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716B1 -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 - Google Patents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716B1
KR101775716B1 KR1020170076897A KR20170076897A KR101775716B1 KR 101775716 B1 KR101775716 B1 KR 101775716B1 KR 1020170076897 A KR1020170076897 A KR 1020170076897A KR 20170076897 A KR20170076897 A KR 20170076897A KR 101775716 B1 KR101775716 B1 KR 101775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ied
case
inner box
buried cas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디슨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디슨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디슨전기
Priority to KR1020170076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를 개시한다. 개시된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는, 건축물의 바닥에 매립되는 매립 베이스부와, 콘센트의 설치를 위하여 매립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매립 베이스부에서 승강되는 콘센트 설치부와, 콘센트 설치부를 매립 베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콘센트 탄성개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버플레이트를 개방하면 콘센트 설치부가 매립케이스에서 상측으로 이송되면서 콘센트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전기플러그를 콘센트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SYSTEM BOX OF FLOOR COVERED TYPE}
본 발명은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플레이트를 개방하면 콘센트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공동주택 등에서 통신용 및 인터넷용 접속잭, 전원공급용 단자 등의 콘센트(고정식) 등이 설치되기 위해서는 단자함, 외함, 전선관, 시스템 박스, 콘센트 박스 등의 내부에 형성된 콘센트에 플러그, 잭 등을 접속하여 전원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콘센트 박스는 크게 건축물의 벽에 매설되는 벽 매설용 콘센트 박스(단자함, 외함, 전선관, 콘센트 박스 등)와, 건축물의 플로어에 매설되는 바닥 배선용 콘센트 박스(전선관, 시스템 박스 등)로 구분된다.
이중 바닥 배선용 콘센트 박스는 건축물의 바닥에 매립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을 커버하는 덮개로 이루어져 주로 사무실 등과 같은 업무 공간에 많이 시공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바닥 배선용 시스템 박스는, 콘센트가 설치되는 하우징이 건물의 바닥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플러그를 연결할 때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7526호(등록일:2000년10월09일)에는 "플로아 매설용 시스템 박스"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커버플레이트를 개방하면 콘센트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는, 물의 바닥에 매립되며, 상면이 개방되는 매립케이스와, 상기 매립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프레임과, 상기 커버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버프레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매립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의 플로어 높이에 따라 상기 매립케이스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구비하는 매립 베이스부와, 콘센트가 설치되며, 상기 매립케이스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박스와, 상기 매립케이스와 상기 내부박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박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콘센트 설치부와, 상기 매립케이스에 관통 형성되며, 상단부에 걸림리브가 절곡 형성되는 설치홀부와, 상기 내부박스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설치홀부를 통해 상기 매립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핀부재가 체결되는 지지레그부재와, 상기 내부박스를 상기 매립케이스의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걸림리브와 상기 고정핀부재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콘센트 탄성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센트 탄성개방부는, 스크루를 통해 매립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설치홀부를 커버하는 스프링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가이드부재는, 상기 내부박스의 측면에서 반원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부와,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는 볼부재와, 상기 볼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매립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는 종래 발명과 달리 커버플레이트를 개방하면 콘센트 설치부가 매립케이스에서 상측으로 이송되면서 콘센트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전기플러그를 콘센트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의 콘센트 설치부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요부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박스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박스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의 콘센트 설치부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요부확대 평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박스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박스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100)는 건축물의 바닥에 매립되는 매립 베이스부(110)와, 콘센트(10)의 설치를 위하여 매립 베이스부(110)에 설치되는 콘센트 설치부(120)와, 콘센트 설치부(120)를 매립 베이스부(110)의 외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콘센트 탄성개방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매립 베이스부(110)가 개방되면 콘센트 탄성개방부(130)를 통해 콘센트 설치부(120)가 매립 베이스부(110)의 외측으로 돌출하게 된다.
매립 베이스부(110)는 상면이 개방되며 건물의 바닥에 매립되는 매립케이스(111)와, 매립케이스(111)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프레임(113)과, 커버프레임(113)을 개폐하는 커버플레이트(115)와, 매립케이스(111)의 설치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117)를 포함한다.
매립케이스(111)는 내부에 콘센트 설치부(120)가 설치되고, 외부에 높이조절부(117)가 결합된다. 이러한 매립케이스(111)는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면에 커버프레임(113)이 결합된다.
커버프레임(113)은 사각링 형상을 가지며, 볼트에 의해 매립케이스(111)의 상단에 결합된다. 또한 커버프레임(113)은 커버플레이트(115)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개폐버튼(113a)이 구비되며, 개폐버튼(113a)에 커버플레이트(115)가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된다.
커버플레이트(115)는 일단부가 커버프레임(113)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개폐버튼(113a)에 선택적으로 걸려서 고정된다. 이러한 커버플레이트(115)는 개폐버튼(113a)의 걸림이 해제되면 콘센트 탄성개방부(130)의 탄성력에 의해 매립케이스(111)에서 상승하는 콘센트 설치부(120)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된다. 또한 커버플레이트(115)에는 플러그의 전선을 가이드하기 위한 관통홀부가 형성된다.
