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471B1 -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 - Google Patents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471B1
KR102170471B1 KR1020200083228A KR20200083228A KR102170471B1 KR 102170471 B1 KR102170471 B1 KR 102170471B1 KR 1020200083228 A KR1020200083228 A KR 1020200083228A KR 20200083228 A KR20200083228 A KR 20200083228A KR 102170471 B1 KR102170471 B1 KR 102170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ella
elastic body
knee
protector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혁
Original Assignee
김세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혁 filed Critical 김세혁
Priority to KR102020008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06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knees
    • A61F5/0109Sleeve-like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릎보호대를 착용하고도 슬개골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는, 신축성이 있는 천으로 이루어지면서 소정 지름을 가지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하 소정 길이를 가지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보호대본체; 상기 보호대본체의 상부 둘레를 따라 상하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상부밴딩부; 상기 보호대본체의 하부 둘레를 따라 상하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하부밴딩부; 및 상기 절개부를 따라 설치되면서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절개부의 모양을 유지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절개부의 양측을 따라 상하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직선연결부; 및 상기 한 쌍의 직선연결부의 상하측을 연결하는 'C'자 모양의 C형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Knee Protector for Patella Free}
본 발명은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임이 있는 천으로 이루어져 무릎을 감싸도록 착용되고, 이를 통해 무릎을 보호하는 데에 사용되는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릎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보호할 목적으로 무릎보호대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무릎보호대는 무릎을 감싸 압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릎보호대의 예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553581호의 무릎보호대(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무릎보호대는 무릎 주변을 감싸도록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외부면에 마련되되, 일단부는 상기 무릎 상측의 허벅지 일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타단부는 상기 무릎 하측의 종아리 일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가 위치하는 상기 허벅지 일부분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상측장착부재 및 상기 상측장착부재에 대향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부가 위치하는 상기 종아리 일부분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하측장착부재로 구성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무릎 내의 연골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몸무게의 일부를 상기 무릎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달하여, 상기 무릎 내의 연골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몸무게를 감소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상측장착부재와 상기 하측장착부재 사이에 복수 개 마련되되, 각각의 상기 지지부재 간의 간격은 조정 가능하게 마련되고,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걸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재의 외부면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간격이 조정된 이후에 고정되거나,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자석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재의 외부면에 자성에 의해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간격이 조정된 이후에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부재 및 장착부재는, 탄성을 가지면서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무릎보호대는 무릎을 감싸도록 착용하게 되면 슬개골이 통기부 쪽으로 튀어 나오게 되면서 주변을 압박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행하거나 무릎을 굽히게 되면 슬개골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슬개골 또는 슬개골 주변이 압박된 상태로 움직이면 대퇴골에 슬개골이 밀착되어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그 결과 보행시 통증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무릎보호대를 착용하고도 슬개골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무릎보호대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1553581 B1 (2015. 09. 10.) KR 10-1984083 B1 (2019. 05. 24.) KR 10-1277230 B1 (2013. 06. 14.) KR 10-0742181 B1 (2007. 07. 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릎보호대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릎보호대를 착용하고도 슬개골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는, 신축성이 있는 천으로 이루어지면서 소정 지름을 가지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하 소정 길이를 가지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보호대본체; 상기 보호대본체의 상부 둘레를 따라 상하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상부밴딩부; 상기 보호대본체의 하부 둘레를 따라 상하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하부밴딩부; 및 상기 절개부를 따라 설치되면서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절개부의 모양을 유지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절개부의 양측을 따라 상하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직선연결부; 및 상기 한 쌍의 직선연결부의 상하측을 연결하는 'C'자 모양의 C형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탄성체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체가 소정 지름을 가지면서 탄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의 심재; 및 상기 심재의 외측면을 감싸는 합성수지재의 외피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상기 탄성체는 상기 한 쌍의 직선연결부가 형성되는 대신, 상기 절개부의 양측을 따라 상하 수직으로 소정 지름의 호 형상을 가지는 호형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탄성체는 상기 한 쌍의 직선연결부가 형성되는 대신, 상기 절개부의 양측을 따라 설치되면서 가운데 부분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사선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선연결부의 가운데 부분에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호 형상의 호형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보호대본체의 절개부가 형성되므로 무릎에 착용시 슬개골이 절개부를 따라 상하로 쉽게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릎을 굽혀 직선연결부(또는 호형연결부, 사선연결부)가 양측으로 과도하게 벌어지더라도 'C'자 모양의 C형연결부를 통해 직선연결부(또는 호형연결부, 사선연결부)의 위치가 쉽고 빠르게 탄성 복원되게 되고, 그 결과 장기간 사용에도 절개부가 쉽게 느슨해지지 않고 당초의 모양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의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가 사용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부에 보조밴딩부가 구비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밴딩부에 격자밴드가 구비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무릎보호대를 착용하고도 슬개골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대본체(10), 상부밴딩부(20), 하부밴딩부(30) 및 탄성체(40)를 포함한다.
