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154B1 - 액화가스 하역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하역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154B1
KR102171154B1 KR1020150149290A KR20150149290A KR102171154B1 KR 102171154 B1 KR102171154 B1 KR 102171154B1 KR 1020150149290 A KR1020150149290 A KR 1020150149290A KR 20150149290 A KR20150149290 A KR 20150149290A KR 102171154 B1 KR102171154 B1 KR 102171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iquid
cargo
pipe
load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777A (ko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9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154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가스 하역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에 구비되며, 액체용 및 기체용 카고 파이프가 상호 이웃하여 복수 개 배치된 형태를 가지는 카고 매니폴드; 및 액체용 및 기체용 연결관이 상호 교차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선박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매니폴드 익스텐션을 포함하되, 상기 매니폴드 익스텐션은, 상기 액체용 및 기체용 카고 파이프의 배열이 생산저장설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액체용 및 기체용 로딩암의 배열과 다를 경우에, 동일 용도의 상기 카고 파이프와 상기 로딩암을 연결시켜 액화가스를 로딩 또는 언로딩할 수 있게 상기 카고 파이프와 상기 로딩암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화가스 하역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LIQUID GAS OFFLOADING EQUIPMENT AND SHIP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화가스 하역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 개발에 따라 가솔린이나 디젤을 대체하여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LPG) 등과 같은 액화가스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는 가스전에서 채취한 천연가스를 정제하여 얻은 메탄을 냉각해 액화시킨 것이며, 무색ㆍ투명한 액체로 공해물질이 거의 없고 열량이 높아 대단히 우수한 연료이다. 반면 액화석유가스는 유전에서 석유와 함께 나오는 프로판(C3H8)과 부탄(C4H10)을 주성분으로 한 가스를 상온에서 압축하여 액체로 만든 연료이다. 액화석유가스는 액화천연가스와 마찬가지로 무색무취이고 가정용, 업무용, 공업용, 자동차용 등의 연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화가스는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저장되거나 또는 대양을 항해하는 운송수단인 선박에 구비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저장되는데, 액화천연가스는 액화에 의해 1/600의 부피로 줄어들고, 액화석유가스는 액화에 의해 프로판은 1/260, 부탄은 1/230의 부피로 줄어들어 저장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액화가스는 운송선의 저장탱크에 저장하여 다양한 수요처로 공급되고 있다.
액화가스 운송선은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언로딩하거나 저장탱크에 액화가스를 로딩하기 위해 복수 개의 카고 파이프가 상호 이웃하여 배치된 형태를 가진 카고 매니폴드(cargo manifold)가 구비된다. 복수 개의 카고 파이프는 액체 카고 파이프와 기체 카고 파이프로 분류된다.
이러한 카고 매니폴드는 액화가스 운송선으로부터 액화가스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기 위해 로딩암과 연결되는데, 로딩암은 유류저장소, 액화가스 터미널, 가스 생산설비 등의 원유 또는 가스 생산저장설비에 설치된다.
운송선의 카고 파이프 1개에 1기의 로딩암이 연결되어 액체화물의 로딩 또는 언로딩에 이용된다. 원유 또는 가스 생산저장설비에는 운송선의 매니폴드 파이프 수와 대응되는 로딩암이 결합되어 일대일로 로딩 또는 언로딩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운송선은, 로딩암과의 호환성을 위해, 카고 매니폴드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액체 카고 파이프 및 기체 카고 파이프를 국제정유사해운포럼(OCIMF: Oil Companies International Marine Forum)의 규정(특히, 국제정유사해운포럼의 RECOMMENDATIONS FOR OIL TANKER MANIFOLDS AND ASSOCIATED EQUIPMENT)에 따라 배치하여 선주의 승인을 받아 건조하고 있다.
