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176A - 관절 보호대 - Google Patents
관절 보호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1176A KR20160091176A KR1020150011495A KR20150011495A KR20160091176A KR 20160091176 A KR20160091176 A KR 20160091176A KR 1020150011495 A KR1020150011495 A KR 1020150011495A KR 20150011495 A KR20150011495 A KR 20150011495A KR 20160091176 A KR20160091176 A KR 201600911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joint
- band member
- members
- kne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8—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the wri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관절 보호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관절 보호대는: 관절 또는 관절 주변을 감싸는 다수개의 밴드부재와, 밴드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관절을 감싼 밴드부재를 상호 부착하여 연결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관절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목, 무릎 등의 관절을 복수개의 밴드부재로 감아주어 각각의 개별 하중력이 관절을 감싸므로써 관절 지지력을 증진시킬 수 있고, 무릎의 경우, 보호부재를 밴드부재에 이격되게 부착하여 밴드부재가 무릎관절의 주위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보호부재가 무릎관절의 전면을 보호하므로 밴드부재가 쉽게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무릎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관절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절 보호대는 손목 또는 무릎등의 관절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밴드를 구비하여 손목 또는 무릎 등의 관절을 깜싸면서 베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하므로 관절의 주변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비틀려지거나 삐는 것을 방지한다.
기존의 관절 보호대는 무릎 등의 관절에 접촉되는 보호패드부재와, 부호패드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결되는 밴드부재와, 밴드부재에 구비되어 관절을 감싸면서 반대측에서 부착되는 벨크로테이프를 포함한다.
그런데, 기존의 관절 보호대는 밴드부재가 보호패드부재의 양측에서 연결되어 감아져 부착되므로 밴드부재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탄성력이 약화되어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호패드부재를 무릎의 슬개골 형태에 맞게 라운드지게 제조하는 것이 어려워 고가의 신축재질로 제작하므로 제조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42181호(발명의 명칭: 무릎 보호대, 2007.07.18: 공개)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손목, 무릎 등의 관절을 복수개의 밴드부재로 감아주어 각각의 개별 하중력이 관절을 감싸므로써 관절 지지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관절 보호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릎의 경우, 보호부재를 밴드부재에 이격되게 부착하여 밴드부재가 무릎 관절의 주위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보호부재가 무릎관절 또는 팔꿈치관절의 전면을 보호하므로 밴드부재가 쉽게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무릎 또는 팔꿈치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관절 보호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관절 보호대는, 관절 또는 관절 주변을 감싸는 다수개의 밴드부재; 및 상기 밴드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관절을 감싼 상기 밴드부재를 상호 부착하여 연결하는 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절의 일부를 감싸는 제1밴드부재; 및 상기 제1밴드부재에 마주보게 배치되어 관절의 다른 부위를 감싸는 제2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밴드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부착부재; 및 상기 제1부착부재에 탈부착되도록 상기 밴드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밴드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제1밴드부재와 상기 제2밴드부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지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밴드부재는 양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부재는 상기 제1,제2밴드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밴드부재의 중심부위에는 관절 중 무릎관절 또는 팔꿈치관절의 전면을 보호하는 보호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밴드부재가 제1,제2밴드부재로 이루어질 때, 상기 제1밴드부재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2밴드부재의 가장자리를 상호 이격시키도록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강기 보호부재는 중심부위에서 상하 간격이 넓게 협성되고, 중심부위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에는 상기 무릎관절을 캡(cap) 형태로 덮어주는 오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의 상측 또는 하측 가장자리에는 V자 형상으로 절개 형성하는 절개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부는 상기 절개홈부의 양측 가장자리를 상호 재봉하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와 상기 밴드부재를 상호 연결하여 보강하는 보강덧댐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호부재의 중심에는 무릎관절을 구부려 접촉할 때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보호대는, 손목, 무릎 등의 관절을 복수개의 밴드부재로 감아주어 각각의 개별 하중력이 관절을 감싸므로써 관절 지지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릎의 경우, 보호부재를 밴드부재에 이격되게 부착하여 밴드부재가 무릎 관절의 주위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보호부재가 무릎관절 또는 팔꿈치관절의 전면을 보호하므로 밴드부재가 쉽게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무릎 또는 팔꿈치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가 손목에 적용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가 무릎에 적용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에 보호부재가 구비된 접이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에 보호부재가 적용된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에 보호부재가 적용된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재봉 전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에 보호부재가 구비된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가 손목에 적용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가 무릎에 적용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에 보호부재가 구비된 접이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에 보호부재가 적용된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에 보호부재가 적용된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재봉 전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에 보호부재가 구비된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가 손목에 적용된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가 무릎에 적용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에 보호부재가 구비된 접이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에 보호부재가 적용된 분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에 보호부재가 적용된 조립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재봉 전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에 보호부재가 구비된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100)는, 밴드부재(10) 및 부착부재(20)를 포함한다.