보호대본체(10)는 사용자의 무릎을 감싸도록 착용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무릎 부위를 압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보호대본체(10)는 면, 나일론 및 고무사 등이 혼합되어 신축성이 있도록 만들어진 천으로 이루어지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보호대본체(10)의 일측에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절개되는 절개부(11)가 형성되고, 이러한 절개부(11)를 따라 후술되는 탄성체(40)가 설치된다.
상, 하부밴딩부(20, 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대본체(10)의 상, 하부 둘레를 따라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보호대본체(10)가 쉽게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 하부밴딩부(20, 30)는 보호대본체(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신축성을 가지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이 내부에 삽입된 밴드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내부의 고무 또는 실리콘이 보호대본체(10)의 상하 내측으로 부분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해 상, 하부밴딩부(20, 30)와 피부가 접촉시 마찰력이 발생하여 더욱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탄성체(40)는 절개부(11)를 따라 설치되어 무릎을 굽힐 때 절개부(11)가 무릎의 슬개골에 따라 적절하게 벌어진 다음 무릎을 펼 때 당초의 절개부(11) 위치로 탄성 복원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탄성체(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11)의 양측을 따라 상하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직선연결부(41)와, 상기 한 쌍의 직선연결부(41)의 상하측을 연결하는 'C'자 모양의 C형연결부(42, 43)를 포함한다.
이때 탄성체(40)는 3~5㎜의 두께(T)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탄성체(40)의 두께가 3㎜ 미만인 경우에는 외력에 의해 변형된 다음 당초의 모양으로 탄성 복원될 때, 절개부(11)가 무릎 사이에 벌어짐이 생길 수 있으므로 무릎을 압박하는 힘이 약한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고, 탄성체(40)의 두께가 5㎜ 초과하는 경우에는 보호대본체(10)의 외측으로 탄성체(40)가 과도하게 돌출될 수 있어 착용감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C형연결부(42, 43)는 절개된 각도(A)가 80~90°가 되도록 형성되고, 한 쌍의 직선연결부(41) 사이의 간격(W)은 C형연결부(42, 43)의 내측 지름(D)의 1/3~1/2이 되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무릎을 굽힘에 따른 외력으로 한 쌍의 직선연결부(41)가 소정 간격으로 벌어지더라도 무릎을 펴면 C형연결부(42, 43)를 통해 직선연결부(41) 간의 간격(W)이 당초의 위치로 쉽게 복원되게 된다.
이에 더해 탄성체(40)의 상하 길이(L)는 슬개골의 상하 움직임을 고려하여 8~12㎝가 되도록 형성되어 무릎을 굽히고 펴는 동작에 따라 슬개골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탄성체(4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탄성체(40)의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지름을 가지면서 탄성을 가지는 경강선, 스프링용 스테인레스강선, 스프링용 탄소강 오일템파선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심재(C)와, 상기 심재(C)의 외측면을 감싸는 고무,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재의 외피(S)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금속 재질의 심재(C)를 통해 충분한 탄성 복원력을 확보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피부에 닿는 외피(S)를 통해 부드러운 촉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직선연결부(41)와 C형연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소정 지름의 라운드부(R)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무릎을 굽히고 펴는 과정에서 피부의 긁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위에서는 절개부(11)의 양측을 따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직선의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직선연결부(41)가 형성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직선연결부(41)를 대신하여 소정 지름을 가지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호형연결부(41')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호형연결부(41')는 서로 가운데 부분이 맞닿도록 하여 절개부(11)가 호형연결부(41')를 통해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무릎에 착용시 슬개골의 양측이 호형연결부(41')을 통해 적절하게 압박되게 되면서 보호되게 된다.
