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524A - 무릎보호대 - Google Patents

무릎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524A
KR20230149524A KR1020220048830A KR20220048830A KR20230149524A KR 20230149524 A KR20230149524 A KR 20230149524A KR 1020220048830 A KR1020220048830 A KR 1020220048830A KR 20220048830 A KR20220048830 A KR 20220048830A KR 20230149524 A KR20230149524 A KR 20230149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rear fastening
bending guide
sup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1251B1 (ko
Inventor
유실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미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미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미글로벌
Priority to KR1020220048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251B1/ko
Publication of KR20230149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06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knees
    • A61F5/0109Sleeve-like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actu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7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79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릎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무릎을 움직일때 무릎보호대의 양쪽에 형성되는 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로 인해 무릎 관절의 움직임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무릎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절의 움직임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무릎보호대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각 후면부체결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로 인해 무릎구부림지지가이드가 저항력을 발휘함으로서 무릎구부림지지가이드가 급격하게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무릎 저항력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Description

무릎보호대{a knee brace}
본 발명은 무릎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무릎을 움직일때 무릎보호대의 양쪽에 형성되는 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로 인해 무릎 관절의 움직임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무릎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릎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보호할 목적으로 무릎보호대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무릎보호대는 무릎을 감싸 압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릎보호대의 예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2170471호의 슬개골 무릎보호대(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슬개골 무릎보호대는 신축성이 있는 천으로 이루어지면서 소정 지름을 가지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하 소정 길이를 가지는 절개부(11)가 형성되는 보호대본체(10)와, 상기 보호대본체(10)의 상부 둘레를 따라 상하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상부밴딩부(20)와,상기 보호대본체(10)의 하부 둘레를 따라 상하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하부밴딩부(30); 및 상기 절개부(11)를 따라 설치되면서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절개부(11)의 모양을 유지시키는 탄성체(4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40)는, 상기 절개부(11)의 양측을 따라 상하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직선연결부(41); 및 상기 한 쌍의 직선연결부(41)의 상하측을 연결하는 'C'자 모양의 C형연결부(42, 4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4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대본체(10)에 형성된 상기 절개부(11)를 통해 무릎에 착용시 슬개골이 상기 절개부(11)를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무릎보호대는 슬개골을 자유롭게 움직이게는 할 수 있으나, 무릎보호대를 착용하고 움직일 때 압박을 많이 주어야하는 부분이나 압박을 덜 주어야하는 부분의 구분 없이 동일한 압박을 줌으로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안겨주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70471호 (2020.10.2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77230호 (2013.06.14)
본 발명은 관절의 움직임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무릎보호대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각 후면부체결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로 인해 무릎구부림지지가이드가 저항력을 발휘함으로서 무릎구부림지지가이드가 급격하게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무릎 저항력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릎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무릎보호대본체전면부(100)와,몸체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체결부(210)와 제2체결부(220)가 형성되고 몸체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제3체결부(230)와 제4체결부(240)가 형성되는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와,소정 길이의 제1자유이동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자유이동부(310)와 제1무릎측면지지대(340)가 겹쳐지는 위치의 일측에 제1회전축(3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자유이동부(310)와 제2무릎측면지지대(350)가 겹쳐지는 위치의 일측에 제2회전축(330)이 형성되고, 소정 길이를 가지되 일측이 제1자유이동부(310)의 일측과 겹쳐지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1무릎측면지지대(340)가 형성되고, 소정 길이를 가지되 일측이 제1자유이동부(310)의 타측과 겹쳐지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2무릎측면지지대(350)가 형성되는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와,
소정 길이의 제2자유이동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자유이동부(410)와 제3무릎측면지지대(440)가 겹쳐지는 위치의 일측에 제3회전축(4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자유이동부(410)와 제3무릎측면지지대(450)가 겹쳐지는 위치의 일측에 제4회전축(430)이 형성되고, 소정 길이를 가지고 일측이 제2자유이동부(410)의 일측과 겹쳐지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3무릎측면지지대(440)가 형성되고, 소정 길이를 가지고 일측이 제2자유이동부(410)의 타측과 겹쳐지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4무릎측면지지대(450)가 형성되는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관절의 움직임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무릎보호대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후면부체결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로 인해 무릎구부림지지가이드가 저항력을 발휘함으로서 무릎구부림지지가이드가 급격하게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무릎 저항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릎보호대의 전체적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릎보호대의 전면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릎보호대의 분해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무릎보호대의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와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 간의 체결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무릎보호대본체전면부(100)의 제1후면부체결부(140)에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제1무릎측면지지대(340)가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무릎보호대의 사용예이다.
