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230B1 - 무릎보호대 - Google Patents

무릎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230B1
KR101277230B1 KR1020130044591A KR20130044591A KR101277230B1 KR 101277230 B1 KR101277230 B1 KR 101277230B1 KR 1020130044591 A KR1020130044591 A KR 1020130044591A KR 20130044591 A KR20130044591 A KR 20130044591A KR 101277230 B1 KR101277230 B1 KR 101277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ortion
binding
knee protector
kne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상범
Original Assignee
(주)오케이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케이메디텍 filed Critical (주)오케이메디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 A41D13/0568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71/12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 A63B2071/1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for the kn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측에 연결된 상/하측 각각의 한쌍씩 접착부가 형성된 연결부가 전측으로 압박하는 무릎보호대에 있어 상기 연결부에 의한 무릎의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에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압박하는 것으로 무릎의 후측에서 교차되어 무릎의 전측으로 압박이 가해져 무릎보호대의 압박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방향성이 특정되지 않아 상하좌우측 무릎에 상관없이 무릎 보호대를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무릎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릎보호대{A knee protection brace}
본 발명은 후측에 연결된 상/하측 각각의 한쌍씩 접착부가 형성된 연결부가 전측으로 압박하는 무릎보호대에 있어 상기 연결부에 의한 무릎의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에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압박하는 것으로 무릎의 후측에서 교차되어 무릎의 전측으로 압박이 가해져 무릎보호대의 압박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방향성이 특정되지 않아 상하좌우측 무릎에 상관없이 무릎 보호대를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무릎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릎 보호대는 운동, 스포츠, 등산 등과 같은 레저용이나 또는 의료용 보조 기구로 무릎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와 기능을 갖는 무릎 보호대가 시중에서 판매되거나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무릎 보호대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75400호, 등록실용 제20-0336506호, 등록실용 제20-0441877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들은 공통적으로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가 한 쪽 방향에 배열되고, 그 반대 쪽 방향에 벨크로 테이프를 접착하여 관절 보호대를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신축성을 갖는 무릎 보호대를 어느 정도 인장시킨 상태에서 벨크로 테이프를 접착시키게 되면 관절 보호대는 수축하여 무릎을 압박하게 되는데,
이 경우 무릎 보호대의 신축성은 어느 한계로 정해져 있어 무릎의 압박력을 증강시키기 위해 무릎 보호대를 신장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
즉 상기 종래기술들은 벨크로 테이프가 동일한 방향에서 두 지점을 지지하여 무릎 보호대의 결속을 증강시킬 수는 있으나, 무릎 보호대에 의한 압박 정도는 벨크로 테이프가 접착된 한 지점에서의 압박 정도와 동일하게 되어 무릎 보호대에 의한 압박력을 증강시키는 데에는 문제가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종래기술들은 단순히 동일한 방향에 배열된 벨크로 테이프를 단순히 벨크로 원단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무릎에 착용하게 되므로 무릎 보호대를 작용한 상태에서 장시간 운동이나 등산을 하는 경우 무릎 보호대가 풀리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인 무릎 보호대가 풀리는 경우 무릎 보호대를 다시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으로 제품의 신뢰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접착부가 형성된 연결부가 일측 연결부의 절개홈을 통과하여 서로 교차된 구조를 이루어 양측 연결부를 당길시 힘이 서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압박되는 부위가 균등한 압박을 주게 되어 흘러내림과 활동시 편안한 착용감과 안정감을 유지하여 사용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무릎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조연결부재는 무릎보호대를 착용한 후 무릎보호대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무릎보호대의 위치를 교정하거나 또는 풀어서 다시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 사용 편의성을 보장하고, 그리고 무릎 보호대의 후방에 관절의 굽힘으로 보호대의 변형을 방지하게 되어 관절의 움직임이 보다 수월하게 움직일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무릎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앙에 고정홈이 형성되며, 일측에 형성되어 내측 끝단에 접착부가 형성된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연장되고, 타측에 형성되어 내측 끝단에 접착부가 형성된 제3연결부와 제4연결부가 연장되는 몸체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몸체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보조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연결부와 제4연결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몸체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2보조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2보조연결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내측에 접착부가 형성된 