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964B1 - 무릎 보호대 - Google Patents

무릎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964B1
KR102380964B1 KR1020210009136A KR20210009136A KR102380964B1 KR 102380964 B1 KR102380964 B1 KR 102380964B1 KR 1020210009136 A KR1020210009136 A KR 1020210009136A KR 20210009136 A KR20210009136 A KR 20210009136A KR 102380964 B1 KR102380964 B1 KR 102380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ella
knee
main body
dislocated
knee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른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른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른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10009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 A41D13/0562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with hook and loop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knees
    • A61F13/062Openable re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06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관절 구조에 따라 슬개골(S)이 자주 탈구되는 방향에 견인부재를 장착하여 이 견인부재가 슬개골(S) 탈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슬개골(S)을 압박 견인하여 탈구증상을 억제할 수 있는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이의 구성은 무릎을 감싸 보호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슬개골(S)이 노출되도록 구멍(21)이 관통되는 본체(2);
상기 구멍(21)을 통해 보이는 슬개골(S) 주변을 압박부(22)가 압박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의 양단부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착용수단(3); 및
착용자의 슬개골(S)이 탈구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압박부(22) 또는 구멍(21) 가장자리 일측에 고정되고, 이 고정부분에서 연장된 파지부(42)가 슬개골(S)이 탈구되는 반대방향의 본체(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슬개골(S)을 탈구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부재(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릎 보호대{Knee protector}
본 발명은 슬개골이 위치한 무릎에 착용하여 슬개골이 탈구되지 않도록 감싸 보호하는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다리는 하부의 경골과 상부의 대퇴골 사이에 위치한 곳에 슬개골이 위치하고 있다. 이 슬개골은 무릎 관절을 이루고 있는 종지 모양의 오목한 뼈로 굴신운동에 따라 잘 움직이도록 무릎 정면에 위치하면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슬개골(S)이 위치한 무릎을 보인 것이다. 이 슬개골(S)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탈구현상이 발생하는 데, 탈구증상은 통증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정상적으로 걷거나 뛰는 것이 어렵고 장기적으로 관절염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미리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고, 발생하면 즉시 치료해야 한다. 슬개골(S)의 탈구 증상은 선천적인 요인으로 여러 기형과 함께 동반되어 무릎을 펼 때 나주 나타나는 선천성 탈구, 뼈의 변형으로 인해 반복적으로 슬개골(S)이 빠지는 재발성 탈구, 심한 운동이나 외상으로 인해 연골손상과 함께 발생하는 외상성 탈구로 구분할 수 있다.
도 3은 우측다리 무릎의 슬개골(S)이 외측방향, 다시말해 환자의 우측방향으로 탈구되는 것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좌측다리 무릎의 슬개골(S)이 환자의 외측방향, 즉 좌측방향으로 탈구되는 것을 보인 사진이다. 이와 같이 인체는 관절 구조상 무릎의 슬개골(S)은 주로 외측방향으로 탈구되고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슬개골(S) 탈구증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 무릎에 착용하는 무릎 보호대를 보인 것이다. 이들 두 무릎 보호대는 공히 무릎에 감싼 상태로 사용할 때 슬개골(S)이 위치한 곳에 원형의 구멍(H)만 관통된 형태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종래 무릎 보호대는 관통된 구멍(H)에 슬개골(S)이 위치되게 무릎에 착용하여 슬개골(S) 주변을 무릎 보호대가 압박함으로써 슬개골(S)의 탈구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인체 무릎 구조는 슬개골(S)이 주로 외측방향으로 탈구되는 데, 이 외측방향에 슬개골(S) 탈구를 방지하는 추가적인 압박수단이 더 갖추어지지 않기 때문에 구멍 주연부가 거의 동일한 압력으로 슬개골(S) 주변을 감싸 압박하므로 슬개골(S)의 탈구를 효율적으로 방지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 무릎 보호대를 착용함에도 불구하고 스프츠를 즐기거나 일상 생활에서 무릎에 심한 힘이 가해지면 슬개골(S)이 외측방향으로 자주 탈구되는 현상이 반복되어 무릎 보호대로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무릎 보호대의 특허문헌은 등록특허 제10-1277230호의 "무릎보호대"가 2013년 07월 01일 공고되었다. 이 무릎보호대는 중앙에 고정홈(113)이 형성되며, 일측에 형성되어 내측 끝단에 접착부(10)가 형성된 제1연결부(111a)와 제2연결부(112a)가 연장되고, 타측에 형성되어 내측 끝단에 접착부(10)가 형성된 제3연결부(111b)와 제4연결부(112b)가 연장되는 몸체(110)와,