그런데 일부 국가의 액화가스 터미널에는 로딩암이 카고 매니폴드의 카고 파이프 배열과 다른 형태의 배열로 설비가 되어있어, 선박의 입항을 거부하거나 본선의 배관과 로딩암을 연결할 수 있도록 추가 설비를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선주의 선박운용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긴급 작업에 따른 어려움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3825호 (공개일: 2012년 04월 0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딩암의 배열이 운송선에 구비된 카고 매니폴드의 카고 파이프 배열과 다르더라도 배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액화가스 하역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화가스 하역설비는, 선박에 구비되며, 액체용 및 기체용 카고 파이프가 상호 이웃하여 복수 개 배치된 형태를 가지는 카고 매니폴드; 및 액체용 및 기체용 연결관이 상호 교차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선박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매니폴드 익스텐션을 포함하되, 상기 매니폴드 익스텐션은, 상기 액체용 및 기체용 카고 파이프의 배열이 생산저장설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액체용 및 기체용 로딩암의 배열과 다를 경우에, 동일 용도의 상기 카고 파이프와 상기 로딩암을 연결시켜 액화가스를 로딩 또는 언로딩할 수 있게 상기 카고 파이프와 상기 로딩암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카고 파이프는, 제1 액체용 카고 파이프, 제1 기체용 카고 파이프, 제2 기체용 카고 파이프, 제2 액체용 카고 파이프의 순서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로딩암은, 제1 기체용 로딩암, 제1 액체용 로딩암, 제2 액체용 로딩암, 제2 기체용 로딩암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 액체용 카고 파이프와 상기 제1 또는 제2 기체용 카고 파이프의 크기가 다를 경우, 상기 매니폴드 익스텐션은,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 및 제2 매니폴드 익스텐션을 한 세트로 하여 상기 선박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은, 상기 제1 액체용 카고 파이프와 상기 제1 액체용 로딩암을 연결하여 통로를 제공하는 제1 액체용 연결관; 상기 제1 기체용 카고 파이프와 상기 제1 기체용 로딩암을 연결하여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액체 연결관과 교차하는 제1 기체용 연결관; 및 상기 제1 액체 연결관과 상기 제1 기체 연결관을 고정 지지하면서 상기 선박에 볼팅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 하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매니폴드 익스텐션은, 상기 제2 액체용 카고 파이프와 상기 제2 액체용 로딩암을 연결하여 통로를 제공하는 제2 액체용 연결관; 상기 제2 기체용 카고 파이프와 상기 제2 기체용 로딩암을 연결하여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액체 연결관과 교차하는 제2 기체용 연결관; 및 상기 제2 액체 연결관과 상기 제2 기체 연결관을 고정 지지하면서 상기 선박에 볼팅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2 하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출되는 상기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필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필 트레이는, 상기 제1 액체용 연결관과 상기 제1 액체용 로딩암의 연결부분, 및 상기 제1 기체용 연결관과 상기 제1 기체용 로딩암의 연결부분 아래의 상기 제1 하부 구조물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 액체용 연결관과 상기 제2 액체용 로딩암의 연결부분, 및 상기 제2 액체용 연결관과 상기 제2 액체용 로딩암의 연결부분 아래의 상기 제2 하부 구조물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필 트레이는, 상기 선박에 구비되는 스필 탱크로 상기 액화가스의 누출액을 유출시키는 유출홀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선박은, 상기에 기재된 액화가스 하역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하역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은, 기존 카고 매니폴더를 본선에 적용하면서, 액체용 및 기체용 연결관이 'X'자로 교차된 구조의 매니폴드 익스텐션을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로딩암의 배열이 본선에 구비된 카고 매니폴드의 카고 파이프 배열과 다를 경우에는 매니폴드 익스텐션을 설치하여 배관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어, 선주사의 선박운용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하역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하역설비의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하역설비의 제2 매니폴드 익스텐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하역설비의 스필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하역설비의 보관상태를 나타낸 선박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하역설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선박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하역설비가 구비된 선박의 일부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하역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하역설비의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하역설비의 제2 매니폴드 익스텐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하역설비의 스필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하역설비의 보관상태를 나타낸 선박의 일부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하역설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선박의 일부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하역설비가 구비된 선박의 일부 정면도이다. 여기서, 도 2, 도 3, 도 4 각각의 (a)도는 평면도이고, (b)도는 정면도이고, (c)도는 좌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하역설비(30)는, 선박(10)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원유 또는 가스 생산저장설비(20)로 언로딩하거나, 원유 또는 가스 생산저장설비(2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선박(10)의 저장탱크로 로딩하기 위한 것으로, 카고 매니폴드(cargo manifold; 100), 매니폴드 익스텐션(manifold extension; 200, 300), 스필 트레이(spill tray; 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선박(10)은, LPG 또는 LNG 등의 액화가스를 운송하는 운송선일 수 있으며, 액화가스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기 위해 카고 매니폴드(100)가 구비되는 다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카고 매니폴드(100)는, 선박(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선박(10)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원유 또는 가스 생산저장설비(20)로 언로딩하거나, 원유 또는 가스 생산저장설비(2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선박(10)의 저장탱크로 로딩하기 위해, 복수 개의 카고 파이프(110, 120, 130, 140)가 상호 이웃하여 배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카고 파이프(110, 120, 130, 140)는 액체용 카고 파이프(110, 140)와 기체용 카고 파이프(120, 130)로 분류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액체용 카고 파이프(110), 제1 기체용 카고 파이프(120), 제2 기체용 카고 파이프(130), 제2 액체용 카고 파이프(140)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L-V-V-L로 표시되며, 여기서 L은 Liquid, V는 Vapor를 의미한다.