연결밴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2보조연결부가 관통된 연결관을 내속되어 교차되게 연결되는 보조연결부재로 구성되는 무릎보호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연결부와 제4연결부의 내측 일면에 절개홈이 형성하되, 상기 절개홈 둘레의 내면에 고정띠가 형성되는 무릎보호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몸체의 고정홈 둘레의 내면에 신축링이 형성되는 무릎보호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몸체의 전면이 접착부가 부착되도록 부직포로 형성되는 무릎보호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무릎보호대를 착용 후 무릎보호대의 몸체의 상측면, 하측면 또는 측면에 “X”자형으로 압박하는 보조밴드 한쌍이 형성되는 무릎보호대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릎보호대의 몸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부에 있어 접착부가 형성된 연결부가 일측 연결부의 절개홈을 통과하여 서로 교차된 구조를 이루어 양측 연결부를 당길시 힘이 서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압박되는 부위가 균등한 압박을 주게 되어 흘러내림과 활동시 편안한 착용감과 안정감을 유지하여 사용 편의성을 보장하며, 그리고 무릎보호대의 보조연결부재는 무릎보호대를 착용한 후 무릎보호대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무릎보호대의 위치를 교정하거나 또는 풀어서 다시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 사용 편의성을 보장하고, 그리고 무릎 보호대의 후방에 관절의 굽힘으로 보호대의 변형을 방지하게 되어 관절의 움직임이 보다 수월하게 움직일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무릎보호대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대의 몸체 전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대의 몸체 후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대에서 몸체-보조연결부재가 연결된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대에서 보조연결부재의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대를 착용한 상태의 전방(a)과 후방(b) 착용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대에서 몸체-결속끈-고정부재-제1, 2압박부재가 연결되는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대에서 몸체-결속끈이 연결된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대에서 결속끈이 고정부재와 제1, 2압박부재와 연결된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대에서 제1압박부재(a)와 고정부재(b)의 평면/저면 구조도.
도 10은 도 6의 몸체-결속끈-고정부재-제1, 2압박부재가 연결된 무릎보호대를 착용한 상태의 전방(a)과 후방(b) 착용도.
도 11은 도 10의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대에서 “C”부위에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대의 몸체-가이드부-결속끈이 연결된 구조도.
도 13은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대의 몸체-가이드부-결속끈이 연결된 확대도.
도 14는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대에서 절개홈 A-A 단면도(a)와 내부조립단면도(b).
도 15는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대에서 고정홈 B-B 단면도(a)와 내부단면도(b).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대에서 보조밴드 구조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대에 보조밴드를 착용한 상태도(a) (b) (c) (d).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보호대에 각도조절부재가 설치된 무릎보호대를 착용한 착용도.
본 발명은 도 1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에 고정홈(113)이 형성되며, 일측에 형성되어 내측 끝단에 접착부(10)가 형성된 제1연결부(111a)와 제2연결부(112a)가 연장되고, 타측에 형성되어 내측 끝단에 접착부(10)가 형성된 제3연결부(111b)와 제4연결부(112b)가 연장되는 몸체(110)와, 상기 제1연결부(111a)와 제2연결부(112a)의 사이에 형성되어 몸체(110)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보조연결부(121a)가 형성되고, 상기 제3연결부(111b)와 제4연결부(112b)의 사이에 형성되어 몸체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2보조연결부(121b)가 형성되며, 상기 제1보조연결부(121a)와 제2보조연결부(121b)의 끝단에 형성되어 내측에 접착부(10)가 형성된 연결밴드(1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보조연결부(121a)와 제2보조연결부(121b)가 관통된 연결관(123)을 내속되어 교차되게 연결되는 보조연결부재(120)로 구성되는 무릎보호대(100)를 제공한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중앙에 고정홈(113)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제1연결부(111a)와 제2연결부(112a)가 연장되는 띠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110)의 타측에 제3연결부(111b)와 제4연결부(112b)가 연장되는 띠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111a)와 제3연결부(111b)는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며, 제2연결부(112a)와 제4연결부(112b)는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111a)와 제2연결부(112a) 사이 그리고 제3연결부(111b)와 제4연결부(112b) 사이에 형성된 제1보조연결부(121a)와 제2보조연결부(121b)가 띠형상으로 연결되어 형성하되, 상기 제1보조연결부(121a)의 일단이 연결관(123)의 일측으로 내속되어 연결관(123)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2보조연결부(121b)의 일단이 연결관(123)의 타측으로 내속되어 연결관(123) 외부로 연장되는 형태인 즉, 상기 제1보조연결부(121a)와 제2보조연결부(121b)가 연결관(123)을 서로 교차되어지도록 내통되는 형태로 보조연결부재(120)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보조연결부(121a)와 제2보조연결부(121b)의 끝단에는 접착부(10)가 내측에 형성된 연결밴드(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111a), 제2연결부(112a), 제3연결부(111b), 제4연결부(112b), 제1보조연결부(121a) 및 제2보조연결부(121b)의 내측에 접착부(10)는 벨크로형태로 형성되어 몸체(110)의 전면(前面) 전체가 부직포형태로 상기 접착부(10)가 몸체(110)의 전면(前面)에 부착되도록 제공된다.
