경에 복수개의 고정홈(22b-1)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돌기(32a)의 외경에는 상기 고정홈(22b-1)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32a-1)가 구비되게 구성함으로써, 단자함(20)과 도어(3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이룰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단자함(20)의 전면에 도어(30)를 결합하여 사용하을 이루는 경우에는 단자함(20)과 도어(30)의 결합이 손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설치함(22)의 수용공간(22a) 내측에 위치된 각종 전기회로나 케이블이 외부 환경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함(20)과 도어(3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단자함(20)의 내측에 위치된 각종 전기회로나 케이블을 교체하거나, 수리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단자함(20)과 연결된 도어(30)를 단자함(20)의 상부 방향으로 젖힌 후, 벽체(1)와 인접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을 이루는 작업자의 신체나 옷에 도어(20)가 걸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작업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판(21)의 전면에는 내측에 자석(21b-1)이 구비된 안착홈(21b)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수직바(32)의 전면에는 상기 안착홈(21b)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32b-1)이 구비된 안착돌기(32b)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자함(20)의 전면에서 도어(30)가 회전을 이루는 경우, 상기 수직바(32)가 가이드홈(23a)을 중심으로 회전된 후, 상기 가이드홈(23a)의 형성 방향을 따라 결합판(21)의 방향으로 이동을 이루게 구성됨으로써, 수직바(32)의 안착돌기(32b)가 결합판(21)의 안착홈(21b)에 삽입되어 결합판(21)과 수직바(32)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도 안착홈(21b)에 구비된 자석(21b-1)과 안착돌기(32b)의 단부에 구비된 자석(32b-1)의 결합을 통하여, 결합판(21)과 수직바(32)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착홈(21b)에 구비된 자석(21b-1)과 안착돌기(32b)에 구비된 자석(32b-1)은 상이한 극성을 이루는 자석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수직바(32)는 상기 설치함(22)과 대응되는 부위에 지지홈(32c)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판(23)의 상면에는 걸림홈(23b)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설치함(22)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가이드판(23)과 수직바(32)가 밀착되게 결합 될 시, 상기 지지홈(32c)에 하단이 삽입되고 상기 걸림홈(23b)에 상단이 삽입되게 설치되는 거치판(40)이 안착 결합되는 거치홈(22c)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5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자함(20)의 전면에 연결된 도어(30)를 회전시켜 벽체(1)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거치홈(22c)에 결합된 거치판(40)을 작업자가 분리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홈(32a)의 하단과 걸림홈(23b)의 상단으로 거치판(40)의 상, 하단이 결합되게 구성함으로써, 단자함(20)의 상부로 젖혀진 도어(20)의 위치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단자함의 내측에 위치된 각종 전기회로나 케이블의 설치, 보수 작업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 단자함의 상부로 도어가 젖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작업을 이루는 작업자의 신체나 옷에 도어가 걸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벽체 10: 지지판
11: 볼트공 12: 탄성판
20: 단자함 21: 결합판
21a: 관통공 21b: 안착홈
21b-1, 32b-1: 자석 22: 설치함
22a: 설치공간 22b: 결합홈
22b-1: 고정홈 22c: 거치홈
23: 가이드판 23a: 가이드홈
23b: 걸림홈 30: 도어
31: 수평바 31a: 연결돌기
32: 수직바 32a: 지지돌기
32a-1: 고정돌기 32b: 안착돌기
32c: 지지홈 P: 볼트

Claims (3)

