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229B1 -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229B1
KR101360229B1 KR1020110145939A KR20110145939A KR101360229B1 KR 101360229 B1 KR101360229 B1 KR 101360229B1 KR 1020110145939 A KR1020110145939 A KR 1020110145939A KR 20110145939 A KR20110145939 A KR 20110145939A KR 101360229 B1 KR101360229 B1 KR 101360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rlite
water
plant
pot
w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7304A (ko
Inventor
문지혜
정순진
이재욱
유은하
조일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10145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229B1/ko
Publication of KR20130077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Abstract

심지를 통해 수조에서 펄라이트로 전달된 수분이 다시 펄라이트와 상토의 접촉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토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토의 과습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 {PLANT CULTIVATION METHOD BY SUPPLYING WATER UPWARD THROUGH WICKS}
본 발명은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토로 공급되는 수분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상토의 과습현상을 방지하고 식물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한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은 수조 내부의 물이 심지를 통해 화분 내부 상토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상토에 항시 일정량의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식물 재배방법을 가리킨다.
이러한 심지관수식 재배방법의 경우 상토에 수시로 물을 줄 필요가 없게 되어 식물 재배에 따른 수분공급 작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의 경우 수조의 물이 심지를 통해 항시 일정하게 상토로 공급되기 때문에, 장마철과 같이 상대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상토가 쉽게 과습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상토의 과습현상은 식물의 생육을 억제시키고 흰곰팡이나 날파리의 발생 원인이 되어 식물의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화분에 다수의 식물을 함께 심어 놓은 상태에서는 각 식물들의 뿌리가 과도하게 엉키기 쉬워 일부 식물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식물의 뿌리 쪽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토로 공급되는 수분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상토의 과습현상을 방지하고 식물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한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은 일단이 수조 내부에 적셔진 심지의 타단을 펄라이트가 충진된 재배판으로 연결하여 상기 재배판의 펄라이트에 수분이 흡수되도록 하고, 내부에 충진된 상토에 개별 식물이 심어진 화분 복수개를 상기 상토와 펄라이트가 접촉되도록 상기 재배판에 상호 이격되도록 삽입하여 펄라이트에 흡수된 수분이 각 화분 내부 상토로 전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분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공형의 수분통과구멍 복수개가 저부 둘레를 따라 마련되고 하단이 막힌 통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분은 부직포 재질로 마련된 주머니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펄라이트로부터 상기 화분 내부 상토로 공급되는 수분의 공급량이 상기 펄라이트에 삽입되는 상기 화분의 삽입깊이에 따라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에 따르면, 심지를 통해 수조에서 펄라이트로 전달된 수분이 다시 펄라이트와 상토의 접촉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토로 전달되므로, 상토가 단번에 수분에 적셔지지 않게 되어 상토의 과습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에서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타입의 수분통과구멍이 저부 둘레에 형성되거나 전체적으로 통기성을 갖는 부직포 재질로 마련된 화분의 구조를 통해 펄라이트에 삽입되는 화분의 삽입깊이를 조절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펄라이트와 화분 내부 상토의 접촉면적을 변화시켜 상토로 공급되는 수분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여러 식물이 각각 상토가 충진된 화분에 개별적으로 격리되어 동일 재배판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인접한 식물의 뿌리가 상호 과도하게 엉킬 우려가 없어 식물의 교체작업시 식물의 뿌리 쪽이 손상될 우려도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지관수식 식물재배방법에 이용되는 화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에서 식물의 수분공급량 조절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에서는 물(w)이 저장되는 수조(10)와, 펄라이트(1)가 충진되는 재배판(20)과, 내부에 충진된 상토(2)에 개별 작물이 심어진 복수개의 화분(30)이 이용된다.