이렇게 도 5와 같이 무릎보호대(100)의 착용 후 무릎의 굽힘 동작과 같은 관절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상기 몸체(110)의 제1연결부(111a) 및 제3연결부(111b)는 몸체(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무릎 슬개골의 상부에 이어지는 대퇴골 쪽을 감싸고, 아울러 몸체(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연결부(111b) 및 제4연결부(112b)는 무릎 슬개골 하부에 이어지는 경골 쪽을 감싸게 되므로 상대적은 두꺼운 대퇴골 쪽을 감싸는 제1연결부(111a) 및 제3연결부(111b)가 상대적으로 얇은 경골 쪽을 감싸는 제2연결부(112a) 및 제4연결부(112b)에 비하여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또한, 도 1,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111a)와 제2연결부(112a) 사이 그리고 제3연결부(112a)와 제4연결부(112b) 사이에 각각 몸체(110) 내측으로 인입된 반원형의 공간부(117)를 형성하는 무릎보호대(100)를 제공하며, 상기 공간부(117)를 형성함으로서 착용자가 무릎보호대(100)를 착용시 상기 양측 공간부(117)가 면접하여 무릎보호대의 후방에 형성하고, 이때 원형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에 착용자가 무릎의 관절을 움직여 보행 또는 운동시 자유롭게 관절을 움직일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여 제공된다.
도 5와 같이 이렇게 몸체(110)와 보조연결부재(120)로 구성되는 무릎보호대(100)를 착용자의 무릎에 착용시 먼저 몸체(110)의 고정홈(113)이 무릎 슬개골에 위치하도록 하고, 몸체(110)의 상부에 위치한 제1연결부(111a)의 절개홈(115)을 통과한 제3연결부(111b)에서 상기 제1연결부(111a) 및 제3연결부(111b)가 교차된 상태로 형성되어 제1연결부(111a) 및 제3연결부(111b)의 끝단을 당겨 무릎의 대퇴부를 감싸도록 하여 제1연결부(111a) 및 제3연결부(111b)의 내측 끝단에 형성된 접착부(10)를 몸체(110)의 일면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제2연결부(112a) 및 제4연결부(112b)도 상술한 제1연결부(111a) 및 제3연결부(111b)의 체결구조와 동일하게 경골 쪽을 감싸 몸체(110)의 일면에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연결부재(120)에서 제1보조연결부(121a) 및 제2보조연결부(121b)가 연결관(123)에 의해 교차되어 제1보조연결부(121a) 및 제2보조연결부(121b)의 끝단에 형성된 연결밴드(122)를 당겨 무릎 슬개골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한 몸체(110)의 일면에 부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무릎 부위에 무릎보호대(100)를 착용하게 되며, 통증 또는 골절부위를 압박하여 치료하게 되며, 착용후 관절의 움직임에도 무릎보호대(100)가 뒤틀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무릎보호대(100)가 착용된 무릎 후방이 개방되어 관절의 움직임을 더욱 자유롭게 적용된다.