이에 더해 한 쌍의 직선연결부(41)가 형성되는 대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11)의 양측을 따라 설치되면서 가운데 부분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사선연결부(41")가 형성되고, 이러한 사선연결부(41")의 가운데 부분에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호 형상의 호형굴곡부(41A)가 형성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선연결부(41")를 통해 무릎에 착용시 슬래골의 양측이 사선연결부(41")를 통해 적절하게 압착되어 보호될 수 있으면서도 호형굴곡부(41A)를 통해 슬개골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를 사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보호대본체(10)의 절개부(11)가 슬개골 쪽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무릎을 감싸도록 착용하고, 이에 의해 상부밴딩부(20)와 하부밴딩부(30)가 무릎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탄성체(40)의 직선연결부(41)가 슬개골의 양측을 압박하도록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착용을 완료하게 된다.
이렇게 무릎에 착용된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을 구부리면 탄성체(40)의 직선연결부(41)가 슬개골에 의해 자연스럽게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슬개골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이후 무릎을 펴면 탄성체(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슬개골의 양측을 압박하는 당초의 형상으로 탄성 복원되게 된다.
위에서는 상, 하부밴딩부(20, 30)가 형성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대본체(10)의 가운데 부분을 따라 링 모양의 보조밴딩부(12)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보조밴딩부(12)는 탄성체(40)가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변형후 탄성체(40)의 당초 모양으로 더욱 쉽고 빠르게 복원될 수 있게 한다.
이때 보조밴딩부(1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연결부(40) 사이에 위치되는 일부분이 소정 크기의 격자 모양을 가지는 격자밴드(12A)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착용시 적절한 통기성이 담보되도록 한다.
이에 더해 탄성체(40)에는 한 쌍의 직선연결부(41)가 더욱 폭넓게 벌어질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부(R)를 대신하여 C형연결부(42, 43)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보조C형연결부(42', 4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릎에 착용시 슬개골이 절개부를 따라 상하로 쉽게 움직일 수 있게 되고, 무릎을 굽혀 직선연결부(또는 호형연결부, 사선연결부)가 양측으로 과도하게 벌어지더라도 'C'자 모양의 C형연결부를 통해 직선연결부(또는 호형연결부, 사선연결부)의 위치가 쉽고 빠르게 탄성 복원되게 되며, 그 결과 장기간 사용에도 절개부가 쉽게 느슨해지지 않고 당초의 모양이 오랫동안 유지되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0: 보호대본체 11: 절개부
12: 보조밴딩부 12A: 격자밴드
20: 상부밴딩부 30: 하부밴딩부
40: 탄성체 41: 직선연결부
41': 호형연결부 41": 사선연결부
41A: 호형굴곡부 42, 43: C형연결부
42', 43': 보조C형연결부 A: C형연결부의 절개 각도
C: 심재 D: C형연결부의 내측 지름
D': 호형 굴곡부의 지름 L: 탄성체의 길이
R: 라운드부 S: 외피
T: 탄성체의 두께 W: 직선연결부 사이의 간격

Claims (5)

  1. 신축성이 있는 천으로 이루어지면서 소정 지름을 가지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하 소정 길이를 가지는 절개부(11)가 형성되는 보호대본체(10);
    상기 보호대본체(10)의 상부 둘레를 따라 상하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상부밴딩부(20);
    상기 보호대본체(10)의 하부 둘레를 따라 상하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하부밴딩부(30); 및
    상기 절개부(11)를 따라 설치되면서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절개부(11)의 모양을 유지시키는 탄성체(40);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40)는,
    상기 절개부(11)의 양측을 따라 상하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직선연결부(41); 및
    상기 한 쌍의 직선연결부(41)의 상하측을 연결하는 'C'자 모양의 C형연결부(42, 43);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4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대본체(10)에 형성된 상기 절개부(11)를 통해 무릎에 착용시 슬개골이 상기 절개부(11)를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40)는,
    소정 지름을 가지면서 탄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의 심재(C); 및
    상기 심재(C)의 외측면을 감싸는 합성수지재의 외피(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40)는,
