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0139A - 통신기기용 랙 - Google Patents

통신기기용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0139A
KR20130050139A KR1020110115333A KR20110115333A KR20130050139A KR 20130050139 A KR20130050139 A KR 20130050139A KR 1020110115333 A KR1020110115333 A KR 1020110115333A KR 20110115333 A KR20110115333 A KR 20110115333A KR 20130050139 A KR20130050139 A KR 20130050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door
side plate
arc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8168B1 (ko
Inventor
박운학
Original Assignee
박운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운학 filed Critical 박운학
Priority to KR1020110115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168B1/ko
Publication of KR2013005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 H04Q1/026Cabinets characterized by do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랙에 설치된 도어가 개폐작동에 의해 랙의 일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한 통신기기용 랙에 관한 것으로, 격벽을 중심으로 제1수용공간 및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 랙 본체와; 상기 랙 본체를 개폐시키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도어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통신기기용 랙에 따르면, 랙의 도어를 개방시킨 후 일측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주변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도어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신기기용 랙{Lag for Communic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통신기기용 랙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랙에 설치된 도어가 개폐작동에 의해 랙의 일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한 통신기기용 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용 랙(Lag)은 내부에 통신 교환기 등과 같은 각종 통신장비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이며, 국제표준규격에 기초하여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랙에는 선반 등의 장착 보조구를 사용하여 공유기, 교환기 등의 통신장비가 장착된다. 그리고, 랙에 장착 구비되는 통신장비를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도어가 설치된다.
종래의 랙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판(12), 하면판(13), 측면판(15) 및 후면판(17)으로 둘러 쌓여있고, 전방에는 도어(19)가 설치되어 전방으로 열리도록 되어 있다.
도어(19)가 힌지 결합되는 랙의 상면판(12) 및 하면판(13)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힌지축(20)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도어(19)는 일측 상하단에 힌지공(30)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20)과 힌지 결합 된다.
이러한 랙에서 통신장비 등에 연결된 통신선을 래핑(Wrapping)시키거나 연결된 통신선을 분리시킬 때 또는 점검 및 수리의 목적으로 통신장비를 분해 조립작업을 해야 할 경우에 도어(19)를 개방시키고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런데, 랙이 설치된 주변공간이 협소하여 도어(19)의 회전에 간섭을 주게되면 도어(19)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함으로 작업에 지장을 주게 되고 그에 따라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5049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랙의 도어를 개방시킨 후 일측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주변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도어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기기용 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기기용 랙은, 격벽을 중심으로 제1수용공간 및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 랙 본체와; 상기 랙 본체를 개폐시키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도어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랙 본체는 이격 구비된 제1측면판 및 제2측면판과, 상기 제1측면판 및 제2측면판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판과, 상기 제1측면판 및 제2측면판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면판과, 상기 제1측면판과 제2측면판 사이에 구비되어 제1수용공간 및 제2수용공간을 형성시키는 격벽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공간에는 상면 및 하면에 오목하며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 및 제2가이드레일이 각각 상하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왕복 이동되는 제1도어지지체와, 상기 제1도어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제2도어지지체와, 상기 제2도어지지체에 결합 된 판 형상의 보호판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지지체는 상하로 연장된 사각기둥 형상으로써, 일면 일측에서 타측을 항하여 원호형상으로 연장된 연장호부와, 상기 연장호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일면에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회전홈부와,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제1이동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도어지지체는 상하로 연장된 사각기둥 형상으로써, 일면에 내측으로 오목한 끼움홈부와, 측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홈부와 연장호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는 회전탭부와, 상기 회전탭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원호형상으로 돌출 구비되어 회전탭부와의 사이에 원호형 홈을 형성하는 회전가이드부와, 상면 및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구비된 제2이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연장호부는 상기 회전탭부와 회전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된 원호형 홈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랙 본체에는 상기 랙 본체를 개폐시키며 열린 상태에서 롤 형태로 감겨지는 회전차단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통신기기용 랙에 따르면, 랙의 도어를 개방시킨 후 일측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주변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도어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신기기용 랙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랙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랙에서 측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랙을 이루는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이루는 제1도어지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이루는 제2도어지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랙에서 도어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랙에 구비된 회전차단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2에서 X축 방향을 '길이방향', Y축 방향을 '폭 방향', Z축 방향을 '상하방향'이라 하고, Y축 방향으로 도어(300)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Y축 방향으로 도어(300)의 반대쪽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랙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랙에서 측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랙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에 둘러싸여 이루어지며 내부에 선반(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통신장비를 장착할 수 있는 랙 본체(100)와, 상기 랙 본체(100)의 전방에서 개폐되는 도어(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랙 본체(100)는 길이방향으로 이격 구비된 제1측면판(130) 및 제2측면판(150)과, 상기 제1측면판(130) 및 제2측면판(15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판(110)과, 상기 제1측면판(130) 및 제2측면판(150)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면판(17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측면판(130)과 제2측면판(150) 사이에는 격벽(160)이 구비되며, 상기 격벽(160)으로 인해 제1수용공간(191) 및 제2수용공간(195)이 형성된다.