또한, 도 6에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111a)와 제2연결부(112a) 사이 그리고 제3연결부(112a)와 제4연결부(112b) 사이에 각각 몸체(110) 내측으로 인입된 반원형의 공간부(117)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 형성된 공간부(117) 각각의 몸체(110) 내측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결속공(118)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결속공(118)을 꿰어 일측 및 타측이 연장되도록 몸체(110) 양측에 각각 결속끈(130)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끈(130) 중 일측 결속끈(130)의 일측 끝단과 타측 결속끈(130)의 일측 끝단에 결속링(131)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링(131)을 결속하도록 양측단에 결속고리(141)가 형성되며, 저면에 접착부(10)가 형성된 고정부재(140a)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끈(130) 중 일측 결속끈(130)의 타측 끝단에 결속링(131)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링(131)을 결속하도록 일측단에 결속고리(141)가 형성되며, 저면에 접착부(10)가 형성된 제1압박부재(140b)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끈(130) 중 타측 결속끈(130)의 타측 끝단에 결속링(131)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링(131)을 결속하도록 일측단에 결속고리(141)가 형성되며, 저면에 접착부(10)가 형성된 제2압박부재(140c)가 형성되는 무릎보호대(100)를 제공한다.
도 6에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 형성된 각각 공간부(117) 내측의 몸체(110) 일면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결속공(118)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결속공(118)을 결속끈(130)으로 꿰어 결속공(118) 외측으로 연장된 상태의 몸체(110)를 무릎에 착용하게 되며, 착용시 상술한 제1, 2, 3, 4연결부(111a, 112a, 111b, 112b)의 착용 방법과 동일하게 무릎에 착용하게 되며, 이때 상기 고정부재(140a)를 무릎에 감싼 몸체(110)의 전방면 전측 또는 후측 일면에 부착하고, 상기 몸체(110)의 후방면에서 각각의 결속끈(130) 일측이 교차되어 몸체(110)의 전방면을 향하도록 하여 이때 각각의 결속끈(13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결속링(131)을 몸체(110)의 전방면 일면에 부착된 고정부재(140a)의 양측단에 형성된 결속고리(141)에 걸어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후방면에서 각각의 결속끈(130) 타단이 교차되어 몸체(110)의 전방면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양측 결속끈(130) 중 일측 결속끈(13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 결속링(131)을 제1압박부재(140b)의 일측단에 형성된 결속고리(141)에 결속시켜 상기 제1압박부재(140b)를 몸체(110)의 전방면 전측 또는 후측의 일면에 부착하고, 상기 양측 결속끈(130) 중 일측 결속끈(13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 결속링(131)을 제2압박부재(140c)의 일측단에 형성된 결속고리(141)에 결속시켜 상기 제2압박부재(140c)를 몸체(110)의 전방면 전측 또는 후측의 일면에 부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압박부재(140b)와 제2압박부재(140c)를 포개어 부착하거나 상하로 배열하여 부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140a)가 몸체(110)의 전방면 전측 일면에 부착하면 제1, 2압박부재(140a, 140c)는 몸체(110)의 전방면 하측 일면에 부착하게 된다.
또한, 도 10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를 무릎에 착용하여 몸체(110)의 후방면에 양측 결속끈(130)이 내통된 한쌍의 연결공(151)에 삽입되어 교차되도록 완충부재(150)가 더 포함되는 무릎보호대(100)를 제공한다.
상기 완충부재(150)는 무릎에 몸체(110)를 착용하여 몸체(110)의 후방면에서 양측의 결속끈(130)이 교차되어 무릎 후방면을 압박하여 발생되는 통증을 경감하도록 완충부재(500)의 길이방향으로 내통된 한쌍의 연결공(151)을 통해 결속끈(130)이 교차되어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117)가 형성된 몸체(110)의 외측단에 다수의 결속공(118)이 형성되어 결속끈(130)을 체결하는 구조와는 달리, 도 12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 형성된 공간부(117) 각각의 몸체(110) 내측단에 반원형의 띠형상을 가지며, 양측단이 부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일측단과 타측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가이드부(119)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19) 내부에 내통되는 결속끈(130)으로 이루어지는 무릎보호대(100)를 제공하며, 상기 공간부(117)가 형성된 몸체(110)의 내측단에 반원형의 가이드부(119)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부(119) 내부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단과 타측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양측단은 몸체(110)의 일면에 부착 즉, 박음질로 밀폐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도 13과 같이 공간부(117)가 형성된 몸체(110)의 외측단에 가이드부(119)가 형성되어 상기 결속끈(130)의 일단이 가이드부(119)의 일측단을 통해 내속하여 가이드부(119)의 타측단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가이드부(119)의 일측과 외측으로 연장된 결속끈(130)이 가이드부(130) 내부를 내통되게 형성된다.