도 7은 무릎보호대를 잘못사용했을 시 발생되는 문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9는 본 발명의 무릎보호대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릎보호대의 전체적이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의 무릎보호대는 무릎보호대본체전면부(100),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릎보호대의 전면만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무릎보호대의 분해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무릎보호대본체전면부(100)는 무릎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무릎보호대본체전면부(100)는 전면부몸체부(110),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 제2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30), 제1후면부체결부(140), 제2후면부체결부(150), 제3후면부체결부(160), 제4후면부체결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부몸체부(110)는 무릎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되 무릎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크기의 무릎수용홀(111)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전면부몸체부(110)는 무릎수용홀(111), 제1힘분산그물부(112), 제2힘분산그물부(113), 제1오목부(114), 제2오목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릎수용홀(111)은 무릎의 전면부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힘분산그물부(112)는 상기 무릎수용홀(111)의 상부에 위치하되 그물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2힘분산그물부(113)는 상기 무릎수용홀(111)의 하부에 위치하되 그물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1오목부(114)는 상기 전면부몸체부(110)의 일측면이 오목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무릎수용홀(111)과 같은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다.
제2오목부(115)는 상기 전면부몸체부(110)의 타측면이 오목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무릎수용홀(111)과 같은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다.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는 전면부몸체부(110)의 제1오목부(114)의 일측에 위치하되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가 관통되도록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홀(121)이 형성된다.
제2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30)는 전면부몸체부(110)의 제2오목부(115)의 일측에 위치하되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가 관통되도록 제2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홀(131)이 형성된다.
제1후면부체결부(140)는 전면부몸체부(1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되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의 제1체결부(210)가 체결되기 위한 제1후면부체결홀(141)이 형성되고,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일측이 인입되도록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42)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1후면부체결홀(141)은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제1무릎측면지지대(34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도 5와 같이 제1레일부(342)가 수용되도록 제1레일부(342)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2후면부체결부(150)는 전면부몸체부(11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되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의 제2체결부(220)가 체결되기 위한 제2후면부체결홀(151)이 형성되고,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타측이 인입되도록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52)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후면부체결부(150)는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제2무릎측면지지대(35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제2레일부(352)가 수용되도록 제2레일부(352)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3후면부체결부(160)는 전면부몸체부(11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되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의 제4체결부(240)가 체결되기 위한 제4후면부체결홀(161)이 형성되고,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의 타일측이 인입되도록 제2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30)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3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62)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3후면부체결부(160)는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의 제3무릎측면지지대(44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3레일부(442)가 수용되도록 제3레일부(442)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4후면부체결부(170)는 전면부몸체부(11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되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의 제2체결부(220)가 체결되기 위한 제2후면부체결홀(151)이 형성되고,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타측이 인입되도록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4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72)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의 제4무릎측면지지대(45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4레일부(452)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는 몸체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체결부(210)와 제2체결부(220)가 형성되고 몸체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제3체결부(230)와 제4체결부(24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체결부(210)는 일측에 부착부가 형성되어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1후면부체결홀(141)을 통과하여 체결된다.
상기 제2체결부(220)는 일측에 부착부가 형성되어 제2후면부체결부(150)의 제2후면부체결홀(151)을 통과하여 체결된다.
상기 제3체결부(230)는 일측에 부착부가 형성되어 제3후면부체결부(160)의 제3후면부체결홀(161)을 통과하여 체결된다.
상기 제4체결부(240)는 일측에 부착부가 형성되어 제4후면부체결부(170)의 제4후면부체결홀(171)을 통과하여 체결된다.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는 소정 길이의 제1자유이동부(310)가 형성되고 제1자유이동부의 일측에 제1회전축(320)에 의해 결합되는 소정 길이의 제1무릎측면지지대(340)가 형성되고, 제1자유이동부의 타측에 제2회전축(330)에 의해 결합되는 소정 길이의 제2무릎측면지지대(350)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는 일측은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42)에 인입되고 타측은 제2후면부체결부(150)의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52)에 인입되며 중앙은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의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홀(121)에 관통된다.
도 4는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의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홀(121)에 관통하여 체결된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1자유이동부(3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제1자유이동부(310)의 폭은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의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홀(121)의 폭보다 넓은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도 3(a)와 같이 무릎보호대본체전면부(100)의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에 제1자유이동부(310)가 관통되어 위치하되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는 제1자유이동부(310)의 제1회전축(32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A)와 제2회전축(33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B) 사이를 도 3(b)와 같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회전축(320)는 상기 제1자유이동부(310)와 제1무릎측면지지대(340)가 만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제2회전축(330)은 상기 제1자유이동부(310)와 제2무릎측면지지대(350)가 만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제1무릎측면지지대(340)는 일측이 제1자유이동부(310)의 일측과 만나서 제1회전축(320)에 의해 연결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무릎측면지지대(340)는 제1꺾임부(341), 제1레일부(3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꺾임부(341)는 상기 제1무릎측면지지대(340)의 일측이 소정각도 꺾이어 형성된다. 