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857B1 -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 - Google Patents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857B1
KR102171857B1 KR1020180117921A KR20180117921A KR102171857B1 KR 102171857 B1 KR102171857 B1 KR 102171857B1 KR 1020180117921 A KR1020180117921 A KR 1020180117921A KR 20180117921 A KR20180117921 A KR 20180117921A KR 102171857 B1 KR102171857 B1 KR 102171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level
flower pot
level control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8403A (ko
Inventor
이훈재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이훈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훈재 filed Critical 이훈재
Priority to KR1020180117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8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수위의 물을 저장하는 화분의 내부에 설치하여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물을 급수하며, 화분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여 공급하는 물의 절수가 가능한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POTTED WATER SUPPLIED BY THE WATER LEVEL CONTROL MEANS}
본 발명은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수위의 물을 저장하는 화분의 설치하여 일정한 수위를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며, 화분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여 공급하는 물의 절수가 가능한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재배는 화분을 사용되고 있으며,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항시 일정한 주기로 물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화분에 과다하게 물을 공급할 경우 식물이 병에 걸려 죽는 일이 발생하고 적은 양의 물을 공급할 경우 식물이 말라서 고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분에 많은 양의 물을 공급하게 되어 물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은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 물을 공급하는 종래기술은 외벽에 물재킷을 장착하고 하부에는 걸음망과 배수/통기구를 갖는 돌기부를 형성한 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저부 일면에 물공급장치를 부착하되, 상기 물공급장치는 저부에 배수구를 형성한 공급조와 이 공급조를 덮으면서 입구가 돌기부의 외부로 내통하는 공급조 케이스, 상기 화분의 하측에서, 유로를 통해 상기 물재킷과 연통하면서 내부에는 상기 유로의 하단 출구의 개폐용 개폐부재를 일측에 걸친 작동편을 내장하고 상부에는 수조케이스를 갖춘 수조 및, 상기 수조의 상면에서 돌출하여 상기 공급조와 연통 결속하는 접속구의 상부로는 상기 작동편과 연결 지지되는 지주의 상단에 고정된 볼탭과 그 하부로 팽창부재를 설치 구성한 물공급장치가 구비된 화분을 통해 식물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한다.
하지만,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의 경우 일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으나 공급하는 물의 수위 및 물의 양이 정해져 있어 다양한 식물에 맞춰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분의 내부에 필요한 물을 항상 일정하게 공급하여 수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한 물의 양에 따라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의 내부에 설치하여 일정량의 수위를 항상 유지하여 식물 재배에 필요한 물을 항시 유지할 수 있는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한 물의 양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여 수위를 정할 수 있으며, 공급되는 물을 수위에 맞춰 공급할 수 있어 물의 낭비를 방지하여 절수할 수 있는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수위의 물을 저장하며,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화분; 상기 화분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상기 화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부에서 물을 공급받는 공급관과, 하부에서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이 형성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내부에서 상기 공급관에 결합되며,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공급관에서 유입되는 물을 조절하는 수위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위조절부는, 상기 공급관에 일측이 연결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마개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맞춰 이동하여 상기 마개를 개페시키는 부력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조절부는, 상기 공급관의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저장부의 내부에 배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타측 끝단에 일측이 연결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서서히 확장되어 물을 유입하는 확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확장공의 끝단에는 물이 배출되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마개와, 상기 유입공에 삽입되어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확장공을 개폐하는 부력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관과 상기 몸체 사이에 결합되며, 일측이 외부로 노출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일측 끝단에 결하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브라켓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위조절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관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저장부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공급호스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화분의 내측을 구획하여 물을 저장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화분의 내부에 결합부를 통해 특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에 따르면, 화분의 내부에 필요한 물을 항상 일정하게 공급하여 수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한 물의 양에 따라 수위를 조절하여 식물에 수분을 항시 공급해 편리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의 내부에 설치하여 일정량의 수위를 항상 유지하여 식물 재배에 필요한 물을 항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한 물의 양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여 수위를 정할 수 있으며, 공급되는 물을 수위에 맞춰 공급할 수 있어 물의 낭비를 방지하고 절수가 가능하며, 물을 주기 어려운 위치에 화분을 배치하여도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부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부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의 공급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부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부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의 공급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본 발명은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수위의 물을 저장하는 화분의 설치하여 일정한 수위를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며, 화분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여 공급하는 물의 절수가 가능한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식물을 재배할 때 일정 수위에 맞춰 물을 항상 공급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화분(100)과 수위조절수단(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화분(100)은 일정수위의 물을 저장하며,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공(1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화분(100)은 일정 수위의 물을 저장하되,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에 의해 수위가 증가하면 상기 배출공(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출공(110)은 상기 화분(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에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위조절수단(200)은 상기 화분(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한다.