  1. 벽체(1)에 대응되는 장형의 판 형상으로,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볼트공(11)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 중심 부위에는 탄성판(12)이 구비되어 벽체(1)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판(10)과,
    상기 볼트공(11)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관통공(21a)이 형성된 결합판(21)과, 상기 결합판(21)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설치공간(22a)이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홈(22b)이 형성된 설치함(22)과, 상기 설치함(22)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장형의 가이드홈(23a)이 형성된 가이드판(23)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판(10)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함(20)과,
    상기 가이드홈(23a)에 삽입되는 연결돌기(31a)가 일단에 구비된 수평바(31)와, 상기 수평바(31)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 연결되며 상기 결합홈(22b)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지지돌기(32a)가 구비된 수직바(32)로 구성되어 상기 설치함(22)의 개방된 부위를 덮도록 상기 가이드판(23)에 회동 설치되는 도어(3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22b)의 내경에는 복수개의 고정홈(22b-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32a)의 외경에는 상기 고정홈(22b-1)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32a-1)가 더 구비되되,
    상기 결합판(21)의 전면에는 내측에 자석(21b-1)이 구비된 안착홈(21b)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32)의 전면에는 상기 안착홈(21b)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32b-1)이 구비된 안착돌기(32b)가 더 구비되며,
    상기 단자함(20)의 전면에서 도어(30)가 회전될 시, 상기 수직바(32)가 가이드홈(23a)을 중심으로 회전된 후, 가이드홈(23a)의 형성 방향을 따라 결합판(21)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수직바(32)의 안착돌기(32b)가 결합판(21)의 안착홈(21b)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32)는 상기 설치함(22)과 대응되는 부위에 지지홈(32c)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23)의 상면에는 걸림홈(23b)이 더 형성되며,
    상기 설치함(22)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가이드판(23)과 수직바(32)가 밀착되게 결합 될 시, 상기 지지홈(32c)에 하단이 삽입되고 상기 걸림홈(23b)에 상단이 삽입되게 설치되는 거치판(40)이 안착 결합되는 거치홈(22c)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KR1020200132136A 2020-10-13 2020-10-13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KR102273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136A KR102273247B1 (ko) 2020-10-13 2020-10-13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136A KR102273247B1 (ko) 2020-10-13 2020-10-13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247B1 true KR102273247B1 (ko) 2021-07-06

Family

ID=7686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136A KR102273247B1 (ko) 2020-10-13 2020-10-13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2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598B1 (ko) 2022-01-24 2022-11-10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통신단자함 도어구조
KR102526421B1 (ko) * 2022-11-08 2023-05-02 (주)이룸이앤씨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721A (ko) * 2002-09-17 2004-03-25 오병석 고압모터용 안전단자함
KR100706645B1 (ko) 2006-11-13 2007-04-13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통합단자함 구조
KR20130050139A (ko) * 2011-11-07 2013-05-15 박운학 통신기기용 랙
KR101882345B1 (ko) * 2017-09-21 2018-07-27 배선배 모바일기기 충전보관함
KR101974375B1 (ko) * 2018-11-02 2019-05-02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설비의 안전장치
KR102015855B1 (ko) * 2019-02-19 2019-08-29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721A (ko) * 2002-09-17 2004-03-25 오병석 고압모터용 안전단자함
KR100706645B1 (ko) 2006-11-13 2007-04-13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통합단자함 구조
KR20130050139A (ko) * 2011-11-07 2013-05-15 박운학 통신기기용 랙
KR101882345B1 (ko) * 2017-09-21 2018-07-27 배선배 모바일기기 충전보관함
KR101974375B1 (ko) * 2018-11-02 2019-05-02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설비의 안전장치
KR102015855B1 (ko) * 2019-02-19 2019-08-29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598B1 (ko) 2022-01-24 2022-11-10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통신단자함 도어구조
KR102526421B1 (ko) * 2022-11-08 2023-05-02 (주)이룸이앤씨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247B1 (ko)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KR10201585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US8633385B2 (en) Weatherproof cover having bidirectional hinge
US8097805B2 (en) Pivoting while-in-use electrical box and cover
KR102234816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1426506B1 (ko) 벽체형 전기 통신 케이블 덕트
KR102184897B1 (ko)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US6828704B2 (en) Electric motor
KR102180547B1 (ko) 건축용 통신 단자함 방수구조
KR102271897B1 (ko)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
KR102180552B1 (ko)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KR101916754B1 (ko) 통신용 매입박스 설치구조
KR102256155B1 (ko) 건축용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1775716B1 (ko)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
KR102172559B1 (ko) 건축용 통신 단자함 설치구조
US20050031368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2028474B1 (ko) 수밀구조를 개선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배전반
KR101985811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지지구
KR102005774B1 (ko) 슬라이드형 덮개가 구비된 바닥 매설형 시스템 박스
GB2134591A (en) Pinless hinges
KR102091359B1 (ko)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케이블 포설방법
KR20180072095A (ko) 앵커 연결유닛을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KR102172616B1 (ko) 건축용 통신 단자함 방수구조
KR20090095324A (ko) 방폭형 배전함
KR102273242B1 (ko) 건축물 외부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