상기 제1수용공간(191)은 상기 제1측면판(130)과 격벽(160)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으로써 통신장비 등이 수용되고, 제2수용공간(195)은 격벽(160)과 제2측면판(150)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이다.
상기 격벽(160)에는 상기 제1수용공간(191)과 제2수용공간(195)을 연통시키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선반(미도시) 등이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수용공간(191) 및 제2수용공간(195)은 밀폐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랙 본체(100)는 상면판(110)과 하면판(170) 사이에 복수의 기둥(미도시)을 구비하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 상기 제1측면판(130), 제2측면판(150) 및 격벽(160)이 각각 연결되어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수용공간(195)에서 하면판(170)에는 하부로 오목하며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1가이드레일(171) 및 제2가이드레일(175)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171)과 제2가이드레일(175)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171)과 제2가이드레일(175)은 상기 제2수용공간(195)에서 상면판(110)의 하면 및 하면판(170)의 상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171)과 제2가이드레일(175)은 상기 상면판(110)에서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도어(300)는 상기 랙 본체(100)의 전방을 개폐시키는 것으로, 닫힌 상태의 도어(300)를 열어서 상기 제2수용공간(195)으로 슬라이딩 삽입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랙을 이루는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이루는 제1도어지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이루는 제2도어지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어(3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도어지지체(310)와, 제2도어지지체(330)와, 보호판(35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도어지지체(310) 및 제2도어지지체(330)는 상하로 연장된 사각기둥 형상이다.
상기 제1도어지지체(3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수용공간(195)에 위치하며, 일면 일측에서 타측을 항하여 원호형상으로 연장된 연장호부(311)가 상하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연장호부(311)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일면에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회전홈부(313)가 상하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장호부(3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원의 반지름과, 회전홈부(31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원의 반지름은 같게 된다.
상기 연장호부(311)와 회전홈부(313)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부는 상하와, 측면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지지체(310)의 일측은 측면으로 일부가 개방된 오목한 원호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제1도어지지체(31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1이동부(319)가 각각 한 쌍씩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이동부(319)에 의해 상기 제1도어지지체(310)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71)을 따라서 왕복 이동된다.
상기 제1이동부(319)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71)에 구름 접촉이 가능한 볼 롤러일 수 있다.
상기 제2도어지지체(33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어지지체(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일면에 내측으로 오목하며 상하로 연장된 끼움홈부(337)가 형성되고, 측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하로 연장된 회전탭부(333)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탭부(333)는 원기둥 형태이며, 상기 회전홈부(313)와 연장호부(311)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된다.
상기 회전탭부(333)는 상기 제2도어지지체(330)의 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이격탭부(331)로부터 돌출 구비되어 상하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회전탭부(333)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원호형상으로 회전가이드부(335)가 돌출 구비된다.
