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171Y1 -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 - Google Patents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171Y1
KR200348171Y1 KR20-2003-0034787U KR20030034787U KR200348171Y1 KR 200348171 Y1 KR200348171 Y1 KR 200348171Y1 KR 20030034787 U KR20030034787 U KR 20030034787U KR 200348171 Y1 KR200348171 Y1 KR 200348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ad member
buffer
shi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욱
Original Assignee
유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욱 filed Critical 유재욱
Priority to KR20-2003-0034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1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1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71/12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63B71/1225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 A63B2071/125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for the legs, e.g. thighs, knees, ankles, feet for the shin, e.g. shin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5Foot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섬유재로 직조되고, 사용자의 정강이 부위에 밀착될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는 내부패드부재; 상기 내부패드부재 일면 가장자리에 그 일면 가장자리가 봉접으로 고정되고, 섬유재로 이루어진 외부패드와; 상기 외부패드 일면으로 돌출되고, 은폐되게 내장되는 쿠션재로 이루어진 외부패드부재; 및 상기 내부패드부재 및 상기 외부패드부재 사이에 내장되어 외부의 충격을 완충 및 흡수하게 되는 완충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내, 외부패드부재 사이에 제 1,2완충패드와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 및 상대방에 대한 충격을 4중으로 완충시켜 부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었으며, 또한 전체가 섬유재질로 이루어져 땀 흡수능력 및 세탁이 가능하여 제품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길이가 종래의 보호대보다 길게 제작되어 사용자의 발목부위까지 위치됨으로써 그 보호범위가 넓어지게 되었으며, 외부패드부재의 외부패드에 다수의 쿠션재를 내장시켜 경기중 축구공이 맞게 되면 그 충격을 완화시켜 키핑력을 높여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THE SOCCER FOR SHIN GUARD}
본 고안은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강이 보호대의 내,외부패드부재 사이에 다중의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 및 상대방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축구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강이 보호대(Shin Guard)는 사용자, 축구선수의 정강이 부위에 착용하여 자신 및 상대방의 정강이를 보호하여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 정강이 보호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정강이 보호대는 사용자의 정강이 전면을 감싸줄 수 있도록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재(100)와; 커버부재(100) 내측면에 부착되어 충격을 흡수하고 완화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진 쿠션부재(2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커버부재(100)는 양측으로 밴드(미도시)를 고정시킬 수 있는 수직장공(120)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정강이 보호대는 커버부재(100) 내측면으로 쿠션부재(200)를 부착한 다음, 이를 사용자의 정강부위에 밀착시킨 후, 커버부재(100)의 수직장공(120)에 구비된 밴드(미도시)를 종아리 측으로 감아 고정시켜 착용하여 경기에 임하게 됨으로써 사용자 및 상대방을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정강이 보호대는 사용자의 정강이에 밀착되는 쿠션부재가 단순히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통기성이 좋지 않아 땀의 배출능력이 저하되었으며, 또한 외부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커버부재가 딱딱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충돌시 착용자는 내부의 쿠션부재에 의해 어느 정도 보호를 받을 수 있으나, 상대방은 보호를 받을 수 없게 되었으며, 또한 재질의 특성상 그 길이가 한정되어 사용자의 발목 쪽으로 보호하지 못하게 되는 등 그 보호 범위가 좁게 되었고, 커버부재가 깨지게 되어 스타킹 등이 걸리게 됨으로써 부상 및 제품의 수명이 짧은 문제점과, 축구공 키핑(Keeping)시 재질의 특성상 그 반발력으로 튕겨져 나가되는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내, 외부패드부재 사이에 다중으로 이루어진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 및 상대방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켜 부상을 방지하고, 땀의 흡수능력이 우수하며, 보호범위가 넓게 되고, 축구공의 반발력을 최소화하여 키핑력을 향상시키게 되는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는, 섬유재로 직조되고, 사용자의 정강이 부위에 밀착될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는 내부패드부재; 상기 내부패드부재 일면 가장자리에 그 일면 가장자리가 봉접으로 고정되고, 섬유재로 이루어진 외부패드와; 상기 외부패드 일면으로 돌출되고, 은폐되게 내장되는 쿠션재로 이루어진 외부패드부재; 및 상기 내부패드부재 및 상기 외부패드부재 사이에 내장되어 외부의 충격을 완충 및 흡수하게 되는 완충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종래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를 고정시키는 착용패드부재의 사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부패드부재 20 : 외부패드부재
22 : 외부패드 24 : 쿠션재
40,42 : 제 1,2완충패드 42a : 통기공
44 : 지지부재 50 : 착용패드부재A : 완충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를 고정시키는 착용패드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강이 보호대는 내부패드부재(10), 외부패드부재(20), 완충수단(A) 및 착용패드부재(50)로 이루어지고, 인체(정강이)의 구조에 적절하도록 그 전체적인 형상이 상광하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패드부재(10)는 적정 두께를 유지하여 직조된 섬유재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정강이 영역에 밀착될 정도의 크기로 제작된다.