상기에서, 액체용 카고 파이프(110, 140)와 기체용 카고 파이프(120, 130)는 크기가 다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액체용 카고 파이프(110, 140)는 14인치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고, 기체용 카고 파이프(120, 130)는 10인치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액체용 카고 파이프(110, 140)와 기체용 카고 파이프(120, 130)는 동일한 크기의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카고 파이프(110, 120, 130, 140)의 배치에 대응하여, 원유 또는 가스 생산저장설비(2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로딩암(21, 22, 23, 24) 역시 액체용-기체용-기체용-액체용(L-V-V-L)의 순서로 동일하게 배치되어야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체용 로딩암(21), 제1 액체용 로딩암(22), 제2 액체용 로딩암(23), 제2 기체용 로딩암(24)의 순서(V-L-L-V)로 배치시키는 일부 국가도 있다. 로딩암(21, 22, 23, 24)의 유출입구는 크기가 모두 동일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2인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유 또는 가스 생산저장설비(20)에 구비되는 로딩암(21, 22, 23, 24)이 선박(10)에 구비되는 카고 매니폴드(100)의 카고 파이프(110, 120, 130, 140) 배열과 다른 형태의 배열로 설비가 되어있을 경우, 상호 호환이 되지 않아 액화가스의 로딩 또는 언로딩 작업을 할 수 없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매니폴드 익스텐션(200, 300)을 이용하여 카고 파이프(110, 120, 130, 140)와 로딩암(21, 22, 23, 24)을 연결함으로써, 액화가스의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매니폴드 익스텐션(200, 300)은, 선박(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원유 또는 가스 생산저장설비(20)에 구비되는 로딩암(21, 22, 23, 24)의 배열이 선박(10)에 구비된 카고 매니폴드(100)의 카고 파이프(110, 120, 130, 140) 배열과 다를 경우에 카고 파이프(110, 120, 130, 140)와 로딩암(21, 22, 23, 2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매니폴드 익스텐션(200, 300)은, 액체상태 및 기체상태의 액화가스가 별도의 라인을 통해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상부 구조물(210, 310)과, 상부 구조물(210, 310)을 지지하면서 선박(10)에 고정하는 하부 구조물(220, 3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선박(10)의 카고 파이프(110, 120, 130, 140)가 액체용-기체용-기체용-액체용(L-V-V-L)의 순서로 배치되고, 반면에 원유 또는 가스 생산저장설비(20)의 로딩암(21, 22, 23, 24)이 기체용-액체용-액체용-기체용(V-L-L-V)의 순서로 배치되고, 또한 액체용 카고 파이프(110, 140)와 기체용 카고 파이프(120, 130)는 크기가 다를 경우에, 상부 구조물(210, 310)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어,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200) 및 제2 매니폴드 익스텐션(300)을 한 세트로 하여 선박(10)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러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째 열에 배치된 제1 액체용 카고 파이프(110)와 둘째 열에 배치된 제1 액체용 로딩암(22)을 연결하고, 둘째 열에 배치된 제1 기체용 카고 파이프(120)와 첫째 열에 배치된 제1 기체용 로딩암(21)을 연결할 수 있으며, 제1 상부 구조물(210), 제1 하부 구조물(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상부 구조물(210)은, 액체상태 및 기체상태의 액화가스가 별도의 라인을 통해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1 액체용 연결관(211), 제1 기체용 연결관(2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액체용 연결관(211)과 제1 기체용 연결관(212)이 'X'자로 교차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제1 액체용 연결관(211)은, 첫째 열에 배치된 제1 액체용 카고 파이프(110)와 둘째 열에 배치된 제1 액체용 로딩암(22)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제1 하부 구조물(220)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액체용 연결관(211)은, 일측 단부가 첫째 열에 배치된 제1 액체용 카고 파이프(110)와 플랜지 결합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일측 부분이 제1 액체용 카고 파이프(110)와 동일한 크기 예를 들어, 14인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액체용 연결관(211)은, 타측 단부가 둘째 열에 배치된 제1 액체용 로딩암(22)과 플랜지 결합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 