상기 회전가이드부(335)는 상기 이격탭부(331)로부터 돌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호부(31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도어지지체(33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제2이동부(339)가 구비된다.
상기 제2이동부(339)는 상기 제1이동부(319)와 동일한 구성품일 수 있다.
상기 제1도어지지체(310)와 제2도어지지체(330)가 이루어지면, 상기 제2도어지지체(330)의 회전탭부(333)를 상기 연장호부(311)와 회전홈부(313)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로 삽입시킨다.
상기 회전탭부(333)의 외주면과 상기 연장호부(311)의 내주면 및 회전홈부(313)의 내주면은 미끄럼 접촉을 하게 된다.
상기 이격탭부(331)는 제1도어지지체(310)의 일측에서 측면으로 개방된 부분에 위치하게 되며, 개방된 부분에서 일측 및 타측으로 왕복 이동된다.
상기 제1도어지지체(310)를 기준으로 상기 제2도어지지체(330)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탭부(333)는 상기 연장호부(311) 및 회전홈부(313)의 내측에서 미끄럼 접촉을 하면서 회전되고, 상기 이격탭부(331)는 개방된 부분에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촉되면서 회전된다.
상기 보호판(350)은 판 형상으로써 상기 제2도어지지체(330)의 끼움홈부(337)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보호판(350)은 유리, 아크릴 등의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랙에서 도어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300)가 이루어지면, 상기 랙 본체(100)에 도어(300)를 장착한다.
상기 도어(300)에 의해 랙 본체(100)의 전방이 폐쇄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어지지체(310)는 상기 제2수용공간(195)에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171) 사이의 전방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이동부(319)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71)에 각각 구름 접촉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제2도어지지체(33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어지지체(310)와 대략 90도 각도로 위치한 상태가 되고, 상기 끼움홈부(337)에 보호판(350)이 삽입되어 상기 랙 본체(100)의 전방을 폐쇄시킨 상태가 된다.
상기 회전가이드부(335)는 상기 연장호부(311)와의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연장호부(311)의 외주면에 근접된 상태가 되고, 상기 이격탭부(331)는 개방된 부분에서 일측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랙 본체(100)의 전방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호판(350)에 외력을 가하여 당기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어지지체(330)를 기준으로 상기 제2도어지지체(330)가 회전된다.
이때,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탭부(333)는 상기 연장호부(311) 및 회전홈부(313)의 내측에서 미끄럼 접촉을 하면서 회전되고, 상기 이격탭부(331) 또한 회전되어 개방된 부분에서 타측에 접촉된다.
상기 회전탭부(333)와 회전가이드부(335) 사이에는 원호형 홈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가이드부(335)는 상기 연장호부(311)의 외주면에 근접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연장호부(311)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지지체(330)의 회전 중에 상기 제1도어지지체(310)와 제2도어지지체(330) 사이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 제1도어지지체(310)와 제2도어지지체(330)는 서로 마주보면 면이 접촉되면서 더 이상 회전이 되지 않게 되고,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제2도어지지체(330)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71)과 평행하게 구비된 제2가이드레일(175)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2이동부(339)는 제2가이드레일(175)에 구름 접촉된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레일(171) 및 제2가이드레일(175)을 상하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제1도어지지체(310) 및 제2도어지지체(330)의 상하면에 상기 제1이동부(319) 및 제2이동부(339) 대신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오목한 오목홈(미도시)을 각각 구비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보호판(350)을 상기 제2수용공간(195)을 향하여 밀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어지지체(310) 및 제2도어지지체(350)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71)과 제2가이드레일(175)을 따라 제2수용공간(195)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보호판(350)은 상기 제2수용공간(195)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랙 본체(100)의 도어(300)가 개방되어 제2수용공간(195)속으로 삽입되면, 통신기기의 점검이나 보수유지 및 관리를 위해 작업할 때, 도어(300)에 의한 지장을 받지 않게 된다.
