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848B1 -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 - Google Patents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7848B1 KR101857848B1 KR1020150144290A KR20150144290A KR101857848B1 KR 101857848 B1 KR101857848 B1 KR 101857848B1 KR 1020150144290 A KR1020150144290 A KR 1020150144290A KR 20150144290 A KR20150144290 A KR 20150144290A KR 101857848 B1 KR101857848 B1 KR 1018578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proof
- supply
- stored
- so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에 관한 것으로써,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방수포를 몸체에 삽입하여 물 및 양액을 정하는 공간과 식물 및 토양을 저장하는 공간을 개별적으로 구획하여 심지관수 방법을 통해 식물에 일정량의 물을 항시 공급할 수 있는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에 관한 것으로써,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방수포를 몸체에 삽입하여 물 및 양액을 정하는 공간과 식물 및 토양을 저장하는 공간을 개별적으로 구획하여 심지관수 방법을 통해 식물에 일정량의 물을 항시 공급할 수 있는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도기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후 내부에 자갈, 배용토, 흙 등의 토양에 식물을 식재하여 일정주기로 물을 공급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화분은 흙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일정주기로 물을 공급하면, 공급된 물은 하부로 배출될 때 물과 함께 토양이 배출되어 유실되고 바람에 의해 상부에 흙이 날리거나 이물질이 유입된다.
또한, 물을 꾸준히 공급하지 않거나 과다하게 물을 공급하면 식물이 마르거나 썩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날씨의 변화에 따라 흙에 공급된 물이 증발되어 식물을 키우기 위해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제시된 기술로 한국공개실용신안 2012-0007856호 "구멍 없는 화분"이 제시된 바 있다.
종래에 제시된 기술은 내/외통으로 구성된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화분에 물을 공급할 때 내통을 들어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내통을 항시 개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내통에 공급된 물은 배출할 수 없어 장시간이 지나면 내부에 저장된 물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오염된 물에 의해 화분 내부가 오염되고 오염된 물을 공급하여 식물이 죽으며 토양이 오염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화분이 충격 및 낙하 등에 의해 파손되면 내부에 저장된 물, 토양 및 식물이 지저분하게 분산되어 청소를 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과 물을 개별적으로 저장한 후 물을 공급하여 식물에 적정량의 수분을 항시 공급할 수 있으며 과하게 공급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토양에 수분을 적정량 공급하여 식물의 뿌리가 과다한 수분에 의해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식물이 식재되는 토양이 바람, 물 등에 의한 유실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분 및 온도를 알맞게 유지할 수 있는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마지막으로 자유롭게 변경 가능한 방수포를 이용해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몸체를 이용하여 식물을 키울 수 있는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에 있어서, 물을 저장하며, 저장된 물이 일정수위가 넘으면 배출하는 제 1배출구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하며, 상기 제 1배출구의 상부로 돌출된 다수 개의 지지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식물 및 토양이 저장된 제 1방수포; 상기 제 1방수포의 상부에 공급되는 물을 상기 몸체의 내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방수포의 하부에는 상기 몸체에 저장된 물을 유입하는 공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에 있어서, 물을 배출하는 제 1배출구가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측면에 일정수위의 물을 배출하는 다수 개의 제 2배출구가 형성된 제 2방수포; 상기 제 2방수포의 내부에 안착되며, 저장된 물의 수위보다 상부로 돌출된 다수 개의 지지부; 상기 제 2방수포와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식물 및 토양이 저장된 제 1방수포; 상기 제 1방수포의 상부에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 2방수포의 내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방수포의 하부에는 상기 몸체에 저장된 물을 유입하는 공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몸체의 하부로 돌출되어 내부에 토양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유입되는 제 1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물이 토양에 침습하여 상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 1방수포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부는 내부에 토양을 저장하며, 하부에는 물이 유입되는 제 2유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1방수포의 내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관통하는 포트와, 상기 포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방수포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 1방수포의 하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심지봉과, 상기 심지봉에 결합되어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상기 제 1방수포의 내부로 공급하는 심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물이 공급되는 공급공이 더 형성되며, 물이 저장하는 물통과, 상기 물통에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여 저장하는 수위조절부와, 상기 수위조절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몸체에 공급하는 공급관으로 이루어진 저수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의 외부면에 상기 제 2방수포의 