이에, 연장된 결속끈(130)의 끝단을 고정부재(140a), 제1압박부재(140b) 및 제2압박부재(140c)를 결속하여 몸체(110)에 부착하는 원리는 상술한 결속끈(130)이 고정부재(140a), 제1압박부재(140b) 및 제2압박부재(140c)에 부착되는 구성원리와 동일하게 제공한다.
한편, 후술되는 제1연결부(111a)와 제4연결부(112b)에 형성된 절개홈(115)을 통해 상기 무릎보호대(100)를 착용함에 도식화되지 않은 착용방법을 설명하자면, 상기 몸체(110) 일측에 형성된 결속끈(130)의 일단이 제1연결부(111a)의 절개홈(115)을 통과하면서 상기 몸체(110)의 타측에 형성된 결속끈(130)의 일단이 제1연결부(111a)의 절개홈(115)을 통과하여 서로 교차하면서 고정부재(140a)에 의해 결속하여 무릅 전방에 형성된 몸체(110)의 일면에 부착/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 일측에 형성된 결속끈(130)의 타단이 제4연결부(112b)의 절개홈(115)을 통과하면서 상기 몸체(110)의 타측에 형성된 결속끈(130)의 타단이 제4연결부(112b)의 절개홈(115)을 통과하여 서로 교차하면서 결속끈(130)의 끝단에 제1, 2압박부재(140b, 140c)를 각각 결속하여 무릎 전방에 형성된 몸체(110)의 타면에 부착/고정한다.
이렇게 결속끈(130)이 절개홈(115)을 통과함으로서 무릎 후부를 압박하는 통증을 완화하는 동시에 가이드부(119)가 찌그러지거나 접혀지지 않아 공간을 확보하여 사용자에 편안함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 2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111a)와 제4연결부(112b)의 내측 일면에 절개홈(115)이 형성하되, 상기 절개홈(115) 둘레의 내면에 고정띠(116)가 형성되는 무릎보호대(100)를 제공한다.
상기 제1연결부(111a)의 내측 일면에 형성된 절개홈(115)에 상기 제1연결부(111a)와 대면하는 제3연결부(111b)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구조, 즉 상기 제3연결부(111b)가 절개홈(115)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내통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를 말하며, 이렇게 제1연결부(111a)와 제3연결부(111b)가 서로 교차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연결부(112b)의 내측 일면에 형성된 절개홈(115)에 상기 제4연결부(112b)와 대면하는 제2연결부(112a)가 절개홈(115)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어 연결되는 구조로 상기 제2연결부(112a)와 제4연결부(112b)가 서로 교차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홈(115)에 제2연결부(112a) 또는 제3연결부(111b)가 관통되어 당겨질 때 상기 절개홈(115)이 찌그러져 제1연결부(111a) 또는 제4연결부(112b)가 비틀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개홈(115)의 둘레 내면에 금속 또는 고강도의 플라스틱 재질의 고정띠(116)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제1연결부(111a)의 절개홈(115)을 통과한 제3연결부(111b)가 상기 제1연결부(111b)와 교차되어 착용된 무릎보호대(100)의 전방으로 당길시 제1연결부(111a)와 제3연결부(111b)가 균등한 힘의 분배로 당겨져 무릎보호대(100)의 전측인 몸체(110)의 일면에 부착하게 되어 압박부위를 고르게 압박하여 무릎보호대(100)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정위치에 무릎보호대(100)가 위치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112a)와 제4연결부(112b)도 상기 제1연결부(111a)와 제3연결부(111b)의 체결방식과 작용도 동일하게 작용하게 된다.