이러한 상기 수위조절수단(200)은 상기 화분(1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부에서 물을 공급받는 공급관(211)과, 하부에서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212)이 형성된 저장부(210)와, 상기 저장부(210)의 내부에서 상기 공급관(211)에 결합되며,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공급관(211)에서 유입되는 물을 조절하는 수위조절부(2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관(211)은 상기 저장부(210)의 상부 또는 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부에 배치할 경우 상기 화분(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측면에 배치할 경우 상기 화분(100)의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211)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저장부(210)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공급호스(25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공급호스(250)는 상기 화분(100)의 내부 또는 외부로 노출된 상기 공급관(211)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유도하여 상기 저장부(21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212)은 상기 화분(100)과 상기 저장부(210)에 수위를 맞출 수 있도록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211)을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배출관(212)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화분(100)과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된 물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며, 변화되는 수위에 맞춰 공급되는 물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급호소(250)는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으며, 수도꼭지 등과 같이 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에 연결되며, 수압, 펌프 등을 통해 물을 유입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위조절부(22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조절부(220)는, 상기 공급관(211)에 일측이 연결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몸체(221)와, 상기 몸체(221)의 타측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마개(222)와,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맞춰 이동하여 상기 마개(222)를 개페시키는 부력통(223)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부력통(223)은 유입된 물의 수위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마개(222)는 상기 부력통(223)의 수위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유입공(221a)을 개폐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위조절부(220)는, 상기 공급관(211)의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저장부(210)의 내부에 배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221a)이 형성된 몸체(221)와, 상기 몸체(221)의 타측 끝단에 일측이 연결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서서히 확장되어 물을 유입하는 확장공(222a)이 형성되고 상기 확장공(222a)의 끝단에는 물이 배출되는 다수개의 통공(222b)이 형성된 마개(222)와, 상기 유입공(221a)에 삽입되어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확장공(222a)을 개폐하는 부력통(223)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부력통(223)은 유입된 물의 수위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부력통(223)을 통해 상기 확장공(222a)을 개폐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상기 수위조절부(220)는 유입된 물의 수위에 따라 의해 변화되는 이동하는 상기 부력통(223)을 통해 상기 유입공(221a)을 상기 마개(222) 또는 상기 부력통(223)을 통해 개폐하여 유입되는 물의 양을 수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211)과 상기 몸체 사이에 결합되며, 일측이 외부로 노출된 브라켓(230)과, 상기 브라켓(230)의 일측 끝단에 결하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브라켓(23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위조절부(2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이동부재(240)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230)의 일측 끝단과 상기 이동부재(240)의 끝단에는 볼트, 너트 등과 같은 상호 체결되는 결합구조를 통해 상기 브라켓(230)을 회전시켜 높이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40)는 일측이 상기 브라켓(230)과 연결되고 타측은 플랙시블 관으로 이루어져 상기 화분(100)의 외부 또는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에서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230)과 상기 공급관(211)은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브라켓(230)의 회동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이동부재(240)는 상기 공급호스(250)의 내부 또는 외부를 따라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230)과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고, 복합한 구조 내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력통(223)은 상기 브라켓과 같이 회전하여도, 상기 저장부(210)에 밀착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21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210)는 상기 화분(100)의 내측을 구획하여 물을 저장하는 격벽(213)과, 상기 격벽(213)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215)로 이루어진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210)는 상기 화분(100)의 내부에 결합부(260)를 통해 특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케이스(214)와, 상기 케이스(214)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215)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저장부(210)는 유입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화분(100)과 구획될 수 있도록 상기 격벽(213) 또는 상기 케이스(214)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215)를 통해 상부를 막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213)은 상기 화분(100)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조단가를 낮추며, 상기 화분(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4)는 상기 화분(100)의 내부에 식재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화분(100)의 내부에서 위치를 변경하여 수위를 조절할 수 있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14)에 형성된 결합부는 상기 케이스(214)를 상기 화분(100) 내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260)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압착판(261), 고정지지대(262) 및 이동지지대(263), 가이드봉(264)과 가이드부재(265)로 구성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60)는 상기 케이스(214)의 외부면에 다수개가 결합되어 화분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상기 압착판(261)으로 이루어진다.