상기 외부패드부재(20)는 내부패드부재(10) 일면 가장자리에 그 일면 가장자리가 봉접으로 고정되고, 섬유재로 이루어진 외부패드(22)와; 외부패드(22) 일면으로 돌출되고, 등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되는 다수의 쿠션재(24)로 이루어진다.
이때, 외부패드부재(20)는 내부패드부재(10) 길이 방향의 상하부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봉접으로 고정되고, 이 외부패드부재(20)가 고정된 내부패널부재(10)의 상하부에는 로그 및 상표를 새겨 넣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내부패드부재(10)와 외부패드부재(20)의 외부패드(22) 둘레부에는 고무재질의 마감부재(30)를 컴퓨터 자수로써 각각 마감 처리를 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가벼운 느낌을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쿠션재(24)는 충격에 대한 흡수 및 완충을 할 수 있는 재질인 고무,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외부패드(22)의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컴퓨터 자수로써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고 은폐시키게 되는 데, 이때 쿠션재(24)는 직선을 유지하여 배치될 수 있고, 사선 및 마름꼴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하여 그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완충수단(A)은 내부패드부재(10) 일면에 일측 가장자리가 봉접으로 고정되는 제 1완충패드(40)와; 제 1완충패드(40) 일면에 그 일면이 밀착되는 제 2완충패드(42)와; 제 2완충패드(42) 타면에 그 일면이 밀착되고, 자체 탄성력이 구비된 지지부재(44)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1,2완충패드(40)(42)는 그 크기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그 재질은 충격에 대한 흡수 및 완충을 할 수 있는 고무 또는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제 1완충패드(40)는 연질로 이루어지고, 제 2완충패드(42)는 경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완충패드(42)는 다수의 통기공(42a)이 관통 형성되어 내부의 공기 유통을 원활하게 하여 에어쿠션 기능을 갖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44)는 박판(1mm 정도)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자체 탄성력이 구비되어 제 2완충패드(42)와 외부패드부재(20) 타면 사이에 밀착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정강이 보호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재(42)는 연질 또는 강질의 합성수지재, 즉 자체 탄성력이 약하게 작용되고, 강하게 작용되는 합성수지재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내부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착용패드부재(50)는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를 완전히 감쌀 수 있도록 봉접으로 제작되어 내부에 완충수단(A)이 구비된 내,외부패드부재(10)(20)를 정강이 부위에 탄력적으로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재질은 방수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는 신축성을 갖는 섬유 소재인 스판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정강이 보호대가 제작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섬유를 적정 두께로 직조하여 이루어진 내부패드부재(10)를 사용자의 정강이 구조에 적절하도록 상광하협으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와 폭을 충분히 유지하여 절단한 다음, 이의 둘레부에 고무재질의 마감부재(30)를 컴퓨터 자수로써 각각 마감 처리를 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가벼운 느낌을 주도록 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외부패드부재(20)를 제작하게 된다. 즉,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외부패드(22)를 상광하협으로 절단한 다음, 이의 일면에 적정 간격으로 충격에 대한 흡수 및 완충을 할 수 있는 재질인 고무, 스펀지 등으로 쿠션재(24)를 배치하게 된다. 이때, 쿠션부재(24)는 직선, 사선 및 마름모꼴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패드(22)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컴퓨터 자수로써 다수의 쿠션재(24)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면, 다수의 쿠션재(24)가 직선, 사선 및 마름 모꼴 형상을 유지하여 내장되도록 은폐 고정된다.