끝단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방수포의 상부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내부의 열기 및 습기를 배출하고 공기를 유입하며, 상부에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통풍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에 따르면, 이중으로 삽입된 방수포를 통해 식물과 물을 개별적으로 저장하며, 심지관수 방법을 통해 저장된 물을 식물에 적정량 공급하여 수분을 항시 유지할 수 있으며, 과하게 공급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토양에 수분을 적정량 공급하여 식물이 과다한 수분이 공급되는 것을 예방하며,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여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람 및 물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방수포를 통해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방수포의 마감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에 물을 공급하는 유입상태 및 공기의 순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에예 따른 다수 개의 몸체에 물을 공급하는 저수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고정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방수포의 마감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에 물을 공급하는 유입상태 및 공기의 순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에예 따른 다수 개의 몸체에 물을 공급하는 저수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고정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방수포의 마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에 물을 공급하는 유입상태 및 공기의 순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에예 따른 다수 개의 몸체에 물을 공급하는 저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에 관한 것으로써,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방수포를 몸체에 삽입하여 물 및 양액을 정하는 공간과 식물 및 토양을 저장하는 공간을 개별적으로 구획하여 심지관수 방법을 통해 식물에 일정량의 물을 항시 공급할 수 있는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수분을 저장하는 공간과 식물 및 토양을 저장하는 공간을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식물에 일정량의 물 및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몸체(10). 지지부(20), 제 1방수포(30), 이송부(40) 및 공급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며, 저장된 물이 일정수위가 넘으면 배출하는 제 1배출구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식물에 공급하는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는 양액을 상호 혼합하여 같이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배출구(11)는 상기 몸체(10)의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에 일정수위 이상의 물이 유입되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 하부면에 다수 개 설치하며,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보다 상부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수 개의 상기 지지부(20)는 상부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며, 상기 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제 1배출구(11)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는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판(21)과 상기 지지판(21)을 연결하는 지지대(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지 지지대(22)는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의 지지판(2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의 상부와 하부에는 다수 개의 관통홈(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홈(23)을 통해 저장된 물을 유입 및 배출하여 저장되는 물이 양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20)는 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는 한 쌍으로 결합되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는 한 쌍으로 체결할 수 있는 결합수단(24)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관통홈(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20)는 다수 개를 중첩하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며, 사용시 한 쌍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방수포(3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20)의 상부에 안착되며, 내부에 식물 및 토양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방수포(3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식물 및 토양을 저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22)에 안착된 상기 제 1방수포(3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서 이격되어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 1방수포(30) 내부에 토양과 식물을 저장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1방수포(30)의 상부에는 식물의 심미감 및 조경을 꾸미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경용 자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방수포(30)의 상부는 상기 몸체(1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부에 형성된 조경용 자갈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방수포(30)의 상부 끝단은 식물을 줄기를 감싸 토양의 유실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상기 제 1방수포(30)의 끝단을 줄기에 감싸 매듭을 지어 상부를 마감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 1방수포(30)의 상부 끝단에는 상기 식물의 줄기를 감싸도록 고무줄, 끈, 와이어 등을 통해 상기 제 1방수포의 상부를 마감 처리하는 마감부(31)가 더 포함된다.