    상기 한 쌍의 직선연결부(41)가 형성되는 대신, 상기 절개부(11)의 양측을 따라 상하 수직으로 소정 지름의 호 형상을 가지는 호형연결부(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40)는,
    상기 한 쌍의 직선연결부(41)가 형성되는 대신, 상기 절개부(11)의 양측을 따라 설치되면서 가운데 부분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사선연결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사선연결부(41")의 가운데 부분에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호 형상의 호형굴곡부(4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
KR1020200083228A 2020-07-07 2020-07-07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 KR102170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228A KR102170471B1 (ko) 2020-07-07 2020-07-07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228A KR102170471B1 (ko) 2020-07-07 2020-07-07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471B1 true KR102170471B1 (ko) 2020-10-28

Family

ID=7301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228A KR102170471B1 (ko) 2020-07-07 2020-07-07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4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629B1 (ko) * 2021-03-09 2022-02-15 관희 이 관절 보호대
KR20220145509A (ko)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아미글로벌 무릎보호대
KR20230149524A (ko) 2022-04-20 2023-10-27 주식회사 아미글로벌 무릎보호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181B1 (ko) 2006-08-10 2007-07-24 류실근 무릎 보호대
JP3137579U (ja) * 2007-09-18 2007-11-29 彪仕醫技股▲分▼有限公司 ひざ用サポーター
KR101277230B1 (ko) 2013-03-20 2013-07-01 (주)오케이메디텍 무릎보호대
KR20130101847A (ko) * 2012-03-06 2013-09-16 (주)세일코리아마케팅 무릎보호대
KR101553581B1 (ko) 2014-11-21 2015-09-21 조문국 무릎 보호대
KR20180133661A (ko) * 2017-06-07 2018-12-17 김정규 무릎 통증 완화용 보조링
KR101984083B1 (ko) 2018-03-30 2019-05-3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 보호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181B1 (ko) 2006-08-10 2007-07-24 류실근 무릎 보호대
JP3137579U (ja) * 2007-09-18 2007-11-29 彪仕醫技股▲分▼有限公司 ひざ用サポーター
KR20130101847A (ko) * 2012-03-06 2013-09-16 (주)세일코리아마케팅 무릎보호대
KR101277230B1 (ko) 2013-03-20 2013-07-01 (주)오케이메디텍 무릎보호대
KR101553581B1 (ko) 2014-11-21 2015-09-21 조문국 무릎 보호대
KR20180133661A (ko) * 2017-06-07 2018-12-17 김정규 무릎 통증 완화용 보조링
KR101984083B1 (ko) 2018-03-30 2019-05-3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 보호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37579 U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629B1 (ko) * 2021-03-09 2022-02-15 관희 이 관절 보호대
KR20220145509A (ko)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아미글로벌 무릎보호대
KR20230149524A (ko) 2022-04-20 2023-10-27 주식회사 아미글로벌 무릎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471B1 (ko)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
US4607628A (en) Patella support brace
KR101892573B1 (ko) 조작 성능이 향상된 손목 보호대
JP4709722B2 (ja) サポータ
KR101837187B1 (ko) 손목 보호대
KR102518097B1 (ko) 사지 보조기, 특히 무릎 보조기
KR20130101847A (ko) 무릎보호대
KR101531760B1 (ko) 이중 허리 보호대
KR102389893B1 (ko) 손목보호대
KR101608011B1 (ko) 무릎관절 보호대
JP2011212093A (ja) 関節サポータおよび関節サポータ用ステー
KR101182719B1 (ko) 무릎관절 교정기
KR101900422B1 (ko) 손목 보호대
KR101849639B1 (ko) 손목 보호용 장갑
KR200474247Y1 (ko) 관절 보호대
KR20200000083U (ko) 어깨 보호대
JP5941090B2 (ja) 手指関節用サポーター
CN214759273U (zh) 一种新型护膝
KR20190120999A (ko) 관절 보호대
KR20200000681U (ko) 보호대
TWM542494U (zh) 加壓型關節護具(一)
JP2007092222A (ja) 関節用サポータ、関節用サポータに用いるヒンジ
KR101460893B1 (ko) 무릎 견인기
CN211513374U (zh) 护指
CN218356504U (zh) 一种膝关节支具及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