그 다음으로 외부패드(22) 둘레부에 고무재질의 마감부재(30)를 컴퓨터 자수로써 각각 마감처리를 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가벼운 느낌을 주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완충수단(A)을 제작하게 된다. 즉, 동일 크기를 유지하여 그 재질이 충격에 대한 흡수 및 완충을 할 수 있는 고무,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진 제 1,2완충패드(40)(42)를 적정 크기로 절단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제 2완충패드(42) 타면에 밀착되고, 그 크기가 제 2완충패드(42) 보다 적게 자체 탄성력이 구비된 지지부재(44)를 제작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재(44)는 자체 탄성력이 약하게 작용되고, 강하게 작용되는 박판(1mm 정도)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거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부재를 제작한 다음, 이를 조합하여 정강이 보호대를 제작하게 되는 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부패드부재(10) 일면에 제 1완충패드(40) 일측 가장자리를 봉접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면, 내부패드부재(10) 일면에 제 1완충패드(40) 일측 가장자리가 봉접으로 고정된다. 이때, 내부패드부재(10) 일면으로부터 제 1완충패드(40)가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일측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완충패드(40) 일면에 제 2완충패드(42)를 밀착시킨 다음, 제 2완충패드(42) 타면에 자체 탄성력이 구비된 지지부재(44)의 일면을 밀착시킨 후, 완충수단(A)을 완전히 감쌈과 동시에 내부패드부재(10) 일면에외부패드(22)와 쿠션재(24)로 이루어진 외부패드부재(20)를 밀착되도록 한 다음, 컴퓨터 자수로써 은폐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정강이 보호대의 제작이 완료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정강이 보호대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정강이 보호대의 내부패드부재(10)를 정강이 부위에 밀착시킨 다음, 방수가 이루어지는 스판재질로 이루어지는 착용패드부재(50)를 착용하게 된다.
그러면, 착용패드부재(50)가 재질의 특성상 사용자의 정강이 부위와 종아리부위를 탄력적으로 감싸게 됨으로써 정강이 보호대를 1차적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착용패드부재(50) 외주연으로 축구용 스타킹을 착용하게 되면 정강이 보호대가 사용자의 정강이 부위에 완전히 밀착되어 경기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정강이 보호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축구공이 외부패드부재(20)의 쿠션재(24)에 닿게 되면, 그 충격이 쿠션재(24)에 의해 완화되어 축구공의 키핑력을 높이게 되고, 상대방의 축구화가 닿게 되면, 그 충격이 쿠션재(24)에 의해 1차적으로 완충되고, 지지부재(44)에 의해 2차적으로 완충되며, 제 2완충패드(42)와 제 1완충패드(40)를 거치면서 3-4차적으로 완충되어 사용자의 정강이를 보호하게 되는 동시에 상대방에 대한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 2완충패드(42)에는 다수의 통기공(42a)이 관통 형성되어 에어쿠션 기능을 하게 됨으로써 완충력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내,외부패드부재 사이에 제 1,2완충패드와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 및 상대방에 대한 충격을 4중으로 완충시켜 부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었으며, 또한 전체가 섬유재질로 이루어져 땀 흡수능력 및 세탁이 가능하여 제품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길이가 종래의 보호대보다 길게 제작되어 사용자의 발목부위까지 위치됨으로써 그 보호범위가 넓어지게 되었으며, 외부패드부재의 외부패드에 다수의 쿠션재를 내장시켜 경기 축구공이 맞게 되면 그 충격을 완화시켜 키핑력을 높여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7)

  1. 섬유재로 직조되고, 사용자의 정강이 부위에 밀착될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는 내부패드부재(10);
    상기 내부패드부재(10) 일면 가장자리에 그 일면 가장자리가 봉접으로 고정되고, 섬유재로 이루어진 외부패드(22)와; 상기 외부패드(22) 일면으로 돌출되고, 은폐되게 내장되는 쿠션재(24)로 이루어진 외부패드부재(20); 및
    상기 내부패드부재(10) 및 상기 외부패드부재(20) 사이에 내장되어 외부의 충격을 완충 및 흡수하게 되는 완충수단(A):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A)은
    상기 내부패드부재(10) 일면에 일측 가장자리가 봉접으로 고정되는 제 1완충패드(40);
    상기 제 1완충패드(40) 일면에 그 일면이 밀착되는 제 2완충패드(42); 및