상기 제1연결부(111a)와 제2연결부(112a)의 사이에 형성되어 몸체(110)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보조연결부(121a)가 형성되고, 상기 제3연결부(111b)와 제4연결부(112b)의 사이에 형성되어 몸체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2보조연결부(121b)가 형성되며, 상기 제1보조연결부(121a)와 제2보조연결부(121b)의 끝단에 형성되어 내측에 접착부(10)가 형성된 연결밴드(1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보조연결부(121a)와 제2보조연결부(121b)가 관통된 연결관(123)을 내속되어 교차되게 연결되는 보조연결부재(120)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무릎보호대의 경우도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110)에 고정홈(113)이 관통된 형태로서, 이 고정홈(113) 이외에는 슬개골이 외측방향으로 탈구되지 않도록 추가적인 견인수단이 없기 때문에 고정홈(113)에 수용된 슬개골 주변을 동일한 힘으로 압박하여 탈구를 방지하지만 종종 탈구되는 현상을 여전히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7230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무릎 보호대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착용자의 관절 구조에 따라 슬개골이 자주 탈구되는 방향에 견인부재를 장착하여, 이 견인부재가 슬개골 탈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슬개골을 압박 견인하여 탈구증상을 억제할 수 있는 무릎 보호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장된 견인부재의 부착위치에 따라 견인방향을 미세 조절하여 슬개골 탈구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무릎 보호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구성은 무릎을 감싸 보호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슬개골이 노출되도록 구멍이 관통되는 본체;
상기 구멍을 통해 보이는 슬개골 주변을 압박부가 압박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양단부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착용수단; 및
착용자의 슬개골이 탈구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압박부 또는 구멍 가장자리 일측에 고정되고, 이 고정부분에서 연장된 파지부가 슬개골이 탈구되는 반대방향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슬개골을 탈구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본체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본체는 구멍을 형성하는 가장자리에 슬개골 주변을 압박하는 압박부가 볼록하게 돌출된다.
본 발명의 본체는 착용자의 무릎을 감싸도록 착용할 때 본체의 타단이 겹치지 않도록 본체 타단에 오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착용수단은 본체 일단에서 연장된 착용부 이면에 장착된 후크가 본체 타단 정면에 구비된 루프에 착탈되는 벨크로테이프이다.
본 발명의 견인부재는 고정부분 양측에서 파지부가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파지부는 그의 저면에 부착된 후크가 본체 정면에 형성된 루프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무릎 보호대는 슬개골이 이탈되는 방향에 따라 견인부재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므로, 착용자는 자신의 슬개골 탈구방향에 맞게 견인부재가 장착된 것을 사용하면 슬개골 탈구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장된 견인부재의 자유단부는 벨크로테이프 방식으로 본체에 간단히 부착하여 슬개골 탈구를 방지하므로, 견인부재의 부착위치에 따라 견인방향을 미세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슬개골 탈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인체의 무릎 관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인체의 무릎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슬개골 위치를 보인 이미지
도 3은 인체의 무릎 슬개골이 정상상태와 탈구상태를 보인 이미지
도 4는 슬개골이 외측으로 탈구되는 것을 촬영한 일 실시예 무릎 사진
도 5는 슬개골이 외측으로 탈구되는 것을 촬영한 다른 실시예 무릎 사진
도 6은 종래 무릎 보호대 일 실시예 사진
도 7은 종래 무릎 보호대 다른 실시예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무릎 보호대 정면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무릎 보호대의 견인부재가 부착되기 전 상태를 보인 사진
도 10은 도 9의 견인부재를 확대한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무릎 보호대 저면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착용수단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릎 보호대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릎 보호대(1)는 크게 본체(2), 상기 본체(2)를 연결하여 무릎을 감싸게 하는 착용수단(3), 슬개골(S)을 탈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부재(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는 무릎을 감싸 보호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슬개골(S)이 노출되도록 구멍(21)이 관통되고, 상기 구멍(21)을 형성하는 가장자리에 슬개골(S) 주변을 압박하는 압박부(22)가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2)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그 자체로서 감싸여지는 무릎을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체(2)의 재질로는 탄성을 갖는 섬유재가 좋다. 슬개골(S)을 내부에 수용하는 구멍(21)은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지름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자신에 맞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어린이들은 슬개골(S)의 크기가 작으므로 여기에 맞게 구멍(21)을 작게 형성하고, 성인의 경우는 슬개골(S)의 크기가 크므로 당연히 구멍(21)을 크게 형성한다.