제1꺾임부(341)가 형성됨으로서 도 6(b)와 같이 무릎을 경첩시킬 때 무릎에 부담이 덜 되는 각도로 꺾이어 무릎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제1레일부(342)는 상기 제1무릎측면지지대(34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2개의 돌출된 레일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5는 제1레일부(342)를 확대한 도면으로서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1후면부체결홀(141)에 체결 시 레일을 따라 체결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무릎측면지지대(350)는 일측이 제1자유이동부(310)의 타측과 만나서 제2회전축(330)에 의해 연결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무릎측면지지대(350)는 제2꺾임부(351), 제2레일부(3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꺾임부(351)는 상기 제2무릎측면지지대(350)의 일측이 소정각도 꺾이어 형성된다. 제2꺾임부(351)가 형성됨으로서 도 6(b)와 같이 무릎을 경첩시킬 때 무릎에 부담이 덜 되는 각도로 꺾이어 무릎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제2레일부(352)는 상기 제2무릎측면지지대(35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2개의 돌출된 레일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로서 제2후면부체결부(150)의 제2후면부체결홀(151)에 체결 시 레일을 따라 체결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상기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는
소정 길이의 제1자유이동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자유이동부(310)와 제1무릎측면지지대(340)가 겹쳐지는 위치의 일측에 제1회전축(3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자유이동부(310)와 제2무릎측면지지대(350)가 겹쳐지는 위치의 일측에 제2회전축(330)이 형성되고, 소정 길이를 가지되 일측이 제1자유이동부(310)의 일측과 겹쳐지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1무릎측면지지대(340)가 형성되고, 소정 길이를 가지되 일측이 제1자유이동부(310)의 타측과 겹쳐지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2무릎측면지지대(350)가 형성된다.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은 소정 길이의 제2자유이동부(410)가 형성되고 제2자유이동부(410)의 일측에 제3회전축(420)에 의해 결합되는 소정 길이의 제3무릎측면지지대(440)가 형성되고, 제2자유이동부(410)의 타측에 제4회전축(430)에 의해 결합되는 소정 길이의 제4무릎측면지지대(450)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는 일측은 제3후면부체결부(160)의 제3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62)에 인입되고 타측은 제4후면부체결부(170)의 제4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72)에 인입되며 중앙은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의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홀(121)에 관통된다.
상기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는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와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도 3(a)의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모습을 참고하여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를 설명한다.
제2자유이동부(4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자유이동부(410)는 무릎보호대본체전면부(100)의 제2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30)에 제2자유이동부(410)가 관통되어 위치하되 제2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30)는 제2자유이동부(410)의 제3회전축(42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A)와 제4회전축(43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B)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
제3회전축(420)은 상기 제2자유이동부(410)와 제3무릎측면지지대(440)가 만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제4회전축(430)은 상기 제2자유이동부(410)와 제3무릎측면지지대(450)가 만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제3무릎측면지지대(440)는 일측이 제2자유이동부(410)의 일측과 만나서 제3회전축(420)에 의해 연결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3무릎측면지지대(440)는 제3꺾임부(441), 제3레일부(4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꺾임부(441)는 상기 제3무릎측면지지대(440)의 일측이 소정각도 꺾이어 형성된다. 제3꺾임부(441)가 형성됨으로서 무릎을 경첩시킬 때 무릎에 부담이 덜 되는 각도로 꺾이어 무릎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제3레일부(442)는 상기 제3무릎측면지지대(44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2개의 돌출된 레일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3레일부(442)는 제3후면부체결부(160)의 제3후면부체결홀(161)에 체결 시 레일을 따라 체결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4무릎측면지지대(450)는 일측이 제2자유이동부(410)의 타측과 만나서 제3회전축(430)에 의해 연결되되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4무릎측면지지대(450)는 제4꺾임부(451), 제4레일부(4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꺾임부(351)가 형성됨으로서 도 6(b)와 같이 무릎을 경첩시킬 때 무릎에 부담이 덜 되는 각도로 꺾이어 무릎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제4꺾임부(451)는 상기 제4무릎측면지지대(450)의 일측이 소정각도 꺾이어 형성되는 것이다. 제4꺾임부(451)가 형성됨으로서 무릎을 경첩시킬 때 무릎에 부담이 덜 되는 각도로 꺾이어 무릎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제4레일부(452)는 상기 제4무릎측면지지대(45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2개의 돌출된 레일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4레일부(452)는 제4후면부체결부(170)의 제4후면부체결홀(171)에 체결 시 레일을 따라 체결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상기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는
소정 길이의 제2자유이동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자유이동부(410)와 제3무릎측면지지대(440)가 겹쳐지는 위치의 일측에 제3회전축(4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자유이동부(410)와 제3무릎측면지지대(450)가 겹쳐지는 위치의 일측에 제4회전축(430)이 형성되고, 소정 길이를 가지고 일측이 제2자유이동부(410)의 일측과 겹쳐지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3무릎측면지지대(440)가 형성되고, 소정 길이를 가지고 일측이 제2자유이동부(410)의 타측과 겹쳐지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4무릎측면지지대(450)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에 제1레일부(342)와 제2레일부(352)를 생략하고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에 제3레일부(442)와 제4레일부(452)가 생략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만약 각 레일부가 생략된다면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와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요소가 사라지므로 도 7과 같이 한쪽 방향의 무릎측면지지대가 과도하게 이탈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K6 화살표 참고).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 8,9를 참고하여 2가지 실시예를 제시한다.
[또 다른 실시예 1]
또 다른 실시예 1은 제1후면부체결부(140),제2후면부체결부(150), 제3후면부체결부(160), 제4후면부체결부(170)의 내부 구조를 변경한다. 대표적으로 도 8에 도시된 제1후면부체결부(140) 내부 모습을 참고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제1후면부체결부(140)는 제1측면스프링(143), 제2측면스프링(144), 제1하부면스프링(14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측면스프링(143)는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1후면부체결홀(141)의 일측면에 위치하되 제1무릎측면지지대(340)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것이다.
제2측면스프링(144)는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1후면부체결홀(141)의 타측면에 위치하되 제1무릎측면지지대(340)의 타측면과 연결되는 것이다.
제1하부면스프링(145)는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1후면부체결홀(141)의 바닥면일측에 위치하되 제1무릎측면지지대(340)의 하단 일측과 연결되는 것이다.
도 8(b)는 무릎보호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무릎이 경첩됐을 때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제1무릎측면지지대(340)의 움직임을 나타낸 모습이다.