수조(10)는 상부로 개방된 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수조(10)의 상부 일측에는 수조(10) 내부로 물(w)을 주입할 때 이용되도록 물주입구(11)가 마련된다.
펄라이트(1)는 통기성이 우수한 다공질로서, 스티로폼 등을 통해 상부로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상기 재배판(20)에 입자형태로 충진된다. 재배판(20)의 바닥에는 심지(40)의 고정을 위한 심지고정홀(21)이 형성되며, 심지(20)는 일단이 수조(10) 내부의 물(w)에 적셔진 상태에서 타단이 심지고정홀(21)에 고정되어 재배판(20) 내부 펄라이트(1)와 접촉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재배판(20)이 수조(10) 상부에 적층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수조(10)와 재배판(20)은 수조(10) 내부의 물(w)이 심지(40)를 통해 재배판(20) 내부 펄라이트(1)에 흡수되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지면에 상호 나란히 설치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배치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10) 상부에 재배판(20)이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수조 상부 둘레에는 지지턱(12)이 마련되고, 수조(10) 안쪽으로는 복수의 지지대(13)가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30)은 전반적으로는 플라스틱과 같이 통기성이 없는 재질을 통해 상부로 개방된 통형상을 이루나, 일반적인 화분과 달리 하단이 막혀 있으며, 이러한 화분(30)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형태의 수분통과구멍(31) 복수개가 저부 둘레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화분(30)은 펄라이트(1) 속으로 삽입되는 저부 쪽 삽입 깊이에 따라 펄라이트(1)와 접촉되는 내부 상토(2)의 접촉 면적이 변화되므로, 펄라이트(1)에 삽입되는 하부 쪽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간단한 방식을 통해 펄라이트(1)로부터 내부 화분(30) 내부 상토(2)로 공급되는 수분량을 간편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2에서는 화분(30)의 구조를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서 수분통과구멍(31)을 통해 화분(30) 외부로 뻗어 나올 수 있는 식물의 뿌리가 생략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와 달리 화분(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 재질로 마련되어 통기성을 갖는 주머니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때도 통기성을 갖는 화분(30′)은 펄라이트(1)에 삽입되는 삽입 깊이에 따라 펄라이트(1)로부터 내부 상토(2)로 전달되는 수분 전달량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을 할 때는 먼저 수조(10)에 물(w)을 채우고, 수조(10)의 상부에 펄라이트(1)가 충진된 재배판(20)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심지(40)는 일단이 수조(10)에 내부의 물(w)에 적셔진 상태가 되며, 심지(40)의 타단은 재배판(20)의 심지고정홀(21)에 고정된 상태에서 펄라이트(1)와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심지(40)가 수조(10) 내부의 물(w)을 빨아올려 펄라이트(1)를 적시게 되므로 펄라이트(1)는 수분을 흡수하게 된다.
이후 재배판(20)에는 내부에 충진된 상토(2)에 개별 식물(p)이 심어진 화분(30) 복수개가 하단이 펄라이트(1)에 삽입되도록 재배판(20)에 설치된다. 재배판(20)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각 화분(30) 사이는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화분(30)이 펄라이트(1)에 삽입된 상태에서 화분(30) 내부 상토(2)는 수분통과구멍(31)을 통해 펄라이트(1)와 접촉되어 펄라이트(1)로부터 수분을 전달받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에서 심지(40)를 통해 수조(10)에서 펄라이트(1)로 전달된 수분이 다시 펄라이트(1)와 상토(2)의 접촉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토(2)로 전달되므로, 상토(2)가 단번에 수분에 적셔지지 않게 되어 상토(2)의 과습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식물의 특성에 따라 재배 도중 일부 화분(30)의 식물은 수분 부족 현상이나 수분 과다 현상을 보일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재배방법에 따르면, 이때 수분 부족 현상을 보이는 식물의 화분(30)의 경우 펄라이트(1)에 삽입되는 화분(30)의 삽입깊이를 더 크게 하여 펄라이트(1)와 화분(30) 내부 상토(2)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키고, 수분 과다 현상을 보이는 식물의 화분(30)은 펄라이트(1)에 삽입되는 화분(30)의 삽입 깊이가 줄어들도록 화분(30)을 상부로 들어 올려 펄라이트(1)와 화분(30) 내부 상토(2)의 접촉면적을 축소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식물로 공급되는 수분의 량을 각 식물의 습성에 알맞게 간편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는 펄라이트(1)에 삽입되는 화분(30)의 삽입 깊이 조절구조가 도시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에 따르면, 재배 과정에서 식물의 일부를 교체하거나 다른 곳으로 옮겨 심고자 할 경우 해당 식물이 심어진 화분(30)을 재배판(20) 상부로 이탈되도록 상부로 들어 올리는 간단 동작을 통해 원하는 식물을 재배판(20)으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예와 같이 각 식물(p)이 개별 화분(30)에 격리된 상태로 심어진 상태에서는 인접한 식물(p)의 뿌리가 상호 과도하게 엉킬 우려가 없어 식물(p) 교체 등을 위한 화분(30)의 제거 과정에서 식물(p)의 뿌리 쪽이 손상되는 일도 없게 된다.
1: 펄라이트 2: 상토
10: 수조 20: 재배판
21: 심지고정홀 30: 화분
31: 수분통과구멍 40: 심지