즉,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무재질의 상기 압착판(261)을 상기 케이스(214)의 측면과 하부면에 다수개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화분(100) 내의 필요한 수위에 맞춰 내측면 고정한다.
이때 상기 압착판(261)은 상기 케이스(214)에 끼움결합을 통해 고정되는 사용환경에 따라 갯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60)는 상기 케이스(214)의 하부에 결합된 고정지지대(262)와, 상기 고정지지대(262)에 결합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며, 상기 케이스(214)를 지지하는 이동지지대(26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지지대(262)는 상기 케이스(214)의 하부에 하나 이상 결합되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4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지지대(263)는 상기 고정지지대(262)에 높낮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나사결합, 돌기 등의 일반적인 구성을 통해 상기 이동지지대(263)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개의 상기 이동지지대(263)는 개별적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화분(100)의 바닥면의 경사, 단턱 등에 맞춰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4)의 측면에는 상기 압착판(261)을 설치하고, 하부면에는 상기 고정지지대(262) 및 상기 이동지지대(263)를 설치하여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스(214)는 상기 화분(100)의 바닥면에 상기 고정지지대(262) 및 상기 이동지지대(263)를 통해 안정적으로 수평을 맞춰 지지하며, 측면은 상기 압착판(261)은 통해 상기 화분(100)의 내측벽과 부착시켜 저장된 물살 또는 충격 등에 의해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의 (c)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60)는 상기 화분(100)에 수직으로 배치된 가이드봉(264)과, 상기 케이스(214)의 외부에 결합되어 가이드봉(264)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부재(265)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부재(265)에는 상기 가이드봉(264)을 압박하여 특정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267)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화분(10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가이드봉(264)에 상기 가이드부재(265)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265)에는 상기 가이드봉(264)이 삽입되는 삽입홈(266)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267)는 상기 삽입홈(266)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봉(264)을 압박하여 상기 가이드부재(265)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265)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스(214)는 상기 가이드봉(264)을 따라 상하이동을 통해 상기 화분에 필요한 수위에 맞춰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위조절수단(200)은 상기 케이스(214)가 형성될 경우 상기 결합부(260)를 통해 상기 화분(100)의 내부에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화분(100)에 흙, 비료 등을 담아 식물을 키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4)를 이용한 상기 수위조절수단(200)은 상기 화분(100)이 이외에도, 싱크대, 세면대, 축사의 급수통 등에 사용하여 일정량의 물을 항시 공급해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을 저장하며, 일정한 수위를 유지해야 하는 다양한 곳에 사용하여 물을 절약하며,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화분(100)으로 물의 공급되는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은 상기 공급호스(250)를 따라 상기 유입공(221a)을 통해 상기 케이스(214) 내로 유입되며, 유입된 물은 상기 배출관(212)를 통해 상기 화분(100)의 내부에 저장된다.