밴드부재(10)는 관절 또는 관절 주변을 감싸는 다수개 구비된다. 여기서, 관절은 손목관절, 팔꿈치관절, 무릎관절 및 발목관절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부재(10)는 관절을 보호하는 의료 보조 기능가질 수 있도록 탄성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밴드부재(10)는 신축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밴드부재(10)는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밴드부재(10)가 복수 개로 이루어져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밴드부재(10)는 상호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100)는 밴드부재(10) 사이가 이격되는 경우, 이격공간으로 인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여 통기성이 좋다. 따라서, 밴드부재(10)가 감싸지는 관절 부위에 땀으로 인한 땀 냄새를 줄일 수 있다. 이때, 밴드부재(10)가 상하측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배치되는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재(10)는 2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밴드부재(10)는 어두운 장소에서 잘 보이도록 형광물질을 함유한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름철에 얇은 옷을 입을 때, 관절 보호대(100)를 감아준 상태로 도로를 걸어 다니는 경우, 밴드부재(10)의 형광물질로 인해 착용자 식별이 용이하므로 차량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밴드부재(10)는 관절의 일부를 감싸는 제1밴드부재(12)와, 제1밴드부재(12)에 마주보게 배치되어 관절의 다른 부위을 감싸는 제2밴드부재(14)를 포함한다.
제1밴드부재(12)와 제2밴드부재(14)는 상호 접촉되거나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관절에 적용하는 경우, 제1밴드부재(12)와 제2밴드부재(14)가 상호 접촉되어 손목 관절을 밀착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관절에 적용하는 경우, 제1밴드부재(12)와 제2밴드부재(14)가 상호 이격되어 무릎 관절의 슬개골을 벗어나는 상태로 무릎관절 상측부위와 하측부위를 각각 밀착 지지할 수도 있다.
부착부재(20)는 밴드부재(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관절을 감싼 밴드부재(10)를 상호 부착하여 연결하는 구성이다.
부착부재(20)는 밴드부재(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부착부재(22)와, 제1부착부재(22)에 탈부착되도록 밴드부재(1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부착부재(4)를 포함한다. 부착부재(20)는 벨크로테이프, 버튼 및 걸림후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부착부재(22)는 암벨크로테이프 또는 수벨크로테이프일 수 있고, 제2부착부재(24)는 이에 탈부착되는 수벨크로테이프 또는 암벨크로테이프일 수 있다. 제1부착부재(22)와 제2부착부재(24)는 밴드부재(10)의 양단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각각 설치된다.
제1부착부재(22) 또는 제2부착부재(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밴드부재(12)와 제2밴드부재(14)에 각각 별개(別個)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제1부착부재(22)가 제1,제2밴드부재(12,14)에 별개로 장착되고, 제2부착부재(24)가 제1,제2밴드부재(12,14)에 일체로 장착된 상태로 도시한다. 이와 같이, 제1,제2부착부재(22,24)는 제1,제2밴드부재(12,14)에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제2밴드부재(12,14)의 양단에는 제1밴드부재(12)와 제2밴드부재(14)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지지부재(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연결지지부재(30)는 제1,제2밴드부재(12,14)의 양측 가장자리의 전측과 후측을 감싸는 형태로 재봉됨으로써 제1밴드부재(12)와 제2밴드부재(14)의 사이 간격이 벌려지거나 오므려지게 구성될 수 있다.
제1,제2밴드부재(12,14)는 양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지지부재(30)는 제1,제2밴드부재(12,14)의 양단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보호대(10)를 손목관절에 사용되는 경우, 제1,제2밴드부재(12,14)가 연결지지부재(30)에 의해 연결지지되어 상호 접촉되는 상태로 오므려져 사용될 수 있고,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보호대(10)를 무릎관절에 사용되는 경우, 제1,제2밴드부재(12,14)가 연결지지부재(30)에 의해 연결지지되어 상호 분리되는 상태로 벌려져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지지부재(30)는 제1,제2밴드부재(12,14)가 관절의 벤딩 범위를 확장시키거나 좁혀주는 상태로 사용될 수 있게 해준다.