무릎이 경첩됐을 때 제1회전축(320)에 의해 제1무릎측면지지대(340)이 회전되어 제1무릎측면지지대(340)가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1후면부체결홀(141)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k2방향)으로 이탈될 때 제1측면스프링(143), 제2측면스프링(144), 제1하부면스프링(145)이 저항력을 발휘함으로서 제1무릎측면지지대(340)가 급격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서 무릎 저항력을 줄이고 무릎을 견고히 잡아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2후면부체결부(150)는 제3측면스프링(153), 제4측면스프링(154), 제3하부면스프링(1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측면스프링(153)은 제2후면부체결부(150)의 제2후면부체결홀(151)의 일측면에 위치하되 제2무릎측면지지대(350)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것이다.
제4측면스프링(154)은 제2후면부체결부(150)의 제2후면부체결홀(151)의 타측면에 위치하되 제2무릎측면지지대(350)의 타측면과 연결되는 것이다.
제3하부면스프링(155)은 제2후면부체결부(150)의 제2후면부체결홀(151)의 바닥면에 위치하되 제2무릎측면지지대(350)의 하단과 연결되는 것이다.
제3측면스프링(153), 제4측면스프링(154), 제3하부면스프링(155)의 동작도 도 8(b)의 제1측면스프링(143), 제2측면스프링(144), 제1하부면스프링(145)의 동작 및 위치와 동일하므로 이의 작동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3후면부체결부(160)는 제5측면스프링(163), 제6측면스프링(164), 제5하부면스프링(1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5측면스프링(163)은 제4후면부체결부(160)의 제3후면부체결홀(161)의 일측면에 위치하되 제3무릎측면지지대(440)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것이다.
제6측면스프링(164)은 제4후면부체결부(160)의 제3후면부체결홀(161)의 타측면에 위치하되 제3무릎측면지지대(440)의 타측면과 연결되는 것이다.
제5하부면스프링(165)은 제4후면부체결부(160)의 제3후면부체결홀(161)의 바닥면일측에 위치하되 제3무릎측면지지대(440)의 하단 일측과 연결되는 것이다.
제5측면스프링(163), 제6측면스프링(164), 제5하부면스프링(165)의 동작도 도 8(b)의 제1측면스프링(143), 제2측면스프링(144), 제1하부면스프링(145)의 동작 및 위치와 동일하므로 이의 작동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4후면부체결부(170)는 제7측면스프링(173), 제8측면스프링(174), 제7하부면스프링(17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7측면스프링(173)은 제4후면부체결부(170)의 제4후면부체결홀(171)의 일측면에 위치하되 제4무릎측면지지대(450)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것이다.
제8측면스프링(174)은 제4후면부체결부(170)의 제4후면부체결홀(171)의 타측면에 위치하되 제4무릎측면지지대(450)의 타측면과 연결되는 것이다.
제7하부면스프링(175)은 제4후면부체결부(170)의 제4후면부체결홀(171)의 바닥면일측에 위치하되 제4무릎측면지지대(450)의 하단 일측과 연결되는 것이다.
제7측면스프링(173), 제8측면스프링(174), 제7하부면스프링(175)의 동작도 도 8(b)의 제1측면스프링(143), 제2측면스프링(144), 제1하부면스프링(145)의 동작 및 위치와 동일하므로 이의 작동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 2]
또 다른 실시예 2는 제1후면부체결부(140),제2후면부체결부(150), 제3후면부체결부(160), 제4후면부체결부(170)의 내부 구조를 변경한다. 대표적으로 도 9에 도시된 제1후면부체결부(140) 내부 모습을 참고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제1후면부체결부(140)는 제1측면탄성체(146), 제2측면탄성체(147), 제2하부면스프링(14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측면탄성체(146)는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1후면부체결홀(141)의 일측면에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제2측면탄성체(147)는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1후면부체결홀(141)의 타측면에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제2하부면스프링(148)은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1후면부체결홀(141)의 바닥면일측에 위치하되 제1무릎측면지지대(340)의 하단 일측과 연결되는 것이다.
도 9(b)는 무릎보호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무릎이 경첩됐을 때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제1무릎측면지지대(340)의 움직임을 나타낸 모습이다.
무릎이 경첩됐을 때 제1회전축(320)에 의해 제1무릎측면지지대(340)이 회전되어 제1무릎측면지지대(340)가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1후면부체결홀(141)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k2방향)으로 이탈될 때 제1측면탄성체(146)와 제2측면탄성체(147)은 기울어지는 제1무릎측면지지대(340)에 눌리어 탄성력을 발휘하여 지지하고(k4,k5화살표 참고), 제2하부면스프링(148)은 저항력을 발휘함으로서 제2무릎측면지지대(350)가 급격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서 무릎 저항력을 줄이고 무릎을 견고히 잡아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2후면부체결부(150)는 제3측면탄성체(156), 제4측면탄성체(157), 제4하부면스프링(1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측면탄성체(156)는 제2후면부체결부(150)의 제2후면부체결홀(151)의 일측면에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제3측면탄성체(156)는 제2후면부체결부(150)의 제2후면부체결홀(151)의 타측면에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제4하부면스프링(158)은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2후면부체결홀(151)의 바닥면일측에 위치하되 제2무릎측면지지대(350)의 하단 일측과 연결되는 것이다.
제3측면탄성체(156), 제4측면탄성체(157), 제4하부면스프링(158)의 동작은 도 9(b)의 제1측면탄성체(146), 제2측면탄성체(147), 제2하부면스프링(148)의 동작 및 위치와 동일하므로 이의 작동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4후면부체결부(160)은 제5측면탄성체(166), 제6측면탄성체(167), 제6하부면스프링(16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5측면탄성체(166)는 제3후면부체결부(160)의 제3후면부체결홀(161)의 일측면에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제6측면탄성체(167)는 제3후면부체결부(160)의 제3후면부체결홀(161)의 타측면에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제6하부면스프링(168)은 제3후면부체결부(160)의 제3후면부체결홀(161)의 바닥면일측에 위치하되 제3무릎측면지지대(440)의 하단 일측과 연결되는 것이다.
제5측면탄성체(166), 제6측면탄성체(167), 제6하부면스프링(168)의 동작도 도 9(b)의 제1측면탄성체(146), 제2측면탄성체(147), 제2하부면스프링(148)의 동작 및 위치와 동일하므로 이의 작동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4후면부체결부(170)는 제7측면탄성체(176), 제8측면탄성체(177), 제8하부면스프링(17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7측면탄성체(176)는 제4후면부체결부(170)의 제4후면부체결홀(171)의 일측면에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제8측면탄성체(177)는 제4후면부체결부(170)의 제4후면부체결홀(171)의 타측면에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제8하부면스프링(178)은 제4후면부체결부(170)의 제4후면부체결홀(171)의 바닥면일측에 위치하되 제4무릎측면지지대(450)의 하단 일측과 연결되는 것이다.
제7측면탄성체(176), 제8측면탄성체(177), 제8하부면스프링(178)의 동작도 도 9(b)의 제1측면탄성체(146), 제2측면탄성체(147), 제2하부면스프링(148)의 동작 및 위치와 동일하므로 이의 작동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무릎보호대본체전면부
110 전면부몸체부
111 무릎수용홀
112 제1힘분산그물부
113 제2힘분산그물부
114 제1오목부
115 제2오목부
120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
121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홀
130 제2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
131 제2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홀
140 제1후면부체결부
141 제1후면부체결홀
142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
143 제1측면스프링
144 제2측면스프링
145 제1하부면스프링
146 제1측면탄성체
147 제2측면탄성체
148 제2하부면스프링
150 제2후면부체결부
151 제2후면부체결홀
152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
153 제3측면스프링
154 제4측면스프링
155 제3하부면스프링
156 제3측면탄성체
157 제4측면탄성체
158 제4하부면스프링
160 제3후면부체결부
161 제3후면부체결홀
162 제3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
163 제5측면스프링
164 제6측면스프링
165 제5하부면스프링
166 제5측면탄성체
167 제6측면탄성체
168 제6하부면스프링
170 제4후면부체결부
171 제4후면부체결홀
172 제4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
173 제7측면스프링
174 제8측면스프링
175 제7하부면스프링
176 제7측면탄성체
177 제8측면탄성체
178 제8하부면스프링
200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
210 제1체결부
220 제2체결부
230 제3체결부
240 제4체결부
300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
310 제1자유이동부
320 제1회전축
330 제2회전축
340 제1무릎측면지지대
341 제1꺽임부
342 제1레일부
350 제2무릎측면지지대
351 제2꺾임부
352 제2레일부
400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
410 제2자유이동부
420 제3회전축
430 제4회전축
440 제3무릎측면지지대
441 제3꺾임부
442 제3레일부
450 제4무릎측면지지대
451 제4꺽임부
452 제4레일부