부분이 제1 액체용 로딩암(22)과 동일한 크기 예를 들어, 12인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체용 연결관(212)은, 둘째 열에 배치된 제1 기체용 카고 파이프(120)와 첫째 열에 배치된 제1 기체용 로딩암(21)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제1 하부 구조물(220) 상에서 다른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액체용 연결관(211)과 'X'자로 교차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1 기체용 연결관(212)은, 일측 단부가 둘째 열에 배치된 제1 기체용 카고 파이프(120)와 플랜지 결합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일측 부분이 제1 기체용 카고 파이프(120)와 동일한 크기 예를 들어, 10인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체용 연결관(212)은, 타측 단부가 첫째 열에 배치된 제1 기체용 로딩암(21)과 플랜지 결합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 부분이 제1 기체용 로딩암(21)과 동일한 크기 예를 들어, 12인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부 구조물(220)은, 제1 상부 구조물(210)을 지지하면서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200)을 선박(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230)는, 제1 탑 프레임(top frame; 240), 제1 서포트 프레임(support frame; 250), 제1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26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탑 프레임(240)은, 제1 서포트 프레임(25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제1 상부 구조물(210)인 제1 액체용 연결관(211) 및 제1 기체용 연결관(212)을 지지 고정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등변 산형강(equal angle steel)의 조합으로 이루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탑 프레임(240)은, 제1 액체용 연결관(211) 및 제1 기체용 연결관(212)을 받치면서 고정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제1 고정부재(2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제1 고정부재(241) 각각은, 슬라이딩 슈어(sliping shoe)일 수 있으며, 슬라이딩 슈어는, 저온 상태일 수 있는 액체상태 또는 기체상태의 액화가스가 유동하는 제1 액체용 연결관(211) 또는 제1 기체용 연결관(212)으로부터 이웃하는 부재인 제1 서포트 프레임(250)으로 온도가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1 액체용 연결관(211) 또는 제1 기체용 연결관(212)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1 서포트 프레임(250)은, 제1 탑 프레임(2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탑 프레임(240)에 연결되어 직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H-빔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베이스 프레임(260)은, 제1 서포트 프레임(25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200)을 선박(1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복수 개의 H-빔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베이스 프레임(260)은,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200)을 선박(10)에 고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제1 스토퍼(2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제1 스토퍼(261) 각각은, 갑판(11) 또는 스필 탱크(spill tank; 12)에 마련되는 시트부(도면부호 미도시)에 볼팅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매니폴드 익스텐션(3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째 열에 배치된 제2 기체용 카고 파이프(130)와 넷째 열에 배치된 제2 기체용 로딩암(24)을 연결하고, 넷째 열에 배치된 제2 액체용 카고 파이프(140)와 셋째 열에 배치된 제2 액체용 로딩암(23)을 연결할 수 있으며, 제2 상부 구조물(310), 제2 하부 구조물(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상부 구조물(310)은, 액체상태 및 기체상태의 액화가스가 별도의 라인을 통해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2 기체용 연결관(311), 제2 액체용 연결관(3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기체용 연결관(311)과 제2 액체용 연결관(312)이 'X'자로 교차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제2 기체용 연결관(311)은, 셋째 열에 