개방된 랙 본체(100)를 폐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랙 본체(100)를 개방시킬 때와 반대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 제2수용공간(195)에 삽입된 보호판(350)을 당겨서 상기 도어(300)가 제2수용공간(195)으로부터 외부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도어지지체(310)와 제2도어지지체(330)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71)과 제2가이드레일(175)을 따라 제2수용공간(195)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어서, 상기 보호판(350)을 회전시켜 개방된 랙 본체(100)를 폐쇄시키면, 상기 제1도어지지체(310)를 기준으로 상기 제2도어지지체(330)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2도어지지체(330)는 제2가이드레일(175)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회전가이드부(335)는 상기 연정호부(311)의 외주면을 따라서 회전되고, 상기 이격탭부(331)는 상기 개방부(311)의 일측에 접촉된다.
상기 연장호부(311)는 상기 회전탭부(333)와 회전가이드부(335) 사이에 형성된 원호형 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형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개방된 랙 본체(100)를 폐쇄시킬 수가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랙에 구비된 회전차단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랙 본체(100)에는 상기 도어(3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랙 본체(100)를 임시로 폐쇄시킬 수 있는 회전차단수단(50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차단수단(500)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 본체(100)의 전방 상부에 회전축(510)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510)에 롤 형태로 감겨진 스크린(55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린(550)은 투명하며 얇은 막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510)에는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 등의 복원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복원부재에 의해 상기 스크린(550)은 상기 회전축(510)에 감겨진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스크린(550)의 단부에 고리부(551)를 구비하고, 상기 랙 본체(100)의 전방 하부에 걸림턱(555)을 구비한다.
상기 고리부(551)는 상기 스크린(550)의 단부에서 폐쇄된 고리 형태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555)은 랙 본체(100)의 전방 하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차단수단(500)은 랙 본체(100)의 전방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걸림턱(555)은 랙 본체(100)의 전방 상부에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차단수단(500)이 구비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랙 본체(100)의 도어(3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550)에 외력을 가하여 당겨서 상기 회전축(510)으로부터 스크린(550)이 풀어지게 한다.
이어서, 상기 고리부(551)가 상기 걸림턱(555)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랙 본체(100)는 스크린(550)에 의해 폐쇄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걸림턱(555)으로부터 고리부(551)를 이탈시키면, 상기 스크린(550)은 상기 회전축(510)에 구비된 복원부재에 의해 회전축에 롤 형태로 다시 감겨지면서, 상기 랙 본체(100)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랙 본체 160: 격벽
191: 제1수용공간 195: 제2수용공간
300: 도어

Claims (6)

  1. 격벽(160)을 중심으로 제1수용공간(191) 및 제2수용공간(195)이 형성된 랙 본체(100)와; 상기 랙 본체(100)를 개폐시키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195)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도어(300)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통신기기용 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 본체(100)는 이격 구비된 제1측면판(130) 및 제2측면판(150)과, 상기 제1측면판(130) 및 제2측면판(15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판(110)과, 상기 제1측면판(130) 및 제2측면판(150)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면판(170)과, 상기 제1측면판(130)과 제2측면판(150) 사이에 구비되어 제1수용공간(191) 및 제2수용공간(195)을 형성시키는 격벽(160)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통신기기용 랙.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공간(195)에는 상면 및 하면에 오목하며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171) 및 제2가이드레일(175)이 각각 상하 대칭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통신기기용 랙.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300)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71)을 따라서 왕복 이동되는 제1도어지지체(310)와, 상기 제1도어지지체(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가이드레일(175)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제2도어지지체(330)와, 상기 제2도어지지체(330)에 결합 된 판 형상의 보호판(350)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통신기기용 랙.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지지체(310)는 상하로 연장된 사각기둥 형상으로써, 일면 일측에서 타측을 항하여 원호형상으로 연장된 연장호부(311)와, 상기 연장호부(311)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일면에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회전홈부(313)와,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제1이동부(319)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도어지지체(330)는 상하로 연장된 사각기둥 형상으로써, 일면에 내측으로 오목한 끼움홈부(337)와, 측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홈부(313)와 연장호부(311)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는 회전탭부(333)와, 상기 회전탭부(333)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원호형상으로 돌출 구비되어 회전탭부(333)와의 사이에 원호형 홈을 형성하는 회전가이드부(335)와, 상면 및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구비된 제2이동부(339)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연장호부(311)는 상기 회전탭부(333)와 회전가이드부(335) 사이에 형성된 원호형 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통신기기용 랙.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 본체(100)에는 상기 랙 본체(100)를 개폐시키며 열린 상태에서 롤 형태로 감겨지는 회전차단수단(50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 통신기기용 랙.