또한, 도 2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고정홈(113) 둘레의 내면에 신축링(114)이 형성되는 무릎보호대(100)를 제공한다.
상기 무릎보호대(100)를 착용자의 무릎에 착용시 상기 몸체(110)의 고정홈(113)이 착용자의 무릎의 슬개골을 노출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고정홈(113)의 둘레 내면에 신축링(114)이 형성됨으로서 무릎의 슬개골에 몸체(110)의 고정홈(113)이 신축성을 가지는 동시에 압박하도록 하여 착용된 무릎보호대(100)가 이탈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16과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무릎보호대(100)를 착용 후 무릎보호대(100)의 몸체(110) 상측면, 하측면 또는 측면에 일자형 또는 “X”자형으로 압박하는 보조밴드(200) 한쌍이 형성되는 무릎보호대(100)를 제공한다.
상기 보조밴드(200)의 내측에는 접착부(10)가 형성되어 무릎보호대(100)의 몸체(110)의 전면을 이루는 부직포에 부착되어 고정하게 한다.
무릎의 습관절에는 전방십자인대(ACL), 후방십자인대(PCL), 내측측부인대(MCL) 및 외측측부인대(LCL)로 4개의 주요 인대가 있으며, 이중에서 후방십자인대(PCL)의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되면, 무릎을 굽히거나 펴는 과정에서 하퇴의 정강이 상부측이 뒤쪽으로 빠지는 현상, 즉 발목에서 무릎까지 이어지는 축(Alignment)이 고관절(Hip)에서 무릎까지 이어지는 축으로부터 정강이 상부측이 뒤쪽으로 빠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후방십자인대가 손상 또는 파손된 상태에서 무릎을 계속하게 사용하면, 그 인접된 좌측십자인대가 2차적인 손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에 후방십자인대가 손상 또는 파손된 환자를 위한 무릎 보조기를 착용하여 하퇴의 정강이 상부측이 뒤쪽으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2차적인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무릎 보조기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릎 보호대를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전방십자인대(ACL), 후방십자인대(PCL), 내측측부인대(MCL) 및 외측측부인대(LCL)로 4개의 주요 인대가 손상시 상기 무릎보호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한쌍의 보조밴드(200)를 이용하여 인대 손상부위를 압박하여 인대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상기 보조밴드(200)를 착용시 도 17의 (c)와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측부인대(MCL)과 외측측부인대(LCL)은 “X”자형으로 압박하여 인대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도 17의 (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십자인대(ACL)과 후방십자인대(PCL)는 일자형으로 감싸 압박하여 인대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착용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무릎보호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무릎보호대(100)의 양측면에 각도조절부재(300)를 부착하여 신전시 0~90도, 굴곡시 0~135도 사이에 15도씩 운동을 제한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300)는 중앙에 신전 및 굴곡을 수행하는 각도조절부(미도시)가 형성되고, 그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된 부착편(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부착편(미도시)에 삽입되어 내측에 접착부가 형성된 부착포켓(미도시)이 제공된다.