배치된 제2 기체용 카고 파이프(130)와 넷째 열에 배치된 제2 기체용 로딩암(24)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제2 하부 구조물(320) 상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기체용 연결관(311)은, 일측 단부가 셋째 열에 배치된 제2 기체용 카고 파이프(130)와 플랜지 결합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일측 부분이 제2 기체용 카고 파이프(130)와 동일한 크기 예를 들어, 10인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체용 연결관(311)은, 타측 단부가 넷째 열에 배치된 제2 기체용 로딩암(24)과 플랜지 결합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 부분이 제2 기체용 로딩암(24)과 동일한 크기 예를 들어, 12인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액체용 연결관(312)은, 넷째 열에 배치된 제2 액체용 카고 파이프(140)와 셋째 열에 배치된 제2 액체용 로딩암(23)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제2 하부 구조물(320) 상에서 다른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기체용 연결관(311)과 'X'자로 교차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2 액체용 연결관(312)은, 일측 단부가 넷째 열에 배치된 제2 액체용 카고 파이프(140)와 플랜지 결합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일측 부분이 제2 액체용 카고 파이프(140)와 동일한 크기 예를 들어, 14인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액체용 연결관(312)은, 타측 단부가 셋째 열에 배치된 제2 액체용 로딩암(23)과 플랜지 결합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 부분이 제2 액체용 로딩암(23)과 동일한 크기 예를 들어, 12인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부 구조물(320)은, 제2 상부 구조물(310)을 지지하면서 제2 매니폴드 익스텐션(300)을 선박(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제2 프레임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제2 프레임부(330)는 제2 탑 프레임(340), 제2 서포트 프레임(350), 제2 베이스 프레임(360)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탑 프레임(340)은 복수 개의 제2 고정부재(341)를 포함하고, 제2 베이스 프레임(360)은 갑판(11) 또는 스필 탱크(12)에 마련되는 시트부(도면부호 미도시)에 볼팅 방식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 스토퍼(3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2 하부 구조물(320)은, 전술한 제1 하부 구조물(220)과 구성이 동일하지만 구별을 위해 도면 부호를 다르게 표시하였고, 이에 따라 여기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제1 및 제2 하부 구조물(220, 320)의 제1 및 제2 스토퍼(261, 361)는 갑판(11) 또는 스필 탱크(12) 상에 마련되는 시트부에 볼팅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시트부는 복수 개의 제1 스토퍼(261) 및 복수 개의 제2 스토퍼(361) 각각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200) 및 제2 매니폴드 익스텐션(300) 각각이 설치되는 갑판(11) 또는 스필 탱크(12) 부분과,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200) 및 제2 매니폴드 익스텐션(300) 각각이 보관되는 저장소(13)에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200) 및 제2 매니폴드 익스텐션(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는 지정된 저장소(13)에 보관되며, 원유 또는 가스 생산저장설비(20)에 구비되는 로딩암(21, 22, 23, 24)의 배열이 선박(10)에 구비된 카고 매니폴드(100)의 카고 파이프(110, 120, 130, 140) 배열과 다를 경우에, 선박(10)에 구비되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저장소(13)로부터 카고 파이프(110, 120, 130, 140) 전방의 갑판(11) 또는 스필 탱크(12) 상으로 옮겨, 도 1,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으며, 로딩 또는 언로딩 작업이 끝나면 저장소(13)로 다시 옮겨져 보관 된다.
스필 트레이(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출되는 액화가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몸체(410), 유출홀(420), 제3 스토퍼(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몸체(410)는, 상부가 일부 또는 전부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을 이루며, 선박(10)의 카고 파이프(110, 120, 130, 140)와 원유 또는 가스 생산저장설비(20)의 로딩암(21, 22, 23, 24)의 연결부분에서 누출되는 액화가스 수용할 수 있다.