밴드부재(10)의 중심부위에는 관절 중 무릎관절 또는 팔꿈치관절의 전면을 보호하는 보호부재(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호부재(40)는 면 또는 스판원단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솜등을 매립하여 충격에 대해 완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재(40)는 고무판, 철판, 사출판, 가죽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호부재(40)의 재질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보호부재(40)는 밴드부재(10)가 제1,제2밴드부재(12,14)로 이루어질 때, 제1밴드부재(12)와 제2밴드부재(14)를 상호 이격시키도록 재봉될 수 있다. 보호부재(40)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는 제1,제2밴드부재(12,14)의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재봉됨으로써, 제1,제2밴드부재(12,14)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호 연결된다.
보호부재(40)는 중심부위에서 상하 간격이 넓게 협성되고, 중심부위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호부재(40)는 무릎관절 또는 팔꿈치관절을 완전하게 커버하도록 넓게 구성될 수 있다.
보호부재(40)에는 무릎관절 또는 팔꿈치관절을 캡(cap) 형태로 덮어주는 오목홈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부재(40)는 캡 중에서도 삿갓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부재(40)의 상측 또는 하측 가장자리에는 V자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홈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홈부(42)는 절개홈부(44)의 양측 가장자리를 상호 재봉함으로써 보호부재(40)의 내측에 형성된다. 오목홈부(42)는 보호부재(40)의 중심점을 약간 벗어난 상측부위 또는 하측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절개홈부(44)는 넓게 벌려질수록 오목홈부(42)의 함몰 깊이는 점차적으로 커진다, 또한, 절개홈부(44)는 좁게 오므려질수록 오목홈부(42)의 함몰 깊이는 점차적으로 낮아진다. 이와 같이, 절개홈부(44)의 부채꼴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오목홈부(42)의 깊이, 즉 보호부재(40)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보호부재(40)의 양측 가장자리와 밴드부재(10)를 상호 연결하여 보강하는 보강덧댐부재(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강덧댐부재(50)는 보호부재(40)의 양측 가장자리와 제1,제2밴드부재(12,14)의 전체 너비를 덮어 재봉되므로 재봉된 보강덧댐부재(50)가 제1,제2밴드부재(12,14) 사이 간격이 오므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부재(4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보호부재(40)에는 일측에서 차측으로 관통되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통가공(마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통기공은 관절의 피부에서 발생되는 땀을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공기를 피부에 접촉시키므로 땀 발생을 줄이고, 땀 냄새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수개의 통기공은 보호부재(40)의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설정간격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호부재(40)의 중심에는 무릎관절을 구부려 접촉할 때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60)는 고무판, 철판, 사출판, 가죽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60)의 내측에는 음이온을 발생하는 자석을 구비할 수도 있다. 완충부재(60)에 자석이 내장되는 경우, 관절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혈행을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은, 손목, 무릎 등의 관절을 복수개의 밴드부재로 감아주어 각각의 개별 하중력이 관절을 감싸므로써 관절 지지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릎의 경우, 보호부재를 밴드부재에 이격되게 부착하여 밴드부재가 무릎 관절의 주위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보호부재가 무릎관절 또는 팔꿈치관절의 전면을 보호하므로 밴드부재가 쉽게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무릎 또는 팔꿈치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밴드부재 12 : 제1밴드부재
14 : 제2밴드부재 20 : 부착부재
22 : 제1부착부재 24 : 제2부착부재
30 : 연결지지부재 40 : 보호부재
42 : 오목홈부 44 : 절개홈부
50 : 보강덧댐부재 60 : 완충부재
100 : 관절 보호대
14 : 제2밴드부재 20 : 부착부재
22 : 제1부착부재 24 : 제2부착부재
30 : 연결지지부재 40 : 보호부재
42 : 오목홈부 44 : 절개홈부
50 : 보강덧댐부재 60 : 완충부재
100 : 관절 보호대
Claims (10)
- 관절 또는 관절 주변을 감싸는 다수개의 밴드부재; 및
상기 밴드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관절을 감싼 상기 밴드부재를 상호 부착하여 연결하는 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는,
상기 관절의 일부를 감싸는 제1밴드부재; 및