KR1020110115333A 2011-11-07 2011-11-07 통신기기용 랙 KR101288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333A KR101288168B1 (ko) 2011-11-07 2011-11-07 통신기기용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333A KR101288168B1 (ko) 2011-11-07 2011-11-07 통신기기용 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139A true KR20130050139A (ko) 2013-05-15
KR101288168B1 KR101288168B1 (ko) 2013-07-18

Family

ID=4866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333A KR101288168B1 (ko) 2011-11-07 2011-11-07 통신기기용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1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345B1 (ko) * 2017-09-21 2018-07-27 배선배 모바일기기 충전보관함
CN108552792A (zh) * 2018-05-02 2018-09-2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厨房电器
KR102273247B1 (ko) * 2020-10-13 2021-07-06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113B1 (ko) * 2018-12-12 2020-07-07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공간 절약형 서버랙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405Y1 (ko) * 1996-12-30 1999-10-15 유기범 통신기기의 랙(Rack) 도어
KR100211017B1 (ko) * 1996-12-30 1999-07-15 유기범 통신기기의 랙에 설치되는 도어장치
KR100331143B1 (ko) * 1999-11-26 2002-04-01 박종섭 통신기지단말기의 루프 슬라이딩 장치
KR200252375Y1 (ko) 2001-08-13 2001-11-22 주식회사 서진엔지니어링 랙 도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345B1 (ko) * 2017-09-21 2018-07-27 배선배 모바일기기 충전보관함
CN108552792A (zh) * 2018-05-02 2018-09-2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厨房电器
KR102273247B1 (ko) * 2020-10-13 2021-07-06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168B1 (ko)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168B1 (ko) 통신기기용 랙
US9993902B2 (en) Machine tool
USD736407S1 (en) Financial services store
KR101548488B1 (ko) 포켓슬라이딩도어 자동닫힘장치
JP2008538946A (ja) 製品の保管および/または展示を行うガラス製のショーケース
WO2015038935A8 (en) Tissue dispenser and method for dispensing tissue
JP2012005683A (ja) 遊技機用基板収納ケース及びそれを備えた遊技機
GB2504410A (en) Cable retaining ring having slide closure and cable support tray including the cable retaining ring
WO2014180064A1 (zh) 胶框及使用该胶框的显示装置
US9060439B2 (en) Locking system for modules within a housing and a method for fitting
KR101603592B1 (ko) 냉장고 홈바용 댐핑장치
JP6030942B2 (ja) 火災報知設備用機器
JP6730494B1 (ja) 蝶番、及び蝶番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WO2013000977A3 (en) A cooling device where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door can be changed
JP3183840U (ja) 引戸の隙間防止装置
JP6660590B2 (ja) ケーブル引出口
JP2006087558A (ja) 遊技機
KR101479102B1 (ko) 배선 통로를 갖는 책상
JP3168566U (ja) ヒンジ用ピン
CN203669626U (zh) 一种箱门组件结构
JP5525600B2 (ja) 少なくとも2本の細長い物体、特にペンを保持するための装置
KR200252375Y1 (ko) 랙 도어장치
JP6208058B2 (ja) ヒンジ装置、及び、建具
JP2017084908A (ja) 筐体
KR20160059677A (ko) 공작 기계의 어태치먼트 교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