유출홀(420)은, 몸체(410)에 수용된 누출액을 스필 탱크(12) 등과 같이 누출액을 저장하는 탱크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몸체(41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3 스토퍼(430)는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200) 또는 제2 매니폴드 익스텐션(300)의 제1 베이스 프레임(260) 또는 제2 베이스 프레임(360)에 스필 트레이(400)를 볼팅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체(4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스필 트레이(400)는,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200) 용으로 2개, 제2 매니폴드 익스텐션(300) 용으로 2개, 총 4개가 제작될 수 있으며, 도 1,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200)의 제1 액체용 연결관(211)과 원유 또는 가스 생산저장설비(20)의 제1 액체용 로딩암(22)의 연결부분,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200)의 제1 기체용 연결관(212)과 원유 또는 가스 생산저장설비(20)의 제1 기체용 로딩암(21)의 연결부분, 제2 매니폴드 익스텐션(300)의 제2 액체용 연결관(312)과 원유 또는 가스 생산저장설비(20)의 제2 액체용 로딩암(23)의 연결부분, 및 제2 매니폴드 익스텐션(300)의 제2 액체용 연결관(312)과 원유 또는 가스 생산저장설비(20)의 제2 액체용 로딩암(23)의 연결부분 아래에 각각 1개씩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기존 카고 매니폴더를 본선에 적용하면서, 액체용 및 기체용 연결관이 'X'자로 교차된 구조의 매니폴드 익스텐션을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로딩암의 배열이 본선에 구비된 카고 매니폴드의 카고 파이프 배열과 다를 경우에는 매니폴드 익스텐션을 설치하여 배관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어, 선주사의 선박운용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선박 11: 갑판
12: 스필 탱크 13: 저장소
20: 원유 또는 가스 생산저장설비 21: 제1 기체용 로딩암
22: 제1 액체용 로딩암 23: 제2 액체용 로딩암
24: 제2 기체용 로딩암 30: 액화가스 하역설비
100: 카고 매니폴드 110: 제1 액체용 카고 파이프
120: 제1 기체용 카고 파이프 130: 제2 기체용 카고 파이프
140: 제2 액체용 카고 파이프 200: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
210: 제1 상부 구조물 211: 제1 액체용 연결관
212: 제1 기체용 연결관 220: 제1 하부 구조물
230: 제1 프레임부 240: 제1 탑 프레임
241: 제1 고정부재 250: 제1 서포트 프레임
260: 제1 베이스 프레임 261: 제1 스토퍼
300: 제2 매니폴드 익스텐션 310: 제2 상부 구조물
311: 제2 기체용 연결관 312: 제2 액체용 연결관
320: 제2 하부 구조물 330: 제2 프레임부
340: 제2 탑 프레임 341: 제2 고정부재
350: 제2 서포트 프레임 360: 제2 베이스 프레임
361: 제2 스토퍼 400: 스필 트레이
410: 몸체 420: 유출홀
430: 제3 스토퍼

Claims (8)

  1. 선박에 구비되며, 액체용 및 기체용 카고 파이프가 상호 이웃하여 복수 개 배치된 형태를 가지는 카고 매니폴드; 및
    액체용 및 기체용 연결관이 상호 교차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선박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매니폴드 익스텐션을 포함하되,
    상기 매니폴드 익스텐션은,
    상기 액체용 및 기체용 카고 파이프의 배열이 생산저장설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액체용 및 기체용 로딩암의 배열과 다를 경우에, 동일 용도의 상기 카고 파이프와 상기 로딩암을 연결시켜 액화가스를 로딩 또는 언로딩할 수 있게 상기 카고 파이프와 상기 로딩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카고 파이프는, 제1 액체용 카고 파이프, 제1 기체용 카고 파이프, 제2 기체용 카고 파이프, 제2 액체용 카고 파이프의 순서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로딩암은, 제1 기체용 로딩암, 제1 액체용 로딩암, 제2 액체용 로딩암, 제2 기체용 로딩암의 순서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액체용 카고 파이프의 크기가 상기 제1 또는 제2 기체용 카고 파이프의 크기보다 클 경우, 상기 매니폴드 익스텐션은,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 및 제2 매니폴드 익스텐션을 한 세트로 하여 상기 선박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매니폴드 익스텐션은,
    상기 제1 액체용 카고 파이프와 상기 제1 액체용 로딩암을 연결하여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액체용 카고 파이프 측의 단부의 크기가 상기 제1 액체용 로딩함 측의 단부의 크기보다 큰 제1 액체용 연결관;
    상기 제1 기체용 카고 파이프와 상기 제1 기체용 로딩암을 연결하여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액체 연결관과 교차하며, 상기 제1 기체용 카고 파이프 측의 단부의 크기가 상기 제1 기체용 로딩암 측의 단부의 크기보다 작은 제1 기체용 연결관; 및
    상기 제1 액체 연결관과 상기 제1 기체 연결관을 고정 지지하면서 상기 선박에 볼팅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 하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매니폴드 익스텐션은,
    상기 제2 액체용 카고 파이프와 상기 제2 액체용 로딩암을 연결하여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액체용 카고 파이프 측의 단부의 크기가 상기 제2 액체용 로딩암 측의 단부의 크기보다 큰 제2 액체용 연결관;
    상기 제2 기체용 카고 파이프와 상기 제2 기체용 로딩암을 연결하여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액체 연결관과 교차하며, 상기 제2 기체용 카고 파이프 측의 단부의 크기가 상기 제2 기체용 로딩암 측의 단부의 크기보다 작은 제2 기체용 연결관; 및