상기 마감부(31)는 상기 제 1방수포(30)의 상부 끝단을 식물의 줄기에 밀착시켜 마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탄성을 가지는 상기 마감부(31)를 통해 항시 식물과 밀착하고 상기 식물이 자라면서 변화하는 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방수포(30)의 끝단을 접어 내부에 고무줄, 끈, 와이어가 삽입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에 삽입된 고무줄, 끈, 와이어를 잡아당겨 식물의 줄기에 항시 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감부(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부(40)는 상기 몸체(10)의 내측면과 상기 제1방수포(10) 외측면 사이에 다수개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방수포(30)의 상부에 공급되는 물을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이송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40)는 물이 유입되는 유로는 도 4의 (a) 및 (b)의 각각 다른 형태로 이루어져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40)는 상기 몸체(10)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제 1방수포(30)의 외측면에 사이에 설치하여 상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관을 통해 유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40)는 물이 유입되는 유로는 도 4의 (a) 및 (b)의 각각 다른 형태로 이루어져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40)는 상기 몸체(10)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제 1방수포(30)의 외측면에 사이에 설치하여 상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관을 통해 유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방수포(30)가 상기 몸체(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도, 상기 이송부(40)에 의해 유로가 형성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주면에 다수개의 반원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하여 상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다수개의 상기 반원돌기 사이에 공간에 의해 유로가 형성되어 물을 공급하며,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40)는 밀착된 상기 몸체(10)와 상기 제 1방수포(30)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여 물이 하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과도하게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킬 수있다.
또한, 상기 제 1배출구(11)와 상기 이송부(40)에 의해 상기 몸체(10)의의 상부로 공급된 물을 하부로 이송하며, 내부공기를 유동하여 열기, 습기를 배출한다.
상기 공급부(50)는 상기 몸체(1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 1방수포(30)의 내부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50)는 내부에 토양이 저장되며, 상기 몸체(10)의 하부로 돌출되고 저장된 물을 유입되는 제 1유입공(50a)을 통해 유입되어 토양을 통해 상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 1방수포(30)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 1유입공(50a)을 통해 일정한 수위의 물이 상기 공급부(50)의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물은 토양을 통해 식물에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50)는 상기 제 1방수포(30)의 하부에 하나 이상 형성하여 물을 공급하며, 상기 지지부(2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유입공(50a)을 통해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쉬망, 부직포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50)는 내부에 토양을 저장하며, 하부에는 물이 유입되는 제 2유입공(50b)이 형성되고 상기 제 1방수포(30)의 내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관통하는 포트(51)와, 상기 포트(5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방수포(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20)의 상부에 안착하는 안착판(5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포트(51)는 상기 제 1방수포(30)를 관통하며, 상기 제 2유입공(50b)을 통해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착판(52)은 상기 제 1방수포(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포트(51)가 상기 제 1방수포(3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지지부(20)에 안착되어 상기 제 2유입공(50b)이 상기 몸체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부(50)는 상기 몸체(1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 1방수포(30)의 내부로 유입하며, 유입된 물을 식물에 공급한다.
아울러 상기 공급부(50)는 상기 지지부(20)에 안착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이탈 및 상기 제 1방수포(30)의 내부에 저장된 토양의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 2유입공(50b)을 통해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메쉬망, 부직포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50)는 상기 제 1방수포(30)의 하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심지봉(53)과, 상기 심지봉(53)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상기 제 1방수포(30)의 내부로 공급하는 심지(5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심지봉(53)은 상기 몸체(10)의 내부 하측에 지지하며, 상기 제 1방수포(30)의 하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심지봉(53)은 "H"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 홈에 상기 심지(54)가 고정되며, 상기 제 1방수포(30)를 관통할 수 있도록 양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심지(54)는 상기 몸체(10)에 저장된 물을 흡입 수 있는 부직포, 면, 천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심지봉(53)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심지(54)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침지되어 심지관수를 통해 흡수한 물을 상기 제 1방수포(30)의 내부로 공급한다.