Claims (6)

  1. 무릎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무릎보호대본체전면부(100)와,
    몸체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체결부(210)와 제2체결부(220)가 형성되고 몸체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3체결부(230)와 제4체결부(240)가 형성되는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와,
    소정 길이의 제1자유이동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자유이동부(310)와 제1무릎측면지지대(340)가 겹쳐지는 위치의 일측에 제1회전축(3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자유이동부(310)와 제2무릎측면지지대(350)가 겹쳐지는 위치의 일측에 제2회전축(330)이 형성되고, 소정 길이를 가지되 일측이 제1자유이동부(310)의 일측과 겹쳐지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1무릎측면지지대(340)가 형성되고, 소정 길이를 가지되 일측이 제1자유이동부(310)의 타측과 겹쳐지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2무릎측면지지대(350)가 형성되는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와,
    소정 길이의 제2자유이동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자유이동부(410)와 제3무릎측면지지대(440)가 겹쳐지는 위치의 일측에 제3회전축(4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자유이동부(410)와 제3무릎측면지지대(450)가 겹쳐지는 위치의 일측에 제4회전축(430)이 형성되고, 소정 길이를 가지고 일측이 제2자유이동부(410)의 일측과 겹쳐지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3무릎측면지지대(440)가 형성되고, 소정 길이를 가지고 일측이 제2자유이동부(410)의 타측과 겹쳐지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4무릎측면지지대(450)가 형성되는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릎측면지지대(340)는
    상기 제1무릎측면지지대(340)의 일측이 소정각도로 꺾이어 형성되는 제1꺾임부(341)를 포함하고,