    상기 제 2완충패드(42) 일면에 그 일면이 밀착되고, 자체 탄성력이 구비된 지지부재(44);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4)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4)는 강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4)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완충패드(42)는 다수의 통기성(42a)이 관통 형성되어 에어쿠션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A)이 내장된 상기 내부패드부재(10) 및 상기 외부패드부재(20)를 사용자의 정강이 부위에 자체 신축을 갖는 착용패드부재(50)로써 탄력적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
KR20-2003-0034787U 2003-11-06 2003-11-06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 KR200348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787U KR200348171Y1 (ko) 2003-11-06 2003-11-06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787U KR200348171Y1 (ko) 2003-11-06 2003-11-06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171Y1 true KR200348171Y1 (ko) 2004-04-28

Family

ID=4934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787U KR200348171Y1 (ko) 2003-11-06 2003-11-06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17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621B1 (ko) 2004-09-01 2006-10-18 강대영 정강이 보호대
KR100723039B1 (ko) 2006-06-09 2007-05-31 장실갑 다리 보호대
KR200482533Y1 (ko) * 2015-10-23 2017-02-07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신체 보호용 레그 슬리브
KR102257013B1 (ko) * 2020-06-29 2021-05-26 주식회사 심원테크 낙상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완충 튜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621B1 (ko) 2004-09-01 2006-10-18 강대영 정강이 보호대
KR100723039B1 (ko) 2006-06-09 2007-05-31 장실갑 다리 보호대
KR200482533Y1 (ko) * 2015-10-23 2017-02-07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신체 보호용 레그 슬리브
KR102257013B1 (ko) * 2020-06-29 2021-05-26 주식회사 심원테크 낙상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완충 튜브
WO2022004948A1 (ko) * 2020-06-29 2022-01-06 주식회사 심원테크 낙상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완충 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1935A (en) Padded body protection pads
US6000062A (en) Protective headband for soccer players
US20030088900A1 (en) Shin guard
US7992223B2 (en) Protective athletic band
CA2316729A1 (en) Protective athletic pads for joint surfaces
EP1155629A2 (en) Protection implement, particularly for use in sports practice
US20050102726A1 (en) High strength impact resistant hand protector
US11744302B2 (en) Protective headband
US5491840A (en) Buffer structure for shin protection and ankle sleeve mat
US20090205097A1 (en) Pad for soccer sock
KR200348171Y1 (ko)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
KR100749958B1 (ko) 관절 보호대용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관절 보호대
JP2016202939A (ja) 脛当て
US20010023504A1 (en) Flexible buffing cell and sports protector made from the cell
US7073202B1 (en) Wrist protector
TW202116197A (zh) 用於衣物的衝擊吸收墊及包括此衝擊吸收墊的衣物
KR200445737Y1 (ko) 완충패드가 설치된 의류
JP4672051B2 (ja) 球技用レッグガード
KR200400767Y1 (ko) 스포츠용 보호대
JP2593064Y2 (ja) 格闘技用保護防具
KR200281646Y1 (ko) 정강이 보호대
JP6163625B2 (ja) 脛当て
JP4834117B2 (ja) 野球用ふくらはぎ当て具
TW200505534A (en) Takraw padding
KR200187835Y1 (ko) 정강이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