이렇게 상기 공급부(50)는 상기 몸체(10)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심지관수를 통해 상기 제 1방수포(30)의 내부로 일정량의 물을 항시 공급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이루어져 식물을 편리하게 재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방수포(30) 내부의 열기 및 습기를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를 순환시키며, 상부에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방수포(30)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통풍부(80)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통풍부(80)는 상기 제 1방수포(30)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측에 뾰족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 1방수포(30)의 내측과 외측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막음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통풍부(80)에 의해 상기 제 1방수포(3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기 및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여 상부에서 물이 유입 및 토양 및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저수부(7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저수부(70)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 공급공(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부는 물이 저장하는 물통(71)과, 상기 물통(71)에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여 저장하는 수위조절부(72)와, 상기 수위조절부(72)에 저장된 물을 상기 몸체에 공급하는 공급관(7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물통(71)은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수돗물을 직접적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조절부(72)는 상기 물통(71)의 공급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위조절부(72)는 상기 물통(71)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저장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물을 차단할 수 있도록 수위에 따라 이동하는 부력통(72b)이 형성된 마개(72a)가 내부에 형성되나.
따라서 수위가 증가하면 상기 부력통(72b)에 의해 마개(72a)가 폐쇄되며,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부력통(72b)에 의해 마개(72a)가 개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통(71)의 입구를 하부에 형성되도록 결합하여 기압에 의해 일정량의 물이 유입되도록 변경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물통(71)을 뒤집어서 상기 수위조절부(72)에 결합하여 수위에 따라 공기가 상기 물통(71)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물이 배출되고 수위가 상승하여 상기 물통(71)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물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73)은 상기 수위조절부(72)에서 공급되는 물을 다수 개의 상기 몸체(10)에 공급할 수 있도록 분기되어 이루어지며, 유입되는 물을 개폐할 수 있는 밸브(73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위조절탱크(22)에서 물의 유입을 조절하고 상기 밸브(73a)를 조작하여 선택적으로 물의 유입을 개폐할 수 있어 상기 몸체(10)에 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 개의 상기 몸체(10)에 상기 밸브(72a)의 조작을 통해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고정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서는 제 1실시예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물을 저장하며, 내부에 상기 지지부(20) 및 상기 제 1방수포(30)가 삽입되는 제 2방수포(60)가 더 포함되는 구성으로 몸체(10), 제 2방수포(60), 지지부(20), 제 1방수포(30), 이송부(40) 및 공급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제 1배출구(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배출구(11)는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0)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제 2방수포(6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측면에 일정수위 이상의 물을 배출하는 다수 개의 제 2배출구(6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배출구(61)의 높이만큼 내부에 물을 저장하고 상기 제 2배출구(61) 보다 높은 수위의 물을 배출하여 일정수위를 항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와 상기 제 2방수포(60)의 사이로 물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에 상기 제 2방수포(60)의 끝단을 고정하는 고정부(9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9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방수포(60)의 끝단이 임의로 이동 및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10)의 외측면에 다양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90)는 상기 몸체(1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2방수포(60)의 끝단이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90)는 탄성을 가지지며, 상기 제 2방수포(60)의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방수포(60)의 끝단에 고정부(90)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외측면을 감싸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90)는 탄성을 통해 상기 몸체(10)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또한,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방수포(60)의 끝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자성체(71)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자성체(71)가 