높이조절부(117)는 바닥에 시공되는 플로어의 높이에 따라 매립케이스(111)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매립케이스(11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플러어가 설치되기 전 건물의 바닥에 설치된다.
이러한 높이조절부(117)는 매립케이스(111)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17a)와, 지지부재(117a)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117b)와, 못이나 스크루 등을 통해 건물의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판(117c)을 포함한다.
지지부재(117a)에는 높이조절볼트(117b)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높이조절볼트(117b)는 지지부재(117a)의 관통구멍으로 삽입되며, 지지부재(117a)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너트(117b')가 체결된다. 이러한 높이조절볼트(117b)는 지지너트(117b')의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매립케이스(111)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고정판(117c)은 높이조절볼트(117b)의 하단에 용접되며, 못이나 스크루가 삽입되는 고정홀이 복수개 형성된다.
콘센트 설치부(120)는 매립케이스(111)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부박스(121)와, 내부박스(12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매립케이스(111)와 내부박스(121) 사이에 구비되는 승강가이드부재(123)를 포함한다.
내부박스(121)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방된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부가 커버플레이트(115)의 하면에 접촉된다. 이러한 내부박스(121)는 플러그의 접속을 위한 콘센트(10)가 복수개 결합되며, 콘센트 탄성개방부(130)에 의해 매립케이스(111)의 상측으로 탄성 지지된다.
또한 내부박스(121)는, 콘센트(10)를 결합하기 위한 콘센트 설치판(121a)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매립케이스(111)에서 상승하여도 하단부가 매립케이스(11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내부박스(121)는 매립케이스(111)에서 승강될 때 승강가이드부재(123)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된다.
승강가이드부재는, 매립케이스(111)와 내부박스(121) 사이에 구비되어 내부박스(121)의 이동을 안정되게 가이드한다. 이를 위하여 승강가이드부재(123)는 내부박스(121)의 측면에서 반원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부(123a)와, 안착홈부(123a)에 안착되는 볼부재(123b)와, 볼부재(123b)가 삽입되도록 매립케이스(111)의 내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123c)를 포함한다.
안착홈부(123a)는 내부박스(121)의 하부 측면에서 내부박스(121)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볼부재(123b)가 안착된다.
볼부재(123b)는 안착홈부(123a)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며, 회전을 통해 내부박스(121)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홈부(123c)는 매립케이스(111)의 내면에서 매립케이스(1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홈부(123c)에는 볼부재(123b)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가이드된다.
콘센트 탄성개방부(130)는 매립케이스(111)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박스(121)를 매립케이스(111)의 외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며, 커버플레이트(115)가 개방되면 탄성력을 통해 내부박스(121)를 매립케이스(111)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콘센트 탄성개방부(130)는 매립케이스(111)에 형성되는 설치홀부(131)와, 내부박스(121)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레그부재(133)와, 설치홀부(131)에 배치되어 내부박스(12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35)와, 설치홀부(131)를 커버하는 스프링커버부재(137)를 포함한다.
설치홀부(131)는 매립케이스(111)에 관통 형성되며, 상단부에 탄성부재(135)가 결합되는 걸림리브(131a)가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설치홀부(131)는 매립케이스(111)에서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지지레그부재(133)는 탄성부재(135)를 결합할 수 있도록 내부박스(121)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탄성부재(135)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부재(133a)가 체결된다. 고정핀부재(133a)는 일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지지레그부재(133)에 결합되고 타단부에 파지부가 형성된다.
탄성부재(135)는 상단부가 걸림리브(131a)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고정핀부재(133a)에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부재(135)는 커버플레이트(115)가 밀폐되면 이완되면서 내부박스(121)를 매립케이스(111)의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커버플레이트(115)가 개방되면 수축되면서 내부박스(121)를 매립케이스(111)의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35)로 인장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스프링커버부재(137)는 설치홀부(131)와 탄성부재(135)를 커버하도록 스크루에 의해 매립케이스(111)의 외면에 결합되어 탄성부재(135)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콘센트 탄성개방부(130)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링커버부재(137)는 스크루가 체결되는 고정편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장치()는, 사용자가 개폐버튼(113a)을 조작하여 매립케이스(111)를 밀폐하고 있던 커버플레이트(115)의 걸림을 해제시키면 탄성부재(135)의 탄성력에 의해 내부박스(121)가 매립케이스(111)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커버플레이트(115)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내부박스(121)가 매립케이스(111)의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커버플레이트(115)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콘센트(10)가 매립케이스(111)의 외부로 노출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플러그를 콘센트(10)에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플러그를 접속한 후, 커버플레이트(115)를 하측으로 놀러 회전시키면 커버플레이트(115)에 의해 내부박스(121)가 매립케이스(111)의 내부로 하강되면서 매립케이스(111)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후, 커버플레이트(115)가 개폐버튼(113a)에 걸려서 고정되면 매립케이스(111)의 내부로 삽입된 내부박스(121)의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이때, 내부박스(121)는 탄성부재(135)에 의해 매립케이스(111)의 상측 방향으로 항상 탄성 지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콘센트 100 :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
110 : 매립 베이스부 111 : 매립케이스
113 : 커버프레임 115 : 커버플레이트
117 : 높이조절부 120 : 콘센트 설치부
121 : 내부박스 123 : 승강가이드부재
123a : 안착홈부 123b : 볼부재
123c : 가이드홈부 130 : 콘센트 탄성개방부
131 : 설치홀부 131a : 걸림리브