Claims (4)

  1. 일단이 수조 내부에 적셔진 심지의 타단을 펄라이트가 충진된 재배판으로 연결하여 상기 재배판의 펄라이트에 수분이 흡수되도록 하고, 내부에 충진된 상토에 개별 식물이 심어진 화분 복수개를 상기 상토와 펄라이트가 접촉되도록 상기 재배판에 상호 이격되도록 삽입하여 상기 펄라이트에 흡수된 수분이 각 화분 내부 상토로 전달되도록 하되,
    상기 재배판은 상부가 개방된 통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펄라이트는 유동성을 갖도록 입자 형태로 상기 재배판 내부공간에 충진되며,
    상기 화분은 하단이 막히고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화분 저부 둘레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형태의 수분통과구멍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펄라이트로부터 상기 수분통과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화분 내부 상토로 전달되는 수분 공급량이 상기 펄라이트에 삽입되는 상기 화분 저부의 삽입깊이에 따라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145939A 2011-12-29 2011-12-29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 KR101360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939A KR101360229B1 (ko) 2011-12-29 2011-12-29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939A KR101360229B1 (ko) 2011-12-29 2011-12-29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304A KR20130077304A (ko) 2013-07-09
KR101360229B1 true KR101360229B1 (ko) 2014-02-24

Family

ID=4899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939A KR101360229B1 (ko) 2011-12-29 2011-12-29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2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4560A (zh) * 2018-06-25 2018-12-07 安徽徽王农业有限公司 一种蓝莓快速繁殖用培育装置
CN108925312B (zh) * 2018-08-23 2020-09-15 李艳云 一种轨道式干旱区花卉穴盘育苗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754A (ko) * 2000-09-28 2002-04-04 영 성 왕 화분의 자동수분공급장치
KR100512692B1 (ko) * 2002-06-11 2005-09-07 주식회사 셀그린 수분자동공급용 파티션화분
JP2006174829A (ja) * 2004-11-29 2006-07-06 Heihachiro Yamaguchi 簡易式養液栽培容器
KR20110005110U (ko) * 2009-11-17 2011-05-25 유한회사 신한코리아 화분용 수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754A (ko) * 2000-09-28 2002-04-04 영 성 왕 화분의 자동수분공급장치
KR100512692B1 (ko) * 2002-06-11 2005-09-07 주식회사 셀그린 수분자동공급용 파티션화분
JP2006174829A (ja) * 2004-11-29 2006-07-06 Heihachiro Yamaguchi 簡易式養液栽培容器
KR20110005110U (ko) * 2009-11-17 2011-05-25 유한회사 신한코리아 화분용 수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304A (ko)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99069B (zh) 多重盆栽植物自灌溉系统
KR20130134662A (ko) 연속적인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단
KR101303247B1 (ko)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JP5283024B2 (ja) 植栽ベース
KR101926988B1 (ko)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FI126323B (fi) Hydroponinen kasvatusjärjestelmä
KR101360229B1 (ko)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
CN204721923U (zh) 一种可自动浇水的花盆
KR101519965B1 (ko) 식물 재배용 친환경 양변기 물탱크 덮개
KR101592088B1 (ko) 물공급장치를 구비한 심지관수식 식물재배기
KR101638289B1 (ko)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CN203860115U (zh) 植物容器
KR200469008Y1 (ko) 소형 분화 유통트레이
KR101911203B1 (ko) 식물 재배관리기
JPH11253054A (ja) 植物栽培用二重鉢
KR20170001235U (ko) 공기 통로가 있는 액비 공급용 화분 받침과 이중화분
CN105075700A (zh) 植物容器
KR101786232B1 (ko) 식물 재배용 저면관수 화분
KR20020025754A (ko) 화분의 자동수분공급장치
KR200329599Y1 (ko) 점적관수 화분
US20170188529A1 (en) Sustained release irrigation apparatus with pivoting cap
KR101152363B1 (ko) 화분 속받침대와 이를 내장한 화분
KR200350600Y1 (ko) 화분
JP3237786U (ja) 貯水槽と空気層付き植木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