자성에 의해 부착되는 금속띠(9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방수포(60)의 끝단이 자성에 의해 상기 몸체(10)에 부착하여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자성체(71)는 상기 몸체(10)의 외측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금속띠(92)는 상기 제 2방수포(60)의 끝단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형성되어 상기 자성체(71)에 부착되도록 상호 변경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도 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방수포(60)의 끝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결합돌기(93)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93)가 결합되는 결합홈(9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방수포(60)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돌기(93)가 상기 결합홈(94)에 결합되어 임의의 충격 및 이동 등에 의해 상기 제 2방수포(60)가 상기 몸체(10)의 측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방수포(60)의 끝단을 상기 몸체(10)에 고정하여 상기 몸체(10)와 상기 제 1방수포(30) 사이로 이물질 및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0), 상기 제 1방수포(30) 상기 이송부(40) 및 상기 공급부(50)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구성에 따른 결합관계가 아래와 같이 변경된다.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제 2방수포(60)의 내부에 설치하며, 상기 제 2배출구(61) 보다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제 2방수포(60)의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 1방수포(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 1방수포(30)는 상기 제 2방수포(60) 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방수포(30)의 끝단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 1방수포(30)의 상부에 심미감을 형성하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조경용 자갈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송부(40)는 상기 제 1방수포(30)의 외측면과 상기 제 2방수포(6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방수포(30)와 상기 제 2방수포(60) 사이에 유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 1방수포(30)의 상부로 공급된 물은 상기 이송부(40)를 통해 상기 제 2방수포(6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하부와 상기 제 2방수포(60)의 접촉면에는 상기 제 2방수포(60)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1배출구(11)로 이송하는 유도부(13)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유도부(13)는 상기 제 2방수포(60)에서 상기 몸체(10)로 배출된 물이 상기 제 1배출구(11)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즉, 상기 제 2방수포(60) 내부에 저장된 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하부와 밀착되어 배출되지 않는 물을 상기 유도부(13)를 통해 안내하여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몸체 11: 제 1배출구
12: 공급공 13: 유도부
20: 지지부 21: 지지판
22: 지지대 23: 관통홈
24: 결합수단 30: 제 1방수포
31: 마감부 40: 이송부
50: 공급부 50a: 제 1유입공
50b: 제 2유입공 51: 포트
52: 안착판 53: 심지봉
54: 심지 60: 제 2방수포
61: 제 2배출구 70: 저수부
71: 물통 72: 수위조절부
72a: 마개 72b: 부력통
73: 공급관 73a: 밸브
80: 통풍부 90: 고정부
91: 자성체 92: 금속띠
93: 결합돌기 94:결합홈
12: 공급공 13: 유도부
20: 지지부 21: 지지판
22: 지지대 23: 관통홈
24: 결합수단 30: 제 1방수포
31: 마감부 40: 이송부
50: 공급부 50a: 제 1유입공
50b: 제 2유입공 51: 포트
52: 안착판 53: 심지봉
54: 심지 60: 제 2방수포
61: 제 2배출구 70: 저수부
71: 물통 72: 수위조절부
72a: 마개 72b: 부력통
73: 공급관 73a: 밸브
80: 통풍부 90: 고정부
91: 자성체 92: 금속띠
93: 결합돌기 94:결합홈
Claims (8)
- 식물을 재배하는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에 있어서,
물을 저장하며, 저장된 물이 일정수위가 넘으면 배출하는 제 1배출구(11)가 형성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안착되며, 한 쌍이 결합되어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측면에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다수개의 관통홈(23)이 형성되며, 상기 제 1배출구(11) 보다 높게 돌출된 다수개의 지지부(20);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20)의 상부에 안착되며, 식물 및 토양이 저장된 제 1방수포(30);
상기 몸체(10)의 내측면과 상기 제 1방수포(30)의 외측면 사이에 다수개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방수포(30)의 상부에 공급되는 물을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이송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이송부(40) 및,
상기 제 1방수포(30)의 하부를 관통하며, "H"형상을 가지고 양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심지봉(53)과, 상기 심지봉(53)의 "H"형상의 양측 홈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10)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상기 제 1방수포(30)로 공급하는 심지(54)로 형성된 공급부(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
- 식물을 재배하는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에 있어서,
물을 배출하는 제 1배출구(11)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측면에 일정수위 이상의 물을 배출하는 다수 개의 제 2배출구(61)가 형성된 제 2방수포(60);
상기 제 2방수포(60)의 내부에 안착하며, 한 쌍이 결합되어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측면에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다수개의 관통홈(23)이 형성되며, 상기 제 2배출구(61) 보다 높게 돌출된 다수개의 지지부(20);