본체(2)의 구멍(2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압박부(22)는 본체(2) 저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슬개골(S) 주변을 본체(2)보다 더 압박하여 슬개골(S)이 탈구되는 것을 본체(2)보다 강하게 방지하게 된다.
본체(2)의 정면에는 벨크로테이프를 구성하는 루프(암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는 데, 착용수단(3)의 연장된 착용부(31)가 부착될 수 있도록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걸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2) 전체 영역에 걸쳐 루프가 구비되어 착용부(31)가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확보토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2)는 착용자의 무릎을 감싸 착용할 때 본체(2)의 타단이 겹치지 않도록 본체(2) 타단에 오목부(23)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 오목부(23)에 의해 무릎에 착용한 본 발명은 본체(2) 타단부가 겹치지 않게 된다.
상기 착용수단(3)은 구멍(21)을 통해 보이는 슬개골(S) 주변을 압박부(22)가 압박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의 양단부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도면에서 착용수단(3)은 본체(2) 일단에서 연장된 착용부(31) 이면에 장착된 후크(숫벨크로테이프.32)가 본체(2) 타단 정면에 구비된 루프에 착탈되는 벨크로테이프를 사용한다.
착용수단(3)의 착용부(31)는 본체(2) 일단에 고정되어 길게 연장되는 데, 2∼3개 연장되며 그 단부에 부착된 후크(32)가 본체(2)의 후프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착용부(31)는 3개가 연장되고 있으며 양측 2개는 허벅지와 장단지에 장착되므로 길게 연장되고 중앙 1개는 무릎 부분에 장착되므로 짧게 연장되어 사용함에 불편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견인부재(4)는 착용자의 슬개골(S)이 탈구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압박부(22) 또는 구멍(21) 가장자리 일측에 고정되고, 이 고정부분(41)에서 연장된 파지부(42)가 슬개골(S)이 탈구되는 반대방향의 본체(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슬개골(S)을 탈구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견인하게 된다. 파지부(42) 저면에는 본체(2)에 구비된 루프에 착탈되도록 후크(43)가 부착된다.
상기 견인부재(4)의 고정부분(41)은 슬개골(S)이 탈구되는 방향이 된다. 따라서 견인부재(4)가 슬개골(S)의 탈구방향에 고정되고 그 연장된 파지부(42)의 단부가 탈구방향과 반대방향의 본체(2)에 고정되므로 견인부재(4)의 고정부분(41)은 탈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슬개골(S)을 압박하므로 슬개골(S)의 탈구를 방지하게 된다.
삭제
상기 견인부재(4)는 고정부분(41)에서 연장된 파지부(42)의 자유단이 본체(2)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므로 부착위치에 따라 고정부분(41)을 그 방향으로 견인하게 된다. 다시 말해, 견인부재(4)의 고정부분(41)은 변함이 없는 고정점이고 착용시 본체(2)에 부착된 파지부(42)의 자유단부는 가변할 수 있는 가변점이므로 가변점의 위치에 따라 고정점이 가변점 방향으로 견인되므로 슬개골(S)의 견인방향을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지부(42)의 자유단부는 도 8과 같이 착용부(31)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무릎 보호대는 슬개골(S)이 탈구되는 방향에 고정된 견인부재(4)가 슬개골(S)을 탈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견인하게 되므로 종래보다 슬개골(S) 탈구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고, 견인부재(4)의 파지부(42) 부착위치에 따라 슬개골(S)의 견인방향을 미세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슬개골(S) 탈구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무릎 보호대 분야에서 진보성을 갖춘 유익한 발명이라 하겠다.