    상기 제2 액체 연결관과 상기 제2 기체 연결관을 고정 지지하면서 상기 선박에 볼팅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2 하부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하역설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누출되는 상기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필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하역설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필 트레이는,
    상기 제1 액체용 연결관과 상기 제1 액체용 로딩암의 연결부분, 및 상기 제1 기체용 연결관과 상기 제1 기체용 로딩암의 연결부분 아래의 상기 제1 하부 구조물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 액체용 연결관과 상기 제2 액체용 로딩암의 연결부분, 및 상기 제2 액체용 연결관과 상기 제2 액체용 로딩암의 연결부분 아래의 상기 제2 하부 구조물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하역설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필 트레이는,
    상기 선박에 구비되는 스필 탱크로 상기 액화가스의 누출액을 유출시키는 유출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하역설비.
  8. 제 1 항, 및 제 5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액화가스 하역설비가 구비되는 선박.
KR1020150149290A 2015-10-27 2015-10-27 액화가스 하역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171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290A KR102171154B1 (ko) 2015-10-27 2015-10-27 액화가스 하역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290A KR102171154B1 (ko) 2015-10-27 2015-10-27 액화가스 하역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777A KR20170048777A (ko) 2017-05-10
KR102171154B1 true KR102171154B1 (ko) 2020-10-28

Family

ID=58744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290A KR102171154B1 (ko) 2015-10-27 2015-10-27 액화가스 하역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137B1 (ko) * 2020-08-24 2021-12-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102340143B1 (ko) * 2020-08-24 2021-12-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517Y1 (ko) * 1997-01-28 2000-03-02 유일동 가스계량기의 배관유니트
KR101069659B1 (ko) * 2008-11-11 2011-10-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이송장치
KR101259628B1 (ko) 2010-09-30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이송부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777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360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онтейнерной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жидкостей морским судном
CN103003141A (zh) 具有上甲板燃料箱的浮式结构
KR102191751B1 (ko) Iso 탱크컨테이너 및 iso 탱크컨테이너 적층모듈
KR102171154B1 (ko) 액화가스 하역설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086024B1 (ko) 액화 천연 가스 lng 탱커 트럭 운반용 바지선
KR20130009071A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리퀴드 돔
KR200476890Y1 (ko) Lng 벙커링선의 다층 구조 매니폴드
KR102125113B1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Boulougouris et al. LNG Fueled Vessels Design Training
KR101629192B1 (ko)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
KR102299355B1 (ko) Lng 운반선 겸용 저속비대선형 lng fsru
JP5863900B2 (ja) 液化ガス輸送船、及び、液化ガス輸送船の設計方法
KR101348614B1 (ko) 액화연료가스 공급용 터미널 선박
KR20200082578A (ko) 카고 매니폴드를 갖는 액체화물 운반선
KR20220000431A (ko) 하이브리드 화물창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Hoog et al. LNG transfer in harsh environments-introduction of a new concept
Rahimi et al. The Potential of Using LNG as a fuel in Marine Transport
KR102170036B1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카고 매니폴드 시스템
KR102017929B1 (ko) 선박
US20170240251A1 (en) Liquefied natural gas fuel barge
Harperscheidt LNG as Fuel–Bunkering, storage and processing
KR20120138029A (ko)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KR102153602B1 (ko) 컨테이너 선박의 lng연료탱크 배치구조
KR102421140B1 (ko) 멤브레인형 저장탱크, 제조방법 및 선박
Da Silva Esteves et al. Transoceanic carriage of LNG: background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