133 : 지지레그부재 133a : 고정핀부재
135 : 탄성부재 137 : 스프링커버부재

Claims (3)

  1. 건물의 바닥에 매립되며, 상면이 개방되는 매립케이스(111)와, 상기 매립케이스(111)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프레임(113)과, 상기 커버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버프레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플레이트(115)와, 상기 매립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의 플로어 높이에 따라 상기 매립케이스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17)를 구비하는 매립 베이스부(110); 콘센트가 설치되며, 상기 매립케이스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박스(121)와, 상기 매립케이스와 상기 내부박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박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재(123)를 구비하는 콘센트 설치부(120); 및 상기 매립케이스에 관통 형성되며, 상단부에 걸림리브가 절곡 형성되는 설치홀부(131)와, 상기 내부박스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설치홀부를 통해 상기 매립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핀부재(133a)가 체결되는 지지레그부재(133)와, 상기 내부박스를 상기 매립케이스의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걸림리브와 상기 고정핀부재에 결합되는 탄성부재(135)를 구비하는 콘센트 탄성개방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콘센트 탄성개방부는, 스크루를 통해 매립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설치홀부를 커버하는 스프링커버부재(13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부재는, 상기 내부박스의 측면에서 반원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부(123a);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는 볼부재(123b); 및
    상기 볼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매립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123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
KR1020170076897A 2017-06-16 2017-06-16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 KR101775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897A KR101775716B1 (ko) 2017-06-16 2017-06-16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897A KR101775716B1 (ko) 2017-06-16 2017-06-16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716B1 true KR101775716B1 (ko) 2017-09-06

Family

ID=5992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897A KR101775716B1 (ko) 2017-06-16 2017-06-16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7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291B1 (ko) * 2019-09-19 2020-03-05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전기 분전함
KR20200045782A (ko) *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에이텍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케이스
KR102254348B1 (ko) * 2020-03-19 2021-05-20 신세욱 가구용 전기 콘센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383Y1 (ko) * 2000-07-11 2001-03-15 삼도개발산업주식회사 매립형 시스템 박스
KR100788865B1 (ko) 2007-06-21 2007-12-27 장혜순 접속구를 갖는 회전판이 푸시록 출몰되게 한 매립형 커넥터고정장치
CN201038433Y (zh) 2007-05-07 2008-03-19 叶志荣 一种桌面插座
JP2008098015A (ja) 2006-10-12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床取付型情報コンセン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383Y1 (ko) * 2000-07-11 2001-03-15 삼도개발산업주식회사 매립형 시스템 박스
JP2008098015A (ja) 2006-10-12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床取付型情報コンセント
CN201038433Y (zh) 2007-05-07 2008-03-19 叶志荣 一种桌面插座
KR100788865B1 (ko) 2007-06-21 2007-12-27 장혜순 접속구를 갖는 회전판이 푸시록 출몰되게 한 매립형 커넥터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782A (ko) *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에이텍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케이스
KR102110546B1 (ko) 2018-10-23 2020-05-14 주식회사 에이텍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케이스
KR102085291B1 (ko) * 2019-09-19 2020-03-05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전기 분전함
KR102254348B1 (ko) * 2020-03-19 2021-05-20 신세욱 가구용 전기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716B1 (ko) 바닥 매립형 시스템 박스
US7838769B2 (en) Recessed electrical outlet box for floors
US7795544B2 (en) Recessed electrical outlet box for concrete floors
US6843669B2 (en) Electrical termination module
US9077166B2 (en) Weatherproof electrical box
CA2242215C (en) Fully adjustable electrical receptacle housing
KR102442004B1 (ko)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CA2661113C (en) Pivoting or retractable cord lid with cord exit for floor box
KR102496355B1 (ko) 선형 액추에이터 시스템
KR101775717B1 (ko) 바닥 매립형 콘센트 박스장치
US7989711B2 (en) Ultra shallow floor box
US20060169471A1 (en) Floor access box adjustment method
KR100924603B1 (ko)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KR20200060205A (ko)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
US20170047717A1 (en) Weatherproof electrical box assembly
CA2887778C (en) While-in-use deck box
KR100835587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 분전함
KR200480539Y1 (ko)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KR102273247B1 (ko)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KR102005774B1 (ko) 슬라이드형 덮개가 구비된 바닥 매설형 시스템 박스
CA24913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recessed lighting fixture
KR100750957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구조
KR200421888Y1 (ko) 전선정리용 멀티박스
EP2263294B1 (en)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electrical floor boxes
KR101673985B1 (ko) 공동주택용 전기분전함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