    상기 제2무릎측면지지대(350)는
    상기 제2무릎측면지지대(350)의 일측이 소정각도로 꺾이어 형성되는 제2꺾임부(351)를 포함하고,

    상기 제3무릎측면지지대(440)는
    상기 제3무릎측면지지대(440)의 일측이 소정각도로 꺾이어 형성되는 제3꺾임부(441)를 포함하고,

    상기 제4무릎측면지지대(450)는
    상기 제4무릎측면지지대(450)의 일측이 소정각도로 꺾이어 형성되는 제4꺾임부(4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릎측면지지대(340)는
    상기 제1무릎측면지지대(34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레일이 형성되는 제1레일부(342)를 포함하고,

    상기 제2무릎측면지지대(350)는
    상기 제2무릎측면지지대(35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레일이 형성되는 제2레일부(352)를 포함하고,
    상기 제3무릎측면지지대(440)는
    상기 제3무릎측면지지대(44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레일이 형성되는 제3레일부(442)를 포함하고,

    상기 제4무릎측면지지대(450)는
    상기 제4무릎측면지지대(45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레일이 형성되는 제4레일부(4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대.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보호대본체전면부(100)는
    무릎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되 무릎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크기의 무릎수용홀(111)이 형성되는 전면부몸체부(110)와,
    전면부몸체부(110)의 제1오목부(114)의 일측에 위치하되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가 관통되도록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홀(121)이 형성되는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와,
    전면부몸체부(110)의 제2오목부(115)의 일측에 위치하되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가 관통되도록 제2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홀(131)이 형성되는 제2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30)와,
    전면부몸체부(1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되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의 제1체결부(210)가 체결되기 위한 제1후면부체결홀(141)이 형성되고,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일측이 인입되도록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42)이 형성되는 제1후면부체결부(140)와,
    전면부몸체부(11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되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의 제2체결부(220)가 체결되기 위한 제2후면부체결홀(151)이 형성되고,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타측이 인입되도록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52)이 형성되는 제2후면부체결부(150)와,
    전면부몸체부(11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되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의 제4체결부(240)가 체결되기 위한 제3후면부체결홀(161)이 형성되고,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의 일측이 인입되도록 제2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30)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3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62)이 형성되는 제3후면부체결부(160)와,
    전면부몸체부(11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되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의 제2체결부(220)가 체결되기 위한 제4후면부체결홀(171)이 형성되고,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타측이 인입되도록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4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72)이 형성되는 제4후면부체결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몸체부(110)는
    상기 무릎수용홀(111)의 상부에 위치하되 그물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힘분산그물부(112)와,
    상기 무릎수용홀(111)의 하부에 위치하되 그물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힘분산그물부(113)와,
    상기 전면부몸체부(110)의 일측면이 오목하도록 형성되는 제1오목부(114)와,
    상기 전면부몸체부(110)의 타측면이 오목하도록 형성되는 제2오목부(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대.
  5. 제1항 또는 제2항 중에 있어서,
    상기 무릎보호대본체전면부(100)는
    무릎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되 무릎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크기의 무릎수용홀(111)이 형성되는 전면부몸체부(110)와,
    전면부몸체부(110)의 제1오목부(114)의 일측에 위치하되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가 관통되도록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홀(121)이 형성되는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와,
    전면부몸체부(110)의 제2오목부(115)의 일측에 위치하되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가 관통되도록 제2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홀(131)이 형성되는 제2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30)와,
    전면부몸체부(1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되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의 제1체결부(210)가 체결되기 위한 제1후면부체결홀(141)이 형성되고,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일측이 인입되도록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42)이 형성되는 제1후면부체결부(140)와,
    전면부몸체부(11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되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의 제2체결부(220)가 체결되기 위한 제2후면부체결홀(151)이 형성되고,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타측이 인입되도록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52)이 형성되는 제2후면부체결부(150)와,
    전면부몸체부(11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되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의 제4체결부(240)가 체결되기 위한 제4후면부체결홀(161)이 형성되고,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의 일측이 인입되도록 제2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30)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3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62)이 형성되는 제3후면부체결부(160)와,
    전면부몸체부(11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되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의 제2체결부(220)가 체결되기 위한 제2후면부체결홀(151)이 형성되고,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타측이 인입되도록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4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72)이 형성되는 제4후면부체결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후면부체결부(140)는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1후면부체결홀(141)의 일측면에 위치하되 제1무릎측면지지대(340)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1측면스프링(143)과,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1후면부체결홀(141)의 타측면에 위치하되 제1무릎측면지지대(340)의 타측면과 연결되는 제2측면스프링(144)과,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1후면부체결홀(141)의 바닥면일측에 위치하되 제1무릎측면지지대(340)의 하단 일측과 연결되는 제1하부면스프링(145)을 포함하고,