상기 제1밴드부재에 마주보게 배치되어 관절의 다른 부위를 감싸는 제2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밴드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제1밴드부재와 상기 제2밴드부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지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 제 3항에 있어서,
강기 제1,제2밴드부재는 양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부재는 상기 제1,제2밴드부재의 양단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의 중심부위에는 관절 중 무릎관절 또는 팔꿈치관절의 전면을 보호하는 보호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 제 5항에 있어서,
강기 보호부재는 상기 밴드부재가 제1,제2밴드부재로 이루어질 때, 상기 제1밴드부재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2밴드부재의 가장자리를 상호 이격시키도록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 제 6항에 있어서,
강기 보호부재는 중심부위에서 상하 간격이 넓게 협성되고, 중심부위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에는 상기 무릎관절을 캡(cap) 형태로 덮어주는 오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의 상측 또는 하측 가장자리에는 V자 형상으로 절개 형성하는 절개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부는 상기 절개홈부의 양측 가장자리를 상호 재봉하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와 상기 밴드부재를 상호 연결하여 보강하는 보강덧댐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호부재의 중심에는 무릎관절을 구부려 접촉할 때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1495A KR101663123B1 (ko) | 2015-01-23 | 2015-01-23 | 관절 보호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1495A KR101663123B1 (ko) | 2015-01-23 | 2015-01-23 | 관절 보호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1176A true KR20160091176A (ko) | 2016-08-02 |
KR101663123B1 KR101663123B1 (ko) | 2016-10-06 |
Family
ID=5670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1495A KR101663123B1 (ko) | 2015-01-23 | 2015-01-23 | 관절 보호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312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2705A (ja) * | 1989-06-20 | 1991-01-31 | Sony Corp | パルス発生回路 |
KR20110001090U (ko) * | 2009-07-24 | 2011-02-01 | 최소라 | 유아용 무릎 및 팔꿈치 겸용 보호대 |
KR101277230B1 (ko) * | 2013-03-20 | 2013-07-01 | (주)오케이메디텍 | 무릎보호대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22705B2 (ja) | 1993-06-10 | 2000-03-21 |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 基板処理装置 |
-
2015
- 2015-01-23 KR KR1020150011495A patent/KR1016631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2705A (ja) * | 1989-06-20 | 1991-01-31 | Sony Corp | パルス発生回路 |
KR20110001090U (ko) * | 2009-07-24 | 2011-02-01 | 최소라 | 유아용 무릎 및 팔꿈치 겸용 보호대 |
KR101277230B1 (ko) * | 2013-03-20 | 2013-07-01 | (주)오케이메디텍 | 무릎보호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63123B1 (ko) | 2016-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327316A (en) | Wrestler's headgear | |
EP1406519B1 (en) | Protective headgear | |
JP6170612B2 (ja) | 関節型保護装置 | |
US4893355A (en) | Knee protector | |
KR102319958B1 (ko) | 손목보호대 | |
KR101663123B1 (ko) | 관절 보호대 | |
KR100749958B1 (ko) | 관절 보호대용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관절 보호대 | |
KR20190120999A (ko) | 관절 보호대 | |
JP2922880B1 (ja) | 脊椎パッド | |
KR200304344Y1 (ko) | 힙과 골반뼈를 보호하는 보호대를 구비한 반바지 | |
KR101838233B1 (ko) | 보호장구 | |
JP2003129324A (ja) | 保護帽子の構造 | |
KR200348171Y1 (ko) |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 | |
KR200210099Y1 (ko) | 무릎 보호대 | |
CN114340430A (zh) | 用于衣物的冲击吸收垫及包括此冲击吸收垫的衣物 | |
JP3215985U (ja) | 防具 | |
JP2593064Y2 (ja) | 格闘技用保護防具 | |
JP2006070409A (ja) | 帽子 | |
KR102688271B1 (ko) | 부착형 기능성 패치 | |
KR102669510B1 (ko) | 발등 보호구 | |
JP4700458B2 (ja) | 頭部保護具 | |
KR100660405B1 (ko) | 격투기용 몸통보호대 | |
GB2434965A (en) | A shin and calf guard | |
JP2002291956A (ja) | 膝用サポーター | |
KR20120013167A (ko) | 무릎보호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