상기 제 2방수포(60)와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20)의 상부에 안착되며, 식물 및 토양이 저장된 제 1방수포(30);
상기 제 1방수포(30)의 상부에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 2방수포(60)의 내부로 이송하는 이송부(40) 및,
상기 제 1방수포(30)의 하부를 관통하며, "H"형상을 가지고 양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심지봉(53)과, 상기 심지봉(53)의 "H"형상의 양측 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 2방수포(60)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상기 제 1방수포(30)로 공급하는 심지(54)로 이루어진 공급부(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물이 공급되는 공급공(12)이 더 형성되며,
물이 저장하는 물통(71)과, 상기 물통(71)에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여 저장하는 수위조절부(72)와, 상기 수위조절부(72)에 저장된 물을 상기 몸체에 공급하는 공급관(73)으로 이루어진 저수부(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외부면에 상기 제 2방수포(60)의 끝단을 고정하는 고정부(9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
-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방수포(30)의 내부의 열기 및 습기를 배출하고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방수포(30)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통풍부(80)가 더 포함되되,
상기 통풍부(80)는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제 1방수포(30)를 관통하는 뾰족부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막음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4290A KR101857848B1 (ko) | 2015-10-15 | 2015-10-15 |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4290A KR101857848B1 (ko) | 2015-10-15 | 2015-10-15 |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4508A KR20170044508A (ko) | 2017-04-25 |
KR101857848B1 true KR101857848B1 (ko) | 2018-05-14 |
Family
ID=5870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4290A KR101857848B1 (ko) | 2015-10-15 | 2015-10-15 |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784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7921A (ko) | 2019-08-09 | 2021-02-17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영양액의 안정적 공급과 재사용이 가능한 식물재배용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0395B1 (ko) * | 2018-09-13 | 2020-03-17 | 이훈재 | 이중구조를 가지는 걸이식 화분 |
US20220142070A1 (en) * | 2020-11-12 | 2022-05-12 | Yuvette Underwood | Self-Watering Contain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8171Y1 (ko) * | 2002-03-11 | 2002-06-20 | 곽남현 | 이중화분 |
KR101362020B1 (ko) * | 2012-12-10 | 2014-02-11 | 이훈재 | 수경 재배 장치 |
-
2015
- 2015-10-15 KR KR1020150144290A patent/KR1018578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8171Y1 (ko) * | 2002-03-11 | 2002-06-20 | 곽남현 | 이중화분 |
KR101362020B1 (ko) * | 2012-12-10 | 2014-02-11 | 이훈재 | 수경 재배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7921A (ko) | 2019-08-09 | 2021-02-17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영양액의 안정적 공급과 재사용이 가능한 식물재배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4508A (ko) | 2017-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04186B2 (en) | Hydroponic planting tower with horizontal grow platform | |
US9060472B2 (en) | Plant container | |
US7703240B2 (en) | Automatic subterranean watering device | |
JP6675388B2 (ja) | モジュール式容器及びモジュール式注水システム | |
US20130212939A1 (en) | Automate Water Permeating Arrangement for Plant Container | |
KR101857848B1 (ko) | 수분 침습 구조를 가지는 이중 화분 | |
KR102175972B1 (ko) | 자동급수가 가능한 걸이식 화분 | |
KR101379468B1 (ko) |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 |
KR101519965B1 (ko) | 식물 재배용 친환경 양변기 물탱크 덮개 | |
KR101514136B1 (ko) | 고무주머니가 구비된 수경재배용 화분 | |
KR101638289B1 (ko) |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 |
KR20160120123A (ko) | 화분용 급수장치 | |
KR200475509Y1 (ko) | 식재용 상자 조립체 | |
KR20080011252A (ko) | 바이오 누드화분 | |
KR101851158B1 (ko) | 급수 기능을 갖는 난초 재배용 화분 | |
KR101360229B1 (ko) |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 | |
KR200473373Y1 (ko) | 식재용 상자 조립체 | |
KR200368043Y1 (ko) |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연결상자 | |
CA2946624C (en) | Plant watering system | |
CN108697056A (zh) | 自主灌溉系统 | |
KR200375956Y1 (ko) | 화분의 급수장치 | |
KR20160136942A (ko) | 선박용 식물 재배 장치 | |
CN110139554A (zh) | 具有根屏障的植物种植系统 | |
KR102300685B1 (ko) |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 |
KR100978242B1 (ko) | 오폐수 배출구가 구성된 급수통을 설치시킨 실외삼투기능화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