    상기 제2후면부체결부(150)는
    제2후면부체결부(150)의 제2후면부체결홀(151)의 일측면에 위치하되 제2무릎측면지지대(350)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3측면스프링(153)과,
    제2후면부체결부(150)의 제2후면부체결홀(151)의 타측면에 위치하되 제2무릎측면지지대(350)의 타측면과 연결되는 제4측면스프링(154)과,
    제2후면부체결부(150)의 제2후면부체결홀(151)의 바닥면에 위치하되 제2무릎측면지지대(350)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3하부면스프링(155)을 포함하고,

    상기 제3후면부체결부(160)는
    제4후면부체결부(160)의 제3후면부체결홀(161)의 일측면에 위치하되 제3무릎측면지지대(440)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5측면스프링(163)과,
    제4후면부체결부(160)의 제3후면부체결홀(161)의 타측면에 위치하되 제3무릎측면지지대(440)의 타측면과 연결되는 제6측면스프링(164)과,
    제4후면부체결부(160)의 제3후면부체결홀(161)의 바닥면일측에 위치하되 제3무릎측면지지대(440)의 하단 일측과 연결되는 제5하부면스프링(165)을 포함하고,

    상기 제4후면부체결부(170)는
    제4후면부체결부(170)의 제4후면부체결홀(171)의 일측면에 위치하되 제4무릎측면지지대(450)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7측면스프링(173)과,
    제4후면부체결부(170)의 제4후면부체결홀(171)의 타측면에 위치하되 제4무릎측면지지대(450)의 타측면과 연결되는 제8측면스프링(174)과,
    제4후면부체결부(170)의 제4후면부체결홀(171)의 바닥면일측에 위치하되 제4무릎측면지지대(450)의 하단 일측과 연결되는 제7하부면스프링(1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대.
  6. 제1항 또는 제2항 중에 있어서,
    상기 무릎보호대본체전면부(100)는
    무릎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되 무릎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크기의 무릎수용홀(111)이 형성되는 전면부몸체부(110)와,
    전면부몸체부(110)의 제1오목부(114)의 일측에 위치하되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가 관통되도록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홀(121)이 형성되는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와,
    전면부몸체부(110)의 제2오목부(115)의 일측에 위치하되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가 관통되도록 제2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홀(131)이 형성되는 제2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30)와,
    전면부몸체부(1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되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의 제1체결부(210)가 체결되기 위한 제1후면부체결홀(141)이 형성되고,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일측이 인입되도록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42)이 형성되는 제1후면부체결부(140)와,
    전면부몸체부(11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되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의 제2체결부(220)가 체결되기 위한 제2후면부체결홀(151)이 형성되고,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타측이 인입되도록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52)이 형성되는 제2후면부체결부(150)와,
    전면부몸체부(11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되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의 제4체결부(240)가 체결되기 위한 제4후면부체결홀(161)이 형성되고, 제2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400)의 일측이 인입되도록 제2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30)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3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62)이 형성되는 제3후면부체결부(160)와,
    전면부몸체부(11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되 무릎보호대본체후면부(200)의 제2체결부(220)가 체결되기 위한 제2후면부체결홀(151)이 형성되고, 제1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300)의 타측이 인입되도록 제1무릎구부림가이드관통부(120)와 마주보는 방향에 제4무릎구부림가이드지지부수용홀(172)이 형성되는 제4후면부체결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후면부체결부(140)는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1후면부체결홀(141)의 일측면에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1측면탄성체(146)와,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1후면부체결홀(141)의 타측면에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2측면탄성체(147)와,
    제1후면부체결부(140)의 제1후면부체결홀(141)의 바닥면일측에 위치하되 제1무릎측면지지대(340)의 하단 일측과 연결되는 제2하부면스프링(148)을 포함하고,