1 : 무릎 보호대 2 : 본체
3 : 착용수단 4 : 견인수단
41 : 고정부분 42 : 파지부
43 : 후크

Claims (5)

  1. 무릎을 감싸 보호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슬개골(S)이 노출되도록 구멍(21)이 관통되는 본체(2);
    상기 구멍(21)을 통해 보이는 슬개골(S) 주변을 압박부(22)가 압박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의 양단부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착용수단(3); 및
    착용자의 슬개골(S)이 탈구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압박부(22) 또는 구멍(21) 가장자리 일측에 고정되고, 이 고정부분에서 연장된 파지부(42)가 슬개골(S)이 탈구되는 반대방향의 본체(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슬개골(S)을 탈구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부재(4);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견인부재(4)는 고정부분(41)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파지부(42)는 그의 자유단부가 착용부(31)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파지부(42)는 그의 저면에 부착된 후크가 본체(2) 정면에 형성된 루프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2)는 구멍(21)을 형성하는 가장자리에 슬개골(S) 주변을 압박하는 압박부(22)가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2)는 착용자의 무릎을 감싸도록 착용할 때 본체(2)의 타단이 겹치지 않도록 본체(2) 타단에 오목부(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수단(3)은 본체(2) 일단에서 연장된 착용부(31) 이면에 장착된 후크가 본체(2) 타단 정면에 구비된 루프에 착탈되는 벨크로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5. 삭제
KR1020210009136A 2021-01-22 2021-01-22 무릎 보호대 KR102380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136A KR102380964B1 (ko) 2021-01-22 2021-01-22 무릎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136A KR102380964B1 (ko) 2021-01-22 2021-01-22 무릎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964B1 true KR102380964B1 (ko) 2022-04-01

Family

ID=81183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136A KR102380964B1 (ko) 2021-01-22 2021-01-22 무릎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9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0951A1 (en) * 2003-07-21 2005-01-27 Gaylord Eric Lee Patella stabilizing knee brace
KR101277230B1 (ko) 2013-03-20 2013-07-01 (주)오케이메디텍 무릎보호대
KR20130101847A (ko) * 2012-03-06 2013-09-16 (주)세일코리아마케팅 무릎보호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0951A1 (en) * 2003-07-21 2005-01-27 Gaylord Eric Lee Patella stabilizing knee brace
KR20130101847A (ko) * 2012-03-06 2013-09-16 (주)세일코리아마케팅 무릎보호대
KR101277230B1 (ko) 2013-03-20 2013-07-01 (주)오케이메디텍 무릎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86804A (en) Hinged knee brace having torque pads for producing inward support pressure
US5584072A (en) Hip protector
US3945046A (en) Flexible knee support
US7806842B2 (en) Cable-based orthopedic bracing system
US5139477A (en) Knee sleeve
US11712359B2 (en) Connector for an orthopedic device
CA2001287A1 (en) S t s (sub-talar stabilizer) ankle brace
US7730550B2 (en) Knee support
KR101997789B1 (ko) 통증 완화용 손목 밴드
US11259947B2 (en) Ankle brac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2380964B1 (ko) 무릎 보호대
KR102306052B1 (ko) 고관절 탈구 방지를 위한 착용용 하의
KR102412073B1 (ko) 무릎 보호대
US11179260B2 (en) Knee brac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6783506B2 (en) Trochanter belt
KR101549871B1 (ko) 무릎 보호대
KR20220054064A (ko) 무릎 보호대
KR102028675B1 (ko) 무릎 보호대
KR200170284Y1 (ko) 흉부 보호대
US20240016645A1 (en) Wearable bottom garment for preventing hip dislocation
KR20210017917A (ko) 무릎 보호대
US20090198165A1 (en) Brace for ankle support
CN214340233U (zh) 关节护具
JP2567314Y2 (ja) 腰痛帯
KR102654325B1 (ko)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