이렇게 각도조절부재(300)의 부착편에 삽입된 부착포켓을 무릎보호대(100)의 양측면에 부착하여 고정하게 되며, 상기 부착포켓의 내측에 형성된 접착부(벨크로 형태)가 무릎보호대(100)의 몸체(110) 전면에 형성된 부직포에 부착되어져 각도조절부재(30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무릎보호대는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무릎보호대 : 100, 몸체 : 110, 제1연결부 : 111a, 제3연결부 : 111b, 제2연결부 : 112a, 제4연결부 : 112b, 고정홈 : 113, 신축링 : 114, 절개홈 : 115, 고정띠 : 116, 공간부 : 117, 결속공 : 118, 가이드부 : 119, 보조연결부재 : 120, 제1보조연결부 : 121a, 제2보조연결부 : 121b, 연결밴드 : 122, 연결관 : 123, 결속끈 : 130, 결속링 : 131, 고정부재 : 140a, 제1압박부재 : 140b, 제2압박부재 : 140c, 결속고리 : 141, 완충부재 : 150. 연결공 : 151, 보조밴드 : 200, 각도조절부재 : 300, 각도조절부 : 310, 부착편 : 320, 부착포켓 : 330

Claims (8)

  1. 중앙에 고정홈(113)이 형성되며, 일측에 형성되어 내측 끝단에 접착부(10)가 형성된 제1연결부(111a)와 제2연결부(112a)가 연장되고, 타측에 형성되어 내측 끝단에 접착부(10)가 형성된 제3연결부(111b)와 제4연결부(112b)가 연장되는 몸체(110)와,
    상기 제1연결부(111a)와 제2연결부(112a)의 사이에 형성되어 몸체(110)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보조연결부(121a)가 형성되고, 상기 제3연결부(111b)와 제4연결부(112b)의 사이에 형성되어 몸체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2보조연결부(121b)가 형성되며, 상기 제1보조연결부(121a)와 제2보조연결부(121b)의 끝단에 형성되어 내측에 접착부(10)가 형성된 연결밴드(1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보조연결부(121a)와 제2보조연결부(121b)가 관통된 연결관(123)을 내속되어 교차되게 연결되는 보조연결부재(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연결부재(120) 대신에 제1연결부(111a)와 제2연결부(112a) 사이 그리고 제3연결부(112a)와 제4연결부(112b) 사이에 각각 몸체(110) 내측으로 인입된 반원형의 공간부(117)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 형성된 공간부(117) 각각의 몸체(110) 내측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결속공(118)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결속공(118)을 꿰어 일측 및 타측이 연장되도록 몸체(110) 양측에 각각 결속끈(130)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 결속끈(130) 중 일측 결속끈(130)의 일측 끝단과 타측 결속끈(130)의 일측 끝단에 결속링(131)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링(131)을 결속하도록 양측단에 결속고리(141)가 형성되며, 저면에 접착부(10)가 형성된 고정부재(140a)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결속끈(130) 중 일측 결속끈(130)의 타측 끝단에 결속링(131)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링(131)을 결속하도록 일측단에 결속고리(141)가 형성되며, 저면에 접착부(10)가 형성된 제1압박부재(140b)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 결속끈(130) 중 타측 결속끈(130)의 타측 끝단에 결속링(131)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링(131)을 결속하도록 일측단에 결속고리(141)가 형성되며, 저면에 접착부(10)가 형성된 제2압박부재(140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를 무릎에 착용한 몸체(110)의 후방면에서 양측 결속끈(130)이 삽입되어 교차되도록 내부가 내통된 한쌍의 연결공(151)이 형성된 완충부재(1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측에 형성된 다수의 결속공 대신에 몸체(110)의 양측에 형성된 공간부(117) 각각의 몸체(110) 내측단에 반원형의 띠형상을 가지며, 양측단이 부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일측단과 타측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가이드부(11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111a)와 제2연결부(112a) 사이 그리고 제3연결부(112a)와 제4연결부(112b) 사이에 각각 몸체(110) 내측으로 인입된 반원형의 공간부(117)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대.
  6.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111a)와 제4연결부(112b)의 내측 일면에 절개홈(115)이 형성하되, 상기 절개홈(115) 둘레의 내면에 고정띠(1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대.
  7.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고정홈(113) 둘레의 내면에 신축링(1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대.
  8.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보호대(100)를 착용 후 무릎보호대(100)의 몸체(110) 전방 상측면, 하측면 또는 측면에 일자형 또는 “X”자형으로 압박하는 보조밴드(200) 한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대.