    상기 제2후면부체결부(150)는
    제2후면부체결부(150)의 제2후면부체결홀(151)의 일측면에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3측면탄성체(156)와,
    제2후면부체결부(150)의 제2후면부체결홀(151)의 타측면에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4측면탄성체(157)와,
    제2후면부체결부(150)의 제2후면부체결홀(151)의 바닥면일측에 위치하되 제2무릎측면지지대(350)의 하단 일측과 연결되는 제4하부면스프링(158)을 포함하고,

    상기 제3후면부체결부(160)는
    제3후면부체결부(160)의 제3후면부체결홀(161)의 일측면에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5측면탄성체(166)와,
    제3후면부체결부(160)의 제3후면부체결홀(161)의 타측면에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6측면탄성체(167)와,
    제3후면부체결부(160)의 제3후면부체결홀(161)의 바닥면일측에 위치하되 제3무릎측면지지대(440)의 하단 일측과 연결되는 제6하부면스프링(168)을 포함하고,

    상기 제4후면부체결부(170)는
    제4후면부체결부(170)의 제4후면부체결홀(171)의 일측면에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7측면탄성체(176)와,
    제4후면부체결부(170)의 제4후면부체결홀(171)의 타측면에 위치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8측면탄성체(177)와,
    제4후면부체결부(170)의 제4후면부체결홀(171)의 바닥면일측에 위치하되 제4무릎측면지지대(450)의 하단 일측과 연결되는 제8하부면스프링(1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대.


KR1020220048830A 2022-04-20 2022-04-20 무릎보호대 KR102641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830A KR102641251B1 (ko) 2022-04-20 2022-04-20 무릎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830A KR102641251B1 (ko) 2022-04-20 2022-04-20 무릎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524A true KR20230149524A (ko) 2023-10-27
KR102641251B1 KR102641251B1 (ko) 2024-02-27

Family

ID=8851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830A KR102641251B1 (ko) 2022-04-20 2022-04-20 무릎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2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824Y1 (ko) * 2006-08-10 2006-12-28 류실근 무릎보호대
KR100742181B1 (ko) * 2006-08-10 2007-07-24 류실근 무릎 보호대
KR101277230B1 (ko) 2013-03-20 2013-07-01 (주)오케이메디텍 무릎보호대
US20160367390A1 (en) * 2004-07-22 2016-12-22 Nordt Development Co., Llc Potentiating support with expandable framework
KR102170471B1 (ko) 2020-07-07 2020-10-28 김세혁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67390A1 (en) * 2004-07-22 2016-12-22 Nordt Development Co., Llc Potentiating support with expandable framework
KR200434824Y1 (ko) * 2006-08-10 2006-12-28 류실근 무릎보호대
KR100742181B1 (ko) * 2006-08-10 2007-07-24 류실근 무릎 보호대
KR101277230B1 (ko) 2013-03-20 2013-07-01 (주)오케이메디텍 무릎보호대
KR102170471B1 (ko) 2020-07-07 2020-10-28 김세혁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251B1 (ko)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622508T2 (de) Geschlitzte Handgelenksstützmanschette
US5193771A (en) Typist's wrist support
KR102152640B1 (ko)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
US5222256A (en) Knee or elbow pad
KR20100121439A (ko) 슬라이드 어저스터
US5397296A (en) Wrist support and wrist support stay
DE19853899A1 (de) Vorrichtung zur elektrischen Verbindung eines Handys mit einer Tastatur
SE542422C2 (en) Baby carrier with adjustable head support
US5841859A (en) Structure of a telephone receiver
KR102641251B1 (ko) 무릎보호대
US5007415A (en) Joint brace
KR860700022A (ko) 가요 성돛 조절장치
EP1784094B1 (en) Helmet ear loop
US4807607A (en) Brace for treatment of lower arm complaints
US4915046A (en) Seam construction for connecting elastomeric foam sheets
KR102549957B1 (ko) 무릎보호대
US1076675A (en) Hose-supporter.
US20030004447A1 (en) Traction bandage
KR102655454B1 (ko) 손목 보호대
KR102141960B1 (ko) 볼링용 커핑 밴드
KR102616550B1 (ko) 신발 착화용 보조기구
KR102431035B1 (ko) 무릎보호대
KR20220064569A (ko) 무릎보호대
CN214908895U (zh) 一种多功能神经外科护理用约束带
KR102667458B1 (ko) 근력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