이렇게 상기 화분(100)에 물이 저장되며 수위가 증가하고, 상기 화분(100)의 수위에 맞춰 상기 케이스(214) 내의 수위가 증가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4) 내에 수위가 증가하면 상기 부력통(223)에 부력이 가해져 상기 수위조절부(220)를 통해 상기 유입공(221a)을 막아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상기 화분(100) 및 상기 케이스(214)에 저장된 물이 수위가 감소하면 상기 수위조절부(220)가 개방되어 상기 유입공(221a)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반복동작을 통해 상기 화분(100) 내에는 항상 일정한 수위의 물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14)의 위치에 따라 상기 화분(100) 내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214)는 상기 결합부(260)를 통해 상기 화분(100) 내에 필요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14)의 이동 없이 상기 이동부재(240)를 이용하여 상기 화분(100) 내부에서 별도의 조작 없이 외부에서 상기 부력통(223)의 위치를 조절하여 좁은 범위 내에서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날씨, 주변환경 등의 변화에 따라 수위를 조절하여 식물의 재배, 가축의 식수 등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화분 110: 배출공
200: 수위조절수단 210: 저장부
211: 공급관 212: 배출관
213: 격벽 214: 케이스
215: 커버 220: 수위조절부
221: 몸체 221a: 유입공
222: 마개 222a: 확장공
222b: 통공 223: 부력통
230: 브라켓 240: 이동부재
250: 공급호스 260: 결합부
261: 압착판 262: 고정지지대
263: 이동지지대 264: 가이드봉
265: 가이드부재 266: 삽입홈
267: 고정부재

Claims (7)

  1. 일정수위의 물을 저장하며,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공(110)이 형성된 화분(100); 및
    상기 화분(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수단(2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위조절수단(200)은,
    상기 화분(1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부에서 물을 공급받는 공급관(211)과, 하부에서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212)이 형성된 저장부(210)와,
    상기 저장부(210)의 내부에서 상기 공급관(211)에 결합되며,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공급관(211)에서 유입되는 물을 조절하는 수위조절부(2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위조절부(220)는, 상기 공급관(211)에 일측이 연결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221a)이 형성된 몸체(221)와, 상기 몸체(221)의 타측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마개(222)와,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맞춰 이동하여 상기 마개(222)를 개폐시키는 부력통(2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급관(211)과 상기 몸체 사이에 결합되며, 일측이 외부로 노출된 브라켓(230)과, 상기 브라켓(230)의 일측 끝단에 결합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브라켓(23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위조절부(2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이동부재(2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장부(210)는 상기 화분의 내부에 결합부(260)를 통해 특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케이스(214)와, 상기 케이스(214)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2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211)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저장부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공급호스(2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
  6. 삭제
  7. 삭제
KR1020180117921A 2018-10-03 2018-10-03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 KR102171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921A KR102171857B1 (ko) 2018-10-03 2018-10-03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921A KR102171857B1 (ko) 2018-10-03 2018-10-03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403A KR20200038403A (ko) 2020-04-13
KR102171857B1 true KR102171857B1 (ko) 2020-10-29

Family

ID=7022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921A KR102171857B1 (ko) 2018-10-03 2018-10-03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85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5892A (ja) * 1996-02-07 1997-08-12 Tadashi Mori 植木鉢及びその水位調節器
JPH11192031A (ja) * 1997-12-26 1999-07-21 Shoichi Tanaka 自動給水植木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403A (ko) 202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372B1 (ko) 빗물 자동공급 재배장치
US10426108B2 (en) Assembly well irrigation system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 conservation
US10531615B2 (en) Modular container and modular irrigation system
CN105899069B (zh) 多重盆栽植物自灌溉系统
US6237283B1 (en) Linked sub-irrigation reservoir system
KR102046601B1 (ko) 증발작용 또는 빗물을 이용한 지중 관수장치
US1034218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vertical hanging plant container
KR102092357B1 (ko) 자동 식물재배장치
KR102079443B1 (ko) 기압차를 이용한 흡인량조절장치
KR20200011805A (ko) 자동급수가 가능한 걸이식 화분
KR102171857B1 (ko)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급수되는 화분
KR20150056919A (ko) 수경재배장치
JP2011139695A (ja) 水槽または水受け容器用の水足し注水用水位調整装置。
KR101857848B1 (ko)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
KR101327568B1 (ko) 화분용 급수장치
KR20100127144A (ko) 모종 재배용 급수장치
KR101501093B1 (ko) 수분 및 산소 공급 파이프
JP2009219496A (ja) 植物栽培装置
JPH04135426A (ja) 栽培鉢に対するかん水を行うためのプランター
JP3468647B2 (ja) 花壇の自動給水装置
KR102303717B1 (ko)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JP2014054238A (ja) 自動底面灌水装置
KR101786232B1 (ko) 식물 재배용 저면관수 화분
KR102109776B1 (ko) 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WO2014035294A1 (ru) Способ автономного полива растений и гидроп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