KR1020130044591A 2013-03-20 2013-04-23 무릎보호대 KR101277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9643 2013-03-20
KR1020130029643 2013-03-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230B1 true KR101277230B1 (ko) 2013-07-01

Family

ID=4899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591A KR101277230B1 (ko) 2013-03-20 2013-04-23 무릎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23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176A (ko) * 2015-01-23 2016-08-02 안문수 관절 보호대
KR20180060165A (ko) 2016-11-28 2018-06-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인 맞춤형 무릎 보호대 제작을 위한 깊이 포인트 기반 무릎뼈 형상 추출장치 및 방법
KR102170471B1 (ko) 2020-07-07 2020-10-28 김세혁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
KR102380964B1 (ko) 2021-01-22 2022-04-01 주식회사 바른헬스케어 무릎 보호대
JP7054549B1 (ja) 2020-10-12 2022-04-14 株式会社二子商事 レッグガード
KR20220075671A (ko) 2020-11-30 2022-06-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성 무릎보호대
KR102412073B1 (ko) 2022-03-26 2022-06-22 주식회사 바른헬스케어 무릎 보호대
KR20220145509A (ko)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아미글로벌 무릎보호대
KR20230149524A (ko) 2022-04-20 2023-10-27 주식회사 아미글로벌 무릎보호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935Y1 (ko) 2004-03-25 2004-06-22 김신교 무릎 관절 보호대
KR100523423B1 (ko) 2004-01-30 2005-10-25 현대메디칼 주식회사 무릎관절 보호 및 치료대
KR100749958B1 (ko) 2005-11-23 2007-08-21 김권봉 관절 보호대용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관절 보호대
KR100975400B1 (ko) 2010-02-03 2010-08-12 정해천 관절 보호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423B1 (ko) 2004-01-30 2005-10-25 현대메디칼 주식회사 무릎관절 보호 및 치료대
KR200353935Y1 (ko) 2004-03-25 2004-06-22 김신교 무릎 관절 보호대
KR100749958B1 (ko) 2005-11-23 2007-08-21 김권봉 관절 보호대용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관절 보호대
KR100975400B1 (ko) 2010-02-03 2010-08-12 정해천 관절 보호대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176A (ko) * 2015-01-23 2016-08-02 안문수 관절 보호대
KR101663123B1 (ko) 2015-01-23 2016-10-06 안문수 관절 보호대
KR20180060165A (ko) 2016-11-28 2018-06-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인 맞춤형 무릎 보호대 제작을 위한 깊이 포인트 기반 무릎뼈 형상 추출장치 및 방법
KR102170471B1 (ko) 2020-07-07 2020-10-28 김세혁 슬개골 프리 무릎보호대
JP7054549B1 (ja) 2020-10-12 2022-04-14 株式会社二子商事 レッグガード
JP2022063451A (ja) * 2020-10-12 2022-04-22 株式会社二子商事 レッグガード
KR20220075671A (ko) 2020-11-30 2022-06-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성 무릎보호대
KR102380964B1 (ko) 2021-01-22 2022-04-01 주식회사 바른헬스케어 무릎 보호대
KR20220145509A (ko)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아미글로벌 무릎보호대
KR102549957B1 (ko) 2021-04-22 2023-06-30 (주)아미글로벌 무릎보호대
KR102412073B1 (ko) 2022-03-26 2022-06-22 주식회사 바른헬스케어 무릎 보호대
KR20230149524A (ko) 2022-04-20 2023-10-27 주식회사 아미글로벌 무릎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230B1 (ko) 무릎보호대
DK2996642T3 (en) PROPRIOCEPTIVE ORTHOSIS TO SUPPORT A LED
US6080121A (en) Laminated orthopedic brace
US6110135A (en) Elbow brace with movable support
JP2894778B2 (ja) サポーター
US20030204156A1 (en) Knee brace with patella stabilizer
US9439799B2 (en) Joint support device
US10786381B2 (en) Elastic brace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10675166B2 (en) Adjustable brace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20200100928A1 (en) Ankle brac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1607331B2 (en) Universal dynamic athletic ankle brace and add-on interior stirrup support system
KR102011203B1 (ko) 슬개골 안정화용 무릎보호대
EP0970670A1 (en) Ankle brace with multiple straps
KR100984063B1 (ko) 기능성 무릎 보호대
KR101226495B1 (ko) 에어볼을 이용한 관절 보호대
KR20190120999A (ko) 관절 보호대
KR101675338B1 (ko) 트레이닝 팬츠
TWM542494U (zh) 加壓型關節護具(一)
KR101549871B1 (ko) 무릎 보호대
JP2010168677A (ja) 係留部材付き膝カバー弾性保護具。
CN204839852U (zh) 一种腿型矫正带
CN110192944A (zh) 一种足踝关节韧带保护具
EP0970669A1 (en) Elbow brace with movable strap
KR102431035B1 (ko) 무릎보호대
CN214759273U (zh) 一种新型护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